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역사드라마의 스토리텔링 전략과 반향 - ‘팩츄얼 드라마’ <임진왜란 1592>를 중심으로 -

        양근애 한국극예술학회 2017 한국극예술연구 Vol.0 No.56

        In the midst of the increase of historical storytelling, Imjin War 1592 televised on KBS 1TV appeared as a project which emphasized ‘historical facts’, claiming to be a ‘factual drama.’ Examining the process of planning, production and distribution of this drama, this paper tries to draw singularity of Imjin War 1592 and considers strategies of current Korean historical dramas as well as their echoes. Imjin War 1592, a Korea-China joint venture drama is based on historical records and related researches. The production crew stresses historical factuality of this drama naming these stylistic characteristics as ‘factual drama.’ Actually in this drama, intention to present historical facts by the style of documentary stands out more than the drama that develops the story by the dramatic plot. And this drama imparts a new meaning to Imjin War as the first international war occurred in East Asia. Accordingly, this drama has distinct position among other dramas treating Imjin War by additional historical facts from China who co-produces the drama. Historical dramas are not still free from historical research, distortion of facts, and discussion about probability and reality between 'history' and 'drama'. ‘Factual drama’ that Imjin War 1592 suggests newly in Korea is an attempt to emphasize historical facts more than fictional dramas. Achievement and limit of Imjin War 1592 are an example which indicates the present state of Korean historical dramas floating between the antagonistic relationship of fact and imagination. 역사 관련 스토리텔링이 증가하는 가운데 KBS 1TV에서 방영한 <임진왜란 1592>는 ‘팩츄얼 드라마’를 표방한, ‘역사적 사실’ 자체를 강조한 기획으로 등장했다. 본고는 <임진왜란 1592>의 형식이 가진 독특성과 관점의 새로움에 주목하여 이 드라마의 기획, 제작, 유통, 소비 과정을 살펴보고, 이를 통해 현재 한국 역사드라마의 스토리텔링 전략과 그 반향에 대해 고찰하였다. <임진왜란 1592>는 한·중 합작 드라마로 『임진장초』, 『난중일기』, 『수조규식』 등 역사적 기록과 임진왜란 관련 연구들을 바탕으로 하여 만든 역사드라마이다. 제작진은 이와 같은 드라마의 양식적 특질을 ‘팩츄얼 드라마’로 명명하며 역사적 사실성을 강조한다. 실제로 이 드라마는 플롯을 통해 이야기를 극적으로 전개시키는 드라마보다 역사적 사실을 다큐멘터리 형식을 통해 제시하려는 의도가 더 두드러진다. 또한 <임진왜란 1592>는 임진왜란과 평양성전투를 16세기 동아시아에서 일어난 최초의 국제전(國際戰)의 관점에서 조명하고 있다. 이에 따라 공동제작을 한 중국의 역사적 사실이 추가 되며 한중일의 관계가 새롭게 재편되는 등 기존의 임진왜란 관련 드라마와 차별 되는 지점이 있다. 역사드라마는 ‘역사’와 ‘드라마’ 사이에서 고증과 사실 왜곡, 역사적 개연성과 리얼리티에 관한 논쟁에서 여전히 자유롭지 못하다. <임진왜란 1592>가 새롭게 제안하는 ‘팩츄얼 드라마’는 허구적 드라마보다 역사적 사실을 더 강조하고자 하는 의도를 드러낸 시도라고 할 수 있다. 이 드라마의 성취와 한계는 사실과 상상 사이의 길항 속에서 유동하고 있는 한국 역사드라마의 현주소를 가늠하게 해주는 사례라고 볼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역사드라마의 변천과 특성

