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태아의 생명보호에 관한 헌법적 고찰

        표명환(Pyo, Myoung-Hwan) 한국토지공법학회 2010 土地公法硏究 Vol.51 No.-

        본고는 태아의 생명보호에 관한 헌법적 제문제를 중심으로 전개하였다. 헌법상 보장된 권리로서 생명권은 헌법상 예정하고 있는 모든 인간의 권리로서 인정되고 있다. 나아가 인간형성의 발전단계에 있는 태아의 주체성 또한 일반적으로 인정하고 있다. 따라서 헌법 제10조 제2문에 따라 국가는 태아의 생명권을 보호할 의무를 진다. 생명권의 주체로서 태아 의 보호와 관련하여 형법은 낙태를 원칙적으로 금지하는 규정을 두고 있다. 형법의 낙태에 관한 죄의 규정은 태아의 생명보호를 보호법익으로 하고 임신부의 자기결정권을 부차적인 것으로 하는 태아를 위한 보호입법으로서의 성질을 가진다. 그러한 점에서 형법의 낙태죄 규정은 기본권제한측면에서가 아니라 기본권보호입법의 관점에서 헌법적 정당성이 심사된다. 이와 달리 모자보건법 제14조의 인공임신중절허용의 한계 규정은 임신부의 보호규정으로서의 의미 뿐만 아니라 다른 한편 태아의 생명보호라는 의미를 가진다. 그러나 모자보건법 제14조의 인공임신중절의 허용사유는 태아의 생명권을 제한하는 성질을 더욱 강하게 내포하고 있다. 그러한 점에서 모자보건법 제14조의 헌법적 심사는 기본권제한법률의 심사기준으로서 과잉금지의 원칙 및 명확성의 원칙 등이 적용된다. 본고에서는 생명의 차등적 취급을 규정하고 있는 보호입법으로서 형법의 낙태죄규정에 관하여는 기본권보호의무이론 및 인간형성 단계에서의 생명가치에 대한 차별적 취급의 헌법적 가능성을 제시하면서 헌법적 정당성을 도출하였다. 그러나 모자보건법 제14조의 인공임신중절의 허용한계규정과 관련한 적응사유에 대하여는 명확성의 원칙 및 과잉금지의 원칙 등을 적용하여 그 문제점을 제시하고 새로운 입법방향을 제시하였다. 또한 본고에서는 기한사유를 규정하고 있는 모자보건법 시행령 제15조와 관련한 태아의 생명보호에 대한 헌법적 문제를 제시하면서 적응사유별로 다른 기한사유를 규정할 것을 제시하였다. This paper described laying stress on constitutional several problems about the protection of an unborn child's life protection. The right to life as constitutional right is acknowledging as the right of all humans. Furthermore, the basic right to life of an unborn chid, who is in development stage of formation of human, is admitted. Therefore, the state takes duty to protect the right to life of an unborn chid according to sentence 2 of Art. 10 of Constitutional law. In concerning of the protection of an unborn child, who is the subject of the right to life, Criminal law keeps a regulation that prohibits abortion in principle. Regulation of crime about abortion has characters which are as benefit and protection of an unborn child's life and legislative protection law for an unborn child in pregnant's secondary self-determination. So, regulation of illegal abortion on criminal is judged from not viewpoint of restriction of nature right but the legislative protection law of nature right. In contrast, regulation of restricted permission of induced abortion on Art. 14 of Mother and Child Health Law has meanings which are as a pregnant's protective regulation as well as protection of unborn child's life. However, the reason of regulation of permission of induced abortion on Art . 14 of Mother and Child Health Law involves character restricting of right to an unborn child's life more strongly. On that score, examination of constitutional justice on Art. 14 of Mother and Child Health Law is applied the anti-overrestriction principle and the principle of definiteness as a screening of restrictive act of nature rights. In this paper, I have drawn constitutional justice with showing constitutional possibility of discriminative treatment about life's value on stage of forming human and theory of protection of required nature rights on regulation of criminal abortion on Criminal law as a legislative protection law enacting graded treatment of life. But, about regulation of restricted permission of induced abortion on Art. 14 of Mother and Child Health Law, this paper showed that problem and presented direction of new legislation, applying the antioverrestriction principle and the principle of definiteness. Also, this paper suggested regulating another reason of deadline showing constitutional problems about protection of an unborn child's life related to Art. 15 of Mother and Child Health Law which enacts the reason of deadline.

