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비규정적 타이포그래피에서의 미적(美的) 체험 -숭고미를 중심으로-

        김동빈 디자인융복합학회(구.한국인포디자인학회) 2012 디자인융복합연구 Vol.11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take a look at the possibility of aesthetic experience in indeterminacy typography formulated through the process of unyielding inquiries and challenges on existing formation and structure. While the expression tendency of typography under the influence of technology has made repeated drastic changes, influence of post-modern and deconstruction has accelerated the creative ideas in free individualism of designers. The situation is to continue with the trend of generating more open, diversified, subjective and unique expressions under the disguise in the form of so-called art. For the search of possibility for aesthetic experience in indeterminacy expression of typography, this writer has used the 'sublime aesthetics' that has important position in the discourse of contemporary aesthetics as the theoretical frame. Within the territory of aesthetics, the 'sublime' is based on complex emotion based on indefiniteness in formlessness and mentality of human. This enables the experience of the sublime aesthetics in the point that it is linked to the point that the typography of today is the indeterminacy-oriented result that is not bound by existing rules with the internal exuberance of designer as its foundation. This study has the differentiated implication to approach to the indeterminacy typography from different point of view from existing studies to indicate the aesthetic experience in typography. 이 연구는 기존의 형식과 구조에 대해서 끝없는 질문과 도전의 과정을 통해서 산출되는 비규정적 타이포그래피에서 미적 체험이 가능한지에 대해 살펴보고 있다. 테크놀로지의 영향 속에서 타이포그래피의 표현경향이 급진적 변화과정을 거듭하고 있는 가운데 포스트모던과 해체주의의 영향은 디자이너들의 자유로운 개성의 창발을 가속화시켰다. 소위 예술의 형식을 빌려 보다 더 개방적이고 다양하며, 주관적이고 독창적 표현들이 양산되는 상황이 지속되고 있다. 타이포그래피의 비규정적 표현에서 미적 체험의 가능성 탐구를 위해 필자는 현대미학 논의에 있어서 주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는‘숭고미학’을 이론적 틀로 사용하고 있다. 미학의 범주에서‘숭고’는 몰형식이 갖는 무한정성, 인간의 정신성에 기반한 복합적 감정에 기반하고 있다. 이는 오늘의 타이포그래피가 디자이너의 내적 충일을 근간으로 하여 기존의 규칙에 얽매이지 않는 비규정적 지향의 결과라는 점과 결부되어 숭고미의 체험은 가능해 진다. 이 연구는 비규정적 타이포그래피에 대해 기존 연구들과는 다른 관점에서 접근하여 타이포그래피에서도 미적 체험이 가능함을 밝히고 있다는 데 차별적 의의가 있다.

      • KCI등재

        인공지능 생성 미디어아트의 시각 표현에 나타난 불확정성에 관한 연구

        김기범 ( Kibum Kim )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2021 인문사회 21 Vol.12 No.5

        포스트모더니즘 해체주의 특성이 반영된 미디어아트는 디지털 매체 기술의 발전과 함께 그 영역을 넓히고 있으며 이는 실험적이고 도전적인 불확정성의 시각 표현의 시대가 열린 것을 의미한다. 특히, 최근 인공지능을 활용한 불확정성 시각 표현의 미디어아트가 현대 미술의 주요한 영역에 자리 잡아 가고 있으므로 이를 살펴보는 것이 필요한 시점이다. 따라서 본 논문은 해체주의의 특성과 첨단기술이 결합한 인공지능 생성 미디어아트에 나타난 불확정성 시각 표현 양식의 특징을 이론적 문헌 연구를 고찰하고 사례 분석을 통한 실증적 연구를 통해 이를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 확정되지 않은 형상의 이상 결합, 무작위 변형과 왜곡, 무한한 동적 변환 등의 시각적 경험을 제공하는 창작 도구로써 실험적이고 도전적인 불확정성의 시각 표현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맥락에서 인공지능 미디어아트가 앞으로 형이상학적 현상이나 해체주의 개념들을 시각화하는 창의적 도구로써 사용될 가능성을 예측할 수 있었다. Media art that reflects the features of postmodernism and deconstructivism expand its scope with the development of digital media technology, it infers to the beginning of an era of experimental and challenging visual expressions for indeterminacy. In particular, as media art of visual expression of indeterminacy using AI is taking root in a major area of contemporary art, thereby we need to look into it more in depth. Therefore, this study examined the features of the visual expression style of indeterminacy revealed in AI media art that combines the characteristics of deconstructionism and advanced technology through theoretical literature studies and empirical studies through case analysis.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experimental and challenging visual expression of indeterminacy was confirmed as a creative tool that provides visual experiences such as unconfirmed and ideal combinations of shapes, random transformations and distortions infinite dynamic transformations. In this context, it was possible to predict the possibility that AI media art could be used as a creative tool to visualize metaphysical phenomena or deconstructionist concepts in the future.

