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Vocabulary Characteristics of Children with High and Low Functioning Autism and Intellectual Disabilities

        송승하(Seung Ha Song),김훼린(Huai Rhin Kim),천근아(Keun Ah Chun),김영태(Young Tae Kim)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14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19 No.4

        배경 및 목적: 비장애 아동의 경우 표현 가능한 어휘보다 수용 어휘가 높은 것에 비해, 자폐성 아동의 경우 공식검사 결과에서 수용어휘 결과가 낮게 보고 되고 있다. 새로운 낱말을 실제 사물과 연결시킬 때, 자폐성 장애 아동은 다른 비장애 아동과 같이 상호배타성의 원리를 활용할 수 있지만 사회성 결함으로 인하여, 낱말 연결에서 상대방이 제공하는 강화를 적절하게 수용하지 못할 가능성이 있다. 본 연구는 자폐성장애 아동과 지적장애를 동반한 자폐성장애 아동, 그리고 지적장애 아동의 세 그룹 간 표현 및 수용어휘 능력의 차이를 알아보고, 각 그룹에서 보이는 표현 및 수용언어 능력의 차이가 그룹 간에도 유의한 차이를 보이는지를 밝히고자 한다. 방법: 연구에는 10명의 고기능 자폐성 아동과 11명의 지적장애를 동반한 자폐성 아동, 그리고 12명의 지적장애 아동이 참여하였고, 이들의 수용 및 표현어휘 검사를 실시하였다. 결과: 수용 및 표현어휘 점수는 세 그룹 간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하지만 각 그룹 내에서 표현 및 수용어휘의 격차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는 않았지만, 자폐성 아동에게 보이는 표현어휘 우세 양상이 고기능 자폐성 아동 집단과 지적장애를 동반한 자폐성 아동 집단에서 일정하게 나타나는 경향을 보였다. 결과에 대한 논의 및 연구의 제한점, 그리고 후속 연구에서 고려할 사항에 대하여 제시하였다. 논의 및 결론: 세 집단의 어휘 능력 간 보이는 경향성은 지적장애 그룹의 상호배타성 원리 사용 가능성을 보여준다. 후속 연구에서는 대상자 수를 늘리고 어휘능력 평가 도구를 보완하는 것이 필요하겠다. Objectives: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 (ASD) shows atypicality in various domains in language. One of atypical characteristics in their language can be found in vocabulary. Usually children show greater receptive than expressive vocabularies, but for ASD children the opposite results are reported. Even though children with autism show mutual exclusivity when mapping new words to the correct objects, their social deficits prohibit them from being reinforced by others' feedback. Thus they can have more difficulty in receiving initiation and directions from others, and as a result, can demonstrate atypical vocabulary characteristic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differences in expressive and receptive vocabulary abilities among children with high functioning ASD, low functioning ASD, and intellectual disabilities (ID), and the discrepancies in expressive and receptive vocabulary among the three groups. Methods: Ten high functioning ASD, 11 low functioning ASD, and 12 ID children were tested with the receptive and expressive vocabularies test (REVT). Results: The results indicate significant differences in receptive and expressive vocabularies.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ce between receptive and expressive vocabulary among three groups even though trends of higher expressive vocabularies over receptive can be found in the high and low functioning ASD group. Conclusion: The trends of higher expressive vocabulary in the two ASD groups compare to ID group tells high possibilities that children with ID can be reinforced by the feedback that the interaction partner gives. For the future studies, it is necessary to increase the sample size and add assessment tools which can prove vocabulary abilities.

