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변호사의 비밀유지의무

        김태봉 전남대학교 법학연구소 2016 법학논총 Vol.36 No.4

        Recently, there have been a growing number of issues in the field of Korean law surrounding lawyer’s duty of confidentiality, such as the legitimacy of search and seizure of legal advisory documents by investigation agencies. Putting an emphasis on lawyers’ duty of confidentiality over clients’ information, the Korean law has rules about the duty in the Lawyers Act in pursuit of professional ethics and about one’s right to refuse to testify and be seized in the criminal procedure code in pursuit of the law of evidence. However, there is a considerable gap between a general ethic and a duty of confidentiality, which is lawyers’ professional responsibility. This article seeks to examine the gravity of a duty of confidentiality through exploring representative examples in the U.S. that caused conflicts between the two ethics. Also, I hope to provide implications that may minimize the conflicts between general and lawyers’ ethics. With respect to a duty of confidentiality, the concept of ‘confidentiality’ first and foremost needs to aim to protect clients and, therefore, include all the information relevant to related work. Moreover, restrictive interpretations in the interest of public interest justification or defending lawyers’ rights should be avoided. As the civil and criminal procedure codes define a right to refuse testify and be seized as one of the lawyers’ rights, it can be seen as a right of confidentiality. Nevertheless, it is also insisted that confidentiality between clients and lawyers may not be secured under the current law, if those rules are to be interpreted based on the Attorney-Client Privilege (ACP) and the Work Product Rule (WPR) in the U.S. law.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revise the Lawyers Act to introduce the ACP and WPR in pursuit of a more comprehensive protection, such as expanding the range of subjects and objects of a right of confidentiality and providing legal advice based on the expanded range. Lawyers’ duty of confidentiality is crucial in that it forms the backbone of our judicial system. However, this right should be eased or lifted when it collides with the public status of lawyers. Currently, the Ethic Code for Lawyers and the Lawyers Act merely list some abstract reasons, such as ‘public interest justification’, and do not define the concept of public interest, leaving any relevant interpretations to courts. On the other hand, the Model Rules of Professional Conduct (MRPC) of the American Bar Association stipulate possible cases when lawyers are allowed to break confidentiality regarding criminal acts of clients and it has become less strict. Hence, in interpreting our laws, I argue that the scope of possible cases of lifting confidentiality obligations should be widened for protecting public interest, referring to other rules such as the MRPC. Ultimately, specific criteria should be prepared by revising the current Lawyers Act, as well as the Ethic Code for Attorneys. 최근 들어 우리 법조에서도 수사기관에 의한 법률자문자료의 압수수색 적법 여부 등변호사의 비밀유지의무와 관련된 논란이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의뢰인과 관련된 정보에 대한 비밀유지는 변호사제도의 중추를 이루고 있는바, 우리 법체계에서는 변호사의 직무윤리적인 측면에서 변호사법 등에 비밀유지의무에 관한 규정을, 증거법적 관점에서 형사소송법 등에 증언 및 압수거부권에 관한 규정을 각 두고 있다. 그런데 일반윤리와 전문직의 직무윤리인 비밀유지의무와 사이에는 적지 않은 괴리가 존재한다. 두 윤리 사이에서 갈등을 야기한 미국의 대표적 사례들을 통하여 비밀유지의무가 얼마나 중요한 가치인지를 가늠해 보고, 일반윤리와 변호사윤리 사이의 갈등을 최소화하는 방안을 모색해 본다. 비밀유지의무의 내용과 관련하여 비밀의 개념은 의뢰인 보호를 첫 번째 목표로 하여직무와의 관련성 있는 모든 정보를 포괄하는 것으로 넓게 보아야 하고, 공익상의 필요나 변호사 자신의 권리 옹호 등을 내세워 축소해석을 하여서는 안 된다. 한편 민사소송법과 형사소송법이 증언거부권 또는 압수거부권을 변호사의 권리로 규정하고 있으므로이를 비밀유지권으로 파악할 수 있다 할 것이다. 그런데 위 규정들에 관하여 미국법상의 변호사-의뢰인의 비밀유지특권(ACP)과 소송준비자료의 개시면책(WPR)을 참고하여해석할 경우 현행법 체계로도 의뢰인과 변호사 사이의 비밀이 충분히 보호될 수 있다는 주장도 없지 않다. 그러나 비밀유지권의 주체 및 대상의 확대와, 그것을 통한 법률자문 등의 폭넓은 보호를 위하여 ACP와 WPR을 도입하는 것을 내용으로 하는 변호사법의개정이 반드시 필요하다 할 것이다. 변호사의 비밀유지의무는 사법제도의 근간을 이루는 중요한 제도이나, 그것이 변호사의 공익적 지위 등과 충돌하는 경우에는 그 의무를 완화하거나 해제할 필요가 있다. 그 해제사유와 관련하여 변호사법이나 변호사윤리장전 등은 ‘공익상의 이유’ 등 추상적사유를 열거하고 있을 뿐, 공익의 개념에 관하여는 아무런 규정을 두지 아니함으로써그에 관한 판단을 고스란히 법원에 맡기고 있다. 그런데 미국변호사협회의 「직무행위에 관한 표준규칙」은 그와 관련하여 의뢰인의 범죄행위에 관한 비밀의 개시가 가능한경우를 구체적으로 규정하고 있고, 그 사유를 완화해 가고 있다. 따라서 우리 법규를 해석함에 있어서도 공익상의 이유에 의한 비밀유지의무 해제에 관하여는 미국변호사협회의 위 규칙 등을 참고하되 그 범위를 가급적 넓히는 것이 바람직하고, 궁극적으로는 변호사법규와 윤리장전을 개정하여 공익상의 이유 등을 유형화하는 등으로 그에 관한 구체적 기준을 제시하여야 할 것이다.

