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고교유형이 고3 학생의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고교유형 효과와 교육불평등

        김성훈(Sunghoon Kim),우명숙(Myungsook Woo) 이화여자대학교 교육과학연구소 2020 교육과학연구 Vol.51 No.4

        이 연구는 ‘한국아동·청소년패널조사’ 자료를 사용하여 고교유형이 고3 학생의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첫째, 학업성취도를 제고하는 여러 요인들을 통제한 후 고교유형이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하였다. 특히 중3 학업성취도를 통제한 후에 고교유형의 효과가 나타나는지에 주목하였다. 둘째, 고교유형이 고3 학생의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는 다른 요인들의 효과를 유의하게 강화하거나 약화시키는지를 분석하였다. 특히 부모의 사회경제적 지위가 고3 학생의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을 고교유형이 유의하게 강화하는지에 초점을 맞추었다. 분석결과에 따르면, 첫째, 특목고와 자사고가 고3의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은 중3 학업성취도를 통제했을 때 사라졌다. 또한 중3 학업성취도는 어떠한 변수보다도 고3 학생의 학업성취도에 더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고교유형과 가구소득의 상호작용이 나타났다. 즉 특목고와 자사고에서 가구소득이 고3 학생의 학업성취도를 높였다. 결국 고교유형은 직접적으로 고3 학생의 학업성취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는 않았지만, 고교유형은 간접적으로 가구소득이 고3 학생의 학업성취도를 높이는 데 영향을 미쳐, 교육불평등을 강화했다. This study analyzed the effects of high school type on high school seniors’ academic achievement, using data from the Korean Children & Youth Panel Survey. First, this study investigated whether high school type affects high school seniors’ academic achievement, when various control variables are considered. In particular, the study focused on the effects of high school type when middle school third-year academic achievement is controlled for. Second, the researchers analyzed whether high school type would significantly increase the effects of other factors influencing high school seniors’ academic achievement, focusing on parents’ socioeconomic status among control factors.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effects of high school type were negated when middle school third-year academic achievement was controlled for. In addition, middle school third-year academic achievement was found to be the most critical factor in increasing high school seniors’ academic achievement. Second, findings showed the existence of the interaction effects between high school type and household income. Specifically, household income positively impacted high school seniors’ academic achievement in special-purpose and autonomous private high schools. Overall, special-purpose and autonomous private high schools did not positively impact high school seniors’ academic achievement directly. Rather, those schools increased the effects of household income on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intensifying inequalities in education.

      • KCI등재

        불평등의 상이한 경로 -진학 과정에서 가족배경의 일차효과와 이차효과 분해 및 추세-

        최성수,이승현 한국교육사회학회 2022 교육사회학연구 Vol.32 No.3

        Inequality in the educational transition by family’s socioeconomic status (SES) can be decomposed into part associated with gaps in academic achievement (primary effects) and part associated with social processes shaping gaps in preferences and choices beyond academic achievement (secondary effects). We examine how family SES gaps in transitions to high school and college education, as well as the importance of primary and secondary effects, have changed across birth cohorts born between 1950s and 1999 in South Korea, using data from Korea Education and Social Stratification and Mobility and Korean Education and Employment Panel. Our analyses reveal three key findings. First, family SES gaps in educational transitions to colleges were shaped primarily by secondary rather than primary effects. The trends were also largely influenced by changes in secondary effects. Second, family SES gaps in the transition to selective 4-year colleges, proxied by 4-year colleges located in Seoul, is predominantly shaped by primary effects. Third, the importance of academic achievement has decreased for the transition to a less selective stage (e.g., transition to junior college or higher), while it has increased for the transition to a more selective stage (e.g., entry into a selective college). The relative contribution of primary effects has also generally increased in recent birth cohorts. Our study suggests that academic and polity attention to inequality of educational opportunity should be extended to inequalities in cultural, institutional, and non-cognitive aspects of students’ lives from the narrow focus on gaps in academic achievement. 상급학교 진학에 있어 가족배경에 따른 불평등은 학업성취도에 따른 격차(일차효과)와 학업성취와 관계없이 선호나 선택 등에서 나타나는 격차(이차효과)로 구분될 수 있다. 우리 연구는 교육과사회계층이동조사(KESSM)와 한국교육고용패널(KEEP) 데이터를 이용해 1950년대 출생자들부터 1999년 출생자들까지 사이에서 고등학교 및 대학진학에서의 가족배경에 따른 격차가 어떻게 변화했는지 살펴보고 여기서 학업성취도 격차의 중요성이 어떻게 변화했는지 살펴본다. 분석 결과는 크게 세 가지로 요약된다. 첫째, 전문대 및 4년제 진학 여부에서의 가족배경 격차는 성취도에 따른 일차효과보다 성취도와 관계없는 이차효과에 의해 더 크게 영향을 받았다. 추세 역시 이차효과의 변화가 전체 가족배경 격차의 변화를 좌우했다. 고등교육 확대 이후 감소한 가족배경 격차 역시 이차효과의 감소로 설명된다. 둘째, 서울 소재 4년제 대학 진학에서의 가족배경 격차는 일차효과에 의해 지배적으로 형성됐다. 셋째, 진학에서 학업성취도의 중요성은 선별성이 낮은 전문대 이상 대학 진학에서는 약화된 반면, 선별성이 높은 서울 소재 4년제 대학 진학에서는 강화되었다. 이와 함께 대체로 일차효과의 크기가 증가하는 추세가 나타났다. 우리 연구 결과는 교육 불평등에 대한 학술적, 정책적 초점이 학업성취도 중심에서 문화적·제도적·비인지적 측면의 불평등으로 전환될 필요성을 제기한다.

