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바닷가 공간관리정책의 결정모형 설계에 관한 연구

        이종환(Lee, Joung Hwan),김기승(Kim, Gi Seung),최규명(Choi, Kyu Myeong) 한국지적정보학회 2014 한국지적정보학회지 Vol.16 No.1

        본 연구는 바닷가 공간관리정책의 개념을 정립하고 현재 수행되고 있는 바닷가 관련 정책의 결정요인을 살펴본 후, 바람직한 바닷가 공간관리정책의 결정모형을 설계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바닷가 공간으로 한정하고, 내용적 범위는 바닷가 공간관리정책의 의의 및 구성체계, 변화 그리고 결정모형의 설계로 설정하였다. 조사방법은 주로 문헌조사를 통한 2차 자료를 수집하여 개념적 논의 대상과 요인을 도출하고, 바닷가 공간관리정책의 분석모형을 설계하였다. 바람직한 바닷가 공간관리정책의 결정모형은 정책변수, 집행변수, 환경변수로 구성된다. 그 내용을 보면, 첫째, 정책변수는 바닷가 공간관리정책 자체에 해당하는 것으로 정책이 도입된 목표와 내용을 포함하고 있으며, 정책요인, 집행조직 요인, 정책대상 요인으로 구성하였다. 구체적으로 정책요인은 정책목표와 제도의 정합성으로, 집행조직 요인은 정책기관 담당자와 조직의 규모로, 정책대상 요인은 정책집단의 특성과 정책대상의 중요성으로 구성하였다. 둘째, 집행변수는 바닷가 공간관리정책을 집행하는 과정에서 필요한 정보화, 의사결정, 네트워크를 말하며, 구체적으로 정보화 요인은 시스템의 혁신성으로, 의사결정 요인은 접근경로로, 네트워크 요인은 조직간의 협력구조로 구성하였다. 셋째, 환경변수는 바닷가 공간관리정책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적, 경제적, 정치적 상황의 변동을 의미하며, 구체적으로 사회적 요인은 이해관계자로, 경제적 요인은 예산편성으로, 정치적 요인은 주민참여로 구성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ablish the concept of seaside spatial management policy and suggest the model analyzing elements that affect the seaside spatial management policy. To accomplish this goal, the study object was the seaside space and the content scope was limited to the meaning and composition system of the seaside spatial management policy, change of paradigm, and design of determinant model. The research method was carried on through collecting the secondary data by literary review, deducted conceptional object, and designed determinant model of the seaside spatial management policy. The Determinant model of seaside spatial management policy has set the policy variable, execution variable, and environment variable as the independent variables and the seaside spatial management policy as the dependent variable. The content is as follows. First, the policy variable is the seaside spatial management policy itself, including the objective and content as well as being composed of the policy factor, executive organization factor and policy object factor. To be more specific, the policy factor, the execution organization factor, and the execution organization factor were composed of consistency of the policy objective and system, the person in charge of the policy institution and size of the organization, and the characteristic of the policy group and the importance of the policy objects respectively. Second, the execution variable means the informationization, decision making and network needed during the procedure which is executing the seaside spatial management policy. In detail, the informationization factor, the decision making factor, and the network factor were composed of the innovativeness of the system, the approaching route and the cooperative structure between organizations respectively. Third, the environment factor means the change of the social, economical and political situation that affects the seaside spatial management policy. Specifically, the social factor, the economic factor, and the political factor were composed of the person concerned, the budget organization, and the citizen"s participation.