      • KCI등재

        국가와 사회 사이: 중국 변호사협회의 이중성

        이동진 한양대학교 아태지역연구센터 2015 중소연구 Vol.39 No.3

        All China Lawyers Association (ACLA) is a social organization governed by the judicial administrative section of the state that carries out professional administration over lawyers. Currently the lawyers administration system in China is expressed as the dual-management system('the coupling of the state administration and the professional administration')': the administrative management of lawyers is provided by the judicial administration departments in the state and the professional administration over them is conducted by the ACLA. However, since the ACLA itself is under the jurisdiction of the judicial administrative section, it can be said that the lawyers of China is governed by the judicial administration. This nullifies the definition of the current system of lawyers that China characterizes as the transition from administrative management toward professional administration. This kind of ad- ministrative system of lawyers does not comply with the lawyers system already transferred into the society from the state, causing conflicts between the ACLA and its judicial administrative departments. Meanwhile, the two parties have a symbiotic relationship in that lawyers need ties to the actors inside the state to perform their work. Such a relationship between lawyers and the state results in the duality of the ACLA. In short, as the duality of the ACLA is the result reflecting the relations of the state and the society in the process of lawyers practicing and providing their service, its reform has also been pushed for by the state on the one hand and the lawyers on the other hand. 중국에서 변호사협회는 사회단체로서 국가사법행정부문의 관할을 받으면서 업종관리의 직능을 수행한다. 현재 중국의 변호사 관리 체제는 ‘행정 관리와 업종 관리의 양 결합’으로 표현되듯이, 행정 관리는 사법행정부문의 관할을 받고, 업종 관리는 변호사협회의 관할을 받지만, 기실 변호사협회 자체가 사법행정부문의 관할을 받고 있으므로, 사실상 사법행정부문의 관할을 받는다고 할 수 있다. 이것은 행정 관리 위주에서 업종 관리 위주로의 ‘이행(過渡)’이라고 하는 현 체제에 관한 성격 규정을 무색하게 하는 것이다. 이러한 변호사 관리 체제는 국가에서 사회로 이미 이전한 변호사 체제와 호응을 이루고 있지 못하다. 이 때문에 변호사와 변호사협회와 그 배후에 있는 사법행정부문이 갈등을 일으키기도 한다. 그러나 다른 한편에서는 변호사가 업무를 수행하기 위해서는 또한 사법행정부문이라는 국가 내부의 후원자를 또한 필요로 한다는 점에서 변호사와 사법행정부문은 공생적인 관계이기도 하다. 이러한 변호사와 국가의 관계가 변호사협회의 이중성으로 나타나고 있다. 곧 변호사협회는 변호사 업무의 현장에서의 국가와 시민사회의 관계를 반영해서 갈등과 공생의 이중성으로 나타났으며, 변호사협회의 ‘개혁’도 한편으로는 국가에 의해서 위에서 아래로, 다른 한편으로는 변호사에 의해서 아래에서 위로 추진되었다.