      • KCI등재후보

        종교적 이유로 인한 수혈 거부시 자기결정권과 망인의 생명간의 비교형량 접근방법에 대한 비판적 검토 - 대판 2014.6.26, 2009도14407 판례 평석 -

        주지홍 전북대학교 동북아법연구소 2014 동북아법연구 Vol.8 No.2

        여호와의 증인의 수혈거부의사표시에 따라 수술도중 위험에 처한 환자에 대해 수혈을 하지 못하게 되었고 결국 상황이 악화되어 환자가 사망하게 되자 의사가 업무상과실치사혐의로 소송을 제기당한 사례이다. 1심과 2심 모두 담당의사가 환자의 치료방법 선택에 따라 수술과정에서 타가수혈을 하지 않은 행위는 위법성이 없다고 판단하였고, 업무상과실치사 공소사실이 범죄의 증명이 없거나 범죄로 되지 않는 경우에 해당한다고 보았다. 이에 대해 대판은 원심의 판단 이유 중에서, 환자의 자기결정권 행사가 의사의 일반적인 의무, 즉 국가의 생명권 보호의무에 기초를 두고 있는 환자의 생명을 구할 의무 등과 직접 충돌하는 상황이 발생할 경우에는 원칙적으로 자기결정권의 행사를 의사의 의무보다 우위에 두어야 한다는 취지로 설시한 부분은 적절하다고 할 수 없다고 비판하였다. 그 이유는 자기결정권의 행사가 유효하다고 하더라도 특별한 사정이 있는 예외적인 경우에 한하여 생명과 대등한 가치를 가지는 것으로 평가된다고 보았다. 다만 원심판단의 논거가 수혈 거부에 대한 환자의 자기결정권 행사에 따른 의사의 진료의무에 관한 법리에 상응하는 것으로 수긍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사정들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보면, 이 사건에서 환자의 생명과 자기결정권을 비교형량하기 어려운 특별한 사정이 있으므로, 타가수혈하지 아니한 사정만을 가지고 담당의사가 의사로서 진료상의 주의의무를 다하지 아니하였다고 할 수 없다고 보아 업무상과실치사죄를 부정한 1심과 원심판단을 지지하였다. This is the case for Jehovah’s Witness patient’s refusal of blood transfusion. During the surgery, the doctor could not do the blood transfusion timely due to patient’s strong will and therefore the patient died. The doctor was prosecuted by a charge of professional negligence resulting in death. He was sentenced not guilty both in trial and appellate court due to lack of illegality since the doctor treated the patient by the way of patient’s choice. However, the Supreme Court criticized the reasoning of trial and appellate court. The Supreme Court finds that patient’s self-determination right is not necessarily superior to the protecting life duty of the doctor in which the patient self-determination act brings conflict with the protecting life duty of the doctor based on the nation’s duty of protection of life. The Supreme Court finds that the self- determination act is legal only when that act can be evaluated equal to life. If a self-determination act cannot be evaluated as equal to life, or can be evaluated below the life, the act should not have binding effect to the doctor. In this case, the Supreme Court might think that the main issue should be which value is more superior between “the self-determination right by a patient” and “protecting life duty by a doctor” when a Jehovah’s Witness patient reveals his intention of refusal of blood transfusion. When these two conflicting values are compared, the former is not always superior to the latter. The former is equal to the latter only when special conditions are met. Only in this special exceptional case, the doctor can be exempted from the duty of protecting life and he can choose any proper treatment by using his professional discretion. However, I think, the main issue here in this case is not comparing two conflicting values but judging whether a patient’s specific self-determination act steps over the limit of a fundamental right exercise. The Supreme Court should give clear and definite guidelines to avoid confusion but it didn’t. The court demands 3 safety measures to protect life. First, the doctor should warn the patient the risk of specific treatment and treat the patient with due care. The patient’s will of specific treatment is allowed only if the life threatening risk becomes not real. If the life threatening risk becomes real, the things are changed. The patient’s will is no more effective. Second, if the risk becomes real and the life threatening situations happens, then the doctor should reconfirm the patient’s will. If the patient become unconscious, the doctor ask the family’s intention and decide what the best choice is given the patient’s supposed intention, the family’s intention and other circumstances. In this stage, the doctor should evaluate which value is more superior between self- determination right and duty of protecting life. The doctor should respect the patient’s will only if the former is equal to the latter. Third, the court judge the final answer when the dispute appears between the patient and the doctor. Even though the doctor evaluate the self-determination right is equal to the duty of protecting life and treat the patient according to his judge, he can be prosecuted later if the court judged the situation differently. I think the Supreme Court’s 3 stage safety measures are making only chaos in reality. It’s not necessary to demand the doctor again to consider his duty of protection of life in 2nd stage. Since the protection of life is already considered in the first stage, the doctor need not reconsider his duty of protection of life in 2nd stage. If the patient’s specific will is regarded passing the limit of the fundamental right exercise, then the doctor doesn’t have to respect the patient’s illegal will and can do proper treatment what he think. The court should judge whether a patient’s specific refusal of treatment due to religious reasons pass the limit of fundamental right exercise. If the act is within the limit, then the doctor should respect the patient’s will and do exactly what he wants to do in his treatment. If the act is regarded passing the limit, then the doctor doesn’t have to respect the patient’s will.

