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자치경찰제의 성공적인 시행을 위한초기 운영의 쟁점 분석- 시・도자치경찰위원회의 인식조사를 토대로 -

        박재희,김지영 한국지방행정학회 2022 한국지방행정학보 (KLAR) Vol.19 No.1

        With the introduction of the autonomous police system by the Moon Jae-in government, local governments are expected to provide local-specific public security services that reflect the needs of residents and comprehensive public security services through linking local administration and public security administr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issues of the initial operation of the autonomous police system and to suggest improvement plans for the local police committee, which is a key organization for the successful implementation of the autonomous police system. To this end, a survey was conducted from July 1st to July 15th, 2021 on the organization and operation of the local police committee, personnel rights, budgetary rights, scope and linkage of the affairs targeting 18 local police committees. Based on the survey results, policy recommendations for the successful implementation of the autonomous police system were presented. First, it may be considered to allocate the recommended number of committee members to each recommendation institution in order to secure diversity of the local police committees. Second, the National Police Agency should cooperatively share personnel and budget information with the local police committees. Third, the independent personnel rights management system within the local police committee should be prospectively reviewed. Fourth, it is necessary to come up with various financial support measures that allow local governments to independently operate them. Fifth, it is necessary to continuously discuss improvement plans for local police affairs by reflecting the opinions and experiences of national police officers who perform local police affairs in the field. Sixth, for the personnel and budgetary authority of the local police committee to be effectively exercised, the facilities・manpower・budget of the national police must be completely transferred to the local governments. 문재인 정부의 자치경찰제 도입으로 지방자치단체가 국가와 함께 경찰사무의 공동책무자로서 주민들의 요구를 반영한 지역 맞춤형 치안 서비스와 지방행정과 치안행정의 연계를 통한 종합적 치안 서비스의 제공이 가능해질 것으로 기대가 된다. 본 연구는 자치경찰제가 성공적으로 시행되기 위한 핵심적인 기구인 시・도자치경찰위원회를 대상으로 자치경찰제 초기 운영의 쟁점을 분석하고 제도의 개선안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18개 시・도자치경찰위원회를 대상으로 자치경찰위원회의 조직 구성 및 운영, 인사권, 예산권, 사무 범위 및 연계성에 관하여 2021년 7월 1일부터 7월 15일까지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조사 결과에 근거하여 성공적인 자치경찰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제언을 제시하였다. 첫째, 시・도자치경찰위원회의 다양성을 확보할수 있도록 위원회 위원의 추천 인원을 추천기관별로 할당하는 것을 고려해 볼 수 있다. 둘째, 경찰청은 시・도자치경찰위원회와 인사 및 예산 정보를 협력적으로 공유해야 한다. 셋째, 시・도자치경찰위원회 내 승진심사위원회를 구성하는 독립적인 인사권 운용시스템을 전향적으로 검토하여야 한다. 넷째, 지자체 스스로 독립적인 운영이 가능한 다양한 재정지원 방안 마련이 필요하다. 다섯째, 현장에서 자치경찰 사무를 수행하는 국가직 경찰공무원의 의견과 경험을 반영하여 법정 사무의 개선안을 지속적으로 논의하여야 한다. 여섯째, 시・도자치경찰위원회의 인사 및 예산 권한이 실질적으로 행사되기 위해서는 국가경찰의 시설・인력・예산이 지자체로 완전하게 이양되어야 한다.

