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국제난민법상 성별 관련 박해

        장복희(Bok-Hee Chang) 大韓赤十字社 人道法硏究所 2005 人道法論叢 Vol.- No.25

        성별 관련 박해는 인권 침해의 한 유형으로, 세계 난민의 80%이상이 여성과 아동이며, 특히 여성과 여아는 성(性)과 관련한 박해의 대상이 되기 쉽고, 무력충돌 시 뿐 아니라 평시에도 국가, 사회와 가정 내에서, 법, 제도, 문화 및 관습의 이름으로도 많은 폭력에 노출되어 있다. 최근 국제법적으로 가장 효과적인 규정상 조치 중 하나는 성별과 관련한 특별한 박해(gender related persecution)를 인정하는 것이다. 여성과 여아가 겪을 수 있는 박해의 유형 중, ⅰ) 가장 기본은 사회규범의 위반에 대한 가혹하거나 비인간적인 처우이며, 이 외에도 Ⅱ) 성폭력, Ⅲ) 문화와 관습으로서 행해지는 여성할례, Ⅳ) 가족계획과 출산조절에서 있을 수 있는 강제낙태와 비자발적인 불임수술을 포함한 강압적이고 개입적인 방법에 의한 박해, ⅴ) 동성애(homosexuality)를 이유로 처벌과 부당한 처우 및 ⅵ) 국내 폭력(national violence)에서 학대의 정도가 심각한 경우를 들 수 있다. 1951년 UN 난민협약 제1조 A항 (2) 난민정의는 성별 관련 박해는, 5가지 박해사유(인종, 종교, 국적, 특정사회집단의 구성원 및 정치적 의견) 외에 다른 성별 사유를 추가할 필요 없이, 난민협약의 목적, 목표는 성별(gender)을 포함하고 세심하게 확대 해석되고 있다. 국제인권법, 국제법, 국가관행 및 사례법 등에서, 1951년 난민협약 규정에 대한 성별에 근거한 해석에 많은 발전과 진전을 이루고 있고, 남성 위주의 편협된 시각을 한정되지 않고 해석될 수 있도록 강화되고 있다. 난민여성을 보호하는 것은, 난민정의의 성별에 세심하게 근거한 해석 뿐 아니라, 성별에 따라 세심히 배려하는 난민인정절차를 필요로 한다. 성별 관련 박해는, 여성과 여아는 물론 남성, 동성애자, 성전환자 혹은 아직도 일반적으로 생각하지 못했던 다양한 성별을 포함할 수 있고, 앞으로도 출현할 수 있는 성별과 다양한 유형의 박해를 상상하고 포함시키도록 열려있는 개념이며, 난민법에 추가적 사유의 도입이 아닌, 기존의 난민정의를 새로운 해석방법으로 해결해 나가려는 것이다, 그 기본정신은 어디까지나 인간의 존엄, 기본적 인권, 자유와 평등의 보장에서 출발하려는 것이다. As gender-related persecution is a type of violation of human rights and 80% of world refugees are women and children, in particular women and girls are likely to be subject to sex-related persecution. During the peacetime as well as armed conflicts, they are posed to different violences in the name of law, systems, culture and practices wi thin their nations, communities and families. Recently one of the increasing measures taken to raise awareness of the plight of women in international law is to recognize gender-related persecution in asylum claims. Six principal forms of gender-based persecution are followings: ⅰ) harsh or inhuman treatment for the transgression of social norms, Ⅱ) sexual violence, Ⅲ) female genital mutilation, Ⅳ) when national family planning policies are implemented in a non-discriminatory manner, including forced abortions and involuntary sterilizations, ⅴ) punishment and mistreatment of people on the basis of their homosexuality, and ⅵ) domestic violence with a certain level of severity. Developments in international law and international refugee law have seen progress toward a gender-sensitive interpretation of the 1951 UN Refugee Convention in many jurisdictions. Wi thou t adding a sixth ground to those 5 reasons (race, religion, nationality, membership of a social group or political opinion) already enumerated in the 1951 Refugee Convention, article 1 A (2), the purpose and object of the Convention encompass gender-inclusive and gender-related persecution and newly interpreted not-to-limited male-oriented views. To protect refugee women requires gender-sensitive asylum procedures as well as gender-sensitive interpretation. Gender-related persecution can cover unexpected various gender, including women, girls, men, homosexuals, trans-gender and different types of persecution. Not introducing a new reason to International Refugee Law, new interpretation approaches of the established refugee definition are used. This spirits stem from human dignity, fundamental human rights, freedom and equality.

