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박물관 관람객의 여가심리 연구 -내재적 동기, 몰입경험, 재관람의도 간의 관계성을 중심으로-

        정익준 한국자료분석학회 2008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Vol.10 No.2

        Based on museum that play a pivotal role in cultural tourism and also drive sustainable tourism booms, this study focuses on analyzing spectators' leisure psychology and behavior. In details, it deals with possible correlations among intrinsic motivation, flow experience, revisit intention of museum spectators. As a result, it is found that museum visit in form of active leisure activities and self-motivated participation has significant effects on flow experience, and the flow experience involving pleasure and substantial amusement has ultimately significant effects on revisit intention of spectators. These findings indicate that spectators tend to get flow experiences, if they discover any value complying with their own intrinsic goals, and flow experience after visiting museum exhibits works as antecedent of revisit intention. Therefore, in order for our museums to attract more spectators in near future, it is necessary to positively stimulate their intrinsic needs by putting stress on the ultimate nature of museum as a space for enjoying their leisure and improving quality of their life, as well as a public hall of art, science and education for better understanding of history and culture. Moreover, it is also necessary to prepare formulated auxiliary exhibition materials helpful for spectators' self-regulated learning and comprehension and develop exhibition planning involving displaying exhibits in historical and cultural context to who get flow experiences can feel motivated to revisit museum. 본 연구는 문화관광을 선도하고 지속가능한 관광 붐을 이끌어 가는 박물관을 찾는 관람객의 여가심리와 여가행동을 분석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박물관관람객의 내재적 동기, 몰입경험, 재관람의도 간의 관계성을 살펴보고 있다. 조사결과, 능동적 여가활동과 자발적 참여에 의한 박물관관람은 몰입경험에 유의하게 영향을 미치고, 즐거움과 본질적 재미와 같은 몰입경험은 궁극적으로 재관람의도에 유의한 영향력을 미침이 확인되었다. 이런 결과는 관람객 자신의 내적 목적과 부합해서 가치가 있다고 판단할 때 몰입을 경험하고 관람후의 몰입경험은 재관람의도의 선행요소임을 설명해 준다. 따라서 향후 관람객수를 증대시키려면 박물관은 여가선용과 삶의 질을 높이는 공간, 역사와 문화이해를 높이는 학술과 교양공간임을 강조하는, 내재적 동기를 적극적으로 자극할 필요가 있다. 또한 체계적인 전시보조자료의 제공으로 관람객의 자율적인 학습에 도움을 주고 전시물을 역사적 흐름과 문화적 맥락으로 전시하는 등의 전시기획을 통해 몰입경험자들이 다시 박물관을 찾아 관람할 수 있도록 유도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공무원의 책임성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김지현,문명재 한국인사행정학회 2024 한국인사행정학회보 Vol.23 No.2

        급격히 변화하는 행정 환경 속에서 국민들이 정부에 기대하는 역할과 기대수준은 높아지고 있으며, 행정에 있어서 공무원의 책임성 문제는 정부를 포함한 공공기관들에서 다루어야 하는 가장 중요한 핵심이라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공무원의 책임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규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지방자치단체 공무원들을 대상으로 하여 책임성을 두가지 측면에서 Romzek & Dubnick (1987)의 4가지 유형의 책임성(Four Accountability Model)과 개인의 인지적 책임성(felt accountability)로 나누어서, 이에 영향을 미치는 여러 가지 요인들을 조직문화, 직무관련, 개인동기 요인으로 나누어 통합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조직문화는 그 문화의 속성에 따라서 4가지 유형의 서로 다른 책임성에 각기 다른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효과를 보였다. 업무자율성은 법적, 전문적 책임성에 긍정적 영향을, 역할모호성은 책임성들에 대체로 부정적인 영향을, 내재적 동기가 높아지면 모든 책임성들이 높아지는 결과를 보였으며, 외재적 동기는 정치적 책임성을 제외한 나머지 책임성들을 높이는 결과를 가져왔다. 한편, 개인의 인지적 책임성에는 과업지향문화, 관계지향문화, 업무자율성, 내재적 동기가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본 연구는 공무원의 책임성의 선행요인에 관한 실증적 연구가 부족한 상태에서 책임성을 두 가지 수준으로 나누고 세분화하여 각각의 책임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선행요인들을 경험적으로 검증하였고, 공무원들의 책임성을 함양시킬 수 각각의 요인들에 대한 정책적 함의를 제공했다는 데 의의가 있다. This study aims to identify various factors that affect the accountability of local government officials particularlyt by examining accountability in two such aspects as Romzek & Dubnick’s four accountability model and individual felt accountability. The influencing factors were categorized and analyzed comprehensively into organizational culture, job-related factors, and personal motivation factors. The results show that organizational cultures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s on the four different types of accountability, depending on the attributes of the culture. Job autonomy is also positively associated with legal and professional accountability, while role ambiguity generally has a negative impact on accountabilities. Increased intrinsic motivation leads to higher levels of all types of accountability, whereas extrinsic motivation increases all accountabilities except for political accountability. On the other hand, task-oriented culture, relationship-oriented culture, job autonomy, and intrinsic motivation have positive effects on individual felt accountability. This study makes theoretical and practical contributions by empirically verifying the antecedents that can influence each type of accountability and providing policy implications for factors that can enhance public officials' accountability.

