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학습자의 활동중심의 내재적 가치 탐색

        허경섭 ( Gyeong Seob Heo ) 한국교육철학학회(구 교육철학회) 2010 교육철학연구 Vol.50 No.-

        본 연구는 학습자의 활동중심에서 교육의 내재적 가치를 탐색하는 것이다. 내재적 가치에 대한 전통적인 논의는 객관적이고 합리적인 지식을 중심으로 하여 이루어져 왔기 때문에 실제적인 좋은 삶을 소홀히 한다는 비판을 받고 있다. 허스트의 후기 철학과 맥킨타어어의 practice 개념을 통해 본 활동중심의 내재적 가치는 이론적 지식으로 환원되지 않지만 나름대로 의미 있는 것으로 간주될 수 있는 수많은 실제적인 활동들이 있다는 인식에서부터 비롯된다. 활동중심의 내재적 가치는 인간활동을 통해서 형성된 것인 만큼, 가치의 실현 또한 구체적인 경험과 활동을 통해서만 확인되고 인식되는 가치라고 할 수 있다. 활동중심의 내재적 가치는 교육활동 자체에 함의되어 있는 가치들을 교육의 본질로 회복시키려는 시도이기 때문에 실제적인 교육현장에서는 이론적인 영역과 실천적인 영역, 교육의 내용과 방법을 유기적으로 통합시키는 설명체계이다. 따라서 의미 있는 교육은 학습자들이 대하고 접촉하는 모든 과정을 통해서 자신을 둘러싸고 있는 환경의 조건들을 진솔하게 이해하고 이것을 체계화함으로써 올바른 삶의 모습을 스스로 터득할 수 있는 능력을 길러주는 것이며 실제로 그러한 삶을 살게 해주는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essay is to inquire into the intrinsic value of activity-based education. Traditionally, the idea of intrinsic value has been mainly established by the eternally and permanently valuable knowledge which can be justified irrespective of the factors in practical life. Therefore, the traditional intrinsic value models have not largely contributed to the learners` morality and personality development, since they neglect the learners`s sensitive faculties, and desires, the essential elements that lead to good life. Activity-baesd intrinsic value viewed from Hirst`s later philosophy and MacIntyre`s idea of ``practice`` are derived from the perception that there are some activities which may not be shifted to theoretical knowledge but lead to understand the world with their own concepts; that is, there are a lot of practical activities that are not regarded as theoretical activities but as their own meaningful ones. The discussion about the ``practice`` in this study emphasizes that it should include all the meaningful things on the basis of total practical life. In view of practical activities, intrinsic values can be formed by human activities. In this sense, values also can be realized through specific experience and activities. Therefore, the activities that are revealed and justified outwards take priority, not the values themselves, which are stuck inwards. As such, since actual activities come first, the intrinsic value is not unchangeable and absolute but continue changing with the alteration of society and traditions. That the intrinsic value is revealed through activities means that the value is not fixed and unchangeable, but alters depending on what kind of subjective idea the experiencer has and what meaning the activist gives to the activity. Thus, activity-based intrinsic value emphasizes that education is not simply obtaining knowledge, but making our own way of life order by doing educational activities in our own way. And then, through the course, the total stories of life will be formed that we consider desirable, and the personality suitable for such totality or wholeness will be developed, and ultimately the common good of community can be pursued. Activity-based intrinsic value tries to let those good things which are implicated in the educational activity itself go back to the nature of education. Thus, in the actual educational field, activity-based intrinsic value may be some kind of explanatory system that combines organically the theoretical regions with practical regions, and the educational contents with its methods. As a result, the educational growth may be achieved through all the courses that learners face and encounter exploring on their own those which will bring abiding values. That is to say, the meaningful education leads us to understand our surroundings and systematize them so that we are able to realize what is right life, and live such life.