      • KCI등재

        지역사회경찰활동 활성화를 위한 지역치안협의회 발전방안에 관한 연구

        김재운(Kim Jae Woon) 한국공안행정학회 2012 한국공안행정학회보 Vol.21 No.3

        전통적으로 경찰은 순찰을 통해 범죄를 예방하고 사회 공공의 안녕과 질서를 유지하는 역할을 수행해 왔다. 그러나 1970년대 이후 경찰의 노력만으로는 범죄를 예방할 수 없다는 연구결과가 많이 나타났으며, 경찰은 지역사회와의 협력을 통해 범죄와 무질서에 대처하려는 인식의 전환이 일어났다. 경찰활동의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고 보완하기 위해 지역주민과의 협력을 통해 범죄를 예방하려는 접근방식이 지역사회 경찰활동이며, 우리나라에서도 최근 지역사회를 중심으로 한 다기관 협력방식의 지역치안활동이 전국적으로 시행되었다. 즉 2008년 이명박 정부가 출범하면서 경찰과 지방자치단체의 주도로 지방의회, 교육기관, 언론기관, 민간단체 등이 참석하여 법질서를 확립하고 치안 인프라를 확충하기 위한 '지역치안협의회'를 발족하였다. 우리나라 지역사회의 종합적인 치안협력 네트워크 기구인 지역치안협의회가 지역사회경찰활동이라는 세계적인 추세에 맞추어가기 위해서는 지역사회경찰활동의 핵심적 구성요소인 전략지향 경찰활동, 이웃지향 경찰활동, 문제지향 경찰활동, 그리고 경찰활동의 분권화라는 관점에서 다음과 같은 점을 개선하여야 할 것이다. 첫째, 지역치안협의회는 관계자 대부분이 지역사회의 기관장이나 단체장의 정기적인 친목 모임정도로 여기고 있는 실정이며, 지역사회의 범죄와 무질서를 통제하기 위한 지역사회의 종합적이고 체계적인 전략적 차원의 경찰활동은 수행되지 않고 있다. 이러한 점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정기적으로 지역치안전략을 수립하고, 이에 따라 참여 기관별 세부계획을 수립하여 정기적으로 진행사항을 점검하는 것이 필요하다. 한편 경찰과 지역사회의 원활한 치안협력을 위해서는 지역사회의 범죄와 무질서에 관한 전문적 식견이 있는 경찰관을 자치단체에 파견하고, 전국적인 지역치안전략 수립을 상담지원하고, 관련 공무원을 교육하며, 정보공유를 담당한 중앙단위의 전략지원팀의 설치가 필요하다. 둘째, 지역치안협의회 운영에 있어서 경찰과 지역주민과의 의사소통에 대해서는 관심이 없으며 지역주민들은 경찰활동에 참여하지 못하고 있는 등 이웃지향경찰활동이 수행되지 못하고 있다. 이러한 점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현재 관변단체장 위주의 협의위원에 지방의원이나 이ㆍ통장 등 지역주민을 대표하는 인사가 위촉될 수 있도록 개선하여야 하며, 중요한 사항에 대해서는 지역치안협의회에서 지역주민의 의견을 직접 청취하여 지역사회의 문제점을 공유하여야 한다. 셋째, 지역치안협의회는 지역사회에서 범죄와 무질서에 관한 문제점이 무엇인가를 파악하기 보다는 기관장의 치안활동이나 성과를 지역사회에 홍보하는데 치중하고 있어 문제지향 경찰활동이 수행되지 못하고 있다. 이러한 점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협의위원들이 순차적으로 소관업무에 관한 지역사회의 치안문제를 발굴하여 의견을 제시함으로써 회의진행을 실질화시킬 필요가 있다. 넷째, 지역치안협의회는 지역사회내 기관과 단체간의 네트워크 형성에만 치중하여 내부 직원에 대해서는 전통적인 경찰활동과 같이 공식적인 명령에 의한 준군대적 조직체계를 고수하고 있다. 그러나 지역치안협의회를 통한 지역사회경찰활동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경찰의 의사결정체계를 중간관리층에 위임함으로써 지역실정에 맞는 경찰활동을 수행할 필요가 있고 나아가 경찰활동을 수행하는 내부 경찰관의 직무만족도가 고려되어야 한다. 이와 같은 점이 보완된다면 지역치안협의회는 경찰과 지역사회의 협력방식에 의한 지역사회경찰활동의 핵심적 역할을 수행함으로써 지역주민들에게 범죄와 사고로부터 안전한 삶을 보장하는 중추적인 역할을 다할 수 있을 것이다. The police have traditionally played a role of preventing crime through patrol and maintaining public safety and order in society. However, many studies since 1970's indicated that the mere efforts of police cannot completely prevent crimes and the police started to cope with crimes and chaos in cooperation with community. An approach to prevent crimes in cooperation with community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policing is called community policing, which is recently presented as nation-wide community-based local security activities in Korea supported by multiple agencies. In this respect, 'Community Safety Committee' launched to establish law and order as well as infrastructure of public order with the participation of local council, educational institution, press, and private organizations, led by the police and local autonomous entities, with the advent of Lee Myung-Bak's administration in 2008. For community safety committee, an integrated security network of Korean societies, to be in international step with community policing, it is recommended to improve the followings within the framework of essential elements of community policing, including strategy-oriented policing, neighborhood-oriented policing, problem-oriented policing, and decentralization of policing. Firstly, most of the people concerned with community safety committee consider this meeting as a regular social gathering hosted by chief or head of local communities, and are not serving to integrated and systematic community policing to control crimes and disorder. Regular check up on the progress of community public safety plan by each participating agency is required to work on an improvement to the above issues. Meanwhile, it is imperative to dispatch police with professional knowledge in community crime and order to local governments, offer counseling service for establishment of community safety plan, train related public officials, and found central strategy team in charge of information sharing for successful cooperation between the police and community. Secondly, neighborhood-oriented policing is not in full operation due, in large part, to the little interest in communication between the police and local residents as well as the failure of local residents to participate in policing. Then the present consultative committee, mainly comprised of heads of aided organizations from government, is supposed to hire those who represent local residents such as town foreman, so that they could directly listen to the opinions of local residents at the community safety committee to share the problems of the community. Thirdly, community safety committee pays more attention to show off tangible results of chief of organization rather than to understand the problems of community crime and disorder, which leads to another failure to perform problem-oriented policing. Members of consultative committee will have to find out the loopholes of community safety in regular series to substantialize the meeting. Fourthly, community safety committee takes paramilitary form of organization led by official commands for internal employees, mainly focusing on networking local community for organization. However, it is indispensable to perform policing activities suited to local situations by delegating decision-making system of the police to middle management for revitalization of community policing through community safety committee, and then take internal police's level of job satisfaction into consideration. Provided that the above issues are settled down successfully, community safety committee will be able to promise local residents a high level of safety from crimes and accidents, serving to core roles of community policing based on cooperation between the police and community.

