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의 세대간 사회이동 : 출생 코호트 및 성별 비교

        계봉오(Kye, Bongoh),황선재(Hwang, Sun-Jae) 한국인구학회 2016 한국인구학 Vol.39 No.3

        이 연구는 한국의 세대간 사회이동 변화를 출생 코호트와 성별 비교를 통해 경험적으로 검토한다. 기존의 연구에 따르면 대부분의 산업사회에서 절대적 사회이동(absolute mobility)은 증가하다가 최근 들어 감소하는 경향을 보여주지만, 상대적 사회이동(relative mobility)에는 뚜렷한 패턴이 발견되지 않는다. 즉, 직업구조 변화에 따라 구조적 이동(structural mobility)의 양상은 변화하지만, 세대간 유동성(fluidity)에는 큰 변화가 없다는 것이다. 한국사회의 경우 급격한 산업구조 변동으로 인해 절대적 이동이 다른 국가들보다 높은 수준이며, 상대적 이동 또한 다소 높은 것으로 나타난다. 그러나 최근 들어 한국사회에서는 “수저계급론” 등 계층구조의 고착화에 대한 사회적 우려가 증가하고 있으며, 이는 계층갈등의 심화 및 사회적 신뢰수준의 저하로 연결되고 있다. 이러한 현상은 산업화가 일정 단계를 넘어서면 사회적 유동성이 오히려 감소할 수 있다는 “후기산업사회 경직화 가설(post-industrial rigidification thesis)”의 주장과 일맥상통한다. 이 연구는 절대적 이동과 상대적 이동이 사회이동 연구에서 갖는 함의를 고찰하고, 한국교육개발원의 “교육과 사회이동 조사연구”를 사용하여 세대간 사회이동 패턴의 출생 코호트별, 성별 변화를 살펴본다. 분석결과에 따르면 최근 코호트의 절대적 이동은 다소 감소한 반면, 상대적 이동은 크게 변화하지 않았다. 또한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지만, 남성의 유동성은 다소 증가했으나 여성의 경우에는 감소하고 있다. 이는 사회적 유동성의 변화와 계층구조 경직성에 대한 인식이 일치하지 않을 수 있으며. 수저계급론 등과 같은 사회적 폐쇄(social closure)의 강화라는 단순한 개념으로는 사회이동의 패턴 및 계층구조 인식의 변화를 설명할 수 없음을 보여준다. In this study, we examine how intergenerational mobility changed across birth cohorts in Korea. Research in social mobility has found consistent relative mobility in industrialized countries as well as initially increasing and then decreasing absolute mobility during the socioeconomic development. Relative mobility in Korea was somewhat higher than other industrialized countries and absolute mobility was extraordinarily high due to high structural change. Recently, concerns about decreasing social fluidity increased, intensifying class conflict and dampening social trust. This phenomenon is consistent with the expectation of ‘post-industrial rigidification’ thesis; social fluidity may decrease at the late stage of industrialization. In this article, we critically review the implications of absolute and relative mobility in the study of social mobility, and examine how the intergenerational mobility patterns changed in Korea using the “Education and Social Mobility” data. While absolute mobility a bit decreased for the youngest cohorts, relative mobility showed no monotonic trends. We also find diverging patterns by gender; increasing rigidity among the women and increasing fluidity among men to some degree although these changes a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This suggests that the recent change of intergenerational mobility patterns in Korea is not simple and warrants more careful investigation.

