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수업 재구성을 통해 본 역사 교사 지식

        윤지양 ( Yun Ji-yang ) 역사교육학회 2017 역사교육논집 Vol.62 No.-

        While there may be differences in the extents, all history teachers reconstruct their classes. Especially, after the introduction of the 7th Curriculum, the paradigm of education has been changed, and the autonomy of the educational entities has extended greatly in teaching and learning processes. For this, the trend is becoming stronger, where the teachers as not seen as the deliverer of knowledge but as the decision maker, modifier of knowledge, and active creator of contents. In history education, reconstruction of class has been an important matter. The variability of the knowledge on history itself, the potentiality, and the descriptive nature were pointed as the reasons why reconstruction of class is needed. It has also been emphasized as the process of discussing the history teachers professionalism and making a better history class. Also, reconstruction is also needed to embrace various demands for changes in history education in the field. For this reason, the history teachers should use their expertise and skills to reconstruct the classes in order to serve the specific situations of their own. It has become a very import task for the teachers, how they should decide the contents and methods of the education, practice them, and evaluate them. If so, what is the decisive factor that affect the reconstruction of class? There would be beyond doubt that they are the teachers. The teachers, in the process of class reconstruction, use their best judgment, choices, and their knowledge on the internal and external factors in the class room. There, this complicated set of evaluations is affected by the cognitive function of the teachers, and the key factor in this process is nothing other than the expert knowledge base of the teachers. That is, the key factor of the reconstruction classes is the `knowledge of the teacher.` Until now, there have been many attempts to analyze the knowledge of history teachers, and the cognitive basis of history teachers was presented in the theoretical aspect. Through studies on actual teaching cases, it was attempted to solidify the knowledge of history teachers, and it was attempted to explain the teachers professionalism through this. Also, as a strategy to train future teachers, it was attempted to evaluate the knowledge of teachers, as well. The achievements from these studies are as follows; the knowledge of history teachers that could affect the reconstruction of the classes can be classified into four domains. First, in all studies, the knowledge on the contents of the history subject had the highest ratio. Second, knowledge on the pedagogy and teaching method for the history classes are necessary. Third, the reconstruction of class reflects the understanding of the teacher on the students, or the understanding on the classroom or the school situation. Lastly, in the case of history subject, the philosophical basis of the teacher is emphasized. Based on this, the cognitive background of a history teacher can be referred to as the `history teacher knowledge.` Based on the discussions above, in this study, the knowledge characteristics of three history teachers were analyzed through the actual cases of reconstruction of class. The three sample teachers had the opportunities to reconstruct the history classes through years of research group activities. Therefore, they provided good examples to understand the history teacher knowledge. By examining the process of reconstruction of the three different teachers for the same topic, it was possible to see the history teacher knowledge at work in the four aspects of history teacher knowledge, such as the history knowledge, history teaching method, understanding of the student, and history class orientation. The examination of the history teacher knowledge at work in making choices and judgements for the process of reconstruction the class would provide useful ideas to other history teachers in their reconstruction works. And, it would be helpful for enhancing the expertise and finding concrete evidences.

