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일본에서의 표현의 자유와 저작권의 관계에 관한 이론적 고찰

        길용원 언론중재위원회 2018 미디어와 인격권 Vol.4 No.2

        누구나 간단히 디지털의 복사나 데이터의 편집, 인터넷상에서의 정보를 공유할 수 있게 된 오늘날에는 타인의 저작물을 이용하는 것이 다반사가 되는 것과 동시에 그 이용태세가 다양화되고 있다. 즉, 고도의 설비를 가지지 않는 아마추어의 경우에도 저렴한 비용으로 간단하게 저작물을 창작, 반포할 수 있게 되었기 때문에 새로운 네트워크 관련 비즈니스가 등장하고 종전에 생각하지 못했던 콘텐츠 이용형태가 나타나고 있다. 따라서 통신기술ㆍ정보기술이 발달한 현대에 있어 일상적인 표현행위 또는 발신행위가 타인의 저작권을 침해하는 일이 없는지 판단이 요청되고, 이로 인해 저작권법이 표현의 자유에 대해 어떤 위축효과를 줄 수 있는 존재라면 헌법상의 문제를 초래할 수 있을 것이다. 저작권은 때로는 타자의 창작 활동(표현 활동)을 제약하는 일이 있으며, 과연 그러한 것이 허용되는 것인지 또한 어느 정도의 제약이 존재한다면 그 수준은 적절한 것인가를 파악하기 위하여 저작권과 표현의 자유와의 관계를 고찰할 필요가 있다. 저작권의 보장의 정도를 어느 정도까지 인정할 것인지 여부에 따라 표현의 자유의 보장 범위가 영향을 받게 될 것이다. 일면 저작권은 표현 활동에 직접적으로 관계되는 권리임에도 불구하고, 우리나라 저작권법에 상당한 영향을 준 일본에서조차 일본 헌법 제21조가 규정하는 표현의 자유와의 관계성이 본격적으로 논의된 것이 근래의 일이라 할 것이다. 이러한 양상은 우리나라와 크게 다르지 않다. 저작권은 표현의 자유에 친화적인 목적을 내세우면서도 그것을 달성하는 수단은 표현의 자유에 정면으로 반하는 일종의 모순된 관계성을 가지는데 이를 저작권의 패러독스(copyright's paradox)라고 한다. 즉 창작자에 대한 저작권의 인정은 저작물 이용자에 대한 저작물을 통한 표현행위를 할 자유를 제한할 수 있으므로 창작자의 저작권보호와 저작물 이용자의 표현의 자유에 대한 보장 사이에서의 균형점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현재 일본에서 논의되고 있는 상황을 보면, 창작 활동의 촉진이라고 하는 저작권법의 목적이 표현의 자유와 목표로 하는 방향성이 동일한 것에 착안해, 저작권법을 “표현의 자유의 엔진”으로 파악하는 미국 대법원의 입장을 둘러싸고 논의가 양분되고 있다. 즉, 한편에서는 그러한 입장을 비판하고, 어디까지나 개인의 표현 행위의 자유와 그것을 규제하는 입법인 저작권법은 서로 대립관계에 있는 것이라고 주장되고 있으나 다른 한편에서는 미국 대법원의 견해에 귀 기울여 이것을 긍정적으로 받아들이는 생각도 있는 것이다. 과연 저작권법이 표현의 자유의 엔진인지, 만약 그렇다고 하더라도 그것을 이유로 2개의 헌법상 권리의 대립이 완화될 수 있는 것인지에 대한 판단을 위해 저작권과 표현의 자유 관계 구조를 명확히 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선행연구로서 비교법적으로 미국에 관한 논의는 일부 있으나 우리나라 저작권법의 모태라 할 수 있는 일본의 저작권법과 표현의 자유에 관한 논의는 거의 없는 바, 일본에서의 논의를 통해 표현의 자유에 대한 중요성을 다시 한 번 자각하고 디지털 시대에 부합하는 저작권의 활용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The rapid development of digital technology has significantly changed the environment surrounding copyrights, which have traditionally been the primary means of communication between analog media such as books, records, and canvas. However, in recent years, audio and word files have been widely distributed through these digital devices and across the Internet. Today, anyone can easily make a digital copy, edit data, and share information. It has become a daily occurrence to use the work of another person in a multitude of ways. At the same time, even amateurs who do not have sophisticated facilities can easily create and distribute their works at low cost, which authors and copyright holders of famous works are diversifying. At present, with the developments of communication and information technology, it becomes questionable whether an individual can carry out the most reasonable acts of expression and transmission without violating the copyright of others. When people express or issue things, it becomes a matter of concern to the Constitution if the possibility of copyright infringement goes too far in the individual’s mind that they avoid the act of expression itself or they decide to deliver it in a different form altogether. If copyright law could have atrophic effects on freedom of expression, will constitutional problems arise? Although copyright is a right directly related to expressive activities, it is only recently that its relationship with the freedom of expression, as stipulated by Article 21 of the Constitution of Japan, has been seriously discussed in the region. In recent years, research on this issue from the perspective of both copyright law and constitutional law has been actively increasing in Japan. Given the present theoretical circumstances, it is noted that the object of copyright law, the promotion of creative activities, can be found in the same direction where freedom of expression is sought. Discussions are divided over the position of the U.S. Supreme Court, which considers copyright law as an engine of the freedom of expression, and on the other hand, it has been argued that there is a conflict between the freedom of individual expression and copyright law. However, some people are inclined to take the view of the U.S. court and insist on accepting it positively. Can copyright law be the engine of the freedom of expression? Even if it were the engine of the freedom of expression, could the conflict between the two rights be eased by this connection? To answer these questions, first, the structure of the relationship between copyright and freedom of expression must be defined, taking into account the nature of copyright and the problems that arise during the legislative process. In considering the constitutional review of copyright laws, the researchers first look at the constitutional position of copyright. The Japanese Constitution does not include words such as “copyright” or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and the definition of copyright concerning the Constitution is not always clear. As mentioned above, the Constitution of the United States has provisions on patents and copyrights. However, this sits in contrast to the fact that even though the Constitution guarantees patent rights and copyrights, Congress has the power to enact laws on them. Does that mean copyright is not constitutional? In Japan, the relationship between copyright and freedom of expression has been frequently discussed in recent years, and there are limited references regarding the legal position of copyright. The concept of “expression” in freedom of expression is thought to have expanded in the hopes that it protects the possibility of new dialogue obtained from the daily development of technologies. However, that does not mean that the scope of freedom has been extended without delay, but it is important to note, at least here, that new technologies have given rise to some depth in the qualitativ...