      • KCI우수등재

        20년간의 세대 간 사회이동의 변화 : 30~49세 두 남성 코호트 비교 분석

        박현준(Hyunjoon Park),정인관(Inkwan Chung) 한국사회학회 2021 韓國社會學 Vol.55 No.3

        오늘날 한국사회에서 세대 간 사회이동이 감소하고 있다는 믿음은 ‘수저계급론’을 비롯한 다양한 담론들의 형태로 광범위하게 확산되고 있다. 그러나 최근에 발표된 경험적 연구들은 한국에서 세대 간 상대적 사회이동이 줄어들지 않았거나 오히려 늘어났음을 보고하고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이 연구는 〈한국 노동패널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1998년에 30~49세인 남성들(1949~68년생)과 2018년에 30~49세인 남성들(1969~88년생)을 대상으로 지난 20년 사이 한국의 세대 간 사회이동 수준이 어떠한 방향으로 변화해 왔는지 확인해보려는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특히 이 연구는 20년 차이를 두고 태어난 두 집단 남성들의 사회 계급을 30~49세라는 같은 나이에 측정한 자료를 가지고 세대 간 사회이동을 비교하기 때문에 기존 연구들의 한계로부터 비교적 자유롭다고 할 수 있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사회의 절대적 이동률은 여전히 높은 편임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지난 20년 사이 한국에서 계급의 상승 이동률은 감소하였으나 이는 부모들 중 농민계급에 해당하는 사람들이 감소함에 따른 자연스러운 변화로 볼 수 있다. 둘째, 1998년에 비해 2018년의 상대적 사회이동 수준이 유의미하게 높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셋째, 핵심 유동성 모형을 이용하여 세대 간 사회이동의 증가 원인을 살펴본 결과 한국사회의 개방성 증대는 서비스 계급과 일상적 비육체 노동자 계급의 세습 약화에 따른 것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와 같은 발견은 한국사회의 세대 간 사회이동이 낮아지지 않았다는 기존 연구의 결론을 재확인해준다. 그럼에도 세대 간 사회이동에 대한 사람들의 인식과 현실의 괴리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보다 정교한 계급구분에 대한 고려, 세대 간 소득이동 분석, 그리고 1990년대 이후의 출생코호트에 대한 연구가 뒤따라야 할 것이다. Widely spreading out in contemporary Korea is a public perception that intergenerational social mobility is declining. However, recent scholarly works report that intergenerational social mobility has not decreased but rather has increased. Using individual data from the Korean Labor and Income Panel Study (KLIPS) collected in two different years over the period of 20 years, we assess how intergenerational social mobility has changed during the last two decades between 30-to-49-year-old men in 1998 (i.e., those born between 1949 and 1968) and their counterparts of the same age range in 2018 (i.e., those born between 1969 and 1988). By comparing two groups of men born 20 years apart but measuring their social classes for the same age range, our study overcomes the main limitations of previous studies of intergenerational social mobility. The major finding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absolute social mobility rates in Korea are still comparably high. Although upward mobility rates have declined somewhat during the last two decades, the trend is primarily due to rapid decline in the share of sons who originated from the farmer class. Second, relative social mobility has increased between 1998 and 2018. Third, the core social fluidity model applied to social mobility tables in both years shows that inheritance of service class and routine non-manual class, two classes often classified as a white-collar class, has decreased between two birth cohorts, probably contributing to the overall increase in relative social mobility. Our finding is consistent with recent studies showing that intergenerational social mobility in Korea has not declined. To better understand the discrepancy between the public perception and scholarly works on trends in social mobility, more research is needed, especially with more sophisticated class classification and additional analyses on the intergenerational income mobility and the more recent cohorts born in the 1990s.

      • Government spending during childhood and intergenerational income mobility in the United States

        Elsevier 2019 CHILDREN AND YOUTH SERVICES REVIEW - Vol.100 No.-

        <P><B>Abstract</B></P> <P>This study examines the effects of government spending during childhood on the association between income inequality and intergenerational income mobility. I use the National Longitudinal Survey of Youth 1979 data with state-level measures of income inequality and per-capita total government spending that includes federal, state and local expenditures on education, public welfare, and health care. The 4824 parents-children pairs are used for the analysis. This study provides evidence that additional government spending contributes to promoting intergenerational income mobility. Moreover, government spending moderates the effects of income inequality on intergenerational income mobility. This evidence indicates that government spending plays a role in preventing the decrease in intergenerational income mobility by offsetting the consequences of income inequality.</P> <P><B>Highlights</B></P> <P> <UL> <LI> Additional government spending contributes to promoting intergenerational income mobility. </LI> <LI> Government spending moderates the effects of income inequality on intergenerational income mobility. </LI> <LI> Government spending prevents the decrease in intergenerational mobility by offsetting the consequences of inequality. </LI> </UL> </P>