        주창윤 한국극예술학회 2017 한국극예술연구 Vol.0 No.56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suggest the classification of period over the 50 years in Korean television historical dramas. This research classifies the historical dramas at five periods, considering generic development and social context. First, it is called as 'the period of watching old stories and general education' from 1964 to 1971. Television historical dramas were strongly influenced by historical films and radio dramas which were popular in those days, dramatizing classic novels and legends in melodramatic conventions. Second, it is defined as 'the period of competition and dominant ideology production' from 1972 to 1982. Historical dramas were programmed from weekday series to daily series, focused on historical probability. Though the government forced the broadcasters to produce historical dramas to represent a historical view of a nation as a dominant ideology, these kinds of dramas were firmly excluded by the mass. Third, historical dramas have tended to 'pursuit historical facts' in 1983~1990, taking a perspective of historical records. In these days, as color television broadcasting was started, television historical dramas kept enlargement and promoted location production beyond studio production. This period is named as the history-based times. Fourth, 'the period of depression and groping' came on 1991~1999. The production of historical dramas was in depression, and historical dramas were not popular any more. The final period is considered as drama as imagination from 2000 to the present. Imaginative historical dramas have been popular, blending a wide range of conventions and inventions from trendy drama, melodrama and action drama. In addition, historical backgrounds have expanded to ancient history or the Koryo Dynasty. 이 연구의 목적은 지난 53년 동안(1964~2016) 역사드라마의 진화과정에서 각 시기별로 어떤 특징들이 있는가를 논의하는데 있다. 이 연구는 외재적 변화와 내재적 발전이라는 두 가지 관점에서 역사드라마의 시기를 구분했다. 지난 50여 년 동안 한국 역사드라마는 5단계를 거쳤다. 첫째, 1964년~1971년은 ‘옛 이야기와 교양의 시기’다. 역사영화와 라디오 역사드라마의 인기가 텔레비전 역사드라마 구성에 영향을 미쳤고, 역사드라마는 주간연속극 형식의 멜로드라마로 제작되었으며, 허구적 역사서술이 두드러졌다. 둘째, 1972년~1982년은 ‘경쟁과 국민계도의 시기’다. 역사드라마의 형식이 주간연속극에서 일일연속극으로 바뀌었고, 역사드라마 장르의 경쟁력은 커져갔다. 역사드라마의 서술방식은 허구적 서술에서 벗어나서 인물중심의 개연적 서술로 바뀌었다. 정권은 유신체제의 민족사관론을 강요했지만, 목적극은 대중성을 얻는데 실패했다. 셋째, 1983년~1990년은 ‘사실(史實) 추구의 시기’이다. 제5공화국이 들어서면서 컬러 방송이 시작되었고 공영방송체제로 방송환경이 바뀌었다. 방송 프로그램이 대형화되었으며, 로케이션 촬영이 활발히 진행되었다. 역사드라마는 고증과 사료에 충실한 기록적 역사서술 방식을 취했으며, 일일연속극은 주중연속극으로 바뀌었다. 넷째, 1991년~1999년은 ‘침체와 모색의 시기’다. 역사드라마는 주중연속극과 주말연속극으로 편성되었으며, 역사드라마 제작은 침체기에 빠져 있었고, 대중들은 역사드라마를 외면했다. 다섯째, 2000년~2016년은 ‘상상의 역사서술 시기’다. 역사드라마는 정치나 방송환경의 외적변화보다는 장르 내재적 발전으로 상상의 역사를 묘사했다. 역사드라마의 인기는 높아지기 시작했으며, 표현방법과 연출도 새롭게 바뀌었다. 게다가 역사배경도 과거 조선 중심에서 벗어나서 고려시대, 고조선과 남북국 시대를 다룬 것들도 증가했다.

      • KCI등재

        사극 속 갑주에 관한 연구

        장혜숙 ( Hye Sook Chang ) 한국연극교육학회 2015 연극교육연구 Vol.27 No.-

        Historical drama has more meaning and value to the public than simply enjoying. It could be fun and easily accessible visual history textbook to most of the people. It also looks back to the past and illuminates the future as a mirror of the times and life and eventually reminds us a sense of pride for our people and culture. Under the oppression inside the border of the history, the width of imagination and freedom of expression of historical drama has been relatively limited by comparing with other genres and media. Drama is, however, drama, not a documentary. It is, therefore, impossible to fully coincide with the historical facts. Creative imagination is a necessary element to achieve dramatic structure because it is essential artistic working conditions to some extent in the reconstructed, reinterpreted, and re-creation process. This process could solve viewers yearning for the history of communication. For the successful process, however, it should be given a rationale for anyone to admit and represented in creative ways under the boundary of such a permissible logic. The war has emerged as an essential element in the drama hanging between the past and the present, and dream and reality. Wearing armor during the war, therefore, became an important yardstick in determining the success of the drama. Due to the limitations of remaining historical data, the armor is difficult to be verified with historical research during construction, leaving to the imagination which becomes essential process for the completeness and genre characteristics of the historical drama. It has been unfortunately true and unsatisfactory in representing higher level of armor by the lackness of historical research and limitation of budget and time, Armor recycling and random mixing of style, therefore, would be a frequent happening in historical dramas. In addition, we were so generous to excessive design transformation and fusionism drama having unknown nationality in the flow of modernization for the popularity ratings. Recently, however, China``s Northeast Project, distortion of history in Japan and Korean history textbooks in compulsory subjects specified and controversial, such as confusion and identity issues of history, become a center of attention aspiring to ``correct history`` requiring historical facts and materials based on meticulous historical research. People now requires a high level of drama having such a fundamental research. Accordingly, expression of the armor in drama also raised gradually the level of construction and expression area and increased the completeness of the historical drama with more advanced, decorated and refined skills by focusing on the factual representations and visuals with the development of technology. This study shows costumes and the relations between historical research and imagination through the gaps of history and historical drama, The historical research and the problems of the modern transformation of ancient armor were discussed through the drama producted in recent years by focusing on the evolved face of the armor in the drama of TV and film. Especially the armor with investigation through the historical research of <Geunchogowang> has been analyzed with an attention to the development of the lightweight and durable material from Gyeongbeongab of <Jeongdojeon>, and the evolution of appropriate design transformation for a film through <Myungryang>. Finally, higher level of historical drama could be expected from the desirable costume study based on understanding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correct history with historical drama is to be the one with the fact and imagination, and historical research and media transformation, not truth and lies. It is very notable that the creative balancing of the underlined gap would lead to the historical drama remaining significant arts and meaningful records in our history.

