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경제위기 대응 재정준칙에 관한 연구

        전수경 국회예산정책처 2021 예산정책연구 Vol.10 No.4

        This study is about how to effectively respond to recurring crises and achieve fiscal sustainability and flexibility by improving the fiscal rules. To this end, this study compared and analyzed the cases of the fiscal rules that many countries had reformed after the global financial crisis and suggested that there are five key characteristics of new fiscal rules and operating mechanism. Therefore those that have the five characteristics are the new fiscal rules in response to recurring crises, which are different from the ‘next generation’ fiscal rules as follows. First characteristic of the new fiscal rules is to operate all the fiscal rules centered on the medium-term fiscal objectives to promote the fiscal flexibility and sustainability. Second characteristic of the new fiscal rules lays emphasis on the simplicity that could be achieved by closely integrated linking the three rules in times of the normal (upturn), crisis (downturn) and correction (restoration). Third characteristic of the new fiscal rules is to stockpile the fiscal capacity by keeping to the strong rules for the fiscal surplus in normal times, in order to prepare for the significant increase of the fiscal expenditure by the next economic crisis, Fourth characteristic of the new fiscal rules is to effectively use new escape clauses in response to the crisis, and prevent its abuse by taking into consideration of the clear elimination principle for the fiscal deficits that have increased during the crisis. Fifth characteristic of the new fiscal rules is, in times of correction after a crisis, to discipline to promptly take back to the fiscal rules in normal times and to clearly eliminate the fiscal deficits that have incurred during the deviation from the rules. In conclusion, whether the fiscal rules have the five characteristics qualified for the new fiscal rules could determine the success of response to recurring crises. 본 연구의 목적은 경제위기가 반복되는 상황에서 과연 어떠한 재정준칙으로 대응해야 재정건전성과 지속가능성을 이룰 수 있는지 밝히려는 것이다. 그것이 경제위기 대응 재정준칙이다. 각국은 1990년대 이후 21세기에 들어서 경제위기가 반복되면서 기존의 재정준칙으로 대응할 수 없게 되었고, 나아가 경직된 재정준칙이 정부의 재정적 대응을 가로막는다는 비판이 제기되면서 새로운 재정준칙으로의 전환이 필요해졌다. 이에 따라 유연성을 보강한 재정준칙이 등장하게 되었는데 그것이 차세대 재정준칙이다. 그러나 이 역시 새로운 문제점을 노정하면서 이를 극복할 새로운 재정준칙이 필요해졌는데 그것이 경제위기 대응 재정준칙이다. 본 연구에서는 각국의 사례를 비교 분석해 경제위기 대응 재정준칙의 특성과 요건과 운영 메커니즘을 밝혔으며, 특히 차세대 재정준칙과 다른 5가지 요건을 제시했다. 첫째, 그것은 중기 균형재정 준칙을 중심으로 제반 재정준칙을 운용하며 반복되는 경제위기에 대응하는 것이다. 둘째, 그것은 경제위기 상황 변화에 대응해 평상시・위기시・복원시 준칙들을 통합적으로 연계 운용하는 것이다. 셋째, 평상시에는 보다 강력한 흑자재정・균형재정 준칙을 확립해 향후 반복될 경제위기에 대비해 재정여력을 비축하는 것이다. 넷째, 위기시에는 예외규정을 효과적으로 활용해 재정의 적극적 역할을 수행하여 위기 극복을 도모하는 한편, 다른 준칙들과 연계해 예외규정 남용을 방지하는 것이다. 다섯째, 위기 이후 복원시에는 원래의 준칙 목표로 기민하게 복원하는 준칙을 운용하고, 특히 준칙 일탈기간 중 발생한 재정적자를 반드시 상환하도록 준칙을 운용하는 것이다. 경제위기가 반복되는 상황에서는 이러한 준칙들을 통합적으로 연계 운용하며 대응해야 국가부채의 급증을 제어하고 중기적 재정균형을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위의 5가지 요건을 갖춘 재정준칙을 경제위기 대응 재정준칙이라 할 수 있다. 이와 함께 본 연구에서는 경제위기 대응 재정준칙의 5가지 요건을 중심으로 우리나라 정부가 2020년 제출한 한국형 재정준칙 방안을 평가했다. 그 결과 경제위기 대응 재정준칙의 요건을 대부분 갖추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이를 위의 5가지 요건을 갖춘 새로운 재정준칙으로 개선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지방재정 건전성 측정방법: 재정압박 지수개발을 중심으로