      • KCI등재

        생태중심주의에서 내재적 가치 논쟁 - 도덕과 교육내용으로서 생태중심주의 분석과 제언 -

        김남준 ( Kim Nam-joon ) 한국윤리교육학회 2019 윤리교육연구 Vol.0 No.54

        본 논문의 주요 목적은 “내재적 가치는 인간의 의식이나 평가에 의존적인 것인지, 아니면 인간의 의식이나 평가로부터 독립적인 것인가?”라는 질문을 중심으로 캘리콧의 가치 주관주의와 롤스톤의 가치 객관주의를 비교·논구함으로써 내재적 가치에 대한 생태중심주의 내부의 논쟁을 분석하는 것이다. 캘리콧은 흄, 다윈, 레오폴드로 이어지는 학문적 흐름 속에서 탈인간중심적이면서도 인간 기원적인 내재적 가치로서 본래적 가치를 지지한다. 캘리콧과 비교할 때, 롤스톤은 가치 관찰자와 가치 담지자를 구분함으로써 인간중심적이지도 않고 인간 기원적이지도 않은 객관적이고 자율적인 내재적 가치를 옹호한다. 캘리콧과 롤스톤 모두 인간 이외의 존재와 생태계가 비도구적 가치를 갖는다는 입장에 서 있다. 그런데 캘리콧의 본래적 가치는 인간의 의식이나 평가에 의존적이기 때문에 ‘일부를 생략하여 줄인 의미에서의’ 내재적 가치로 평가되고, 롤스톤의 내재적 가치는 인간의 의식이나 평가로부터 독립적이기 때문에 ‘문자 그대로의’ 내재적 가치로 평가된다. 캘리콧과 롤스톤의 가치론은 개체의 가치보다 생태계의 가치에 우선성을 두기 때문에 전체주의 문제에서 자유로울 수 없고 개체의 가치가 생태계의 가치에 의존적인 측면이 있기 때문에 개체가 문자적 의미에서 내재적 가치를 지닐 수 있는지에 대한 의문이 제기될 수도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캘리콧과 롤스톤의 가치론이 내재적 가치를 지닌 존재의 범위를 개체에서 생태계로 확장하고, 인간 이외의 존재와 생태계에 대한 인간의 도덕적 의무를 정당화함으로써 생태중심주의를 정립하는 데 기여한 바를 평가절하할 수는 없다. 본 연구는 이러한 논구를 바탕으로 중등 교과서의 생태중심주의 관련 내용을 분석하고 다음과 같은 두가지 사항을 제언한다. 첫째, 생태중심주의에서 본래적 가치 또는 내재적 가치라는 용어는 개별 학자의 입장에 적확한 방식으로 기술되어야 한다. 둘째, 생태계의 안정과 질서, 선의 실현을 위한 인간의 역할에 대한 내용은 생태중심주의의 기본 입장에 부합하는 방식으로 기술되어야 한다. 이와 같이 중등 교과서의 생태중심주의 관련 내용이 정확한 이론적 토대 위에 근거함으로써 인간 이외의 존재 및 생태계와 올바른 관계를 형성하고 지구적 수준의 환경 위기를 극복하려는 학생들의 도덕적 태도와 역량을 함양하는 데 기여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se a debate on intrinsic value in ecocentrism. By doing so, I have compared Callicott’s value subjectivism with RolstonⅢ’s value objectivism focusing on the question “Is intrinsic value independent on consciousness and valuation of valuer?” In the academic tradition of Hume, Darwin and Leopold, Callicott advocates inherent value of non-human beings and ecosystem as the concept of nonanthropocentric and anthropogenic intrinsic value. Compared with Callicott, RolstonⅢ advocates the concept of nonanthropocentric, nonanthropogenic, objective and autonomous intrinsic value by distinguishing between value holder and beholder. They all insist that non-human beings and ecosystem have non-instrumental value. However, Callicott’s inherent value is called intrinsic value in a truncated sense because it is dependent on consciousness and valuation of valuer. Compared with Callicott’s inherent value, RolstonⅢ’s intrinsic value is called a literally intrinsic value because it is independent on consciousness and valuation of valuer. Although they are criticized because of totalism, individual’s intrinsic value etc, we should respect their contribution to ecocentrism. They have contributed to establishing ecocentrism by expanding the scope of intrinsic object from individuals to ecosystem, and justifying our moral duties to non-human beings and ecosystem. Based on this argument, I have reviewed the contents on ecocentrism in the textbooks for moral education in middle & high schools of 2015 Revised National Curriculum. As a result, I have given two suggestions. First, the term ‘inherent value’ or ‘intrinsic value’ in ecocentrism should be described in accordance with each ecocentrist’s position. Second, the contents on our role for the realisation of the stability, order and good of the ecosystem should be described in accordance with the basic position of ecocentrism. As such, the contents on ecocentrism should be based on accurate theoretical foundation, thus contributing to fostering students’ moral attitudes and capabilities to build a right relationship with non-human beings and ecosystem, and to overcome the global ecological crisis.