      • KCI등재

        폴 드만: 텍스트에 대한 권한부여로서의 불확정성

        김치헌(Chi-Hun Kim) 한국비평이론학회 2021 비평과이론 Vol.26 No.3

        본 논문의 목적은 폴 드 만의 불확정성이라는 개념이 전통적인 서구의 표현의 개념에 대한 도전일 뿐만 아니라, 텍스트에 대한 권한부여라는 측면을 보여주는 것이다. 그는 기표와 기의가 서로 일치한다는 주장을 비판한다. 폴 드 만은 언어의 다양한 특징들 때문에 그들 사이에 불일치가 있다고 이야기한다. 예를 들어, 언어의 수사적이고 은유적인 특징, 물질성, 상징과 알레고리, 시간의 제약성, 의도성, 등이다. 따라서 그는 언어적 측면에서 표현의 모방적 개념을 거부한다. 이러한 거부는 불확정성이라는 개념을 도출한다. 미완성 혹은 결정 불가능성이라는 측면들은 이미 낭만주의 작품이나 신비평에서도 찾아볼 수 있다. 그러나 드 만의 개념은 고유한 특징을 보여주고 있다. 불확정성의 개념은 언어의 한계를 보여줄 뿐만 아니라, 건설적인 측면도 동시에 지니고 있다. 해체주의의 두명의 선구자들인 니체와 하이데거는 표현에 대한 전통적인 이해를 비판한다. 그러나 그러한 비판은 그동안 억압받았거나 소외 받은 부분들이 목소리를 낼 수 있도록 권한을 부여한다. 마찬가지로 드 만의 불확정성도 텍스트의 확립된 의미들을 비판한다. 그러나 그러한 비판은 다양한 의미들에 대한 새로운 가능성을 보여줌으로써 텍스트에 대한 권한 부여 일 수도 있다. This article aims to argue that Paul de Man’s idea of indeterminacy is not only a challenge to the traditional Western understanding of representation, but also the empowerment of the texts. He criticized the unity between the sign and the signified. For him, there is a discrepancy between them because of the various features of language; rhetorical and figurative, materiality, allegory over against symbol, temporality, intentionality. Thus he rejects a mimetic notion of representation in terms of language, which brings about the idea of indeterminacy. The sense of incompleteness and undecidability can be also found in the Romanticism and New Criticism, but de Man’s thought shows its own unique feature. The idea of indeterminacy can demonstrate a constructive aspect as well as a limitation of language. Both Nietzsche and Heidegger, the two main precursors of deconstruction, challenge traditional understanding of representation, but that challenge create a room for empowering the oppressed or neglected part to speak out. Likewise de Man’s indeterminacy disputes the established meanings of the texts but can be the empowerment of the texts by disclosing a new possibility for dynamic multiple meanings.

      • KCI등재후보

        Indeterminate Feature of Parameter Estimation in Multilevel Categorical Latent Variable