        허명순 한국지방재정학회 2011 한국지방재정논집 Vol.16 No.1

        The fiscal health of local government is essential to the provision of local public services. The term fiscal crisis was used recently, but the terms fiscal crisis and fiscal stress should be distinguished from one another. After reviewing the literature and operational definitions of fiscal crisis that have been utilized by state and local governments in the U. S. and Japan, this study argues that local government in Korea is in fiscal stress, which may lead to a fiscal crisis. This study also develops fiscal stress indices that measure fiscal pressures in terms of revenue, expenditure, operation, and debt. Revenue-related indicators include own-source revenue relative to total revenue, the growth rate of own-source revenue, and the disposable resources of local government. On the expenditure side, fixed costs, capital spending, and subsidy provisions to welfare agencies cause fiscal stress to local government. Internal operation measures include operating deficits as a percentage of total expenditure and ratios of current assets to current liabilities. Measures that stress the ability to meet debt obligations include debt divided by general revenues, per capita debt, and debt service as a percentage of general revenues. A reference group was used as a basis for comparison in order to measure the fiscal health of a particular local government. The fiscal health of local government is essential to the provision of local public services. The term fiscal crisis was used recently, but the terms fiscal crisis and fiscal stress should be distinguished from one another. After reviewing the literature and operational definitions of fiscal crisis that have been utilized by state and local governments in the U. S. and Japan, this study argues that local government in Korea is in fiscal stress, which may lead to a fiscal crisis. This study also develops fiscal stress indices that measure fiscal pressures in terms of revenue, expenditure, operation, and debt. Revenue-related indicators include own-source revenue relative to total revenue, the growth rate of own-source revenue, and the disposable resources of local government. On the expenditure side, fixed costs, capital spending, and subsidy provisions to welfare agencies cause fiscal stress to local government. Internal operation measures include operating deficits as a percentage of total expenditure and ratios of current assets to current liabilities. Measures that stress the ability to meet debt obligations include debt divided by general revenues, per capita debt, and debt service as a percentage of general revenues. A reference group was used as a basis for comparison in order to measure the fiscal health of a particular local government.

      • Unfolding the European Sovereign Debt Crisis

        ( Chih Mei Luo ),( Jyun Yi Lee ) 한국EU학회 2013 Asia-Pacific Journal of EU Studies Vol.11 No.2

        The European sovereign debt crisis emerged from a few euro members being stuck with highdeficits and high-indebtedness, and thus is oversimplified to be referred to as the euro debt crisis. It, in fact, consists of several individual crises with different causes. The Greek crisis was a governance crisis that lacks of fiscal disciple by nature; the Irish and Spanish crises were the bubble crisis of the property sector and banking crisis caused by the US sub-prime crisis; the Italian and Portuguese crises involve more structural and long-term growth crisis. Accordingly, the austerity and the fiscal compact that Germany promoted can only offer partial answers to the end of the crisis. The implementation of fiscal discipline and the resolution of the crisis depend on the provision of economic growth and jobs as well as the establishment of a full-blown fiscal union. With the absence of expansionary fiscal policy and fiscal transfer at the EU level, this paper suggests that the crisis countries should be granted with the manoeuvre of expanding/contracting government spending according to the changes in growth and jobs. The crisis reveals five characteristics: the centrality of Franco-German axis; the specialty of the Greek case; national governments’ triumph over supranational institutions; the convergence of the EU’s economic governance with the German model; the need to address non-fiscal dimensions.