      • KCI등재

        한자 문화권의 역사 유산과 역사 연구자의 지적 곤경

        이훈상 ( Lee Hoon-sang ) 한국한문학회 2021 韓國漢文學硏究 Vol.- No.81

        이 연구는 역사학의 시점에서 일상 및 일상사가 한문학 연구에서 왜 중요하며 어떻게 조우하는 것이 바람직한지를 논의한 것이다. 아마도 대부분의 연구자는 이 연구가 서구의 일상 및 일상사 연구 동향 그리고 이에 촉발된 한국사의 연구 성과를 소개하는 것으로 생각할 것 같다. 그러나 이와 달리 이 연구는 俗利의 세계가 뚜렷하게 자신의 모습을 드러내기 시작한 19세기 후반의 새로운 역사적 경험이 논의의 중심이다. 바로 이 시기에 조선왕조의 지배 이데올로기인 禮治와 義理와 맞서고 타협하는 사회 문화적 역동성이 급격하게 분출하면서 한국에서 일상 또는 일상성이 정당성을 확보하기 시작하였고 나아가 이것이 근현대를 만든 중요한 전경임을 강조하고 있다 한편, 이 연구는 俗利의 중요 표상으로서 popular culture의 급격한 확산과 더불어 주변부 지역에서 상층 문화를 적극적으로 포섭하는 새로운 움직임 그리고 한자 문화권이 계급과 지역을 넘어 확산한 변화를 지목하였다. 이 같은 중요 동향은 오랫동안 간과 되었는데 필자는 이것이 정전과 중앙 중심의 헤게모니 나아가 엘리트 중심의 편향성에 기인한다고 보았다. 그리고 그 배경에 깔린 한국학계의 내재적 발전론이라는 거대 이론의 문제점을 지적하면서 한문학이 오히려 새로운 지평을 열 가능성도 모색하였다. 이 같은 논의를 위하여 필자는 자신의 지적 여정을 자전적 역사 민족지의 방법으로 풀어가는 방식을 채택하였다. 다양한 지적 영역과의 대화와 현장에서의 추체험 등을 강조하면서 역사 만들기에 자신이 어떠한 방식으로 개입하였는지를 고백하는 방식은 언제나 연구자 개인을 구속하게 마련인 거대 이념을 응시하고 맞서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보았다. This study discusses why everyday life and its history are important and what should be an issue in the study of Korean Literature in Classical Chinese in terms of historical study. The attempt to reevaluate the secular self-interest of Joseon Dynasty has not been made until now. However, this paper views the rapidly changing historical phenomena of Joseon Dynasty in late 19th century as the starting point for the study on everyday life history. While confronting and compromising with the norms of Confucianism, Joseon people began to seek for the secular self-interest embedded in everyday life. As its results, popular culture was rapidly spreaded and even the marginal areas began to actively accept the upper culture. The Chinese character culture was also spreaded beyond the limited high class. The fact that these important trends have long been overlooked among the Korean academics has been due to cannon-centered research, the central hegemony of Korean academism, and macro discourse such as intrinsic development hypothesis of Korean academic community. For the discussion, this paper is based on the methodology of autoethnography.