      • 표현의 자유의 법리구성과 인권

        이우영 ( Woo Young Rhee ) 아세아여성법학연구소 2006 아세아여성법학 Vol.9 No.-

        This article analyzes the function of the balancing test as a mechanism as adopted by the Constitutional Court in its review over the constitutionality of the legislation that regulates the freedom of expression, in an effort to contribute to the construction of a more consistent theory of freedom of expression law. Based upon the recognition of the values of free expression from the perspectives of pluralism, democratic process and equality, this article analyzes the function of the constitutionality review as currently conducted by the Constitutional Court from the above perspectives and then discusses some of the costs that may accompany the balancing test in terms of the constitutional guarantee of freedom of expression. This article then offers some suggestions with respect to the use of the balancing test in the constitutional guarantee of the freedom of expression for a more consistent freedom of expression law. The right to freedom of expression is justified first of all as the right of an individual purely in his or her capacity as an individual. It derives from the widely accepted premise that every person, in the development of his or her own personality, has the right to form and express his or her own beliefs and opinions. Hence, suppression of belief, opinion and expression thereof is a negation of essential human nature. Also, the right to freedom of expression derives from basic notion of the role of the individual in his or her capacity as a member of society. Humans are social animals, and are subject to the necessary controls of society and particularly of the state. The right of a person to express his or her beliefs and opinions in this role follows from two fundamental principles. One is that society and the state are not ends in themselves, and they exist to serve the individual; the second is the principle of equality, formulated as the proposition that every individual is entitled to equal opportunity to share in common decisions which affect him or her. A crucial implication is that it is not a general measure of the individual`s right to freedom of expression that any particular exercise of the right may be thought to promote or hinder other goals of the society. Further, the argument from democratic theory for a free speech principle rests on the assumption of popular sovereignty. Freedom of expression allows informed discussions and decisionmaking to happen. The constitutionality review as conducted by the Constitutional Court functions as a mechanism under which the Constitutional Court may overrule a law that was enacted by the democratically elected National Assmbly as unconstitutional, in a way that can normally be done only by the complex legislative process. In a representative democracy, value determinations are to be made by the elected representatives, and the structure of the Constitution indicates that the selection and enforcement of certain subjective values as the orthodox values in our society should not be dong at least by the Constitutional Court. Thus, the constitutionality review by the Constitutional Court over the laws should be understood as a mechanism to protect the rights of individuals and minority groups against the actions of the majority. In the area of freedom of expression, the Constitutional Court has predominantly adopted the balancing test in its constitutionality review. Balancing has certain advantages as a mechanism in constructing a protective freedom of expression law. However, balancing of conflicting interests should be conducted with ample caution for the following grounds, which are not exhaustive. First, although the determination of whether certain expression is prohibitable should be fact-intensive from the balancing point of view, such determination depends upon diverse measurements of harms and benefits which might sometimes be hardly distinguishable from the subjective value judgment on the part of the Constitutional Court. Next, censoring minority political criticism might be relatively easily justified under a balancing test in circumstances of substantial political turbulence. The only way for a balancer to avoid this conclusion is by assigning infinite or near infinite positive value to political dissent or criticism, in which case no actual balancing would be engaged. Furthermore, balancing might make every application of every anti-discrimination statute into a serious problem with the freedom of expression. Anti-discrimination laws directly prevent people from engaging in an effective means of communicating messages of group inferiority and superiority. This disparate speech impact can be resolved in balancing as more compelling or stronger public interests may justify the burdens on the free expression. However, balancing faces as-applied challenges and may have to recognize a constitutional right to discriminate when parties can show that discrimination laws have a particularly severe effect on their speech interests and that an exception could be permitted without undue cost. These problems may be solved by looking more directly at the legislative purpose by applying the normal process of judicial statutory interpretation.

