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원귀 서사에 나타나는 해원과 애도의 구조, 그 의미와 한계

        서유석(Seo, You-Seok) 우리문학회 2017 우리文學硏究 Vol.0 No.55

        옛이야기에 나타나는 대부분의 원귀는 자신의 원한이 해결된 이후 현실에서 사라진다. 하지만 <신거무 전설>과 <의적 강목발>은 전혀 다른 양상을 보인다. 두 존재는 자신의 원한을 직접 해결한 뒤에도 다시 현실 세계에 나타나 그 원한에 대한 복수를 지속하기 때문이다. 두 이야기는 배경이 되는 시대와 지역이 다름에도 불구하고 원한으로 죽임을 당한 자의 아버지가 아들의 시신을 꺼내 매질한다는 공통의 화소를 가지고 있다. 하지만 <신거무 전설>이 이유 없이 지속되는 끝없는 복수를 보여주는데 비해, <의적 강목발>은 복수가 지속되지 않고 해원이 어느 시점에서 이루어진다는 차이점을 찾아볼 수 있다. 이렇게 공통점과 차이점이 분명한 두 원귀 서사의 해원과 애도의 구조와 의미를 밝히고자 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이를 확인하기 위해 본 연구는 정신분석학적 연구방법론, 그 중에서도 라캉의 이론에 기대고 있다. 실재계와 충동(Drive, 욕동)이라는 개념을 중시하는 후기 라캉의 이론은 상징계와 실재계를 넘나드는 원귀의 해원 구조를 좀 더 명확히 설명할 수 있는 가능성을 내포하고 있기 때문이다. 신거무의 원귀는 원한을 가질 수 없는 존재이기에 신거무의 원귀를 사실 원귀라고 부르기도 쉽지 않다. 이유 없이 원귀가 된 신거무의 원귀는 그 원한의 이유를 알 수 없기에 해원이 불가능하고, 애도 작업도 불가능하다. 원한을 풀어낼 수 없기에 <신거무 전설>의 결말은 이유 없이 이어지는 끝없는 죽음만 남아 있을 뿐이다. 즉 신거무의 원귀는 충동 주체이며 실재계에 위치한다고 볼 수 있다. <의적 강목발>의 해원구조는 <신거무 전설>과 달리 상징계적 질서에 놓여 있다. ‘아버지의 이름’으로 상징되는 지방 수령을 직접 해원의 방식으로 복수함으로써 당대 사회가 가지고 있는 모순을 공박하지만, 그 남근의 거세로 인해 오이디푸스 컴플렉스가 소멸되어 이야기의 향유 주체는 오히려 소외된다. 즉 강목발 이야기의 직접 해원 구조는 다시 ‘아버지의 이름’과 당대 사회의 문화적 질서를 재구축하는 것이다. 두 이야기가 보여주는 이러한 차이점은 현실의 모순을 드러내어 공박하는 원귀 서사가 지금까지 끊임없이 반복되는 이유이다. 원귀 서사는 현실 세계 전복 가능성의 안팎을 끊임없이 넘나들고 있을 뿐이다. In old stories, most vengeful ghosts resolve their grudge and then disappear from the real world. However, such tendency is not observed in the stories of Legend of Singeomu and Righteous Outlaw Gang Mok-bal. The two beings directly resolve their grudge yet remain in the real world to continue exacting their vengeance based on their grudge. Despite their different backgrounds, including times and regions, the two stories have a common plot in that the father of the person who was killed by the grudge pulls out his son’s body from the coffin and whips them. Yet, while Legend of Singeomu shows continuing vengeance for nothing, Righteous Outlaw Gang Mok-bal does not continue with the act of vengeance but rather releases the grudge at a certain point, thus making the two stories different from each other. This study aimed to explore the structure and meaning of grudge-releasing and mourning of the two vengeful-ghost narratives with distinctive common and different points. To confirm this structure, this study applied the theory of Lacan, one of psychoanalytic research methodologies, that emphasizes the concept of real world and drive, which has the potential to explain more clearly the grudge-releasing structure of the vengeful ghost that crosses the symbolic world into the real world. Because Singeomu’s vengeful ghost is a being that cannot bear a grudge, it cannot be essentially called a vengeful ghost. Singeomu’s vengeful ghost, which has become a vengeful ghost without a reason, can neither release an unjustified grudge nor perform an act of mourning. Since the grudge cannot be released, the ending of Legend of Singeomu is only an endless death that continues without reason. In other words, the vengeful ghost of Singeomu is a driven subject and is seen existing in the real world. The grudge-releasing structure of Righteous Outlaw Gang Mok-bal is in line with the symbolic world order, unlike that of Legend of Singeomu. The vengeful ghost refutes the contradictions of the contemporary society by avenging the local governor, symbolized by his father’s name, in a grudge-releasing fashion. However, the Oedipus complex is destroyed by the castration of the penis, and the entity of the story is alienated. In other words, the direct grudge-releasing structure of the Gang Mok-bal story is to reconstruct the “father’s name” and the cultural order of the then society. Such difference between the two stories is that the vengeful-ghost narrative, which reveals and contradicts the reality’s contradictions, is constantly repeating so far. The vengeful-ghost narrative only constantly crosses into and out of the possibility of the real-world overthrow.