      • KCI우수등재

        한국 대학들의 사회이동 성적표: 경제적 지위의 세대 간 이동과 유지에서 대학이 하는 역할

        이수빈(Subin Lee),최성수(Seongsoo Choi) 한국사회학회 2020 韓國社會學 Vol.54 No.1

        본 연구는 미국에서 대규모 행정자료를 이용해 개별 대학들 수준에서 세대 간 이동률(하위 소득 분위 가정 출신 자녀가 대학 졸업 후 상위 소득분위에 속할 확률)을 보고한 라지 체티 팀의 연구(Chetty et al., 2017)를 발전시켜 한국의 대학들이 세대 간 지위 이동 및 재생산 과정에서 어떤 역할을 하는지 종합적으로 평가하였다. 이를 위해 대졸자 직업이동 경로조사(2005~2015) 자료를 활용하여 입시 서열, 국공립/사립 여부, 소재지역, 4년제 여부 등을 기준으로 17개 대학군을 분류하고 이들 대학군이 어떻게 상이한 세대 간 이동률과 유지율을 보이는지를 분석했다.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첫째, 전체적인 수준에서 한국 대학들의 상향 이동률은 이상적인 기대확률을 충족시키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개별 대학군 수준에서는 최상위권 대학들과 상위권 국공립대가 기대 이동률을 충족하며 중하위권 대학들보다 상향 이동에 더 많이 기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같은 결과는 미국에서 엘리트 대학들의 상향 이동률이 매우 낮은 것과는 대조된다. 셋째, 사립대학들에 비해 국공립대들에서 상향 이동률이 지위 유지율과 비슷하거나 더 높게 나타나며, 저소득층 자녀의 상향 이동에 더 크게 기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위 유지율은 최상위권 및 상위권 사립대학들에서 가장 높게 나타나 이들 대학은 높은 상향 이동률에도 불구하고 지위 재생산에 더 높은 기여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이동률의 추세를 산정한 결과 지방 전문대의 성공률 및 이동률이 비교적 뚜렷하게 상승하는 추세를 보여, 세대 간 이동 및 기회공정성과 관련하여 그 동안 상위권 대학들에 비해 대중적, 정책적 관심을 덜 받아왔던 전문대의 역할이 재조명될 필요가 있음을 보여준다. 마지막으로, 모든 대학군에서 예외 없이 남성의 상향이동률 및 지위 유지율이 여성에 비해 높게 나타났으며, 이렇게 여성에게 불리한 차이는 특히 저소득층 출신 그리고 중하위권 대학군 졸업생에게 가장 두드러졌다. 이상의 결과는 저소득층 출신여성이 이중적 어려움을 겪는 집단이며 대학을 통한 상향 이동 기회는 거의 전적으로 남성에게만 해당됨을 보여주는 것으로 정리할 수 있다. We evaluate the role of Korean colleges in intergenerational mobility and reproduction of economic status, extending Raj Chetty et al.’s (2017) study based on the administrative data of the United States. Using data from Graduate Occupational Mobility Surveys (2005-2015), we estimate the rates of intergenerational upward mobility and reproduction across 17 college groups, which we define by whether they are public or private, institutional selectivity, geographic location, and whether they are a four-year or two-year college. The result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colleges generally show lower upward mobility rates than the expected levels, which suggests they are failing to play their roles as a key social mobility channel. Second, the most selective universities and public universities are the two college groups that meet the expected mobility rates. They also have higher mobility rates than low-tier non-selective counterparts do. This finding contrasts with the cases in US where selective elite colleges have comparatively very low rates of upward mobility. Third, public universities and two-year colleges show reasonably high upward mobility rates and relatively low maintenance rates, which indicates that they contribute better to social mobility, compared with private institutions. Status maintenance rates are the highest among the most selective institutions. Despite their relatively high mobility rates, those universities turn out to contribute more to reproduction of the status than to mobility. Fourth, two-year colleges show the rising trend of mobility rates over the past decade largely due to their low-income graduates’ rising success rates. This result suggests that policy attention needs to be shifted to these institutions to promote their potential as the channel for mobility, which has been relatively overlooked due to exclusive focus on elite institutions. Lastly, both mobility rates and maintenance rates are significantly higher for men than for women across all college groups, and such female disadvantages are more remarkable for women from low-income families and graduates of non-selective institutions. This highlights that women with low-income families are doubly disadvantaged and that the opportunities to move up the ladder for mobility through college education are given almost exclusively to men.