      • KCI등재

        미국 수정헌법 제1조 표현의 자유의 적용범위에 관한 고찰- State Action이론과 공적 포럼이론에 관한 2019년 Halleck 판결을 중심으로 -

        이노홍 한국비교공법학회 2019 공법학연구 Vol.20 No.3

        오늘날 대부분의 국가에서 헌법상 표현의 자유 보호는 그 명문규정은 다르지만 권리의 우월적 지위 인정, 규제에 대한 엄격한 위헌심사기준 적용이라는 측면에서 해석상 큰 차이를 두기 어렵다. 표현의 자유보장에 있어 선구자적 역할을 해왔던 미국의 경우, 수정헌법 제1조에 언론․출판의 자유를 제한하는 입법의 제정을 명문으로 금지하고 연방대법원은 국가의 표현의 자유 규제로부터 시민을 보호할 다양한 표현의 자유 규제관련 심사기준을 전개해왔다. 특히 공적 포럼이론은 시민들이 표현의 자유 행사를 위해 국가의 재산을 사용할 권리를 인정한 것으로 연방대법원은 국가소유 재산의 유형을 분류하여 전통적으로 토론과 집회의 장소로 제공되어온 거리, 공원 등과 정부가 표현활동을 위해 일반에게 개방한 국가재산에서 표현의 내용규제를 하는 경우 엄격한 심사를 적용하여 재량에 의한 규제를 배제하였고 내용중립적 규제에 있어서도 중간심사기준을 적용하는 등 시민의 표현의 자유 보호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해왔다. 그렇지만 점차 사유 재산이 공공에게 개방되거나 공적 기능을 하는 경우가 늘어났고 오늘날 사이버 공간상에서의 언론이 표현의 중심이 되면서 이제 표현의 자유 침해는 국가가 아닌 사유 재산이나 사적 공간에서 사적 주체에 의한 발생하고 있다는 문제가 제기되고 있다. 그리고 이 같은 논의의 핵심에는 미연방헌법상 자유와 권리의 적용범위에 관한 state action이론과 이를 전제로 한 전통적 공적 포럼이론의 확대 적용 주장이 있다. 최근 케이블TV 시청자참여채널 운영회사에 대한 헌법상 표현의 자유 적용이 문제된 Halleck 판결에서 연방대법원은 5대 4의 결정으로 수정헌법 제1조 표현의 자유는 ‘국가에 의한 언론의 침해를 금지하는 것이고 사인에 의한 언론 침해를 금지하는 것이 아니다.’라는 원칙을 재확인하면서 사적 주체나 사적 공론장에 대한 헌법상 표현의 자유 적용확대 주장을 배척하였다. 그러나 Halleck 판결에서 4인의 반대의견의 근거처럼 state action 심사기준의 유연한 적용과 공적 포럼이론의 확대를 통해 넓은 의미의 공적 기능을 하거나 국가와 관련성이 큰 사적 주체가 제공한 공적 토론장에 대해 헌법상 표현의 자유를 적용하는 것도 오늘날 충분한 타당성을 가진다. 현재 우리는 사인에 대한 표현의 자유 적용문제에 대해 기본권의 대사인적 효력이론에 따른 간접효력설을 취하고 있으나 이는 양당사자의 비교형량으로 귀결되어 그 심사의 기준 및 적용 범위에 대한 예측이 쉽지 않다. 따라서 이 경우 미국의 state action 심사기준 및 공적 포럼이론 등을 활용한다면 사유 재산 내 공적 포럼의 장에서 표현의 자유를 보호함과 동시에 사적 주체가 자신의 재산과 공간에 대한 자유의 범위를 예측하는데 있어서도 도움이 되리라 생각한다. Freedom of expression is recognized the superior status of fundamental rights and its regulatory legislation is applied very strict standards in the judicial review though the differences of nations’ Constitutional Laws. In the United States, which has the strongest protection for freedom of expression, the First Amendment prohibits Congress abridging freedom of speech and press. Supreme Court, of course does not interpret these provisions as an absolute ban on freedom of expression, but for regulating freedom of expression, it uses strict scrutiny to protect freedom of expression of the people. Also, the most important thing in protection for freedom of expression is the place where freedom of expression can be exercised, and the Supreme Court has developed public forum theory on the assumption that property of the state can be used for expression of citizens. However, It is increased that private property has been open to the public, especially the cyber space through the Internet communication network is became the public square of expression. It is no exaggeration to say that the core of protection of freedom of expression in the US Constitution is applicability of Freedom of Expression in the First Amendment to private entities and private spaces. Therefore,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scope of application of freedom of expression in the First Amendment in U.S. Constitution. In this article, the state action theory under the US Constitution, is reviewed and the development of the public forum theory as places to realize freedom of expression is examined. And the analysis of recent state action case, Halleck case, is helpful to understand the trend of the on applicability of freedom of expression to the privates in the Supreme Court and criticisms.