      • KCI등재

        아동의 집행기능곤란 잠재계층과 정서행동문제 간 관계 및 영향변인 검증: 성장혼합모형(Growth Mixture Model)의 적용

        하문선(河文善) 서울대학교 교육연구소 2021 아시아교육연구 Vol.22 No.4

        본 연구는 아동의 집행기능곤란에 대한 발달궤적을 파악하고, 다양한 잠재계층과 결과변인 및 영향변인 간 관계를 살펴보기 위해 수행되었다. GMM 적용결과, 집행기능곤란에 대한 잠재계층은 최종 4개 집단으로 증가 집단, 저수준 유지 집단, 감소 집단 및 고수준유지 집단으로 분류되었다. 또한 잠재계층에 따라 정서행동문제 수준에 차이가 나타나는지 살펴본 결과, 집행기능곤란 증가 집단과 고수준유지 집단은 저수준유지 집단 보다 행동문제와 과잉행동·부주의 문제 수준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잠재계층 분류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을 검증한 결과, 특히 남아이거나 온정적 양육행동 수준이 낮을수록, 혹은 불안·우울 수준이 높거나 자아존중감이 낮을수록 집행기능곤란에 있어서 고수준유지집단에 속할 가능성이 높았다. 본 연구는 아동기 집행기능곤란에 있어서 고위험군 아동의 집단별 특성에 따라 차별적 개입 방안을 마련할 수 있다는 점에 실증적 함의점이 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이 논의되었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developmental trajectory of children’s executive dysfunction and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various latent classes, outcome variables, and influencing variables. As a result of GMM application, the latent class for executive dysfunction was classified into four final groups (increasing group, low-level maintenance group, decreasing group, and high-level maintenance group). Also, as a result of examining whether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level of emotional and behavioral problems according to the latent class, the increasing group and the high-level maintenance group were higher in the behavioral problem and hyperactivity/inattentive problem level than the low-level maintenance group.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variables influencing the classification of the latent class, in particular, the more boys than girls, the lower the level of compassionate parenting behavior, the higher the level of anxiety/depression, and the lower the self-esteem, the higher the likelihood of belonging to the high-level maintenance group. This study has empirical implications in that differential intervention strategies can be prepared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each group of high-risk children for executive dysfunction in childhood. Finally, the significance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 KCI등재후보

        Original Analysis : Aligning Executive Scanning with Strategic Management: The Stages of Executive Scanning Process in Healthcare Organizations

        서원식 ( Won S. Suh ) 한국병원경영학회 2007 병원경영학회지 Vol.12 No.2

        The thrust in this paper is to discuss the dimensions of executive scanning process (ESP) that support continuous scanning activities by executives. Executive scanning is especially important for the healthcare organizations in these days since the environment they are faced with is extremely complex and dynamic. While much has been written about ESP, two important aspects have been underemphasized in the past. The first is a link to the strategic management process (SMP) or the issue of strategy-scanning alignment. The second is a feedback loop to verify the quality of information generated through scanning process. This paper discusses the improved ESP by adding these two features.

      • KCI등재후보

        경영자 보상의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김성갑 ( Kim Seong-gab ),이진수 ( Lee Jin-soo ),서정구 ( Seo Jeong-gu ) 한국세무회계학회 2017 세무회계연구 Vol.0 No.53

        본 연구는 경영자 보상을 총 보상, 현금보상, 스톡옵션 보상으로 나누어 이러한 경영자 보상을 결정하는 요인이 무엇인지 실증 분석 하였다. 표본의 구성은 2009년~2016년 유가증권 시장에 상장된 제조 기업을 대상으로 기업특성을 재무적 특성, 수익적 특성, 성장성 특성, 통제변수로 나누어 이러한 기업특성 변수들과 경영자 보상과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경영자 보상 중 총 보상과 현금보상은 재무적 특성중 기업의 총자산이 증가할수록 유동비율과 부채비율이 감소할수록 증가하며, 수익적 특성으로는 ROA, WAGE, CFO가 감소할수록 ALT, RET가 증가할수록 증가하며, 성장성 특성으로 총자산 증가율이 감소할수록 증가하는 결과를 보였다. 둘째, 스톡옵션 보상은 재무적 특성중 기업의 총자산이 증가할수록 유동비율이 증가할수록 증가하며, 수익적 특성으로는 CFO가 감소할수록 증가하며, 성장성 특성으로 매출액 증가율이 증가할수록 종업원증가율이 감소할수록 증가하는 결과를 보였다. 본 연구의 공헌점은 경영자 보상을 총 보상, 현금보상, 스톡옵션 보상으로 나누어 이러한 보상의 결정요인을 분석하였으며, 제조기업의 경영자 보상체계에 대한 이해도를 제고 할 수 있다는 것이며, 본 연구의 주제와 관련한 법 제정과 기업의 보상체계를 결정하는데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된다. This study divided management compensation into total compensation, cash compensation, and stock option compensation. We analyze the factors that determine manager compensation. The period of the sample is from 2009 to 2016. And the manufacturing companies listed on the securities market are includ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firm are divided into financial characteristics, profitability characteristics, growth characteristics, and control variables. We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se characteristics and manager compens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n terms of total compensation and cash compensation, with respect to financial characteristics, total compensation and cash compensation increase as the total assets of the firm increases, as the current ratio and the debt ratio decrease. For profitability characteristics, total compensation and cash compensation increase as the ROA, WAGE, and CFO decrease, the ALT and RET increase. For growth characteristics, total compensation and cash compensation decrease as the growth rate of total assets increases. Second, in terms of stock option compensation, with respect to financial characteristics, as the total assets of the firm increases and as the current ratio increases, stock option compensation increases. For the profitability, as the CFO decreases, the stock option compensation increases. For growth, as the sales growth ratio increased and as the employee growth rate decreased, stock option compensation increased.

