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예비유아교사의 인권감수성과 유아인권 교수효능감

        김정화 한국교원대학교 유아교육연구소 2018 한국유아교육연구 Vol.20 No.3

        본 연구는 예비유아교사의 인권감수성과 유아인권 교수효능감을 조사하여 학년, 인권 관련 교육경험, 유아권리협약 인지도, 유아인권교육에 대한 관심도 및 중요성 인지도 등의 변인에 따른 차이를 알아봄으로써 예비유아교사 대상의 유아인권교육을 위한 시사점을 제공하는 데 목적을 둔다. 연구대상은 서울시 S대학 유아교육과에 재학하고 있는 예비유아교사 389명이다. 연구 결과, 예비유아교사의 인권감수성은 보통을 조금 넘어서는 수준으로, 책임지각이 가장 높았고 결과 지각이 가장 낮았다. 변인들 중 유아인권교육에 대한 관심도와 중요성 인식도에 따라 집단 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유아인권 교수효능감은 보통 이상의 수준이었으며, 개인효능감이 결과 기대감보다 높았다. 예비유아교사의 유아인권 교수효능감은 모든 변인에서 집단 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또한 인권감수성과 유아인권 교수효능감 간에는 정적인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아인권교육 관련 경험이 부족한 예비유아교사를 대상으로 관련 지식뿐만 아니라, 상황 중심의 문제해결과정을 강조하는 접근법의 유아인권교육이 요구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necessary data to make a better human rights education program for preservice teachers, this research carries out an investigation on preservice teachers' human rights sensitivity and teaching efficacy of human rights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The subject consists of 389 preservice teachers majoring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at S College in Seoul. This investigation shows that the level of preservice teachers' overall the human rights sensitivity is slightly above average.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groups among those affected by the level of interest and awareness of the importance of eduaction on child's human rights, groups with a high level of interest and awareness of the importance on child human rights had higher scores. The level of preservice teachers' overall teaching efficacy on human rights education is above average.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eacher's teaching efficacy on human rights education according to grade, human rights education experience, awareness of convention on the rights of the child, and awareness of interest in and importance of human rights education. And there is a static correlation between human rights sensitiviry and efficacy in human rights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children‘s rights education is required not only for prospective teachers who lack experience in child human rights education but also hor approaches that emphasize situation-oriented problem solving.

      • KCI등재

        인권교육 경험을 통한 유아 인권감수성의 특성

        김선희(Kim, Seon-Hui),윤재희(Yoon, Jae-Hui)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2019 어린이문학교육연구 Vol.20 No.2

        이 연구의 목적은 인권교육을 통해 나타나는 유아 인권감수성의 특성을 살펴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Y시의 어린이집에 재원 중인 만 5세 유아 10명과 담임교사 2명이 연구에 참여했으며, 유아들을 대상으로 인권교육 프로그램을 실행한 후 대화와 관찰을 통해 자료를 수집했다. 연구결과 유아 인권감수성의 특성은 권리를 삶에 적용하며, 권리를 중심으로 연대하고, 권리를 실현하기 위한 과정이었다. 이러한 결과는 첫째, 유아가 인권교육을 경험함으로써 스스로가 권리 주체자임을 인식해 나가는 과정을 통해 유아기가 인권교육의 적기임을 밝힌다. 둘째, 유아들이 인권 친화적 공동체를 형성하는 것을 통해 유아 인권교육의 내용이 지식적인 측면보다는 인권 친화적 태도를 형성하는 ‘과정’에 초점을 두어야 함을 제안한다. 셋째, 유아가 자신과 타인의 권리를 옹호하기 위한 행동을 실천하는 모습을 통해 권리 옹호자로서 성장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준다. 따라서 바람직한 유아 인권교육의 방향은 궁극적으로 권리 옹호 행동을 실천하기 위한 목적으로 결과보다는 ‘과정’에 초점을 맞춘 인권감수성에 근거해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human rights sensitivity of young children through human rights education. To this end, ten 5-year-old children and two homeroom teachers who were enrolled in Y city"s daycare center participated in this study. After implementing a human rights education program for young children, the data were collected through dialogue and observation.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at the characteristics of human rights sensitivity of young children were as follows: applying rights to life, solidarity with rights, and a process of realizing rights. The results show that it is appropriate to teach young children human rights education through the process of recognizing oneself as a person with rights by experiencing human rights education. Second, it is suggested that through the formation of a human rights-friendly community, the content of young children’s human rights education should focus on the ‘process’ of forming a human rights-friendly attitude rather than on the intellectual side. Third, young children show the possibility of growing up as a rights advocate through the appearance of young children practicing the actions to defend the rights of oneself and others. Therefore, it is suggested that the direction of human rights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should be based on human rights sensitivity focusing on the ‘process’ rather than the results, ultimately with the aim of implementing human rights advocacy actions.