      • KCI등재후보

        생명문화지수, 누구에게 무엇을 말할 것인가?

        이승원(Lee, Seoung-won) 서강대학교 생명문화연구소 2010 생명연구 Vol.18 No.-

        반(反)생명'으로 정의될 수 있는 이 죽음의 위기를 극복하기 위한 가장 기본적인 출발점은 공동체 내에 속한 개개인 의 고통이 구성원들 상호 간에 서로 소통될 수 있는 나름의 지표(indicator)를 설정하는 것이다. 이 글은 '생명문화지수' 라는 지적 작업의 필요성을 제기하기 위해 작성되었다. 특히 이 글은 '생명문화지수'가 공동체 유지의 기본적 원칙이 되는 다양한 가치, 그리고 그 가치들을 중심으로 형성된 다양한 제도와 의식들을 반성하고, 그것들이 가지는 '반생명'적 경향성을 극복함과 동시에 '친생명'적 공동체의 생활양식을 새롭게 구성할 수 있을 것이라 주장한다. 생명문화지수는 첫째, 공동체의 합의틀과 질서가 언제나 구성원들의 생명보호라는 기본적인 목적에 부합하도록 견제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둘째, 생명문화지수는 공동체가 형성될 당시 사용되었던 지적 능력이 생명에 대해 상대적으로 협소하 거나 차별적인 인식을 만들었을 경우, 그것을 재검토하고 보다 친생명적으로 전환시킬 수 있는 단초를 제공할 수 있다. 이 글은 '고통관리(반생명성/친생명성)'와 '생명보호(자원접근성/연대성)'이라는 생명문화의 두 원칙을 제시하면서 사회 및 제도 차원에서의 생명문화의 수준을 파악할 것을 제시한다. To overcome the crisis of life defined as 'anti-life', the basic start point can be to set up an indicator helping understand other members' pain and make a better communication among all members in certain community. This article aims to suggest the necessity of an intellectual work on 'the life culture index'. In particular, this article argues that 'the life culture index' can guide us 1) to reflect key values of maintenance of a community and various institutions and ideologies based on those key values, 2) to overcome a tendency of 'anti-life' remained in those values, institutions and ideologies, 3) to reconstruct a new mode of a 'pro-life community'. In this sense, the life culture index has two crucial aims. The one is to check how agreement systems and orders of a certain community are well-balanced and satisfying the basic purpose of the protection of life for all members. The other is to re-examine the intellectual level and tendency of human consciousness toward life. In conclusion, this article proposes the principle of management of pain(anti-life/pro-life) and the principle of protection of life(capability of recourse approach/solidarity) as two principles of the life culture.