      • KCI등재

        Intergenerational Mobility in Education: Estimates of the Worldwide Variation

        Tharcisio Leone 중앙대학교 경제연구소 2019 Journal of Economic Development Vol.44 No.4

        This paper uses the recently published “Global Database on Intergenerational Mobility” to present a detailed picture of the chances of such mobility around the world. The empirical results obtained from transition matrices and linear regression models, being furthermore based on harmonized data for the education attainments of children and their parents across 148 countries worldwide, point to three main conclusions: First, the likelihood of attaining intergenerational mobility differs widely across countries and world regions. Second, intergenerational persistence in education level is particularly strong in least-developed countries. Third and finally, and perhaps most importantly, the mobility gap between rich and poor countries has increased over time.

      • KCI등재

        한국에서의 부녀의 세대 간 소득 이동성: 선별적 결혼의 역할

        최기림 ( Kilim Choi ),안태현 ( Taehyun Ahn ) 한국여성경제학회 2015 여성경제연구 Vol.12 No.2

        본 연구는 한국노동패널(KLIPS) 자료를 사용하여 딸의 세대 간 소득탄력성을 추정하고 세대 간 소득이동성에서 선별적 결혼의 역할이 유효한가에 대한 분석을 시도했다. 연구결과 딸의 세대 간 소득탄력성은 0.172였고 동일한 방법으로 얻은 아들의 세대 간 소득탄력성 추정치와 비교해 보았을 때, 딸의 세대 간 소득이동성이 아들에 비해 더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기혼인 딸을 표본으로 분석한 결과, 남편의 소득과 장인어른의 소득사이에 상당한상관관계가 존재함을 알 수 있었고 선별적 결혼의 경향이 부모세대와 자녀세대간의 경제력대물림을 더 확대시키는 경로가 될 수 있음이 발견되었다. 또한, 부녀간 간 소득 이동성에부부간의 유사학력에 따른 선별적 결혼이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This study estimates intergenerational income mobility among daughters using Korean Labor and Income Panel Study(KLIPS) and investigates the role of marital sorting. The estimated intergenerational income elasticity among daughters was 0.172 which is larger than that of sons. We also find that there is a strong correlation between the income of father-in-law and that of son-in-law, and that marital sorting plays an important role in intergenerational income mobility. The results also suggest that marital sorting by education level can be a key factor of intergenerational income mobility.

      • KCI등재

        자녀의 학력이 부자간 소득계층 대물림에 미치는 영향

        이진영 ( Jin Young Lee ) 한국노동경제학회 2017 勞動經濟論集 Vol.40 No.3

        본 연구는 한국노동패널조사 1-17차 자료에서 추출한 부자쌍(父子雙)을 이용하여 학력이 소득에 미치는 영향을 세대별로 비교하고, 자녀의 학력이 부자간 소득계층 대물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함으로써 계층이동 사다리로서의 교육의 역할을 점검했다. 분석 결과, 학력이 소득에 미치는 영향이 아버지 세대에 비해 자녀 세대에서 최대 70% 가까이 감소한 것으로 나타나 과거에 비해 교육의 계층이동 사다리 역할이 축소되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아버지의 소득계층을 상위 50%와 하위 50%로 구분한 뒤 자녀의 학력이 부자간 소득계층의 대물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상위 50% 표본에서는 자녀의 교육연수 1년 증가 시 부자간 고소득계층 대물림 확률이 최대 7.0%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하위 50% 표본에서는 자녀의 교육연수가 부자간 저소득계층 대물림 확률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교육이 부(富)의 대물림 확률은 높이면서 빈곤의 대물림 확률을 낮추는 데에는 기여하지 못 해 결국 소득이동성을 떨어뜨리는 방향으로 작용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Using Korea Labor and Income Panel Surveys data, this paper estimates the effect of schooling level on income over time and the effect of children’s education level on intergenerational income persistence. The results show that the impact of education level on income decreased over time. Also, intergenerational income persistence, measured as a dummy variable that has value one if children’s income percentile group is same as the father’s, increased with children’s educational attainment only when the father is in upper income percentile groups. These findings indicate that education fails to play a significant role of the economic ladder and does not much help in raising intergenerational income mobility. Rather, education may possibly function as a means of intergenerational transmission of wealth through parental investment in their children’s private education.