      • SCOPUSSCIEKCI등재

        하악두연골의 성장에 관한 시험관적 연구

        이동열(Dong-Yul Lee),남동석(Dong-Seok Nahm) 대한치과교정학회 1992 대한치과교정학회지 Vol.22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 of intrinsic factor and extrinsic factor for growth of the mandibular condylar cartilage of 4 day-old rats In a serum-tree medium for 1, 4, 7,14 days. They were compared with normal growth in vivo and with growth of spheno-occipital synchondrosis in serum-free medium. The cellular kinetics of cartilages were evaluated by autoradiography of tritiated thymidine. 1. Condylar cartilage was enlarged with rounded head on day 14 of experiment while in vivo the rounded-headed shape changed into functionally flattened appearance. 2. On day 14 of experiment, a severe reduction of the proliferative zone and a considerable increase of the hypertrophic zone were observed while in normal control group endochondrol bone formation and bone marrow were observed. 3. The proliferative activity in the proliferative zone of condylar cartilage detected by <sup>³</sup>H-thymidine incorporation was lower than that of normal control group and decreased more than that of spheno-occipital synchondrosis, but it continued during the 14 days of culture. 4. The continued maintenance of condylar cartilage and morphologic change were disturbed in this culture system, but cell division within the proliferative zone was continued and probably linked to intrinsic factor.

      • KCI등재

        존 화이트의 『학교에서의 웰빙 탐색』에 나타난 웰빙(well-being) 개념과 교육

        정문선 ( Jung¸ Moonsun ),유재봉 ( Yoo¸ Jaebong ) 한국교육철학학회 2021 교육철학연구 Vol.43 No.3

        교육의 목적이 무엇이어야 하는지에 대해 다양한 견해가 존재하지만, 학생들을 행복하게 혹은 잘 살도록 하는데 있다는 점에서는 별 이견이 없는 듯이 보인다. 화이트는 피터스와 허스트의 이론적 활동을 추구하는 자유교육론을 비판하며, 개인의 웰빙에 목적을 둔 교육을 제안했다. 그의 웰빙 개념은 시기에 따라 ‘반성 후 욕구 충족’, ‘검증된 욕구 충족’, ‘내재적으로 가치 있는 활동과 관계에 전심으로 참여하며 성공적인 삶’으로 수정되어 왔다. 그러나 그의 웰빙 개념은 여전히 분명하지 않다. 이 논문의 목적은 모호한 화이트의 웰빙 개념을 명료화하고, 그의 웰빙 교육관을 비판적으로 논의하고자 한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그의 웰빙 개념의 변천과정을 개관하고, 최근 웰빙 개념을 ‘내재적으로 가치 있는 활동과 관계’, ‘전심으로 참여’, ‘성공적인 삶’이라는 세 가지 준거를 중심으로 분석하며, 그의 웰빙 개념과 교육관을 검토한다. 그에 의하면, 웰빙은 개인의 선호나 욕구를 충족시키는 것에서 나아가 내재적으로 가치 있는 활동과 관계를 추구해야 한다. 화이트에 의하면, 개인의 웰빙에서 가치 있는 것의 기준이 자의적인 것이 아니라 문화 의존적일 수밖에 없다. 화이트의 웰빙 개념을 명료하게 하는 것은 ‘웰빙 교육’이 정확히 무엇이며, 실제로 어떻게 이루어져야 하는지에 대한 한 가지 예시를 보여준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clarify and discuss White’s conception of well-being and education. Many people agree that education should be the promotion of a pupil’s well-being, although they have different views on what constitutes well-being. White criticized Peters and Hirst’s liberal education as the pursuit of theoretical knowledge. He has revised his conceptions of well-being from time to time: “post-reflection desire satisfaction,” “informed desire satisfaction,” and “successful and whole-hearted engagement in intrinsically worthwhile activities and relationships.” Nevertheless, his concept of well-being remains unclear. In this paper, we analyze his recent concept of well-being based on three criteria: “intrinsically worthwhile activities and relationships,” “whole-hearted engagement,” and “successful life.” We also critically discuss his well-being education. White addresses the promotion of a pupil’s well-being, but he does not deny the overlapping objective values list. The overlapping objective values list implies that the criteria of personal preferences or desires for a successful life are culture-dependent. Well-being education is understood as helping everyone to enjoy this.

