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조선 전기 對明 使行貿易의 교역지대와 구성원

        구도영(Koo, Do-Young) 강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7 인문과학연구 Vol.0 No.55

        조선은 15~16세기 동안 明 북경으로 연간 평균 약 4회, 많게는 8회까지 북경사행을 파견하였다. 또한 遼東都司와의 업무일환으로 遼陽에도 연간 수차례 요동사행이 오고갔다. 조선은 이 북경사행과 요동사행을 통해 명과의 합법적인 무역을 진행하였다. 북경사행은 다양한 장소에서 교역을 전개하였다. 북경에서는 조선사행이 머물렀던 숙소 회동관에서 會同館開市가 열렸다. 또한 북경성 朝陽門과 正陽門 인근 번화한 시장에서도 다양한 교역활동을 전개했던 것으로 보인다. 북경뿐만 아니라 중간기착지인 遼陽 등 使行이 경유하는 대도시에서도 무역을 행하였다. 요양에서는 조선사행 숙소인 懷遠館과 인근 시장을 중심으로 요동 관료 및 현지 상인과 다양한 교역을 진행하였다. 조선전기 대명사행의 구성원들은 명에서 교역할 수 있는 자격이 있다는 점에서, 그리고 실제 이들이 활발하게 교역활동을 전개했다는 점에서, 사행구성원에 대한 연구는 조선 대명무역을 이해하는데 선행되어야 할 작업이다. 조선 전기 각종 자료를 통해 확인되는 사행 구성원은 15세기 전반 15명 정도였다가 점차 증가하여 16세기에는 35명 내외로 파견되었다. 使臣은 譯官, 庶子, 富商大賈를 자제 군관이라 칭하고 데려가 무역을 행하는 경우가 많았으며, 자제 군관이 17명인 사행도 있었다. 문관출신 習讀官도 중국어 가능자라는 점에서 무역 활동이 용이하였다. 醫員은 사행기간동안 사행원의 질병을 치료하고, 약재 공무역을 담당하였는데, 이 과정에서 약재 사무역에 접근하기 용이한 위치에 있었다. 통사는 약 10여 명이 파견되었으며, 중국어도 가능하고, 공무역이 담당 업무인데다, 사행 경험이 많아, 명내 정보와 시장 동향을 가장 잘 알고 있었으므로 무역 활동의 주요 세력이었다. 조선 전기 통사는 권신들의 사무역도 대행해주는 등 빠듯한 업무를 소화하면서 법망의 안과 밖을 아슬아슬하게 오고 가며 급변하는 국내외 사회변동 속에 전개되고 있던 사행무역의 주역을 담당했다. The envoys to Peking developed trade from a variety of places. There opened Hoidong-kwan market at Hoidong-kwan(accommodation for foreign envoy) in Peking where Joseon envoy stayed. And they developed trade in the market nearby Choyang gate & Jeongyang gate. Trade was engaged not only in Peking but also in the metropolitan cities including such middle stopover as Liaoyang where envoys passed through. Various trade was processed at the Hoiwon-kwan, the accommodation of Joseon envoy, and Liadongsheng market in Liaoyang. The study on envoy members should be preceded for understanding the Joseon Trade against Ming Dynasty in that the members of envoys toward Mying Dynasty during the early Joseon Dynasty were qualified to trade in the Ming, and they actually developed active commerce activities. The envoy members who were confirmed to have been 15 persons through all kinds of materials during the early Joseon Dynasty, increased as more than 30 persons, which was extended to be more than 40 persons at the time of 16th century. It is estimated that the entire scale might have been from 70 to 100 envoys including the attendants who cared for envoys. In case of envoys, interpreters, children of a concubine and merchants with lots of capital were called military officers of self-control, and taken to trade in the vast majority of cases, while some public officers had no difficulty in trading activities because they were good at Chinese. Doctors of clinic were in charge of curing envoys` disease and public trade of medical stuff for the period of envoy, and in the process of this, they were in the position of approaching the private trade of medical stuff. About 10 translators were dispatched and they were able to speak Chinese with lots of experiences of envoy, being well-versed in the information & market trend in Ming, which meant that they were the main powers of trade activities.