      • 중학생의 역사 드라마 시청이 역사의식에 미치는 영향

        장희흥,차경호,구혜진 大邱大學校 師範大學 附設 敎育硏究所 2010 學校敎育硏究 Vol.5 No.2

        This study is aimed at proposing the specific plans to use history drama lessons through the study on the relations between reality, fascination and involvement that are sub-variables of history drama viewing and middles school students’ historical consciousness, and to raise their historical consciousness by using history drama lessons. In order to accomplish such a goal, the study selected respective 250 middle school students in Daegue and Gumi, Gyeongsangbuk-do as its subjects, and the surveyed and analyzed findings are obtained as follows. First, it is the result obtained by dividing the subjects’ general characteristics. Fascination and involvement among reality, fascination, and involvement that were sub-variables had a difference in the division by sex. Fascination was shown to be higher in female students while involvement was higher in male students. In addition, as to the region, history drama viewing had no difference in middle school students of Daegue and Gyeongsangbuk-do. Historical consciousness was higher in middle school students of Daegue that those of Gyeongsangbuk-do, while regarding the grade there was no difference in history drama viewing and historical consciousness. Second, it was the result regarding how reality, fascination, and involvement that were sub-variables of history dram viewing affected historical consciousness. With regards to types of history dram viewing, fascination, reality, and involvement significantly affected historical consciousness in order. According to the gender, male students’ reality, involvement, and fascination gave a significant effect on historical consciousness while female students’ involvement didn’t affect historical consciousness, and fascination and reality gave an effect on historical consciousness in order. As to the grade, the first graders’ reality, fascination, and involvement were not related to historical consciousness while the second graders’ reality and fascination except for involvement affected in order. Besides, the third graders’ fascination only affected historical consciousness. Regarding the region, fascination and reality of middle school students in Daegu affected historical consciousness in order while fascination, involvement, and reality of middle school students in Gyeongsangbuk-do influenced historical consciousness. Like this, there was a little difference in the gender, grade, and region, but reality, fascination, and involvement that were sub-variables related to history drama viewing affected historical consciousness, and the higher sub-variables related to history drama viewing were, the higher historical consciousness was. Due to the fact that history dramas had a fictional element, there was a discussion on educational efficiency. However, this study verified the fact that history dramas can be educationally used, instead of deciding whether history drams were true or not. Based on the findings of the study, the effective utilization methods of history dramas in history lessons are suggested as follows. First, the study of historical figures using history dramas is possible. Students can understand properties of characters through re-enactment and empathy, and approach various figures that don’t appear in textbooks. Second, they can raise critical view that is able to divide false and fact of history dramas and use it to the fact learning. Third, it is possible to learn historical terms. By learning unfamiliar and difficult historical terms in advance, they can increase interest in history lessons. Fourth, storytelling of historical materials is possible. Students can make their own new interpretation by constructing various historical materials in a way of history dramas. Fifth, they can use a decoration making of history dramas, a visiting of the set, and a clipping of TV screen capture in various manufacturing studies as materials. Sixth, they can have a mock trial and a role-playing lesson regarding behaviors decisions of history drama figures. Seventh, they can study the public life history through history dramas. 이 논문은 중학생의 역사 드라마 시청이 역사의식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것이다. 역사 드라마 시청과 관련된 하위변인인 현실감, 심취도, 관여도는 성별, 학년, 지역에 따른 차이는 있지만, 역사의식에 분명 히 영향을 미치고 있다. 영향력의 크기는 심취도, 현실감, 관여도 순으로 나타났다. 그렇기에 역사 드라 마 시청과 관련한 역사 수업은 중학생의 역사의식 향상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역사 드라마를 시청하려는 의도와 시청하는 동안의 관여도 정도는 남학생의 경우 역사의식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지만, 여학생의 경우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왔다. 학년별로 결과를 살펴보면 모든 학년에서 관여도는 역사의식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고, 제일 고학 년인 3학년에서 심취도만이 영향을 주는 것으로 보아 역사 드라마를 시청함에 있어 역사적 사실과 허구를 구별하는 능력이 아래 학년보다 발달하여 현실감의 영향을 덜 받은 것으로 보인다. 역사의식은 대구광역시 중학생이 경상북도 중학생보다 다소 높다. 그리고 실제 사극의 선호도는 퓨전 이나 판타지를 선호하지만 실제 전통사극이 역사의식에 더 높은 영향을 미쳤다. 이것은 현장 교사의 경 험담과 일치한다.