      • KCI등재

        생명보호 법정책의 현재

        최민영 이화여자대학교 생명의료법연구소 2024 생명윤리정책연구 Vol.17 No.2

        본 글은 2000년 전후로 지난 25여 년간 한국의 법과 정책이 생명을 어떻게 보호했는지를 정리하고 조명하는 의미가 있다. 각 생명 영역, 즉 배아, 태아, 영아, 자살, 안락사, 장기이식에서볼 수 있는 25여 년간 한국의 법제, 판례, 학문적 연구 성과들을 개괄적으로 논의함으로써 생명보호에 있어 괄목할 만한 변화와 성장을 보인 법정책의 시의성을 복원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서우선, 생명보호를 둘러싼 논쟁의 구도를 확인하고, 2000년 이후로 한국 사회에서 가장 중요한 생명 관련 입법이었던 생명윤리법의 발달사와 제정배경을 간략하게 개관한 이후, 각각의 생명보호영역에서의 입법논의, 중요판례, 학문적 연구 성과들을 정리한다. 결론적으로, 우리 법정책은 각생명 관련 영역에서 그동안 완전한 금지도, 완전한 허용도 아닌 견해를 밝혀왔다. 즉, 기본적으로각 생명이 보호되어야 한다는 원칙을 견지하고 있지만, 때에 따라서는 이에 대해 유연한 태도를보이기도 한다. 생명보호의 문제는 개인의 가치관의 차이와 다양한 이해관계에 따라 첨예한 갈등이 수반되는 만큼, 구성원 간의 합의 도출을 위한 절차의 마련이 무엇보다도 중요하다. 덧붙여서생명보호와 관련된 법정책적 논의에는 우리 문화에 고유한 논쟁의 요소가 보이는 만큼, 다양한현실의 층위를 고려한 정책적 결단도 요구된다. This article intends to organize and shed light on how Korean laws and policies have protected life over the past 25 years since around 2000. By broadly discussing 25 years of Korean legislation, precedents, and academic research results in each area of life, that is, embryos, fetuses, infants, suicide, euthanasia, and organ transplantation, we seek to restore the timeliness of the legal policy. To this end, we first confirm the structure of the debate surrounding life protection, briefly overview the development history and enactment background of the Bioethics Act, which has been the most important life-related legislation in Korean society since 2000. Then we introduce and summarize legislation discussions, important precedents, and academic research results in each area of life protection. In conclusion, our legal policy has taken a position of neither complete prohibition nor complete permission in each life-related area. In other words, it basically adheres to the principle that each life must be protected, but in some cases it shows a flexible attitude toward this. As the issue of life protection involves sharp conflicts due to differences in individual values and various interests, it is most important to establish procedures for reaching agreement among society members. In addition, as legal policy discussions related to life protection show elements of controversy unique to our culture, policy decisions that take into account various layers of reality are also required.