      • KCI등재

        독일과 일본에서의 MDP 논의

        김용섭 대한변호사협회 2010 人權과 正義 : 大韓辯護士協會誌 Vol.- No.412

        MDP (Multi-Disciplinary Practice) means combination of lawyer and other qualified professionals. The background of debate on MDP is the necessity of providing comprehensive legal service for people and consumers. Article 34 of the current Attorneys-at-Law Act prohibits association of lawyer with other non-lawyer professionals, and dose not basically permit partnership between lawyer and other qualified professionals. In Germany, Article 59 a Paragraph 1 (1) of the Attorneys-at-Law Act provides for that a lawyer, to the extent of his (her) professional rights, may open a joint legal office (Sozietät) in partnership with other lawyers (members of lawyers’ association), patent attorneys (members of patent attorneys’ association), licensed tax accountants, tax agents, certified public accountants, sworn auditors and so on. Besides, other various organizations such as common office (Bürogemeinschaft), partnership company (Partnergesellschaft), lawyers limited company (Rechtsanwalts-GmbH), etc. are allowed in Germany. In addition, a German judicial precedent acknowledges partnership in the type of lawyers corporation (Rechtsanwalts-AG). In Japan, partnership between lawyers and other qualified professionals is not legally allowed in accordance with the Attorneys-at-Law Act Article 72 (Prohibition of Legal Practice by Non-lawyers) and Article 27 (Prohibition of Alliance with Non-lawyers). In fact, however, many Japanese accounting offices are selecting de-facto MDP system by establishing close partnerships with affiliated legal offices. In Japan, the partnership in which incomes and expenses are shared is basically prohibited, while the partnership between lawyers and other qualified professionals in which only expenses are shared is allowed. Germany approaches the matter of lawyer’s partnership in the manner of limiting its scope to combination with similar qualified professionals, in consideration that independence of lawyer is indispensable for maintaining the functions of legalism. However, it is needed to note that Germany, greatly influenced by the England’s enforcement of the Legal Services Act in 2007, also tried to amend the Attorneys-at-Law Act to introduce the ABS (Alternative Business Service) system in which partnership between lawyers and other qualified professionals is extensively permitted to the extent of not impairing independence of lawyers. In the meantime, Japan stands negative for MDP emphasizing independence and ethics of lawyers. Japan believes that, even without consideration of independence and ethics of employed lawyers under the circumstances in which many lawyers are employed by large accounting firms or private companies, lawyers may come to be unable to play their social roles in the global liberalized age. In Korea, taking the cases of Germany and Japan into consideration, it is proposed that we introduce the MDP system but develop a practical model applicable to our situations. Legislation for partnership between lawyers and other qualified professionals is required to be processed in first consideration of national competitiveness improvement and convenience enhancement. MDP는 ‘Multi-Disciplinary Practice’의 약어로써 변호사와 변호사 이외의 전문자격사 등과의 결합 형태를 의미한다. MDP가 논의되게 된 배경은 국민과 소비자를 위한 종합적인 법률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필요성 때문이다. 현행 변호사법 제34조에서는 변호사와 변호사 이외의 자의 동업을 금지하고 있어 변호사와 이종자격사 간의 동업은 기본적으로 허용되지 않고 있다. 독일의 경우에는 변호사법 제59조의 a 제1항 제1문에서는 변호사는 자신의 직업적 권한의 범위 내에서 하나의 공동법률사무소(Sozietät)에서 다른 변호사(변호사회의 회원) 및 변리사(변리사회의 회원), 세무사, 세무대리인, 회계사 및 선서장부검사인과 하나의 공동법률사무소를 열 수 있는 것으로 규정하고 있다. 그밖에 공용사무실(Bürogemeinschaft), 파트너회사(Partnergesellschaft), 변호사 유한회사(Rechtsanwalts-GmbH)형태가 허용되고, 판례상 변호사 주식회사(Rechtsanwalts-AG) 형태의 동업의 협력형태를 인정하고 있다. 일본의 경우에는 변호사법 제72조(비변호사의 법률사무의 취급 등의 금지)과 변호사법 제27조(비변호사와의 제휴의 금지)에 따라 변호사와 다른 자격사와의 동업이 적극적으로 허용되지 않고 있으나, 회계사무소는 산하의 법률사무소와 밀접한 업무제휴를 구축하는 방법인 사실상(de facto) MDP 방식으로 해결하고 있다. 일본에서는 변호사와 이종자격사 간에는 경비공동형은 허용하는 반면에 수지공동형은 기본적으로 불허하는 입장이다. 독일의 경우에는 변호사의 독립성의 확보가 법치주의의 기능유지에 불가결하다고 보고 있으며, 변호사의 동업을 법률유사 자격사에 한정하는 방식으로 접근하고 있다. 그러나 2007년 영국의 법률서비스법(Legal Services Act)의 제정에 영향을 받아 독일에서도 변호사법을 개정하여 다른 자유직업과의 계약을 체결하여 협력을 광범위하게 허용하되, 변호사의 독립성을 해하지 않는 방향으로 ABS (Alternative Business Service) 시스템을 도입하는 방향으로 입법적 시도가 있었던 점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이에 반하여 일본의 경우에는 MDP에 대하여 소극적이며 변호사의 독립성과 윤리성의 확립을 강조하고 있다. 국제적 자유화시대의 변호사는 거대회계사무소 혹은 대기업에 고용되어 활동하는 경우가 늘어나게 되면서, 고용된 변호사의 독립성이나 윤리성을 고려하지 않는다면 변호사의 사회적 역할을 수행하지 못하게 된다고 보고 있다. 우리의 경우 독일과 일본 등 선진국의 논의상황을 고려하여 MDP를 도입하되, 구체적인 방향설정은 한국에 적용될 수 있는 실천적인 내용의 모델을 개발할 필요가 있으며, 변호사와 이종자격사 간의 동업에 있어 무엇보다 국가경쟁력 향상과 국민의 편의증진을 최우선적으로 고려하면서 입법을 추진할 필요가 있다고 본다.