      • KCI등재

        대학교 졸업 청년층의 외재적 직업가치, 내재적 직업가치, 직무만족도간의 연도별 관계 분석

        김동심,정수인 경성대학교 산업개발연구소 2016 산업혁신연구 Vol.32 No.2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고용정보원의 대졸자직업이동경로조사(GOMS: Graduates Occupational Mobility Survey) 7차 2011년 ∼ 9차 2013년 자료를 활용하여 시간에 흐름에 따른 대학교 졸업 청년층의 외재적 직업가치, 내재적 직업가치 및 직무만족도의 변화를 살펴봄과 동시에 외재적 직업가치와 내재적 직업가치가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는 것이다. 연구 결과, 외재적 직업가치, 내재적 직업가치, 직무만족도는 시간에 흐름에 따른 유의한 변화를 보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대학교 졸업 청년층의 외재적 직업가치와 내재적 직업가치는 시간이 흐를수록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며. 직무만족도는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또한 외재적 직업가치가 내재적 직업가치에 비해 높았으며, 외재적 직업가치의 감소폭이 내재적 직업가치의 감소폭보다 크게 나타났다. 뿐만 아니라, 외재적 직업가치, 내재적 직업가치와 직무만족도간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외재적 직업가치와 내재적 직업가치 초기값은 직무만족도 초기값에 부적 영향을 미쳤으며, 외재적 직업가치와 내재적 직업가치 초기값, 외재적 직업가치 변화율은 직무만족도 변화율에 영향을 미쳤다. 외재적 직업가치 초기값과 외재적 직업가치 변화율은 직무만족도 변화율에 정적으로 영향을 미치게 되며, 높은 외재적 직업가치 초기값과 변화율을 가져온다. 이는 직무만족도가 증가하는 변화율이 크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연구는 대학교 졸업 청년층의 외재적 직업가치와 내재적 직업가치가 직무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을 종단적으로 살펴봄으로써 변화의 양상을 확인하였다는데 의미가 있으며, 인적자원개발(HRD: Human Resource Development) 분야에 있어서 대학교 졸업 청년층에 대한 이해를 높이는데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observe changes in intrinsic and extrinsic work value, job satisfaction of a college graduate through time and effects of intrinsic and extrinsic work value on job satisfaction. The results indicated relevant changes in intrinsic and extrinsic work value, job satisfaction through time. Intrinsic and extrinsic work value decrease significantly. Job satisfaction increases significantly. Also, extrinsic work value was higher than intrinsic work value, the extrinsic work value faster than decline of intrinsic work value. Besides, the relations among extrinsic work value, intrinsic work value and job satisfaction are as follows. The initial values of intrinsic and extrinsic work value negative affected initial value of job satisfaction. And rates of intrinsic and extrinsic work value change influence on rate of job satisfaction change. The initial value and rate of change of extrinsic work value make an positive impact on the rate of job satisfaction of change, then this brings high initial value and rate of change of extrinsic work value. This means that large rate of job satisfaction increase. This study may be meaningful in that checked out the change patterns longitudinally through take a look at process of intrinsic and extrinsic work value of college graduate affect on job satisfaction. And this provide basic date for what the field of HRD of university or company’s organization better understand the a college graduate.