      • KCI등재

        한국어 맛 표현 어휘의 교재 제시 양상 및 개선 방안 연구

        이은희 한중인문학회 2019 한중인문학연구 Vol.64 No.-

        Taste expression vocabulary is an educational subject that must be mastered in order to successfully participate in a food-based discourse that has become one of the most important communication subjects in Korean society today, but researches on it have not yet been actively conducted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This study examines the current education state of Korean taste expression vocabulary through the Korean textbooks that present the basic direction of teaching and learning, and seeks out improvement plan. In Chapter 2, we distinguished the types of Korean taste expression vocabulary and examined the characteristics of each type. The vocabulary can be divided into four types: related to palate, related to synesthesia, having the characteristics of noun combination type, and hav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mprehensive taste evaluation word, and various expressions that differ in meaning for each type appear. In Chapter 3, we investigated the aspects of taste expression vocabulary in Korean textbooks. The types of taste expression vocabulary, the lexicons and presentation stages that are handled in the textbooks show that there are many differences among the textbooks to the extent that it is hard to find a consistent standard. The method of describing the taste expression vocabulary presents how difficult it is to understand exactly what the vocabulary means except for some basic palate or summative taste evaluation words. In chapter 4, we discussed what should be changed in the way the taste expression vocabulary is presented in the Korean textbooks in order to develop the learners' ability to use the vocabulary. In terms of quantity, it is necessary to set the stage in taste expression vocabulary and select the corresponding target of education, and in terms of quality, we will have to change the way of presenting the taste expression vocabulary. 맛 표현 어휘는 오늘날 한국 사회에서 가장 중요한 소통 대상 중 하나가 된 음식을 소재로이루어지는 담화에 성공적으로 참여하기 위해서 반드시 익혀야 할 교육 대상이지만, 한국어교육에서는 아직 이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본 연구는 교수 학습의기본 방향성을 제시해 주는 한국어 교재에서 맛 표현 어휘가 제시된 현황을 고찰하고, 그 개선 방안을 모색해 본 것이다. 2장에서는 한국어 맛 표현 어휘의 유형을 구분하고, 각 유형이 지닌 특성을 고찰해 보았다. 한국어 맛 표현 어휘는 미각에 관련된 것, 공감각과 관련된 것, 명사 결합형의 특성을 지닌것, 종합적 맛 평가어의 특성을 지닌 것의 네 가지 유형으로 나누어 볼 수 있으며, 각 유형별로 의미상 차이를 지니는 다양한 표현들이 나타난다. 3장에서는 맛 표현 어휘가 한국어 교재에서 다루어지는 양상을 살펴보았다. 교재에서 다루어지는 맛 표현 어휘의 유형과 어휘소 및 제시 단계를 살펴보면 일관성 있는 기준을 찾기 힘들 정도로 교재별로 많은 차이가 나타나며, 맛 표현 어휘의 기술 방식에서는 일부 기본적 미각어나 종합적 맛 평가어 외에는 그것이 어떤 맛을 의미하는지 정확히 이해하기 어려운 모습을 보인다. 4장에서는 학습자들의 맛 표현 어휘 사용 능력을 기르기 위해 교재 제시 방식에서 어떤점이 변화되어야 할지에 관해 고찰해 보았다. 양적인 면에서는 맛 표현 어휘에서 단계성을 설정하고 이에 따라 교육 대상을 선정하는 것이 필요하며, 질적인 면에서는 맛 표현 어휘의 제시 방식을 변화시켜 나가야 할 것이다.

      • KCI등재

        다문화가정 아동의 표현어휘 향상도에 따른 어휘발달 변인 종단연구

        김정은(Jung Eun Kim),김영태(Young Tae Kim),오소정(So Jung Oh)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14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19 No.1