      • KCI등재

        변호사의 공익활동의무 - 공평한 사법접근성의 관점에서 -

        이태영 대한변호사협회 2023 人權과 正義 : 大韓辯護士協會誌 Vol.- No.518

        변호사의 공익활동은 경제적 약자나 공익적 성격을 가진 단체에 무료 또는 저렴한 법률서비스를 제공하거나 법률 또는 법률시스템의 개선을 위한 활동을 말한다. 변호사의 공익활동은 법률구조제도와 함께 공평한 사법접근성의 실현을 가능하게 하는 중요한 요소이다. 본 연구는 변호사의 공익활동의 의의와 필요성, 의무적 공익활동의 문제점, 공익활동과 법률구조제도의 관계를 살펴보고, 변호사의 공익활동이 공평한 사법접근성의 실현에 효율적으로 기여할 수 있도록 개선방안을 제시한다. 변호사법 제27조 제1항은 변호사의 공익활동의무를 규정하고 있다. 변호사의 공익활동의무의 정당성에 관하여는 논란의 대상이 되고 있으나 변호사는 법의 지배에 기초한 사법시스템에 중심적이고 배타적인 역할을 하는데 이러한 특별한 지위는 처음부터 공익활동에 대한 의무를 수반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다만 변호사의 공익활동의무는 법률보다는 대한변호사협회의 회칙으로 규정하여 변호사에 대한 신뢰제고에 도움이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의무적 공익활동에는 동기와 보상의 부재라는 부정적 측면이 있다는 점을 간과 할 수 없다. 이러한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해 자발적인 공익활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변호사협회 차원에서 동기부여를 할 수 있는 여러 정책을 시행하는 것이 필요하다. 우리나라의 법률구조는 아직 그 수요에 미치지 못하고 있으며 최근 변호사 수의 급격한 증가에도 불구하고 변호사의 공익활동이 법률구조의 수요를 충족시키는데도 그다지 큰 기여를 하지 못하고 있다. 우선 공익활동의 내용으로 법률서비스 제공의 무상성과 함께 경제적으로 어려운 사람을 대상으로 할 것을 명확히 하여 공익활동이 법률구조로 연결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또한 변호사협회의 주도하에 법률구조제도를 확대실시하고 이를 통합적으로 운영하여 공익활동이 공평한 사법접근성의 실현에 보다 효율적으로 기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 The term “pro bono service of lawyers” refers to activities that provide free or low-cost legal services to economically disadvantaged individuals or organizations with a public interest nature, or activities to improve the law or legal system. Pro bono service of lawyers is an important factor that makes it possible to realize equal access to justice, along with the legal aid system. This study examines the significance and necessity of pro bono service of lawyers, the problems of mandatory pro bono service, the relationship between pro bono service and the legal aid system, and proposes improvement measures to make pro bono service of lawyers contribute more effectively to the realization of equal access to justice. Article 27, Paragraph 1 of the Lawyers Act stipulates the duty of lawyers to engage in pro bono service. The legitimacy of the mandatory pro bono service of lawyers is a matter of debate, but lawyers play a central and exclusive role in the legal system based on the rule of law, and this special position inherently entails a duty to engage in pro bono service. However, it is desirable to regulate the mandatory pro bono service of lawyers through the bylaws of the Korean Bar Association rather than through law, in order to help enhance public trust in lawyers. Mandatory pro bono service also have a negative aspect in that they can lack motivation and compensation. In order to address this issue, the Korean Bar Association should implement policies that encourage voluntary pro bono service. Korea’s legal aid is still not meeting demand, and despite the recent rapid increase in the number of lawyers, lawyers’ pro bono service have not made a significant contribution to meeting the demand for legal aid. First, it is necessary to clarify that the content of pro bono service should be free legal services for economically disadvantaged people, so that pro bono service can be linked to legal aid.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expand and implement the legal aid system under the leadership of the Korean Bar Association and operate it in a unified manner, so that pro bono service can contribute more efficiently to the realization of equal access to justice.

      • KCI등재

        변호사연수의 현황과 바람직한 개선 방안- 전문연수, 윤리연수 및 변호사시험 합격자 연수에 대하여 -

        임재혁 대한변호사협회 2021 人權과 正義 : 大韓辯護士協會誌 Vol. No.