      • KCI등재

        유아 인권교육 연구 동향 분석과 장애 유아 인권교육 방향성 탐색

        박계신 한국유아특수교육학회 2017 유아특수교육연구 Vol.17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research trends related to human rights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conducted from 2005 to 2016 and to suggest future research directions. As a result, researches on human rights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are very inadequate and it is necessary to carry out researches on effects of human rights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and to verify their effectiveness. Although research types were various, research on the development of human rights education program was found to be insufficient It was found that it is very necessary to develop human rights education program linked to the NURI curriculum and to fabricate a manual of educational method to realize human rights education in kindergarten. As a result of the qualitative research analysis, it was revealed that human rights education activities should include human rights factors that reflect the situation and needs of the times, The independent variables used in the experimental study are mostly teaching methods and activities that internalize the value of respecting human rights and habituate human-friendly behavior through direct activities related to the learner's experience, as suggested by recent human rights studies. Dependent variables were related to the change of attitude and behavioral aspect of infants. This study also suggested the direction of follow-up research for the human rights education for infants and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 discussed the methodology of human rights education for children with disabilities that have not received much attention until recently. 본 연구는 2005년도부터 2016년까지 수행된 국내 유아 인권교육 관련 연구 동향과 추후 연구 방향을 분석하고자 실시되었다. 이를 위해 유아 인권교육관련 국내 논문 17편의 학술지 논문을 선정하여 연구시기 및 연구 유형에 따른 일반적 동향을 살펴보았고 연구의 유형에 따른 연구 내용의 특성을 분석하였다. 또한 분석 연구에서 제시하는 유아 인권교육 연구의 추후 연구 방향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유아를 대상으로 한 인권교육관련 연구는 수적으로 매우 부족하여 추후 유아 인권교육에 대한 연구의 실행과 효과 검증이 활발히 이루어져야 할 필요성이 있음이 나타났다. 연구 유형은 다양하게 나타났으나 인권교육 프로그램 개발 관련 연구는 매우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고, 유치원 일과 안에서의 인권교육 실현을 위해 누리과정 연계 인권교육 프로그램의 개발과 교육방법 매뉴얼 제작이 매우 필요함이 나타났다. 질적연구 분석 결과, 인권교육 활동에 시대적 상황과 요구를 반영하는 인권 요소를 포함하고 누리과정 운영 시 인권 범주의 요소들이 균형 있게 실행되는 것이 필요함이 나타났다. 실험연구에서 활용된 독립변인은 대부분 최근의 인권 관련 연구들이 제시하는 바와 같이 학습자의 경험과 관련된 직접적인 활동을 통해 인권 존중의 가치를 내면화하고 인권 친화적 행동을 습관화하는 교수방법과 활동을 사용하였고, 종속변인은 이와 맥을 같이하여 유아의 태도와 행동적 측면의 변화에 관심을 두고 있었다. 본 연구는 또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최근까지 거의 관심을 받아 오지 못한 장애 유아 인권교육의 실행 방법론에 대해 논의하였다.