      • KCI등재후보

        문화예술분야의 경제적 가치측정 연구 경향 분석

        김세훈(Kim, Sehun) 한국문화산업학회 2015 문화산업연구 Vol.15 No.3

        그동안 문화예술분야의 효과와 관련한 연구는 주로 개인의 정서나 학습에 미치는 영향을 중심으로 교육적, 정서적 차원에서 다루어져왔다. 그러나 1990년대 이후 문화예술분야의 경제적 차원에 대한 사회적, 정책적 관심이 증가하였으며, 이에 따라 문화예술분야의 경제적 가치를 측정하고자 하는 연구들이 적지 않게 나타나기 시작하였다. 본 연구는 문화예술분야의 경제적 가치를 측정하는 연구경향이 어떻게 변화해 왔는지를 살펴보고, 이러한 측정에 사용된 방법이 어떠한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는지를 분석해보고자 하였다. 특히, 1990년대 중반 전후하여 나타나기 시작한 문화예술분야의 경제적 가치 측정에 대한 연구가 시기별로 어떠한 특징을 나타내며, 이러한 경제적 가치 측정을 위한 노력들이 어떠한 함의를 가지는지 살펴보았다. 이 연구에서 관심을 가진 부분은 기본의 문화예술분야 경제적 가치 측정 관련 연구가 문화예술분야의 비경제적 가치. 혹은 본원적 가치에 대해 어떻게 접근하고 있으며, 경제적 가치 측정이 이러한 본원적 가치 부분을 적절히 반영하고 있는지와 관련된 것이었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그동안의 연구들은 크게 세 가지 유형, 곧, 경제적 효과 측정에 대한 방법론 모색과 관련한 연구 유형, 문화예술행사나 시설의 경제적 파급효과를 측정하는 연구 유형, 문화예술의 경제적 효과측정에 대한 이론적 관심과 연결된 연구 유형으로 구분되었다. 이러한 연구들의 특징 또한 세 가지로 구분해 볼 수 있는데, 첫째는 1995년 지방자치제가 전면 시작되고 난 후 자치단체장들의 대규모 지역문화행사 개최와 관련하여 그 타당성을 입증하기 위한 ‘정치적 관심’에 기반 하여 추동되었다는 점과 둘째, 이론적, 방법론적 연구들이 선행된 것이 아니라 경제적 가치를 측정하는 연구들이 먼저 이루어졌다는 점 셋째, 문화예술의 경제적 가치 측정은 문화예술이 가지고 있는 본원적 가치에 대한 계량적 측정이 아니라, 문화예술과 관련된 행사나 시설을 ‘산업’적 측면에서 접근하여 그 가치를 여타 행사나 시설과 동일한 방법론을 적용하여 분석하고 있다는 점 등이 그것이다. 이런 점에서 이 연구는 문화예술분야의 경제적 효과에 대한 측정이 보다 체계적으로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문화예술의 고유가치와 효용가치에 대한 분석이 심도 깊게 이루어질 필요가 있으며, 이렇게 될 때 문화예술의 가치가 경제적인 측면에서 보다 적절하게 드러날 수 있다는 점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attempts to analyse research trends of economic value of culture and arts. For a long time, influences of culture and arts are mainly explored in the area of education and psychology. Often, it is underlined that culture and arts can have an influence on the development of individuals" learning and emotional stability. Thesedays, however, the interes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ulture and arts and its economic impact has been rapidly increased. The study analyses the change of research trends which explore the culture and arts" economic value. The research trends can be classified into three types. First type focuses on exploring methodology which is adequate to the analysis of culture and arts" economic value. Second type is related to the real analysis on the specific culture and arts festivals and venues. Last one has interest in the theoretical approach to the culture and arts area. In the background of the researches" emergence, there is a political motive. After the introduction of local self-governing system in 1995, local governments increased a various type of local and regional festivals and tried to seek rationale for public funding into the area. The research trends also show that the analysis of economic value was conducted without sufficient theoretical consideration. In the analysis,methodological approacheswhich are adequate to the culture and arts area are not seriously considered. As a result, it suggests that in order to analyse economic value, proper research methodology should be explored before applying the existing tools to culture and arts area, which are used to the other areas, and intrinsic value and non-use value of culture and arts area should be significantly taken into account in the exploration. 