      • KCI등재

        한국 고대 대외교역의 전개와 성격 변화

        김창석(金昌錫) 미술사연구회 2016 미술사연구 Vol.- No.31

        Foreign trade means exchange of goods that are regarded to have same value between the groups. The acts of foreign trade in South Manchuria and the Korean Peninsula are assumed to have begun during the Neolithic period at the latest. The command of the unit group has led the trades, and Silent trade is believed to be attempted as a way of overcoming various problems that can possibly happen during the contact with other groups. Such early trading patterns continued throughout the Bronze Age and until the time when small and big polities evolved in each place based on village communities. The head of villages or of polities conducted the foreign trade as the person in charge even when sending the representatives. The early trading began between the groups with the reciprocal notion which is mutual exchange of needed products. The ‘need’ here means not only economical but complex needs including social and religious ones. In East Asia, private traders can be found from the late 8th century. They were indeed active before that, but their trading was aiming at the polities of the pre-centralized system, or was in the form of smuggling trade. For Tang dynasty and Silla, the centralized system was shaken after the late 8th. century, thus control of the private traders activities became merely nominal.

      • KCI등재

        조선 전기 요동에서 사행(使行) 호송군(護送軍)의 역할과 국제무역의 경계

        구도영(Koo Doyoung) 동북아역사재단 2017 東北亞歷史論叢 Vol.- No.58

        본 연구는 조선 전기 조선 의주와 요동의 요양을 오간 조선 호송군에 주목하여, 호송군의 활동을 파악하고 그간 상대적으로 소홀했던 조선 전기 변경사 연구의 지평을 확장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조선 전기 조명외교에서 호송군이란 명(明)의 북경(北京)으로 떠나는 조선사행단을 의주에서 요양까지 보호하기 위해 파견된 군부대를 일컫는다. 15세기 의주에서 연산관에 이르렀던 요동 지역 일대는 명의 영토가 아니라 조선과 명사이의 국경 완충지대로 존재하였으므로 도적의 습격에서 조선 사행단을 보호할 군인이 반드시 필요하였던 것이다. 호송군은 조선 대명 사행단의 안전을 확보하기 위한 필수인력이었으며, 동원된 규모 역시 상당하였다. 호송군은 평안도민에서 선발하였다. 하나의 사행마다 호송군을 50~100여 명 정도만 동원해야 했지만, 실제로 많게는 1,000여명까지 동원하는 등 호송군 수는 북방 성식의 상황과 사신의 품계에 따라 가변적이었다. 동원 기간을 살펴보면, 하나의 사행단을 호송하기 위하여 평균적으로 대략 2개월 남짓한 시간이 소요되었으므로 15세기에는 호송군 인력을 거의 일 년 내내 동원해야 했다. 시기를 가리지 않은 호송군 동원은 백성들의 경제적 손실을 가져왔고, 이는 해당지역 백성의 동요로 이어질 수 있었다. 조선 조정은 농번기를 가리지 않고 동원함으로 인해 발생하는 호송군의 경제적 피해를 보상해주고자 이들에게 요동에서의 국제무역을 허가하였다. 명과의 사무역을 강력히 통제하였던 조선 조정의 대외무역 정책을 참고하면 이는 매우 이례적인 조치였다. 조선 전기 요동에서 사무역으로 경제적 이익 획득이 가능하다고 합법적으로 고시된 자들은 호송군이 유일하였다. 호송군은 중앙 권력에 접근하지 않아도 요동에서 국제무역의 가능성이 부여된 유일한 조선 백성이었던 것이다. 이는 조선 조정이 명과의 무역을 엄금하는 국가 기조 속에서도 대명외교와 국방을 맡고 있는 평안도민의 안정을 중시하였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다. 요동에서 중국인과 합법적으로 무역할 수 있었던 경험의 오래된 축적은 호송군이 조선의 백성들 가운데 누구보다 국제무역에 익숙하게 하였을 것이다. 또한 호송군은 요동 지역을 수시로 왕래하며 요동의 지리와 생활환경 등에 대해 누구보다 많은 정보를 획득하고 경험했으며, 달적의 습격에 대한 대처 역시 누구보다 능숙해졌다. 호송군 임무로 요동의 정보와 지리에 익숙해진 이들은 15세기말 조선과 요동 지역의 유통경제 발달과 명의 요동팔참 장악 확대로 거주의 안정성이 확보되자, 요동으로의 이주와 불법무역을 추동하는 세력이 되었다. 의주인이 요동에서의 불법무역을 기회로 포착할 수 있었던 것은 호송군으로서 요동무역을 경험하고, 외국인 명에 대한 정보력을 축적했기 때문에 가능한 일이었다. 호송군 중 일부는 그들이 가진 요동 정보를 이용하여 더 나은 삶을 꿈꾸었다. 그것이 요동으로 이주를 선택하게 하거나, 조선과 명 모두가 국초부터 절대불가의 영역으로 지정하였던 불법무역의 금단을 허물게 하였으며, 16세기 조선의 국제무역을 성장시킨 하나의 물꼬가 되었다. 