      • KCI등재

        역사교사요인에 따른 수업의 像, 실현화·곤란

        김인경 한국역사교육학회 2017 역사교육연구 Vol.- No.27

        본 연구는 역사 교사들이 수업 설계에서 겪는 사고(思考) 과정을 심층 면담하여 알아보고자 한 것이다. 그리고 이를 고찰하기 위해 수업 像, 실현화, 곤란이라는 연구 용어를 정립하였다. 연구과정은 다섯 명의 교사들을 대상으로 질적 연구를 하였다. 본 연구는 역사 교사들이 수업 설계에서 고려하는 역사교사요인과 그에 따른 수업 像과 실현화, 곤란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그리고 이로써 교과교육 차원에서 현장 교사들의 수업 설계 과정을 이해하고 보완할 수 있으리라 기대하였다. 본 연구는 선행 연구를 기반으로 역사 수업의 주체인 교사가 수업을 설계하는데 중점적으로 생각하는 역사교사요인을 ‘①역사 교과의 특성, ②역사 수업 방법, ③학습자의 특성, ④역사 수업 환경, ⑤교사 자신에 대한 이해’라는 5가지로 정리하였다. 그리고 역사교사요인에 따른 교사들의 수업 像을 심층 면담하여 분석하였다. 심층 면담에 따르면 대체로 교사들이 기대하는 수업 상은 다음과 같다. 첫째, 역사 교과의 특성을 고려한 수업 상이다. 교사들은 역사적 사고력을 신장하여 현실을 이해하는 수업, 역사적 상상력으로 당시대를 이해하는 수업, 다양한 역사 해석이 가능한 수업, 역사적 개념이나 사실을 흐름 속에서 이해하는 수업 상을 그렸다. 둘째, 역사 수업 방법을 고려한 수업 상이다. 교사들은 학생들이 참여하는 수업, 내용의 효과적인 전달을 위한 수업, 교사의 스타일을 살려 구조화 한 수업, 다양한 역사 교재를 활용한 수업 상을 그렸다. 셋째, 학습자의 특성을 고려한 수업 상이다. 교사들은 학생들의 흥미와 관심을 반영한 수업, 학생들의 수준을 고려한 수업, 학생들의 상황을 고려한 수업 상을 그렸다. 넷째, 역사 수업 환경을 고려한 수업 상이다. 교사들은 학생 수, 기자재 같은 교실 환경을 고려한 수업, 입시·진도·동료교사와의 관계 같은 외부적 상황을 고려한 수업상을 그렸다. 다섯째, 교사 자신에 대한 이해를 고려한 수업 상을 그렸다. 교사들은 교사의 역사교육관을 반영한 수업, 교사가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내용의 수업, 발전적이고 만족할 수 있는 수업 상을 그렸다. 본 연구는 교사에 따른 수업 설계 과정을 비교하고자 ‘조선 후기 문화’를 제시하고 수업 장면을 재구성하였다. 학습자를 가장 고려하는 (가)교사의 수업은 조선 후기 문화 자료가 많이 등장한다. 교과서 밖의 수업 자료도 많이 볼 수 있다. 이는 학생들이 자료를 통해 흥미를 갖고, 많은 자료를 경험하여 시험에 대비하기 위함이다. 수업 방법을 가장 고려하는 (나)교사는 학생들이 조선 후기 서민이 되어 이야기를 만들어가는 수업을 한다. 이는 학생들이 참여하는 활동 수업 상이 실현된 것이다. 역사 교과의 특성을 가장 고려하는 (다)교사는 학생들이 사회·경제적 배경으로 성장한 서민의식을 이해하기 바란다. 그리고 이와 함께 현실 사회도 읽어내기를 바란다. 이를 실현하고자 (다)교사의 수업은 질문이 자주 등장한다. 예를 들면 경제 성장과 문화의 연계, 당시대 사람들의 삶을 유추하는 질문이다. 이는 역사적 사고력을 신장시켜 현실을 이해하는 수업 상이며, 역사적 흐름에서 개념과 사건을 익히는 수업 상이다. 수업 방법과 학습자의 특성을 함께 고려하는 (라)교사는 학생 발표 수업으로 실현한다. 학생들은 서민 문화 같은 역사 용어를 풀이하고, 모르는 내용은 스스로 해결한다. 발표 수업은 어떠한 학생들이라도...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the though process of history teachers in curriculum designing by conducting in-depth interview. And in order to contemplate on this, the study term “class figure, realization and difficulty” was established. The qualitative research was conducted subjecting 5 teacher. This study aims to verify the history teacher element considered in the process of curriculum designing and the class figure, realization and difficulty of the history teachers. This study hereby expects to understand and supplement the curriculum designing process of teachers in educational field in terms of curriculum education. This study is organized into 5 history teach elements that teachers, the main subject of history class consider significant in designing class based on the existing studies that are “①characteristic of history class ②teaching method of history class, ③characteristics of learner, ④history class environment , ⑤teacher’s understanding toward oneself. Also, the teachers were subjected to in-depth interview regarding class figure and the results were analyzed. According to the in-depth interview, the class figures expected by most of the teachers are as follows. First figure is the class regarding the characteristics of history class. Teachers designed class which enables reality understanding by improving historical thinking, class which enables understanding the historical period with historical imagination, class which enables various historical interpretation, and class which enables understanding of historical concept and fact in the flow. Second is the figure regarding the teaching method of history class. Teachers designed class that students participates, class with effective delivery of contents, class which well constructed teacher’s style, class which utilizes various historical material. Third is the class regarding the characteristic of learner. Teachers designed class reflecting interest of students, class considering the level of students and class considering the situation of students. Fourth is the class figure considering history class environment. Teachers designed class considering class environment element such as number of students and classroom material, and class considering the external situation such as college admission, study progress and the relationship with coworkers. Fifth, the teachers designed class considering the understanding toward oneself. Teachers designed class reflecting the history education philosophy of oneself, class with contents that teachers see important, and class that is satisfactory and expansive. In order to compare the class design process by teachers, the teachers were provided with “late Joseon culture” and restructured class scene. Teacher (A) who considered students the most presented the largest amount of late Joseon culture material in the class. There were also many materials outside the textbook. This is to make students feel interested in class and experience many materials to prepare for exam. Teacher (B) who mostly concerned the teaching method designed class making story by students becoming the ordinary people from late Joseon. This has realized the activity class figure participated by students. Teacher (C) who considered the characteristic of history education aimed to make students understand the thoughts of people lived in the social and financial background of late Joseon. Also, he wanted to read out the actual society. In order to actualized this, a lot of questions are in the class led by teacher (C). For example, the teacher raises questions regarding the economical growth, culture and life of the people. This improves the historical thinking ability to understand reality, and it also let students learn concept and incidents in the historical flow. Teacher(D) who considers the teaching method and characteristics of students actualize the class figure by student presentation class. Students interpret hist...