        Jungkyu Park(박중규) 경북대학교 사회과학기초자료연구소 2019 연구방법논총 Vol.4 No.1

        본 논문에서는 다층 잠재계층모형에서 모수의 구조적인 비확정성에 대해서 다룬다. 먼저 다층 잠재계층에서 non-full-rank, independent, permutation indeterminacy의 세 가지 경우에 대해 소개하고 각각의 경우에 발생할 수 있는 모수의 비확정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또한 모수의 비확정성에 대한 이해를 높이기 위해 수리적인 예시를 제시한다. 논의에서는다층 잠재계층모형을 이용해서 자료를 분석할 때 구조적 불확정성에 대한 인식이 중요하다는 점을 강조한다. 덧붙여, 연구자가 선택한 최종모형이 적절한 잠재 구조를 가졌는지를 점검하기 위한 지침을 제공한다. Structural indeterminacy among the multilevel discrete latent variables in the multilevel latent class model (MLCM) is discussed in this paper. Three scenarios - non-full-rank, independent, and permutation indeterminacy - are presented with theoretical explanations and proofs of each structural indeterminate case. Numerical examples are also included to provide intuitive and conceptual understanding of structural indeterminacy. The awareness of the structural indeterminacy in applying the MLCM to data is highlighted in the discussions. Researchers are giving examples and directions to check for problematic structures to ensure their final model has a theoretically sound latent structure when modeling data with multilevel discrete latent variables.

      • KCI등재

        무시의 부정의로부터 비규정성의 고통으로

        이행남(Haeng Nam LEE) 사회와철학연구회 2018 사회와 철학 Vol.0 No.36

        호네트의 비판이론은 헤겔의 사유를, 그것도 두 번에 걸쳐 전유하는 가운데 체계적으로 형성되었다. 호네트의 이 두 차례의 헤겔 전유의 작업 중 첫 번째 것은 이미 한국의 연구자들에 의해 충분한 주목을 받아왔던 것으로 그의 초기작 인정투쟁 에서 전개된 것이고, 두 번째 것은 중기작 비규정성의 고통 에서 본격화된 것으로서 이에 대한 국내 연구는 전무한 실정이다. 이 두 저작에서 호네트는 전혀 다른 두 가지 사회적 부정성을 대상으로 삼되, 흥미롭게도 이를 주체들에 의해서 체험되는 ‘고통’으로 의미화하여 다룬다. 즉 『인정투쟁』에서 호네트는 청년 헤겔의 실천철학적 문헌들에 나타난 인정 구상을 설득력 있게 재해석함으로써, ‘정의의 제도를 완비하지 못한 나쁜 사회’에서 주체들은 타인에 의해 부당하게 ‘무시되는 고통’에 쉽사리 노출될 수 있지만, 이 고통을 겪는 당사자들은 “불의의 느낌”이라는 도덕적 감정에 힘입어 자기실현에 필요한 물질적, 상징적 자원의 올바른 재분배를 촉구하는 인정투쟁에 임할 수 있음을 강조한다. 반면에 『비규정성의 고통』에서 호네트는 헤겔의 성숙기 저작인 『법철학』을 본으로 삼아, ‘정의의 제도가 완비되었을지라도 그것의 형식적 이념만을 절대시하는 메마른 사회’에서 주체들은 ‘주어진 자유의 권한을 적절히 활용할 수 없기 때문에 쉽사리 비규정성의 고통’에 노출된다고 진단한다. 그리고 이 고통은 타인의 곁에서 자기를 제한하는 인륜적인 상호주관적 관계를 통해서만 좋은 삶의 실현이 가능하다는 반성적 각성을 불러일으킴으로써 해방의 통로를 열어줄 수 있으리라고 전망한다. 호네트가 두 차례의 헤겔 전유를 통해 길어낸 이 두 고통 - 즉 무시됨 그리고 비 규정됨의 고통 - 으로부터의 해방은 각기 자기실현의 ‘소극적 필요조건’과 ‘적극적 충분조건’에 해당한다. 즉 전자의 차원에서 제기된 좋은 삶의 실현이라는 규범적 이상은 궁극적으로 후자의 차원에 이르러서야 완연하게 구현될 수 있기 때문이다. 호네트가 무시됨의 고통과 그로 인한 인정투쟁을 중심에 두었던 초기의 시대비판적 관심으로부터 차츰 비규정성의 고통과 그로 인한 인륜성의 재전유를 촉구하는 최근의 시대비판적 관심으로 이행한 까닭은 그 때문이다. Honneth’s Critical Theory has been systematically shaped by actualizing Hegel’s thoughts through twofold appropriation. His twofold appropriation of Hegel has been carried out in Struggle for Recognition and in Suffering from Indeterminacy. The first approach has already received much attention from Korean researchers of Honneth’s theory, while the second has hardly been the subject of investigation. In these two approaches Honneth criticizes quite different kinds of social negativities, which he interestingly semantizes as the ‘suffering’ experienced by subjects: In Struggle for recognition, Honneth has emphasized that while subjects in the unrighteous society are easily disregarded and suffer from the hindrance of self-realization, these subjects can, due to the moral “feeling of injustice”, take the struggle for recognition and request a right distribution of material and symbolic resources for self-fulfillment; in the suffering of indeterminacy, in which he tries to reactivate Hegel’s Philosophy of Right, Honneth diagnosticates that subjects in a dry society, in which the just institutions are formed, but only adhered to their formal ideas, suffer from indeterminacy because they didn’t adequately use the given rights of liberty. But according to Honneth this suffering of indeterminacy allows access to liberation insofar as it makes the subjects reflectively realize, that a good life is only possible through the ethical and intersubjective relationship with the others. If the deliverance from the first kind of suffering (i.e. from disregard) corresponds to the minimum requirement for self-realization, the liberation from the second suffering (i.e. of indeterminacy) is the maximum requirement. The normative ideal of the realization of the good life, which is initiated in the former dimension, can only be fully realized in the latter. Therefore, after the conceptualizing the struggle for recognition caused by the suffering of disregard, Honneth shifts once again to the second criticism urging the recuperation from the illness of unbonded Individuality.

