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장래인구추계를 위한 출산력 가정치의 설정

        전광희(Kwang-Hee Jun) 한국인구학회 2006 한국인구학 Vol.29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장래인구추계를 위하여 논리적이고 상대적으로 정확한 연령별 출산율의 가정치를 설정하는 것이다. 먼저 코호트별 출산순위별 연령별 출산율의 추정과 추계를 위하여 Coale-McNeil 모형을 일반화한 로그감마분포모형을 선택한다. 다음은 보정형의 연령별 출산율 모형을 재생산을 완료하지 않은 상대적으로 젊은 출생코호트를 포함하는 실적치 자료에 맞추기 위하여, 출산력 파라메터를 추정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본 연구는 일련의 출생코호트의 출생순위별 연령별 출산율을 역출하여, 장래의 특정연도 대하여 연령별 출산율을 추계한다. 가령, 2010년의 20세의 연령별 출산율은 1990년에 태어난 출생코호트의 20세에서의 연령별 출산율이고, 2010년의 21세의 연령별 출산율은 1989년에 태어난 출생코호트의 21세에서의 연령별 출산율에 해당한다. 결국 2010년에 태어난 코호트까지의 연령별 출산율의 추계치를 얻게 되면, 2055년도까지의 기간별(연도별-령별 출산율에 대한 가정치를 설정할 수 있다. 본 연구의 출산력 가정치와 통계청의 2005년 장래인구 특별추계의 가정치 사이에 차이가 나는 것은 본 연구의 출산예측모형에서 혼인연령의 상승과 독신여성의 증가로 인한 출산력 저하의 최근 추세를 제대로 반영하였기 때문이라고 할 수 있으며, 이러한 점에서 본 연구의 출산력 가정치가 논리적이고 합리적이라고 주장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장래인구추계와 관련하여, 출산력 가정치 설정을 위한 출산예측모형의 본질적 과제는 어떻게 기간효과(를 슬기롭게 다루느냐 하는 것이다. 코호트모형을 근간으로 하여, 최근의 실적치를 바탕으로 약간의 기간적 수정을 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기간효과를 별도로 취급하기는 쉽지 않다. The major aim of this paper is to develop a hypothetical set of age-specific fertility rates which are logically derived and reasonably accurate in the projection of future population. The first procedure is to select a generalized log-gamma distribution model, which includes Coale-McNeil nuptiality model, in order to estimate and project a set of age-specific fertility rates by birth cohort and birth order. The second is to apply the log-gamma model with an empirical adjustment to the actual data to estimate and project the future fertility rates for relatively young birth cohorts who did not complete their reproductive career. This study reconstructs or translates a set of cohort age-specific fertility rates into a set of period age-specific fertility rates which must be hypothesized in order to establish the broader framework of future population projection. For example, the fertility at age 20 in the year of 2020 is the fertility at age 20 for the cohort born in 1990, while the fertility at age 21 in the year of 2020 is the fertility at 21 for the cohort born in 1989. In turn, once a set of age-specific fertility rates for the cohorts who were born up to the year of 2010, it is possible for one to establish an hypothetical set of period age-specific fertility rates which will be needed to project the future population until the year of 2055. The difference in the hypothetical system of age-specific fertility rates between this study and the 2005 special population projection comes from the fact that the fertility estimation/projection model used in this study was skillfully exploited to reflect better actual trend of fertility decline caused by rise in marriage age and increasing proportion of those who remain single until their end of reproduction. In this regard, this paper argues that the set of age-specific fertility rates derived from this study is more logical and reasonably accurate than the set of those used for the 2005 special projection. In the population projection, however, the fundamental issue of the hypothetical setting of age-specific fertility rates in relation to the fertility estimation/projection model is about how skillfully one can handle the period effects. It is not easy for one to completely cope with the problem of period effects except for the a minor period adjustment based on recent actual data, along with the given framework of a cohort-based fertility estimation/projection model.