      • KCI등재

        ‘역사하기(doing history)’를 위한 프로젝트 역사 수업 방안 -‘여러 나라의 성장’ 단원을 중심으로-

        허은철(Heo, Eun-Chul)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8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8 No.21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 핵심역량이 강조되면서 이를 위한 다양한 수업 방식의 시도가 이전보다 늘어나고 있다. 그 중에서 학습자 스스로 직접 생각, 체험하고, 토론하는 ‘역사하기(Doing History)’가 가능한 프로젝트 역사 수업이 주목되고 있다. 프로젝트 역사 수업은 학습자 스스로 문제의식을 가지고 주제를 선정하는 단계부터 조사, 연구, 발표 및 평가까지 학습의 모든 과정에 걸쳐 학습자 스스로가 참여하는 수업 모형을 말한다. 프로젝트 역사 수업은 기존 암기식 역사 수업을 벗어나 학습자 스스로 문제 해결 방법을 찾아가며 문제해결을 통해 성공 경험을 갖게 하고, 모둠원 간의 상호 협력을 통해 문제를 해결하여 결과를 도출할 수 있게 한다는 점에서 역사 수업의 현실적인 대안이 될 수 있다. 프로젝트 역사 수업에서 교사는 안내자로서 학습자와의 활발한 피드백을 통하여 학습자가 유의미한 학습 결과를 얻을 수 있도록 도와주는 조력자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이러한 프로젝트 학습의 중요성이 점차 강조되고 있지만 역사 수업에서 프로젝트 학습의 활용도는 매우 낮다. 따라서 입시체 제, 평가의 공정성, 수업 환경의 제한 등 여러 제약이 있겠지만 앞으로 다양한 프로 젝트 역사 수업에 대한 실천적인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져야 한다. 이는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 강조하고 있는 핵심역량을 기르는 일이기 때문이다. As the 2015 revised national curriculum stresses core competencies, more and more teaching methods are being tried these days. Among them, project history class is being highlighted as it allows learners to ‘doing history’ involving thinking on their own, experiencing, and discussing, and so on. Project history class refers to the class model that allows learners to participate directly in all the processes of learning, from the step to choose a topic based on their critical mind to those of investigation, research, presentation, and evaluation. Because project history class allows learners to find solutions to problems themselves being freed from existing history class focusing on memorization, have successful experiences through problem solving, and draw a result by solving problems through mutual cooperation among group members, it can turn out to be a realistic alternative for history class. In the project history class, the teacher plays roles as a guide exchanging feedback positively with learners and as an assistant helping learners to gain significant learning results. Although the importance of project learning is being emphasized more and more gradually, it is, in fact, hardly being used in history class. Therefore, even though there exist several barriers in applying it, for example, the entrance examination system, fairness of evaluation, or restrictions in class environment, it is needed to conduct practical research on project history class multilaterally and aggressively afterwards. It is because this is a way to enhance core competencies stressed in the 2015 revised national curriculum.