      • KCI등재

        윤대성 후기 희곡에 나타난 젠더 문제

        조보라미(Zoh Borami) 한국문학회 2016 韓國文學論叢 Vol.74 No.-

        본고는 중년의 위기를 다룬 희곡에서 노년희곡에 이르는 윤대성의 후기 희곡을 대상으로, 여기에 나타난 젠더의 변화 양상을 고찰한다. 윤대성 희곡은 1990년대를 전후하여 한국 사회에 나타난 일련의 젠더 변동을 배경으로 한다. 먼저 중년의 위기를 다룬 희곡은 가부장제의 모순을 인정하면서도 젠더 변화를 ‘남성성의 위기’로 인식하는 양가적 시선을 취한다. 그러나 그러면서도 여성과 남성을 떼려야 뗄 수 없는 관계로 보고 남성을 여성에 의존적인 존재로 봄으로써 남성성의 자기반성으로 나아간다. 그리고 마침내 <아름다운 꿈 깨어나서>, <동행> 등 노년희곡에 이르러 친밀하고 평등한 젠더 관계를 지향하는바 변화된 남성성을 드러낸다. 이로써 윤대성 희곡은 젠더 문제를 남성성의 관점에서 지속적으로 다루면서 궁극적으로 미래지향적인 비전을 제시했다는 의의가 있다. 그러나 여기에도 한계가 있으니, 무엇보다 윤대성 희곡에 나타난 여성상이 다분히 피상적이고 왜곡되어 있기 때문이다. 또한 미래지향적인 젠더 관계가 ‘헤게모니적 남성성’으로부터 거리가 있는 노년을 주인공으로, 멜로드라마라는 양식에 의존함으로써 비현실적이라는 비판이 가능하다. 그러나 역으로 이것은 한국 현실에서 젠더 평등이 얼마나 지난한 것인가를 드러낸다. 이런 점에서 윤대성 희곡은 한국에서 젠더 문제의 현주소를 보여주는 바로미터라고 볼 수 있다. This thesis analyzes the gender problem of Yoon Daesung’s late plays, from middle age plays to old age plays. Mr. Yoon’s plays keep an eyes on the change of patriarchy in Korea since 1990’s, in the point of masculinity. Mr. Yoon especially focuses on the gender relation between male and female and at last presents the positive view of masculinity in aspect of gender. To say more concretely, middle age plays reflect the weakening of patriarchy and improvement of self identity of the female. But women are treated superficially and keep a sympathetic eye on men, which reveal the uneasiness and fear for the gender change. But Mr. Yoon regards women and men are in an inevitable relation and men rely on women, which are reflected the self-reflection in <Sorry for dreaming>. And at last old age plays like <Awakening from Beautiful Dream> and <Coming Together> reflect a new vision of masculinity moving toward gender equality. But there are some limitations in Mr. Yoon’s plays: At first, the female features are sophisticated and distorted; the new vision of masculinity and gender equality are expressed no other than in old age plays with melodramatic mode. This means that the positive vision of masculinity and gender relation are not expressed in realistic, but unrealitic way. But it can be interpreted that the gender equality is so difficult to realize in Korean society. In this respect, Mr. Yoon’s late plays are the barometer of gender problem in Korean society.

      • KCI등재

        노년기 젠더관계와 심리적 복지감

        김영혜(Young-Hye Kim) 한국인구학회 2004 한국인구학 Vol.27 No.1

        이 연구의 목적은 노년기 젠더관계가 노인의 심리적 복지감(psychological well-being)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 것이다. 노인부부의 젠더관계를 규명하기 위해 성역할태도와 가사노동분담을 측정하였고, 노인의 심리적 복지감은 우울도와 행복감으로 측정되었다. 연구의 대상은 부산광역시에 거주하는 배우자와 동거하고, 자녀와는 동거하지 않으며, 부부 모두 직업에서 은퇴한, 65세 이상의 남녀노인 476명이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여성노인이 남성노인에 비해 보다 평등적인 성역할태도를 지니고 있으며, 노인부부의 가사노동 수행에 있어 성별 분절현상이 나타난다. 2) 여성노인이 남성노인에 비해 성역할태도와 가사노동분담 수준이 불일치하는 경우가 더 많았으며, 남녀 노인 모두 성역할태도와 가사노동분담 수준이 일치할수록 심리적 복지감이 높았다. 3) 남녀노인의 성역할태도는 심리적 복지감에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4) 여성노인의 가사노동분담은 심리적 복지감에 별다른 영향을 미치지 못하고 있으며, 남성노인의 가사노동분담은 오히려 그들의 심리적 복지감을 낮게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1) the relationship between gender-role attitude and psychological well-being related to the division of household labor and (2) the effect of congruency between gender-role attitude and the division of household labor on psychological well-being for the elderly. In this study, independent variable is gender-role attitude, mediating variable is the division of household labor and dependent variable is psychological well-being. Psychological well-being consists of depression and happiness. The hypothese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Gender-role attitude affects psychological well-being of the elderly. The more egalitarian gender-role attitude, the higher degree of psychological well-being, whereas the more traditional gender-role attitude, the lower degree of psychological well-being. 2) The division of household labor influences psychological well-being of the elderly. The higher degree of division of household labor is likely to show the higher degree of psychological well-being. 3) The congruency between gender-role attitude and the division of household labor affects psychological well-being. As the relationship between gender-role attitude and the division of household labor is more congruent. psychological well-being increase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1) There is no relation between gender-role attitude and psychological well-being for the elderly. 2) The division of household labor affects psychological well-being for husband. The higher degree of division of household labor, the higher degree of psychological well-being. The result shows that husbands are involved in household labor involuntarily. 3) Congruency between gender-role attitude and the division of household labor affects psychological well-being. As the relationship between gender-role attitude and the division of household labor is more congruent, the degree of depression decreases. 4) Wives participate in most of household labor. Gender segregation in household labor is found in elderly family. 5) Health, income, network of children or sibling, and community network affect psychological well-being. The healthier, higher income and stronger network are likely to show the higher degree of psychological well-being.

