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가족 내 돌봄책임이 성별 임금에 미치는 영향

        김경희(Kim Kyounghee),강은애(Kang Eun-ae) 숙명여자대학교 아시아여성연구원 2010 아시아여성연구 Vol.49 No.2

        본 연구는 2008년 여성가족패널자료를 이용하여 가족 내의 돌봄책임이 여성과 남성의 임금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기존의 연구들이 자녀의 유무 혹은 자녀수를 중심으로 돌봄책임의 효과를 분석했다면, 본 연구는 자녀영향을 취학여부로 나누어 살펴보고, 가사노동시간, 장애인 및 요양환자, 부모와의 동거 여부를 포함한 돌봄책임이라는 좀 더 확장된 개념을 설명변수로 설정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한 결과는 첫째, 가사노동시간은 여성임금에 부정적 효과를 내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 남성에게는 유의미한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미취학자녀의 존재는 여성의 임금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지 않고, 오히려 취학자녀의 존재가 여성의 임금을 유의미하게 낮추고 있다. 이는 취학자녀에게 보다 많은 시간과 노력을 투자하는 경향 때문으로 해석할 수 있다. 반면, 남성의 경우 취학자녀 존재는 임금프리미엄을 부여한다는 것을 보여준다. 셋째, 장애인 및 요양환자의 수, 친정부모와 시부모와의 동거는 여성임금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남성의 부모와의 동거는 남성의 임금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남성이 부모와 동거하는 가장 큰 이유가 남성 부모의 건강 문제 때문인 것에서 그 이유를 찾을 수 있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 모델에서 돌봄책임이 여성임금의 51%를 설명하고, 남성의 임금은 33%만을 설명하는 것으로 미루어 볼 때 돌봄책임은 여성들의 임금에 더 큰 영향을 끼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돌봄책임이 여성과 남성의 임금을 설명하는데 핵심적이지는 않지만, 가족 내 돌봄책임이 성별화되어 있음을 잘 보여주고 있다. This research examines the effects of family responsibility on wage of men and women, analyzing the data from the National Women and Family's Panel. The research expands the concept of family responsibility as including children(age under or over 6), household work hours, care for family members such as the disabled, parents, patients, while existing researches have used the number of children or their age as the major variable representing family responsibility. Major findings of the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housework hours are associated with a negative effect on women's wage, while the effect on men's wage i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Secondly, the children over 6 is associated with a negative effect on women's wage, while men earn a wage premium drawn from the effect of children over 6. This result would imply that school children require more mother's time and energy than preschool children do. Finally, living with men and women's parents and the number of the disabled and patient family member do not represent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while living with men's parents is associated with a negative effect on men's wage. Men in the research sample report that they live together with their parents for their parents health problems. In conclusion, the variable of family care responsibility in the final model explains 50% of women's wage and only 33% of men's wage. This suggests that at present, care responsibility is gendered in a way in which women are taking more family care responsibility than men.

      • KCI등재

        가정친화적 교육・훈련 환경 조성

        정애경(Ae-Kyung Jung),최나연(Na-Yeun Choi) 한국여성정책연구원(구 한국여성개발원) 2022 여성연구 Vol.113 No.2

        본 연구의 목적은 교육・훈련 과정에서 자녀를 가진 여자 박사과정 대학원생 및 입직 초기 전문가가 학업/일-돌봄 양립과 관련하여 경험하는 어려움을 탐색하고 모성벌칙(motherhood penalty)과“새는 파이프라인(leaky pipeline)” 이론을 바탕으로 가정친화적 교육・훈련 환경 조성을 위한 학계의 관심을 촉구하고 향후 과제를 논의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자녀를 가진 20-40대 상담전공여자 대학원생 및 상담전문가 33명을 대상으로 상담자 교육 및 훈련, 일에서 학업/일-돌봄 양립경험을 조사하여 반복적 비교분석법으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도출된 영역은 ‘모순되고 혼란스러운경험’, ‘부정적인 경험의 영향’, ‘개인적이고 관계적인 대처’, ‘학문공동체에 바라는 점’이었다. 본연구는 이론적 논의와 조사 결과를 기반으로 학문공동체가 가정친화적 교육・훈련 환경을 제공해야할 필요성을 논의하고, 개선 영역으로 구성원 인식 및 문화, 제도, 교육・연수・학술대회 환경을 선정하여 구체적인 방안을 제시하였다.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explore experiences of women doctoral graduate students and early career professionals’ difficulty with education/ work-care conflict by applying motherhood penalty and leaking pipeline theory. Based on findings and theory, this research recommend Korean academia to have interests for family-friendly educational and training environment and to discuss future directions. We analyzed the data with a sample of 33 Korean women graduate students majoring in counseling and women counseling professionals between ages 20-40 through constant comparison method. As a results domains (‘conflicting and confusing experiences’, ‘effects of negative experiences’, ‘individual and relational coping’, ‘wishes from academia’) were emerged. Based on theoretical discussions and research findings, this research discussed needs for academia to provide family friendly educational and training environment. To improve, this research suggested detailed recommendations for academic institution’s cultural and systematic changes.