      • KCI등재후보

        고등학생의눈으로 본 역사수업

        이해영 한국역사교육학회 2011 역사교육연구 Vol.- No.14

        Many teachers and students would like to have a ‘good’. class. While the expectation and concern about ‘good’class are increased, the definition and condition of‘ good’class don’t come to be an agreement. That is, the definition of ‘good’class involves a lot of controversial issues. Recently, the one of important properties of‘ good’classes is student-centered class. Students in class should do actively. And they should construct the knowledge which they want to know for themselves. But students don’t do actively in history class in reality. While students are in silence, teachers act and talk to constantly. That is, the roles of teacher than those of students are more important. they are capable of handle various history materials, video very well. And they should have a good command of the explanation of historical facts or events. The result of this study shows that there are great differences between the history theory and the real school spots. Even, there are a difference between the good classes of the history teachers think and those of students think in same place. This paper aims to present students’situations of history class at present and to close the gap between the theory of history education and the real history class. 모든 교사와 학생들은‘좋은’수업을 원한다. 하지만‘좋은’수업이 어떤 수업인지에 대한 정의는 명확하지 않다. 좋은 수업에 대한 관심과 기대는 점점 증가하지만 실제로 좋은 수업에 대한 의미, 성격 등에 대해서는 명확한 합의에 이르지 못했다. 좋은 수업에 대한 생각들은 여전히 논란중이나 최근 논의되고 있는‘좋은’사회 수업은 교사에서 학생에게 지식이 전달되는 것이 아니라 학생 스스로 지식을 구성하는 것이라는 구성주의 관점이 강조되고 있다. 그러나 학생들의 반응을 분석한 결과, 역사수업의 현장에서 학생의 적극적인 활동은 찾아볼 수 없었다. 학생들은 침묵하고 교사들은 끊임없이 말하고 활동했다. 아직까지 역사수업은 구성 관점이 아니라 전달 관점에 초점이 맞춰져 교사의 역할이 컸다. 교사는 역사에 대한 철학을 가지고 정확하고 상세하며 교과서 지식 이상의 심화된 내용지식을 가지고 있어야 했다. 그리고 동영상 매체, 사료 등 다양한 자료를 자유자재로 활용할 수 있어야 하고 수업내용을 학생들에게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는 설명기법도 능수능란하게 구사할 수 있어야 한다. 이처럼 이론과 현장의 모습은 차이가 존재했다. 한편, 동일한 교실에서도 역사교사가 생각하는 수업과 학생들이 생각하는 수업의 차이가 존재했다. 이는 역사교육이론이나 교사가 생각하는 역사교육 못지않게 학생들이 역사교육을 어떻게 생각하고 있는지 살펴보는 것도 의미가 있다는 것을 알려준다. 이 글은 현장과 이론 간의 차이, 특히 학생들이 보는 역사수업의 상황을 제시함으로써, 앞으로의 역사수업에 대한 논의에 대한 격차를 줄이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 KCI등재

        예비 중등 역사교사의 ‘창의적인 역사수업’ 모색

        정광필,박현숙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연구원 2021 敎員敎育 Vol.37 No.4

        본 연구는 사범대학 역사교육과의 <역사교과교재연구및지도법(한국사)>에서 ‘창의적인 역사수업’을 모색한 예비 역사교사들의 교육적 경험을 고찰한 사례 연구이다. 연구 문제는 예비 역사교사들이 ‘창의성’과 ‘창의적인 역사수업’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는가? 예비 역사교사들은 ‘창의적인역사수업’을 위해 어떠한 고민과 노력을 하는가? 예비 역사교사들이 실현하고자 하는 ‘창의적인역사수업’은 역사교과 내용의 특성을 어떻게 반영하는가? 예비 역사교사들의 창의 역량과 창의교수 자기효능감은 어떻게 변화하였는가?로 설정하였다. 연구의 결과 및 논의는 다음과 같다. 강의 초반, 연구 참여자들은 역사 수업에서의 창의성에 대해 모호함과 의구심을 가졌다. 그러나 강의 참여 과정에서 연구 참여자들은 ‘학생 중심의 능동적인학습’을 구현하는 방향으로 창의적인 역사수업을 모색하였다. 그리고 강의 참여 이후에는 연구 참여자들의 ‘창의 역량’과 ‘창의교수 자기효능감’이 향상되었다. 주목되는 점은 연구 참여자들이 역사교과 내용의 특성에 기반한 ‘능동적인 이해’를 중시하였다는 것이다. 또한, 연구 참여자들은 창의적인 역사수업을 위한 예비 역사교사의 소양으로 역사학 연구 지식과 사료 지식의 필요성을 느꼈다. 사범대학 역사교육과의 교육과정을 통해 예비 중등 역사교사들이 창의 교육에 대한 많은 고민과 실천의 기회를 갖는다면, 그들의 창의 역량이나 창의교수 자기효능감이 향상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는 사례 연구로서 연구의 결과 및 논의를 일반화하기는 어렵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본연구가 예비 중등 역사교사들의 창의 교육 역량 함양에 일조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This case study examined the educational experiences of pre-service history teachers seeking toimplement classes under the theme of ‘Creative Teaching and Learning in History Class’ with thecourse called STUDIES IN TEACHING MATERIALS FOR HISTORY(KOREAN HISTORY). In this study,four research questions were established prior to the research. First, what are the pre-service historyteachers’ initial thoughts on ‘creativity’ and ‘Creative Teaching and Learning in History Class?’ Second,what considerations and efforts do the pre-service history teachers make to bring out ‘CreativeTeaching and Learning in History Class?’ Third, how does the pre-service history teachers’ ‘CreativeTeaching and Learning in History Class’ reflect the characteristics of the historical contents? Fourth,how have ‘creative competency’ and ‘self-efficacy in creative teaching’ of the pre-service historyteachers changed?The findings and discuss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In the early stages of the course, thestudy participants had doubts and ambiguous feelings about ‘creativity’. Nevertheless, the study participants sought ‘Creative Teaching and Learning in History Class’ through realizing ‘learner-centered active learning’ during the course. As a result, after the course, the ‘creative competency’ and ‘self-efficacy in creative teaching’ of the participants were enhanced. It is noteworthy that thestudy participants valued ‘active understanding’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historical contentswhile they were implementing ‘Creative Teaching and Learning in History Class.’ In addition, theyfelt the need for knowledge of previous research or primary sources with respect to ‘Creative Teachingand Learning in History Class.’

