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프랑스의 NATO군 복귀, ‘프랑스 예외주의’의 종막?

        성일권 한국유럽학회 2009 유럽연구 Vol.27 No.3

        In the French policy's history, the Gaullism was a political ideology which meant an autonomous defense and an independent diplomatic line. France's withdrawal from NATO was a symbolic event which made Gaullism known the international community. In the recent return of France to NATO forces means the end of Gaullism. Taking into account the fact that Nicolas Sarkozy is an admirer of De Gaulle and that his political party, UMP's value is based on Gaullism, the return of France to NATO forces seems to be paradoxical. This must be interpreted in a politically complicated meaning. Why Sarkozy's right wing government decided the return to NATO forces? Does it mean really the end of “French exceptionalism”, so-called “De Gaullism”? As of August 2009 Frane has deployed 3,100 troops, 4th largest in the world, in International Security Assistance Force (ISAF), North Atlantic Treaty Organization (NATO)’s mission in Afghanistan. French forces take the responsibility upon the stabilization and reconstruction of Afghanistan area. But France has no strong representation in NATO's works. In fact, NATO has sought to be “global” in its geographic reach and in the development of non-member partner states that can assist in achieving an agreed mission: Korea, Japan, Australia, New Zealand. However, Paris has argued that NATO was European security organization, and must only operate in and near Europe This paper will respectively analyze France' return to NATO forces to the point of national position as well as international context. In addition, this paper will briefly discuss potential issues to be raised in Korean peninsula. by reviewing geopolitically Korea’s participation as NATO’s new member. 프랑스의 북대서양조약기구(North Atlantic Treaty Organization: NATO) 재가입을 계기로 향후 NATO의 미래 뿐 아니라, 프랑스의 향후 역할이 더욱 관심을 끈다. 현대 프랑스 정치사에서 드골주의(De Gaullism)는 자주국방, 독자적 외교노선을 상징하는 정치이념이었고, 나토(NATO)로부터의 탈퇴는 드골주의를 국제사회에 알리는 상징적 사건이었다. 따라서 외견상, 프랑스의 최근 NATO 통합군 복귀는 드골주의의 종언(終焉)적 의미로 해석될만하다. 더욱이 드골의 열렬한 숭배자인 사르코지(Sarkozy)와 드골주의에 뿌리를 둔 집권 여당인 대중운동연합(UMP)이 NATO에 전면적으로 복귀한 것은 역설적이며 복합적인 정치적 의미로 해석될 수밖에 없다. 사르코지의 우파 정부는 왜 NATO통합군 복귀를 선택했을까? 과연 프랑스의 ‘예외주의’에 종지부를 찍고, 드골주의와 결별하는 걸까? 프랑스는 미국이 주도하는 아프가니스탄의 재건 및 안정화를 위해 NATO의 산하 기관인 국제치안유지군(ISAF)에 미국, 영국, 독일 다음으로 세계에서 4번째로 가장 많은 병력을 지원하고 있다. 하지만, 프랑스의 NATO내 발언권은 기대만큼 높지 않은 실정이다. 반면, NATO 지도부는 미국과 영국의 주도아래 독일이 지원하는 동구권 국가들을 신규 회원국으로 받아들이는 한편, 지구반대편에 위치한 한국을 비롯한 일본, 호주, 뉴질랜드 등 아시아 국가들에게까지 회원국 자격을 부여하겠다는 복안을 갖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최근 프랑스의 NATO군 재가입이 프랑스의 국내정치적 입장과 국제 정치적 입장에서 각각 어떤 의미를 갖는지 분석한다. 본 연구는 우리 정부가 아프가니스탄 전에 대한 참전을 통해 이미 NATO 통합군과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는 상황에서 NATO에 대한 재인식과 성찰의 계기를 찾는데 그 목적이 있다.