      • KCI우수등재

        헌법체계상 인격권과 표현의 자유의 규범적 위상 및 상호관계 ― 상업광고의 기본권 보호범위에 관한 보론 ―

        박찬권 한국공법학회 2019 공법연구 Vol.48 No.1

        상업광고와 관련하여 헌법재판소의 이전 결정들은 표현의 자유로 보장되나 사전검열금지원칙을 적용하지 않는 완화된 입장에 있었다. 반면, 최근에 이르러 헌법재판소는 상업광고는 표현의 자유에 속하며, 표현의 자유의 보호대상이면 예외 없이 사전검열금지원칙을 적용하는 엄격한 입장으로 가고 있다. 그 이유로 사전검열금지를 원칙과 예외로 구분할 객관적 기준이 없음을 든다. 그러나 실질적으로는 행위의 양태가 표현행위의 속성만 지니면 헌법 제21조에 모두 포섭하는 것이기에 헌법체계적 관점에서의 파악이 결여된 상태에서 결정을 하고 있다. 헌법과 하위규범은 단계적 구조를 가지며, 각 단계마다 존재와 당위의 상응이 해석학적 순환을 통해 이루어진다. 법단계의 구조 하에서는 헌법 또한 상위의 규범에 근거해야 하는데, 이렇게 법체계를 전체적으로 구속하는 당위적 근거를 근본규범이라 한다. 근본규범은 법해석의 인식작용을 지배하는 사유규범이므로 그 자체로부터 구체적 내용은 제공되지 않으나 모든 법규범을 구속하는 논리적 형식을 제공함으로써 법질서가 규범적 관계들의 통일체로 구성되게 한다. 근본규범으로 생각해 볼 수 있는 것이 인간에 대해 자율성을 가진 목적적 존재로 보는 칸트의 정언명령이다. 이러한 정언명령은 우리 헌법 제10조 인간의 존엄성에서도 확인된다. 여기서 인간의 존엄성이란 자기결정권, 즉 자율성을 보장하는 것으로 경험세계를 넘은 초월적 자유의 존재라는 관념적 형식에 그 본질이 있다. 헌법 제10조를 매개로 경험세계의 특정한 영역에만 적용되는 개별기본권의 사실판단은 헌법적 가치를 가진 규범판단으로 전환된다. 근본규범인 헌법 제10조로부터 일반적 행동의 자유도 도출되는데, 이 기본권은 개인이 스스로 자신의 행위를 선택할 자유만을 규정함으로써 기본권 보호범위의 영역을 극단적으로 넓게 확보한다. 이와 비교할 수 있는 것이 인격권이다. 이 기본권은 인간으로서 존중을 받을만한 자격이라는 관념적 인격성이 현실에서 발현됨을 내용으로 한다. 인격성은 자신의 행위규범에 스스로 복종하는 자율성에 근거하며 이로 인해 인간의 존엄성이 인정된다. 이러한 인격권을 매개로 법적 자유가 헌법상 기본권으로 고양되는 구조는 표현의 자유에 있어서도 마찬가지이다. 표현의 자유는 의사소통을 위한 기본권으로 다양한 의견교환을 통해 정치적 의사결정이 이루어지는 자유민주주의체제의 본질적 요소로 기능한다. 또한 표현의 자유에는 화자의 표현 및 전파와 함께 청자의 알권리도 포함하는 것으로 공적 여론 형성에 본래의 취지가 있다. 따라서 공적 자율성을 향한 확장적 맥락 하에서 표현의 자유가 보장되어야 한다. 반면, 강제로 표현당하지 않을 자유, 즉 소극적 표현의 자유는 사적 자율성의 실현에 한정된 기본권이기에 표현의 자유가 적용되지 않고 해당 표현행위가 이루어지는 경험세계와 직접적 관계에 있는 다른 개별기본권, 예를 들어 양심과 종교의 자유, 학문의 자유, 영업의 자유 등에 의해 보장되어야 한다. 또한 헌법상 표현의 자유에만 특별히 규정된 타인의 명예권과의 기본권충돌 금지는 표현의 자유가 여론을 형성하는 사회 구성원 사이의 동등한 인격발현을 보장함으로써 실현되는 공적 자율성을 조건으로 함을 보여준다. 이를 토대로 상업광고의 기본권 보호범위를 판단하면 이는 영리적 이익만을 목적으로 ... The commercial advertisement is guaranteed as freedom of expression without doctrine of prior restraint in the previous precedent of Constitutional Court. In the recent precedent, on the other hand, Constitutional Court takes a strict stance on the commercial advertisement. Doctrine of prior restraint is applied to the object of freedom of expression without exception. But it is lacking in the systematic view of the constitution to apply the article 21 of the constitution to all the behavior with property of expression in practice. The constitutional law and the lower standards consist of as a phase structure. For each stage, The correspondence between To be and Ought to be by a hermeneutic circulation. The constitutional law is grounded on a higher standards in the phase law. The legal system is generally bound to ‘Grundnorm’. ‘Grundnorm’ is a thinking standard over the interpretation of the law. The material content is not deduced from ‘Grundnorm’ which provides logical form binds law and norms. Law and order achieve a unity of the normative relations. Kant’s kategorischer imperativ can be considered as ‘Grundnorm’. The kategorischer imperativ is identified in article 10 of the constitution which is fixed by dignity of man. In essence, dignity of man is the self-determination, in other words, the guarantee of autonomy that is a abstact and transcendental form. The factual judgement of the experience is converted to the normative judgement of the worth by a medium of article 10 of the constitution. Freedom of general action is deduced from article 10 of the constitution, ‘Grundnorm’. It extends a scope of fundamental right too extreme by meaning only freedom to choose one's behavior. Personal right is compared with it. The contents of a personal right is that the abstract personality is the qualification for dignity of man and manifests itself in experience. Dignity of man is recognized because the personality is grounded in autonomy that submits oneself to the behavioral norms. In Freedom of expression, a legal freedom is also promoted to a fundamental right by a medium of personal right. Freedom of expression is a fundamental right of a communication. It works as the essential elements of liberal democracy in which the political decision is made through the diversity of opinion. It is comprehensive of the expression of the speaker and the right to know of the listener and has the original purpose to form a public opinion. Freedom of expression is guaranteed as a expansive context of public autonomy. On the other hand, Freedom not to be forced into speaking, so-called negative freedom of expression, limits to private autonomy. Freedom of expression is not applied is not applied in this case. Individual fundamental right, which has have direct relation to the experience, is guaranteed instead. For example, freedom of conscience and religion, expression behaviour, academic freedom, freedom of business. The collision with right of reputation as fundamental right is prescribed only in freedom of expression. It means that freedom of expression is subject to public autonomy which guarantees the equal opportunity for the manifestation of social member’s personality. Judging the scope of fundamental right of the commercial advertisement from this, it makes the commercial interests its object. There is no purpose to form public opinion and freedom of expression is not applied to the commercial advertisement. Article 15 of the constitution, freedom of doing business which regulates domains of experience life, is applied to the commercial advertisement because it is in relation with the business activities. In comparison, the public advertising of the corporation is guaranteed as a freedom of expression. It is the business activities and the democratic expression which contributes to form public opinion. In this case, article 15 of constitution that is applied to the expression behaviour overall is charact...