      • KCI등재

        사극을 어떻게 볼 것인가

        김기봉(Kim, Gi-Bong) 인문콘텐츠학회 2016 인문콘텐츠 Vol.0 No.43

        사극이란 역사의 내용을 드라마의 형식으로 재현하는 장르다. 역사가 사실인 반면, 드라마는 허구다. 이런 사극의 이중적 정체성이 사극을 어떻게 볼 것인가의 문제를 낳는다. 사극을 보는 두 가지 시각이 있다. 첫 번째는 역사와 사극을 트루스(truth) vs. ‘포스트 트루스(Post-truth)’ 대립의 문법으로 보는 방식이다. 이 문법에 따르면, 사극은 역사적 사실을 왜곡하는 역사감정을 유발한다는 부정적인 평가를 받는다. 두 번째는 역사학과 사극의 관계를 현실과 꿈이라는 인간 삶의 두 측면과 연관해서 이해하는 방식이다. 현실과 꿈의 두 세계를 어떻게 접합하면서 사느냐에 따라 인간은 세 종류의 현실을 산다. 첫 번째는 실제 현실만을 진정한 삶의 현장이라고 믿으며 사는 방식이다. 두 번째는 꿈이라는 목표를 갖고 현실을 사는 사람이 사는 증강현실이다. 세 번째는 현실에서 벗어나 꿈속의 가상현실에 사는 삶이다. 이 세 유형에 부응하여 역사적 재현을 현실과 꿈의 두 세계의 접합으로 하는 사극도 정통사극, 팩션사극, 픽션사극으로 구분할 수 있다. 이 같은 세 유형으로 사극이 분화한 것은 디지털 시대에서 인간 삶의 공간이 가상세계로 확장하고 존재방식이 변화한 것과 연관된다. 앞으로 다가올 인공지능 시대에서 인간에게 중요한 것은 지식과 지능보다는 상상력과 감성이다. 모든 것을 디지털 데이터로 전환시킬 수 있는 시대에서 기억의 반대는 망각이 아니라 상상이다. 앞으로 인류는 한 번도 가지 않은 길을 가야한다. 과거의 인류가 걸어왔던 발자국을 통해 미래 나아갈 길을 모색할 수 없다는 것이 오늘날 역사학이 직면한 근본적 한계다. 본 에세이는 인공지능 시대 역사학의 위기를 극복해야 한다는 문제의식으로 역사학과 사극의 관계를 보는 인식의 전환을 제안한다. 현실의 역사를 탐구하는 역사학보다는 과거를 살았던 사람들에게 있었던 ‘지나간 미래’를 이야기하는 사극의 문법에 입각해서 생각할 때, 인공지능 시대 “Historia, Quovadis?”에 대한 의미 있는 답을 구할 수 있다. Historical drama is a genre that represents the contents of history by form of drama. While history is fact, drama is fiction. It causes an issue of how to identify it because historical drama has both sides. There are two different perspectives to understand. One is looking at history and historical drama as truth versus ‘post-truth’ by means of opposition to one another. This perspective could result in the negative evaluation appealing to historical sentiment that distorts historical fact. The other perspective is looking at the relationship between history and historical drama as two sides of human life: reality and dream. Depending on how one connects the world of reality and dream, he/she can live three different types of lives. The first one is the way of living by being completely centered on the actual reality itself. The second is a life of a person who sets attaining one’s dream as a goal of life, living in augmented reality. The third is a life of a dreamer who lives in an imaginary world away from reality. In response to these three types, the historical drama, which is a combination of the two worlds of reality and dream, can be divided into authentic historical drama, faction historical drama, and fiction historical drama. The differentiation of the historical drama into these three types is related to the expansion of the space inhabited by humans into the virtual reality and the change in the way of existence in the digital age. In the coming era of AI(Artificial Intelligence), the important attribute to humans will be imagination and emotion rather than knowledge and intelligence. During the era when everything can be converted into digital data, the opposite of memory is imagination, not oblivion. In the future, mankind must take the road that has never been traveled. Today, history is faced with the limitation that it cannot search for the answers about the future by looking at the footsteps of past mankind. This essay suggests that in order overcome the challenge faced by history during the age of AI, it is necessary to transform the way of understanding the relationship between history and historical drama. When we focus on the grammar of historical drama that is telling a story about the ‘past future’ that existed for those who lived in the past, instead of doing historical research that explore past reality, we can find meaningful answer about “Historia, Quovadis?” in AI age.