      • SSCISCOPUSKCI등재

        Gender Construction in Five Japanese Serial Dramas : Fantasy and the Real Lives of Japanese Youth

        POERWANDARI, Elizabeth Kristi,THOUARS DE, Tara,HIRANO, Keiko 이화여자대학교 아시아여성학센터 2014 Asian Journal of Women's Studies(AJWS) Vol.20 No.2

        本研究の目的は, 日本の連続ドラマにおけるジェンダーの構造を捉え, ドラマが新たなそして異なる役割や価値観を提示しているか検討することにある。本稿では5つの日本のドラマ,「アネゴ(Anego)」,「女帝(Jotei)」, 「曲げられない女(Magerarenai Onna)」「おひとりさま(Ohitorisama)」「フリーター, 家を買う(Freeter Ie O Kau)」, を分析対象としている。分析結果は幾つかの主要なテーマに分類された。ドラマの中で多くの女性はいまだステレオタイプの女性役割にとらわれており, 自立を試みるときには幾つかの障害や苦難に直面する。しかしながら, 数少ないながらも(ドラマの主役である)女性が女性の複数のアイデンティティを生きるためにたたかっている。これらの連続ドラマは新たなジェンダーイデオロギーとジェンダー関係の構築を示しており, それによって女性と男性はより平等なパートナーシップを進展させ, より自由な, ステレオタイプにとらわれない性的関係を構築することが可能である。本稿で選定したドラマは, 現代日本の複雑な日常生活を反映したもので, 日本が直面している経済的困難の文脈を踏まえたものである。ここで表象されているのは, 新たな生活であり, これまでとは異なるジェンダー関係に関する夢想でありファンタジーである。メディアは人々に影響を与え, 新たな生活様式を構築するにあたって非常に重要な役割を担っている。ジェンダーイデオロギー, ジェンダー関係を変容させるにあたり, ポップカルチャー, 特に連続ドラマは, 現代日本の若年層の実生活を漸進的に構築しているのである。ドラマはまた, インドネシアでも人気を博しており, インドネシア人若年層にも同様に影響を与えているというデータを得た。 This study aims to capture how gender is constructed in Japanese serial dramas and to see whether they provide new or different roles and values. This study looks at five Japanese serial dramas which include: “Anego,” “Jotei,” “Magerarenai Onna,” “Ohitorisama” and “Freeter Ie O Kau.” The research results can be grouped under a few dominant themes. It was observed that the majority of women in these dramas are still trapped in stereotypical feminine roles who may try to struggle for independence but still face several obstacles and misery. However, a small number of women (the main protagonists of these dramas) fight to embrace different female identities. These serials also suggest a new construction of gender ideology and relations, whereby women and men can develop more equal partnerships and more liberated non-stereotypical sexual relations. The dramas selected in this study reflect the complex lives of people in contemporary Japan, the challenges they face in the context of economic hardship, and the dreams or fantasies about different and possible new lives. Essentially, media plays quite a significant role in influencing people and in the construction of new ways of life. With changing gender ideology and relations, serial dramas are gradually constructing new norms in real lives for the young generation in contemporary Japan. Because these dramas are also popular in Indonesia, we present some data on their influence in the lives of Indonesian youth as well. Penelitian ini bermaksud menelaah konstruksi gender dalam drama seri Jepang, dan mencoba melihat apakah drama-drama tersebut menampilkan peran dan nilai baru atau berbeda. Yang diteliti adalah lima drama Jepang, yaitu: “Anego,” “Jotei,” “Magerarenai Onna,” “Ohitorisama” dan “Freeter Ie O Kau”, dan temuan dapat dikelompokkan pada beberapa tema dominan. Dapat dilihat bahwa mayoritas perempuan masih terjebak dalam peran-peran feminine yang stereotip, dan ketika mereka berupaya membebaskan diri, mereka menghadapi berbagai tantangan dan penderitaan. Meski demikian, sejumlah kecil perempuan (tokoh utama protagonis dari drama) menunjukkan perjuangan untuk dapat merangkul identitas perempuan yang berbeda. Drama-drama yang diteliti menawarkan konstruksi dari ideologi dan relasi gender yang berbeda, dimana perempuan dan laki-laki dapat mengembangkan kemitraan yang lebih setara, serta relasi seksual yang lebih bebas tanpa stereotip. Drama yang diteliti merefleksikan kehidupan kompleks dari masyarakat Jepang, termasuk tantangan-tantangan yang mereka hadapi dalam konteks ekonomi Negara yang sulit. Mimpi dan fantasi mengenai karakteristik hidup dan relasi yang berbeda juga ditampilkan di sini. Media berperan sangat besar dalam mempengaruhi masyarakat dan mengkonstruksi cara hidup yang berbeda. Dengan ideologi dan relasi gender yang berubah, budaya popular, khususnya drama seri, secara pelahan mengkonstruksi kenyataan hidup baru yang berbeda bagi generasi muda Jepang. Drama-drama ini popular juga di Indonesia, dan tampaknya memberikan pengaruh pada orang muda di Indonesia juga.