      • KCI등재

        문재인 정부의 광역단위 자치경찰제에 관한 고찰

        황문규 한국지방자치학회 2017 韓國地方自治學會報 Vol.29 No.4

        This paper explores what the local police system that the new government has set as a national task means, which direction should be introduced, and what challenges must be overcome to implement a successful local police system. The new government’s local police system should be done in a direction to improve the harm caused by centralized national police system. First, the local police system should actively respond to the demand for policing by various local residents. Second, the local police should be given the authority, organization and manpower corresponding to the ‘subject of the policing’ equal to the ‘national police’. Thus, the identity of the local police should be secured. Third, the local police system should be a direction to decentralize the centralized police organization so that it can respond to the demands of the decentralization oriented to the local government. Therefore, the current police system should be restructured. In other words, the current national police should be on the one hand divided into 17 local police forces that are efficiently responsible for local policing. On the other hand the national police should be restructured into a police system that enables quick and effective response to the demands of wide-area and transnational policing, focusing on functions such as investigation, information, security, and counter-terrorism. 이 글은 새 정부에서 국정과제로 설정한 ‘광역단위 자치경찰제’는 과연 무엇이며, 어떠한 방향으로 도입되어야 하는지, 그리고 성공적 자치경찰제의 실시를 위해 넘어야 할 과제는 무엇인지를 고찰하였다. 새 정부에서 추진하는 광역단위 자치경찰제는 적어도 자치경찰제를 도입하려는 이유를 해소하는 방향, 즉 중앙집권화된 일원적 국가경찰체제에 기인하는 폐해를 개선하는 방향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구체적으로 첫째, 자치경찰제는 지역마다 다른 다양한 지역주민의 치안수요에 적극 부응하여야 한다. 둘째, 자치경찰은 국가경찰과 대등한 ‘치안의 주체’로서 그에 상응하는 권한과 조직 및 인력이 주어져야한다. 그리하여 자치경찰의 정체성이 담보될 수 있어야 한다. 셋째, 자치경찰제는 연방제 수준의 지방정부를 지향하는 지방분권의 시대적 요구에 부응할 수 있도록 중앙집권화된 일원적 국가경찰조직과 경찰권을 분산하는 방향이어야 한다. 그에 따라 현행 경찰체제의 재구조화가 이루어져야 한다. 즉, 현 국가경찰을 17개 광역단위로 쪼개어 광역단위의 자치경찰이 지역적 치안을 담당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고, 국가경찰은 수사・정보・보안・대테러 등의 기능을 중심으로 광역적ㆍ초국가적 치안수요에 신속하고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게 하는 경찰체제로 재구조화되어야 한다.