      • KCI등재

        역사 전유의 세 가지 방식 -퓨전사극 속 왕의 서사를 중심으로-

        조미숙 ( Mi Sook Jo ) 한국현대문예비평학회 2013 한국문예비평연구 Vol.- No.40

        문화는 사람을 가장 사람답게 만드는 것이며 훌륭한 문화의 창조는 삶의 중요한 원동력이 된다. 문화콘텐츠의 중요성은 새삼 강조할 필요가 없다. 이제는 실로 오래된 것들이 콘텐츠라는 이름으로 되살아나 새로운 양식으로 이야기되는 스토리텔링의 시대, 옛것과 새것이 융합되는 컨버전스의 시대, 콘텐츠와 콘텐츠가 융합되는 퓨전과 하이브리드 시대이다. 역사 콘텐츠의 생산과 활용이 절실해지는 것은 이 지점이다. 역사드라마는 역사콘텐츠 활용의 한 예가 된다. 텔레비전 방송이 시작된 이래 역사는 드라마의 주요 소재가 되어 왔다. 퓨전과 컨버전스의 시대에 맞게 역사드라마도 발전한 것이 이른바 ‘퓨전사극’이다. 우리나라에서 역사드라마가 대중적 인기를 끌고 본격화된 역사 소재 드라마들이 붐을 일으키게 된 데에는 퓨전사극의 역할이 컸다. 대중의 인기를 얻지 못하던 한국 역사드라마의 지평은 크게 변화하였다. ‘한류’는 우리 문화콘텐츠 사업의 좋은 예가 된다. 이제 우리의 고민은 이 한류의 흐름이 지속 가능한 것으로 자리매김하는 문제에 놓여야 할 것이다. 한류, 한국문화의 중요성은 자긍심과 책임감에서 비롯된다. 한류 역사드라마를 어떻게 스토리텔링하는가에 관하여는 지속적 연구가 필요하다. 킬러콘텐츠가 될 만한 한류 역사드라마의 지속적 생산을 위해 역사콘텐츠 개발이 중요하다. 전통 문화에 대한 깊이 있는 이해와 연구 위에서 일상사에 대한 관심을 보다 활발히 한다면 오늘날 우리들의 관심이 되고 있는 미시 사, 일상사의 좋은 드라마를 만들어 한류의 흐름을 유지해 갈 수 있으리라 본다. 그러기 위해서는 발견된 역사콘텐츠를 구성하는 방식에 대한 심각한 고민이 필요하리라 본다. 본고에서는 퓨전사극 세 작품은 왕의 서사이다. 왕의 서사를 선택한 이유는 이들이 퓨전사극의 특징을 종합적으로 보이고 있기 때문이다. 세 작품 모두 소설과 관계를 갖는다. 연구 결과 이들은 공히 매력적 시작과 의미 있는 결말, 멜로드라마적 요소와 트렌디 드라마적 요소의 차용, 극적 갈등의 전개를 위한 플롯의 복잡성, 고유성과 보편성의 공존 문제라는 특성을 갖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Culture makes a man worthy of man. The creation of a great Culture is an important issue in our life. There is no need to emphasize anew the importance of Cultural Contents. Historical Contents production and utilization becomes necessary. Historical drama is one example use of historical Contents. Since the beginning of the television broadcast, the history was used as the main material of the dramas. To fit the historical drama that developed in the era of Fusion and Convergence is the so-called ``Fused-historical-drama``. Becoming popular historical drama in Korea in earnest dramas in history, leading to a boom that is thanks to Fused historical drama. Korean dramas after that to get popular novelties horizons varied greatly. Today, many Korean dramas under the name of ``Hallyu`` came to be exported to China. ``Hallyu`` is agood example of our Cultural Contents Business. Our worry now positioned to be a sustainable flow of Hallyu will be placed on the problem. The importance of Hallyu, Korea culture stems from the pride and sense of responsibility.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aspect of the way Korean historical drama storytelling from been investigated Fused-historical-drama three works “Deep-Rooted Tree”“Taewang-fourghosts” “The Moon embracing The Sun”. These texts are common narratives of the king. And all three works have relationship with novels. These are showed that attractive and meaningful start-ending, melodrama`s elements and trendy drama`s elements, the appropriate use of dramatic conflict, for the deployment of the complexity of the plot, the coexistence of the universality and uniqueness. Hallyu historical drama storytelling about how the ongoing research is needed. For the continuous production of Killer contents that will Hallyu historical dramas, it is important to develop a historical Contents. It is necessary for in-depth research and understanding of traditional culture and to more actively interested about the history of the day-to-day basis. So take advantage of one of us today are interested in micro-history, daily history can make good dramas. Then we will keep getting the flow of Hallyu as today.