      • KCI등재

        한국 고대 시조신화를 통해 본 성별관계와 권력관계의 상관성-신라와 고구려의 비교-

        김현정 한국고대학회 2019 先史와 古代 Vol.- No.60

        본고는 국가 시조신화에 반영된 신라와 고구려의 성별관계와 권력관계를 살펴보고, 그 연관성 여부를 확인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작성되었다. 연구 결과 시조신화 내용에서 성별관계와 권력관계, 여성관과 타인관은 상호 긴밀한 연관성을 지니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신라의 시조신화에서는 출현시기와 상징성에 있어서 왕인 혁거세와 왕비인 알영의 신격 수준이 거의 동등한 수준으로 묘사되어 있었다. 이는 신화기록상 혁거세 출현 이전에 선주하고 있었던 6촌장에게도 신성을 인정하는 것으로 연결되었다. 경주 동쪽 지역에서 발견된 3기의 비석에는 6세기 초반까지 신라 6부의 장들이 왕과 함께 통치주체세력으로서 존재하고 있었음을 보여주는 기록이 남아 있다. 이러한 역사적 사실이 시조신화에 6촌장들의 천손신화가 포함되게 한 배경으로 작용했다고 한다면, 시조신화에서 알영의 위상 역시 신라 지배층 여성의 역사적 실재 지위를 반영했다고 할 수 있다. 이에 비해 고구려의 경우, 시조신화 상 여성주인공격인 유화는 첫 등장부터 권력관계로서의 젠더관계, 즉 주체로서의 남성과 객체로서의 여성이라는 관계를 노골적으로 드러내었다. 또한 유화는 지상계에서 인간들을 처음으로 마주할 때 이미 엄한 아버지 하백으로부터 받은 징벌의 흔적을 낙인처럼 지닌 채 손상된 신격을 보였다. 어머니 유화의 발휘되지 못한 신성성에도 불구하고, 주몽은 신성혈통을 증명하듯 신이한 옆구리 탄생­난생­급속 성장­출중한 재능 발현을 거쳐 성장한 후 영능의 힘으로 부여를 탈출하는 모습을 보였다. 신성함을 표출하는 데 있어 이러한 성별간의 비대칭적 관계는 신화에서 해모수와 하백, 주몽과 송양왕 관계에서도 드러났다. 각자의 신성함의 정도는 객관적인 능력의 나열이 아닌, 경쟁적인 대결의 행위 속에서 명확한 승자와 패자로 서열화 되어서 표현되었다. 상호관계에 있어서도 신라와 고구려의 신화 내용은 다른 점을 보였다. 신라의 경우, 상호 협력관계가 특징이었다. 알영은 혁거세와 함께 분업화되었을 것으로 추정되는 공동통치를 수행하였고, 혁거세․알영과 선주민은 양육과 선정(善政)이라는 도움을 서로 받으며 공생의 협력관계를 유지하고 있었다. 고구려 시조신화에서의 상호관계는 높은 긴장도가 특징이었다. 유화는 해모수­하백­금와에 의해 연속적으로 유린되는 삶을 살게 되는데, 그 배경적 원인은 부여의 가부장제라고 할 수 있었다. 유화가 신으로서의 위상을 회복할 수 있었던 것은 주몽의 위기 극복 과정에서 보여준 결정적 조력자의 역할 때문이었다. 유화는 살해의 위협을 받는 주몽에게 탈출을 종용하였고, 주몽이 새로운 땅에서 성공적으로 시작할 수 있도록 비둘기를 통해 곡물 종자를 전해주었다. 이 행위를 통해 유화는 모성의 상징이자 생명과 풍요(다산)의 신이라는 위상을 얻을 수 있었다. 하지만 유화의 유린당하는 전반기의 삶이나 신으로서의 위상을 발휘하는 후반의 삶 모두 남성 가족에 기인한 것이었다. 이러한 유화의 종속적 존재가치는 남성에게 편중된 성별 권력관계를 반영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주몽과 고구려 선주민집단 사이에서도 긴장적 경쟁관계가 나타났다. 신화 줄거리상 주몽에게 주변세력과의 평화로운 공존은 염두에 없는 듯 보였다. 새롭게 정착한 고구려에서 주몽은 무력을 통하여 주변세력을 통합해 나갔다. 이는 ‘이주해 온’ 새로운 지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gender relations and power relations of Shilla and Goguryeo as reflected in their founding myths, and to confirm the interrelatedness between them. The study showed that gender relations and power relations-as well as the view of women and the view of the other-as reflected in the contents of the founding myths were closely interrelated. In the founding myths of Shilla(新羅), King Hyeokgeose(赫居世) and Queen Alyoung(閼英) were deified to largely similar degrees in their portrayals in terms of symbolism and date of appearance. In mythological records, this is connected to how deity status was also conferred to the chieftains of the six clan society villages called ‘Yuk-Chon(6村)’, who predated the arrival of Hyeokgeose. The records on the three steles that were discovered in the Eastern part of Gyeongju show that along with the king, the leaders of the six political units called ‘Yuk-Bu(6部)’ were also recognized as ruling powers up until the early 6th century. If this historical fact provides the background against which the myth of the heavenly provenance of the 6 chieftains were included in Shilla’s founding myth, Alyoung’s status in the founding myth maybe regarded as reflecting the actual historical status of women among the ruling class of Shilla. In contrast, starting from her very first appearance, the treatment of the female protagonist of Goguryeo(高句麗)’s founding myth, Yuhwa(柳花), is blatantly indicative of gender relations as a power relation - with the male as the subject and the female as the object. Furthermore, even when she first came into contact with earthly people, Yuhwa’s divinity was portrayed as being damaged due to the stigma-like vestige of the punishment she received from her harsh father, Habaek(河伯). Despite the failed manifestation of his mother’s divinity, Jumong(朱蒙) performs various heroic feats that appear to demonstrate his divine lineage-such as hatching from an egg laid from his mother’s flank, accelerated growth, extraordinary talent, and his escape from Buyeo by virtue of his supernatural power. This gender asymmetry in how divinity is manifested in the myths is also apparent in the relationships between Haemosoo(解慕漱) and Habaek, and Jumong and King Songyang(松讓). The degrees of divinity of each of these figures were not expressed as enumerations of objective abilities but as clear distinctions between winners and losers amid acts of rivalrous conflict. The contents of the myths of Shilla and Goguryeo also differ in terms of mutual relationships. Shilla was characterized by relationships of mutual cooperation. Alyoung did co-rule with Hyeokgeose in what is presumed to be a division of duties. Also, Hyeokgeose and Alyoung had a cooperative relationship of co-existence, exchanging help in the form of nurturing and good rule, with the original residents represented by 6 chieftains. Mutual relationships in Goguryeo’s founding myths were characterized by high tension. In the course of her life, Yuhwa was sequentially violated by Haemosoo, Habaek, and Geumwa. The patriarchy of Buyeo may be regarded as the background reason for this. The opportunity for Yuhwa to recover her divine status amid her woeful state arrives via Jumong’s quest to overcome his crisis. Yuhwa urges Jumong, who was being threatened with assassination, to escape. She also sends him grain seeds by way of pigeons so that he might have a successful start in a new land. It is through such actions that Yuhwa gained her status as a maternal symbol and a deity of life and fertility. However, both the violation in the earlier half of her life and the divine status in the latter half of her life are attributable to the male family. Thus, the dependent value of Yuhwa’s existence may be regarded as reflecting male-centric gender relations. A tense relationship characterized by rivalry is also apparent in the relationship betwee...