      • KCI등재

        자치경찰의 민주적 통제를 위한 시도경찰위원회 구성 및 운영방안에 대한 제언

        박병욱 한국경찰법학회 2020 경찰법연구 Vol.18 No.2

        Korean police has had a dark history, mostly because of politcians like first president Syngman Rhee, who has abused the police power for a pursuit of political interest. So Korean police has been exploited improperly for manipulating the outcome of the election and intentionally surveilling the innocent people, who are then influential figures. Hence the political neutrality of Korean police has been debated. Even the Korean Constitution, which had been revised at 1960/6/15 had prescribed the political neutrality of Korean police as constitutional provision. In the near future korean police would be much stronger and more powerful because of benefit in return of reform of prosecution service and national intelligence service. Municipal police system is about to be implemented in the near future. At this very time, the political neutrality and independence of municipal police are significantly important. English tripartite system of municipal police could give Korea some guidance to follow, in that its police committee provides a representative character for local populations as well as substantive oversight and management function over municipal police under political neutrality. It is largely because it is an independent and specialized body which is composed of the elected local councillors of local parliament, magistrates of court and business representatives nominated by a central panel. We can also refer to Japan’s municipal police committee, which has stemmed from English triparite system, but is being “Japanized.” However we have to note that Japanese municipal police is considerably affected by the central government and the national police authority with minimum representativeness to local populations, although the municipal police is highly independent from its local government leader. Bills to introduce the Municipal Police in the 20th Assembly, especially Bill of Democratic Party of Korea is submitted after a great deal of discussions. However on the political system, where the executive branch and parliamentary branch is divided, so called “divided structure composition” of korean local autonomy the independent and substantive role of municipal police committee on the Bill of Democratic Party of Korea can not be realised easily. So we can refer to municipal police of English tripartite system in order to strengthen the weakness of the Bill, such as representativeness to local populations, independence and political neutrality. Through strengthening municipal police committee, municipal police itself could execute its own works in independent, fair and politically neutral way. It could definitely contribute to improving contentment of the local population for municipal police service. A divided structure on the level of local autonomy is principal based on Korean Local Government Act, not on Korean Constitution, especially in the domain of municipal police. So it is supposed that on the basis of Korean “divided structure composition” we can adopt English police committee system under tripartite system after due consideration. 주민대표성, 정치적 안배성, 전문성이 종합적으로 고려된 시도경찰위원회를 구성을 통하여 제왕적 광역자치단체장 및 중앙정부로부터의 독립성, 정치적 중립성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 이렇게 구성된 시도경찰위원회를 통하여 자치경찰의 정치적 중립성, 자치경찰사무의 일반행정 및 자치단체(장)으로부터의 독립성을 강화하여 그 공정성·형평성을 확보하여야 한다. 이와 같은 주민대표성의 요청을 적극 반영한 시도경찰위원회 구성 제안은 이제까지 우리 지방자치제도가 단체자치 (수직적 권력분립)에만 치중하여 정작 지방자치의 핵심인 풀뿌리 민주주의, 즉 참여민주주의를 등한히 한 부분을 보완할 수 있는 계기로 평가될 수 있을 것이다. 영국 삼원체제 경찰위원회 방식을 모델로 도입된 일본의 공안위원회제도는 도도부현 경찰본부의 지방자치단체장으로부터의 독립성 확보에는 성공하였지만, 주민참여적 요구는 충분히 반영하지 못하고 자치경찰에 대한 중앙정부의 관여가 너무 지나치다는 점이 일본식 자치경찰제도의 한계요소로 지적된다. 논문에서 영국식 자치경찰 삼원체계에 착안하여 시도 경찰위원회에 현직 지방의원이 참여하도록 제안하면서 정치적 안배를 하도록 한 것은 집행기관인 자치경찰의 시도지사로부터의 독립성 측면만 고려한 것이 아니라 주민대표성, 대의적 주민참여, 그리고, 자치경찰의 정치적 중립성 요구까지 반영한 것이다. 이런 제안이 현행 지방자치법상 기관분리 원칙에 정면으로 어긋나는 제안으로 평가될 수도 있겠지만, 지방자치제도가 도입된 이후 제왕적이라고까지 표현되는 지방자치단체장의 권한남용을 제대로 견제할 수단이 없었다는 점이 고려되어야 한다. 또한, 경찰의 광범위한 물리적·정보상의 집행권한, 기본권 침해적 사무특성, 최근 검찰개혁, 국정원 개혁 등의 반대급부로 경찰권의 비대화가 극적으로 우려되고 있다는 점도 고려 요소이다. 경찰의 정치적 중립성 요청은 한 때 헌법조문으로 명기되기도 하였으며, 80년대 후반에는 경찰공무원을 중심으로 경찰중립화를 선언하는 일까지 있었고, 현재까지도 경찰의 정치적 중립성은 경찰법 조항에 규정되어 있는바, 이런 점을 살펴보면 경찰의 정치적 중립은 국민들의 헌법적 요청으로 평가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현행 지방자치법상 기관분리의 원칙에 대한 어느 정도의 예외를 이루는 기관통합형 성격이 가미된 시도경찰위위원회 구성 및 운영방식을 경찰법 등 개별법에 규정하는 것은 전혀 불가능한 것은 아닐 것으로 생각된다.