      • KCI등재

        역사콘텐츠를 통한 청소년들의 인식 조사 ­ 드라마와 영화를 토대로 ­

        이병철 ( Lee Byung-chul ) 한국사상문화학회 2017 韓國思想과 文化 Vol.88 No.-

        논의의 출발은 최근 방영했던 사극의 역사적 왜곡에 대해 조사하고 또 이러한 왜곡들이 시청자의 역사 인식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 그 수준과 반영 정도를 알아보고자 했다. 설문조사 방법을 통해 자료로 취택한 사극 콘텐츠 속에서 중심 스토리 전개에 영양을 주고 있는 왜곡된 또는 오해를 줄 수 있는 항목들을 선별해 질문 항으로 내용을 구성했다. 물론 여기에는 최근에 나온 사극 콘텐츠나 그 내용 전체를 모두 대상으로 할 수 없다는 점과 사람들이 모르는 사극 속 배경이 나올 수 있음이 존재한다. 아울러 청소년 학생들과 교사를 포함하는 조사 군을 설정했다. 그리고 이러한 자료를 근저로 문항의 결과를 밝히고 시청자의 바람직한 자세를 견지함과 앞으로 사극이 나아가야 할 방향을 모색하고자 했다. 우선 유행하는 사극들을 집약하여 조사한 결과, 대부분의 사극은 팩션이나 픽션사극 등이었다. 다시 말해 우리 고유의 역사를 사실에 기초해 그대로 재현한 것이 아닌, 작가의 상상력이 가미된 스토리로 제작되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사극의 신방향성은 무엇보다 역사 왜곡에 자유로울 수 있다는 점이며, 그 정도 또한 수위 조절이 필요하다는 사실이다. 설문조사에서도 알 수 있듯 사극을 접하는 사람들은 작품 자체를 비판하는 것이 아니다. 다른 드라마에 비해 막대한 제작비용을 고려해 보아도, 사극이 지닌 역사적 기반 아래 극적 요소와 시청자의 욕구를 충족할 만한 실속 있는 양질의 콘텐츠를 기대하고 있는 것이다. 행정적인 제재를 떠나 작가나 제작진, 방송사의 스스럼없는 토로와 각성을 통해 역사에 기초한 사극콘텐츠의 깊이 있고 자부심이 묻어나는 창작 노력을 기대해 본다. This study examines the level and reflection degree on the recent historical drama`s historical distortions and how these distortions influence the viewers` historical awareness. Through the questionnaire methodology, we try to find the way to our historical drama and maintain a desirable position of the people who watch the drama should have. First of all, after investigating the fashionable historical dramas, most of the dramas are faction or fiction historical dramas. In other words, the dramas are producing as the new story distorted by the writer`s imagination, not the sheer representation of the inherent history of Korea. These new directions for historical dramas consist in historical distortions, and thereby need to adjust expression intensity. As shown in the questionnaire, the people who watch the historical drama don`t criticize the drama itself. Considering that the tremendous production cost compared to other dramas, the people expect the dramatic elements of the drama`s historical basis and the high-quality contents satisfying the viewers` appetite. Accordingly, it is expected that the realization of historical drama contents will be made through the revealing thoughts and awakening of writers, producers and broadcaster by transcending the administrative sanctions.

      • KCI우수등재

        TV드라마 속 대체역사 빙의물 연구: <철인왕후>를 중심으로

        최지운 인문콘텐츠학회 2022 인문콘텐츠 Vol.- No.64

        As to TV Historical Dramas, the number of episodes going on air decreased for a while in 2020, but as eight of the historical drama shows were broadcast in 2021, the number came back on track as highly as it used to be when seven shows more or less on average were broadcast in the 2010s. However, some differences in features are observed when compared to these TV Historical Dramas appear in the 2010s. The number of fictional historical drama shows going on air rocketed up, and as original work-based TV Historical Dramas sharply rose, the leap of the terrestrial broadcasters that had been taking a passive attitude for the recent three years has become noticeable. Of these TV historical dramas of such tendency in the year of 2021, the work which this study has concentrated on is <Mr. Queen>. The concerned show achieved the highest viewer ratings putting the other historical drama shows appear on TV in 2021 behind, and the study believes that a genre called 'an alternative historical possession work' has been making a great contribu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mainly to prove how marvelously 'alternative history' and 'possession' the two popular materials, frequently realized on TV, had been combined with each other until they eventually drew the attention of viewers. First, the principal was possessed by a historical figure who would operate the principal as some avatar, and that was what had helped even more aggressively to create this conclusion which the viewers would wish for, which is called a future-oriented history. Second, laughter arose by space-time disagreement which would be caused by a soul going through time slip to the past from the future and gender disagreement after a female body was possessed by a male soul. Third, despite a standing as a queen which would put formality and authority before anything, the principal daringly and indifferently puts all of them aside as being accustomed to words and actions, and thoughts of the modern times. Owing to all those features mentioned so far, even though it was a TV Historical Drama, it freed itself from typicality of the genre and tried to approach the viewers as a public-friendly historical drama show. Meanwhile, <Mr. Queen> appeared to be double-sided as being claimed that an alternative historical possession work could be a double-edged sword causing problems such as historical distortions. Hence, it could be challenging for the TV Historical Drama business to passionately realize the concerned genre. However, this study believes that as long as the relevant business works to minimize the flaw, the concerned genre might wind up approaching viewers as an adequately attractive device. TV사극은 2020년에 방영 편수가 잠시 움츠러들었지만, 2021년에 8편이 방영되면서 연평균 7편 내외를 방영하던 2010년대의 수준으로 다시 복귀했다. 다만 2010년대에 발견되었던 TV사극의 특징과 다소 차이를 보이는 지점이 발견된다. 픽션사극이 대폭으로 증가했고 원작을 기반으로 한 TV사극이 매우 증가했으며 최근 3년간 TV사극의 방영에 소극적이었던 지상파 방송사의 약진이 두드러졌다. 이러한 경향을 보인 2021년의 TV사극 중에서 본고가 중점적으로 논의한 작품은 바로 <철인왕후>이다. 2021년에 방영된 TV사극 중 가장 높은 평균 시청률을 자랑했는데 여기에는 ‘대체역사 빙의물’이라는 장르가 크게 이바지했다고 여기는 까닭이다. 기존의 TV드라마에서 많이 구현되었던 ‘대체역사’와 ‘빙의’라는 두 가지의 익숙한 소재가 어떻게 절묘하게 결합해 시청자들을 유인했는지 밝히는 게 본고의 주된 목적이다. 첫째, 주인공이 역사적 인물에 빙의되어 마치 아바타처럼 그를 조종하며 더욱 적극적으로 시청자들이 바라는 결말, 즉 미래지향적인 역사를 창조했다. 둘째, 영혼이 미래에서 과거로 타임슬립 했기에 발생하는 시공간의 불일치, 남성의 영혼이 여성의 육신에 빙의했기에 빚어지는 성별의 불일치를 통해 웃음을 유발했다. 셋째, 격식과 권위가 중요한 왕비라는 신분에도 불구하고 현대인의 언행과 사고를 지녔기에 이를 과감하고 태연하게 내려놓는 모습을 보여주었다. 이를 통해 TV사극이지만 장르의 전형성에서 벗어나 시청자에게 대중 친화적인 사극으로 다가가고자 노력했다. 반면 <철인왕후>는 역사 왜곡과 같은 문제점을 발생시키며 대체역사 빙의물이 양날의 검과 같은 양면성을 지녔다는 걸 드러냈다. 따라서 앞으로의 TV사극에서 이러한 장르를 적극적으로 구현하기에 조심스러울 수도 있다. 하지만 단점을 최소화하는 노력이 작용한다면 충분히 매력적인 장치로 시청자에게 다가갈 수 있다고 기대하는 바이다.