      • KCI등재

        학교준비도가 취학 이후 학교적응과 학업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 소득 계층에 따른 비교를 중심으로

        김진미(Kim, Jinmi)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9 No.8

        본 연구는 취학 전 학교준비도가 취학 이후 아동의 발달에 미치는 영향을 탐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아동 개인 및 가정 변인과 함께 본 연구의 주요 관심사인 학교준비도를 투입하여 이들이 아동발달에 미치는 영향력을 탐색하였다. 한편 가구 소득 수준에 따른 집단을 구분하여 조절효과를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한국아동패널 자료를 바탕으로 다중회귀분석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도출된 주요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취학 전 학교준비도는 취학 이후 아동의 학교적응과 학업수행능력에 정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둘째, 저소득 가구의 아동이 중산층 아동에 비해 학교적응 및 학업수행능력 수준이 낮게 나타났는데, 이는 가구소득 수준에 따라 초기 교육격차가 발생할 수 있는 개연성이 있음을 보여준다. 셋째, 학교준비도에 대한 소득 집단의 조절효과 분석결과 학교적응은 유의하지 않았으나, 학업수행능력에서는 유의하였다. 즉 학교준비도가 학업수 행능력에 미치는 효과는 중산층 이상 가구 아동과 비교할 때 저소득 가구 아동에서 0.426만큼 커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초기 학업결손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기제로서의 학교준비도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취학 전 학교준비 도를 높이기 위한 방안을 모색해야 할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school readiness and later achievement. Literature review showed that factors influencing school adjustment and academic achievement divided into two categories: children’s personal factors, household factors. The impacts of the variables on later achievement were examined with school readiness, which is a major concern of this study. This study analyzed first grade children in elementary school using representative data from Panel Study on Korean Children(PSKC) of Korea Institute of Child Care and Education, employing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school readiness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school adjustment and academic achievement which means children with higher level of school readiness were more likely to reveal higher school adjustment and academic performance. Second, children in low-income households showed lower levels of school adjustment and academic performance than that of above middle-class children. Third, as a result of the moderate effect by income group, school adjustment was not significant, while academic achievement was significant. These findings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school readiness as a mechanism to prevent early learning deficits and suggested ways for improving the school readiness of preschoolers.

      • KCI등재

        The Widening Gap of Academic Achievement Between the Rich and the Poor in Korea

        Sang-soo Chang 서울대학교 사회발전연구소 2022 Journal of Asian Sociology Vol.51 No.1

        This study deals with the effects of parental socioeconomic status on children’s academic achievement, which is referred to as the socioeconomic gradient or as the socioeconomic achievement gap, in Korea. The study differs from previous ones on the same topic in two aspects: First, it views Korea’s socioeconomic achievement gap in the context of international comparison. Second, it investigates the temporal change of Korea’s socioeconomic gradient, which has taken place during the last two decades, and identifies reasons for such a change. Analyzing PISA (Programme for International Student Assessment) data, which the OECD has collected every three years since 2000, the study found the following: First, the socioeconomic gradient in reading and math literacy scores in Korea was lower in the early 2000s than that in other OECD countries. However, these have since approached or exceeded the OECD average in the late 2010s. Second, the socioeconomic gradient has increased in reading literacy during the last two decades, although it has not changed in math literacy during the same period. This implies that the inequality of academic achievement has deteriorated in Korea. The degeneration seemed to arise both from the increase of differentiation in secondary schools, which neoliberal governments have actively driven since 1995, and from the consequent growth of parents’ school choices.