그동안 문화예술분야의 효과와 관련한 연구는 주로 개인의 정서나 학습에 미치는 영향을 중심으로 교육적, 정서적 차원에서 다루어져왔다. 그러나 1990년대 이후 문화예술분야의 경제적 차원에 대한 사회적, 정책적 관심이 증가하였으며, 이에 따라 문화예술분야의 경제적 가치를 측정하고자 하는 연구들이 적지 않게 나타나기 시작하였다. 본 연구는 문화예술분야의 경제적 가치를 측정하는 연구경향이 어떻게 변화해 왔는지를 살펴보고, 이러한 측정에 사용된 방법이 어떠한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는지를 분석해보고자 하였다. 특히, 1990년대 중반 전후하여 나타나기 시작한 문화예술분야의 경제적 가치 측정에 대한 연구가 시기별로 어떠한 특징을 나타내며, 이러한 경제적 가치 측정을 위한 노력들이 어떠한 함의를 가지는지 살펴보았다. 이 연구에서 관심을 가진 부분은 기본의 문화예술분야 경제적 가치 측정 관련 연구가 문화예술분야의 비경제적 가치. 혹은 본원적 가치에 대해 어떻게 접근하고 있으며, 경제적 가치 측정이 이러한 본원적 가치 부분을 적절히 반영하고 있는지와 관련된 것이었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그동안의 연구들은 크게 세 가지 유형, 곧, 경제적 효과 측정에 대한 방법론 모색과 관련한 연구 유형, 문화예술행사나 시설의 경제적 파급효과를 측정하는 연구 유형, 문화예술의 경제적 효과측정에 대한 이론적 관심과 연결된 연구 유형으로 구분되었다. 이러한 연구들의 특징 또한 세 가지로 구분해 볼 수 있는데, 첫째는 1995년 지방자치제가 전면 시작되고 난 후 자치단체장들의 대규모 지역문화행사 개최와 관련하여 그 타당성을 입증하기 위한 ‘정치적 관심’에 기반 하여 추동되었다는 점과 둘째, 이론적, 방법론적 연구들이 선행된 것이 아니라 경제적 가치를 측정하는 연구들이 먼저 이루어졌다는 점 셋째, 문화예술의 경제적 가치 측정은 문화예술이 가지고 있는 본원적 가치에 대한 계량적 측정이 아니라, 문화예술과 관련된 행사나 시설을 ‘산업’적 측면에서 접근하여 그 가치를 여타 행사나 시설과 동일한 방법론을 적용하여 분석하고 있다는 점 등이 그것이다. 이런 점에서 이 연구는 문화예술분야의 경제적 효과에 대한 측정이 보다 체계적으로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문화예술의 고유가치와 효용가치에 대한 분석이 심도 깊게 이루어질 필요가 있으며, 이렇게 될 때 문화예술의 가치가 경제적인 측면에서 보다 적절하게 드러날 수 있다는 점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attempts to analyse research trends of economic value of culture and arts. For a long time, influences of culture and arts are mainly explored in the area of education and psychology. Often, it is underlined that culture and arts can have an influence on the development of individuals" learning and emotional stability. Thesedays, however, the interes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ulture and arts and its economic impact has been rapidly increased. The study analyses the change of research trends which explore the culture and arts" economic value. The research trends can be classified into three types. First type focuses on exploring methodology which is adequate to the analysis of culture and arts" economic value. Second type is related to the real analysis on the specific culture and arts festivals and venues. Last one has interest in the theoretical approach to the culture and arts area. In the background of the researches" emergence, there is a political motive. After the introduction of local self-governing system in 1995, local governments increased a various type of local and regional festivals and tried to seek rationale for public funding into the area. The research trends also show that the analysis of economic value was conducted without sufficient theoretical consideration. In the analysis,methodological approacheswhich are adequate to the culture and arts area are not seriously considered. As a result, it suggests that in order to analyse economic value, proper research methodology should be explored before applying the existing tools to culture and arts area, which are used to the other areas, and intrinsic value and non-use value of culture and arts area should be significantly taken into account in the exploration.