      • KCI등재

        역사드라마 <화정>과 역사적 상상력 - 17세기 정명공주의 삶을 재현하는 방식들 -

        김지영 ( Kim Jiyoung ),서보민 ( Suh Bomin ) 한국여성사학회 2018 여성과 역사 Vol.0 No.29

        17세기 조선사회에서 살았던 정명공주의 삶을 재현하는 방식들은 다양하며, 역사드라마와 책과 같은 대중매체는 그 중 하나이다. 이 글은 그것을 역사적 상상력이라는 관점에서 다룰 것이다. 드라마작가 김이영이 재현한 역사드라마 <화정>의 ‘드라마적 상상력’과 역사학자 신명호의 대중서『화정, 정명공주』에 재현된 ‘학문적 상상력’을 비교하였다. 이를 통해 정명공주와 그녀의 삶에 관한 역사적 상상력의 다양한 스펙트럼을 보여주고자 하였다. 정명공주와 그녀의 삶을 재구성한 두 가지 방식을 비판적으로 분석함으로써, ‘화정’이라는 글씨를 남긴 정명공주가 대중적으로 소비됨에도 불구하고, 그녀의 본래 목소리는 왜 들리지 않았는지 밝혀보고자 한다. 역사드라마 <화정>은 드라마 <이산>과 <동이>를 쓴 대중적으로 잘 알려진 김이영 작가의 작품이다. 정명공주에 관한 역사 기록이 제한적이기 때문에, 작가는 역사적 맥락을 기본배경으로 삼아 나머지는 역사적 상상력을 활용하는, 상상적 역사서술방식을 택하고 있다. <화정>은 역사드라마 가운데 퓨전사극이라는 장르에 속한다. 그것은 정치란 무엇인가? 권력을 대하는 인간의 태도는 어떠해야 하는가? 라는 보편적인 질문을 던지고, 17세기 실존인물인 왕실여성 정명공주를 21세기를 사는 한국사회의 시청자들 앞에 호출하여 그녀의 목소리로 대답하고 있다. 2000년 이후 한국사회에서 여성의 정치적 비중이 커지면서, 드라마 <화정>의 주인공 정명공주는 ‘올바른 정치를 외치는 여성’의 모습으로 재현된다. 그러나 아이러니하게도 당시 드라마가 방영된 시기는 세월호 참사로 한국 최초의 여성대통령 박근혜와 그녀의 정치세력에 대한 비판이 고조되던 때였다. 그리고 그것이 드라마 속 정명공주의 목소리가 들리지 않게 된 가장 큰 이유였다. 역사학자 신명호의 책 『화정, 정명공주』는 정명공주의 입장에서 학문적 상상력을 동원하여 정명공주의 인생을 재현하고자 하였다. 그는 정사의 기록뿐만 아니라 야사로 인식되었던 역사기록들 속에서 실제 정명공주의 삶을 그려내고, 왕실문화에 관한 해박한 지식을 활용하여 17세기 왕실사람들의 낯선 행위들을 현대 독자들에게 설명하고자 하였다. 그러나 여전히 정치사적, 사건사적 역사서술에 치중함으로써 83년이라는 긴 인생을 산 정명공주의 목소리는 잘 들리지 않는다. 『마르탱 게르의 귀향(The Return of Martin Guere)』을 통해 16세기 프랑스 농민의 일상적 삶과 사고방식을 미시적으로 재구성한 나탈리 제이먼 데이비스(Natalie Zemon Davis)가 보여주었던 것과 같이, 과거의 다양한 목소리를 반영한 보다 풍부한 ‘창작물’이 되지 못했기 때문에, 17세기를 산 왕실 여성인 정명공주의 삶에 관한 그의 ‘재현’은 여전히 한계를 가질 수밖에 없다. There are many ways to represent the life of Jeongmyeong, Princess of Joseon in the 17th century, and mass media such as historical dramas and books are among them. This article treats them as ‘historical imagination’, comparing the ‘dramatic imagination’ of the TV historical drama < Hwajeong > with the ‘scholarly imagination’ represented in the popular history book Hwajeong, Princess Jeongmyeong by historian Shin Myeong-ho. By critically analyzing the two different ways of reconstructing Princess Jeongmyeong and her life, we show why her original voice was silenced, despite her extant writing of ‘Hwajeong’ and the popular consumption of her biography. The historical drama < Hwajeong > is the work of Kim Yi-young, a well-known drama writer who wrote popular dramas such as < Isan > and < Dongi >. Due to the limited historical records related to Princess Jeongmyeong, the writer adopted an imaginative narrative that uses the historical context as the basic background while filling in the rest with her historical imagination. Thus, < Hwajeong > is a genre called ‘fusion historical drama’ among historical dramas. It raises such universal questions as: What is politics? What should our attitude be toward power? It thereby resurrects Princess Jeongyeong of the 17th century for the audiences of Korean society in the 21st century to answer the questions through her voice. As women’s political power in Korean society has increased since 2000, the main character of the drama, Princess Jeongmyeong is represented as a woman who calls for correct politics. Ironically, however, the drama was aired when criticism of Park Geun-hye, the first woman president in Korea, was at its height due to the disastrous Sewol Ferry accident. This was the biggest reason that the voice of Princess Jeongmyeong in the drama went unheard. Historian Shin Myeong-ho's book, Hwa jeong, Princess Jeongmyeong, tried to represent the life of Princess Jeongmyeong by using scholarly imagination from the Princess Jeongmyeong’s point of view. He tried to depict her life based on historical records that were recognized as ‘informal’ as well as ‘official history’ from his expertise of royal culture. However, it was still difficult to hear the voice of Princess Jeongmyeong, who had lived for 83 years, because he focused on the main events of political history. Unlike the work of Natalie Zemon Davis, who reconstructed the daily life of French farmers in the 16th century through her book The Return of MartinGuere, his attempt did not lead to a rich recreation of history, limiting his representation of the life of Princess Jeongmyeong.