        배경 및 목적: 본 연구에서는 다문화가정 아동의 표현어휘 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표현어휘가 지체된 5-9세 다문화가정 아동 14명을 추적연구 하였고, 1년 후의 표현어휘 향상도에 따라 두 집단(표현어휘 정상수준 도달집단, 정상수준 미달집단)으로 나누어 표현어휘 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어휘변인 및 환경변인의 차이와 변인들 간 상관관계를 고찰하고자 하였다. 수용 및 표현 어휘검사는 품사(동사 및 명사)별 정반응률을 포함하였고, 환경변인은 질문지를 통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첫째, 수용어휘력은 두 집단 모두 1차와 2차 평가 간 유의하게 높아졌으나, 집단 간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품사별 정반응률은 명사 표현어휘 정반응률에서만 정상수준 도달집단이 미달집단에 비해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환경변인에서는, 정상수준 도달집단의 부모 교육 년수와 소득 수준이 미달집단에 비해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집단변인과 유의한 상관을 보인 변인들은 소득 수준과 부모의 교육 년수였으며, 어휘능력과 유의한 상관을 보인 변인들은 아동의 연령과 소득수준이었다. 논의 및 결론: 다문화가정 아동들은 수용어휘능력에 유의한 차이가 없어도 표현어휘 사용에 어려움을 보일 수 있으며, 표현어휘가 지체되는 경우 명사어휘 사용이 제한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또 다문화가정이라는 환경변인과 함께 사회경제적 변인은 표현어휘 발달에 중요한 변수이며, 다문화가정 내에서도 부모의 소득수준, 교육정도에 따라 아동의 언어지원이 개별적으로 계획되어야 함을 논의하였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important variables of expressive vocabulary development in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Methods: The participants of the study were 14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aged between 5 and 9 years. Based on the reassessment result, the groups were divided into two: one group caught up with their normal peers while the other group continued to show signs of expressive vocabulary delay. The receptive and expressive vocabulary test scores, including nouns and verbs, and a questionnaire regarding the child's living environment were analyzed. Result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with regard to receptive vocabulary ability,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observed between the initial assessment and reassessment in each group. However,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groups in receptive vocabulary ability. For expressive noun accuracy,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observed between the groups in the reassessment; the catch-up group showed higher parent's level of education and income level than the non-catch-up group; there were also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the groups in income level, and that between parent's level of education. Conclusion: The results suggest that children showed limited use of expressive vocabulary even with their good skills in receptive vocabulary. Overall the children with delayed expressive vocabulary development are likely to have trouble using expressive nouns. Even with a similar home background (multicultural families), socioeconomic status is still an important variable in vocabulary development. Additionally, language support appears to reflect the parent's income level and their level of education.

      • KCI등재

        The Phonological Similarity Pattern of Words Contributing to Expressive Vocabulary in 18- to 36-Month-Old Toddlers

        Yoonhee Yang(양윤희),Suyeon Park(박수연),Ye Eun Hong(홍예은),Suyeon Lee(이수연),Dongsun Yim(임동선)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19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24 No.3

        배경 및 목적: 본 연구에서는 표준화 검사인 ‘한국판 맥아더-베이츠 의사소통발달 평가(K M-B CDI)’를 사용하여 18-36개월 유아가 지닌 어휘를 통해 단어의 음운유사도 양상을 확인하고, 전반적인 표현어휘력을 가장 잘 설명해 줄 수 있는 음운유사도 유형은 무엇인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방법: 연구 1에서는 약 8개월간의 시간 차를 두고 음운유사도 양상을 살펴보고자 하였으며, 18-36개월의 총 18명의 유아들이 T1, T2에 각각 참여하였다. 연구 2에서는 일반아동과 말늦은 아동 집단 각각에서 음운유사도가 표현어휘력을 얼마나 유의하게 설명해 주는지 살펴보고자 하였고, 18-36개월의 총 151명 유아들이 참여하였다. 음운유사도 점수는 두 단어 간 음운론적 공유 비율에 따라 P1 (66%), P2 (75%), P3 (80%)으로 나누었다. 결과: 연구 1에서는 18-36개월 유아의 급격한 표현어휘의 증가에도 불구하고 단어 간 음소 공유가 상대적으로 적은 P1이 일관적으로 가장 좋은 예측인자로 나타났다. 연구 2에서 TD 집단의 표현어휘력은 P1, P3, P2 순으로 모두 유의한 설명력을 지녔으며, LT 집단의 표현어휘력은 P1이 유의한 설명요인으로 나타났다. 논의 및 결론: 적어도 만 3세까지는, 공유하는 음소가 더 적을 때 각 단어가 더 쉽게 구별되기 때문에 어휘를 산출할 때는 음운유사도가 상대적으로 낮은 조건이 더욱 기여도가 높을 수 있음을 시사한다. Objectives: In this study, the Korean MacArthur-Bates Communicative Development inventory (K M-B CDI), a standardized parent-report questionnaire, was used for analyzing the vocabulary development phonological similarity pattern of 18- to 36-month-old toddlers. Methods: We investigated the extent to which phonological similarity explains the expressive vocabulary according to the time differences in Experiment 1 and the group characteristics in Experiment 2. In Experiment 1, a total of 18 toddlers aged 18-36 months participated in this study. In Experiment 2, a total of 151 toddlers (typically developing children [TD]=134, late talkers [LT]=17) participated. Phonological similarity scores were calculated depending on the similarity rate between two words. Phonological similarity was divided into three conditions and defined as P1 (66%), P2 (75%), and P3 (80%). We obtained overall expressive vocabulary and phonological similarity through the K M-B CDI. Results: In Experiment 1, P1, which shares relatively fewer phonemes between words, seems to be the best predictor of overall expressive vocabulary consistently. In Experiment 2, all the phonological similarity conditions explained the overall expressive vocabulary scores in the TD group, but P1 was a significant explaining factor for expressive vocabulary in LT group. Conclusion: Although expressive vocabulary increased sharply, P1, which shares relatively fewer phonemes between words, consistently appeared to be the best predictor of overall expressive vocabulary. At least until the age of three, words with low phonological similarity are more easily distinguished, and this ability also seems to contribute to expressive vocabulary.