      • KCI등재

        자치경찰제 도입의 법적 의미와 개선방향에 대한 고찰

        조병노 전남대학교 법학연구소 2021 법학논총 Vol.41 No.4

        The autonomous police system, which has been continuously discussed for 70 years since the enactment of the Government Organization Act in 1948, is in full operation only this year. The local autonomy prescribed in the Constitution is completed in general administration and education, followed by police, and some say that the autonomous police system is the final version of local autonomy. The autonomous police system has been discussed for the past few decades, and it is true that there are many matters to be reviewed such as the implementation of local autonomy guaranteed by the Constitution and the maintenance of stable security capacity of the national police in a rapidly changing security environment such as scientific, advanced, and internationalization of various crimes.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consider the trend of strengthening the national management and coordination function of security in response to environmental changes such as wide-area crime and large-scale security due to the development of science and technology such as traffic, communication, internet, and SNS in the United States, the United Kingdom, and Canada, which have been operating the autonomous police system for a long time. It is also related to this background that the evaluation of the current autonomous police system is crossing the pros and cons. Although there are many shortages and limitations in the position of emphasizing local autonomy, it should be considered that it is a realistic model of Korean autonomous police to maintain the security of the national police and to introduce the autonomous police system under the financial burden caused by Corona 19 and others. It is important that the autonomous police system, which has been created by discussing many factors in depth over a long period of time, should be now stable and developed step by step. A series of ‘self-governing police virtuous cycle process’ that establishes and enforces the security policy that fits the residents' will and local characteristics in the local field and evaluates the results and refines the security policy should be done between the autonomous police committee and the police. To this end, the autonomous police committee, which plays a pivotal role in the current model, should strengthen the expertise and capacity of security and expand the voluntary participation of residents in establishing and evaluating security policies. At the institutional level, it is only possible when the local government, autonomous police committee, and police agency closely cooperate on mutual trusts. There is no perfect system. In order to catch two rabbits, the ideology of local autonomy and stable security, it is considered that the best way to implement a better autonomous police system at present is to supplement the deficiencies while keeping the point of autonomous police activities only to the safety and welfare of local residents. 1948년 정부조직법 제정 당시부터 70여 년간 지속적으로 논의해온 자치경찰제가 올해서야 비로소 본격 시행되어 운영중에 있다. 헌법에 규정된 지방자치가 일반행정, 교육에 이어 경찰까지 외형적으로 완성되어 일각에서는 자치경찰제가 지방자치의 완결판이라고도 한다. 제도 출범을 위해 지난 수십 년간에 걸쳐 논의되었을 정도로 자치경찰제는 국민의 생명과 안전에 직결되는 중요한 사안을 다루고 있고, 각종 범죄의 과학화・첨단화・국제화 등 급변하는 치안환경 속에서 헌법이 보장하는 지방자치 구현과 국가경찰의 안정된 치안역량 유지 등 검토사항이 많은 것이 사실이다. 또한, 자치경찰제를 오래전부터 운영해왔던 미국, 영국, 케나다 등에서 교통・통신 및 인터넷・SNS 등 과학기술의 발달로 인한 광역범죄, 대규모 치안사태 등 환경 변화에 대응하여 치안에 대한 국가의 관리와 조정기능을 강화하는 추세를 고려할 필요도 있다. 현행 자치경찰제도에 대한 평가가 찬반이 교차되고 있는 것도 이러한 배경과 관련되어 있다고 본다. 지방자치를 중시하는 입장에서는 부족함과 한계가 있을 수 있지만 국가경찰의 치안력을 유지하고 코로나19 등에 기인한 재정적 부담 속에서 자치경찰제도를 도입하기 위한 한국형 자치경찰의 현실적 모델임을 감안하여야 한다. 그간 오랜기간에 걸쳐 많은 고려 요인을 심도있게 논의하여 만들어진 자치경찰제도가 이제는 안정적으로 정착하여 발전해 나가는 것이 중요하다. 지역 현장에서 주민의 의사와 지역 특성에 맞는 치안정책이 수립되고 이를 집행하고 그 결과를 평가해서 치안정책을 다듬어가는 일련의 ‘자치경찰 선순환 과정’이 자치경찰위원회와 경찰사이에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해 현행 모델에서 중추역할을 수행하는 자치경찰위원회가 치안전문성과 역량을 강화하고 치안 정책 수립과 평가에 주민의 자발적 참여를 확대해 나가야 한다. 기관차원에서는 시・도, 자치경찰위원회, 경찰기관이 상호 신뢰를 바탕으로 긴밀히 협의해나갈 때만이 가능하다. 완벽한 제도는 존재하지 않는다. 지방자치의 이념과 안정된 치안유지라는 두 마리 토끼를 잡기 위해 자치경찰 활동의 방점을 오로지 지역 주민의 안전과 복리증진에 두면서 부족한 부분을 보완해 가는 것이 현재로서는 보다 나은 자치경찰제 구현을 위한 최선의 방안이라고 본다.