      • KCI등재후보

        ‘죽음-회귀’의 서사 구조로 본 사회적 해원의 의미 - <아랑 설화>와 <재벌집 막내아들>을 중심으로 -

        김정은 한림대학교 생사학연구소 2023 생사학연구 Vol.4 No.-

        This article aims to name the narrative structure in which the unjustly dead return and resolve their grudges, from the folktales of vengeful spirits to the modern TV shows, as ‘death-return’, and to discuss the social meaning contained in these narratives. <The Legend of Arang> has a narrative structure in which a being who died resentfully returns to this world, voices her grudges, and the community listens and resolves her resentments together. Based on A.J. Greimas’ “Semantic Generative Trajectory”, this narrative structure of ‘death-return’ in <The legend of Arang> creates value by revealing the problems within the community and at the same time shows the process of maintaining the community by being incorporated as social values. The narrative of the protagonist Yoon Hyun-woo being reborn as Jindo Joon to fulfill his desire derived from capitalism in the modern web novel “Reborn Rich” lacks the symbolic act of ‘Arang voicing the governors to resolve her grudges’. Therefore, the web novel’s narrative may be the act of callously ignoring the lives of those who died unjustly after living faithfully in capitalism, like Yoon Hyun-woo. On the other hand, the ‘death-return’ narrative structure of the Netflix drama <Reborn Rich> shows the process of capital proliferation in a metatic attitude. Therefore, the narrative structure of this drama is seen as an attempt to repent of the social structure by making us face the limits of the meritocracy under neoliberalism rather than admiring the conglomerate (a.k.a. Chaebol in korean).

      • KCI등재

        무속의례 ‘뒷전’의 관점에서 본 영화 <신과함께-죄와 벌>

        윤준섭 사단법인 한국문학과예술연구소 2021 한국문학과 예술 Vol.40 No.-

        This article attempted to pay attention to ‘us’ with God rather than ‘god’ appearing in ‘Along with God’. I tried to think about what life and death are by looking at how we respond to a death with God. In a specific, the discussion was conducted by paying attention to the movie ‘Along With the Gods: The Two Worlds’, which focused on the deaths of two brothers, Kim Ja-hong and Kim Soo-hong. As a result of the discussion, Kim Ja-hong or Kim Soo-hong, the parties to death, were not interested in reincarnation. They showed greater interest in appearing in their mother's dream, not reincarnation. They had a greater attachment to this life than to his new life after death. Kim Ja-hong and Kim Soo-hong each had things to finish in this world. Ja-hong had to send the letter stored in the rice cooker home, and Soo-hong also had to keep his promise to return home in two weeks. That way, they can leave the world. However, among the deaths, some things have a deep grudge. Some deaths are lying around without even having a funeral in a place far away from home. That is the death of Kim Soo-hong and three Jung-Seung's son. The deceased, who died in this way, become a revengeful ghost around this life without going to the afterlife. To solve this problem, the movie ‘Along With the Gods: The Two Worlds’ used Hyeonmong[現夢, appear in mother's dream], and the Shamanism used ‘dwit-jeon’. Through this, propitiated the revengeful ghost. The movie ‘Along With the Gods: The Two Worlds’ contains the aesthetics of the ‘dwit-jeon’ to comfort and lead the decedent to the afterlife without extinguishing the decedent who became the revengeful ghost. 본 글은 <신과함께>에서 등장하는 ‘신’보다는 신과 함께하는 ‘우리’에 주목하고자 했다. 신과 함께하는 우리가 죽음에 대응하는 모습을 살펴 삶과 죽음이 무엇인지 생각하고자 했다. 구체적으로 김자홍, 김수홍이라는 두 형제의 죽음에 초점을 맞춘 영화 <신과함께(죄와벌)>에 주목하여 논의를 전개했다. 논의 결과, <신과함께(죄와벌)>에서 죽음의 당사자인 김자홍이나 김수홍은 환생보다 현몽에 더 큰 관심을 보였다. 죽음 뒤에 펼쳐지는 새로운 이승에서의 삶 보다는 지금까지 살아왔던 이승에 대한 애착이 더 컸던 것이다. 김자홍과 김수홍은 각각 이승에서 마무리할 일들이 있었다. 형은 밥솥 안에 보관된 편지를 집으로 보내야 했고, 동생 역시 2주 후에 집으로 돌아오겠다는 약속을 지켜야 했다. 그래야 이들은 이승을 떠날 수 있는 것이다. 그런데 죽음 중에는 원통함이 뼈에 사무친 것들이 있다. 객지에서 장례조차 치르지 못한 채 나뒹굴어진 죽음이 더러 존재한다. 바로 김수홍과 삼정승의 아들의 죽음인데, 이렇게 죽은 망자는 저승에 가지 못한 채 이승을 떠도는 원귀가 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신과함께(죄와 벌)>에서는 현몽의 방식으로, 무속에서는 뒷전을 마련하여 이들 원귀를 달래고 있음을 확인했다. 원귀가 된 망자를 소멸시키지 않고, 이들을 위로하고 대접하여 망자를 저승으로 천도하겠다는 ‘뒷전’의 미학이 <신과함께(죄와벌)>에 오롯이 담겨있는 것이다.