      • KCI등재

        아동 인권 측면에서 교복 제도에 대한 비판적 검토

        장민영(Jang Min Young) 원광대학교 법학연구소 2015 圓光法學 Vol.31 No.4

        최근 미국에서는 학생들의 표현의 자유 측면에서 교복 제도를 비판하는 경향이 등장하고 있다. 1990년대 학교 폭력이 주요 사회 문제로 꼽힌 이래, 캘리포니아 주를비롯한 다수의 주들이 입법을 통해 공립학교에서 교복 제도를 실시할 수 있도록 하였다. 교복 제도들은 입법 이전부터 논란이 되었고, 실시 이후엔 연방법원을 통해 교복제도의 위헌성이 다투어졌다. 연방 항소법원들은 공통적으로 학생들의 착의가 표현,특히 상징적 표현에 해당될 수 있다는 판시하였다. 그러나 교복 제도에 대하여O'Brien 심사기준을 적용, 그 결과 연방 항소법원들은 교복 제도가 학생들의 표현의자유 침해가 아니라고 결정하였다. 교복 제도에 관한 미국의 법적 논의는 우리 교복 제도에 시사하는 바가 크다 할것이다. 한국에서는 교복 제도에 대한 법적 논의는 거의 없는 상황인데다가 특히 이를아동의 표현의 자유 측면에서 접근한 것은 더 더구나 드물지만 우리의 경우도 청소년들의 착의 내지 교복을 표현의 자유 연관에서 살펴볼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교복 제도가 학생들의 표현의 자유를 침해하는지 여부를 판단함에 있어서는 미국 법원이 발전시켜 온 O'Brien 심사기준을 그대로 적용하는 대신, 우리 헌법재판소가 상징적 표현에 관련된 사건에서 적용하여 온 과잉금지원칙을 적용하는 것이 타당하다 할 것이다. 과잉금지원칙을 적용하여 볼 때, 학습능력 향상, 학생 지도 용이, 학생감 위화감예방, 경제적 부담 경감 등 제도의 목적에 대하여는 정당성을 인정할 수 있을 것이다.그러나 국내외 사회과학적 자료들을 분석해 볼 때 교복 제도가 상기 목적들의 달성에적합한 수단이라고 볼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우리의 교복 제도 운용 방식이 학생들의자유 제한을 최소한으로 하는 것으로 보기 어렵다. 또한 교복 제도로 인한 학생들의표현의 자유 침해가 공익에 비해 적다고 판단하기 곤란하다. 따라서 우리의 교복 제도는 헌법이 보장하는 해당 학생들의 표현의 자유를 과도하게 침해하는, 위헌적인 것이라 결론지을 수 있을 것이다. The new criticism on school uniform systems is being drawn from children's freedom of expression. School uniforms have been controversial on grounds of some kinds of children's rights and freedoms: children's right to privacy, right to equality, right to be heard, freedom to pursue their own personality or general right to freedom of action. Recent powerful discussion on school uniforms in the U.S. are mainly related to students' freedom of expression. Since school violence was considered as a serious social issue in 1990s, states, including the State of California, have introduced school uniform systems. The systems have been disputed even before their adoption and consequently discussed at federal courts. Circuit courts have a common viewpoint in which students' choice of dress, even without a specific letter or painting, is a kind of expression due to children's special characteristics. The courts applied O'Brien test into school uniform cases unlike other cases regarding children's freedom of expression, such as Tinker, Bethel or Hazelwood. According to O'Brien test, however, the courts held that school uniform systems do not infringe students' freedom of expression. U.S. cases regarding school uniform systems give some suggestions on the Korean system regarding school uniforms. There are not much discussion in which the school uniform system is reviewed from children's freedom of expression. A few legal materials connect school uniforms with students' freedom of expression. In consideration of youths' characteristics, their clothing should be regarded as a medium of expression in Korea, either. Besides, the aspect of clothes as expression should be recognized in that Korean secondary schools force their students to wear their own uniforms which can clearly and compulsorily proclaim their schools and some schools require their students to stick name tags on uniforms. However, it is not reasonable that O'Brien test is applied into Korean school uniform cases because the Constitutional Court of Korea uses the principle of proportionality for cases regarding expressive conduct and same tests for constitutional cases regardless of ages of persons concerned. In case that the principle of proportionality is applied into a school uniform issue, the Korean school uniform system would be considered as a violation of children's freedom of expression. Although the aims of school uniforms such as academic achievement, school security or reduce of economic burden would be legitimate, school uniform systems would not be appropriate for these goals because the interrelation of between the goals and the systems are not certain. In addition, the school uniform system would not be the method to minimize limitation on children's freedom of expression on the basis of Korean practices of school uniforms: different uniforms according to schools and fixed name tags on uniforms. In conclusion, the Korean school uniform system infringes students' freedom of expression and, thus, is not constitutional.