      • KCI등재

        자치경찰 법제도의 문제점 및 시사점 연구

        홍성삼 가천대학교 법학연구소 2021 가천법학 Vol.14 No.3

        우리나라는 오랫동안 국가경찰체제를 유지해 왔으며, 자치경찰에 대한 요구도 상당기간 지속적으로 제기되어 왔다. 자치분권과 지방자치를 실질화하기 위해 2021년부터 한국에 자치경찰제도가 도입되었다. 이 논문은 2021년부터 시행되는 자치경찰 법제도를 자치분권, 조직구 성의 민주성과 이를 보장하기 위한 주민의 진정한 참여와 통제의 실현, 자치경찰의 효율적 운영을 통해 풀뿌리 주민 자치경찰제도의 실현이라는 관점에서 평가하고 문제점을 분석하였다. 국가경찰과 자치경찰의 조직 및 운영에 관한 법률에 규정된 자치경찰 관련 조항들을 종합적으로 연계하여 살펴보았으며, 개정된 경찰법의 내용을 평가하고 문제점을 도출하였으며 개선을 위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자치경찰의 사무 배분을 통해 분권화 정도를 분석해 볼 때 자치경찰의 분권화는 매우 미흡한 실정이다. 국가경찰에 의한 자치경찰 사무 집행, 국가경찰과 자치경찰 사무의 중복 및 충돌 우려, 국가경찰의 자치경찰에 대한 관리 감독 문제 등도 도출되었다. 자치경찰위원회의 민주성, 독립성, 인권존중 등은 평가할 만하며, 자치경찰의 신분보장 및 정치적 중립도 보장되고 있지만 자치경찰위원의 자격을 강화할 필요성도 제기되었다. 전체적으로 자치경찰제 시작이라는 역사적 의미는 크지만, 시작 단계에 불과하고 향후 자치분권의 확대, 국가와 자치경찰의 협력 및 자치경 찰권에 대한 국가통제의 완화, 정치적 중립의 확보가 장기적으로 추진되어야 자치경찰의 위상을 찾아갈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Korea has maintained National Police Agency system from the beginning of the Korean national government in 1948. However, there have been lots of needs to adopt local autonomous police systems for local government autonomy and enhancing the local police responses against the crimes and police services for the people. Eventually, from the July of year 2021, Korea launched local autonomy of the police. This thesis analyzed the legal systems of the Korean Local Autonomy Police and abstracted several policy implications for the advanced local autonomous policing. For this purpose, this thesis focused on the legal provisions of the Police Law of Korea National Police and Local Autonomy Police, in short, the Police Law of Korea. The autonomy range of the Local Police is the most important aspect of the Autonomy of the Local Police. Decentralization of the highly centralized and authoritative Korean National Police was a big issue, because of the national police has been very reluctant to respond to the demands of the local people. The result of the analysis shows a very narrow range of autonomy of the Local Police. The legal powers of the local police’s investigations for the crime incidents are restricted. Local Police has powers to investigate only several small crimes occurred in the mid level province. The committee of the Local Autonomy Police should be established in the local great city and province. The selection of the members of the committee is important affairs, because the committee controls the Local Autonomy Police. In the Police law, status of members are ensured. However, the qualification of the members needs to be classified more highly to guarantee profession of the committee. The National Police’s administrative and investigation procedure controlling over the Local Autonomy Police, analyzed on the basis of provisions of the Police Law, is too severe to be called as autonomous police system. National police Agency Chief has the special power to direct the local autonomy police. As a result, the autonomy level of the Local Autonomy Police is assessed as poor as it could not be called as a really autonomous police system. The achievement of recent Police Law’s adoption of the Local autonomy Police is just a start to be a decentralizing process of Korean Police. If we desire a fully autonomous local police system and highly responsive local police services, our police law needs some revisions to permit more autonomy and police investigation powers on the local autonomous police.

      • KCI등재

        자치경찰제 도입방안에 관한 연구

        유인창(Yoo In-Chang) 한국법학회 2004 법학연구 Vol.17 No.-

        In order to surmount the problems expected of an autonomous police system, it is deemed necessary to establish a command system for coordination and cooperation between national and local polices, and simultaneously, assure the police of independent investigation activities and enhance the quality of policemen, In addition, because there may be some differences of authority, responsibility and budget between local self-governing administrations and local autonomous police, there may arise some conflict between them. Moreover, as it is feared that local politicians interventions in local police may increase, the relationship between both parties needs to be determined deary, In consideration of professionalism of the police, metropolitan and provincial police administrators should be nominated by the central police administrator to be appointed by municipal or provincial police committees, and the metropolitan and provincial police administrators should be authorized to appoint the superintendents of police stations. Of course, municipal or provincial police committees should be mandated to check municipal or provincial councils in favor of local police administrators. In addition, it is also necessary to reasonably divide the authority between national and local polices, promote cooperation between them, encourage people's control and participation and establish a horizontal cooperative relationship between prosecutors and police. Lastly, it is hoped that a local autonomous and police system will be established earlier.