      • KCI등재

        영아초기 어휘발달의 특성:8~18개월 영아의 단기종단연구

        이지연,장유경 한국심리학회 산하 한국발달심리학회 2005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Vol.18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wo characteristics of early vocabulary development: the stability between 8 and 18 months of age,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receptive and expressive vocabulary. The total of 393 mothers and their infants participated in this study. We visited the infants' home at 8, 12, 15, and 18 months in age. And the ability of infants' language was measured by the vocabulary checklist.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nfant's vocabulary development showed stability of individual variation across ages. Especially, the correlation of same kind of vocabulary was higher than ones of different kind of vocabulary, and the stability was stronger, as age increased. Second, the number of vocabulary at 12 months could predict the language ability at 18 months. Finally, the receptive vocabulary could predict later the expressive vocabulary. The results implied that based on the number of vocabulary acquired in early infancy, we can expect and explain later language development. 본 연구는 영아초기 어휘 발달의 안정성과 표현어휘와 이해어휘 간의 관계를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393쌍의 어머니와 영아들을 대상으로 하였다. 8, 12, 15, 18개월에 영아의 가정을 방문하여 어휘체크리스트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첫째, 영아초기 어휘발달은 시간적으로 안정적이었다. 특히 이해어휘는 이해어휘와, 표현어휘는 표현어휘와 상관이 높고, 연령이 높아질수록 어휘들 간 상관이 높아지는 특징을 보였다. 둘째, 영아가 습득한 12개월 어휘 수는 18개월 어휘수를 예측할 수 있었다. 셋째, 이해어휘는 표현어휘의 발달을 예측할 수 있었다. 또한 월령별로 습득한 어휘 내용을 통해, 영아초기 어휘는 의사소통적 기능을 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영아초기 어휘발달은 안정적이며, 따라서 초기(12개월)에 습득한 어휘 수에 근거하여 이후 영아의 어휘발달을 예측할 수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 KCI등재

        재미 동포 미취학 아동의 계승어로서의 한국어 어휘 발달 연구* - 미동북부 지역 거주 만 4, 5세 아동을 중심으로 -

        이정희 국제한국어교육학회 2013 한국어 교육 Vol.24 No.1

        The aim of this paper is to evaluate the level of both receptive and expressive vocabulary developments for 4-5 years old Korean-American children acquiring Korean, and to investigate the factor affecting vocabulary development. The subjects for this study were 53 Korean-American preschool children living in Virginia of the states(30 children for 4 years old, 23 ones for 5 years old, and 59 months an average age of months), who were born in the States under Korean mothers and are residing in Virginia. The Receptive & Expressive Vocabulary Test was used in order to confirm the vocabulary development which is the very crucial element of the early literacy development and knowledge acquisition through an applicable language.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and oneway analysis of variance were conducted by SPSS/Win 19.0. For the result of these analyse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vocabulary score and both children's gender and age. The extent of using Korean for family and children have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 vocabulary score, and mother's age and mother's residential period in the States have negative correlation with it. In general, the vocabulary score of Korean-American children shows falling behind more than one year for native Korean children, but it can be no problematic figure, considering their English ability. Regarding the percentage of correct answers, it showed in order of adjectives, verbs and nouns for the accuracy of receptive vocabulary, and in order of verbs, nouns and adjectives for expressive vocabulary.(Kyung Hee University)