      • KCI등재

        한국의 교육과 사회이동 : 여성과 남성의 차이

        장상수(Sang-soo Chang) 한국여성정책연구원 2015 여성연구 Vol.88 No.-

        This paper reviewed the empirical research on the education and social mobility which have been published during the last several decades. Although these research can be classified into some detailed topics, this paper examined only the two education-related topics: the inequality of educational opportunity and the returns to education. Each of these two topics includes two details respectively: the former is consisted of the inequality of academic achievement and of educational attainment, whereas the latter comprises both the returns in the labor market such as occupational and monetary and the returns in the marriage market such as cultural and monetary. Summarizing the various findings of previous research, this paper tried to show both the present status or level of inequality in Korea in comparative perspective and the temporal change of it over the recent several decades. It found the following distinct trends; first, the equality of educational opportunity, regardless of whether it is the inequality of academic achievement or of educational attainment, has deteriorated since the early 2000s. Second, all of the returns to education, regardless of whether it is the labor market returns or marriage market returns, have declined since the mid 1990s. 이 글에서는 지난 수 십 년 동안 한국의 사회이동을 다룬 국내외 경험 연구를 개관하였다. 사회이동 연구는 여러 가지 세부 주제로 나뉘지만 여기에서는 교육과 관련한 두 연구 주제, 즉 교육기회의 불평등과 교육의 수익을 살펴보았다. 특히 여성의 교육기회와 여성 교육의 수익을 더 상세하게 살펴보았다. 교육기회의 불평등은 다시 학업성적의 불평등과 학력성취의 불평등으로 나누어 살펴보았고, 교육의 수익은 직업 수익과 화폐 수익으로 나누어 알아보았다. 이 글은 한국의 교육기회의 불평등과 교육의 수익이 국제 사회에서 차지하는 상대적 위치를 확인하였거니와 시계열 변화 방향도 알아보았다. 이런 비교로 이 글은 다음과 같은 사실을 밝힐 수 있었다. 첫째, 학업성적이든 학력성취든 교육기회의 균등성은 1990년대 또는 2000년대 이후 점차 악화하였다. 둘째, 교육의 직업 수익과 화폐 수익, 그리고 여성의 혼인 수익은 시간이 흐르면서 점차 감소하였다.

      • KCI등재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에 나타난 고등학교 학업성취 격차

        김경희(kyunghee Kim),박인용(In-Yong Park),김종훈(Jong Hoon KIM) 한국교육평가학회 2013 교육평가연구 Vol.26 No.2

        이 연구에서는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고등학교 전수자료를 통해 고등학교의 학업성취 격차에 대해 연도 간 변화 및 입학당시 대비 추이를 탐색하고자 하였다. 성취 격차를 나타내는 통계량을 통해 학생 간 성취 격차와 학교 간 성취 격차를 산출하였다. 연구 결과, 모든 교과에서 연도 간 평균 성취도는 높아지고 성취 격차가 줄어드는 학력의 상향평준화 현상을 확인하였다. 지역규모별 분석에서도 동일한 결과가 산출되었으며, 읍면지역에서는 학교 간 격차가 크게 줄었지만 학교 내 학생 간 격차는 다른 지역에 비해 감소정도가 적게 나타나 읍면지역에 학교단위로 지원되는 주요 교육 정책이 학생 단위로 확대될 필요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입학당시 대비 고등학교 2학년 시점에서의 학생 간성취 격차 및 학교 간 성취격차는 모두 줄어들고 있었으며, 고등학교 입학을 통해 학교 내 학생 간 격차는 줄어들지만 학교 간 격차는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격차는 고등학교 교육을 통해 고등학교 2학년 시점에서는 모두 감소하였다. This study examined achievement gap in high school through 2 years(2010, 2011) and relative status at the time of entrance in schools based on result of NAEA (National Assessment of Educational Achievement). And this study yielded gaps of between students and between schools using various statistics such as standard deviation, academic achievement inequality index, variance of students within school and variance of between schools. In result, we find the upward equalization which is decreasing gap and increasing achievement simultaneously in all subject. Also, this phenomenon was verified in analysis by regions(metro, small-medium, rural). In rural regions, extent of decreasing gaps between schools was superior to other regions and extent of decreasing gap within schools was inferior to other regions. This shows that educational policy's focus in rural regions need to be switched from regions to student. Achievement gaps in high school was lower than at the time of entrance. When middle school student entered high school, achievement gap between student within school is decreased and gap between schools is increased. However, gaps of between student and between school is decreased through high school education.