        Due to the recent increase in the number of lawyers, social responsibility and a high sense of ethics for lawyers have been emphasized more than ever. In addition, legal consumers expect that they should receive high quality legal services from lawyers. Nevertheless, research on the existing education system for lawyers is quite biased toward the practical training of those who passed the bar-exam. In response, the article reviewed the current status and ways to improvement of professional training for lawyers, ethical training for lawyers, and training for those who passed the bar-exam. First of all, it is desirable for the Korean Bar Association(“KBA”) to focus on providing unified ethical training while serving as a control tower and having jurisdiction over special training sessions in each local bar association, modeled after the establishment of minimum standards for MCLE by the ABA in the U.S. Each local Bar Association should provide special training for each branch in connection with specialized subjects of law-schools in the relevant local area. The professional training of the KBA, which is currently being provided, can be categorized into about 10 major tasks. Also, it is feasible to classify the professional training from basic lectures to advanced lectures. In preparation for the post-Corona era, it is also necessary to actively adopt online training. Secondly, it is necessary to provide model ethics education through unified model teaching in relation to ethical training. It is recommended to set up a sub=committee on ethics training (tentative name) under the steering committee of the KBA’s Training Institute, and to arrange ethics training for lawyers as an extension of legal ethics education at each law-school, along with consultation on legal ethics. It is required to expand online ethical training. In particular, in exemplary teaching methods, recent disciplinary cases and revision of law related to lawyers in detail should be introduced. Thirdly, government’s fiscal support is essential in relation to the practical training. This is because Koreans expect lawyers to protect their legitimate rights and interests by combining a certain level of skills while emphasizing the public nature and ethics of their legal affairs. As an alternative, the use of human and physical facilities of the Judicial Research and Training Institute(“JRTI”), which will be officially abolished at the end of January 2021, may be considered. Under the auspices of the KBA, it is also worth exploring ways to educate lawyers on the ethics of lawyers, the operation of law offices, client communication, and the mental health of lawyers, which are essential for the performance of their duties, while promoting their sense of belonging and fellowship as lawyers. 최근 변호사 수의 증가로 인하여 변호사에 대한 사회적 책임과 높은 윤리의식이 어느 때보다도 강조되고 있다. 그와 더불어, 법률 전문가인 변호사에게 양질의 법률서비스를 기대하는 법률 수요자인 국민들의 요구도 매우 높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기존의 변호사교육 제도에 대한 연구는 변호사시험 합격자 연수에 편중되어 있었다. 이에 이 글에서는 변호사 전문연수, 변호사 윤리연수 및 변호사시험 합격자 연수의 현황 및 개선 방안을 검토하여 보았다. 첫째, 변호사 전문연수와 관련하여서는 미국 ABA의 MCLE 최소기준 제정 등을 모델로 하여 대한변호사협회는 컨트롤타워 역할을 하면서 통일적인 윤리연수 등을 제공하는 데에 초점을 맞추고 각 지방변호사회에서 특별연수를 관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각 지방변호사회별로 해당 지방의 법학전문대학원의 특성화 과목과 연계하여 거점별 특별연수를 제공하는 방향으로 나아가야 한다. 현재 제공되고 있는 대한변호사협회의 특별연수를 10개 내외의 대주제로 유형화하고 기본강의와 심화강의로 구성하는 방안도 고려하여 볼 수 있다. 포스트 코로나 시대를 대비하여 인정연수 및 온라인연수를 적극 활용하는 것이 필요하기도 하다. 둘째, 윤리연수와 관련하여 통일적인 모범교안을 통한 모델화된 윤리교육을 제공하는 것이 필요하다. 대한변호사협회 변호사연수원 운영위원회 산하에 윤리연수 소위원회(가칭)를 두고 법학전문대학원협의회, 법조윤리협의화와 함께 법학전문대학원에서 이루어지는 법조윤리 교육의 연장선상에서 변호사 윤리연수를 정비할 필요가 있다. 인터넷 강의 등으로 윤리연수를 대폭 확대하고, 특히 모범 교안에서는 최근 징계사례와 변호사 관련 법령 개정을 상세히 소개하는 것이 필요하다. 셋째, 변호사시험 합격자 연수와 관련하여 국가의 지원이 반드시 필요하다. 우리 국민들은 변호사 업무의 공공성과 윤리성을 강조하면서도 일정 수준 이상의 실력을 겸비하여 의뢰인의 정당한 권익을 보호하여 주어야 한다는 기대가 있기 때문이다. 그 대안으로서 2021년 1월을 끝으로 공식적으로 폐지되는 사법연수원의 인적·물적 설비를 활용하는 방안도 고려하여 볼 수 있다. 대한변호사협회 주관으로 약 2주 정도의 도입수습기간을 설정하여 변호사로서의 소속감과 동료의식을 고취시키면서, 업무 수행에 있어서 필수적인 변호사윤리, 법률사무소 운영, 의뢰인 커뮤니케이션, 변호사의 정신건강 등을 교육하는 방법도 강구할 만하다.