      • KCI등재

        학습자의 삶을 담은 지역·현대사 교육의 필요성과 가능성

        강화정(Kang, Hwa-Jeong) 효원사학회 2018 역사와 세계 Vol.- No.53

        기존의 지역사 연구는 크게 두 가지로 나뉜다. 국가사의 구체적 사례로서 지역사. 그리고 지역의 독자성과 완결성을 강조하는 지역사이다. 최근에는 국가, 지방, 공동체가 교차하는 시공간으로 지역사를 인식하며 지역민의 기억에 집중하는 연구가 늘어나고 있다. 전국역사교사모임에서 발간한 〈역사교육〉의 실천 사례를 통해 지역사 교육의 현황을 살펴보았다. 국가사와 구별되는 다양한 서사를 만드는 지역사 교육사례, 지역의 변화를 이끄는 실천과 연대의 활동이 더해진 지역사 실천 사례를 만날 수 있었다. 또, ‘현재’ 지역을 살아가며 느끼는 문제의식도 수업사례에 포함되어 있었다. 최근 들어 새로운 형태의 지역사 교육이 확산되고 있다. 혁신학교를 중심으로 마을의 역사 알기 수업이 진행되고 있다. 마을의 역사 알기 수업은 단순히 마을을 아는 것을 넘어 마을의 변화와 발전을 위한 참여를 강조한다. 마을의 역사 알기 수업은 국가 교육과정이 아닌 지역, 학교, 학년/학급 수준으로 교육과정이 학습자와 가까워져야 가능한 수업 형태이다. 마을 역사 알기 수업의 의미를 염두해 두고 부산광역시 P고 학생을 대상으로 한 지역의 현대사 수업을 구성해보았다. 충렬사가 논의의 초점이다. P고는 교명에 ‘충렬’을 포함할 뿐 아니라, 거의 모든 학생이 충렬사를 방문한 경험이 있다. 충렬사는 임진왜란 당시 순절한 호국선열의 위패를 모신 사당이다. 그러나 현재의 충렬사는 박정희의 유신 정권 아래 성역화 사업을 통해 꾸며진 기념공간이다. 유신 정권은 왜 충렬사를 새롭게 정비했는지, 충렬사의 기념물 속에서 그 증거를 찾을 수 있는지, 권력은 어떻게 역사를 이용하는지, ‘충렬’을 통해 국가가 요구하는 국민의 모습은 무엇인지 등을 탐색하는 수업을 구성해 본다. 초,중,고의 계열성도 함께 고민하였다. 학습자가 살아가는 지역 속에서 기념물을 현대사의 맥락에서 낯설게 바라보는 수업사례이다. The existing researches on the local history could be largely divided into two types such as the local history as concrete cases of national history and the local history emphasizing the identity and completion of regions. Recently, there are more and more researches focusing on the local residents" memories by perceiving the local history as the time and space in which the state, province, and community are mingled together. Through the practical cases of 〈History Education〉 published by the Association of Korean History Teacher, the current status of local history education was examined. There were such cases of local history education creating diverse narratives distinguished from national history, and practice of local history added by activities of practice and solidarity leading the change of regions. Also, the critical mind felt from living in the region of the "present time" was included in the case of class. Recently, the new type of local history education is spreading. Focusing on innovation schools, the town history class is provided. Learning about the town history is not only simply knowing the town, but also emphasizing the participation for the change and development of the town. The town history class is not the national curriculum, but the level of region, school, and grade/class, so that it could be done only when the curriculum gets closer to learners. Considering the meanings of town history class, the local modern history class was composed targeting the students of P High School in Busan. The Chungnyeolsa Shrine is the focus of discussion. The name of P High School includes "Chungnyeol", and almost every student has visited the Chungnyeolsa Shrine. The Chungnyeolsa Shrine is the shrine of ancestral tablets of patriotic martyrs during the Japanese invasion of Korea in 1592. However, the current Chungnyeolsa Shrine is a memorial space decorated for the sanctuary project under the Park Chung-hee"s Yushin regime. The class explores things like why the Yushin regime newly repaired the Chungnyeolsa Shrine, if the evidences could be found from the monuments of Chungnyeolsa Shrine, how the power uses the history, and what the state asks to people through "Chungnyeol". The sequences of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were also considered. This is the case of class in which learners could unfamiliarly view the monuments in their region under the context of modern history.