      • KCI등재

        경험학습 중심의 인권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현장 적용 연구: 유아 인권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 Ⅵ-2

        김숙자,김현정,박현진 한국교육학회 2008 敎育學硏究 Vol.46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the human rights education program for young children based on the theory of experimental learning and analyze the effects of the program. The subjects were 49 five-year-old children. The effects of the program were assessed attitude toward child's human rights through pre- & post-test before and after the application of program. In addition, actual class episodes were analyzed. The episodes were derived from the 16 sessions of interaction between teacher and children in human rights education program based on the theory of experiential learning. As a result of the study, human rights education program for young children improved attitudes toward child's human rights: basic rights, rights of equality, rights to freedom, economic rights, political rights and social rights. And children's concepts related to human rights developed through 4 stages in teacher's teaching-learning process: the concrete experience, the reflective observation, the abstract conceptualization, and active experimentation. 본 연구의 목적은 경험학습 중심의 유아 인권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개발된 프로그램의 현장 적용성을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인권교육 프로그램을 5세 유아 49명에게 5주간 총 16회에 걸쳐 실시하였고, 프로그램 적용 전후에 유아 인권관련 태도의 사전‧사후 검사를 시행하였다. 그리고 프로그램 적용 과정에서 얻어진 수업사례를 질적 분석하였다. 그 결과 경험학습 중심의 유아 인권교육 프로그램은 유아의 인권관련 태도를 긍정적으로 향상시켰으며, 유아들이 구체적 경험, 성찰적 관찰, 추상적 개념과 그리고 능동적 실험의 경험학습 4단계를 통해서 인권교육 내용을 인식하고 태도와 행동이 변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로써 경험학습 중심의 인권교육 프로그램이 유아 인권교육에 적합하다고 볼 수 있다.

      • KCI등재

        유아교사의 유아인권 교수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김정화(Kim, Jung Wha) 한국교원대학교 유아교육연구소 2020 한국유아교육연구 Vol.22 No.2

        본 연구에서는 유아교사의 개인 변인과 유아인권교육과 관련한 교사의 인식 변인, 인권감수성 변인에 따른 유아인권 교수효능감의 차이를 분석하고 이러한 변인들이 교사의 유아인권 교수효능감에 미치는 영향력을 밝히고자 한다. 연구대상은 서울시와 경기도 소재 유치원과 어린이집에 근무하는 유아교사 203명이다. 연구 결과, 유아교사의 유아인권 교수효능감은 개인 변인 중 교사의 최종학력, 기관유형, 연령, 담임반 유아연령, 경력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개인 변인 중에서 교사의 유아인권 교수효능감을 예언하는 가장 경력한 변인은 교사의 최종 학력이었다. 교사의 인권교육 관련 인식변인에 따른 유아인권 교수효능감 차이를 보면, 유아인권교육에 대한 중요성 인지도, 유아인권교육 관련 연수경험, 인권 관련 내용 인지도, 유아인권교육 운영여부 등 변인 모두에서 집단 간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인권감수성과 유아인권 교육관련 인식 중에서 교사의 인권 교수효능감을 예언하는 가장 경력한 변인은 유아인권교육 운영, 인권교육 중요성, 인권감수성, 인권내용 인지 순이었고 이 4개 변인으로 설명할 수 있는 유아인권 교수효능감의 변량은 26.6%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discrepancies in teachers teaching efficacy on human rights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based on the teachers’ individual differences, human rights awareness, and human rights sensitivity, as well as bring to light their influences on teacher education concerning human rights education. The study subjects consisted of 203 teachers working at different kindergartens and daycare centers in the Seoul and Gyeonggi Provinces.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screpancies among teachers depending on their final education backgrounds, types of institutions, ages, experiences, and ages of young children teachers were in charge of. Among these factors, the one that was the most indicative of teaching efficacy was the teachers’ levels of education. Additionally, when looking at discrepancies in the efficacies of human rights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in relation to teachers’ perceptions, it was found tha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ased on training experience, awareness on human rights issues, and human rights education frameworks. Overall, it was found that the four factors that had influences on teaching efficacy the most included managing programs for young children’s rights in centers, perceiving the importance of human rights education, having the human rights sensitivity, and recognizing contents of human rights, all of which contribute to 26.6% of teaching efficacy.