      • KCI등재

        문화예술 활동의 가치 생산성에 대한 인문학적 근거

        홍병선(Hong, Byung-Sun) 중앙대학교 중앙철학연구소 2016 철학탐구 Vol.43 No.-

        이 글의 목적은 문화예술 활동이 갖는 본질적 가치에 대한 해명과 아울러 경제적 가치와의 상관관계에 대한 분석을 통해 일련의 문화예술 활동이 경제적 가치 창출과 어떠한 연관성이 있는지에 대한 이론적 토대를 마련하고, 문화예술의 가치 생산성에 대한 인문학적 근거를 제시하는데 있다. 경제적 가치로서의 재화는 그 자체로 생존과 결부된 형태로 그 가치가 측정된다는 점에서 고유 가치와는 차별성을 지닌다. 경제적 가치의 축적에 의해 지배되는 시스템에서 재화의 많고 적음에 따라 상호 분열이 발생하게 되고, 결국 극단적인 상황에 의해 지배되는 경우가 발생하기도 한다. 그런 점에서 고유 가치를 인식하고 사회적 합의에 의거하여 경제소비자가 고유 가치를 향유할 수 있는 능력을 적극 계발할 수 있는 시스템의 구축이 요구된다. 따라서 고유 가치를 향유하면서 유효가치가 창출되는 올바른 사회시스템의 확립은 필수적이다. 이러한 시스템은 고유가치의 생산과 향유를 위한 일련의 경제활동을 전제로 한 창조적 문화예술 시스템이라고 할 수 있다. 문화예술 활동에 따른 고유 가치의 확보는 본질적으로 개개인의 자발성을 기초로 해서 이루어진다는 점에서 자율적인 창조 활동임에 분명하다. 하지만 사회·경제적 측면에서 문화예술 활동에 있어 제약이 뒤따르는 경우 또한 얼마든지 있을 수 있다. 이른바 고유 가치를 지니는 창작활동이 경제 활동과 무관할 수 없다는 점에서 시장 원리에 지배를 받기도 한다는 사실이다. 그래서 문화예술 활동이 때로는 시장 원리에 따른 교환과 소비를 거쳐 예술에 대한 향유로 이어지게 된다. 물론 이러한 사실이 예술 창조활동 자체에 따른 고유가치가 제한되거나 훼손된다고 단정하기는 어렵다. 왜냐하면 문화예술 관련 콘텐츠가 그 자체로 고유한 가치를 지니지만, 사회 전체의 맥락에서는 문화의 창조, 전달, 교류 등을 통한 경제적 가치가 문화예술 활동에 또 다시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intended to clarify the intrinsic value of cultural and artistic activities. For this reason, here insists that cultural and artistic activities through the elucidation of the correlation between the intrinsic value and the economic value provides a theoretical basis for what effects the creation of economic value, and more of the culture and arts in presenting the literary basis of value productivity. We know that it is essentially carried out by each person of spontaneity to the original to ensure the intrinsic value of cultural and artistic activities. In that regard, it is clear that what it is autonomous creative activity. However, there are constraints in cultural and artistic activities from the socio-economic aspects at any cost. For creative activities with the so-called intrinsic value can not be independent of the economic activity, they are dominated in the market principle. So cultural and artistic activities, sometimes through the consumption and exchange based on market principles, will be leading to the enjoyment of art. In order to follow market principles, it is not possible to conclude that the intrinsic value associated with artistic creation activity that is damaged or limited. This is because the economic value such as through the creation and transmission and exchange of culture in the whole context of society gives again impact on the cultural and artistic activities. Because the goods as economic value evaluates the value in the form associated with survival in itself, the intrinsic value has its differentiation. So that it is in the system dominated by the accumulation of economic value is divided depending on whether we owns the goods (large or small), and is generated by extreme circumstances eventually in any case. To get out of this situation, we recognize the intrinsic value based on a social consensus and the principal economy of a system capable of actively to enlighten our ability and to enjoy the intrinsic value construction is required. Therefore, while enjoying the intrinsic value, the establishment of appropriate social system is essential to have the effective value. These systems asserted here assume economic activity for the creation and the enjoyment of intrinsic value.