      • KCI등재

        Indeterminacy, maintenance expenditures and capital-labour substitution elasticity

        Dou Jiang 한양대학교 경제연구소 2019 JOURNAL OF ECONOMIC RESEARCH Vol.24 No.1

        Recent research in macroeconomics has focused on the possibility ofindeterminacy since a model with indeterminacy can generatebusiness cycles that are driven by sunspots. However, most ofexisting works in this area build on the Cobb-Douglas productionfunction, which seems not empirically plausible. This paper departsfrom unitary values for the elasticity of capital-labour substitution inproduction and investigates the role of capital-labour substitutionelasticity on the occurrence of indeterminacy. I show that in atwo-sector model with maintenance expenditures, the minimumdegree of externalities required for indeterminacy is much lower thanits one-sector predecessor. Moreover, results show that indeterminacymay still occur when the elasticity of labour supply is within therange of empirical plausibility.

      • KCI등재후보

        Indeterminate Feature of Parameter Estimation in Multilevel Categorical Latent Variable

        박중규 경북대학교 사회과학기초자료연구소 2019 연구방법논총 Vol.4 No.1

        Structural indeterminacy among the multilevel discrete latent variables in the multilevel latent class model (MLCM) is discussed in this paper. Three scenarios - non-full-rank, independent, and permutation indeterminacy - are presented with theoretical explanations and proofs of each structural indeterminate case. Numerical examples are also included to provide intuitive and conceptual understanding of structural indeterminacy. The awareness of the structural indeterminacy in applying the MLCM to data is highlighted in the discussions. Researchers are giving examples and directions to check for problematic structures to ensure their final model has a theoretically sound latent structure when modeling data with multilevel discrete latent variables.

      • KCI등재

        미국소설AmericanStudies

        공명수,김길수,정혜옥,조성란,황은주,장영희,황재광,구은혜,박병주,김의락,이영철 미국소설학회 2007 미국소설 Vol.14 No.1

        Horror, Self, and Self-Consuming Writing:Poe’s “The Fall of the House of Usher”Eun-Hye KooPoe’s “The Fall of the House of Usher” demonstrates indeterminacy resulting in self-division. In the text, self-multiplication is realized by doubling the divided self of the narrator in the persons of Roderick Usher, and his twin sister, Madeline Usher. In Usher’s room, which is the indeterminate location and has an indeterminate form, the narrator paces, keeping time with the pacing of his double Roderick who suffers from schizophrenia. After the premature burial of Roderick’s double, Madeline, his mental disorder noticeably deepens, until he becomes a victim of the terror that exists only in his mind. In the final scene, as with the physical structure of the House of Usher, Roderick sinks into the abyss of the tarn. Death, selflessness, nothingness, and indeterminacy are inevitable result of the self-division. As “the voice of a thousand waters” become silent, the “House of Usher” (family, mansion, and story) as world of words is no more: the story is over, the text consumes itself into the tarn. Roderick’s, the narrator’s, and reader’s terror can be considered in the postmodern aesthetic context of Lyotard’s sublimity, which puts forth the unpresentable in presentation itself. In this fashion, fear and self-division become representative of the unpresentable and inscrutable nature of reality.