      • KCI우수등재

        한국의 시도별 장래인구 예측

        김형기(Kim, Hyeong-Ki),문경종(Moon, Kyung-Jong)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2011 國土計劃 Vol.46 No.6

        This paper aims to project the future population of Greater-city and Regions for 2010-2070 in South Korea. The projections use four methods which are the time series of population growth, the fertility & mortality & migration factors, location factor, and the growth rate of GRDP.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population of S.Korea is projected to be 5,052 in 2010, 5,256 in 2020, 5,413 in 2030, 5,600 ten thousands in 2050, and the population of Capital Region will grow into 2,636 in 2020, 2,750 in 2030, 2,885 in 2050. Seoul will be 1042, 1049, 1059, Incheon will become 296, 314, 347 respectively, and Gyeonggido will be 1,298 in 2020, 1,387 in 2030, 1,479 in 2050, recording so high growth as 300 over 40 year. Second, the population of the Provincial Regions are projected to very slowly increase in spite of the growth of immigrants into S.Korea, so that Busan is found to be 340 in 2020, 330 in 2030, 324 ten thousands in 2050, and Gwangju will be 152, 157, 163 respectively. Third, total population over 60 year is projected to rise to 12.5 percent until both growing migration population and. population distribution rate in regions have convergent trend. The implications of policy have three viewpoint. First, it is needed that policy makers should prepare for the plan of taking in the increase of labor force population, housing demand, elderly population, immigrant population. Second, we also need to perform the efficient policy that decentralizes population in Capital Region and concentrates population in Regions, among which the former needs to control overpopulation and the latter demands the selected and centralized development for efficient land use. Third, the policy also needs to increase the fertility rate with controling the inflowing foreign population.

      • KCI등재

        우리나라의 고령화 현상과 베이비붐 세대의 인구추계

        황명진,정승환 한국인구학회 2011 한국인구학 Vol.34 No.2

        The generation of babyboomers has a significant impact on the socio-economic development of the society in general. The Korean Babyboomers will soon leave from their workforce as they reach the retirement age. This, coupled with the low fertility rate, may cause a serious social problem in the society at large as well as the social welfare issues among the Korean elderly population. The Central Statistical Systems have estimated the future projection which plays critical role to establish fundamental basis for the social and economic policies of the nation.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 of the babyboomers on the life expectancy by comparing forecasted life expectancies provided by the statistical office and the previous studies in the related areas. The study also suggested a future population projection based on fertility rates provided, along with the changes of the number of babyboomers as they become ageing. The study results with the comparison between the population projection by the statistical office are provided. 일반적으로 베이비붐 세대는 국가의 사회, 경제적 발전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고, 이는 우리나라도 마찬가지로 경제성장에 있어 베이비붐 세대의 역할을 제외할 수 없다는 것을 의미한다. 우리나라 베이비붐 세대의 은퇴시기가 가까운 미래에 도래할 것이고, 이는 심각한 사회문제인 저출산 문제와 맞물려서 이들에 대한 노후 복지문제 또한 중요한 문제로 부각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들을 대비하기 위한 많은 정책들을 개발하는데 있어 통계청에서 작성하는 장래인구추계와 평균수명 예측결과들은 가장 근본이 되는 자료일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통계청에서 제공하는 우리나라 사망관련 자료 및 인구 자료를 검토하고, 통계청과 선행 연구결과에서 제시한 예측평균수명을 비교하여 평균수명 증가에 미치는 베이비붐 세대의 영향력을 분석하였다. 그리고 최근 연구에서 전망한 사망률을 바탕으로 미래의 인구를 제시하였고, 이와 더불어 베이비붐 세대의 인구규모 변화를 전망하였다. 연구 결과로서 통계청의 예측결과와 본 연구결과의 비교가 제시되었다.