      • KCI등재

        제주도 조상신본풀이 <양씨아미본풀이>의 유형별 특징과 의미

        김혜정 민족어문학회 2020 어문논집 Vol.- No.88

        In this paper, two types of Jeju Island Josangsin Bonpuri <Yangssiami Bonpuri> were compared and examined. <Yangssi Bonpuri> has so far reported a total of eight episodes, which can be largely divided into two categories, if classified according to the narrative characteristics. First, <Yechon Yangssiami Bonpuri> is an example that explains how ‘Yangssiami’, born in Simbang(shaman)’s fate, was enshrined as ‘Ancestral God’. It’s God’s Origin Story, and the function is to relieve his grudges by appeasing an unjustly dead soul and honoring him as an ancestral god. In comparison, <Nunmi Yangssiami Bonpuri> shows people who treat ‘Yangssiami’ completely differently, and shows how ‘Yangssiami’ affects them. It takes on the character of ‘Miracle Story’, which is designed to show that ‘Yangssiami’ has the necessary capabilities for its offspring and to consolidate its function as ‘Ancestral God’. In order for <Yangssi Bonpuri> to continue to function as Josangsin Bonpuri, we can summarize the significant points that caused epic variation. First, to reaffirm his ability, his spirituality, he is punishing those who distrust him. In other words, by creating a new, remarkable punishment, it reduces the opposition to having him as Ancestral God and shows that it can still exert its influence on the offspring. Second, by speaking of having the most powerful function of Ancestral God, ‘prosperity of a family’ or ‘extermination of a family’, we can see that the ‘universal trait’ is strengthened. This, in turn, is a good source of evidence for identifying the key elements of Josangsin Bonpuri’s tradition. In other words, when fundamental questions are raised about ancestral gods, myths are about to secure legitimacy by highlighting the most basic and universal characteristics that ancestral gods should have, rather than adding special abilities according to environmental changes. This is also linked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ancestors in Confucian rituals. 본 논문에서는 제주도 조상신본풀이 <양씨아미본풀이>의 두 유형을 비교 고찰하여, 유형별 특징과 의미에 대해 알아보았다. <양씨아미본풀이>는 지금까지 총 8편이 채록 보고되었는데, 이를 서사적 특징에 따라 분류하면, 크게 두 계열로 나눌 수 있다. 우선 <예촌 양씨아미본풀이>는 심방의 운명을 타고난 ‘양씨아미’를 조상신으로 모시게 된 경위를 설명하는 본풀이이다. 이는 좌정 유래담적 성격을 띠며, 그 기능은 억울하게 죽은 영혼을 달래주고 그를 조상신으로 모심으로써, 그를 해원 시키는 것에 목적이 있다. 이에 비해 <눈미 양씨아미본풀이>는 심방의 운명을 타고난 ‘양씨아미’를 대하는 대조적 사람들을 보여주고, 양씨아미가 그 사람들에게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보여주는 이야기이다. 이는 영험담적 성격을 띠며, 그 기능은 양씨아미가 후손들에게 꼭 필요한 능력을 가지고 있음을 보여주고, 조상신으로의 기능을 공고히 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양씨아미본풀이>가 조상신본풀이로 계속해서 기능하기 위해, 서사적 변이를 일으킨 유의미한 지점들을 종합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자신의 능력, 영험함을 재확인시키기 위해, 그를 불신하는 세력에게 응징을 가하고 있다. 즉 뚜렷한 징치 대상을 새롭게 만듦으로써, 그를 조상신으로 모시는 것에 대한 반발심을 줄이고, 자손에게 여전히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음을 확실히 보여주는 것이다. 둘째, 조상신의 가장 강력한 직능인 후손을 번영시키거나 혹은 대(代)를 끊을 수 있다고 이야기함으로써, ‘보편적 특성’을 강화한 것을 볼 수 있다. 이는 결국 조상신본풀이의 전승 과정에서 가장 핵심이 되는 요소가 무엇인지를 파악할 수 있는 좋은 근거 자료가 된다. 즉 조상신에 대한 근원적 물음이 제기될 때, 신화는 시대․환경 변화에 따른 특수한 능력을 추가하기보다, 조상신이 가져야 할 가장 기본적이고 보편적 특성을 부각함으로써, 정통성을 확보하려 하고 있음을 볼 수 있다. 이는 유교식 제사에서 모시는 ‘조상’의 특성과도 연결되는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