      • KCI등재

        일제하 한국법률가의 활동과 평가

        최종고 한국법제연구원 2010 법제연구 Vol.- No.39

        This article surveys the Korean lawyers, who were acting as the judges, the prosecutors and the attorneys during the Japanese ruling period from 1910 till 1945. It reviews the careers and activities of about 175 Korean lawyers at that time. I. Korean Lawyers during the Japanese Ruling Period To make access to those many persons, this article classifies them into 6 categories according to the law schools where they studied. The first is the old bureacrats who were not trained in the modern legal sciences. They were nominated as lawyers by the government of the Dae Han Empire(1899~1910). The Japanese Govenor-General of Korea nominated them as lawyers continously to the Japanese ruling period since 1910. They were about 10 persons. Second group is the graduates of the Judicial Officer Training Institue(Bopkwan Yangsungso) established by the King Kojong in 1895. This first Korean institution of legal education was transformed into other names afterwards since 1911. The graduates who became lawyers were about 15 persons. Third group was the persons who studied abroad in Japan rather early. Those who were born before the annexation were about 18 persons. Since the Japanese annexation in 1910, there were four main institutions of legal education:1)Kyungsung Professional College of Law(Kyungsung Bophak Jeonmunhakkyo)The graduates of this college(1922~1945) were 1347 persons. Among them we see about 55 persons, who were acting as lawyers. 2) Bosung Professional College(Bosung Jeonmun Hakkyo)The notable lawyers who graduated from this college were 5 persons like Om Shik, Huh Hun, Chung Chunmo, Chung Kuchang and Lee Hojung. 3) Keijo Imerial University This University(1926~45) produced 714 graduates of law students. Among them, we see 21 lawyers from these alumni. 4) Study Abroad Group The Korean lawyers who studied in Japan since 1910 were about 50 persons. II. Evaluation of Korean Lawyers According to the Gazette of The General Gouverment(Kwanbo) the number of Korean lawyers who were nominated as the judges and the prosecutors during the Japanese ruling period were 484 persons. The recently published Dictionary of the Pro-Japanese Persons(Chinil Inmyong Sajeon) in 2009 contains 185 'pro-Japanese' lawyers. The Act on the Punishment of the Anti-national Collaborators(Banminjok Haengwija Chobolbop) of 1948 prescribes that the high officials over 3rd grade and the prize-receiver over 5 grade must be dismissed from their official posts. However, the current legal professionals could continue to be the judges and the prosecutors, because the American Military Government after the Liberation from the Japanese Ruling ordered them to stay at the current posts. Therefore, the “pro-Japanese” Korean lawyers became, good or bad, the frontiers or the stepstones of the judiciary and legal education in the Republic of Korea since 1945.

      • KCI등재후보

        신규 법조인력 활용방안

        이용구(Lee Yong Gu) 한국법학원 2011 저스티스 Vol.- No.124

        사법시험 합격자가 1,000명 시기인 연수원 33기부터 37기까지는 연수생의 약 70% 정도가 변호사로 진출하였는데, 그 중 법무법인에 44.2%가 취업하였고, 그 나머지가 개인ㆍ합동법률사무소(20.1%), 공공기관(8.4%), 기업(7.7%)에 취업하였으며, 단독 또는 공동개업이 13.8% 정도를 차지하였다. 그런데 법학전문대학원 1기생이 졸업하는 2012년 이후 2015년까지 매년 약 1,100명의 신규 변호사가 1인 법률사무소 형태로 변호사 시장에 진입하여야 하고, 그 이후에도 매년 500명에서 900명 정도의 변호사가 불가피하게 개업을 하여야 할 것으로 보인다. 신규 법조인력 활용방안은 첫째, 장기적으로는 변호사의 수와 수임료가 수요와 공급의 원리에 의하여 결정될 수밖에 없다는 점에서 출발하여야 한다. 이는 현재까지도 변호사가 과소 공급되어 수임료가 여전히 높게 형성되어 있다는 현실인식에 기초하고 있다. 그러나 변호사의 대량 공급은 고가의 법률서비스 시장과 저가의 법률서비스 시장으로 변호사 시장을 분화시킬 수 있고, 저가의 법률서비스 시장이 사법질서에 부정적인 영향을 낳을 경우에 대한 대책이 필요하다. 또한, 저가의 법률서비스 시장에서 특히 강조되어야 할 것은 변호사가 수행할 수 있는 적정 업무량과 법률서비스의 질을 일정 수준 이상으로 확보ㆍ유지하는 데에 실패한다면 변호사의 사회적 기능은 축소될 수밖에 없고, 이는 변호사 공급을 증가시킴으로써 국민의 사법복지 수준을 향상시키겠다는 당초의 의도와는 정반대의 결과를 낳을 수 있다는 점이다. 이러한 부작용은 사후 관리ㆍ감독만으로 해결될 수 없고, 불가피하게 사전적 시장규제가 필요하다. 이는 국가가 법률시장에 개입하여 특정한 영역의 법률서비스를 공급할 수 있는 자를 제한하거나 그 보수를 일정 수준 이상 받도록 하는 방법 등으로 법률서비스의 질을 일정 정도 유지하게 하여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더욱 기본적인 것은 신규 변호사가 1인 사무소의 형태로 법률시장에 진입하는 비율을 적절히 제어할 수 있도록 법률시장의 안정화를 꾀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강조되어야 할 것은 국가가 변호사 고용시장에 개입하여 얻을 수 있는 국가사회적 이익은 법률서비스의 질을 일정 수준 유지함으로써 국민의 사법복지를 유지ㆍ증진하는 것이지 변호사의 일자리 창출을 위한 것이 아니라는 점이다. 이런 측면에서 중앙행정기관과 광역자치단체의 일반직 공무원으로 변호사를 채용하고, 변호사가 행정공무원의 일원으로서 기존 중간관리자들에 대한 경쟁력을 확보할 필요가 있다. 또 다른 중요한 활용방안으로 법원의 재판연구관 제도 확대, 국회의 입법연구관제 도입, 중소기업 호민관실의 변호사 고용 확대, 회생절차에서 회생위원 등에 변호사를 선임하는 방안 등이 검토될 수 있을 것이다. From the 33rd to 37th classes of the Judicial Research and Training Institute where there were 1,000 applicants who passed the judicial examination, about 70% of the judicial apprentices became lawyers. 44.2% of them were employed in law firms, 20.1% in individual or joint law offices, 8.4% in public institutions, 7.7% in enterprises, and 13.8% in independent or joint businesses. It seems that from 2012 to 2015 when the members of the first class of law school graduate, about 1,100 new lawyers should enter the lawyers market by establishing individual law offices. It is assumed that after 2015, there must be 500 to 900 lawyers unavoidably starting businesses every year. The utilization plan for new lawyers should start from the perspective that the number of lawyers and the amount of their fees can only be determined with the principle of supply and demand in the long term. This is still based on the realistic recognition that the fees are highly fixed since they are under-supplied. However, the bulk supply of lawyers can divide legal market into high priced and low priced legal service market. Besides, there should be a measure against the possible negative effects on the order of law caused by the market. In addition, it should be emphasized in the market that if it fails to secure and maintain the appropriate workload of lawyers and the quality of legal services, the social function of lawyers would be reduced, and that it can cause opposite results to the original intent which is to increase the supply of lawyers in order to improve jurisdiction welfare for citizens. Such side effects cannot be solved only with post management and supervision, but with prearranged market regulation. This means that the government should maintain the quality of legal service at a certain level by limiting people in legal markets who may provide specific legal services or by paying them above a certain amount of pay. Furthermore, legal market should be stabilized in order to control the rate of new lawyers entering the market by forming individual law offices. Finally, the benefit which can be earned by government controlling attorney job market is all about promoting jurisdiction welfare for citizens by maintaining the quality of legal service, not about job creation for lawyers. In this perspective, lawyers should be employed as public officials at central government agencies and local governments, and as members of administrative officials, lawyers should secure the financial means of existing middle managers. Other important utilization plan, such as expanding law clerk system of the court, adopting legislative control of the Congress, increasing employment of lawyers in small business tribune, hiring lawyers for the members of the rehabilitation during the regenerative procedures, can be reviewed.