      • KCI등재

        2008년 국제금융위기와 선진국 재정정책의 전환 가능성

        정세은 ( Seeun Jeong ) 한국EU학회 2016 EU학연구 Vol.21 No.2

        2008년에 시작된 국제금융위기가 9년째 지속되고 있다. 위기 발생 직후 선진국 뿐 아니라 신흥국까지 가세하여 신속한 경기 부양 정책을 실시함으로써 위기는 곧 해결되는 듯하였으나 예상보다 신속한 경기 회복 조짐에 선진국들이 긴축적 재정정책으로 앞 다투어 복귀함에 따라 2010년 이후 위기는 다시 심각해졌고 현재까지도 지속되고 있다. 이러한 긴축적 재정정책으로의 빠른 복귀는 1980년대에 발생했던 경제학과 경제정책에서의 패러다임 전환과 관련된다. 즉 통화정책과 재정정책 등 거시정책으로는 공급측면에 의해 결정되는 자연실업률 수준보다 낮은 실업률 수준을 달성할 수 없으므로 재정정책은 가능한 한 소극적으로, 균형재정을 유지하도록 집행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통화정책이 단기적 경기안정화의 역할을 맡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새로운 거시경제정책 컨센서스의 확립이 있었다. 2008년 국제금융위기도 이러한 컨센서스의 틀 안에서 그 해결이 모색되고 있는데 이러한 정책조합으로 위기가 해결되지 않고 길어짐에 따라 IMF를 중심으로 거시경제정책의 효과에 대한 재검토 움직임이 나타나고 있다. 본 논문은 케인즈적 재정정책에서 신자유주의적 긴축적 재정정책으로의 전환이 1980년대 이후 어떠한 과정을 통해서 선진국들에 의해 채택되었는지를 살펴보고 2008년 국제금융위기 이후 IMF의 재정승수 논쟁, 주요국의 재정정책 집행 현황을 살펴봄으로써 선진국들의 재정정책에 어떠한 변화가 발생하고 있는지 분석하고자 한다. Global financial crisis starting in 2008 has been continued up until today. Whithin two years after the outbreak of crisis, large-scale expansionary macroeconomic policy coordinated among the advanced and emerging countries seemed to solve the crisis. This unexpected rapid recovery from the crisis persuaded the countries to reverse their expansionary fiscal policy in order to consolidate their fiscal situation. Nevertheless, this abrupt reversal to fiscal austerity made the crisis prolong ever since. The reason they turned away from active fiscal policy in a short period of time is related to the current paradigm in macroeconomics and economic policies. “New consensus macroeconomics” established as a mainstream economics contends that macroeconomic policies can not lower the unemployment rate below the natural rate so that fiscal policy should target small role and balanced state, and on the other hand monetary policy should take the cycle-stabilization role in the short-run. The solutions of 2008 global financial crisis have been sought in this policy-mix frame. However, the prolonged crisis made policy makers including IMF review their evaluation of macroeconomic policy effects. This paper examines the process through which the inactive fiscal policy were adopted by advanced countries since the beginning of 1980s, and then fiscal multiplier debate driven by IMF, fiscal policies of some advanced countries, and trial to more active fiscal policies since 2008 global financial crisis.