      • KCI등재

        유럽통합의 주권 - 프랑스의 대응

        이대희(Lee Dae-Hee) 부경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2007 인문사회과학연구 Vol.8 No.2

          이 논문에서는 유럽통합이론이 유럽통합과 주권의 관계를 어떻게 파악하고 있는지를 고찰한 다음 프랑스가 유럽통합에 대응하는 방식을 분석하는 것이 목적이다. 유럽통합이론은 크게 유럽이 궁극적으로 초국가적 연방국가를 지향하고 있다는 연방주의, 유럽통합의 과정과 결과는 각국의 정부들이 주도하고 통제하고 있다는 정부간주의 그리고 유럽공동체에는 국가 이외의 초국가적ㆍ국내적인 다양한 행위자들이 참여하고 있다는 다층통치론으로 분류할 수 있다.<BR>  프랑스는 일견 대통령과 쟁점에 따라서 정부간주의적 대응과 연방주의적 대응을 오간 것처럼 보인다. 그러나 제5공화국의 성립 이후 프랑스는 국가이익을 보호하고 극대화하는 목표를 변함없이 추구해왔다. 그리고 그 핵심은 드골주의의 전통에 따라 유럽통합을 통해서 프랑스의 ‘독립과 영광’ 즉 주권을 고양한다는 것이다. 다만 프랑스의 핵심적인 이익이 걸린 영역이나 배타적인 주권의 행사가 이미 불가능한 영역에서는 오히려 연방주의적 대응으로 프랑스의 친유럽적 인상을 심어주도록 노력했다. 그러나 통합의 심화로 프랑스에서도 주권에 대한 인식이 변화하고 있고 국가차원의 대응과는 무관하게 디층통치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The aim of this article is to analyse the French response to the European integration in the light of European integration theories. Theories of European integration can be classified into the supranationalism which put emphasis on the direction of the European integration to an federal state, the intergovernmentalism by which the member states lead and control its courses as well as its outcomes and the multi-level governance theory which argues that divers supranational and subnational actors participate with the states in the decision-making of the European Union.<BR>  At a first glance, the France seems to vacillate between a federalist response and a intergovernmentalist one, depending on the issues and presidents of the state. However since the foundation of the fifth Republic, it has consistently pursued the defense and the maximization of its national interests, in the heart of which lies the exaltation of its "independence and grandeur", namely its sovereignty through the European integration accordingly to the Gaullism. Its occasional federalist appearance results merely from a tactic by which it doesn"t hesitate to transfer the sovereignty in restricted sectors in which it has crucial interests or it is not able to exercise the exclusive sovereignty. However regardless of the state response, the deepening European integration brings about a changing notion of the sovereignty and some phenomena of the multi-level governance in France.

      • KCI등재

        프랑스 독자외교안보 정책의 전략과 함의

        윤기석 한국프랑스학회 2009 한국프랑스학논집 Vol.67 No.-

        La politique étrangère d'un pays est une décision de process sous l'influence des relations intérnationales, en s'appuyant sur des ressources de la mobilité maximal du pays. Car elle est directement liée non seulement á la survie mais également á la prosperité d'un pays. A ces termes, la France est considerée comme un pay qui poursuit constamment une politique étrangère indépendante en domaine de la sécurité et de défense, se dégagant une conception diplomatique “occidentalo-atlantiste” fondée sur l'alliance avec les États-Unis et une perception que les transformations du monde sont menaçantes pour l'Occident. Cette vision de la politique française témoigne que la France se retire du commandement militaire intégrée de l'Organisation du traité de l'Atlantique nord (OTAN) en 1966. Pourtant, elle inaugure une politique étrangère du paneuropéanisme, basèe sur une conception d'un “Europe pour les européennes” à travers de la Conféderation européenne. De l'autre côté également, elle ramènent une politique traditionnelle portant sur les intérêts économiques, stratégiques en Afrique. Il est indéniable que De Gaulle a instauré le fondement de la politique française de sécurité et de défense que l'on se confirme aujourd'hui. En s'appuyant sur son idée et sa conception, la Vème République en France n'a jamais cessé de continuer la doctrine de “gaullisme” avec la volontarisme. Ce gaullisme se résume fondamentalement par les deux élements, c'est-à-dire, “la nation”, “la puissance” qui rappellent le “grandeur” et l'indépendance”. En résumé, le Gaullisme est la ligne traditionnelle poursuite sans cesse de la diplômatie française en domaine de la politique de sécurité et de défense tout au long de la Vème République. A ce stade, ce tavaille vise á illustrer, montrer l'originalité et l'identité de la politique française de sécurité et de défense qui peut se traduire aujourd'hui “la politique indépendante de la diplomatie”. Pour cela, après avoire examiné le trait essentiel du fondement de la politique étrangère française avec la relation de l'OTAN, en particuilère la politique européenne de sécurité et de défense(PESD) que la France jouait un rôle fondamental, nous analysons la vision et la stratégie de la politique étrangère française. En effet, ces études sont forcés d'éclairer la réorientation de la politique étrangère qui a besoin á l'heure actuelle d'une nouvelle vision du gouvernement coréen, entournant par les puissance comme les Êtats Unies, la Chine, la Ruisse. plus precisément, á long terme, la réunification de la péninsule coréenne.