      • KCI등재

        법학전문대학원과 사법연수원 교육이 직장선택 고려사항과 법조현실 평가에 미치는 영향

        이준웅 ( June Woong Rhee ),이재협 ( Jae Hyup Lee ),황현정 ( Hyun Jung Hwang ) 법과사회이론학회 2015 법과 사회 Vol.0 No.50

        This study explores whether the dual legal educational system resulting from the introduction of the law school system in 2009 has led to differentiated socialization effects on lawyers who were educated at a law schools (‘law school lawyers’) and at the Judicial Research Training Institute (‘JRTI lawyers’). We investigated the differences, if any, in perceptions about the law and legal phenomena and in lawyers’ considerations in choosing legal employment. We also looked at whether these differences might have affected the law school lawyers’ and the JRTI lawyers’ evaluations of legal institutions (courts, prosecutor’s office, etc.) and views about the existence of jeongwanyeu (preferential treatment for former judges and prosecutors), as well as their opinions about legal reform. The data came from the survey conducted by Seoul National University Law Institute in 2014, titled “The Structure of the Legal Profession and the Legal Consciousness of Lawyers in Korea.” The results revealed the law school lawyers considered value-related aspects more in choosing their legal employment. However, there were no substantial differences in the recognition of the function of the law and legal phenomena. Moreover, even after controlling the effects of individual differences, lawyers’ evaluations of the realities of the legal profession differed according to where they are educated. The law school lawyers evaluated the jury trial more positively than the JRTI lawyers, while the JRTI lawyers assessed the impartiality of the prosecutors’ office more positively than the law school lawyers. The combined results support our hypothesis that young lawyers chose their legal employment differently and evaluate the legal realities differently depending on where were educated between at a law school and at the JRTI.