      • KCI등재

        문화예술 활동의 가치 생산성에 대한 인문학적 근거

        홍병선(Hong, Byung-Sun) 중앙대학교 중앙철학연구소 2016 철학탐구 Vol.43 No.-

        이 글의 목적은 문화예술 활동이 갖는 본질적 가치에 대한 해명과 아울러 경제적 가치와의 상관관계에 대한 분석을 통해 일련의 문화예술 활동이 경제적 가치 창출과 어떠한 연관성이 있는지에 대한 이론적 토대를 마련하고, 문화예술의 가치 생산성에 대한 인문학적 근거를 제시하는데 있다. 경제적 가치로서의 재화는 그 자체로 생존과 결부된 형태로 그 가치가 측정된다는 점에서 고유 가치와는 차별성을 지닌다. 경제적 가치의 축적에 의해 지배되는 시스템에서 재화의 많고 적음에 따라 상호 분열이 발생하게 되고, 결국 극단적인 상황에 의해 지배되는 경우가 발생하기도 한다. 그런 점에서 고유 가치를 인식하고 사회적 합의에 의거하여 경제소비자가 고유 가치를 향유할 수 있는 능력을 적극 계발할 수 있는 시스템의 구축이 요구된다. 따라서 고유 가치를 향유하면서 유효가치가 창출되는 올바른 사회시스템의 확립은 필수적이다. 이러한 시스템은 고유가치의 생산과 향유를 위한 일련의 경제활동을 전제로 한 창조적 문화예술 시스템이라고 할 수 있다. 문화예술 활동에 따른 고유 가치의 확보는 본질적으로 개개인의 자발성을 기초로 해서 이루어진다는 점에서 자율적인 창조 활동임에 분명하다. 하지만 사회·경제적 측면에서 문화예술 활동에 있어 제약이 뒤따르는 경우 또한 얼마든지 있을 수 있다. 이른바 고유 가치를 지니는 창작활동이 경제 활동과 무관할 수 없다는 점에서 시장 원리에 지배를 받기도 한다는 사실이다. 그래서 문화예술 활동이 때로는 시장 원리에 따른 교환과 소비를 거쳐 예술에 대한 향유로 이어지게 된다. 물론 이러한 사실이 예술 창조활동 자체에 따른 고유가치가 제한되거나 훼손된다고 단정하기는 어렵다. 왜냐하면 문화예술 관련 콘텐츠가 그 자체로 고유한 가치를 지니지만, 사회 전체의 맥락에서는 문화의 창조, 전달, 교류 등을 통한 경제적 가치가 문화예술 활동에 또 다시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intended to clarify the intrinsic value of cultural and artistic activities. For this reason, here insists that cultural and artistic activities through the elucidation of the correlation between the intrinsic value and the economic value provides a theoretical basis for what effects the creation of economic value, and more of the culture and arts in presenting the literary basis of value productivity. We know that it is essentially carried out by each person of spontaneity to the original to ensure the intrinsic value of cultural and artistic activities. In that regard, it is clear that what it is autonomous creative activity. However, there are constraints in cultural and artistic activities from the socio-economic aspects at any cost. For creative activities with the so-called intrinsic value can not be independent of the economic activity, they are dominated in the market principle. So cultural and artistic activities, sometimes through the consumption and exchange based on market principles, will be leading to the enjoyment of art. In order to follow market principles, it is not possible to conclude that the intrinsic value associated with artistic creation activity that is damaged or limited. This is because the economic value such as through the creation and transmission and exchange of culture in the whole context of society gives again impact on the cultural and artistic activities. Because the goods as economic value evaluates the value in the form associated with survival in itself, the intrinsic value has its differentiation. So that it is in the system dominated by the accumulation of economic value is divided depending on whether we owns the goods (large or small), and is generated by extreme circumstances eventually in any case. To get out of this situation, we recognize the intrinsic value based on a social consensus and the principal economy of a system capable of actively to enlighten our ability and to enjoy the intrinsic value construction is required. Therefore, while enjoying the intrinsic value, the establishment of appropriate social system is essential to have the effective value. These systems asserted here assume economic activity for the creation and the enjoyment of intrinsic value.