      • KCI우수등재

        아데나워와 수에즈 위기

        김진호(Kim, Jin-Ho) 역사학회 2015 역사학보 Vol.0 No.225

        Suez Crisis was the one affair of the most important event in diplomatic historical affair that occurred after 1950’s era. Because Suez crisis showed undermining European status after the war, fixing Cold war system and the crack of NATO. After Suez crisis, French gaullism was strengthened and Suez crisis served the momentum that Adenauer strenthened the solidarity with De Gaulle. Also, after Suez crisis Adenauer got to be interested in gaining the nuclear access and he thought the importance of the needs of nuclear weapons. Directly after Suez crisis, there was Adenauer and Mollet summit, this summit laid the foundation stone of Rome Treaty in 1957. Though Suez Crisis, we can see clearly the change of Adenauer’s diplomatic policy and nuclear policy and gaullism of West Germany.

      • KCI등재

        프랑스 드골주의 정당의 유럽화

        김응운 한국외국어대학교 EU연구소 2013 EU연구 Vol.- No.33

        Gaulliste party is a representative political force in France. This research aims to analyse factors and process of change of his attitudes on European issues and eventually to examine the mechanism of europeanization of political parties. From the beginning of european construction to the late of 1970s, passing by the presidency of De Gaulle-Pompido, french gaullists had advocated ‘Europe of Nations’ and so held their negative attitude to ‘supranational Europe’. However, their conversion to pro-europeanism has been begun at the instigation of Jacques Chirac, leader of RPR, from 1980s. In this conversion process there has been sometimes resistance of eurosceptists in the party, in particular on the occasion of french referendum on ratification of the Maastricht Treaty in 1992, but at last french gaullists generally accepted a policy which respects the general trend and decisions of Europe. This evolution can be explained by at least two factors. One is the power of european acquis communautaires. Another is a strategic change of gaulliste party. As for concrete explanation, gaulliste party needed coalition with french liberal right-wing to seize the power again, but a compromise on european issues was a precondition of this coalition. 드골주의 정당은 프랑스의 대표적인 정치세력이다. 본 연구는 그 정당의 유럽문제에 대한 입장 변화의 과정과 요인을 분석함으로써 궁극적으로 정당의 ‘유럽화’가 어떤 메카니즘으로 작동되는 지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프랑스 드골주의자들은 유럽통합 초창기부터 드골 대통령 및 퐁피두 대통령 집권기를 거쳐 1970년대 말까지 ‘국가들의 유럽’을 주창하며 ‘초국적 유럽’ 건설에 부정적인 태도를 견지해 왔다. 그러나 1980년대부터 RPR의 당수인 자크 시락의 주도로 친유럽주의로의 개종이 시작되었다. 그 전환 과정에서 특히 1992년 마스트리히트 조약 비준을 위한 국민투표를 계기로 당내 유럽회의론자들의 반발이 없지 않았지만 결국 유럽의 대세와 결정을 존중하는 정책으로 바뀌게 된 것이다. 이러한 변화는 적어도 두 가지 요인에 의해서 설명될 수 있다. 하나는 점점 더 심화되어가는 유럽이라는 ‘대세’이며 다른 하나는 프랑스 국내의 정치적 역학관계에 따른 전략 변화이다. 두 번째 요인을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정권 창출을 목적으로 하는 수권정당 중 하나인 드골주의 정당에게 있어 친유럽주의를 표방하는 자유주의 우파 세력과의 공조와 협력이 필수적이었던 만큼 유럽문제에 있어서의 절충은 그 성공의 전제조건일 수밖에 없었던 것이다.