      • 재정준칙의 변화에 관한 연구

        전수경(Soo Kyung Chun) 한국재정법학회 2022 재정법연구 Vol.6 No.-

        본 연구의 목적은 재정준칙이 그동안 경제환경과 재정환경 변화에 따라 어떠한 변화가 이루어졌는지 살펴보고 우리나라 재정준칙 도입의 시사점을 제시하려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재정준칙의 발전을 3단계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1단계는 전통적인 경직된 재정준칙이고, 2단계는 기존의 준칙을 유연화한 차세대 재정준칙이며, 3단계는 차세대 재정준칙의 문제점을 보완한 새로운 경제위기 대응 재정준칙이다. 그동안 각국은 재정의 건전성과 지속가능성을 도모하기 위해 다양한 재정준칙을 도입 활용했지만 새로운 환경 변화를 맞이해 기존의 재정준칙이 효용성을 잃게 되면서 새로운 변화가 계속 이루어졌다. 무엇보다 기존의 재정준칙은 90년대 이후 21세기에 들어서 각국에 경제위기가 반복되고 이후 경기침체가 장기화되면서 이에 대응하지 못하고 국가부채 증대를 막지 못하게 되면서 효용성을 잃었고, 경직된 재정준칙이 정부가 경제위기에 과감히 대응하는 것을 가로막는다는 비판이 제기되면서 결국 이를 유연화한 새로운 차세대 재정준칙으로 전환이 이루어졌다. 그러나 차세대 재정준칙은 상반되는 강제성과 유연성을 함께 추구하면서 복잡성이 증대하고 준수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드러나면서 다시 이를 보완한 새로운 재정준칙이 등장하게 되었다. 그 대표적인 것이 스웨덴 식의 새로운 경제위기 대응 재정준칙이다. 그 핵심 특징은 중기 균형재정 준칙을 중심으로 평상시의 흑자재정 준칙, 위기시의 유연성 준칙 및 복원시의 적자 상환 준칙을 연계 운용하며 중기단위의 재정균형을 도모하는 것이다. 그 중에서도 중기 균형재정 준칙이 가장 중요하다. 즉 확고한 중기 균형재정 준칙만 확립되어 있으면 위기시 준칙을 유연화해도 곧 부채를 갚아야 하므로 섣불리 재정적자를 늘리지 못하게 된다. 이같이 스웨덴의 경제위기 대응 재정준칙이 성공할 수 있었던 배경에는 중기 재정프레임워크(MTBFs)를 중심으로 전체 예산운용을 중기계획 중심의 하향식으로 운용한데 기인한 바가 크다. 본 연구에서는 새로운 경제위기 대응 재정준칙의 5가지 요건을 살펴보고 이를 중심으로 우리나라 정부가 2020년 제출한 한국형 재정준칙 방안을 평가했는데, 그 결과 경제위기 대응 재정준칙의 요건을 대부분 갖추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우리나라는 2단계의 한국형 재정준칙을 도입하기보다 3단계의 경제위기 대응 재정준칙을 도입 운용하는 것이 필요하다. This study is to examine how the fiscal rules have changed according to changes in the economic and fiscal environment, and to suggest implications for the introduction of the fiscal rules in Korea. To this end, in this study, the development of fiscal rules was divided into three stages. The first stage is the traditional rigid fiscal rules, the second stage is the next-generation fiscal rules that have been made flexible with the existing rules, and the third stage is the new fiscal rules in response to recurring economic crises that supplement the problems of the next-generation fiscal rules. Countries have introduced and utilized various fiscal rules to promote fiscal soundness and sustainability, but new changes continued as the existing fiscal rules lost their effectiveness in the face of new environmental changes. Above all, the existing fiscal rules lost their effectiveness as failing to prevent the increase in national debt since economic crises have repeated in each country. Also, criticisms were raised that the rigid fiscal rules would prevent the government from dealing with the economic recessions boldly. Therefore, the transition was eventually made to a new next-generation fiscal rule that add flexibility with enforceability. However, as the next-generation fiscal rules have revealed the problems of increasing complexity and lowering compliance, new fiscal rules have emerged. A representative example of this is the Swedish-style fiscal rules for responding to the economic crisis. Its core feature is to promote the fiscal balance in the medium-term by linking the fiscal surplus rule in all the good times, flexibility in crisis times, and deficit repayment rule in recovery times, controlled by the fiscal balance rule in the medium term. Among them, the medium-term fiscal balance rule is the most important. In this study, the five requirements of the new fiscal rules for responding to the economic crisis were suggested and the Korean-style fiscal rules submitted by the Korean government in 2020 were evaluated based on them. In conclusion, it is necessary for Korea to introduce the three-stage fiscal rules rather than the two-stage Korean-style fiscal rules in response to recurring economic crises.