      • KCI등재

        L2 학습자의 인지적 변인과 습득 간의 관계에 대한 연구 고찰

        김영주 한국언어문화교육학회 2018 언어와 문화 Vol.14 No.1

        This study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L2 learning and learners' cognitive variables, and figured its research trend and issues. Studies on language aptitude, working memory, and executive functioning were selected and reviewed. Most studies revealed the advantages of high language aptitude, high working memory, and high executive functioning on L2 learning (explicit or implicit), feedback intake (explicit feedback or recast), and language skill (reading, speaking, listening, pronunciation, vocabulary, grammar, and speech act) accomplishment and so on. However, this study claimed that more study results should be accumulated to provide solid research results of cognitive variables on detailed areas of L2 learning, and proposed future research issues. Especially in research of L2 Korean learners, cognitive factors have been rarely studied and restricted in their topic. More research should be implemented to draw their own results on L2 Korean learners that shed light on understanding L2 Korean learners and help find better teaching and learning methodology.

      • KCI등재

        부모의 심리적 변인과 아동의 문제행동 및 집행기능의 관계에서 양육스트레스의 매개효과

        홍길회,문소라 한국아동권리학회 2019 아동과 권리 Vol.23 No.3

        Objectives: This study aims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s of mother’s parenting stres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s psychological variables, children’s problem behavior, and executive function. Methods: 1,556 children from 84~92 months of age and their parents using 8th year data of Panel Study on Korean Children at the Korea Institute of Child Care and Education were analyzed. Results: First, a significant difference was discovered in depression among the psychological variables of fathers and mothers. Second, based on the correlation analysis of parent’s psychological variables, children’s problem behavior, and executive function difficulty, both parents had a negative correlation in subjective happiness, and a positive correlation in depression and parenting stress. Third, mother’s parenting stress had partial and full mediating effect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mother’s depression, marital conflicts, and children’s problem behavior. Fourth, mother’s parenting stress had mediating effect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mother’s subjective happiness, depression and marital conflicts, and children’s executive function. Conclusions: This study discusses a direction for the recovery of parent’s psychological positivity, as well as early intervention and prevention for children’s problem behavior and executive function. 연구목적: 본 연구는 부모의 심리적 변인과 아동의 문제행동 및 집행기능의 관계에서 어머니 양육스트레스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데 목적이 있다. 방법: 육아정책연구소의 한국아동패널 8차년도 데이터를 사용하여 84개월∼92개월 아동 1,556명과 그의 부모를 대상으로 하였다. 자료분석은 기술통계치 외의 t-test, Pearson의 상관관계 분석 및 매개 회귀분석, Sobel-test를 실시하였다. 결과: 연구결과 첫째, 아버지와 어머니의 심리적 변인 중 우울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부모의 심리적 변인과 아동의 문제행동 및 집행기능 곤란의 상관관계 분석 결과 부모 모두 주관적 행복감은 부적상관이, 우울과 양육스트레스는 정적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어머니의 우울 및 부부갈등과 아동의 문제행동 사이에서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는 부분매개 및 완전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어머니의 주관적 행복감, 우울, 부부갈등과 아동의 집행기능 사이에서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는 모두 완전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이상의 결과를 기초로 부모의 심리적 긍정성을 회복하고 아동의 문제행동과 집행기능의 조기개입 및 예방을 위한 방향에 대해 논의하였다.

