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大學의 漢文敎育科 敎育課程의 分析- 中·高等學校 漢文科 敎育과의 連繫性을 중심으로-

        송병렬 한국한문교육학회 2008 한문교육논집 Vol.30 No.-

        The ultimate goal of Classical Chinese education is to train Classical Chinese teachers for middle and high schools. In order for this goal to correspond to Classical Chinese education in middle / high schools, curricula of these two should match. The contents of Classical Chinese education in middle / high schools include Chinese characters, phrases, short sentences(including grammar), proses, poems, and practical words in Chinese characters. Currently departments of Classical Chinese education establish lectures such as 'Chinese Character Science' and 'History of Chinese Characters' for further understanding of Chinese characters. Other factors have their necessary lectures. Most lectures conducted in departments of Classical Chinese Education meet the level of Classical Chinese education in middle / high schools. It appears that in Classical Chinese education there is a very close correspondence between middle / high schools and universities. Lectures for subject matter and pedagogy are mostly the same as lectures for the subject matter and lectures for pedagogy. The only thing that is different is the title of the lecture. For instance, lectures have additional 'teaching method', 'education' or 'instruction' at their titles. These lectures simply apply education technology or teaching method to lectures of Classical Chinese. Consequently, these lectures do not have independent fields of study and contents. This is due to lack of pedagogy in Classical Chinese. Classical Chinese education has been recently attracting people's notice. The study, however, is mostly focused on grammar and education procedure, and failed to specify various fields of subject matter. Therefore, researchers of Classical Chinese pedagogy should avoid imitating general pedagogy; they need to develop educational subjects and methods independently, based on Classical Chinese itself. 한문교육과의 궁극적인 교육목표는 ‘중등학교 한문과 교사의 양성’이다. 이러한 한문교육과의 목표가 중·고등학교 한문 교육과 연계되기 위해서는 중·고등학교의 학습 내용과 한문교육과 교육과정이 일치하여야 한다. 중·고등학교에서 필요한 漢文科 知識의 內容은 주로 漢字, 成語, 短文(文法 포함), 散文, 漢詩, 言語生活의 漢字語로 집약된다. 현행 한문교육과의 교육과정에서 한자의 지식과 관련된 교과목으로 ‘漢字學’ 및 ‘漢字의歷史’를 개설하였다. 성어, 단문, 한시, 산문, 소설 등에도 각각의 필요한 교과목을 개설하였다. 대학의 한문교육과 교육과정에 개설된 다수의 교과목은 중·고등학교 한문과에서 요구되는 수준의 교육내용에 충분히 도달되어 있다. 따라서 중·고등학교와 대학의 한문교육과의 연계성은 매우 밀접한 것으로 드러나 보인다. 교과교육학 영역으로 개설된 과목들은 대부분 교과 관련 과목과 교육 관련 과목을 제목만 바꾸어 교과교육학이라는 새로운 영역으로 옮긴 것이다. 그 예로 교과 관련 과목들은 서예, 한자, 한문 영역에 ‘교육방법’이나 ‘지도’를 추가하거나, 한문문법, 한시, 산문, 한문소설, 한문비평, 경학 등의 전공 영역에 ‘지도’나 ‘교육’을 덧붙였다. 이들 과목은 한문학의 교과목에 교육공학이나 교육방법을 단순하게 적용시킨 것이다. 따라서 이들 교과교육 영역의 교과목은 아직 독자적인 자기 연구 영역과 내용을 갖추지 못했다. 이는 한문과 교과교육학의 부진에서 비롯한다고 볼 수 있다. 한문과 교과교육은 최근에 들어서 관심의 대상으로 떠오르고 있지만, 대부분 교육과정이나 문법 등에 그 연구가 치우쳐 있고, 다양한 교과교육 영역을 특성화하지 못하였다. 따라서 교과교육학의 연구자들은 일반 교육학의 연구 내용을 맹목적으로 따르기 보다는 한문과에 입각해서 독자적으로 교육적 주제와 방법을 개발해야 할 것이다.

      • KCI등재후보

        통번역 교육방식과 교양영어 교과과정

        박윤철 한국통번역교육학회 2010 통번역교육연구 Vol.8 No.1

        We now live in a world to communicate in English as Lingua franca. And thus, most Korean universities, if not all, emphasize English education, and are making preparations for globalization. Against this backdrop this paper is intended to compare and analyze two models: integrated model of 4 skills and each skill model such as reading, writing, listening, and speaking, and suggest interpretation & translation pedagogy approach. Previous researches before the 1970s focused only on teaching each skill separately in acquiring a language. However, nowadays most of the universities are employing the integrated model like reading and listening, writing and speaking in the classroom. It shows that 2 skills or 4 skills methods are superior to 1 skill, and language acquisition is based on learning them simultaneously. On the ground of this fact, this paper investigated liberal arts courses for general English at four universities in Korea and suggested a pedagogical model applicable to translation and interpretation pedagogy.