      • KCI등재

        변호사법 제109조 제1호 후단의 ‘이러한 행위를 알선한 자’의 의미

        최상욱(Choi Sang Ug) 한국형사법학회 2016 형사법연구 Vol.28 No.4

        비변호사가 법률사무를 알선하는 행위는 대상자를 불문하고 변호사법 제109조 제1호 후단에 의해 처벌되어왔다. 제109조 제1호에 해당하는 자로부터 법률사무를 알선 받은 변호사는 제109조 제2호, 제34조 제3항의 적용을 받는다. 그런데 신설된 제34조 제1항은 알선대상자를 변호사 또는 그 사무직원으로 한정하고 있다. 그러므로 비변호사가 변호사에게 법률사무를 알선하면 제109조 제2호, 제34조 제1항이 적용된다고 보아야 한다. 그런데 비변호사를 이들 조항을 적용하여 처벌하면 알선 받은 변호사를 제109조 제2호, 제34조 제3항으로 처벌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처벌상의 흠결을 막기 위하여 대법원은 비변호사에게 제109조 제2호, 제34조 제1항뿐만 아니라 제109조 제1호도 적용하고 있다. 그런데 제34조 제2항이 신설되어 비변호사로부터 사건을 알선 받은 변호사가 처벌을 면하는 길을 봉쇄되었다. 그럼에도 대법원은 종래의 해석론을 그대로 고수하고 있다. 제109조 제1호 후단의 ‘이러한 행위를 알선한 자’라 함은 비변호사가 법률사무를 취급함에 있어 그러한 행위를 할 수 있도록 사건을 알선한 자라는 의미로 파악해야 한다. 그러므로 알선대상자는 비변호사로 한정된다고 보아 변호사에 대한 비변호사의 사건알선행위는 제109조 제2호, 제34조 제1항의 적용을 받는다고 보아야 한다. 한편 제109조 제1호의 알선대상자에 변호사도 포함된다는 대법원의 태도에 의하면 비변호사로부터 법률사무를 알선 받고 금품을 제공한 변호사에게 제34조 제2항과 제34조 제3항이 중복 적용되는 결과가 발생한다. 이는 제34조 제1항을 신설하면서 그 적용범위의 일부가 제109조 제1항 후단과 중복되는 것을 배려하지 않은 결과이다. 제109조 제1호의 알선대상자에서 변호사가 제외된다고 보면 중복 적용의 문제가 해소된다. An act of referring legal affairs by non-lawyers is subjected to punishment according to the latter part of Article 109, Section 1 of Attorneys-at-Law Act, no matter who they are. Lawyer who have legal affairs referred by offenders of Article 109, Section 1 are subjected to Article 109, Section 2 and Article 34, Clause 3. Article 34, Clause 1, which has been newly added, restricts the subjects of referral to lawyers or their office workers. As a result, when non-lawyers refer legal affairs to lawyers, they are subjected to Article 109, Section 2 and Article 34, Clause 1. When non-lawyers are punished by the application of those clauses, however, lawyers, the subjects of referral, cannot be punished according to Article 109, Section 2 and Article 34, Clause 3. The Supreme Court applies Article 109, Section 1 as well as Article 109, Section 2 and Article 34, Clause 1 to non-lawyers in order to prevent any deficiency in punishment. The addition of Article 34, Clause 2, however, blocks a path to the punishment of lawyers that had a case referred by non-lawyers, in spite of which Supreme Court maintains the old interpretation theory, which is clearly unjust. Those who have referred such an act in the latter part of Article 109, Section 1 should be interpreted to point to those who have referred a case so that non-lawyers can commit such an act in addressing legal affairs. The subjects of referral should thus be restricted to non-lawyers, and Article 109, Section 2 and Article 34, Clause 1 should be applied to non-lawyers act of case referral to lawyers. Article 109, Section 2 and Article 34, Clause 2 are applied to lawyers who have legal affairs referred by non-lawyers and provide money and valuables to them. When lawyers have legal affairs referred by non-lawyers without offering them reward, they should be punished according to Article 109, Section 2 and the former part of Article 34, Clause 3. If lawyers are excluded from the scope of subjects of referral in Article 109, Section 1, the scope of application of former part of Article 34, Clause 3 will be reduced. It will be valid to resolve the problem according to the legislative measures for Article 34, Clause 3.

      • KCI등재

        변호사의 학벌/학력, 전관 (前官), 그리고 주변화: 대한제국 시기에 등록한 조선인 변호사들의 주변화와 식민지 문화 및 사회자본

        박천웅 ( Chun Woong Park ) 법과사회이론학회 2015 법과 사회 Vol.0 No.50

        This research paper examines the marginalization of practicing lawyers in colonial Korea 1920-30s. While high-status lawyers are characterized with higher income, practicing law in a large city, stable client relations, low-status lawyers are featured by lower income, practicing law in a small city, unstable client relations. Thus frequent transfers to smaller cities as well as relatively lower income indicate one aspect of lawyer’ marginalization processes. Through analyzing archival data during the colonial period (1910-45) such as lawyer transfer notices on the Japanese Colonial Government Gazette, classified documentations on lawyer registration produced by the colonial government, and an annual income survey of lawyers in Northwestern Korea, I discover that lawyers who reported lower incomes and frequently transferred from larger cities to smaller cities in the 1920-30s were Koreans who had registered circa 1906-10 and practiced law since then. I explain the Korean lawyers’ marginalization process in terms of relatively lower educational background and lack of social networks. With these findings, this paper argues that lawyers with little cultural and social capitals are marginalized in the social structure of the ba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