      • KCI등재후보

        디지털 시대 헌법상 표현의 자유 개념

        성낙인 언론중재위원회 2018 미디어와 인격권 Vol.4 No.2

        In the Republic of Korea, freedom of expression has commonly been thought to include the freedom of speech and the press, and the freedom of assembly and association. However, in the digital age, several questions need to be addressed to carve out the new meaning of freedom of expression. First and foremost, there needs to be a clear distinction between freedom of expression and the other fundamental rights articulated in the constitution to determine the scope of its protection. Second, the concept of freedom of expression is dependent upon how “expression” is defined; along with that, the question of whether to classify the right to information is thus raised. Third, as the freedom of expression is more often than not realized through mass media, the freedom of that media is a crucial matter; yet the desirability of regulating it at the constitutional level is questionable. Fourth, in today’s digital era, the Internet has fundamentally changed the characteristics of traditional news media outlets. Newspapers are no longer the dominant source of information, but rather, television and the Internet have become rich sources of data due to its expression not being confined to the borders of a nation-state. The freedom of expression then has transformed into a transcendent fundamental right enjoyed by all people. In this paper, the researcher focuses explicitly on the freedom of speech and the press. While freedom of speech and the press is individualistic by nature, the freedom of assembly and association manifests collectively, and this idea will need to be dealt with separately. The researcher will examine the constitutional and legislative history of Korea and determine how the freedom of expression has changed over time by comparing similar regulations mandated by other states. With the advent of online media outlets, the types of expressions have diversified, and traditional regulations are unfit to deal with these changes. In formulating a new legal system regarding the freedom of expression, such changes should be reflected, while also taking into consideration the social responsibility of mass media and the ethics of Internet use. 과학기술의 진보에 따라 전통적인 인쇄매체 즉 출판을 중심으로 하는 표현은 방송의 시대를넘어서 인터넷 통신의 디지털 시대를 맞이한다. 그에 따라 표현의 자유가 의미하는 표현 그 자체의 방식 또한 매우 다양하게 전개된다. 뿐만 아니라 인터넷의 특성상 시간과 공간을 초월하기 때문에 전통적인 개별 국가 중심의 법제는 한계에 봉착한다. 사실상 인터넷의 바다에 대한 규제나 통제가 불가능한 상황에서 표현의 남용 또한 심각한 상황에 이른다. 이에 디지털 시대에 접어든 표현 및 표현의 자유에 대한 근본적인 성찰이 필요하다. 알 권리, 정보접근권, 자기정보통제권, 정보문화향유권, 사생활의 비밀과 자유, 통신의 자유 등 새로운 정보기본권에 대한 논의는 전통적인 표현의 자유의 외연 확대와 더불어 종합적이고 체계적인 정보기본권의 정립을 요망한다. 현대적인 정보기본권 중에서 표현의 자유와 직접적으로 연계되는 알 권리(정보의 자유)를 비롯한 일련의 기본권과 전통적인 표현의 자유를 조화롭게 규율하는 체계를 정립하여야 한다. 이제 디지털은 생산ㆍ축적ㆍ처리ㆍ저장ㆍ유통의 모든 면에서 기존의 비전자적 형태를 뛰어넘는다. 그 정보의 오ㆍ남용은 정보재앙을 초래할 수도 있다. 디지털 시대의 표현의 자유를 중심으로 하는 정보기본권과 관련된 일련의 체계는 현재 시행되고 있는 주요 국가의 헌법을 참고할 필요가 있다. 디지털 시대의 이상과 현실을 조화하는 차원에서 국회의 헌법개정과 관련된 연구와 자문기구에서 제시한 2008년 및 2014년 안과 2018년 초에 문재인 정부에서 대통령 명의로 공식 발의한 헌법개정안을 조정하는 수준에서 표현의 자유와 정보의 자유 내지 정보기본권을 설정하는 게 바람직하다.