      • KCI등재

        JIGSAW 협동학습법을 활용한 교양 수업에서의 회계교육 사례

        고영우 ( Young Woo Ko ),이세철 ( Se Chul Lee ) 한국회계학회 2020 회계저널 Vol.29 No.6

        본고는 최근 활용이 증대되고 있는 소집단 협동학습 중 JIGSAW 방법을 교양 회계수업에 적용한 사례를 정리한 것이다. 전통적 의미의 JIGSAW 교수법은 학생들을 몇 개의 소그룹으로 나누고 각자 분담학습을 하게 하여, 이를 서로에게 가르쳐 전체적으로 하나의 종합적 지식을 완성하고 이해시키는 학습방식을 의미한다. 본 사례에서는 기존의 JIGSAW 수업의 형식은 가져오되 지식의 습득과 전달에 학습의 목적을 두지 않고, 교양교육의 관점에서 학생들의 사고력과 협업 능력을 증진시키기 위한 차별화된 수업을 설계 했다. “회계정보의 이해”라는 교양 수업을 듣는 48여 명의 수강생을 각 조에 대략 6~7명씩 배치하여 7개조로 나누고, 각각의 조원들에게 경영자, 주주, 채권자, 근로자 등 7가지의 역할을 부여하였다. 그리고 기중에 취득한 재고자산의 가치가 기말에 변동하였다면 이를 얼마라고 재무제표에 보고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인지 각 조를 하나의 국가라고 생각하고 회계기준을 정하라는 과제를 부여하였다. 수업은 크게 3단계의 조별 토론을 통해 진행하였는데 1단계에서는 주어진 질문에 대해 각자 생각을 토론하고 각 조의 결론을 도출해 발표하게 했다. 2단계에서는 동일한 역할을 부여받은 학생들끼리 모여 자신들의 입장에서 가장 바람직한 기준이 무엇일지를 연구하여 발표하도록 하였다. 3단계에서는 학생들에게 다시 원래 조로 돌아가 1단계와 같은 토론을 다시 진행하고 각 조의 최종 결과를 발표하도록 했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학생들은 창의적이고 비판적인 관점에서 회계 이슈를 바라보고, 소통과 협업을 통해 합리적 대안을 만드는 과정을 경험했을 것으로 기대한다. 본 연구의 의의는 회계학 수업에 새로운 교수법을 도입하고, 적용 과정을 소개했다는 점이다. 이는 작은 문제라도 교육 현장에서 발생한 일들을 고민하고 공유하는 것이 가지는 가치를 환기시킨다는 면에서 의미가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This paper reports the case of utilizing JIGSAW cooperative learning at the accounting class in university general education. We divided the 48 students into 7 groups, and gave them the roles like stock holder, banker, CEO, laborer, etc. The expert question is that “If the prices of inventory assets changed at the end of the fiscal year after you had bought them in the middle of that year, what prices will you report for those assets in the financial report?” This question is basically concerned with the measurements of the assets. In the conceptual framework of IFRS, chapter6 deals with this problem. They describe various measurement bases and discuss factors to be considered when selecting a measurement basis. In addition to this basic framework, the students have different roles, which can make various perspective of the answer. We anticipate there will be debates for making accounting standards in their home team. To persuade another people, they need to think critically and communicate effectively. And in their expert team, the students should think creatively and cooperate with their members to make an alternative for their interests. We think the method of this paper is quite effective way for fulfilling the purpose of general education in university. Our paper contributes to the accounting pedagogy. While this field is very important for all the accounting professors and students, little papers report the practice. We hope this paper stimulus the interests on the class affairs where we are stand on.

      • KCI등재후보

        사범대학 지리교육과의 교육과정 개선 방안

        이희열,주미순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 2003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Vol.11 No.3