      • KCI등재

        사회복지전공학생의 내재적·외재적 직업가치와 취업스트레스가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최소연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7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7 No.10

        Since social welfare is a profession that requires internalization of professional job value, the value of work itself is more important than external conditions. However, recently, while advocacy for social workers’ rights and discussions on improving their working conditions continue, the value of professional jobs is relatively overlooked. In addition, the low employment rate due to oversupply of social workers is linked to the job seeking stress and uncertain future of students majoring in social welfa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level of intrinsic/extrinsic work value and job seeking stress of social welfare students, and to examine how these variables affect career attitude maturity. In order to minimize the influence of the potential factors affecting the preceding variables, this study focused on the third and fourth grade undergraduate students of social welfare major at one selected university.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identified the effects of work value and job seeking stress on the level of career attitude maturity (decision, purpose, confidence, preparation, independence). The average of work value was similar in intrinsic value (3.9) and extrinsic value (3.93), and the mean of job seeking stress was 2.6 in the 5 point scale. Model 1 of the hierarchical regression included gender and grade. Model 2 added work value (intrinsic, extrinsic) to the Model 1. Model 3 added job seeking stress to the Model 2. The results showed that male students had higher decision and confidence maturity than female students, and that grade in the previous semester had negative effects on preparation and independence maturity. Intrinsic work value had negative influence on purpose maturity (p>.001) but had positive influence on confidence maturity. External work value had positive effects on purpose and confidence maturity. Job seeking stress had negative effects on decision, confidence, and independence maturity, but had positive effect on purpose maturity. Based on this research results, this study proposed discussions to improve the career attitude maturity of social welfare major students. 사회복지는 전문직업가치의 내면화를 요하는 직업으로 외적 조건보다는 업무자체에 대한 가치가 보다 중요한 직업동기가 된다. 그러나 최근에 사회복지사에 대한 권익옹호와 근로조건 향상에 관한 논의가 지속되는 가운데, 전문직업의 가치에 대한 것은 상대적으로 간과되고 있는 상황이다. 뿐 만 아니라 사회복지사의 공급과잉으로 인한 낮은 취업률은 사회복지전공학생들의 취업에 대한 스트레스로 연결되고 있고 진로에 대해 확정을 하기 어려운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사회복지전공학생의 직업에 대한 내재적가치와 외재적가치의 수준과 취업에 대한 스트레스의 수준을 파악하고, 이들 변수가 진로성숙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선행변수에 영향을 미치는 제3의 요인의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 한 대학을 설정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사회복지전공대학생 3,4학년을 대상으로 직업에 대한 내재적, 외재적가치와 취업에 대한 스트레스의 수준을 파악하였으며, 사회복지학부생의 진로태도성숙(결정성, 목적성, 확신성, 준비성, 독립성)에 직업가치와 취업스트레스가 미치는 영향을 위계적 회귀분석을 통해 확인하였다. 직업가치는 내재적가치(3.9)와 외재적가치(3.93)의 평균이 유사하였으며, 취업스트레스의 평균은 5점 척도에서 2.6을 나타냈다. 직업가치와 취업스트레스가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시 위해 분석모델1은 성별과 학점을, 모델2는 모델1의 성별과 학점에 직업에 대한 내재적가치와 외재적가치를, 모델3은 취업스트레스의 변수를 추가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성별은 남학생이 결정성 성숙과 확신성 성숙이 높았으며, 직전학기의 학점은 준비성과 독립성에 (-)의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내재적 직업가치는 목적성 성숙도에 (-)의 영향, 확신성 성숙도에는 (+)의 영향을 미치고 있었으며 외재적가치는 목적성과 확신성에 (+)의 영향. 확신성 성숙도에는 (-)의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취업스트레스가 높을수록 결정성, 확신성, 독립성 성숙도가 낮았으며 목적성 성숙도는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연구결과에 근거하여 사회복지전공학생들의 진로태도성숙을 제고하기 위한 논의를 제시하였다.