      • KCI등재

        사교육금지정책과 계급이동의 관계에 관한 실증분석

        장수명(Jang, Soomyung),한치록(Han, Chirok),여유진(Yeo, Eugene) 한국사회정책학회 2016 한국사회정책 Vol.23 No.1

        본 연구는 한국노동패널 1-12차 자료를 활용하여 과외금지정책이 계급이동에 미친 영향을 분석하였다. 사교육금지정책은–사교육비를 집중적으로 지출하고 교육정보가 집중된 중상층 이상에서 사교육 효과가 상대적으로 더 클 가능성으로 인해–사회이동성을 제고할 수 있다는 것이 본 연구의 기본 가설이다. 오즈비와 이중차분방법을 이용한 본 연구의 분석결과, 사교육을 금지한 과외금지 세대가 그 이전 세대에 비해 세대간 계급 이동이 더 높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중학교 평준화의 중첩된 효과를 통제한 후에도 과외금지세대가 다른 세대에 비해 세대 간 이동이 더 높았다. 다만, 과외금지 해제 이후 세대의 세대간 이동을 과외금지세대와 비교하기에는 자료에 한계가 존재한다는 점에서 추후 추가적인 분석이 요구된다. 한편 계급이동은 단순히 하나의 정책이 영향을 미쳤다기보다는 중학교 평준화 정책, 과외금지, 고등학교 평준화 정책 등이 종합적으로 영향을 미쳤을 것으로 판단된다. 인적자본축척 효과의 장기성을 감안할 때 교육정책의 기간과 지속성이 매우 중요하다는 것이 이들 정책의 영향에서 확인된다. This study analyses the effects of the major educational policies, focusing on the private tutoring prohibition policy(PTPP), on the intergenerational class mobility(ICM) by using Korea Labor and Income Panel Study(KLIPS) 1st-12th surveys. Because private tutoring(shadow education) can be effective for academic achievement of children of above middle classes that spend most private tutoring expenditure and have more information on education, the private tutoring prohibition policy can increase the intergenerational mobility. This study confirms this possibility. Even when the overlapping effect of the middle school equalization polity is controlled for, there is still high effect of the PTPP. We think that we still need to examine the level of intergenerational mobility with PTPP cohort with that of later cohorts in the future. We also emphasize the compositive effect of the several consistent policies such as middle school and high school equalization polices and the PTPP and length and continuity of the policies for the higher mobility.

      • KCI등재

        세대 간 지위이동 결정요인의 구조적 관계 : 사교육 및 어학연수의 효과를 중심으로

        김수혜,김경근 한국교육사회학회 2010 교육사회학연구 Vol.20 No.3

        This study attempts to investigate structural relationships between determinants of intergenerational mobility using Youth Panel data from Korean Employment Information Service. Special attention is given to ascertaining the effects of shadow education and language training abroad on status attainment. The results show that parental socioeconomic status has a significant direct and indirect effect on children's socioeconomic status. Language training abroad is closely related to family background, and is proven to be conducive to attaining high status. The results imply that parental socioeconomic status could be inherited by children through various mediators and that language training abroad might play a key role in the process. In addition, it is found that female's status attainment is more strongly affected by family background than male's. 본 연구에서는 한국고용정보원의 청년패널 데이터를 사용하여 세대 간 지위이동 결정요인의 구조적 관계를 살펴보았다. 특히 본 연구는 사교육과 어학연수 변인이 세대 간 지위이동에 미치는 효과에 중점을 두고 수행되었다. 연구방법으로 구조방정식모형을 활용하였고, 주요 변인으로는 부모의 사회경제적 지위, 중고등학생 시절 사교육, 청소년기 친구성향, 수능성적, 취업 사교육, 어학연수, 자기개발, 본인의 사회경제적 지위가 설정되었다. 분석 결과, 부모의 사회경제적 지위는 그 자체로도 본인의 지위획득에 강력한 영향을 미치지만 다른 매개변인들과도 밀접한 관계를 맺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매개변인들 가운데, 청소년기 친구성향, 교육성취, 어학연수는 실제 지위획득에 유의미한 효과를 발휘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특히 부모의 사회경제적 지위에 따라 어학연수 참여 양상이 다르고, 이러한 차이가 실제 지위획득에도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부모의 사회경제적 지위가 다양한 매개경로를 통해 자녀에게 전달되며 동시에 어학연수가 세대 간 지위이동의 새로운 결정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음을 시사한다. 한편 남녀를 구분하여 다집단 분석을 실시한 결과, 여성은 남성에 비해 부모의 사회경제적 지위에 의해 본인의 사회경제적 지위가 결정되는 경향이 더 강했다. 이러한 결과는 여성의 지위획득이 남성보다 제한된 구조 속에서 이루어지고 있음을 보여준다.