조선 전기 중앙과 중앙이라는 테두리를 넘어 변경인으로서 조선 사회의 또 다른 변화를 재생한 주체가 요동의 왕래자 호송군이었다는 점을 주목해야 할 것이다. The escort soldiers in diplomacy between the Ming Dynasty and the Joseon Dynasty were sent to protect the Joseon government envoys traveling to Beijing from Uiju to Liaoyang during the early Joseon Dynasty. These soldiers were required for securing the safety of the Joseon Dynasty envoys traveling to Ming, and the scale of an embassy was large. The soldiers were recruited from residents in Pyeongan Province. As many as from fifty to 100 soldiers had to be mobilized for each envoy. However, in actuality, more than 1,000 soldiers were mobilized, and that number differed according to the situation in the northern areas. In addition, it typically took more than two months to escort the embassy to Beijing. Soldiers were mobilized regardless of the busy farming season. The Joseon government permitted trade in the Liaoyang area in order to compensate for the economic damage caused by the soldiers. Considering that the Joseon government’s policy toward foreign trade strongly controlled private trade with Ming, these were exceptional measures. These soldiers were the only Joseon people authorized to engage in international trade in the Liaodong area despite their not having approached the central government. The consistent accumulation of experience through which they could legally trade with Chinese in Liaodong led these soldiers to become more accustomed to international trade than any other Joseon people. Furthermore, the soldiers frequently visited the Liaodong area and obtained more information, such as the geography and the life environment in Liaodong, than other Koreans, which made them skilled in coping with attacks by bandits. Some soldiers who became acquainted with information and geography in the Liaodong area sought a better life by utilizing their own knowledge of the region. They chose to emigrate to Liaodong or broke the prohibition against illegal trade with the Ming Dynasty that had been enforced from the beginning of the Joseon period. They opened the gate for developing Joseon’s international trade in the sixteenth century. Thus it should be noted that subjects who made changes as marginal people included these soldiers who visited Liaodong.

      • KCI등재

        조선후기 절사의관에 대한 연구

        박훈평(Hun-Pyeong Park) 한국의사학회 2018 한국의사학회지 Vol.31 No.1

        Understanding the purpose and results of a Korean Envoy s medical bureaucrat(attendant)travel to China. Unlike other Envoy medical bureaucrats, envoy s trade made profits for those who participated. This article investigates the protocols of a Korean Envoy’s medical attendant which include:(1)A prominent family member or high-ranking official does not participate in the Envoy smedical bureaucrat, either himself or his descendants. This denies the general theory that the medicinal material trade helped the economic status of medical officials. (2) Envoy s medical bureaucrat is a high percentage of interpreter bureaucrat in the households of father mother, and wife. This suggests that the information about the envoy schedule and the benefit of the envoy may have been exposed nadvanc.