      • KCI등재후보

        한일 양국 사회교과서를 통해 본 젠더사회화 비교분석: 초등학교 6학년 일반사회 영역을 중심으로

        황영주 ( Young Ju Hoang ) 비교민주주의연구센터(비교민주주의학회) 2013 비교민주주의연구 Vol.9 No.1

        이 연구는 한국과 일본의 젠더사회화 이해를 위하여 한국과 일본의 초등학교 사회교과서 분석을 시도하여, 교과서에 나타난 양국의 젠더고정관념을 비교하고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이 연구는 양국의 초등학교 6학년 과정에서 사용하고 있는 일반사회영역 교과서를 분석하여 양국의 교과서가 어떤 젠더 고정관념을 가지고 있는지를 살펴보려고 하였다. 사회교과서는 현재 사회의 실제 모습을 그대로 표현하지만, 동시에 바람직하고 이상적인 사회상을 그려내기 때문에 젠더관계의 분석에 용이한 것으로 판단하였다. 분석의 결과 교과서는 일종의 젠더고정관념을 둘러싼 역동적인 교차점인 것을 확인하였다. 즉, 한일 양국 교과서 모두 사회의 일방적인 젠더고정관념이 그대로 투영되는 곳도 아니며, 그렇다고 해서 젠더고정관념이 철저하게 교정되는 장소도 아닌, 젠더고정관념의 다양한 층위가 역동적으로 얽혀 있는 곳으로 해석될 수 있었다. 다만, 양국 사회교과서가 젠더고정관념의 역동적 교차점을 역할을 하지만, 일부 서사(narration)에서는 뚜렷한 차이를 보였는데, 이때 일본 교과서가 좀 더 젠더관계에서 전향적인 태도를 보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Korean and Japanese elementary social studies textbooks in order to understand and compare gender socialization between two countries. More specifically, the study is analyzing the 6th grade social studies textbooks to understand how gender relations has been formulated in the textbooks. Generally, it is believed that the social studies textbooks have two aspects: one is that the textbook represents the real appearance of dominant society; another is that the textbook also contains desirable and ideal points for the better society. In this regard, gender relations in the textbooks has been showed very complex ways. The results of the analyzing and comparing textbooks in both countries are followings. First of all, gender relations in two textbooks shows very dynamic aspects. Some cases of textbooks contains very gendered and gender stereotypes of social practices, other cases of textbooks also try to overcome prevailed gendered and gender stereotypes of the present society. In this regard, the textbooks can be interpreted as the dynamic crossroad of gender relations. Also, some differences have been found, the Japanese textbook shows more gender sensitive approach in the ways of narration.

      • KCI등재

        청년의 공정성 인식이 상대적 박탈감에 미치는 영향: 성평등의식의 매개효과에 대한 성별비교를 중심으로

        김은선,김진욱 서강대학교 생명문화연구소 2023 생명연구 Vol.70 No.-

        본 연구의 목적은 청년의 공정성 인식이 상대적 박탈감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공정성 인식과 상대적 박탈감 간의 관계에서 성평등의식의 매개효과가 성별에 따라 차이가 나타나는지 경로분석을 통해 규명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청년 306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시행하여 자료를 수집하였고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청년 전체 집단의 경우 공정성 인식이 상대적 박탈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성평등의식의 매개효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그러나 성별을 나누어 분석하면 흥미로운 결과가 산출되었다. 청년 남성의 경우 공정성 인식이 상대적 박탈감에 영향을 미치지 않지만 이들의 성평등의식은 공정성 인식과 상대적 박탈감 사이를 완전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청년 여성의 경우 공정성 인식이 상대적 박탈감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만 청년 여성의 성평등의식은 매개효과를 나타내지 않았다. 이는 청년 세대가 생애과정에서 겪는 경험과 성장해 온 배경에 기초하여 성별에 따라 공정성 인식, 상대적 박탈감, 성평등의식을 다르게 가질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청년 세대 내 젠더별 양극화 현상을 해결하기 위한 정책적 시사점을 제안하였다. This study examines the influence of fairness perception among young adults aged 20 to 30 on their sense of relative deprivation, and investigate whether the mediating role of gender equalit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fairness and relative deprivation varies according to gender. To fulfill these research objectives, an online survey was administered to a sample of 306 young adults. The findings suggested that while perceived fairness significantly influences relative deprivation across the entire young adult group. Moreover, the group's gender equality was found not to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act on relative deprivation, indicating it does not serve as a mediator between perceived fairness and relative deprivation. Interestingly, for the male subset, although perceived fairness did not affect relative deprivation, The gender equality of young males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fairness and relative deprivation. In contrast, within the female subset, while perceived fairness significantly impacted relative deprivation, it did not influence gender equality consciousness. The gender equality of young females does not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fairness and relative deprivation. In light of these results, The study suggested social welfare strategies to address gender-based polarization within young generations.