      • KCI등재

        The effects of airline service quality on intrinsic value, extrinsic value, satisfaction, commitment, and loyalty

        강경완,정현화,신재익 한국관광연구학회 2021 관광연구저널 Vol.35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intrinsic value, extrinsic value, satisfaction, commitment, and loyalty in the quality of airline service provided by airlines in Korea. Also, differentiated marketing strategies and practical proposals are suggested. A total of 236 questionnaires from passengers who had flown on full-service carriers and low-cost carriers were used for the hypothesis test. The sub-dimensions of airline service quality were composed of tangibles, reliability, responsiveness, assurance, empathy, website information, website ease-of-use, and website security. AMOS 20.0 was used for confirmation factor analysis and path analysis. The results of the second-order structural model testing are as follows. First, airline service quality had the biggest influence on intrinsic value in the effect of airline service quality on intrinsic value, extrinsic value, and satisfaction. Second, intrinsic value had more influence on satisfaction than extrinsic value. Third, satisfaction had a higher effect on commitment than loyalty. Fourth, responsiveness and reliability were found to be the most important factors of airline service quality, and their influence on intrinsic value, extrinsic value, and satisfaction was bigger than the other factors.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e study are presented in the conclusion.

      • KCI등재

        교육의 내재적 가치 관점에서 지속가능발전교육의 교육적 고찰과 발전 방향 연구

        임효진(Hyo Jin Lim),이두곤(Du Gon Lee) 한국환경교육학회 2016 環境 敎育 Vol.29 No.4

        이 연구는 지속가능발전교육의 교육의 내재적 가치를 규명함으로써 교육적 의의를 찾고, 교육의 내재적 가치를 통한 지속가능발전교육의 발전 방향을 모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 결과는 첫째, 교육의 내재적 가치 관점에서 지속가능발전교육은 학생들이 사물과 현상을 볼 수 있는 안목을 길러준다. 둘째, 지속가능발전교육은 학생들이 본성을 회복하여 심성을 함양할 수 있도록 돕는다. 교육의 내재적 가치 관점을 반영한 지속가능발전교육의 발전 방향은 다음과 같다. 첫째, 지속가능발전교육은 교육의 내재적 가치를 더욱 지향해야 하며, 교육의 지속가능성을 위해 교육관이 변화해야 한다. 둘째, 지속가능발전교육의 교수학습 방법은 내재적 가치를 증진시키는 방향으로 전환되어야 한다. 셋째, 지속가능발전교육의 평가 관점은 학생의 성장 과정에 중점을 두는 과정중심평가로 전환되어야 한다. 넷째, 지속가능발전교육의 내재적 가치 이해 증진을 위해 교사 교육을 실시해야 한다. 이 연구를 통해 지속가능발전교육의 내재적 가치에 대해 주목하면서, 교육의 내재적 가치를 기반으로 지속가능발전교육이 학교교육에서 더욱 탄탄한 교육적 토양을 갖고 성공적으로 자리 잡아가게 되길 바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look at the educational significance by illuminating the intrinsic value of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ESD), and to seek direction for development of ESD through the intrinsic value of education. The study was conducted through literature research, an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ESD from the perspective of intrinsic value of education is worth forming a perspective to see phenomena for students. Various adjectival education and integrative perspective of ESD forms an insight wherein students see the world to be holistic, while extending the students experience. Second, ESD cultivates the primordial mind by restoring it to its original nature for the students. This enable students to feel a moral obligation and responsibility to environmental, economic and social minorities, and acquire a good mindset in the course of helping others without expecting anything in return. The direction for development of ESD reflecting the intrinsic value of education is as follows: First, ESD should be more oriented to the intrinsic rather than the extrinsic (or instrumental) value of education, and change it to educational viewpoints to pursue the sustainability of education. Second, the teaching methods of ESD should be changed in the direction of enhancing the intrinsic value. Third, the evaluation of ESD should be converted to process-centered assessments that focus on the growth of students. Fourth, in the teacher training and professional development of in-service teachers, understanding the intrinsic value of ESD should be emphasized, and the programs should be designed to help experience the intrinsic value and recognize its importance. As elucidated about the intrinsic value of ESD through this research, ESD based on the intrinsic value of education is expected to develop and to establish itself in schools.