      • KCI등재후보

        19세기 후반 대청(對淸) 사신의 파견과 역할-전통적 외교의 지속과 변용의 측면을 중심으로-

        김창수 충북대학교 중원문화연구소 2022 중원문화연구 Vol.30 No.-

        This study aims to pay attention to how envoys, a traditional diplomatic method, was operated in the new international order in the late 19th century. First, among the regulations of “Regulation for Transportation and Trade between Korea and China”, the part related to the dispatch of envoys was reviewed. This is because the “Regulation for Transportation and Trade between Korea and China”, which was created in the 19th year of King Gojong's reign, also included information on the diplomatic methods of both Joseon and Qing. Second, in the late 19th century, the frequency of sending envoys is identified. After the Manchu Invasion of Korea, Joseon sent high-ranking officials and interpreters as envoys. Third,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the purpose of the dispatch of envoys. Amid various domestic and international political events in the late 19th century, the mission of envoys is an important point in grasping the role and function of envoys at that time. Through the above analysis, the role of envoy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Joseon and Qing in the late 19th century will be identified. Through this, I would like to reveal the aspects in which existing practices continue and change in a new international order.

      • KCI등재

        조,일간의 교역품이 조선의 복식문화에 미친 영향(1) - 일본으로 부터의 수입품을 중심으로 -

        이자연 ( Lee Ja Yeon ),박춘순 ( Park Chun Sun ) 한국의류산업학회 2003 한국의류산업학회지 Vol.5 No.4

        This study is to research the influence of Caesalpinia sappan which was imported through the exchanges between the Chosun dynasty and Japanese envoys during the early Chosun dynasty. Korea interchanged politically and culturally with Japan since ancient times. Particularly, the good-neighbor foreign policy toward Japan grew into trade relations. The diplomatic mission, under the name of Tongshinsa, was dispatched 12 times in total. Plenty of goods were exchanged through the visiting of Japanese envoys as well as through the activities of Korean envoys. In other words, the Korean-Japanese relations were at first focused on the political and diplomatic etiquette and gradually evolved into economic exchanges. Trading goods were various, including food, clothing, etc. Caesalpinia sappan, a red dye, was the most imported goods from Japan, but it was sold at a very high price, which caused luxurious trends in clothing. However, these sumptuous moods of the upper classes were decreased in the 16th century. Some of the reasons are : the difficulties of Japan`s trade with the Caesalpinia sappan producing countries in South-east Asia, the transition of the high classes` preference from red clothing into Chinese BaecSa and SaraNeungDan, and the comparative decrease in the demand of Caesalpinia sappan by the changed understanding of Honghwa. Therefore, the early Chosun dynasty`s clothing trends were due to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Chosun dynasty and Japan.