      • KCI등재

        사극 드라마에 나타난 고증 의상의 현대화에 대한 대학생들의 인식 -하브루타 학습법을 중심으로-

        김장현(Jang-Hyeon Kim),이유림(Yu-Rim Lee) 한국산학기술학회 2021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22 No.5

        사극 드라마는 더욱 극적인 전개를 원하는 대중들의 취향에 따라 퓨전 형태로 변화하고 있으며, 고증 의상 또한 현대적인 감각으로 표현되고 있다. 본 연구는 사극 드라마에 나타난 고증 의상의 현대화의 사례 탐색 및 학습자의 인식을 조명해보고, 향후 사극 드라마에서 고증 의상의 현대화에 대한 함의점을 제시해보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 방법은 이론적 연구와 사례 연구 및 하브루타 학습법을 통한 서술형 설문지 응답법을 병행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로 첫째, 사극 드라마에서 고증의상의 현대화에 대한 본질적인 문제는 사극 드라마의 역사적 사실을 저해하는 고증의상의 과도한 현대적 변용으로 나타났다. 둘째, 사극 드라마에서 고증의상의 현대화에 대한 대학생들의 부정적인 인식으로는 한국 고유의 정체성 상실, 드라마의 몰입도 저하, 미디어가 갖는 교육적 영향력의 견해가 주를 이루었다. 긍정적인 인식으로는 전통 문화의 인식 제고를 통한 관심 증대, 시대적 흐름의 변화에 대한 절충, 대중들의 시각적 유희 증대의 견해가 주를 이루었다. 셋째, 사극 드라마에서 고증의상의 효과적인 연출 방향에 대한 함의점은 사극 드라마 관계자들의 인식개선과 고증의상에 대한 의상디자이너의 철저한 사전 조사, 전통복식에 대한 심층적인 연구와 체계적이고 명확한 교육적 접근, 정부의 노력과 시청자들의 관심이 필요하다. Historical dramas are changing in response to the public who wants more dramatic development, and historical costumes are also expressed in a modern sen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modernization of historical costumes in historical dramas and how the modernization of historical costumes in historical dramas is fostered from the learner’s point of view with suggesting implications. As a result of this study, first, the essential problem with the modernization of historical costumes was the excessive modern transformation that undermines historical facts in historical dramas. Second, the negative perceptions of the modernization of historical costumes in historical dramas included the loss of the unique Korean identity, decreased immersion in drama, and the educational influence of media. Positive perceptions focused on the increased interest through raising awareness of traditional culture, compromises on changes in the times, and increased visual play of the public. Third, the implications of the modernization of historical costumes in historical dramas require the awareness improvement of participants in historical drama and a thorough preliminary investigation by the costume designer on the historical costume, an in-depth study of traditional costumes, a systematic educational approach, viewers’ attention, and government effor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