      • KCI등재

        고유가치와 효용가치의 양립가능성 문제 : 문화예술 활동의 가치 생산성을 중심으로

        홍병선(Hong, Byung-Sun) 한국문화융합학회 2020 문화와 융합 Vol.42 No.6

        이 논문의 목적은 문화예술 활동에 따른 본질적 가치(고유가치)와 경제적 가치(효용가치)와의 상관관계에 대한 해명을 통해 두 가치가 상호 양립할 수 있는지에 대한 철학적 근거를 마련하려는데 있다. 무엇보다 고유가치와 효용가치의 양립가능성은 문화예술 활동이 경제적 활동을 포함하는 구조로 드러나게 된다는 점을 받아들여야만 할 것이다. 그런데 고유가치와 효용가치의 양립 가능성을 둘러싼 대립의 중심에는 인간과 시장과의 관계를 둘러싸고 전개되는 논변에 대한 이해를 전제로 한다. 이는 곧 인간의 행동이 무엇인가에 대한 문제로 귀착된다. 이에 대해 인간의 모든 행동은 시장 개념으로 이해할 수 있다는 베커의 주장과 모든 인간은 인센티브에 반응한다는 맨큐의 주장 이면에는 인간의 그 어떠한 행위도 시장 개념, 즉 효용가치와 연계된다는 의미를 함축한다. 하지만 베커와 맨큐의 주장을 정당화하기 위한 근거에 관한 문제가 제기된다. 이른바 두 주장에 대한 정당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인간의 본성’에 대한 이해를 전제로 한다. 그 중 하나가 인간은 선천적으로 도덕법칙을 타고난다는 칸트의 입장이라고 한다면, 다른 하나는 인간은 타고나면서 자신의 이익을 극대화하는 존재라는 홉스의 입장을 들 수 있다. 홉스의 입장에 따를 경우 고유가치가 효용가치로의 환원이 가능한 반면, 칸트의 입장에 따를 경우 고유가치와 효용가치는 상호 독립적이다. 따라서 고유가치가 효용가치로 환원되거나 혹은 상호 호환될 수 있다는 측면과 고유 가치와 효용가치는 상호 독립적이라는 측면이 동시에 성립될 수 있다는 점에서 상호 양립 가능하다는 결론으로 귀착된다. Through elucidating the correlation between the intrinsic value and the economic value (effective value) associated with cultural and art activities, this paper seeks to prepare the philosophical grounds for the compatibility of the two values. Above all, the compatibility of intrinsic value and effective value must accept that cultural and artistic activities are revealed in a structure that includes economic activity. However, at the center of the conflict regarding the potential compatibility of intrinsic value and effective value is the premise of understanding controversy that have been developed around the relationship between humans and the market. This is due to the question of what human behavior is. In contrast, all human actions can be explained by Gary Becker s assertion that all human behavior can be understood by the market concept and Gregory Mankiw’s argument that all humans respond to incentives. In other words, it implies that meaning is associated with utility value. However, questions have been raised regarding the justification for Becker’s and Mankiw s claims. In order to ensure the so-called legitimacy of these claims, an understanding of “human nature” is necessary. One such understanding is that of Immanuel Kant, who believed that human beings were born with and share moral laws. Another understanding of human nature is that of Thomas Hobbes, who propounded that human beings relentlessly pursue their own self-interest. According to the Hobbesian position, unique value can be returned to utility value. However, unique value and utility value are mutually independent in Kant’s view. Therefore, the notion that intrinsic value is returned to utility value or that intrinsic value and the utility value can be established simultaneously as mutually independent aspects can be substantiated through the conclusion that compatibility between the two values is possible.