      • KCI등재

        장래인구추계를 위한 사망률 예측

        김태헌(Tai-Hun Kim) 한국인구학회 2006 한국인구학 Vol.29 No.2

        장래인구추계방법으로 코호트 요인법(cohort component method)을 적용하기 위해서는 장래출생, 사망, 이동을 정확하게 예측하여야 한다. 이 연구에서는 기존의 사망률예측방법을 검토하고, 다양한 모델 중에서 과거의 사망률 추세에 수학적 곡선을 적합시켜서 외삽 연장하는 대표적인 관계적 모형인 Lee-Carter법을 선택하여 우리나라의 성, 연령별 장래사망률을 추정하였다. 성, 연령별 생명표와 평균수명의 추세를 검토하고, 기존 자료와 비교한 결과 Lee-Carter 모형을 우리나라 사망력 예측에 적용하였을 경우 설명력이 매우 높았다. 실측자료와 Lee-Carter 모형을 이용한 추정자료를 비교한 결과 남녀 모든 연령층에서 전 비교기간(1971-2003) 동안 모두 차이가 크지 않았다. Lee-Carter 모형을 이용하여 추정한 장래 평균수명은 2051년에 남여 각각 82.73년과 89.41년으로 그 차이는 2005년의 7.06년에서 6.68년으로 감소하였다. 다만, 우리나라 영아사망률자료의 제약으로 일본의 2050년 추계자료를 우리의 2051년 목표치로 사용하였다. 앞으로 충분한 시계열자료가 확보되면 우리나라의 자료를 직접 이용하여 장래예측이 가능하게 될 것이다. 그리고 성, 연령별 사망원인을 극복한다는 가정을 도입할 수 있다면 장래 사망률 예측에 설명력을 더욱 높일 수 있을 것이다. 이것은 우리나라 사망원인 통계의 정확성과 사망원인별 생명표의 시계열 확보가 이루어질 때 가능할 것이다. In this paper, I have tested various kinds of methods for mortality projection and chose Lee-Carter method for projection of Korean mortality by age and sex. I reviewed the trends of life tables and life expectancies by age and sex from 2005 to 2050 projected by Lee-Carter method and found that the method was very applicable for Korean mortality projection. The differences between reported and estimated data for the period of 1971-2003 were small enough for both sexes and for all of the age groups. The projected life expectancies in 2051 were 82.73 years for males and 89.41 for females, and the differences decreased from 7.06 years in 2005 to 6.68 years. Because of the limitation of Korean infant mortality rate, I adopted the Japanese estimated IMR in 2050 as Korean object level in 2051. When the time series of IMR become long enough, we can use Korean IMR directly for the mortality projection. In addition, if we can estimate the changes of the main cause of death correctly in future, the mortality projection will be more correct and reliable. This will be available when we can produce a long series of life tables by cause of deaths.

      • KCI우수등재

        경상북도 인구소멸위험지역에 대한 고찰

        김종태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 2024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지 Vol.35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tudy areas at risk of population extinction in Gyeongsangbuk-do. Data on resident registration population, births, deaths, marriages, etc. from Statistics Korea KOSIS were used. The another purpose was to consider the degree of risk of cities and counties in areas at risk of population extinction in Gyeongsangbuk-do. Gyeongsangbuk-do is one of the regions with the most population loss in the country. Most of the local governments in Gyeongsangbuk-do, excluding Gumi City, are in areas at risk of population extinction. As of 2022, Gunwi.gun (0.08), Uiseong.gun (0.08), Bonghwa.gun, (0.08), Cheongsong.gun (0.09), Cheongdo.gun (0.09), Yeongyang.gun (0.10), Yeongdeok.gun (0.10), Seongju.gun (0.13), with a population extinction index of 0.15 or less. Goryeong.gun (0.13) and Sangju.gun (0.14) will reach the risk of population extinction among local governments in Gyeongsangbuk-do after 40 years 본 연구의 목적은 경상북도 인구 소멸위험 지역을 연구하는 데 목적이 있다. 통계청 KOSIS의 주민등록인구와 출생, 사망, 혼인 등의 인구동태를 데이터를 이용하였다. 그리고 경상북도의 인구소멸 위험지역에 대한 시군들의 위험의 정도를 고찰하는 데에 목적을 두었다. 경상북도는 전국에서 인구소멸이 가장 많은 지역에 속한다. 구미시를 제외한 경상북도 지방자치단체 대부분이 인구소멸 위험지역에 속한다. 2022년 기준으로 인구소멸지수가 0.15 이하인 군위군 (0.08), 의성군 (0.08), 봉화군, (0.08) 청송군 (0.09), 청도군 (0.09), 영양군 (0.10), 영덕군 (0.10), 성주군 (0.13), 고령군 (0.13), 상주군 (0.14) 등은 40년 후에는 경상북도의 자치단체 중 인구소멸위험에 도달할 것이다.