      • KCI우수등재

        인간의 존엄, 생명권 그리고 연명의료

        이석배 한국형사법학회 2019 刑事法硏究 Vol.31 No.3

        The theme of "the Terminating Meaningless Life-Sustaining Treatment," which has not been discussed in Korea, came to the attention of the public, starting with the Boramae-Hospital case in 1998. However, the Boramae-Hospital case, which sparked the nation's discussion of a ‘life-long-term medical suspension,’ was not an event to be discussed in the category of life-long-term medical suspension, according to the court's confirmation. Then in 2009, a new discussion was triggered in the Severance-Hospital case, a representative case related to the suspension of life-long medical care. Several legislative bills were proposed as a result of this case, also the Korean Medical Association, Korean Academy of Medical Sciences and the Korean Hospital Association jointly prepared ‘Guidelines on Stopping Life-Treatment’ on October 1, 2009 to develop common opinions and standards in the medical community. Th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then operated a social consensus for the legalization of life-long medical suspension from December 2009 to June 2010. The 3rd National Bioethics Committee organized and operated the 'Special Committee for Discussion on the institutionalization of the discontinuation of meaningless life care' on December 28, 2012 until May 27, 2013, which deliberated and submitted its recommendations on life care decisions. In particular, the Special Committee recommended the enactment of a special law, and several lawmakers' legal and discussion sessions were held, and the revised bill on the health and welfare committee's alternative was passed at the plenary session on January 8, 2016 and "Act on the Determination of patient's life span in the hospice, palliative care and dying process" was enacted. Untill, the interpretation of human dignity, self-determination, the duty of the nation to protect life, and the right to life was most important. So far, the core of the interpretation that our Supreme Court and the Constitutional Court have shown is that the so-called "life-determination" is a biological basis for maintaining a dignified human status as all fundamental subjects, so that even if a patient refuses treatment, he should not stop treatment if it is against the patient's will. It is also understood by the medical community that forced treatment is required even if the patient refuses. This position is understood to be aimed at protecting the lives of citizens from a patronizing point of view. If so, we have reviewed whether such patronizing life protection can be justified under our current Constitution through the concepts of human dignity, self-determination, and right to life. 우리나라에서 특별한 논의가 없었던 ‘연명의료중단’이라는 주제는 1998년 보라매병원 사건을 시작으로 세간의 관심을 받게 되었다. 하지만 정작 우리나라에 ‘연명의료중단’이라는 논의를 촉발시킨 보라매병원 사건은, 법원이 확정한 사실관계에 따르면 ‘연명의료중단’이라는 범주에서 논의될 사건이 아니었다. 그 후 2009년 연명의료중단과 관련된 대표적인 사례인 세브란스병원사건에서 새롭게 논의가 촉발되었다. 이 사건의 영향으로 여러 법률안이 발의되었고, 의료계는 의료계의 공통된 의견과 기준을 마련하기 위해 대한의사협회, 대한의학회, 대한병원협회가 공동으로 2009년 10월 1일 “연명치료중지에 관한 지침”을 마련하였다. 이어 보건복지부는 연명의료중단의 법제화를 위한 사회적 합의체를 2009년 12월부터 2010년 6월까지 운영하였다. 제3기 국가생명윤리심의위원회는 ‘무의미한 연명치료 중단 제도화 논의를 위한 특별위원회’를 2012년 12월 28일 구성하여 2013년 5월 27일까지 운영하였는데, 이 특별위원회는 연명의료결정에 관한 권고안을 심의하여 제출하였다. 특히 특별위원회는 특별법 제정을 권고하였고, 여러 의원의 법률안과 토론회 등이 이루어졌고 보건복지위원회와 법제사법위원회를 거치면서 보건복지위원장 대안의 수정법률안이 2016년 1월 8일 본회의에서 통과되어 “호스피스ㆍ완화의료 및 임종과정에 있는 환자의 연명의료결정에 관한 법률(이하 연명의료결정법)”이 제정되었다. 위의 모든 논의에서 빠지지 않고 등장하는 인간의 존엄과 자기결정권, 국가의 생명보호의무, 생명권 등에 관한 해석 때문이다. 이제까지 우리 대법원과 헌법재판소가 보여주는 해석의 핵심은 물론, 소위 연명의료결정법도 인간의 생명은 모든 기본권 주체로서 존엄한 인간의 지위를 유지시켜주는 생물학적 기초가 되기 때문에 비록 환자가 치료행위를 거부하더라도 만약 생명에 위험을 초래할 수 있는 경우에는 환자의 의사에 반하더라도 치료를 중단해서는 안된다는 입장에서 사안을 바라보는 것이다. 이러한 입장은 후견적인 관점에서 시민의 생명을 보호하겠다는 취지로 이해된다. 그렇다면 현재 우리 헌법상 이러한 후견적 생명보호가 정당화될 수 있는 것인지 인간존엄, 자기결정권, 생명권 등의 개념을 통하여 과거 필자의 연구를 토대로 재검토해보았다.

      • KCI등재

        생명권의 보장과 본질적 내용의 침해 금지

        권건보(Kwon, Geon Bo) 부산대학교 법학연구소 2013 법학연구 Vol.54 No.4

        본고에서는 생명권의 헌법적 근거, 생명권의 주체와 내용 등에 관한 주요 쟁점들을 살펴보면서, 특히 생명권에 대한 제한과 본질적 내용침해 금지와 관련된 문제에 대해 중점적으로 검토하였다. 인간의 생명은 다른 어떠한 것과도 바꿀 수 없는 것이기 때문에 생명권은 가장 소중한 가치를 가진 인권이라 할 수 있다. 우리 헌법상 명문으로 규정되어 있지 않지만, 가장 근본적인 기본권이라 할 수 있으며, 헌법상 보장되는 모든 권리들의 전제가 된다. 따라서 국가는 생명권의 보호를 위하여 적극적인 노력을 기울여야 할 의무를 진다. 이념적으로 인간의 생명은 절대적 가치를 가지지만, 사람의 생명은 예외적으로 법적인 평가의 대상이 될 수 있다. 왜냐하면 타인의 생명을 구하거나 보호하기 위해서 부득이하게 특정인의 생명을 박탈하지 않으면 안 되는 예외적 상황이 존재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생명권도 다른 기본권과 마찬가지로 헌법 제37조 제2항에 따라 법률유보의 대상이 될 수 있으며, 국가는 그러한 예외적 상황에서 특정인의 생명권을 제한하는 조치를 취할 수 있다. 그런데 생명권은 본질적 내용으로만 이루어져 있는 기본권이라고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생명권의 제한은 언제나 생명권을 형해화시키는 생명의 박탈을 초래하게 된다. 하지만 그것이 엄격한 예외적 상황에서 과잉금지원칙에 따라 정당화될 수 있다면, 그러한 생명권의 제한은 헌법상 금지되는 기본권의 본질적 내용침해에 해당하지 않는다고 본다. This Study reviewed the constitutional issues on the right to life, especially whether the right to life may be restricted under Article 37 Section 2 of the Constitution and the restriction on the right to life infringes the essential aspect of that right. According to my study, human life is the most important value and human right in law because it is not irreplaceable with any other things. While the right to life is not expressly enumerated in the Constitution of Korea, we can admit that the right is the most fundamental right and precondition to all the rights set forth in the Constitution. Thus the government has a duty to make proactive efforts to protect the human right to life. Even if a person"s life in an ideal sense is regarded to have an absolute value, legal assessment on a person"s life can be permissible as an exception. Because there can be exceptional circumstances where a person"s life must be inevitably taken away in order to protect or save another’s life. As a result the right to life may be subject to the statutory reservation under Article 37 Section 2 of the Constitution and the government may take measures to restrict on a particular person"s right to life in such exceptional circumstances. Since the right to life consists only of essential aspect of the right, any restriction on the right to life always results its total deprivation. However the right to life is a fundamental right that may be justifiably restricted in exceptional cases. If the restriction on the right to life may be justified under the principle of proportionality. it shall not be deemed as an infringement of the essential aspect of the right to life.