      • KCI등재

        학습자의 삶을 담은 지역‧현대사 교육의 필요성과 가능성- 부산 충렬사를 주제로 한 P고등학교의 역사 수업 사례를 중심으로 -

        강화정 효원사학회 2018 역사와 세계 Vol.- No.53

        The existing researches on the local history could be largely divided into two types such as the local history as concrete cases of national history and the local history emphasizing the identity and completion of regions. Recently, there are more and more researches focusing on the local residents' memories by perceiving the local history as the time and space in which the state, province, and community are mingled together. Through the practical cases of <History Education> published by the Association of Korean History Teacher, the current status of local history education was examined. There were such cases of local history education creating diverse narratives distinguished from national history, and practice of local history added by activities of practice and solidarity leading the change of regions. Also, the critical mind felt from living in the region of the 'present time' was included in the case of class. Recently, the new type of local history education is spreading. Focusing on innovation schools, the town history class is provided. Learning about the town history is not only simply knowing the town, but also emphasizing the participation for the change and development of the town. The town history class is not the national curriculum, but the level of region, school, and grade/class, so that it could be done only when the curriculum gets closer to learners. Considering the meanings of town history class, the local modern history class was composed targeting the students of P High School in Busan. The Chungnyeolsa Shrine is the focus of discussion. The name of P High School includes 'Chungnyeol', and almost every student has visited the Chungnyeolsa Shrine. The Chungnyeolsa Shrine is the shrine of ancestral tablets of patriotic martyrs during the Japanese invasion of Korea in 1592. However, the current Chungnyeolsa Shrine is a memorial space decorated for the sanctuary project under the Park Chung-hee's Yushin regime. The class explores things like why the Yushin regime newly repaired the Chungnyeolsa Shrine, if the evidences could be found from the monuments of Chungnyeolsa Shrine, how the power uses the history, and what the state asks to people through 'Chungnyeol'. The sequences of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were also considered. This is the case of class in which learners could unfamiliarly view the monuments in their region under the context of modern history. 기존의 지역사 연구는 크게 두 가지로 나뉜다. 국가사의 구체적 사례로서 지역사. 그리고 지역의 독자성과 완결성을 강조하는 지역사이다. 최근에는 국가, 지방, 공동체가 교차하는 시공간으로 지역사를 인식하며 지역민의 기억에 집중하는 연구가 늘어나고 있다. 전국역사교사모임에서 발간한 <역사교육>의 실천 사례를 통해 지역사 교육의 현황을 살펴보았다. 국가사와 구별되는 다양한 서사를 만드는 지역사 교육 사례, 지역의 변화를 이끄는 실천과 연대의 활동이 더해진 지역사 실천 사례를 만날 수 있었다. 또, ‘현재’ 지역을 살아가며 느끼는 문제의식도 수업사례에 포함되어 있었다. 최근 들어 새로운 형태의 지역사 교육이 확산되고 있다. 혁신학교를 중심으로 마을의 역사 알기 수업이 진행되고 있다. 마을의 역사 알기 수업은 단순히 마을을 아는 것을 넘어 마을의 변화와 발전을 위한 참여를 강조한다. 마을의 역사 알기 수업은 국가 교육과정이 아닌 지역, 학교, 학년/학급 수준으로 교육과정이 학습자와 가까워져야 가능한 수업 형태이다. 마을 역사 알기 수업의 의미를 염두해 두고 부산광역시 P고 학생을 대상으로 한 지역의 현대사 수업을 구성해보았다. 충렬사가 논의의 초점이다. P고는 교명에 ‘충렬’을 포함할 뿐 아니라, 거의 모든 학생이 충렬사를 방문한 경험이 있다. 충렬사는 임진왜란 당시 순절한 호국선열의 위패를 모신 사당이다. 그러나 현재의 충렬사는 박정희의 유신 정권 아래 성역화 사업을 통해 꾸며진 기념공간이다. 유신 정권은 왜 충렬사를 새롭게 정비했는지, 충렬사의 기념물 속에서 그 증거를 찾을 수 있는지, 권력은 어떻게 역사를 이용하는지, ‘충렬’을 통해 국가가 요구하는 국민의 모습은 무엇인지 등을 탐색하는 수업을 구성해본다. 초,중,고의 계열성도 함께 고민하였다. 학습자가 살아가는 지역 속에서 기념물을 현대사의 맥락에서 낯설게 바라보는 수업사례이다.