      • KCI등재후보

        일원화 자치경찰의 과제와 나아갈 방향에 관한 연구

        성수영,김상운 글로벌지식융합학회 2021 지식융합연구 Vol.4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ek a stable system settlement ahead of the full implementation of the metropolitan autonomous police system on July 1, 2021. Founded in 1948 with the establishment of the government, the Korean National Police Agency has consistently raised the need to introduce a self-governing police system as a way to secure political neutrality. The problem is that the government's push for full implementation of the autonomous police system has ended about 75 years of debate and laid the foundation for a complete local government. Since the implementation of the local government system in 1991, the local police system has been canceled due to various reasons, but it is not a fully dualized model of autonomous police. Each local government, which has been prepared for the enactment of the ordinance and the formation of a local police committee, will conduct a trial by June 30 and will be fully implemented in 17 metropolitan cities and provinces nationwide from July 1. The purpose of introducing a self-governing police system shall be to secure the connection between local administration and security administration and provide security services suitable for regional characteristics, and the self-governing police shall be implemented to meet the specificity and autonomy of the area. Prior to the full implementation of the self-governing police, various problems that arise through pilot implementation must be found and solved well to establish a stable self-governing police system. Above all, it is important to establish a stable system of citizen-centered police administration. As the autonomous police committee is an independent and neutral administrative agency, it should be an urgent issue to drive both the city and provincial governors and the city and provincial police agencies to establish a stable settlement of the system so that citizens-centered autonomous police administration can take place. 본 연구는 2021년 7월 1일 광역단위 자치경찰제 전면 시행을 앞두고, 안정적인 제도정착을 모색하기 위함을 목적으로 한다. 1948년 정부수립과 더불어 창설한 대 한민국 국립경찰은 정치적 중립성을 확보하기 위한 방안으로 자치경찰제 도입의 필요성을 꾸준히 제기되어 왔다. 문제인 정부에서 자치경찰제의 전면시행을 추진 하게 됨으로써 약 75년간 이어져온 논쟁을 끝내고 완전한 지방자치제의 기틀을 마 련하게 되었다는 것에 큰 의미가 있다. 1991년 지방자치제도 시행 이후 여러 정권에서 자치경찰제 추진이 여러 가지 이유로 무산되고 말았으나, 비록 완전한 이원화 모델의 자치경찰은 아니지만 수많 은 우여곡절 끝에 2021년 7월 1일부터 전국 광역단위 자치경찰제 전면시행으로 대 한민국에 역사적인 자치경찰 시대를 열게 되었다. 조례제정 및 자치경찰위원회 구 성 등 준비가 완료된 자치단체별로 6월 30일까지 시범실시를 거쳐 7월 1일부터는 전국 17개 광역시·도에서 동시에 전면시행을 하게 된다. 자치경찰제 도입취지는 지방행정과 치안행정의 연계성을 확보하고 지역특성 에 적합한 치안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도입되어야 하며, 자치경찰은 국가의 순 기능을 보장하면서 지방분권이라는 자치성에 입각하여 그 지역의 특수성과 자율 성을 충족시키는 차원에서 실시되어야 한다. 자치경찰 전면시행을 앞두고 시범실시를 통해 발생하는 다양한 문제점을 발 견하고 해결과제를 잘 풀어나가야 안정적인 자치경찰제를 정착시켜 나갈 수 있다. 무엇보다 시민중심 경찰행정의 안정적 제도를 안착시키는 것이 중요하다. 자치경찰위원회는 독립적·중립적 합의제 행정기관인 만큼 시·도지사와 시·도경찰청의 양 기관을 잘 견인해서 시민이 중심이 되는 자치경찰행정이 이루 어지도록 제도의 안정적 정착화를 이루는 것이 시급한 현안으로 삼아야 한다. 아울러 경찰청에서는 지역치안을 담당하는 지구대·파출소를 자치경찰제도 본연의 취지에 맞도록 생활안전과로 소속을 변경하여 지역주민을 위한 민생치안 활동에 전념할 수 있도록 개선 해 나가야 하며, 지역특성에 맞는 자치경찰제를 성 공시키기 위해서는 정부의 적극적인 재정적 지원과 지속적인 관심이 뒷받침 되어 야 할 것이다.