      • KCI등재

        A Research on the Contagion Effect using the Binary Logit Model

        김연준,신계균 한국유럽학회 2012 유럽연구 Vol.30 No.3

        Recently, the southern European countries suffer from the sovereign debt crisis. This paper suggests main reasons of the sovereign debt crisis with the following three aspects. First, expansion of fiscal payment along the recovery process of a financial crisis in 2008. Second, growth of a high intra-trade between the southern European countries. Third, internal flaw in the euro zone. This paper analyzes these three reasons of the southern European countries' sovereign debt crisis. Also, this paper suggests some keys to solve this sovereign debt crisis. This paper suggests a reinforcement of a mutual assistance system among the southern European countries to recover this sovereign debt crisis. This paper emphasizes a political split for the reason’s of the sovereign debt crisis. For this research, we conduct a binary logit model using Eichengreen et al.'s(1996) research. We use GDP, unemployment, fiscal revenue, fiscal expenditure, and fiscal balance using the WDI database covering ten countries including the PIIGS countries, the US,German, the UK, France, and South Korea. Based on the data availability, our data set covers from 1996 to 2009. The statistical results support our primary expectation. We get a strong statistical support when there is a simultaneous association between a fiscal crisis in one country and a corresponding crisis in the other country. A fiscal crisis in a country at a current year is not likely to lead to a fiscal crisis in a different country at a next year. As countries, which have and have not financial crisis, suggest both financial and policy solution tosolve a certain financial crisis, the contagion effect is not likely to sustain any longer. 최근 남유럽국가들의 국가채무 위기가 확산되고 있다. 특히 이러한 국가 채무위기 하에서 PIIGS라고 불리는 포르투갈, 아일랜드, 이탈리아, 그리스, 스페인의 국가채무 위기는심각하다. 본 연구에서는 Eichengreen et al.(1996)의 논문을 참조하고 이항 로짓 모델을이용하여 실증분석을 한다. 데이터는 1996년부터 2009년까지 경제변수들을 이용한다. 실증분석 결과, 본 연구에서는 한 국가의 재정위기와 다른 국가의 이에 상응하는 위기 간에는 동시적인 연계가 있음을 발견하였다. 즉, 한 해의 재정위기 발생은 그 해의 다른 국가로 전이될 가능성이 큰 반면, 한 해의 재정위기가 다음 해에 다른 국가로 전이될 가능성은 크지 않음을 발견하였다. 이는 재정위기를 겪고 있는 한 국가가 위기 극복을 위한 자체적인 정책을 제시하기 때문에 가능하다. 또한 주변국 입장에서 경제위기가 국내 시장경제로 전이되는 것을 최소화하기 위해 상대 위기 국가에 대한 대책과 지원을 위한 정책을 수립하기 때문에 국가 간의 재정 위기의 확산은 단기적으로 진행되는 것이다. 따라서그리스를 포함한 남유럽의 재정 위기가 한국경제에 미치는 영향은 단기적이지 장기적으로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되지 않는다.