      • KCI등재

        교실수업에 나타난 발도르프 교사의 역사교육관과 그 실천

        김승미 한국역사교육학회 2019 역사교육연구 Vol.- No.35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how the history education perspective of teachers based on the philosophy of the Waldorf is implemented in the content and method of the history class, and to derive implications of the teaching and learning activities of the Waldorf School for the composition of the contents of the history education of the institution. To this end, the researcher observed and analyzed history classes of two teachers at Garam Waldorf School and one teacher at Narae Waldorf School, and interviewed them to refine the analysis and interpretation of the data. The feature of observed and analyzed history classes are as follows. First, The various activities at Waldorf School's teacher showed in their periodic concentration class helped students' historical understanding. They led classes with poetry, recorder performance, play, story and art. Second, teachers wanted to link history lessons to students' lives. They included historical facts and topics that students could experience in their lives in their study, and worked to solve conflicts or solve problems. Third, they tried to select the right learning content for the inner consciousness' development of the student. They included class subjects and related historical figures in their study based on their understanding of the students' development stage. This practice of history lessons by teachers was basically based on the principles of Waldorf education. In the meantime, teachers took classes that were different from the interpretation and application of the principle. This is a result of the respect of the autonomy of the teachers of the Waldorf education, and of the nature of the history class. The following are the implications of the history classes at Waldorf School for organizing the elementary history syllabus and for effective doing history. First, in order for elementary school history education to function properly as the beginning of history education, it needs to be organized into content that students can realize that studying history is an understanding of humans through topics related to their lives. Second, teachers who teach history should actively practice their autonomy in the practice of history education, through the integrated classes with history and other subjects, the operation of block time, and others systems by using the contents of textbooks as material that interprets from various perspectives, rather than blindly conveying them. Third, in order to teach students a alive history, a history class of emotional approach through storytelling and art activities must be conducted. 본 연구는 발도르프 철학에 기반을 둔 교사의 역사교육관이 역사 수업의 내용과 방법으로 어떻게 구현되는지를 탐색하고, 발도르프학교의 역사 수업이 제도권 역사교육의 내용 구성과 교수・학습활동에 주는 시사점을 도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가람발도르프학교 교사 2명의 역사수업과 나래발도르프학교 교사 1명의 역사 수업을 관찰・분석하였고, 자료의 분석과 해석을 정교화하기 위해 교사 면담을 병행하였다. 관찰・분석한 역사 수업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째, 발도르프학교 교사들이 주기집중수업에서 보여준 다양한 활동은 학생들의 역사이해를 도왔다. 그들은 시 낭송, 리코더 연주 및 놀이 활동, 이야기와 예술 활동 등으로 수업을 이끌어갔다. 둘째, 교사들은 역사학습을 학생들의 삶과 연결하고자 했다. 학생들이 살아가면서 경험할 수 있는 역사적 사실이나 주제를 학습 내용에 포함하고, 갈등의 해소나 문제해결을 고민할 수 있는 활동을 했다. 셋째, 그들은 학생 내면의 의식발달에 맞는 학습내용을 선정하기에 힘썼다. 학생들의 발달단계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수업 주제 및 관련 역사 인물을 학습 내용에 포함시켰다. 교사들의 이런 역사 수업 실천은 기본적으로 발도르프교육의 원리에 기초를 두고 이루어졌다. 그러면서도 다른 한편으로, 그 원리를 해석하고 적용하는 측면에서는 교사에 따라 차이를 보였다. 이는 발도르프교육이 가지고 있는 교사의 자율성 존중의 측면, 그리고 역사 수업이 가지는 성격에 의한 결과이다. 발도르프학교의 역사 수업이 초등학교 역사교육 내용 구성 및 교수・학습활동에 주는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교 역사교육이 역사교육의 시작으로서 그 역할을 제대로 하기 위해서는 학생들의 삶과 관련 있는 주제를 통해 역사를 공부한다는 것이 인간을 이해하는 것임을 학생들이 깨달을 수 있는 내용으로 구성할 필요가 있다. 둘째, 역사를 가르치는 교사들은 교과서 내용을 맹목적으로 전달하기보다는 역사를 다양한 관점으로 해석하는 자료로 활용함으로써, 역사와 타 교과의 통합적 수업 구성과 블록 타임제 운영 등 역사교육의 실천에 있어서 자율성을 적극적으로 실천해야 한다. 셋째, 학생들에게 살아 숨 쉬는 역사를 가르치기 위해서는 이야기와 예술 활동 등을 통한 정서적 접근의 역사 수업이 이루어져야 한다.