      • KCI등재

        우리나라의 고령화 현상과 베이비붐 세대의 인구추계

        황명진(Myung-Jin Hwang),정승환(Seung-Hwan Jung) 한국인구학회 2011 한국인구학 Vol.34 No.2

        일반적으로 베이비붐 세대는 국가의 사회, 경제적 발전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고, 이는 우리나라도 마찬가지로 경제성장에 있어 베이비붐 세대의 역할을 제외할 수 없다는 것을 의미한다. 우리나라 베이비붐 세대의 은퇴시기가 가까운 미래에 도래할 것이고, 이는 심각한 사회문제인 저출산 문제와 맞물려서 이들에 대한 노후 복지문제 또한 중요한 문제로 부각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들을 대비하기 위한 많은 정책들을 개발하는데 있어 통계청에서 작성하는 장래인구추계와 평균수명 예측결과들은 가장 근본이 되는 자료일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통계청에서 제공하는 우리나라 사망관련 자료 및 인구 자료를 검토하고, 통계청과 선행 연구결과에서 제시한 예측평균수명을 비교하여 평균수명 증가에 미치는 베이비붐 세대의 영향력을 분석하였다. 그리고 최근 연구에서 전망한 사망률을 바탕으로 미래의 인구를 제시하였고, 이와 더불어 베이비붐 세대의 인구규모 변화를 전망하였다. 연구 결과로서 통계청의 예측결과와 본 연구결과의 비교가 제시되었다. The generation of babyboomers has a significant impact on the socio-economic development of the society in general. The Korean Babyboomers will soon leave from their workforce as they reach the retirement age. This, coupled with the low fertility rate, may cause a serious social problem in the society at large as well as the social welfare issues among the Korean elderly population. The Central Statistical Systems have estimated the future projection which plays critical role to establish fundamental basis for the social and economic policies of the nation.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 of the babyboomers on the life expectancy by comparing forecasted life expectancies provided by the statistical office and the previous studies in the related areas. The study also suggested a future population projection based on fertility rates provided, along with the changes of the number of babyboomers as they become ageing. The study results with the comparison between the population projection by the statistical office are provided.

      • KCI우수등재

        도시기본계획상 계획인구 추정의 한계와 개선 방안에 관한 연구

        김영우(Kim Young-Woo),문영기(Moon Young-Ki)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2008 國土計劃 Vol.43 No.4

        The national land planning and use act (NLPUA), which became effective in 2003, states that every local authority should draw up its comprehensive plan to cover whole administrative area. This study examines the population projection in the comprehensive plans of 31 municipalities in Gyounggi-do(province), where various types of municipalities exist, from rural communities to large cities. Overestimation of population can cause overuse of land and excessive planning of infrastructures. It also brings about side effects such as unplanned developments and impracticable infrastructure plans, while underestimation puts local authorities into trouble about long-term plan-making. In this study, overestimation of population including migration, distribution of estimated population into an early stage, and lack of proper forecasting method for stagnant cities are noted as limitations around population forecast. In order to overcome these limitations, this study suggests some alternative approaches including introducing 'regional reserved population' concept, imposing financial disincentive for population overestimation, and strengthening central government's right to supervise and guide local governments. It is also proposed that diversification of methods to check projected population and consideration for long-term policy to revitalize lagging municipalities are needed in the examination of urban planning committees.

      • KCI등재

        강원 영동지역의 인구감소와 지속가능성

        정성호(Chung, Sung Ho) 강원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2020 사회과학연구 Vol.59 No.2