      • KCI등재

        하트의 ‘개방적 구조’에 관한 연구

        권경휘 경북대학교 법학연구원 2011 법학논고 Vol.0 No.37

        This study considered a concept of open texture presented in H. L. A. Hart’s The Concept of Law. It reviewed the context that Hart had used open texture and minutely analyzed his explanation about open texture. Through this, the study showed how Hart is explaining problem of vagueness in legal interpretation through open texture. Hart argued based on open texture that vague cases are few and a judge uses discretion for these cases. Hart reveals that idea called open texture is adopted from F. Waismann. However, the study showed two discussions are similar but different by comparing Waismann’s explanation of open texture with Hart’s. In other words, open texture of Waismann deals with the case that rules of language could not prepare but Hart tried to explain less radical case by using open texture. This difference occurred because Hart adopted a paradigm case and associated it with intention of a legislator for explaining open texture. The answer that intention of a legislator confirms the meaning of term falls into a new question “how can all judges equally understand intention of a legislator for a certain rule?” Therefore, in order for open texture to have legal meaning, a paradigm case must be adopted and open texture must be restored by explaining the case that our language rule could not predict through removing it from association with intention of a legislator. If it is restore like this, then of course, open texture will conform to very small cases than Hart had argued. If open texture is modified more radically then problem of legal indeterminacy can’t be explained with open texture. As Dworkin points out through semantic sting argument and Hart concedes, legal indeterminacy occurs from general standards such as ‘rational’ in addition to open texture. Hart underestimated the role of general standards in problem of legal indeterminacy. However, problem of legal indeterminacy must be explained with general standards and open texture. 이 글에서는 하트(H. L. A. Hart)의 『법의 개념』에 나타난 개방적 구조(open texture)의 개념을 다루었다. 필자는 하트가 개방적 구조를 사용한 문맥을 검토하고 개방적 구조에 대한 그의 설명을 자세히 분석하였다. 이를 통하여 필자는 하트가 개방적 구조를 통하여 법해석에 있어서 모호성(vagueness)의 문제를 어떻게 설명하고 있는지 보여주었다. 하트는 개방적 구조를 근거로 모호한 사례가 소수에 불과하고 그 경우에는 법관이 재량행위(discretion)를 하게 된다고 주장하였다. 하트는 개방적 구조라는 아이디어를 바이스만(F. Waismann)으로부터 받아들였다고 밝히고 있다. 그러나 필자는 개방적 구조에 대한 바이스만의 설명을 하트의 것과 비교함으로써 두 논의가 서로 비슷하지만 다르다는 것을 보였다. 즉 바이스만의 개방적 구조는 언어의 규칙들이 예비하지 못한 경우를 다루고 있지만 하트는 개방적 구조를 사용하여 보다 덜 극단적인 상황을 설명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차이는 하트가 개방적 구조를 설명함에 있어서 모범례(paradigm case)를 도입하고 그것을 입법자의 의도와 결부시켰기 때문에 발생한 것이다. 입법자의 의도가 용어의 의미를 확정한다는 답변은 “모든 법관이 어떤 규칙의 입법자의 의도를 어떻게 동일하게 이해할 수 있는가?”라는 새로운 문제에 빠지고 만다. 따라서 개방적 구조가 법에 있어서 의미를 가지려면, 모범례를 도입하고 그것을 입법자의 의도와 결부시킨 것을 제거하여 개방적 구조를 우리의 언어 규칙이 예상하지 못하였던 경우를 설명하는 것으로 복원하여야 할 것이다. 물론 이렇게 복원시키게 되면 개방적 구조는 하트가 주장했던 것보다 훨씬 더 극소수의 경우에만 해당하게 될 것이다. 개방적 구조를 그렇게 더 극단적인 것으로 수정한다면 법에 있어서 비결정성의 문제는 개방적 구조만으로는 설명할 수 없을 것이다. 법의 비결정성의 문제는 개방적 구조뿐만 아니라 ‘합리성’, ‘종교의 자유’, ‘공정성’ 등과 같은 일반적 기준들에 의해서도 일어나며, 후자의 경우가 더 핵심적인 것이다. 그러므로 법의 비결정성의 문제는 개방적 구조뿐만 아니라 일반적인 기준들에 의해서 설명되어야만 한다.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