      • KCI등재

        La France et la premiere etape de sa politique de securite europeenne : De la fin de la seconde guerre mondiale au debut de la cinquieme Republique

        이승근 한국프랑스학회 2004 한국프랑스학논집 Vol.46 No.-

        프랑스는 2차 대전 직후 자국의 안보유지를 위해 여러 가지 정책을 구사하게 되는데 그 기저에는 국가 안보의 유지 및 유럽에서 프랑스의 헤게모니 유지와 세계강국으로의 발돋움에 있다. 이를 위해 독일의 부흥방지, 소련의 위협회피, 이 둘을 위한 유럽에서의 공동방위체제 구축, 유럽통합의 추진, 유럽통합군의 창설 등의 정책을 구사하게 된다. 그러나 세계는 미국과 소련의 지배 하에 놓였고 유럽도 이러한 미․소 양대 축을 중심으로 동․서로 분할된다. 결과적으로 프랑스의 의도와는 달리 미국을 중심으로 서유럽이 유럽의 공동방위체제로서 NATO를 축으로 방위동맹을 형성한 뒤 프랑스가 이에 편입되고, 독일은 NATO에 편입된 가운데 주권회복과 재무장을 하게 된다. 자연히 프랑스가 추진한 유럽통합군 건설은 수포로 돌아가게 된다. 이러한 점은 프랑스로서는 치욕적인 것이고, 1958년 드골대통령의 복귀는 이러한 환경에 기인한다. 드골은 집권 이후 프랑스의 위대성과 외부로부터의 정치적 독립을 확보하는 한편, 강력한 군사력의 유지 등 3개 노선을 중심으로 유럽안보 정책을 구사하게 된다. 드골이 집권한 당시 유럽 패권국으로서 강력한 프랑스의 재건을 꿈꾸며 자신의 정치․외교적 이상을 실현할 수 있도록 다각적인 노력을 경주한다. 이는 오늘날 현 프랑스 정부의 외교․안보상 정책적 기저를 형성하고 있는 ‘골리즘’(gaullisme)의 출발점이라 할 수 있다. 그의 정치적 사변 (思辨)의 핵은 ‘국가’(nation)와 ‘힘’(puissance)으로 함축된다. 이의 구체적 표출은 프랑스의 과거 ‘위대성’ (grandeur)의 회복과 외부로부터의 정치적 ‘독립’(indépendance) 확보, 자국의 ‘국력’(puissance) 유지로 나타나고 이를 바탕으로 드골은 프랑스를 세계 강대국의 하나로 다시 만들고, 미국과 소련 등 세계 초강대국들로부터 정치․외교적 독립을 유지토록 노력하게 된다. 특히 드골은 유럽 방위에 있어서 유럽인이 중심이 되는 기구설립, 유럽의 분단을 극복하기 위한 유럽 데땅뜨 정책 및 ‘대서양에서 우랄까지’의 거대 유럽의 탄생을 꿈꾸게 된다. 한편으로, 대 미 종속을 탈피하기 위해 반대서양 통합 전략을 외교적으로 구사하게 된다. 이러한 정책 실시의 구체적인 결과로 드골은 66년 NATO 군사기구로 부터의 탈퇴를 결행하여 나토기구 내에서의 미국의 헤게모니 장악에 반대한다. 또 다른 한편으로 서유럽동맹(WEU)이 유럽 안보 기구화 될 수 있도록 하였고 유럽공동체(EC)의 강화 정책을 펴서 서유럽의 결속을 유지하도록 하였다. 결국, 프랑스의 초기 정책들은 이후 5공화국 정부의 대외정책에 변형이 되기도 하였지만 지속적으로 반영이 되어 오늘날 유럽의 분단극복과 유럽에서의 ‘유럽인에 의한 유럽’ 건설, ‘유럽통합’에 실질적으로 공헌한 것으로 평가된다.