      • KCI등재

        생명보호 법정책의 현재

        최민영(Min-Young Choi) 이화여자대학교 생명의료법연구소 2024 Asia Pacific Journal of Health Law & Ethics Vol.17 No.2

        본 글은 2000년 전후로 지난 25여 년간 한국의 법과 정책이 생명을 어떻게 보호했는지를 정리하고 조명하는 의미가 있다. 각 생명 영역, 즉 배아, 태아, 영아, 자살, 안락사, 장기이식에서볼 수 있는 25여 년간 한국의 법제, 판례, 학문적 연구 성과들을 개괄적으로 논의함으로써 생명보호에 있어 괄목할 만한 변화와 성장을 보인 법정책의 시의성을 복원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서우선, 생명보호를 둘러싼 논쟁의 구도를 확인하고, 2000년 이후로 한국 사회에서 가장 중요한 생명 관련 입법이었던 생명윤리법의 발달사와 제정배경을 간략하게 개관한 이후, 각각의 생명보호영역에서의 입법논의, 중요판례, 학문적 연구 성과들을 정리한다. 결론적으로, 우리 법정책은 각생명 관련 영역에서 그동안 완전한 금지도, 완전한 허용도 아닌 견해를 밝혀왔다. 즉, 기본적으로각 생명이 보호되어야 한다는 원칙을 견지하고 있지만, 때에 따라서는 이에 대해 유연한 태도를보이기도 한다. 생명보호의 문제는 개인의 가치관의 차이와 다양한 이해관계에 따라 첨예한 갈등이 수반되는 만큼, 구성원 간의 합의 도출을 위한 절차의 마련이 무엇보다도 중요하다. 덧붙여서생명보호와 관련된 법정책적 논의에는 우리 문화에 고유한 논쟁의 요소가 보이는 만큼, 다양한현실의 층위를 고려한 정책적 결단도 요구된다. This article intends to organize and shed light on how Korean laws and policies have protected life over the past 25 years since around 2000. By broadly discussing 25 years of Korean legislation, precedents, and academic research results in each area of life, that is, embryos, fetuses, infants, suicide, euthanasia, and organ transplantation, we seek to restore the timeliness of the legal policy. To this end, we first confirm the structure of the debate surrounding life protection, briefly overview the development history and enactment background of the Bioethics Act, which has been the most important life-related legislation in Korean society since 2000. Then we introduce and summarize legislation discussions, important precedents, and academic research results in each area of life protection. In conclusion, our legal policy has taken a position of neither complete prohibition nor complete permission in each life-related area. In other words, it basically adheres to the principle that each life must be protected, but in some cases it shows a flexible attitude toward this. As the issue of life protection involves sharp conflicts due to differences in individual values and various interests, it is most important to establish procedures for reaching agreement among society members. In addition, as legal policy discussions related to life protection show elements of controversy unique to our culture, policy decisions that take into account various layers of reality are also required.