      • KCI등재

        유아 인권교육의 새로운 방향 탐색

        윤재희,유향선,이효정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2013 유아교육학논집 Vol.17 No.2

        This paper aims to suggest possible directions for educating young children about human rights. In order to do this, the author reviewed relevant literature and categorized key contents of human rights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The key contents are respect for self, respect for others, and respect for other living things. Based on the key contents, this study analyzed the national curriculum the Nuri curriculum for 3-5 year-old children.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the key contents of human rights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were reflected in the five domains of the Nuri curriculum. However, particular domains, for example the domain of social-relationships, were included in the key contents of human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to a greater degree than other domains. Also, respect for living things was included in the educational contents for 4- and 5-year-old children. This result suggests that the current field of Korean early childhood education is prepared by the implementation of human rights education in terms of curriculum. In order to properly initiate human rights education in early childhood educational institutions, -pre- and in-service teachers needs to take a course to raise their awareness about human rights. Also, educational materials and instruments in early childhood institutions needs to be evaluated in order to evaluate which materials contribute best to tackling prejudices related to minorities in a classroom.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외 유아 인권교육 관련 선행문헌을 고찰한 다음 3-5세 연령별 누리과정을 내용 측면에서 분석하여 유아 인권교육의 새로운 방향성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유아 인권교육에 관한 선행문헌을 검토하여 유아 인권교육내용의 분석준거로 ‘나에 대한 존중’, ‘타인에 대한 존중’, ‘생명체에 대한 존중’을 선정하였다. 이를 기반으로 3-5세 연령별 누리과정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를 위한 인권교육내용은 인권에 대한 태도와 가치를 기반으로 하며 그 핵심내용을 '자신에 대한 존중', '타인에 대한 존중', 그리고 '생명체에 대한 존중'을 들 수 있다. 둘째, 3-5세 연령별 누리과정은 ‘나와 타인 그리고 생명체에 대한 존중’이 고르게 반영되어 있다. 유아 인권교육이 보다 활성화되기 위해서 직전교육과 현직교육에서 교사의 인권감수성을 높이는 방향으로 나아가야 한다. 그리고 유아 인권교육에 적절한 교재 및 교구의 평가․보완이 이루어져야 한다.

      • KCI등재

        경험 학습 중심의 유아 인권교육 프로그램의 현장 적용- 유아 인권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Ⅵ-1

        김숙자,김현정,장윤정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2008 유아교육학논집 Vol.12 No.5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human rights education program for young children based on the theory of experimental learning and analyze the effect of the program. The subjects were 96 young children (boys:45, girls:51). The effects of the program were the assessed attitude toward child's human rights through pre- & post-tests before and after the application of program. The data was analyzed by descriptive statistics, paired samples T test by using SPSS program. Results showed that a human rights education program for young children improved attitude toward basic rights, rights of equality, rights to freedom, economic rights and political rights. 본 연구는 경험학습 이론 중심의 유아 인권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개발된 프로그램의 현장 적용성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유아 인권교육 프로그램은 4, 5세 유아 96명을 대상으로 5주간 총 16회 실시되었고, 프로그램 적용 전후에 사전·사후 검사를 실시하여 효과를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경험학습 이론 중심의 유아 인권교육 프로그램을 실시하는 것이 기본적 권리, 평등의 권리, 자유의 권리, 경제적 권리, 정치적 권리에 대한 유아들의 태도가 긍정적으로 향상된 것을 알 수 있었다.

      • KCI등재

        유아 인권교육을 위한 고민

        권귀염(Kwon, Kyee-Yum) 경성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5 인문학논총 Vol.39 No.-

        다양한 인권적 이슈들이 부각됨에 따라 유아교육 현장에서 인권교육이 시행되고 인권 친화적 환경이 마련되어야 할 필요가 강조되고 있다. 영유아기의 발달적 특성의 측면에서도 유아인권교육은 반드시 필요하다. 그러나 유아교육 현장의 인권 상황은 긍정적이지 못하며 교사들의 인권의식 역시 부족함이 많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유아교육에서의 인권교육은 단순히 인권을 내용으로 한 프로그램 도입으로의 접근이 아니라 인권감수성을 바탕으로 한 인권의 실천, 태도, 가치 확립을 지향하는 인권을 통한 교육이 되어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해 교사들의 아동관 및 실천행위에 대한 점검과 반성, 인권적 관점에서 하루 일과를 바라보고 변화시키고자 하는 노력 등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This paper aims to explore what should be first considered for children’s human rights education. Reflecting diverse social changes and frequent child abuse accidents, it is urgent to implement human rights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and to build child-rights friendly environment. However, the conditions of early childhood institutions in terms of teacher’s and children’s human rights are not positive. Teachers’ perception on child rights is limited. In this condition, before developing and implementing human rights education programs for teachers and young children, we need to focus on establishing educational environments which teachers and children respect each others’ needs and rights. Teachers’ sensitivity to human rights is another key to successfully plant human rights education in the field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Teachers need to make effort to examine their views on children as well as everyday practices.