      • KCI등재

        마크롱의 드골주의 노선 추구와 대서양동맹의 갈등

        이승근 서강대학교 유로메나연구소 2023 통합유럽연구 Vol.14 No.3

        Emmanuel Macron, representing the newly formed party 'En Marche' and advocating for centrist policies, successfully won the presidency in 2017, gaining popularity among the French population. After taking office, President Macron implemented economically right-leaning policies while also bolstering welfare programs as part of an expansion of left-leaning social initiatives. In terms of foreign policy, he positioned himself as an ideological successor to President de Gaulle, who led the Fifth Republic of France. He strategically utilized the transatlantic alliance's division caused by President Trump in executing his foreign policy, aiming to establish a 'New European Order' with fellow Europeans. Additionally, after the UK's Brexit referendum, he worked towards expanding France's influence in Europe, following the traditional Gaullist path that lies at the core of French right-wing ideology. This study analyzes how President Macron effectively demonstrated the strengthening of France's position, in line with the principles of Gaullism, amid the shifting dynamics of the European order. This was achieved through the deepening of European integration, the collaborative construction of Europe by Europeans, the enhancement of strategic autonomy, and the prioritization of security within the EU over NATO. Ultimately, President Macron incorporated a significant portion of the Gaullist approach into his foreign policy, aiming for an independent and self-reliant European policy for France. He sought to implement this Gaullist approach through the EU, working to empower France to make decisions and take action independently in its relations with the United States. This study illustrates his efforts to enable the EU to operate autonomously in matters of diplomacy, security, and defense.

      • KCI등재

        퐁주의 정치사상의 진화 : 공산주의자에서 드골주의자로

        이춘우 서울대학교 불어문화권연구소 2016 불어문화권연구 Vol.26 No.-

        Rapprocher Ponge et la politique semble d’autant plus étrange que le poète n’écrit que sur les choses. Pourtant, il est difficile de dire que ses poèmes sont totalement apolitiques. Après avoir examiné toute sa vie jonchée d’activités politiques, on se rendra compte qu’ils sont au contraire très politiques. À l’âge de 18 ans, après la révolution russe, Ponge rêve de changer la société qui lui semble « hideuse de débauche ». En tant que syndicaliste militant des Messageries Hachette, il adhère au parti communiste en janvier 1937. En avril de cette même année, il prononce un grand discours plein des messages politiques au Moulin de la Galette devant mille personnes. Sous l’occupation allemande, il continue son activité communiste militante en tant que résistant. À partir de 1944, il s’occupe de la direction des pages littéraires de l’hebdomadaire communiste Action. Mais, déçu par le sectarisme et par le stalinisme des communistes parisiens, il quitte le parti communiste en 1946. Au lieu de la révolution communiste, il vise désormais à une révolution culturelle par le biais de la langue et la littérature françaises. C’est pourquoi il fait l’éloge du général de Gaulle qui lui semble les défendre ainsi que les écrivains. L’évolution des pensées politiques de Ponge est étroitement liée à sa vision esthétique et éthique de la littérature pour changer la société. Nous espérons que notre étude, au-delà de la vérification de l’évolution des pensées politiques de Ponge, aide à saisir globalement ses oeuvres poétiques.