      • KCI등재

        출산율을 제고하는 청년정책의 구조개혁 모색

        김원식 한국제도∙경제학회 2024 제도와 경제 Vol.18 No.2

        본 연구는 세계에서 가장 낮은 합계 출산율의 제고를 위한 정책방향을 설정하고자 한다. Kleven et al.(2023)은 세계 135개국 가운데 우리나라의 ‘자녀 패널티’(child penalty)가 가장 높은 수준이라고 발표하였다. “자녀 패널티”는 여성이 자녀를 낳음에 따른 경제적 불이익을 산출한 것이다. 이는 우리나라 출산율이 가장 낮을 수밖에 없는 객관적 이유로 본다. 아울러 출산의 주체인 청년들이 결혼 및 출산을 결정하는데 있어서 사회경제적 어려운 현황을 분석하였다. 우리나라 출산율 제고 노력은 수많은 예산 및 정책 그리고 기구들에도 불구하고 실효성이 없었음을 보인다. 본 연구는 청년정책의 방향을 미시적 측면과 거시적 측면으로 제시하였다. 미시적 정책으로 가정을 부양할 수 있는 수준의 일자리 창출, 서비스와 인센티브 중심의 노동정책, 출산 및 자녀 양육의 질적 환경개선, 자녀 양육 주거면적 보장, 노인가구의 다운사이징을 통한 청년주택 공급 등이다. 거시적 정책으로 안정된 출산 양육이 가능한 소득, 주거, 교육 등의 환경 연계 강화, 청년관련 서비스 공급의 공공과 민간 조화와 규제 완화, 저출산 예산 및 정책조정 부총리급 실행기구 설립, 기득권을 포기하는 기성세대의 인식 개선 등이다. This study aims to establish policy directions for raising the world’s lowest total fertility rate of Korea. Kleven et al.(2023) found that South Korea has the highest child penalty among 135 countries in the world. “Child penalty” is the economic disadvantage that women face when having children. This is seen as an objective reason why South Korea has the lowest fertility rate. In addition, I analyzed the socioeconomic difficulties that young people, the main actors in childbirth, face when deciding to get married and have children. Despite numerous budgets, policies, and organizations for raising the fertility rate in South Korea, these efforts have not been effective. This study presents the direction of youth policy from both micro and macro perspectives. Micro-level policies should focus on creating jobs with family-supporting income, implementing labor policies centered on services and incentives, improving the quality of childbirth and child-rearing environments, securing housing space for raising children, and providing housing for young people through the downsizing of elderly households. Macro-level policies should aim to strengthen the linkages between income, housing, and education to enable stable childbirth and child-rearing, promote harmony and deregulation of youth-related service provision and policies for addressing low birth rates, and encourage the older generation to consider relinquishing vested interests. These youth policies are crucial for improving the quality of life for the young generation and social development and require collaborative efforts from the government, business, and civil society.

      • KCI등재

        기업인수목적회사(SPAC)의 개선과제 - 세법상 개선과제를 중심으로 -

        노미리 ( Noh Mie-ree ) 한국상사판례학회 2020 상사판례연구 Vol.33 No.4

        Since its introduction in Korea in 2009, Special Purpose Acquisition Company (hereinafter “SPAC”) has been improved to solve the problems that have become a problem in the capital markets. It includes Special Taxation System for Mergers, Requirements of Merger, especially calculation method of the price of a merger, Cash Restriction on Merger Consideration and so on. On June 30, 2020, the Criteria for preparation of corporate disclosure forms were revised so that the careers of SPAC officers’ M&A would be specifically stated in the registration statement. The provisions for SPAC have been revised in the desired direction. Recently, SPAC has become easier to list on the KOSDAQ market due to relaxed capital requirements. As a result, the number of SPAC that have been delisted is increasing because sponsors fail to find target companies. In other words, the role of sponsors is important. There are many cases that Venture Capital (hereinafter “VC”) has recently joined as a sponsor of SPAC and succeeded in merging. It is necessary to create an environment in which talented VCs can actively participate in the promotion of SPAC. On the other hand, it is an issue in the tax law that it is possible to add up the business operation period of unlisted companies when calculating the business operation period of SPAC. Until now the main issues have been deductions for family business succession, special provisions concerning taxation upon investment in kind, collections of acquisition tax reduced or exempted as penalty. Since SPAC is a company that assumes a merger, it is expected that the same problem will continue to occur in the future. It is necessary to put a provision that “SPAC can add up the business operation period of the incorporated corporation.” in each law such as Framework Act on National Taxes, Inheritance Tax and Gift Tax Act, Corporate Tax Act, and so on. In local taxes, collection of acquisition tax which is reduced is a problem in relation to SPAC. In this regard, it is necessary to draw up a provision in the Restriction of Special Local Taxation Act that “It is excluded from collecting tax additionally when unlisted company merge with a SPAC.” or It needs to have a provision in the definition of article 2 of the Restriction of Special Local Taxation Act that “The owner of the real estate is not considered to have been changed in case of merging with a SPAC.” in the definition of article 2 of the Restriction of Special Local Taxation Act.