      • KCI등재

        법인(法人)과 집합건물 관리인과 관리위원의 자격

        김영두 한국집합건물법학회 2022 집합건물법학 Vol.42 No.-

        The manager of condominium is a representative of the unit owners’ association of condominium. The unit owners live together in condominium building, form the unit owners’ association and manage the building together. A manager shall exercise leadership for all members with responsibility as a representative of the unit owners’ association and should listen to the unit onwers’ opinions while communicating with them. However, if a corporation becomes a representative, it is unclear who should be responsible for the decision of the corporation, because not only representative but also general meetings, audits, and bylaws affect the judgments made by corporation. It is difficult to expect the corporation itself to lead unit owners’ association with leadership. For this reason, it is generally accepted that a corporation cannot become a director or a representative of a legal entity in Korea. Therefore the manager of condominium needs not be a unit owner, but must be a natural person. Whether a corporation can be a manager is closely related to the question of whether a management company can be a manager. In order for a management company to become a manager, a corporation should be allowed to be a manager. However, regardless of whether a corporation can be a manager, a management company should not a manager. The management company is a contract party of a management contract with the unit owners’ association, and if the contract party that enters into the contract with unit owners’ association becomes the representative of it, the interests of unit owners’ association and the management company conflict. A corporation can be a management committee member of condominium? Since the Condominium Act stipulates that only the unit owner can be a management committee member and does not allow the representative of the corporation which is a unit owner to be a management committee member. a corporation which is a unit owner can become a management committee member. However, even if a corporation can be a management committee member, it is necessary to stipulate in Condominium Act that a corporation should designate a person to perform the affairs of the management committee and notify the unit owners’ association. Otherwise, the Condominium Act should stipulate that if a corporation is a unit owner, the representative of the corporation or a person designated by the corporation can be a management committee member on behalf of the corporation. Regardless of whether a corporation can be a management committee member, a management company cannot be a management committee member, considering that the representative or employees of a management company cannot be a management committee member. 관리인은 구분소유자로 구성된 관리단의 대표자이다. 구분소유자들은 집합건물이라는 공간 속에서 공동생활을 하며 관리단을 구성하여 함께 건물을 관리하면서 건물을 통하여 각자의 목표를 실현시키고자 노력한다. 관리인은 관리단 구성원의 대표자로서 책임감을 갖고 모든 구성원을 위하여 리더십을 발휘해야 한다. 구성원들과 소통하면서 구성원들의 의견에 귀 기울여야 한다. 그런데 만약 법인이 대표자가 된다면 법인의 판단에 대해서 누가 책임을 져야 하는지 책임소재가 불분명하게 된다. 법인이 내리는 판단에는 이사뿐만 아니라 사원총회, 감사, 정관이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법인 자체가 리더십을 갖고 관리단을 이끌어가기를 기대하기도 어렵다. 이런 이유 때문에 우리나라의 민법상 사단법인과 상법상 회사에 관한 논의에서도 법인은 이사가 될 수 없다는 견해가 다수설을 차지하고 있다. 따라서 관리인은 구분소유자일 필요는 없지만, 자연인이어야 한다. 법인이 관리인으로 선출될 수 있는지 여부는 위탁관리회사가 관리인으로 선출될 수 있는가 하는 문제와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다. 위탁관리회사가 관리인이 되기 위해서는 법인도 관리인이 될 수 있다는 전제가 성립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그런데 법인이 관리인이 될 수 있는지 여부와 상관없이 위탁관리회사는 관리인이 될 수 없다. 위탁관리회사는 관리단과 위탁관리계약을 체결하는 당사자인데, 관리단과 계약을 체결한 당사자가 관리단의 대표자가 된다면 관리단과 위탁관리회사의 이해가 상반되기 때문이다. 법인도 관리인이 될 수 있다는 근거로 일본에서도 법인이 관리자가 될 수 있다는 점이 언급된다. 그런데 우리나라 집합건물법상의 관리인과 일본의 구분소유법상의 관리자는 개념에 있어서 차이가 있다. 우리나라의 관리인은 관리단의 대표자이지만, 일본의 구분소유법에는 관리단과 같은 단체에 대해서 규정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구분소유자들의 대표자가 아니다. 관리자는 구분소유자들을 대리하여 건물을 관리하는 사람일뿐이다. 그렇기 때문에 일본에서는 법률로서 법인은 비영리법인이나 주식회사의 이사가 될 수 없음을 규정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법인이 관리자가 될 수 있다는 주장이 성립할 수 있다. 일본의 구분소유법은 구분소유자들이 관리조합법인이라는 법인의 설립에 대해서 규정하고 있는데, 그 법인의 이사장은 관리자에 해당하지만, 관리조합법인의 대표자이기 때문에 법인은 관리조합법인의 이사장이 될 수 없다고 본다. 이러한 여러 이유를 고려한다면 법인은 관리인이 될 수 없다고 보아야 한다. 법인이 관리인이 될 수 있는지 여부와 유사하게 법인이 관리위원이 될 수 있는지 여부도 문제될 수 있다. 집합건물법은 구분소유자만이 관리위원이 될 수 있다고 규정하고 있으므로 법인이 구분소유자인 경우에 이러한 문제가 발생한다. 관리위원은 관리위원회의 구성원이지만, 관리인과 마찬가지로 관리단의 임원에 해당하기 때문에 법인이 관리인이 될 수 없는 이유와 마찬가지로 관리위원이 될 수 없다고 보는 것이 타당하다. 그러나 집합건물법은 구분소유자만이 관리인이 될 수 있음을 규정하고 있고 법인이 구분소유자라고 해서 법인의 대표자가 구분소유자가 되는 것은 아니므로 법인의 대표자는 관리위원이 될 수 없다. 따라서 집합건물법의 규정에 따르면 법인이 구분소유자인 경우에 ...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