      • KCI등재

        2015․2022 개정 교육과정 속 실학과 중․고등학교 실학 수업 설계 - 학생의 삶과 연계된 학습을 중심으로-

        이명화 역사교육학회 2024 역사교육논집 Vol.86 No.-

        The attitudes of the ‘Silhak’ scholars who came up with a social reform plan to respond to changes in their lives and their view of nature, who were interested in the surrounding environment and agonized over it in connection with the socio-economic problems of Joseon, have many implications for us who have to respond to various situations such as social change caused by digital transformation and climate crisis. However, through the 2015․2022 revised history curriculum, the content elements related to ‘Silhak’ in the curriculum documents have been greatly reduced. There are three main reasons. The first is that the academic research results were not properly reflected in the field of history education compared to the vast research results of the history academia related to ‘Silhak’. Most textbooks have a system of understanding divided into agriculture-oriented, commerce-oriented, and national studies, and the presented historical records related to ‘Silhak’ are also uniform. The second reason is that the contents of public history, such as the Silhak Museum and the Dasan Museum, are not properly reflected in the school history class. Lastly, it is not easy for students to regard ‘Silhak’ classes as meaningful history learning in terms of learning linked to students’ lives, which is emphasized in the recent curriculum. Accordingly, this article proposed a new design of history class with ‘Silhak’ based on the functional elements of value in the 2022 revised curriculum, the student-centered inquiry activities, and the emphasis on community capabilities. As learning content, topics linked to students’ lives are selected. As learning method, student-centered inquiry activities are used. This class is designed to foster community competence and maintain an attitude of life as a democratic citizen through activities regarding ‘Silhak’ and ‘Silhak scholars’. The first instruction model was an ecological and environmental history class for first-year high school students. Using the Silhak Museum’s ‘Anthropocene’ exhibition, we dealt with the ecological view of Silhak scholars in the little ice age 250 years ago and had a chance to think about our current issue concerning climate crisis and climate action. The second instruction model was a community-related class for third-year middle school students. We utilized the youth program of the Hwaseong City History Museum to learn about practical scholar Woo Ha-young, his recognition of reality, meaning of ‘Silhak’, and other scholars from the region. Furthermore, students could foster good citizenship by identifying problems in their town, discussing the resolution to solve them, and submitting their opinions. However, the fact that the designed class could not be applied to the class with actual students remains a limitation. This aims to analyze the results of the class based on the data after application of the actual class through subsequent studies. Students learn how to understand various perspectives through history classes. Various perspectives can be said to be various lenses that connect the past and the present. In history, it is ultimately important to see the past through various lenses and to form one’s own lens. In a drastically changing life, I hope that students can form a lens that sees their own history through the Silhak’ scholars’ attitudes toward their lives and the perspective of seeing the world.

      • KCI등재

        학습방식으로 역사학습일지 쓰기의 가능성 탐색

        이해영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연구원 2012 敎員敎育 Vol.28 No.4

        The writing in history class is popular with teachers in history class. This paper is aimed to introduce the history learning journal for the writing in history class. Learning journal has been used in mathematics education, english education,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so forth. But it is still not used in history education. So, I surveyed whether history learning journal is helpful for the improvement of students' grades or not.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history learning journal makes student interested in history or history class. Second, students have the chance for interpreting history on their viewpoints. Third, students are able to catch the mistakes of historical events which they already taught and to modify their judgements about historical events or persons during writing learning journal. The last, students added to the self-reflection or resolutions for history or history class. 역사글쓰기는 학교 현장에서 교사들이 많이 이용한다. 이 글에서는 수업과 연계되는 역사글쓰기 학습방식으로 역사학습일지를 소개했다. 학습일지는 수학과, 영어과, 국어과에서 많이 시행되고 있으나 역사과에서는 아직까지 잘 이용되지 않는 학습방식이다. 이에, 역사수업에서 학습일지가 학생들의 학습 능력 향상에 얼마나 도움이 되는지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학습일지는 학생들이 역사에 관심을 끌게 해주었고 학생 나름의 관점으로 역사를 해석하게 해 줄 수 있는 능력을 키워주었다. 그리고 학생들은 일지를 정리하면서 기존 역사적 사실의 오류를 수정하기도 하고 역사적 판단을 바꾸기도 하였다. 물론 일부 학생들은 새로운 지식의 오류를 만들었다. 이런 경우 교사가 즉각 코멘트를 달아 오류를 수정할 기회를 주었다. 또 역사글쓰기 말미에는 역사수업에 집중하겠다는 반성, 역사 관련 책을 더 읽어야겠다는 결심 등 역사공부와 역사수업에 대한 반성과 다짐을 더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