      • KCI등재

        2015 개정 중국어 교육과정의 기본어휘와 新HSK 3급 어휘 비교 연구

        장은영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어교육연구소 2020 외국어교육연구 Vol.34 No.2

        Through comparison between the basic vocabulary table of the 2015 revised Chinese curriculum and the HSK level 3 vocabulary, this study examined whether the level and content of Chinese learning in Korean secondary education are suitable for beginner level learners. First of all, there are 505 vocabularies that match the HSK level 3 vocabulary among the basic vocabulary table, which corresponds to about 57% of the basic vocabulary and 84% of the HSK level 3 vocabulary. Through this, it can be seen that the vocabulary contained in the basic vocabulary table generally matches the HSK level 3 vocabulary. Since the ratio of common vocabulary is high, the difficulty level of vocabulary for beginner Chinese learners in Korean secondary education is appropriate. However, the amount of vocabulary is in between HSK level 3 and level 4, indicating that they are learning more vocabulary than the beginner level. In addition, the common vocabulary appearing in the communication basic expression was about 39% of the total common vocabulary, and the life‐related expression was the most. Also, as long as through inconsistent vocabulary the Chinese language education conducted in the secondary education in Korea is aimed at beginner level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with, in addition to improving basic Chinese communication skills, it was found that the emphasis was placed on understanding China and Chinese people through words related to Chinese life, food, and culture. 본 연구에서는 2015 개정 중국어 교육과정의 기본어휘표와 新HSK 3급 어휘 비교를 통해 우리나라 중등교육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중국어 학습 수준과 내용이 초급 수준의 학습자에게 적합한지 등을 살펴보았다. 먼저, 기본어휘표 어휘 중 新HSK 3급 어휘와 서로 일치하는 어휘는 모두 505개로, 기본어휘의 약 57%, 新HSK 3급 어휘의 84%와 일치하는데, 기본어휘표 일러두기에 제시된 경우까지 포함하면 기본어휘표에 수록된 어휘들이 거의 대부분 新HSK 3급 어휘와 일치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처럼 공통어휘의 비율이 높다는 점에서 우리나라 중등교육과정에서 초급 중국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 어휘의 난이도가 적당하다고 할 수 있다. 다만, 어휘의 양은 新HSK 3급과 4급 중간 수준으로, 초급 수준보다 많은 양의 어휘를 학습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 외에도 의사소통 기본표현에 출현하는 공통어휘는 전체 공통어휘의 약 39%이며, 생활 관련 표현이 가장 많은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불일치 어휘들을 통해 우리나라 중등교육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중국어 교육이 초급 수준의 중·고등학생을 대상으로 한 만큼 기초적인 중국어 의사소통능력 향상 외에도 중국의 생활과 음식, 문화와 관련된 단어들을 통해 중국과 중국인을 이해할 수 있게 하는 데도 중점을 두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 KCI등재

        수용언어발달지체유아의 정서어휘표현 특성

        김선영 ( Kim Sun-young ),김지숙 ( Kim Ji-sook ) 대구대학교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2016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Vol.55 No.4