      • KCI등재후보

        인권으로서의 표현의 자유에 관한 연구 -국가인권위원회의 진정사례, 의견 표명문을 중심으로

        이정기 한국정치커뮤니케이션학회 2009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 Vol.14 No.-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define freedom of expression as a human right by reviewing the petition cases and opinion statements on freedom of expression by the National Human Rights Commission of Korea. Subsequently it was also to provide a fundamental reasoning for solutions to freedom of expression for minorities based on human rights which have not been studied properly within Journalism and Communication studies. More specifically, types of cases intervened by the National Human Rights Commission of Korea regarding freedom of expression were analyzed, perceptions of the National Human Rights Commission of Korea on freedom of expression were defined, and lastly differences were identified between the perception of freedom of expression by the Commission and that of the judicial courts in Korea. Based on the result of the study, it was verified that the Commission was actively engaged in expressive activities of social minorities in general, and it persistently generated alternative discourses which differed from the conservative administration and traditional Korean value system, to protect rights and freedom of expression of minorities. The Commission shared similar perceptions with the courts on the cases which were not politically volatile such as freedom of expression for adolescents or prisoners. However, the Commission expressed a different opinion and perception from the courts on the issues that were politically controversial or had potentials to become political issues, such as the National Security Law, conscientious objectors to military service, and expression of homosexuals. Consequently the Commission expressed a more progressive opinion than that of the courts regarding freedom of expression, by demanding an affirmative protection of the freedom of expression. 본 연구는 국가인권위원회의 표현의 자유 관련 진정사례와 의견 표명문을 통해 인권으로서의 표현의 자유에 접근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그 동안 언론학 연구에서 소외 영역이었던 소수자의 표현 문제에 대한 인권적 해결의 근거를 도출하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표현의 자유’와 관련하여 국가인권위원회가 개입하는 사건의 유형이 무엇인지 살펴보고, 국가인권위원회의 ‘표현의 자유’에 대한 인식을 도출한 후, 국가인권위원회의 ‘표현의 자유’에 대한 인식이 한국 법원의 인식과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에 대해 규명하고자 하였다. 검토결과 국가인권위원회는 사회적 소수자들의 표현 행위에 비교적 적극적인 관심을 가지고 있었다. 또한 소수자들의 표현의 자유와 권익보호를 위해 보수적 행정부와 전통적 한국의 가치체계와는 차이가 있는 대안적 담론들을 꾸준히 생산해 내고 있다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국가인권위원회는 일반적으로 청소년, 수감자(收監者) 등의 표현문제와 같은 정치쟁점화 될 수 없는 사건에 대해서는 법원과 인식을 같이 하였다. 그러나 국가보안법, 양심적 병역거부, 동성애자의 표현 등 정치쟁점화 되고 있거나 정치쟁점화 될 가능성이 있는 사건에 대해서는 법원과 차이가 있는 진보적 인식을 표출하고 있었다.

      • KCI등재

        인권으로서의 표현의 자유에 관한 연구-국가인권위원회의 진정사례, 의견 표명문을 중심으로

        이정기 한국정치커뮤니케이션학회 2009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 Vol.14 No.-

        본 연구는 국가인권위원회의 표현의 자유 관련 진정사례와 의견 표명문을 통해 인권으로서의 표현의 자유에 접근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그 동안 언론학 연구에서 소외 영역이었던 소수자의 표현 문제에 대한 인권적 해결의 근거를 도출하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표현의 자유’와 관련하여 국가인권위원회가 개입하는 사건의 유형이 무엇인지 살펴보고, 국가인권위원회의 ‘표현의 자유’에 대한 인식을 도출한 후, 국가인권위원회의 ‘표현의 자유’에 대한 인식이 한국 법원의 인식과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에 대해 규명하고자 하였다. 검토결과 국가인권위원회는 사회적 소수자들의 표현 행위에 비교적 적극적인 관심을 가지고 있었다. 또한 소수자들의 표현의 자유와 권익보호를 위해 보수적 행정부와 전통적 한국의 가치체계와는 차이가 있는 대안적 담론들을 꾸준히 생산해 내고 있다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국가인권위원회는 일반적으로 청소년,수감자(收監者) 등의 표현문제와 같은 정치쟁점화 될 수 없는 사건에 대해서는 법원과 인식을 같이 하였다.그러나 국가보안법,양심적 병역거부, 동성애자의 표현 등 정치쟁점화 되고 있거나 정치쟁점화 될 가능성이 있는 사건에 대해서는 법원과 차이가 있는 진보적 인식을 표출하고 있었다.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define freedom of expression as a human right by reviewing the petition cases and opinion statements on freedom of expression by the National Human Rights Commission of Korea. Subsequently it was also to provide a fundamental reasoning for solutions to freedom of expression for minorities based on human rights which have not been studied properly within Journalism and Communication studies. More specifically, types of cases intervened by the National Human Rights Commission of Korea regarding freedom of expression were analyzed, perceptions of the National Human Rights Commission of Korea on freedom of expression were defined, and lastly differences were identified between the perception of freedom of expression by the Commission and that of the judicial courts in Korea. Based on the result of the study, it was verified that the Commission was actively engaged in expressive activities of social minorities in general, and it persistently generated alternative discourses which differed from the conservative administration and traditional Korean value system, to protect rights and freedom of expression of minorities. The Commission shared similar perceptions with the courts on the cases which were not politically volatile such as freedom of expression for adolescents or prisoners. However, the Commission expressed a different opinion and perception from the courts on the issues that were politically controversial or had potentials to become political issues, such as the National Security Law, conscientious objectors to military service, and expression of homosexuals. Consequently the Commission expressed a more progressive opinion than that of the courts regarding freedom of expression, by demanding an affirmative protection of the freedom of expression.