      • KCI등재

        A Research on the Contagion Effect using the Binary Logit Model

        Yeon Joon Kim,Gei Guen Shin 한국유럽학회 2012 유럽연구 Vol.30 No.3

        최근 남유럽국가들의 국가채무 위기가 확산되고 있다. 특히 이러한 국가 채무위기 하에서 PIIGS라고 불리는 포르투갈, 아일랜드, 이탈리아, 그리스, 스페인의 국가채무 위기는 심각하다. 본 연구에서는 Eichengreen et al.(1996)의 논문을 참조하고 이항 로짓 모델을 이용하여 실증분석을 한다. 데이터는 1996년부터 2009년까지 경제변수들을 이용한다. 실증분석 결과, 본 연구에서는 한 국가의 재정위기와 다른 국가의 이에 상응하는 위기 간에는 동시적인 연계가 있음을 발견하였다. 즉, 한 해의 재정위기 발생은 그 해의 다른 국가로 전이될 가능성이 큰 반면, 한 해의 재정위기가 다음 해에 다른 국가로 전이될 가능성은 크지 않음을 발견하였다. 이는 재정위기를 겪고 있는 한 국가가 위기 극복을 위한 자체적인 정책을 제시하기 때문에 가능하다. 또한 주변국 입장에서 경제위기가 국내 시장경제로 전이되는 것을 최소화하기 위해 상대 위기 국가에 대한 대책과 지원을 위한 정책을 수립하기 때문에 국가 간의 재정 위기의 확산은 단기적으로 진행되는 것이다. 따라서 그리스를 포함한 남유럽의 재정 위기가 한국경제에 미치는 영향은 단기적이지 장기적으로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되지 않는다. Recently, the southern European countries suffer from the sovereign debt crisis. This paper suggests main reasons of the sovereign debt crisis with the following three aspects. First, expansion of fiscal payment along the recovery process of a financial crisis in 2008. Second, growth of a high intra-trade between the southern European countries. Third, internal flaw in the euro zone. This paper analyzes these three reasons of the southern European countries` sovereign debt crisis. Also, this paper suggests some keys to solve this sovereign debt crisis. This paper suggests a reinforcement of a mutual assistance system among the southern European countries to recover this sovereign debt crisis. This paper emphasizes a political split for the reason`s of the sovereign debt crisis. For this research, we conduct a binary logit model using Eichengreen et al.`s(1996) research. We use GDP, unemployment, fiscal revenue, fiscal expenditure, and fiscal balance using the WDI database covering ten countries including the PIIGS countries, the US, German, the UK, France, and South Korea. Based on the data availability, our data set covers from 1996 to 2009. The statistical results support our primary expectation. We get a strong statistical support when there is a simultaneous association between a fiscal crisis in one country and a corresponding crisis in the other country. A fiscal crisis in a country at a current year is not likely to lead to a fiscal crisis in a different country at a next year. As countries, which have and have not financial crisis, suggest both financial and policy solution to solve a certain financial crisis, the contagion effect is not likely to sustain any longer.

      • KCI등재

        유럽 재정위기와 경제통합: 유럽연합의 제도적 진화와 도전

        배병인 한국유럽학회 2016 유럽연구 Vol.34 No.4

        유로존 위기는 금융위기에서 재정위기로 급속하게 발전해 왔다. 이른바 GIIPS 국가들을 중심으로 한 유럽 재정위기는 통상의 이해와는 달리 이들 국가들의 방만한 재정 운용이 아니라 유로존의 구조적 결함에 근본적인 원인이 있다. 특히 자본 시장 통합과 유로화 출범에 상응하는 통합적 금융 감독의 부재, 즉 금융 통합의 부재가 현재의 위기를낳은 근본적인 원인이다. 규제 되지 않은 민간 신용의 급격한 팽창이 GIIPS 국가들의경제 구조를 취약하게 만든 요인이라면, 글로벌 금융위기에 따른 급격한 신용 유출은심각한 재정위기를 야기하는 요인이 되었다. 유로존 위기에 대한 유럽연합의 대응은 금융 통합과 재정 규율이라는 두 축을 중심으로 전개되고 있다. 금융통합은 현재의 위기에 대한 정확한 처방이면서 유럽통합을 은행과 금융부문으로 확대시킨다는 점에서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그러나 구제 금융을 매개로 재정 규율을 한층 강화하고자 하는 시도는 당면한 재정위기에 대한 근본적인 해법이 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유로존 내부의 양극화 문제와 그것을 둘러싼 정치적 갈등을 심화시킬 위험성을 안고 있다. 이러한 갈등이 향후 유럽통합의 미래를 결정할 핵심 요인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 Eurozone crisis has rapidly transformed from financial to sovereign debt and fiscal crisis. Unlike conventional belief, the ongoing fiscal crises of the so-called GIIPS are not rooted in the fiscal profligacy of the governments of these countries, but in the structural deficiency of the eurozone. Among others. the lack of common financial regulation provided structural conditions for the outbreak and the persistency of current crisis. Due to the unregulated private credit expansion before and the sudden credit exodus after the 2008 global financial crisis, GIIPS, especially Greece, have rapidly plunged into vicious cycle of financial and fiscal crises. The EU has responded to the crises in two directions: financial integration and fiscal discipline. Policy and institutional innovations for the financial integration is both natural and desirable since after all the lack of common financial regulation was the fundamental reason behind the crisis. Yet, the principle of fiscal discipline, which is associated with and prerequisite for the institutionalized bailout program, is problematic because it exacerbates the economic polarization and the concomitant political conflicts among the eurozone countries. This is likely to be the determining factor for the future evolution of European integration.