      • KCI등재

        한일양국 사회교과서를 통해 본 젠더사회화 비교분석(2): 중학교 사회교과서 일반사회 “정치” 영역을 중심으로

        황영주 ( Young Ju Hoang ) 비교민주주의연구센터(비교민주주의학회) 2014 비교민주주의연구 Vol.10 No.2

        이 연구는 한국과 일본의 젠더사회화 이해를 위하여 양국 중학교 사회교과서를 비교하고 있다. 이 연구는 중학교 3학년과정에서 사용되고 있는 사회교과서 일반사회영역 중에서 정치와 관련되는 단원을 분석하여 젠더관계가 어떻게 드러나고 있는지 보다 구체적으로 분석하였다. 잘 알려진 바와 같이 사회교과서는 현재 사회의 실제 모습을 그대로 표현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동시에 바람직하고 이상적인 사회상을 제시하기 때문에 젠더관계의 분석에 용이하다고 할 것이다. 분석 결과, 교과서는 젠더관계를 둘러싼 역동적인 교차점의 장(iÞ)임을 확인하였다. 양국 중학교 사회교과서는 사회의 일방적인 젠더고정관념이 그대로 투영되는 곳도 아니며, 그렇다고 해서 젠더고정관념이 철저하게 교정되는 장소도 아닌, 젠더고정관념의 다양한 층위가 얽혀있는 곳으로 해석될 수 있었다. 이는 이미 진행된 초등학교 사회교과서의 연구 결과와 유사하였다. 다만, 학생들을 배려한 서술과 남녀평등에 대한 분명한 접근, 공존과 배려성이라는 관점에서 볼 때 일본교과서는 좀 더 젠더에 민감(gender-sensitive)하다고 할 수 있었다.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Korean and Japanese middle-school social studies textbooks in order to understand and compare gender socialization between two countries. More specifically, the study is analyzing “politics and politics-related parts” of the social studies textbooks to understand how gender relations has been formulated in the textbooks. Generally, it is believed that the social studies textbooks have two aspects: one is that the textbook represents the real appearance of dominant society; another is that the textbook also contains desirable and ideal points for the better society. In this regard, gender relations in the textbooks has been shown very complex ways. The results of the analyzing and comparing textbooks in both countries are followings. First of all, gender relations in two textbooks show very dynamic aspects; in some cases, the textbooks contain very gendered and gender stereotypes of social practices, in other cases, they are trying to overcome prevailed gendered and gender stereotypes of the present society. In this regard, the textbooks can be interpreted as the dynamic crossroad of gender relations. Also, some differences have been found, the Japanese textbook shows more gender sensitive approaches in the some parts.