        1990년대 이후 중등교사를 양성하는 사범대학 교육과정은 변화를 겪고 있다. 그 과정에서 교과교육학의 중요성이 부각되면서, 교과교육학이 사범대학 교육과정의 독특한 한 영역을 이루게 되었다. 본 연구의 목적은 변화하는 사범대학 교육과정에서 중요한 영역으로 등장한 교과교육학을 바탕으로 새로운 교육과정 구성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에 부가하여 교과교육학과 교과내용학 연계과목 중에 경제지리교육론 교과에 대한 명세의 예시를 제시한다. 연구과정에서 제시한 새로운 교육과정 모델은 일반 교육학에 기반을 둔 교과 교육학, 세부 전공 영역 의 학문적·이론적 업적에 바탕을 둔 교과 내용학, 이 두 영역을 연계할 뿐 아니라 중등학교 교육과정의 변화를 기반으로 하는 교과내용학과 교과교육학 연계 과목 등으로 구성된다. 특히 교과교육학과 교과내용학의 연계과목은 일반교육학과 교과내용학 뿐만아니라 중등학교 교육과정의 변화를 반영할 수 있도록 유연적인 것이라야 한다. 지리교육과 교육과정에서 교과내용학과 교과교육학 연계 과목에 대한 개발·연구 뿐만아니라 이 영역에 속하는 교과목들에 대한 명세 작성이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The educational curriculums for training geography teachers in colleges of education across Korea have changed steadily since the 1990's. Generic educational theories and practices need to be further developed and specified to meet the demands from individual discipline courses. Interdisciplinary education has become a unique field of teacher education curriculum along with the academic attention from the educators concerned. This study attempts to propose a new model of geography teacher education curriculum based on the interdisciplinary pedagogy. The model includes general educational theories and practices, interdisciplinary learning, and the speciality in geography teacher education program. It is to improve and excel the quality of general education and secondary schooling in disciplinary instruction and curriculum both. The study also suggests that the interdisciplinary education should be flexible to practice and open to change academically and pedagogically. Finally, this study promotes further studies and comprehensive research on the interdisciplinary education and the study courses for better geography teacher education in a college of education.

      • KCI등재

        논문 : 한국 고등 교양교육과정에서 무용수업의 효과적인 통합방안

        윤지은 ( Ji Eun Yun ) 한국무용기록학회 2012 무용역사기록학 Vol.27 No.-

        최근 들어 대학교육에서 교양교육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이에 따라 교양교육 커리큘럼안에 무용분야를 효과적으로 포용하고자 하는 관심이 많아지고 있다. 하지만 많은 연구들은 교양무용의 효과를 제시한 반면 그 교육 전략에 대한 연구는 드문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한국대학의 교양교육 현황을 토대로 변화하는 문화 속에서 무용 연구가 교양교육에 효과적으로 통합시킬 수 있는 가능성과 그 지도 전략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을 둔다. 기존 교양무용에 대한 연구들을 토대로 그 효과를 확인하고 그 효과를 증대시키기 위한 지도방안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결과적으로 우리나라 교양무용교육은 적절한 시설과 전공교육과는 구분되는 일반인들에게 초점을 맞춘 교육으로 실기 수업과 이론수업을 적절히 혼용하고 각기 다른 지도법을 적용하여 학생들로 하여금 무용에 대한 일반적인 관심과 더불어 미래 무용공연에 관객으로서 참여할 수 있도록 유도할 수 있기를 바라는 바이다. In recent years, the Korean higher education system has begun to stress the importance of general education during undergraduate studies. There has also been some interest in encouraging the general education curriculum to embrace the field of dance as well. However, while much research has addressed other disciplines, there have been very few contemporary studies that address teaching strategies for general dance education in Korea. This review reports on the existing relevant literature describing this situation. The aim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state of general dance education in Korean higher education and to suggest possibilities for incorporating dance studies into general education, given the larger changes within Korean culture. Therefore, Korean general dance education needs more investigation in order to develop diverse curriculums that can include dance technique, dance history and dance appreciation classes. The goals of general dance education need to change according to Korean society`s changing demands. Therefore, I expect that the students who take general dance classes in universities will become the informed audiences of dance performances in the future.

      • KCI등재

        지방대의 페미니즘 교육 현실에 관한 비판적 성찰 - C대학교의 젠더관련 교양교육을 중심으로*

        김지영,추주희,신지원 숙명여자대학교 아시아여성연구원 2023 아시아여성연구 Vol.62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ssess the current status of gender-related general education at local national universities. It endeavors to raise awareness about the need for feminist education within higher education by scrutinizing the perceptions and experiences of stakeholders. The study examines the curriculum of gender-related general education courses offered at C-National University in 2022, drawing insights from qualitative data gathered through focus group interviews with students and instructors. The courses are selected through keyword-based searches, including marriage, family, and sex/gender/sexuality. The key finding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re is an increase in the number of courses with curricula and syllabi encompassing topics related to family and marriage. On the other hand, there is a relative decline in the number and volume of courses that directly address feminism or gender. Second, the research participants pointed out the limitations of current curricula on feminism education and the need for its expansion. In particular, the student group evaluates feminism education in universities within the context of “local residence” and calls for local universities to play a proper role as educational entities. Third, the research participants advocate for the selection of gender and feminism related subjects as compulsory courses to spread the values of gender equality and feminism. Based on these findings, this study advocates for a systematic and well-directed implementation of feminism related courses. It also suggests that practical support should be provided at the institutional level.