      • KCI등재

        대졸 남성의 직업 경력 유형에 따른 노동시장 성과 분석

        정성지,최수정 한국농·산업교육학회 2020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Vol.52 No.1

        In the late 1990s, after the financial crisis, the youth experienced an economic crisis, which shows various characteristics as they progress their careers. Focusing on the family background effect in terms of intergenerational mobility, this study tried to analyze whether their occupational career types differ according to their family background characteristics and their labor market outcomes throughout their life cycle. Using data from the Korean Labor and Income Panel Study throughout 20 years, multi-channel(using criteria of occupational types and labor status) sequence analysis with the optimal matching method was applied to cluster groups of occupation mobility. Occupation mobility groups were identified as 'clericals type', 'management and professionals type', ‘quasi-professional and technicians type’, ‘agriculture, craft, and elementary occupation type', 'mixed occupation type'. Especially, ‘mixed occupation type’ was divided into two subcategories as 'Delayed entry type' and 'Self-employment entry type' as follows. Overall, each type of respondents experienced a duration of non-economically production or duration of education & training. Although family background effect was not significant according to occupational career type, respondents’ occupational characteristics were partly similar to their fathers’ occupation. Applying age-earning profile formula, the results showed wages increased by 2% for 'clericals type', 'management and professionals type', ‘quasi-professional and technicians type’, ‘agriculture, craft, and elementary occupation type', compared to mixed occupation type. Those who answered their household economic situation was high at the age of 14 showed 4% higher of their income than those who did not. On this basis, conclusions and limitations were presented. 90년대 말 외환위기를 지나면서 청년층은 경기침체, 고학력화 등의 현상을 경험하였으며, 이는 향후 직업 경력을 전개해가는 과정에서 다양한 특징을 보인다. 이 연구는 사회 구조적 차원의 세대 간 특성인 가정 배경에 주목하여 이러한 특성에 따라 이들의 직업 경력 유형이 차이를 보이는지 분석하고, 거시적 차원에서 직업 경력 유형의 생애에 따른 노동시장 성과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한국노동패널(KLIPS)의 1차년도-20차년도 데이터를 활용하여 1998년 2000년 사이에 전문대 및 대학을 졸업한 남성 349명을 대상으로 다채널배열분석과 최적일치법을 활용한 결과, 이들의 경력 유형을 다음과 같이 ‘사무직 진입형’, ‘관리·전문직 진입형’, ‘준전문·기술직 진입형’, ‘농업·기술·단순직 진입형’, ‘직업 혼재형'('진입유예형', '자영업 진입형')’등 6개로 구분하였다. 각 유형은 전반적으로 비경활상태 및 교육훈련을 경험하며, 직업 경력은 첫 직업의 직종을 반영하고 있었다. 직업 경력 유형별로 가정 배경의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으나 이러한 특성의 유사한 특징이 부분적으로 발견되어 눈여겨 볼 필요가 있다. 또한, 경력 유형을 5개로 축소하여 연령 함수를 기반으로 노동시장 성과를 분석한 결과, ‘직업혼재형’보다 ‘사무직 진입형’, ‘관리전문직 진입형’, ‘준전문·기술직 진입형’일 경우 임금이 2%씩 상승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14세 당시 가정경제형편이 높을수록 임금이 4% 높아져 부분적으로 가정 배경이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발견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