      • KCI등재

        벌어지는 틈새

        장상수(Sang-soo Chang) 한국사회학회 2016 韓國社會學 Vol.50 No.5

        이 글에서는 한국에서 부모의 사회경제적 지위가 자녀 성적에 미치는 영향을 살폈다. 이런 주제를 살피는 일은 예전에도 흔했고 지금도 흔하다. 이 글이 그 흔한 작업과 다른 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이 글에서는 한국의 교육기회 불평등을 국가 비교와 시계열 비교의 관점에서 바라보았다. 다시 말해, 한국의 기회 불평등이 다른 나라와 다른 정도를 살피고, 지난 시기 동안 이 불평등이 바뀐 방향을 알아보았다. 둘째, 이 글에서는 기회의 불평등을 OLS 회귀식으로 재기도 하고 다수 준 모형으로 가늠하기도 하였다. 그리하여 이 두 추정치를 서로 견주었다. 이 글에서는 OECD가 2000년과 2009년에 수집한 PISA 자료를 사용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 학생의 읽기 평균 점수는 다른 나라보다 높았다. 이에 더하여 성적 우수 학생의 비율이 높았고, 성적부진 학생의 비율도 낮았다. 둘째, 한국에서 부모의 사회경제적 지위가 자녀의 읽기 성적에 미치는 영향은 다른 나라보다 낮았다. 셋째, 부모의 사회경제적 지위가 자녀의 읽기 성적에 미치는 영향은 2000년대 첫 십 년 동안 더 커졌다. 다시 말해 교육기회의 불평등은 더 깊어졌다. 이는 OLS 계수로 재든 사회경제적 기울기 모형의 계수로 가늠하든 상관없이 그러하였다. This paper deals with the effect of parental socioeconomic status on children’s academic achievement in Korea. This kind of topic has been quite common in academia. Nevertheless, there are two points this study distinguishes itself from other studies on the issue: one is to place the Korea’s inequality in the context of international and temporal comparison. This study tries to compare the Korea’s inequality of educational opportunity with those of other countries and to contrast the Korea’s inequality at an early point in the first decades of 2000s with that of a later point in the same period; The other is to do a methodological comparison. It measures the status and trends of educational inequality both by the ordinary least square(OLS) regression and by the multi-level model, and then compares the estimates of the former with those of the latter. The data used here are PISA(Programme for International Student Assessment), collected in 2000 and 2009 by OECD.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the effect of parental socioeconomic status on children’s reading literacy had been much lower during the first decades of the 2000s in Korea than those of any other OECD countries. Second, however, the influence of parental socioeconomic status on children’s reading literacy had increased during the same period in Korea, which simply means that the inequality of educational opportunity had deteriorated during the early 2000s. Third, the above two results are true both in the OLS estimation and in the multi-level analysis.