      • KCI등재

        국어교육학과 교육학의 교류

        이원희 ( Lee Wonhee ) 국어교육학회 2017 國語敎育學硏究 Vol.52 No.1

        학문간 교류는 각 학문의 정체성을 더 분명하게 드러내고 상호 발전을 도모하는 활동이다. 이 글은 국어교육학과 교육학의 교류를 위하여 쓴 것이다. 그러나 교육학의 관점에서 두 학문의 협력 연구의 가능성을 모색하고, 국어교육학의 발전 방향을 제안하는 데 초점을 두었다. 논의의 결과를 두 가지로 나누어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국어교육학과 교육학의 협력적 연구는 한동안 교과교육학 지식(PCK)을 중심으로 전개할 필요가 있다. 이와 더불어 국어교과와 관련한 실행연구물들이 누적되어 빅 데이터로 구축되어야 한다. 아직은 국어의 표준화 사업에 힘써야 할 일도 많다. 그중에는 학년별 표준 독서목록을 만드는 일은 가장 중요한 과제이다. 또 학생들이 교실에서 사용하는 말을 직접 분석하고 확인할 수 있는 시스템을 마련하는 일도 매우 필요하다. 둘째, 국어교육학은 이제껏 당연시해 온 기존의 내용체제와 방법적 원리를 재검토하고, 교과 전반에 걸친 공동연구를 도모하며, 모든 생활 영역에 관여하여 학문의 폭과 깊이를 확충해 나가는 방향으로 자리 잡아야 한다. This article aims to suggest some ideas regarding the interdisciplinary approach on Korean Education (KE) and General Pedagogy (GP).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ly, interdisciplinary studies connecting KE and GP would be activated by utilizing various kinds of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PCK) researches. In order to develop KE science, it is recommended that the big data of classroom practices should be collected by educational practitioner. Moreover, it seems a priori task to make an appropriate grade level reading inventory. It also necessary to develop the open courseware that students themselves could analyze and monitor their own (written or oral) performance in real time. Secondly, KE educators should criticize the presupposed concepts and methodologies taken for granted, try to collaborate with the academic studies, and engage in all areas of living experience, thereby they can expand and create their academic scope of KE.

      • KCI등재

        지방대의 페미니즘 교육 현실에 관한 비판적 성찰 - C대학교의 젠더관련 교양교육을 중심으로

        김지영(Kim, Ji-young),추주희(Choo, Joo-hee),신지원(Shin, Julia Jiwon) 숙명여자대학교 아시아여성연구원 2023 아시아여성연구 Vol.62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ssess the current status of gender-related general education at local national universities. It endeavors to raise awareness about the need for feminist education within higher education by scrutinizing the perceptions and experiences of stakeholders. The study examines the curriculum of gender-related general education courses offered at C-National University in 2022, drawing insights from qualitative data gathered through focus group interviews with students and instructors. The courses are selected through keyword-based searches, including marriage, family, and sex/gender/sexuality. The key finding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re is an increase in the number of courses with curricula and syllabi encompassing topics related to family and marriage. On the other hand, there is a relative decline in the number and volume of courses that directly address feminism or gender. Second, the research participants pointed out the limitations of current curricula on feminism education and the need for its expansion. In particular, the student group evaluates feminism education in universities within the context of “local residence” and calls for local universities to play a proper role as educational entities. Third, the research participants advocate for the selection of gender and feminism related subjects as compulsory courses to spread the values of gender equality and feminism. Based on these findings, this study advocates for a systematic and well-directed implementation of feminism related courses. It also suggests that practical support should be provided at the institutional level.

      • KCI등재

        Critical Literacy in the EFL Classroom: Perspectives of Undergraduates on Reading beyond the Text

        최수정(Soo Joung Choi) 한국영어어문교육학회 2016 영어어문교육 Vol.22 No.3

        This paper reports on a qualitative case study that explored the possibility of developing critical literacy within a general English reading program at the collegiate level in Korea. Conducted in the context of a mandatory English class with a novice instructor and 39 freshmen, the study aimed to bring to light the way critical literacy was closely related to the students ability to read beyond the text. Data were collected from classroom observations, a student reflection paper, and instructor interviews, and were analyzed qualitatively. The findings illustrated that the critical approach to literacy offered students an opportunity to situate their reading practices within the larger sociopolitical world and to develop critical consciousness through collaboration. Dissatisfied with the traditional cognitively oriented and teacher-centered approach to reading, the students spoke highly of the critical literacy approach as it allowed them to reflect critically on the issues presented in the text, which were relevant to their lives, to form and express their own opinions, and to search for ways to bring about changes. Although students had positive experiences in the critical literacy class overall, they encountered some challenges as well. Implications for successful implementation of critical literacy are suggest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