      • KCI등재

        저출산 사회에서 혼인과 가족생활의 보호

        차진아(Jina Cha) 한국헌법학회 2013 憲法學硏究 Vol.19 No.4

        현대 사회가 직면하고 있는 저출산ㆍ고령화의 문제는 인구구조상 경제활동인구의 현재 비율이 낮을 뿐만 아니라 장차 높아질 가능성도 별로 없다는 점에서 매우 심각한 문제로 받아들여질 수 있다. 고령화의 문제가 경제활동인구의 비율이 낮아지는 현재의 문제상황이라면, 저출산의 문제는 향후 경제활동인구의 비율이 높아질 가능성 또한 낮다는 미래의 문제상황과 연결되어 있는 것이다. 이러한 문제상황에 직면하여 우리는 어떤 대응을 할 수 있고 하여야 하는가? 이에 대해 올바른 답을 구하기 위해서는 문제의 원인에 대한 정확한 분석과 더불어 실현가능한 대안들의 목록을 신중하게 검토하여야 한다. 예컨대 저출산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국민들에게 강제적으로 혼인이나 출산을 요구할 수는 없는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이 문제에 대해서는 보다 섬세하고 조심스러운 접근이 필요하다. 저출산 문제가 국가와 민족의 장래를 어둡게 하는 심각한 문제인 것은 분명하다. 그러나 이를 해결하기 위해 보다 근본적인 가치, 즉 민주주의, 법치주의 및 인권보장을 훼손하여서는 안 된다. 혼인의 자유, 가족생활의 자유가 본질적으로 침해되거나 국가에 의해 좌지우지될 경우에는 근대적 혼인 및 가족제도가 확립되기 이전의 비인도적 시대로 후퇴하는 것과 다르지 않을 것이다. 그러므로 저출산 문제에 대한 답은 국가의 강제력이 아니라 사회국가적 배려에서 찾아야 한다. 저출산의 원인이 되는 사회ㆍ경제적 어려움을 확인하고 이를 해결하는데 도움을 줌으로써 국민들이 자율적으로 혼인과 출산에 대한 적극적 행동에 나설 수 있도록 측면에서 지원해야지, 법적 강제로써 문제를 해결할 수는 없는 것이다. 그러나 사회국가적 도구를 활용한 문제해결은 훨씬 더 복잡하고 미묘한 쟁점들을 내포한다. 수많은 사회국가적 수요들 사이에서의 우선순위 문제가 있을 뿐만 아니라, 설령 저출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예산이 확보되더라도 이를 저출산에 대한 효율적인 대안으로 연결시키기 위하여 어떤 방식, 어떤 수단이 활용되어야 할 것인지에 대하여는 사람마다 의견이 분분하며, 그때그때의 상황에 따라 달라져야 할 필요성도 인정되기 때문이다. 이러한 문제의식에 기초하여 저출산 시대 혼인과 가족생활의 보호를 사회국가적 관점에서 고찰하였다. 이를 위하여 먼저, 사회국가의 실현구조에 비추어 저출산으로 인한 인구구조 변화의 문제상황을 개관한 뒤(Ⅱ), 저출산 시대 혼인과 가족생활에 대한 사회국가적 지원의 기본방향(Ⅲ)을 검토하였다. 이러한 기초 위에서 저출산 문제에 대응하기 위한 혼인과 가족생활 보호 방법을 크게 사회보장제도(Ⅳ)와 조세제도(Ⅴ)로 나누어 검토하였다. 사회적 기본권의 구체화라는 관점에서 볼 때, 혼인과 가족생활 보호의 요청은 사회보장제도라는 적극적인 급부활동을 통해 실현되는 것이 전형적이라 할 수 있지만, 이러한 요청이 조세제도에서는 -응능부담의 원칙의 구체화 혹은 혼인 및 출산 장려를 위한 간접적 보조금과 같이 상이한 성격을 가지고 있는- 조세감면이라는 소극적인 급부활동을 통해 실현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검토를 통하여 사회국가적 지원을 통한 저출산 문제 해결의 가능성과 한계를 확인함으로써 본 논문을 마무리하였다. Low-birth rate and aging population have been considered as one of the most serious issues in Korea especially in the sense that economically active population has gradually decreased but is not expected to grow given the current population pyramid. While the aging population and declining birthrate indicate decrease in economically active population currently and in the future. In order to deal with those problems, one should analyze their causes in depth and discuss feasible alternatives carefully beyond makeshift or legally controversial solutions. For example, a low-birth rate can not be solved legitimately by forcing the people to get married or to give births. Therefore, alternatives should be proposed through careful approaches; for instance, the problems should not be dealt with by measures to threaten basic values or constitutional principles such as democracy, rule of law or human right protection. If the freedom to marry or freedom of family life should be infringed on seriously or controlled by the state, the society would deteriorate into a pre-modern era. Therefor, the alternatives to a low-birth rate should be proposed in a form of social care which is based on the principles of social state. The state needs to consider indirect supports, rather than legally binding measures, to recognize and solve social or economic difficulties which cause the low-birth rate. However, the solutions based on the social state principle are related to complicated and sophisticated issues. To be specific, it is not easy to set priorities among various social demands, and to determine ways and measures to use allocated budget efficiently for the solutions of a low birth rate. In the above-mentioned contexts, this paper addresses the protection of marriage and of family life in the low-birth rate era. In dosing so, the research commences by analysing current problems cased by a low-birth rate in the perspective of population pyramid.(II) Then, general directions pursued by the social state to deal with those problems are considered(III). The paper, based on those analysis, proposes the measures to protect marriage and family life in order to deal with a low-birth rate problem in the perspective of social security system(IV) and tax system(V); typically speaking, the protection of marriage and family life can be carried out through active measures to provide with benefits in the sense that social rights can be protected and concertized only through the legislative actions to carry out the normative contents of those rights. However, the social rights can be protected by the government to take relatively passive measures for tax cuts in favour of relevant groups. Lastly, the research, through such analysis, recognizes the potentials and restrictions to solve a low birth rate problems.