      • KCI등재

        표현의 자유와 인격권 사이의 이익형량에 관한 비교법적 고찰

        이현정 헌법재판연구원 2023 헌법재판연구 Vol.10 No.2

        표현의 자유는 미주인권협약 제13조, 1948년의 미주인권선언(the American Declaration of Human Rights) 제4(IV)조, 표현의 자유 원칙에 관한 선언(Declaration on principles of freedom of expression, OAS), 유럽인권협약 제10조에서 보장한다. 표현의 자유는 모든 다른 인권을 향유하기 위하여 보장되어야 할 기본적인 인권으로 표현의 자유에 가해지는 제한은 예외적으로만 허용되며, 그 제한의 범위는 좁고, 제한의 정당성 여부는 엄격하게 심사된다. UN 인권위원회(The Human Rights Committee)는 시민적 및 정치적 권리에 관한 국제규약(International Covenant on Civil and Political Rights) 제19조에서 규정하는 표현의 자유에 관한 해설서에서 정당한 이유가 있더라도 그 제한이 표현의 자유 자체를 위험에 빠뜨려서는 안 된다고 강조한다. 유럽인권재판소의 Mamère 대 프랑스 판결에서 유럽인권재판소는표현의 자유에 대한 보호를 확대하는 판결을 하였다. 이 판결은 선출직 대표자가 공적 자격으로 활동하는 공무원에 대하여 명예훼손적 발언을 하는 경우, 그리고 그 발언이 공적 관심사에 관한 것일 경우 발언에 대하여 명예훼손의 유죄 판결이 이루어진 경우 이에 대하여 엄격한 심사가 필요하다는 점을 강조하였다. 이로써 이 판결은 영향력 있고 설득력 있는 선례를 확립하였고, 미주 인권재판소를 포함하여 관할권인 유럽 이외의 지역에서 표현의 자유에 대한 표준을 정하는 판결에 인용되었다. Kimel 대 아르헨티나판결은 미주인권재판소가 공공의 이익과 관련된 발언과 공무원의 직무 수행 과정에 대한 발언은 더 높은수준의 보호를 받는다는 원칙을 이전의 어떤 판결보다 더 정확하게 반복하고 자세하게 설명한 중요한 판결이다. 또한, 어떠한 발언이 특별히 보호를 받을 대상임에도 제한을 가할 경우, 이러한 제한을 정당화하기 위하여 충족해야 하는 엄격한 요건인 비례 심사, 그 중에서도 이익형량에 고려되어야 하는 사항들을강조하고 있다. 이 판결은 표현의 자유를 제한하는 수단으로 형법, 형사 처벌을 사용할 때 특히 주의를기울여야 함을 강조한다. Freedom of expression is guaranteed by Article 13 of the Inter-American Convention on Human Rights, Article 4(IV) of the American Declaration of Human Rights of 1948, the Declaration on principles of freedom of expression (OAS), and Article 10 of the European Convention on Human Rights. Freedom of expression is a fundamental human right that must be guaranteed in order to enjoy all other human rights. Restrictions on freedom of expression are permitted only in exceptional circumstances, are narrowly tailored, and are strictly scrutinized for their legitimacy. In its commentary on freedom of expression under Article 19 of the International Covenant on Civil and Political Rights, the UN Human Rights Committee emphasizes that restrictions, even if justified, must not endanger freedom of expression itself. In Mamère v. France, the European Court of Human Rights expanded the protection of freedom of expression. The judgment emphasizes the need for strict scrutiny of defamation convictions where elected representatives make defamatory statements about public officials acting in their official capacity and where the statements concern matters of public interest. In doing so, it established an influential and persuasive precedent, which has been cited in decisions setting standards for freedom of expression outside of Europe, including by the Inter-American Court of Human Rights. Kimel v. Argentina is an important case in which the Inter-American Court of Human Rights reiterated and elaborated more precisely than any previous decision the principle that speech related to the public interest and speech made by public officials in the course of performing their duties is entitled to a higher level of protection. It also emphasizes the strict requirements that must be met in order to justify restrictions on speech that is otherwise protected, including the proportionality test and the consideration of interests in sentencing. The judgment emphasizes that particular care must be taken when using criminal law and criminal penalties as a means to restrict freedom of expression.

      • KCI등재후보

        사실 적시 명예훼손죄와 표현의 자유 ―헌재 2021. 2. 25. 2017헌마1113등 결정―

        승이도 한국형사판례연구회 2022 刑事判例硏究 Vol.30 No.-

        1. It would be supreme, if we could not only allow statements on fact broadly in order to guarantee the freedom of expression and the right to know, but also protect external reputation and privacy sufficiently. However, it is almost impossible to incarnate such a condition in reality. If the Constitutional Court decides the Criminal Defamation(Criminal Act article 307 paragraph 1) unconstitutional, then the level of protection on individual’s external reputation and privacy will decrease. Though, if the Court decides the Criminal Defamation constitutional so as to increase protection on reputation and privacy, then the freedom of expression and the right to know will be restricted. 2. Korean Constitution article 21 paragraph 1 announces that all citizens shall enjoy freedom of expression. The paragraph 4 of the article stipulates that the freedom of expression shall not violate reputation of others in order to limit the freedom of expression. Even hough it stipulates that the claims for damage are allowed when the expression violates others’ reputation, it never mentions about criminal defamation. The reason why Sovereign people enacted the Constitution to protect the freedom of expression is that it is the foundation of our democracy. Exercising the freedom of expression on true fact is the premise of the right to know. It is the prerequisite of fulfilling our democracy that we can freely form our opinions through deliberation and discussion via true statement. Considering these grounds, Criminal Act article 307 paragraph 1 which stipulates the Criminal Defamation on true statement might be unconstitutional. Meanwhile, Korean Criminal Act article 310 stipulates that if the fact is true and the statement is solely for the public interest it shall not be punishable. Through this justification article, only the statement which is irrelevant to public interest and exposing others’ weakness as a private sanction is punishable. Such a statement can result in infringing personal right and privacy, without fulfilling the purpose of freedom of expression. In these regards, Criminal Defamation on true statement might be constitutional. 3. On Feb 25, 2021, the Constitutional Court of Korea made a first decision(2017hun-ma1113) that the Korean Criminal Act article 307 paragraph 1 is constitutional. But there was a strong Dissent Opinion which is supported by 4 Justices out of 9 Justices. In this decision, Justices wrote their thoughts and conclusions of various issues on Criminal Defamation and freedom of expression. The decision on Criminal Defamation carries significant meaning in deliberating a feasible solution for protecting reputation as well as express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