      • KCI등재

        미군정기 남조선과도입법의원의 지방자치조직법안 논의과정과 성격

        손연하 한국근현대사학회 2020 한국 근현대사 연구 Vol.95 No.-

        지방자치는 민주주의의 필수적 구성요소로서 독자적인 가치를 가진다. 지방은정치적 참여가 용이한 소규모 정치 단위로 지방 단위에서 진정한 시민들의 정치참여가 실현될 수 있다. 남조선과도입법의원에서는 행정권 이양을 준비하는 과정에서국가 헌정을 구상하는 기본법으로 지방자치조직법을 제정하고자 하였다. 입법의원에서는 내무경찰위원회와 법제사법위원회가 지방자치제도의 도입을 둘러싸고 각축하였다. 내무경찰위원회는 민의를 반영한 통일 정부를 수립하기 위한방법으로 지방자치제를 고안하였다. 국민주권이라는 민주주의 원리 속에서 지방자치를 이해하고 국민의 의사를 반영시키는 방법으로 지방자치제를 제시한 것으로이해할 수 있다. 반면 법제사법위원회는 지방의 공공문제를 자주적으로 처리할 수 있는 권한과지역의 행정을 담당할 수 있는 처리 능력을 중시하며 법률적 의미의 지방자치를 시행할 것을 주장하였다. 그러나 법제사법위원회는 지방자치의 필요를 주창하기보다 법안을 심사하기 위한 과정에서 지방자치제도를 접한 경우로, 기존 지방제도안에서 지방자치의 형태를 찾고, 그 범위 내에서 지방자치를 규정하고자 하여 일제강점기 지방제도의 내용을 상당 부분 차용하고 있었다. 주민자치와 단체자치는 서로 대립하는 개념이 아니라 자치의 두 측면으로 상호보완적인 관계에서 발전해야 한다. 그러나 해방 정국에서 두 위원회는 자치의 근본이념을 두고 이견을 좁히지 못하였다. 이는 일제 강점을 거치며 왜곡되어온 한국 지방자치의 역사적 특성과 관련하여 이해할 수 있다. 지방자치에 대한 논의는 좌우 대립과남한만의 단독선거라는 급변하는 정세 속에서 충분한 논의가 이루어지지 못한 채입법의원에서 다수를 점하고 있던 우익세력의 영향으로 법제사법위원회 안을 토대로 정리되었다. 입법의원에서의 논의는 이후 제헌헌법에서 지방자치를 정의하는기본 틀을 제시하였다. Local autonomy has its own value as an essential component of democracy. Local governments are small political units that are easy to engage in politics, and real citizens’ participation in politics can be realized in the provinces. The principle of handling the affairs of one’s own region is a demand based on the most basic principles of democracy, and local autonomy is the best realistic political system that can realize popular sovereignty. The South Korean Interim Legal Assembly intended to establish the Local Government Act as the fundamental law that envisions the constitutional government in preparing for the transfer of administrative power. The situation in 1945 was a time when all possibilities of government form, power, and state system were open in the newly established political system of government. At the South Korean Interim Legal Assembly, the Home Affair and Police Committee and the Legal and Jurisdiction Committee contested the introduction of the local autonomy system. The Home Affair and Police Committee devised the local autonomy system as a way to establish the unified government that reflects the will of the people. It argued that the government-established route, which was focused on cooperation of political power, should be turned into a popular movement and decided to rule ‘by a majority system based on the principle of democracy, based on local autonomy’. The existing government-established route was to determine the nation’s system through consensus of political power and the public followed it, but the public emerged as the main body of political system decisions through the Local Autonomy Act. This can be understood as a way to understand local autonomy in the democratic principle of popular sovereignty and to suggest local autonomy as a way to reflect the will of the people. On the other hand, Legislation and Judicial Committee emphasized the authority to handle local public affairs independently and the ability to handle local administration and insisted on implementing local autonomy in the legal sense. Legislation and Judicial Committee encountered the local autonomy system in the process of examining the bill, sought form of local autonomy within the existing local system, and tried to define local autonomy within its scope. Discussions on local autonomy were organized based on the Legislation and Judiciary Committee’s proposal under the influence of right-wing forces, which had a majority in the South Korean Interim Legal Assembly without sufficient discussion amid the rapidly changing situation of confrontation between the left and the right and the separated election in South Korea. Although the Local Government Act was not passed as a bill, the basic framework of local autonomy agreed at that time had a significant impact on the enactment of the Constitution.

      • KCI등재

        통합형 자치경찰제도 도입에 관한 연구

        이영남 한국경찰연구학회 2016 한국경찰연구 Vol.15 No.4

        현 정부의 자치경찰제 도입 기본방향을 보면 기초자치단체에 자치경찰제를 도입한다고 정하고 소규모 시·군·구 등은 필요시 인근 기초자치단체와 통합가능하고 일차적으로 시범실시를 하고 난 후, 지역여건 등을 감안하여 자치단체들이 자치경찰제 실시 여부를 자율적으로 결정한다는 기본 방향을 정하고 있다. 그러나 본 연구는 자치경찰법안이 국회를 통과하여 확정되기 전까지는 다양한 자치경찰모형에 대한 논의가 활발하게 이루어져야 한다는 점에서, 또한 대한민국 국민의 안전을 책임을 질 수 있는 더 나은 효율적인 경찰제도가 확립되어야 한다는 점에서 통합형 자치경찰제도의 정립방안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통합형 자치경찰제도는 자치경찰제도의 절충형으로서 중앙과 지방을 분리하고 경찰체제를 국가와 자치경찰이 통합형으로 운영하는 제도를 말한다. 본 연구는 자치행정권에서 자치조직권, 자치재정권, 자치운영권을 중심으로 현 정부의 자치경찰안과 대비해서 살펴본 결과, 통합형 자치경찰제도가 합리적이라는 연구결론에 도달하였다, 따라서 이러한 자치행정권에 근거하여 통합형 자치경찰제도의 정립방향을 구체적으로 제시하고자 하였다. If you look at the direction of the local police of the current Government introduces basic foundation set that introduced the communal authorities, the police and military, need, such as a small city based upon Governments and nine unified and regional circumstances, such as after a trial conducted by the Governments that decide autonomously basic direction. However, this study confirms the local police passed by the National Assembly a bill until a discussion on a variety of municipal police model must be actively responsible for the safety of the people of Korea, but also in that it can be better integrated in the sense that Governments should establish an efficient police system in the formulation of measures to present to the police. An integrated system of local police of the local police Central into the mold and remove the fat crossover and a system of State and municipal police to operate as an integrated system, police say. This research is an autonomous organization, autonomy in autonomous row regime re regime, autonomous operation centered on the County Government's local police custody inside and as a result, the integrated municipal police system is shown in that study had come to the conclusion that, as a result, these autonomous integrated on the basis of the local police of the regime of rows formulations specifically to provide direc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