      • KCI등재

        탈북자(자발적 북한이탈자)의 인권보호와 국제인권법

        장복희(Chang Bok-Hee) 한국토지공법학회 2008 土地公法硏究 Vol.40 No.-

          In summary of protection of North Korean refugees, the first asylum states grant "Convention refugee" according to the 1951 UN Convention relating to the Status of Refugees(the Refugee Convention), but this case will not be available in fact.<BR>  On emphasis, system of complementary protection is useful based on other international human rights treaties and standards. Complementary protection is to grant the status of de facto refugee and rights to asylum seekers similar to those convention refugees enjoys. Specially, the International Covenant of Civil and Political Rights and the Convention against Torture and Other Cruel, Inhumane or Degrading Treatment or Punishment are important complementary instruments to the Refugee Convention. As parties to general international human rights treaties, the first asylum states can give North Korean refugees "humanitarian status", "humanitarian residence" or "temporary protection".<BR>  In other hands, they can acquire the status "Mandate refugee" through the UN High Commissioner of Refugees(UNHCR). In this case, Korea government should do more positive diplomatic efforts. Besides, the third countries as well as Republic of Korea may admit them.<BR>  North Korean refugees are at least internationally "the subject of complementary protection". The states that accomodate them should abide the principle of non-refoulement, at least give temporary protection to the persons who do not want come back to North Korea.<BR>  Finally, solution of North Korean refugees has the aim to human rights protection in the lights of international human rights norms, protection itself has to be the core through the whole course towards the permanent settlements.<BR>  "Prevention, protection and solution" triple strategies have to be considered at once containing public information, dissemination education and discipline of international human rights norms, enhancement of related domestic law system, permanent solutions, opinions making, supports to NGO activities and enforcing of UNHCR role.<BR>  These actions have the base on respect of article 14(right to seek asylum) proclaimed in Universal Declaration of Human Rights and begin to ensure dignity of human beings, life and security of person, freedom and equality.

      • KCI등재

        미성년자의 생명권과 국가의 보호의무

        한지혜(Ji-Hae HAN) 성균관대학교 법학연구소 2012 성균관법학 Vol.24 No.1

        This paper's topic is about minors' right to life. It mainly focuses on the conflict between the freedom of religion and the right to life in case when minors who are under parental rights lose their consciousness because of the illness. Especially I dealt with the problems can occur when parents with parental rights exercise their passed out underage children's right to life and freedom of religion. The fact is that we don't have much to do to the parents who violate their unconscious children's right to life in the name of religion. To make it clear in constitution, I made sure the minors situation as those possess both religious freedom and right to life. The government whose one of the duties is to protect its citizen's rights, must protect those minors with the fundamental human rights. Unfortunately, however, in Korea, because the provision for this is not so clear, I referred to cases in other countries. I mainly focused on the cases of United States because the hospital's ethic committee structure for the recent case of a minor's death on the religious reason resembles the one ones in America. In addition, I included recent comments on the special protection for the minors (or underaged) in the constitution. In my personal opinion, it is unnecessary to apply any other legal provisions to protect the minors with religious rights and right to life. I also researched on two Korean cases related to religious freedo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