        본 연구는 강원 영동지역의 인구감소 추이를 검토하고, 이 지역의 지속가능성 여부를 전망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한 이론적 자원은 한계마을론과 지방소멸론에 기초하였으며, 자료는 2015년 기준 강원도 시군단위 장래인구추계를 활용하였다. 추계 결과 인구규모는 큰 변화가 없을 것으로 전망되었으나, 인구구조에서 고령인구 비율이 크게 증가할 것으로 전망되었다. 시 지역의 경우 2035년 고령인구 비중은 2015년에 비해 2배 이상 증가할 것으로 전망되며, 이미 2015년 고령사회에 진입한 군 지역은 모두 2035년 40% 이상의 고령인구 비중을 보일 것으로 예상된다. 시군별 지속가능성에 대한 검토에서 한계마을 기준을 적용하면 2035년 5개 시 지역은 모두 준한계지자체에 속할 것으로 전망되며, 군 지역은 한계지자체 기준에 근접할 것으로 예상된다. 소멸위험 지수를 검토한 결과 2035년 영동지역의 모든 시⋅군은 소멸위험 상태에 이를 것으로 전망된다. 소멸위험도 증가는 젊은 여성인구 비율이 지속적으로 낮아지는데 반해 고령인구 비율은 가파르게 높아지는 상황에서 비롯되었다고 볼 수 있다. 인구감소와 고령화는 단지 인구구조의 변화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영동지역 시⋅군의 지속가능성과 직결된다는 점에서 이를 해결하기 위한 특단의 대책이 요구되는 시점이다. This paper is designed to review the trend of population decrease in Yeongdong area, Gangwon Province, and to predict the sustainability of the area. Theoretical resources for this purpose were based on marginal village theory and local extinction theory, and the data utilized the future population projection of the city and county units in Gangwon Province as of 2015. The projection showed that the population size would not change much, but the proportion of the elderly population would increase significantly. The portion of the elderly population in the city area is expected to more than double in 2035 compared to 2015, while the proportion of elderly population in county that already entered the aged society in 2015 is expected to be more than 40 percent in 2035. If marginal village standards are applied in the review of sustainability by city and county, all five cities are expected to belong to the quasi-limit zone and all counties are expected to be close to the marginal village in 2035. A review of the risk of extinction indicates that all cities and counties in the Yeongdong area will be at risk of extinction in 2035. The increase in risk of extinction can be attributed to a situation in which the proportion of young female population continues to drop, while the proportion of elderly population increases steeply. This study argues that special measures are needed to address the decline in population and aging population, as it is not just a change in the population structure, but is directly related to the sustainability of the city and county in Yeongdong area.

      • KCI등재

        고령화에 따른 가구 특성 변화를 고려한 부가가치세 장기 전망

        전승훈 한국재정학회 2024 재정학연구 Vol.17 No.2

        To analyze the impact of changes in household types due to population aging on VAT revenues, I estimated the effective VAT rate for each household type classified by age of the household head, number of household members, and whether or not there are unmarried children, and projected VAT revenues and VAT's share of GDP for each year of the 2019-2050 period. As a result, the effective VAT rate is expected to continue to decrease, but if private consumption expenditure increases at the same rate as GDP growth, VAT revenue will continue to increase. In addition, VAT as a share of GDP is expected to decrease slightly from 4.33% in 2019 to 4.29% in 2050. However, if the growth rate of private consumption expenditure is 0.6 percentage points lower than the growth rate of GDP, taking into account the trend of the past decade, VAT revenue will increase, but the share of VAT to GDP will decrease to 3.66% in 2050. This implies that the role of VAT needs to be strengthened and additional tax revenue needs to be secured in light of the declining share of VAT in GDP. 고령화에 따른 가구 특성의 변화가 부가가치세 세수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위해 가구주연령, 가구원수, 미혼자녀 유무 등에 따라 구분한 가구 특성별로 부가가치세 실효세율을 추정한 결과와 고령화에 따른 가계소비지출 변화 및 가구 특성 변화를 고려하여2019~2050년 기간의 연도별 부가가치세 실효세율을 구한 후 이를 이용하여 연도별 부가가치세 세수와 부가가치세의 GDP대비 비중을 전망하였다. 분석결과 고령화가 진행됨에 따라부가가치세 실효세율은 지속적으로 낮아질 것으로 전망되었지만 민간소비지출이 GDP증가율수준만큼 증가할 경우 부가가치세의 GDP대비 비중은 2023년 4.35%에서 2050년 4.29%로소폭 낮아지는데 그칠 것으로 전망되었다. 그러나 지난 10년간의 추이를 고려하여 민간소비지출 증가율이 GDP증가율보다 0.6%p 낮다는 가정하에서는 부가가치세수는 증가하지만 부가가치세의 GDP대비 비중은 2050년 기준 3.66%까지 낮아질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는 부가가치세의 GDP대비 비중 감소를 염두에 둔 부가가치세의 역할 강화 방안 및 추가 세수확보방안에 대한 검토가 이루어질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