      • KCI등재

        보상 수준과 혁신적 기업문화가 내재적 동기에 미치는 영향: 한국 근로자를 대상으로

        이환우 한국유통경영학회 2024 유통경영학회지 Vol.27 No.2

        Purpose: This p aper a ims to d emonstrate the ef fect of p ay as an extrinsic motivator on t he i ntrinsic m otivation of Korean w orkers a nd t o demonstrate the effect of innovative organizational culture as a factor that moderates this relationship. The first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implications for what is the theoretical background suitable for Korean workers in the romanticbehavioral debate on intrinsic motivation. The second purpose is to show that the ef fects o f e xternal f actors s uch as p ay o n intrinsic motivation m ay v ary depending on the situation, and finding such boundary conditions is important for the development of motivation theory.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This s tudy perf ormed a cross-sectional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using the Human Capital Corporate Panel (HCCP) Survey data from the Korea Vocational Education and Training Institute. The purpose of the HCCP Survey is to reveal the personal characteristics of individual workers of Korean companies through the accumulation of time series data on workers. The base point of the survey for this study is from January 1, 2020 to December 31, 2020, and the number of workers used in this survey is 9,516. Results: This paper found that the level of intrinsic motivation had a positive relationship with compensation, demonstrating that Korean workers are more consistent with the behaviorism that compensation will affect intrinsic motivation. It also shows that employee’s awareness of innovation culture can interact with compensation and affect intrinsic motivation. Implications: The research results of this paper show the e ff ect of pay on the intrinsic motivation of Korean workers, contributing to the theoretical development of research in the field of compensation and motivation. It also suggests to practitioners that incentives can effectively increase intrinsic motivation for Korean companies and cultivate innovative organizational culture to affect these effects substantially

      • KCI등재

        1964년의 조지훈과 민족문화 프로젝트

        고지혜 ( Ko Ji-hye )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2021 民族文化硏究 Vol.90 No.-

        이 논문은 1960년대 조지훈의 학술 활동을 조감하고 당대의 담론 지형 안에서 그 위치를 가늠해 보면서 ‘학인 조지훈’을 역사화하는 작업을 수행하고자 한다. 1964년에 조지훈은 단독저서 1권과 공동저서 2권을 출간하고 잡지 및 학술지에 3편의 논고를 발표 했으며,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소장으로서 학술지 『민족문화연구』를 창간하고, 『한국문화사대계』를 기획 및 출간했다. 이러한 조지훈의 학술 활동은 민족이라는 주체의 삶을 이루는 ‘거의 모든 지식’을 체계화하는 작업, 이른바 ‘학(學)으로서의 민족문화’를 수립하는 것으로 수렴된다. 즉, 조지훈은 ‘민족지 구축’과 ‘민족문화사 다시 쓰기’라는 방법론을 통해 민족문화학을 세우고자 했는데, 이러한 작업의 배면에는 면면히 이어 왔어야 할 단일민족의 전통과 문화가 제대로 계승되지 못했다는 문제의식이 자리하고 있었다. 1920년대생 조지훈의 학술 활동은 언제나 ‘일본’ 혹은 ‘식민의 경험’을 의식할 수 밖에 없었기에, 결국 조지훈이 몰두했던 것은 식민사학이 그토록 부정했던 ‘단일한 실체로서의 국가/민족’이 상정되고 작용될 수 있는 지식체계를 만드는 일이었으며, 이러한 ‘탈식민을 위한 욕망’이야말로 학인 조지훈을 추동하던 원동력이었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조지훈의 탈식민 민족문화학에 대한 구상은 식민지 조선학운동의 연구 성과에 기반을 둔 것이었다. 특히 최남선의 학술적 작업을 상당 부분 계승하고 있는 조지훈의 작업은 우리 민족문화(사)에 내재해 있는 인류의 보편적 가치를 계승하고 발현시키는 학술 활동이야 말로 민족의 독자성과 존재 가치를 확인하는 작업이라는 인식을 전제한다. 이는 1960년대 후반 본격적으로 논의되기 시작하는 내재적 발전론의 역사인식이기도 했다. 즉, 조지훈은 민족을 주체로 하는 ‘계보의 서사’를 상상하고 창출하는 작업을 수행하고자 했으며 이러한 작업에는 보편에의 충동, 달리 말하면 한국문화사/문학사에도 형이상(사상)이 있음을 증명해내고픈 욕망이 잠재해 있다. 이는 식민과 탈식민이 교차하고, 분단과 냉전체제 안에서 치열한 담론 투쟁이 일어나던 1960년대의 시대정신이기도 하며, ‘한국적인 것’을 탐구하고 찾아내야 했던 (한)국학 연구자로서의 자기정립을 향한 의지이기도 했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scholar Cho Ji-hoon in terms of historical context by seeing the entire view of his academic activities in the 1960s and estimating the position within the discourse arena of that time. In 1964, Cho Ji-hoon published one single-authored book, two co-authored books, and three research papers in periodical and academic journal, issued the academic journal Korean Culture Studies as the Research Director of the Institute of Korean Studies, Korea University, and planned and published An Outline of the Korean Civilization. His academic activities are converged into establishing the project of systemizing ‘almost all knowledge’ that comprise the life of ethnic group, so-called ‘national culture as academic studies’. In other words, he tried to establish national culture studies by ‘establishing ethnography’ and ‘rewriting national culture studies’. There underlain the problem consciousness that tradition and culture of a single race, which should have been passed on continuously, were not properly succeeded. Since the academic activities of Cho Ji-hoon who was born in the 1920s had no other choice but to rely on either ‘Japan’ or ‘colonial experience’, he focused on making a knowledge system that can introduce and apply ‘country and race as a single substance’, which was totally denied by the colonial academia. Such a desire for decolonization was an impetus for him. When it came to study contents and methodology, he substantially succeeded the academic projects of the 1920s colonial era Joseonhak movement, especially Choi Nam-seon. Here underlain the thinking that academic activities succeeding and manifesting mankind’s universal value inherent in the Korean ethnic culture history is the project of identifying race’s identity and existence value. This was the historical awareness of the intrinsic development which began to be discussed from the late 1960s. In other words, Cho Ji-hoon aimed to conduct the work of imagining and creating ‘description of genealogy’ which became the root of nation. Here underlain universality orientation―desire to prove that metaphysics exist in Korean culture and literature history. This is the spirit of the 1960s when colonization and decolonization combined and fierce discourse struggle took place in division and the Cold War and the will toward establishing oneself by researchers of Korean Studies who had to explore and discover ‘Korean things’.