      • KCI등재

        조선시대 용뇌(龍腦)의 의료적 활용과 유통

        권기석 대한의사학회 2024 의사학(醫史學) Vol.33 No.1

        용뇌는 독특한 효능을 가지고 있는 향료이자 약재였지만 열대 동남아시아에서만 생산되어 국제적인 교역을 통해서만 얻을 수 있는 특징이 있었다. 또한 원료 식물과 가공 방식이 다르지만 물질적 특성이 유사한 장뇌가 개발되어 용뇌의 저렴한 대체품으로 유통되었다. 조선에서도 용뇌와 장뇌를 서로 별개의 약재로 인식하고 고급품인 용뇌를 입수하고자 노력하였다. 용뇌는 염증과 통증을 완화시키고 막힌 것을 통하게 하는 독특한 효과가 있어서, 다양한 질병에서 증상을 완화시킬 목적으로 널리 활용될 수 있었다. 조선시대 용뇌는 대외교역을 통해서만 구할 수 있는 희귀한 물품으로서 향료와 방충 등의 용도로도 쓰였으나 의약품으로 가장 널리 사용되었다. 용뇌를 왕실 가족에게 실제 처방한 기록이 다수 확인되며, 의학서에도 용뇌를 사용한 의약품과 유효한 증상이 다수 기재되어 있다. 용뇌는 조정 관료에게 매년 섣달에 ‘납약(臘藥)’을 나누어주는 관행에 힘입어 널리 조선 사회에 확산될 수 있었다. 납약은 평소에는 보관해 두었다가 필요할 경우에 언제든 편리하게 쓸 수 있는 ‘상비약’ 용도였는데, 다양한 증상에 적용 가능한 용뇌가 들어간 환약이 이런 목적으로 활용되기에 적합했다. 용뇌는 적지 않은 의료적 수요에도 불구하고 전량을 수입에 의존하는 ‘당약재’ 중 하나였다. 조선시대 용뇌는 중국과 일본을 통해서 수입되었는데, 진품 용뇌는 구하기 어려워 사행무역의 예물로서 유입되는 경우가 많았다. 장뇌도 함께 유입되었을 것으로 생각되지만 국가적인 수요를 반영한 관찬 기록이나 의학서에는 잘 언급되지 않는다. 국가적인 수요나 의학적 효능의 극대화를 위해서는 고급품인 용뇌의 확보를 우선적으로 추구했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17세기 전반에는 명과의 사행로가 불안해짐에 따라 해로를 통해서 용뇌를 수입해야 했고, 그 결과 물량 확보와 품질 관리에 문제가 생기면서 일본산 용뇌에 대한 국가적 관심이 일시적으로 높아지기도 했다. 그러나 대청 관계가 안정되면서 연례적인 사행 무역을 통해서 국가적으로 필요한 용뇌 등 당약재를 수입해 오는 체계가 정착되었다. 내의원에서 당약재 확보를 주관하되 비용은 호조에서 지급한 은을 사용하였다. 납제에 사용되는 당약재의 양이 적지 않았기 때문에 재정에 부담이 될 정도로 약재를 확보해야 했다. 당약재 물량 확보를 위해 내의원은 ‘납자’ 또는 ‘공물주인’ 등으로 불린 공납업자를 활용했는데, 이들의 출현은 용뇌를 비롯한 당약재 무역에 민간 상인이 적극 개입했음을 보여준다. 민간 상인의 활동에 따른 약재 시장의 형성은 용뇌의 유통과 활용이 널리 확대되는 데 크게 기여했을 것으로 여겨진다. Yongnoe(龍腦, borneol) was a fragrance and medicinal ingredient with unique efficacy. However, it was characterized by being produced only in tropical Southeast Asia and being obtained only through international trade. In addition, jangnoe(樟腦, camphor) with similar material properties was developed and distributed as an inexpensive replacement for yongnoe, although the processing method is different from that of the existing yongnoe. Even in Joseon, yongnoe and jangnoe were recognized as separate medicines, and efforts were made to obtain a high-quality product, yongnoe. Yongnoe has a unique effect of relieving inflammation, pain and heavy feeling, so it could be widely used for the purpose of treating symptoms in various diseases. During the Joseon Dynasty, yongnoe was a rare item that could only be obtained through foreign trade, and it was also used for perfumes and insect repellents, but it was most widely used as a medicine. There are many records of actually prescribing yongnoe to the royal family, and medical books also contain many medicines containing yongnoe and its effective symptoms. Yongnoe was able to spread widely in Joseon society thanks to the practice of distributing ‘nabyak(臘藥)’ to court officials every year in the twelfth month of the lunar canlendar. Since nabyak was used as a household medicine that was stored and used when necessary, pills containing yongnoe that could be applied to various symptoms were suitable for this purpose. Despite considerable medical demand, yongnoe was one of the dangyakjae(唐藥材), or Chinese medicines, that relied entirely on imports. During the Joseon Dynasty, yongnoe were imported through China and Japan, but genuine yongnoe was difficult to obtain, so they were often introduced as gifts of envoy trade. It is thought that jangnoe was also imported, but it is not well mentioned in official records or medical books reflecting national demand. Perhaps this is because the government prioritized securing high-end molten brain in order to maximize national demand or medical efficacy. In the first half of the 17th century, the route of envoys to the Ming Dynasty became unstable, forcing the import of molten iron by sea. As a result, there were problems securing supplies and quality control, and national interest in Japanese camphor temporarily increased. However, as the relationship with the Qing Dynasty stabilized, a system was established to import Chinese medicines, such as yongnoe, which was required nationally through the annual envoy trade. Naeuiwon(內醫院), the medical center for the royal family is in charge of securing and using Chinese medicines, but the cost was covered by the silver paid by Hojo(戶曹), the ministry of finance of Joseon Dynasty. Since the amount of Chinese medicines used in the preparation of nabyak was not small, it was necessary to import enough medicines to burden finances. The purveyors for government played a role in supplying Chinese medicines to the government. Their appearance shows that private merchants were actively involved in the trade of Chinese medicines, including yongnoe. The formation of the medicinal market by private merchants' activities greatly contributed to the widespread expansion of the distribution and use of yongnoe.