      • 司法與産權

        진명광(陈,明光,Chen Mingguang) 경북대학교 아시아연구소 2009 아시아연구 Vol.- No.5

        범인의 모든 재산을 “籍沒”하는 것은, 중국고대의 전국시기 이래부터 시행된 일종의 형벌이었다. 그것은 사법행위이자, 경제행위이다. 본문에서는 사법과 재산권, 양방면을 고려하여, 唐律疏議과 유관한“籍沒家產”의 율령을 중심으로, 그 유래와 변화를 고찰하면서, 당오대“籍沒家產”의 죄범대상, 사법과정의 집행(실행), 籍沒의 家産範圍, 정 부의 籍沒家產의 계속되는 재산권 처리 및 법의 밖에서 형을 사용하는 등의 문제를 논하고자 한다. 진한에서 수에 이르기까지 비록 범인의 모든 재산을 籍沒하는 것의 약간의 규정은 있었으나, 재산을 籍沒의 대상이 있으면 용서함이 없어서 범람하였다. 이것은 중국고대전제왕권이 사유재산을 마음대로 박탈하는 일종의 표현이었다. 唐律疏議의 전에 전해져온 율문은, 단지 梁律에서 謀反, 降叛, 大逆세 가지 중죄의 범인에게만 모든 재산을 籍沒하게 한다고 명확하게 규정되어있다. 그러나, 관련 소송의 실례 분석에 의하면, 이러한 하나의 율문은 전 시기의 사법실행에 근 원이 있다.唐律疏議와 관련하여 재산권 籍沒의 범인 대상과 그 상관문제의 규정을 전대미문으로 상세하고도 명확하게 적용하고, 재산권 籍沒의 적용대상은 한정범 “모반”과 “대역”의 죄, 그리고 여러 실제행동에 한정되었으며, 일정한 위해자로 구성되었다. 뿐만 아니라 범죄의 내용과 경위에 따라 구분되었으며, 또한 죄에 연루되는 대상이 대단히 감소되었다. 이전 시기에, 이것은 사유재산의 일정한 수준으로 존중과 보호가 구현되었고, 중국고대법제와 재산권제도의 한 차례 진보를 이루었다는 것은 의심할 바 없다. 당대의 정부는 자산의 재산권 籍沒에 대한 후속조치형식에서 중요하게 여긴 두 가지가 있었는데, 하나는 재물을 파는 것(貨賣)으로서 일차성 地收利였고, 다른 하나는 관청의 자산을 가지고 경영하는 행위로, 전답을 내어 소작을 하게 하여 임차료를 받는 경우였다. 그 외에, 籍沒한 전답을 무상으로 백성에게 나누어준 사례도 소수 존재하였다. 오대시기에 가혹한 법과 잔혹한 형벌을 제멋대로 함부로 하여, “籍沒家產”의 사용범위를 확대 시켰는데, 심지어는 재산을 탐내어 모함하여 籍沒하는 “刑人利財”가 출현하였다. 이에 대해, 후주의 태조 곽위가 바로잡았다. 오대시기의 정부는 “籍沒家產”의 후속재산권 조치에 대하여, 관에서 부분적으로 가산을 籍沒하거나 혹은 관영의 세금으로 이득을 챙기거나, 사유 혹은 사영하게 하여 납세하는 방식으로 처리하였는데 이는 오대시기 재산권변동의 일종의 비교적 두드러진 현상이었다. Confiscate some of criminal's family property had been carried out as punishment since the Warring States Period in ancient China. It is not only a judicial action but also an economical action. This thesis will focus on the source and development of "Tang lu shu yi" about family property confiscation, and then discuss some issues such as, who needs to be confiscated the private property; the procedure of carring out the confiscation; the scope of confiscation; the disposure of the confiscated property and the cruel penalty beyond the legal means during the Tang and Five Dynasties.

      • KCI등재

        한 자녀정책의 그늘-무호적자(黑戶)에 대한 일고찰

        김미란 ( Miran Kim ) 한국외국어대학교 중국연구소 2016 中國硏究 Vol.69 No.-

        This research explains how the principle of `Family Register Given to Every Individual Born in the National Territory` stipulated in the Chinese Family Registration Act in 1958 has changed since the implementation of one child policy in the 1980s. As a result of contrasting the early 1980s and post 2010 in respect of media representations and policy enforcement, focused on `heihu(people without proper registration)` and `adoption` that fall outside the planned birth, discordant bureaucratic discourses between those periods have been discovered. Since the government announced the numbers of heihu, nearly 13 million, in 2010, the media has diagnosed that they are the outcomes of `corruption` and `family planning vote veto(promotion evaluation system)` of local governments. Reviewing the population policy documents in the early 1980s revealed that press criticism on corruption and local policy as the cause of heihu missed the target and the government granted the rights of collecting and using fines for encouraging officers bearing public resistance to enforce oppressive policies from the beginning. Chinese one child policy was not only limited to population management, but it also controlled population growth within borders through overseas adoption. Abandoned children from excess births and orphans in the state-operated facilities were aggressively adopted abroad by the government. It was a global child distribution policy violating civil rights-undeniable membership in the way that a profit out of adoption process counted towards national revenues.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