      • KCI등재

        미성년 자녀가 있는 성전환자의 성별(性別)정정 허가 및 판단 기준

        신윤주 사법발전재단 2023 사법 Vol.1 No.63

        The Supreme Court, through Supreme Court en banc Order 2020Seu616 dated November 24, 2022, ruled that when determining whether a transsexual who has a minor child can be allowed to rectify his/her gender entered in the family relations register, not only should the transsexual’s fundamental rights under the Constitution including human worth and dignity and the right to pursuit of happiness (former sentence of Article 10) and the right to equality (Article 11(1)) be ensured but the welfare of a child such as the right to receive protection and care should also be kept in mind, and in such a case, the following overall circumstances: the age and physical and mental state of the minor child; the consent or understanding of the minor child about the gender rectification of his/her father or mother; the transsexual’s way of performing his/her role as a father or mother for protecting and nurturing the minor child; the relations and bonds that have been formed and maintained between the transsexual and other family members including the minor child; and other family environments as well as whether the general standards for permission necessary in allowing the rectification of gender for a transsexual are satisfied should be considered and, thereby, altered Supreme Court en banc Order 2009Seu117 dated September 2, 2011. Previously, the Supreme Court paved the way for a transsexual to be able to reconcile his/her actual gender with the gender entered in the family relations register by allowing the gender rectification of a transsexual for the first time through Supreme Court en banc Order 2004Seu42 dated June 22, 2006. However, the Supreme Court ruled that where a transsexual is married or has a minor child, the rectification of his/her gender is not allowed through Supreme Court en banc Order 2009Seu117 dated September 2, 2011 and, thereby, disapproved the rectification of gender entered in the family relations register by viewing the above two circumstances, respectively, as an independent requirement not to allow the rectification of gender. However, since Supreme Court en banc Order 2009Seu117 decided September 2, 2011, there have been many criticisms over whether deeming the circumstance of a transsexual who is married or has a minor child as an independent requirement not to allow the rectification of gender is reasonable under the Constitution, Universal Declaration of Human Rights, and comparative law. The subject case involves where the petitioner is presently divorced and has a minor child, and in this case, whether the rectification of gender can be disapproved by viewing the circumstance where a transsexual has a minor child as an independent negative element became an issue, which was also dealt with in Supreme Court en banc Order 2009Seu117 dated September 2, 2011. The Supreme Court, through the subject case, ruled that by clarifying that; every human being has the right to develop a personality and lead a life in accordance with his/her gender identity; a transsexual should be able to realize his/her personality and individuality based on his/her gender identity and live a life, pursuing happiness with other persons as an equal member of our society; and to exercise such rights fully, a transsexual has the right to legally confirm gender according to his/her gender identity as his/her true gender, when determining whether the rectification of gender can be allowed for a transsexual who has a minor child, various circumstances for the balance of legal interests to enable the protection of the fundamental rights of the transsexual to be in harmony with the protection and welfare of his/her minor child should be comprehensively considered and substantially determined, and the rectification of gender should not be disapproved on the sole basis of the circumstance where the transsexual has a minor child. Moreover, the Supreme Court, by determining that: the subject case is just a natural process in which the w... 