      • KCI등재

        조선 주재 러시아 공사 베베르의 부임에 관한 외교문서 분석

        김종헌,우준모 한국외국어대학교 국제지역연구센터 2017 국제지역연구 Vol.20 No.5

        At the end of the 19th century, Russia's national power was not enough to compete with other Western powers. Therefore, Russia could not hasten to conclude the 'Treaty of Protection and Trade' with Chosun, only after the United States, Britain, and Germany concluded a treaty, Russia was able to conclude the treaty. After the signing of the treaty, Russia was looking for a appropriate time to send its representative(envoy) to Chosun. This study examines the materials from archives of Russia and British and examines the international situation of Northeast Asia related to Weber's appointment as the first Russian envoy to Chosun. When the British occupied Hamilton Port in 1885, Russia decided to appoint Weber to Chosun. Russia tried to resolve the issue of British occupation of Hamilton diplomatically through Weber. The envoy Weber has made every effort to ensure that the Russia's interests are not infringed in Chosun and Northeast Asia, by proactively protecting and supporting Chosun.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hat the British occupation of Hamilton port brought Russia's active foreign policy toward the Chosun, and that is confirmed through official documentary sources. 19세기 말 러시아의 국력은 여타 서구 열강들과 주도권 경쟁을 펼칠만한 수준이 되지 못했다. 그로 인하여 러시아는 조선과 접경국임에도 불구하고 미국과 영국, 독일 등이 조선과 수교조약을 체결한 다음에서야 조러수호통상조약을 체결할 수 있었다. 조약 체결 이후에도 러시아는 자국 대표를 조선에 파견할 적절한 상황과 시점을 찾고 있었다. 이 연구는 러시아의 초대 조선 주재 공사 베베르의 부임에 얽힌 동북아시아 국제정세를 러시아와 영국의 고문서보관소 사료들을 발굴하여 분석한다. 1885년 영국이 해밀턴 항을 점령하자 러시아는 베베르 공사의 조선 파견을 결정했다. 러시아는 베베르를 통해 영국의 해밀턴 항 점령 문제를 외교적으로 해결하고자 했다. 베베르 공사는 조선에 대한 러시아의 적극적인 보호와 지원을 내세우며 조선을 비롯한 동북아시아에서 러시아의 이익이 침해받지 않도록 온갖 노력을 기울였다. 이 연구의 의의는 영국의 해밀턴 항 점령사건이 러시아로 하여금 적극적인 대 조선외교정책을 불러왔음을 공식적인 외교문서로 확인했다는데 있다.