      • KCI등재

        백화점 점포속성이 소비자의 쇼핑경험가치에 미치는 영향: 외재적 가치와 내재적 가치를 중심으로

        허정,여찬구,김태민 한국유통경영학회 2018 유통경영학회지 Vol.21 No.6

        Recently, consumers are pursuing various values beyond just purchasing products, and various retail channels such as online, omni channel, and outlets are emerging in the retail industr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ablish a marketing strategy to rebound in the recession of the department store market and shopping experience value is proposed as key factor of its strategy. The value of shopping experience can be classified into external value to be satisfied by practical shopping and intrinsic value to enjoy itself regardless of the result of shopping proces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When considered that the attributes of goods and services and employee service quality in department stores constitute extrinsic value, and store atmosphere and extra service facilities constitute intrinsic value, it is hypothesized that extrinsic and intrinsic value affect consumers' satisfaction. As a result of mall intercept survey to department store customers, products and services affected extrinsic value, and store atmosphere influenced intrinsic value. Employees and extra service facilities did not significantly affect extrinsic value and intrinsic value, respectively. Finally, extrinsic value and intrinsic value have an effect on store satisfaction. Based on these results, implications related to store strategy of department store in the future have been discussed and limitations of research and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proposed. 최근 소비자들은 단순히 제품을 구매하는 것을 넘어서 다양한 가치를 추구하면서 소매업계에는 온라인, 옴니채널, 아웃렛 등 다양한 유통채널이 등장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침체되어 있는 백화점 시장에서 재도약하기 위한 마케팅전략을 수립하는데 있으며, 그 전략의 핵심요인을 쇼핑경험가치에서 찾고자 한다. 쇼핑경험가치는 실용적인 쇼핑에 의해 충족되는 외재적 가치와 쇼핑과정을 통해 일어나는 결과와 무관하게 그 자체를 즐기는 내재적 가치로 구분된다. 백화점 내 제품 및 서비스 속성, 종업원 속성은 외재적 가치를 구성한다고 보았고 점포 분위기와 부대서비스 시설은 내재적 가치를 구성한다고 보았을 때 외재적 가치와 내재적 가치는 소비자의 점포 만족도에 영향을 미친다고 보았다. 실제 백화점 고객을 대상으로 한 현장 설문 결과, 제품 및 서비스는 외재적 가치에 영향을 미쳤고 점포 분위기는 내재적 가치에 영향을 미쳤다. 종업원과 부대서비스 시설 등은 각각 외재적 가치와 내재적 가치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했다. 그리고 최종적으로는 외재적 가치와 내재적 가치는 점포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백화점 점포 전략과 관련한 시사점을 언급하고 연구의 한계점 및 향후 연구방향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환경정책가치에 대한 서설적 연구

        이시경(Lee Sikyung) 한국정책개발학회 2016 정책개발연구 Vol.16 No.1

        이 논문은 환경정책가치를 본질적 가치와 수단적 가치로 구분하고, 양자에 포함되는 주요 가치의 내용을 살펴보았다. 본질적 가치는 환경정책의 목표나 이념을 설정하는데 영향을 미치고, 수단적 가치는 정책수단의 선택과 비교평가의 기준으로 작용한 다. 본질적 가치는 지속가능한 개발과 기술지향주의와 생태지향주의를, 수단적 가치는 사후관리와 사전예방, 개별관리와 통합관리, 효율성과 형평성, 공동책임과 원인자 책임을 주요 변수로 선정하였다. 이러한 가치 구분은 환경정책 과정을 심층적으로 이해 와 바람직한 정책목표와 정책수단의 선택에 기여할 수 있다. A study on the environmental policy value is at its early stage, and previous studies are lacking. This article attempts to sketch out the environmental policy value. Value is defined criteria with the nature of value and covers standards, principles, ethics in previous studies. Based on a hierarchy of value theory of previous researchers, it is classified into intrinsic value and procedural value. This typology can be a catalyst of in-depth understanding on policy mechanisms and choice of the preferred policy goals and policy means. Intrinsic value is strongly related to policy ideology, and it structures a policy goal setting. Procedural value is used in the selection and evaluation of policy instruments. The intrinsic value of environmental policy is composed of sustainable development, technocentrism and ecocentrism. Procedural value is composed of postmanagement and precaution, individualism and integration, efficiency and equity, shared responsibility and polluters liability. This paper contributed to present a bigger picture of the environmental policy value and paving the ground for a more refined theor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