      • KCI등재

        유아 참여권 증진을 위한 학급회의 경험: 어려움과 혼란 그리고 작은 희망의 기록

        배수나(Bae, Su Na),권귀염(Kwon, Kyee Yum) 한국육아지원학회 2020 육아지원연구 Vol.15 No.2

        본 연구는 유아 참여권 증진을 위한 노력의 과정으로 학급회의를 통한 학급의 공동 운영을 시도한 교사와 유아들의 경험에 대해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G광역시의 유치원에 재원하고 있는 만 5세 유아 25명과 본 연구의 공동연구자인 담임교사가 학급회의를 시도하였으며, 해당 장면의 참여관찰, 유아들과의 심층면담, 참여교사의 반성적 저널쓰기 등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결과, 유아들은 학급회의의 의미를 제대로 안내받지 못해 필요성을 이해하기 어려워하였으며, 참여교사 또한 교육신념을 현실화하는 실천적 방법 찾기에 어려움을 겪었다. 유아들은 점점 학급회의 시간을 힘들어하는 모습을 보였고, 참여교사도 점차 자신감을 잃어갔다. 이러한 어려움과 혼란의 과정을 고려할 때 성공적인 학급회의가 이루어졌다고 할 수는 없다. 그러나 작지만 의미 있는 희망 역시 발견되었는데 유아들이 학급의 문제들에 대해 공유, 소통하는 것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있는 듯이 보였다는 점이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는 유아의 진정한 권리 실현을 위해서 특정한 활동이나 프로그램이 아니라 교사의 교육적 접근 방식, 유아관 등 교육 전반에 대한 성찰과 변화를 위한 노력이 중요함을 시사한다. 더불어, 협력적 교육공동체 속에서 교사들이 실천적 방안을 모색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가는 것이 필요할 것이다. The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experience of a teacher and children who attempted class meetings to promote children’s rights of participation. The teacher, who was also one of the researchers in this study, and 25 5-year-old children from a kindergarten located in G metropolitan city tried to have class meetings regularly. Data were collected through participant observations of the class meetings, individual interviews with the children, and self reflective journals from the teacher. The results of the study revealed that the children were less likely to understand the necessity of the class meetings due to the lack of sufficient guidance required to internalize the meanings of the class meetings. The teacher also had a hard time in finding practical ways to realize her beliefs about children’s right to participate. As time passed, the children complained that enduring the meeting period was hard, and the teacher gradually lost self-confidence. Considering such difficulties and confusion, it is hard to say that the class meetings were successful. However, small but meaningful hope was also found; the children seemed to recognize the importance of sharing and communicating the class matters. Such findings imply that teachers need to deliberate their educational perspectives and views on children in order to realize children’s rights to participate rather than implementing specific activities or programs.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create an atmosphere within collaborative educational communities which helps teachers to find diverse practical ways to enhance children’s rights of participation.

      • 유아인권 및 유아인권교육에 대한 예비유아교사의 인식 연구

        남궁선혜,김현정 한국아동보육실천학회 2011 아동보육연구 Vol.7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를 대상으로 하는 인권교육에 대한 예비유아교사들의 인식을 알아보는데 있다. 연구대상은 J시 H 대학 유아교육과 1, 2, 3학년에 재학 중인 대학생 201명이다. 이를 위해서 사용한 연구 방법은 설문지 조사방법이고, 설문지는 4개의 영 역으로 구성하였다. 예비 유아교사 인식 조사용설문지를 예비교사들에게 배부하여 회수 한 후 문항별 빈도와 백분율을 산출하고 관련 변인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 검증하였다. 그 결과 예비유아교사들은 유아인권의 중요성에 대해 높게 인식하고 있었고, 인권교육 내용으로 공동체 함양 의식이 가장 필요하다고 응답하였다. 또한 유아인권교육의 바람 직한 방향을 위해 교사의 인권의식 변화와 프로그램 개발에 대한 요구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