      • KCI등재

        조선후기 연행사의 평양, 의주 인식

        권내현 한국고전문학회 2019 古典文學硏究 Vol.56 No.-

        Yeonhaengsa(the envoys to Qing) spent a relatively long time in Pyeongyang and Uiju before crossing the Yalu River. While touring scenic spots, they had the opportunity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the area associated with the relations with Qing. The traces of Gija(箕子) scattered in Pyongyang became an opportunity to realize that Sinocentrism was inherent in Joseon. Local literati in Pyeongyang also used Gija actively to establish their own growth and local identity. The northern area of Cheongcheon River, which had been devastated for a long time, after the Manchu war in 1636 began to flourish with the development of commerce. Watching the trading goods piled up in Uiju and Chaengmun(Zhamen) and activities of Uiju merchants, those who participated in Yeonhaeng confirmed the local identity related to the trade. Their observations did not lead to a structural understanding of the real problems. However, the records of travels to Qing provide much information in understanding the reality of the Pyeongan province community missing from the official documents. 연행사는 압록강을 건너기 전 평양과 의주에서 비교적 많은 시간을 보냈다. 그들은 명승지를 유람하면서도 대청 관계와 연관된 지역의 특성을 살펴볼 수 있는 기회를 가졌다. 평양에 산재한 기자의 흔적은 조선에 중화가 내재하여 있음을 자각하는 계기가 되었다. 평양의 사족들 역시 기자를 자신들의 성장과 지역 정체성 확립에 적극적으로 활용하였다. 호란 이후 오랫동안 피폐했던 청천강 이북 지역은 상업의 발달과 함께 번성하기 시작했다. 연행에 참여했던 인물들은 의주와 책문에 쌓여 있던 교역품과 의주 상인의 활동을 보면서 무역과 연관된 지역 정체성을 확인하고는 하였다. 그들의 관찰이 현실 문제에 대한 구조적 이해에 이른 것은 아니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연행록의 기록은 공문서에서 빠진 평안도 지역 사회의 실상을 이해하는데 많은 정보를 제공해 준다. 더불어 사행이 지역과 대청 관계에 미친 영향에 대한 단서도 부분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 KCI등재

        8世紀 後半 渤海의 對日本外交와 交易

        조이옥(Cho lee-Ok) 한국사학회 2006 史學硏究 Vol.- No.81

        8세기 후반 발해와 일본의 관계에 대한 기왕의 연구는 일본의 관점에서 정치중심의 외교에서 경제중심의 외교로 전환하였다고 보는 데에 초점이 모아지고 있다. 즉 石井正敏을 비롯한 일본학계의 연구는 764년 일본의 신라침공계획의 무산을 계기로 발해가 번국의 종속적 자세를 감수하면서 대규모 사신을 일본에 파견한 것은 경제적 목적에서 비롯된 것으로 보고 있다.<br/> 그러나 문왕대 후기에 해당하는 771년 이래 779년의 단기간에 발해가 5회의 사신을 일본에 파견하였고 그 규모도 180명에서 300명이 넘는 대규모였다. 특히 발해사가 지참한 국서의 내용과 관련하여 일본과의 외교적 마찰을 야기하는 등 발해는 시종 일본에 대하여 고압적인 외교자세를 견지하였다. 이렇게 8세기 후반 외교형식을 갖춘 대규모의 사신을 파견하였음은 발해의 대일본외교의 목적과 양상이 변화하였음을 의미하는 것이다.<br/> 요컨대 8세기 후반 대륙의 정세변화와 발해의 국가적 성장이라는 대내외적 환경의 변화로 인하여 발해는 일본보다 우월한 외교적 자세를 유지하면서 문화적 의례외교를 추진하는 동시에 대규모의 교역에 있어서도 주도적인 입장을 견지할 수 있었다고 생각된다. The many papers on the relations of Balhae-Japan in the later 8th century have mainly dealt with the conversion of the political diplomacy to the economic one from the Japanese point. In other words, it has been regarded as an economic reason that Balhae dispatched envoys on a large scale to Japan to talk over the trade issue when Japanese withdrew its devil design for invading Shilla.<br/> Balhae, however, dispatched the a large number of the envoys consisting of about 180 to 300 people to Japan five times within the short period of the later reign of king Moon from 771 to 779, It is notice-able that Balhae consistently took high-handed diplomatic policy even to cause the diplomatic friction with the sovereign's message born by a Balhae envoy. It means the change of Balhae's diplomatic policy toward Japan that Balhae dispatched a large diplomatic mission.<br/> Shortly, Balhae rapidly grew in the later 8th century and there was a change in both domestic and abroad situation. It is thought that it made Balhae lead the large scale trade with Japan as well as adopt a very uncompromising position on the diplomatic issu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