      • KCI등재

        프랑스의 NATO 복귀 이후 유럽안보질서: 변화와 쟁점

        이승근 한국유럽학회 2019 유럽연구 Vol.37 No.4

        In April 2009, France made a return to the NATO Integrated Military Command Structures. It took 43 years for France to return to NATO after its withdrawal in 1966. This decision is considered very meaningful for the future of the European Security Order. After the end of the Cold War in the early 1990s, France's return to NATO's military committee in 1995 was an interim process. In the meantime, France had tried to increase its politico-military position in Europe and strengthened its role as a traditional European power. France's return to NATO is an evidence of its self-confidence, and in spite of its return to NATO, France will maintain its liberal position inside of the NATO organs. As keeping the dual policy on NATO, France is likely to strengthen European allies’ role in NATO as it has resisted US leadership within NATO. In this respect, for the sake of European security, NATO will be strategically used and France will improve EU's own military power over NATO. In the long run, France will try to renewal NATO's military structure to broaden European allies’ position in the Trans-Atlantic Alliance. It is expected that after the Brexit of the United Kingdom, France leads the European security order through closer cooperation with Germany rather than the United Kingdom. 2009년 4월 프랑스가 NATO 군사기구에 대한 복귀를 단행하였다. 이는 1966년 탈퇴 후 43년 만에 이루어 진 것으로 유럽안보질서 재편을 앞두고 매우 의미 있는 결정으로 받아 드려지고 있다. 1990년대 초 유럽 냉전 종식 이후 1995년에 이루어진 프랑스의 NATO 군사위원회 복귀는 완전한 복귀를 앞 둔 중간 과정이었다 할 수 있다. 이후 프랑스는 유럽에서 자국의 안보위상을 높일 수 있도록 노력하였고, 이러한 과정에서 전통적인 유럽강대국으로서의 역할 강화에 힘을 기우려 왔다. 2009년 프랑스의 NATO 복귀는 그만큼 자국의 자신감을 표출하고 있다는 증거이고, 군사기구 복귀에도 여러 단서조항을 달아 놓고 있어 NATO 내에서 어느 정도 발언권을 여전히 유지하고 있다는 점 또한 특이하다. 프랑스는 그동안 NATO에 대해 이중적인 정책을 구사하여 왔듯이 NATO 복귀 이후에도 미국의 리더십에 저항하는 가운데 유럽동맹국들이 NATO에서 역할을 강화하는 데 앞장설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관점에서 프랑스는 유럽안보를 위해 우선적으로는 NATO를 전략적으로 이용하되 NATO 보다는 EU의 독자적인 군사력 향상을 위해 노력할 것이다. 또한, NATO의 군사구조가 유럽동맹국들의 입지를 더욱 넓히는 쪽으로 개편되도록 할 것이며, 영국의 브렉시트 이후 영국 보다는 독일과의 더욱 긴밀한 공조를 통해 유럽안보 질서를 주도해 나갈 것으로 분석된다.

      • KCI등재후보

        퐁주의 정치사상의 진화 : 공산주의자에서 드골주의자로

        이춘우 ( Yee Choonwoo ) 서울대학교 불어문화권연구소 2016 불어문화권연구 Vol.26 No.-

        Rapprocher Ponge et la politique semble d`autant plus etrange que le poete n`ecrit que sur les choses. Pourtant, il est difficile de dire que ses poemes sont totalement apolitiques. Apres avoir exam-ine toute sa vie jonchee d`activites politiques, on se rendra compte qu`ils sont au contraire tres politiques. A l`age de 18 ans, apres la revolution russe, Ponge reve de changer la societe qui lui semble ≪ hideuse de debauche ≫. En tant que syndicaliste militant des Messageries Hachette, il adhere au parti communiste en janvier 1937. En avril de cette meme annee, il prononce un grand discours plein des messages politiques au Moulin de la Galette devant mille personnes. Sous l`occupation allemande, il continue son activite communiste militante en tant que resistant. A partir de 1944, il s`occupe de la direction des pages litteraires de l`hebdomadaire communiste Action. Mais, decu par le sectarisme et par le stali-nisme des communistes parisiens, il quitte le parti communiste en 1946. Au lieu de la revolution communiste, il vise desormais a une revolution culturelle par le biais de la langue et la litterature francaises. C`est pourquoi il fait l`eloge du general de Gaulle qui lui semble les defendre ainsi que les ecrivains. L`evolution des pen-sees politiques de Ponge est etroitement liee a sa vision esthetique et ethique de la litterature pour changer la societe. Nous esperons que notre etude, au-dela de la verification de l`evolution des pensees politiques de Ponge, aide a saisir globalement ses oeuvres poetiqu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