      • KCI등재

        경제위기 극복을 위한 재정정책의 역할과 과제 : 남유럽 재정위기와 재정건전성 제고를 위한 규범론적 고찰

        김종희(金鍾熙) 한국정책과학학회 2010 한국정책과학학회보 Vol.14 No.4

        글로벌 금융위기가 진정되면서 한동안 회복세를 보이던 세계경제가 남유럽의 재정위기로 다시 동요하고 있다. 우리나라도 일자리 창출 등을 위한 확장적 재정정책으로 국가채무의 증가속도가 매우 빨라져 재정건전성 저하가 우려되고 있다. 세수증가에 비하여 복지비용 등 지출증가 요인이 많아 재정수지 및 국가채무 전망도 낙관할 수 없다. 남유럽 재정위기의 시사점은 재정적자 규모를 줄이지 않는다면 투기적인 외국자본의 공격을 받고, 주변국들로부터 적절한 도움을 받는 것도 어렵거니와 지원을 받는다고 해도 재정긴축 등 고통이 수반된다는 점이다. 재정적자에 의한 경제성장정책은 호황기에는 타당성이 있지만, 적자규모가 누적되고 경기침체 시기에는 신중하게 접근해야 한다. 경제위기를 극복하고 재정건전성을 제고하기 위해서는 우선 수출다변화를 통해 외부경제 변수에 대한 대응력을 강화해야 한다. 그리고 내수를 진작시키면서 무역 마찰에 대비해야 한다. 둘째, 재정건전성을 제고하고 지속가능한 성장 기반을 갖추어야 한다. 국가채무비율이 일정수준에 도달할 때까지 총지출 증가율을 경상성장률 또는 세입증가율보다 낮게 제한하는 가칭 재정건전 화법을 제정할 필요가 있다. 셋째, 출구전략의 속도와 시기는 선진국들의 양태를 보아가며 신중하게 조정해야 한다. 대체로 경기 중립적 기준금리 수준을 연 3~3.5%로 보기 때문에 저금리 기조를 정상화시켜야 하지만 기준 금리를 올리더라도 주요 국가의 금리인상 추이를 보면서 현재는 미세조정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환율조작국으로 비판받지 않기 위해서는 우회적인 방법으로 외환시장에 개입해야 한다. It is appeared that the world economy shows sign of recovery as global financial crisis could be restored. However, the world economy is agitated again because of south Europefiscal crisis like Greece. Recently Korea has also been concerned about fiscal stability. The reason is that fiscal deficits are soaring and the ratio of national debt is also increasing because of steady taxcut policy and organizing of supplementary budget for creating jobs. Implication of south Europe fiscal crisis is that if we reduce the fiscal deficits, likely to be a speculative attack and it is difficult to receive adequate assistance from neighboring countries and it will be received painful retrenchment. Economic policies of fiscal deficits during booms are feasible. It, however, should be approached with caution when the fiscal deficits are accumulated and the economy is down. The following efforts are needed to overcome economic crisis and to improve the financial soundness. First, export diversification and responsiveness to external economic variables should be strengthened. Second, sustainable growth base should be prepared. The tentatively named fiscal stability law which makes the ratio of total expenditure growth lower than the ratio of economic growth or tax revenue growth is needed until the national debt ratio reaches a certain level. Third, speed and timing of an exit strategy in light of the embodiment of the developed countries should be carefully adjusted. The basis for low-interest should be normalized, because naturalbase rate is normally 3~3.5 percent yearly. However, the effect could be maximized only when it is checked changes in interest rates in major countries while raising base rate.