      • KCI등재

        가족배경과 고등학교 계열 선택

        장상수(Chang Sang-soo) 한국사회학회 2007 韓國社會學 Vol.41 No.2

        교육기회의 불평등에 대한 선행연구는 주목할 만한 사실을 발견하였으나 몇 가지 한계를 노정하였다. 이 방면의 연구는 학력단계의 질적 분화를 소홀히 하였고, 가족배경이 학력성취에 미치는 영향이 어떤 메커니즘을 거쳐 변하는지를 밝히지 못하였다. 이 글은 첫째, 중등교육의 질적 분화를 감안하여 가족배경이 고등학교 계열 선택에 미치는 영향이 시계열적으로 어떤 경향성을 띠는지를 살펴보았다. 둘째, 성적과 이행성향 분포의 변화를 추적함으로써 가족배경 효과가 무엇 때문에 변화하였는지를 짐작하였다. 한국노동연구원의 노동패널(KLIPS) 자료와 경제협력개발기구의 국제학업성취도(PISA) 자료를 분석한 이 글은 다음 사실을 발견하였다. 첫째, 부모의 학력이 고등학교 계열 선택에 미치는 영향은 시간이 지나면서 점차 증가하였다. 다시 말해 중등학력 단계에서 교육 불평등은 심화되었다. 둘째, 교육 불평등이 심화된 까닭은 인문계 고등학교를 선호하는 성향이 계급별로 불균등하게 증가한 탓이었다. 고등교육체계와 인문계 고등학교가 팽창하면서 인문계 고등학교를 선호하는 성향이 증가하였는데, 이 과정에서 고학력 부모의 성향은 저학력 부모보다 더 많이 더 빨리 증가하였다. Prior research on the inequality of educational opportunity(IEO) has several limitations; first, they have scarcely considered the qualitative differentiation of educational system. Second, they have not concretely showed through what process IEO has changed. This paper tried to overcome these limitations; First, taking the qualitative differentiation of secondary education into consideration, this paper tried to show the trends of IEO when the students of lower secondary education chose the high school sector in Korea. Second, closely examining the shifts of the distributions of academic achievement and transition propensity, it tried to show the concrete process through which IEO has changed during the last decades. Analyzing the Korea Labor and Income Panel Study(KLIPS) data and OECD’s PISA data, this paper found the followings: first, the effect of parental education on choice of high school sector has increased across cohorts. Second, this increase of IEO came from the fact that the children of highly educated parents more quickly preferred academic high school to vocational high school than their counterparts, when higher education and academic high school expand.

      • KCI등재

        유아교육 및 보육 경험의 장기 효과

        김기헌(Ki Hun Kim),신인철(In Chol Shin) 한국사회학회 2012 韓國社會學 Vol.46 No.5

        이 연구는 유아교육 및 보육 경험이 초등학교에서 중학교에 이르는 기간 동안 사회성 발달 및 학업성취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지 여부를 살펴보았다. 어린이집이나 유치원 같은 유아교육 및 보육시설 경험의 인과적 효과성을 입증하기 위해 이 연구는 미경험자와 경험자의 선정에 있어 무작위성(randomness)을 확보할 수 있는 매칭 방법(matching methods)으로 CEM(Coarsened Exact Matching) 방법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한국 청소년 패널조사(KYPS) 자료를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 유아교육 및 보육 경험은 유치원의 경우 또래 관계 및 학업성취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의 효과를 보여주고 있으나 어린이집의 경우 미경험 집단과 비교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여주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선행 연구들에서 밝혀진 생애초기 유아교육 및 보육의 장기 효과를 증명하는 동시에 경험하는 시설 유형에 따라 그 효과가 다를 수 있음을 말해준다. 이 연구는 유아교육 및 보육의 장기 효과를 밝혀낸 것으로 생애초기 교육 및 보육 지원 확대의 근거를 밝혀냈다는 데 의의가 있으며 정책적 측면에서 어린이집의 장기효과가 발견되지 않았다는 점과 관련하여 유치원과 어린이집으로 이원화된 체계를 단순 통합하는 것 이상으로 두 시설들 의 질적 차이를 개선할 필요가 있음을 지적하였다. This study has analyzed that kindergarten and child care centers can improve the social development and academic achievement of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students in 5th to 8th grade using Korea Youth Panel Survey(KYPS) data and random effects generalized ordered probit model. We have used the matching method(Coarsened Exact Matching) that is a non-parametric method of preprocessing data for reducing imbalance between the treated and control group. As a result, we found kindergarten to produce a long-term effect on peer relationships and academic achievement in regards to reading, foreign language, and math test scores from 5th to 8th grade. Additionally, we found that child care centers show no effect on social and cognitive development. These results show that preschool programs produce positive effects on children’s social skills and learning ability, however those effects vary in size and persistence depending on the type of program the student participated in. This study suggests that well-designed preschool education programs produce long-term improvements in academic success. Thus public policy makers should put more effort into reducing the gap of qualities existing within kindergarten and child care centers.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