      • KCI등재

        ICT기업에서 가족친화적 조직문화, 내재적 동기부여, TMX, 창의성의 관계

        박재춘(Jae-Choon Park),정지연(Jee-Yeon Jeong),정재진(Jae-Jin Jung) 한국콘텐츠학회 2015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5 No.5

        본 연구는 개인 창의성의 선행변인으로 가족친화적 조직문화와 내재적 동기부여의 효과를 검증함과 동시에 내재적 동기부여의 매개효과와 TMX의 조절효과를 살펴보았다. 가설검증은 구조방정식을 사용하였으며, 연구표본은 ICT기업의 연구개발 및 지원부서의 구성원 229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가족친화적 조직문화는 개인 창의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둘째, 가족친화적 조직문화는 내재적 동기부여에는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셋째, 조직구성원들의 내재적 동기부여는 개인 창의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넷째, 가족친화적 조직문화와 창의성의 관계에서 내재적 동기부여는 매개역할을 하였다. 넷째, TMX는 가족친화적 조직문화와 내재적 동기부여의 관계에서 조절역할을 하였다. 그러나 가족친화적 조직문화와 창의성 또는 내재적 동기부여와 창의성의 관계에서 TMX의 조절역할은 검증되지 않았다. 마지막으로 토의 및 결론을 통해, 본 연구의 시사점과 한계점 및 향후 연구방향을 제시하였다. This paper investigates the relationships among family-friendly culture, intrinsic motivation, team-member exchange(TMX), and creativity in ICT(information & communication technology) company. Also the study investigates the moderator effect of TMX and the mediator effect of intrinsic motivation in the relationships between family-friendly culture and creativity. A structural equation modeling(SEM) was employed to test the hypotheses. Using survey data collected from 229 R&D department and support personnel in ICT company. The main finding of this study was as follows: First, a family-friendly culture had a negative effect on employee creativity. Second, intrinsic motivation had a positive impact on employee creativity. Third, a family-friendly culture had a positive effect on intrinsic motivation. Fourth, intrinsic motivation mediated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 family-friendly culture and employee creativity. Fifth, the positive relationships between a family-friendly culture and intrinsic motivation were stronger when TMX was high rather than low. In particular, this review concludes with implications for future research,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practical applic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