      • KCI등재

        금융위기에 대응한 확장적 재정정책의 효과성 분석

        김성태 한국개발연구원 2012 KDI Journal of Economic Policy (KDI JEP) Vol.34 No.4

        This study outlines measures related to fiscal policies aimed at responding to the financial crisis according to the timing of commencement and then examines impacts of expansionary fiscal policies on macro variables so as to extract policy implications. The size of expansionary fiscal policy to respond to the financial crisis is found to total 59.8 trillion won (6.1% of GDP in 2007), among which a total of 30.5 trillion won was the increased fiscal expenditure made by the 2008 supplementary budget, the 2009 revised budget and the 2009 supplementary budget. In addition, tax reductions are found to be a total of 29.3 trillion won, mainly driven by the tax reforms in 2008 and 2009. Examining dynamic changes in macro variables caused by the temporary increase in fiscal expenditure and the tax reductions reveals that the increase effect of the real GDP growth rate brought by a temporary rise in fiscal expenditure excluding tax reduction effects turned out to be 1.1%p in 2009 and 0.3%p in 2010, compared to the period without the increase in fiscal expenditure. Meanwhile, when taking into account the effect of expansionary fiscal policies including tax reduction effects, the increase effect of real GDP turns out to be much higher. In the case of 2009, the real GDP rose additionally by 1.9%p, in which 1.1%p by the increase in fiscal expenditure and 0.8%p by tax reduction. Based on these results, the expansionary fiscal policy conducted during the financial crisis since the second half of 2008 can be seen to have played a significant role in helping the Korean economy post a higher-than-anticipated recovery pace from the economic slowdown triggered by the crisis. 본 연구는 금융위기에 대응하기 위한 재정정책 관련 조치들을 시점에 따라 정리하고, 확장적 재정정책이 거시변수에 미친 영향을 살펴봄으로써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는 데 주안점을 두고 있다. 금융위기에 대응한 확장적 재정정책의 규모는 총 59.8조원(2007년 GDP 대비 6.1%)으로 파악되었다. 이 중 일시적인 재정지출의 증가는 2008년 추경, 2009년 예산안 수정, 2009년 추경 등을 통해 이루어졌으며, 총규모는 30.5조원으로 추계되었다. 더불어 감세는 2008년 및 2009년 세제개편을 중심으로 이루어졌는데, 총규모는 29.3조원으로 파악되었다. 일시적인 재정지출 확대 및 감세에 따른 거시변수의 동태적 변화를 살펴본 결과, 감세효과를 제외한 순수한 재정지출의 일시적 증가로 인한 실질GDP 성장률 제고효과는 재정확대가 없었을 경우와 비교하여 2009년에 1.1%p, 2010년에 0.3%p 정도로 나타났다. 한편, 감세정책을 포함한 확장적 재정정책의 효과를 감안한 경우 실질GDP 성장률 제고효과는 더욱 크게 나타났다. 2009년의 경우 실질GDP는 추가적으로 1.9%p 정도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 중 지출확대에 의한 증가가 1.1%p, 감세에 따른 증가가 0.8%p 정도인 것으로 추정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볼 때, 2008년 하반기 이후 금융위기 기간 동안 실시된 확장적 재정정책은 한국경제가 금융위기에 따른 경기침체로부터 예상보다 빠른 회복세를 시현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 것으로 평가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