        본 연구는 수용언어발달지체유아의 정서인식 및 표현 능력 향상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 연구로 수용언어발달지체 유아의 정서어휘표현특성과 어머니가 인식하는 자녀의 정서어휘표현특성을 알아보았다. 이를 위하여 수용언어발달지체 유아와 부모 11쌍을 대상으로 부모 설문조사와 유아인터뷰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첫째, 수용언어발달지체유아의 정서어휘표현 빈도와 그들의 어머니가 인식하는 자녀의 정서어휘표현 빈도 비교에서 수용언어발달지체유아가 실제로 산출한 정서어휘 빈도보다 그들의 어머니가 인식하는 자녀의 정서어휘 빈도가 더 높았으며, 정서어휘종류에서도 유사한 경향이 나타났다. 또한 수용언어발달지체유아와 어머니의 정서어휘 표현 일치율을 살펴본 결과 75%이상인 수용언어발달지체유아와 어머니가 2쌍이었다. 둘째, 정서어휘표현 일치율에 따른 수용언어발달지체 어머니의 양육태도특성을 살펴본 결과 일치율이 높은 유아-어머니가 그렇지 않은 유아-어머니보다 민주적 태도, 긍정적 태도 평균 점수가 약간 높았고, 통제적 태도 평균점수에서 약간 낮았다. 이러한 결과는 수용언어발달지체 부모들이 자녀들의 정서를 명확하게 인식하고 적절하게 표현하도록 격려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점을 시사한다. This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motional vocabulary expression of the young child children with development-delayed receptive language and the emotional vocabulary expression as perceived by their mother. It is the basic research to develope the improvement program for the awareness and expression of emotion between the young children with development-delayed receptive language and their mothers. For this study, we sampled 11 pairs of young children and their mothers. We surveyed the 11 mothers and interviewed 11 young children.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ly, the children`s mothers were aware that their children could express the emotional vocabulary more than they actually expressed. It was not same as the type of the emotional vocabulary. In other words, the emotional vocabulary expression did not match up between the expression of the children and the awareness of their mothers. Two paris of children and mothers were 75% matched in the emotional vocabulary expression. Secondly, the mothers of the higher accordance rate gained more score than the other mothers in the liberal and positive attitude. However their score were lower in the control attitude. Therefore, the results suggest that it is necessary that parents understand specifically their children`s characteristics of the emotional vocabulary expression and they are encourage for their children to realize the feeling of their expression and to tell the expression.

      • 동화를 활용한 말놀이학습 프로그램이 정신지체 아동의 어휘력 향상에 미치는 효과

        이필상 한국청각언어장애교육학회 2014 한국청각·언어장애교육연구 Vol.5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effects of language-game program utilizing fairy tails to vocabulary of children with mental retardation. A language-game program utilizing fairy tales is applied to analyze an improvement of receptive and expressive vocabulary of mentally retarded children and the use of parts of speech in terms of receptive and expressive vocabulary. To achieve this, 3 students with mental retardation who were in the special education center of K university in D metropolitan city were selected as the subjects with parental consent. The experiment using a language-game program utilizing fairy tales was held in total 20 sessions. In the intervention period, the experiment was conducted with 5 fairy tales, 4 sessions per each fairy tale, including a reading every session. In the experiment a language-game program was conducted in 4 sessions by selecting 2 categories among 8 categories per session. In order to analyze the effect of the language-game program for children with mental retardation to vocabulary improvement, the receptive and expressive vocabulary examinations were carried out by dividing a preliminary and a posthumous. The result was analyzed by presenting a raw score and an age equivalent. The result is as follows: First, a language-game program utilizing fairy tales had a positive influence on receptive vocabulary of mentally retarded children. Second, a language-game program utilizing fairy tales had a positive influence on expressive vocabulary of mentally retarded children. In conclusion, a language- game program utilizing fairy tales had a positive influence on improvement receptive and expressive vocabulary and the frequency of parts of speech utilization in terms of receptive and expressive vocabulary of mentally retarded children. 본 연구는 동화를 활용한 말놀이학습 프로그램이 정신지체 아동의 어휘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동화를 활용한 말놀이학습 프로그램을 적용하여 정신지체 아동의 수용 및 표현 어휘력의 향상을 알아보고, 수용 및 표현어휘의 사용에 있어서 품사의 활용 향상에 대한 효과를 구체적으로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D광역시의 K대학교 특수교육센터에 다니는 정신지체 아동 중 정신지체로 진단받고 부모의 동의를 얻은 아동 3명을 대상으로 동화를 활용한 말놀이학습 프로그램을 20회기 동안 적용하였다. 중재 단계에서는 다섯 편의 동화를 각 동화 당 4차시로 나누어 매 회기마다 1회씩 읽어주고, 말놀이학습 프로그램은 8가지 유형 중에서 매 회기마다 2가지 유형을 선정하여 4차시로 나누어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동화를 활용한 말놀이학습 프로그램이 정신지체 아동의 수용어휘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정신지체 아동의 표현어휘력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결론적으로 정신지체아동을 대상으로 적용한 말놀이학습 프로그램이 수용 및 표현어휘력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수용 및 표현어휘의 사용에 있어서 품사 활용 빈도의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