대법원은 2022. 11. 24. 자 2020스616 전원합의체 결정에서 미성년 자녀를 둔 성전환자의 성별정정을 허가할지 여부를 판단할 때에는 성전환자 본인의 인간으로서의 존엄과 가치 및 행복추구권(헌법 제10조 전문), 평등권(제11조 제1항) 등 헌법상 기본권을 최대한 보장함과 동시에 미성년 자녀가 갖는 보호와 배려를 받을 권리 등 자녀의 복리를 염두에 두어야 하고, 이때에는 성전환자의 성별정정에 필요한 일반적인 허가 기준을 충족하였는지 외에도 미성년 자녀의 연령 및 신체적·정신적 상태, 부 또는 모의 성별정정에 대한 미성년 자녀의 동의나 이해의 정도, 미성년 자녀에 대한 보호와 양육의 형태 등 성전환자가 부 또는 모로서 역할을 수행하는 모습, 성전환자가 미성년 자녀를 비롯한 다른 가족들과 형성·유지하고 있는 관계 및 유대감, 기타 가정환경 등 제반 사정을 고려하여야 한다고 판시하여 대법원 2011. 9. 2. 자 2009스117 전원합의체 결정을 변경하였다. 종래 대법원은 2006. 6. 22. 자 2004스42 전원합의체 결정을 통하여 최초로 성전환자의 성별정정을 허가하여 성전환자가 실재하는 성과 공부상 성을 일치시킬 수 있는 길을 열었다. 그러나 대법원은 2011. 9. 2. 자 2009스117 전원합의체 결정에서 성전환자가 혼인 중에 있거나 미성년자인 자녀가 있는 경우에는 성전환자의 성별정정은 허용되지 않는다고 함으로써 위 두 가지 사정을 각 성별정정 허가의 독자적인 소극 요건으로 보아 성별정정을 불허하였다. 그런데 이러한 대법원 2009스117 전원합의체 결정 이후 성전환자가 혼인 중에 있거나 미성년 자녀가 있다는 사정을 성별정정 허가의 독자적인 소극 요건으로 보는 것이 헌법, 국제인권규범 및 비교법적으로 타당한 것인지에 관하여 많은 비판이 이어졌다. 대상결정은 신청인이 이혼한 상태이고 미성년 자녀를 두고 있는 경우로서 대법원 2009스117 전원합의체 결정 중 성전환자에게 미성년 자녀가 있다는 사정을 독자적인 소극 요건으로 보아 성별정정을 불허가 할 수 있는지가 문제 된 사안이다. 대법원은 대상결정을 통하여 인간은 누구나 자신의 성정체성에 따른 인격을 형성하고 삶을 영위할 권리가 있고, 성전환자도 자신의 성정체성을 바탕으로 인격과 개성을 실현하고 우리 사회의 동등한 구성원으로서 타인과 함께 행복을 추구하며 살아갈 수 있으며, 이러한 권리를 온전히 행사하기 위해서 성전환자는 자신의 성정체성에 따른 성을 진정한 성으로 법적으로 확인받을 권리를 가짐을 확인하면서, 미성년 자녀가 있는 성전환자의 성별정정 허가 여부를 판단할 때에는 성전환자의 기본권의 보호와 미성년 자녀의 보호 및 복리와의 조화를 이룰 수 있도록 법익의 균형을 위한 여러 사정들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실질적으로 판단하여야 하고, 단지 성전환자에게 미성년 자녀가 있다는 사정만을 이유로 성별정정을 불허하여서는 아니 된다고 판시하였다. 또한 대상결정은 부 또는 모의 성전환이라는 사실의 발생에 따라 부모의 권리와 의무가 실현되는 모습이 그에 맞게 변화하는 자연스러운 과정이고, 이렇게 형성되는 부모자녀 관계와 가족질서 또한 전체 법질서 내에서 똑같이 존중받고 보호되어야 하며, 미성년 자녀를 둔 성전환자도 여전히 그의 부 또는 모로서 그에 따르는 권리를 행사하고 의무를 수행하여야 하며 이를 할 수 있다고 판시하여 성전환자의 가족도 국가와 사회에서 당연히 존중 ...

      • KCI등재

        성별 명사와 관련어의 의미특성

        정유진(Chung, Eugene),강범모(Kang, Beom-mo) 한국언어학회 2015 언어 Vol.40 No.4

        This paper aims to study gender concepts described in news articles by examining gender-specific words and their related words. Gender is a socio-cultural component of male and female identity that shapes how a person lives and interprets the world around them. News articles report their lives and the language used in the articles reflects society. A gender-specific word refers to a word relating only to either males or females, such as man, woman, male, female. First, we compared related words from synonymous gender-referring words. Second, we considered antonymous gender-specific words and their related words. Finally, we explored a group of males and females to show general roles portrayed in the news articles for each gender. While inclusive related words show common properties of target words, exclusive related words represent unique properties of the target word. We classified related words with semantic domains distributed by SIL International (Moe 2013). The semantic domains allow us to capture gender roles and status in our society. The newspaper corpus is composed of 2.5 million news articles issued from 2000-2013 and the size is more than 500 million words (Kim et al., 2010). We extracted 100 related words per target word and then compared their relationships by using Pajek (Ver. 4.04). This study shows that men are expected to be interested in fashion and public oriented settings. Compared to men, women tend to be more complex; they are family-oriented, but also they are socially involv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