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Aggregate and Entity Approach in Partnership Taxation

        이강 한국조세연구포럼 2010 조세연구 Vol.10 No.2

        Taxing regimes of the United States are divided into three categories,that is, taxation for corporation, partnership and individual. Because S corporation and limited liability company (LLC) are basically taxed through partnership taxation, a lot of taxable entities are regulated under this taxation. It is difficult to apply because the Internal Revenue Code(I.R.C.) has only 36 sections about that, but related regulations are provided over about 250 pages. Partnership taxation is supported by two theories, that is, aggregate theory and entity theory. Aggregate theory is a kind of theory that states that partnership is only equal to the aggregate of partners. According to this theory, each partner is finally responsible for tax liability. In contrary, entity theory is a kind of theory that states that partnership exists separately regardless of its partners. Partnership taxation is basically based on aggregate theory. However, because it is not easy to establish a taxation system only with aggregate approach, both theories are included in a lot of provisions. So, to summarize key points of partnership taxation from the standpoint of aggregate and entity approach is helpful to understand. This is also helpful when we need to revise the provisions. Especially, because partnership taxation was enacted as a title of “Special Taxation for Partnership Firms” and has been effective since 2009 in South Korea, it is a task of great significance at this time to review the partnership taxation horizontally according to both theories. In this article, I would like to review and compare the legal attitude of U.S. law with Korean’s with respect to aggregate theory and entity theory in partnership taxation.

      • KCI등재

        Aggregate and Entity Approach in Partnership Taxation

        Lee Kang 한국조세연구포럼 2010 조세연구 Vol.10 No.2

        미국의 과세제도는 크게 C corporation에 대한 과세, partnership에 대한 과세, 그리고 개인에 대한 과세로 나누어볼 수 있다. S corporation과 최근에 유행하고 있는 LLC도 약간의 차이는 있지만 기본적으로 파트너십 과세제도를 이용하고 있기 때문에 널리 이용되고 있다. 파트너십 과세제도는 비록 조항 수는 36개 조밖에 되지 않지만, Regulation은 250여 페이지에 달하기 때문에, 적용시에 많은 어려움이 있는 제도이다. 파트너십 과세제도는 크게 두 가지 이론, 즉 집합론과 단체론에 의해서 구성된다. 집합론은 파트너십이 파트너들의 합일체에 불과하다는 이론으로서 결국적으로 파트너 개인이 종국적인 납부 책임을 지게 된다. 이에 반해 단체론은 파트너십이 파트너와는 별개의 단체로서 존재한다는 이론이다. 파트너십 과세제도는 개념적으로 집합론에 근거한 과제제도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집합론 자체만으로는 적절한 과세체계를 확립하기가 어렵기 때문에 현실적으로 단체론에 근거한 규정들이 상당수 혼재되어 있다. 따라서 이러한 집합론과 단체론의 관점에서 파트너십과세제도를 바라보는 것은 그 자체로도 파트너십 과세제도를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될 뿐만 아니라, 개별 사항에 대해 이를 입법적으로 어떻게 규율할 것인지를 판단하는 데에도 많은 도움이 된다. 특히 우리나라의 경우 조세특례제한법에서 “동일기업에 대한 과세특례”라는 제목하에 파트너십 과세제도를 도입하여 2009년부터 시행하고 있다. 따라서 집합론과 단체론의 관점에서 파트너십 과세제도를 횡적으로 고찰해 보는 것도 이 시점에서 의미있는 일이라 생각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미국과 한국의 파트너십 과세제도를 설립, 운영 및 분배와 회계문제로 나누어서, 각 부문에서 집합론과 단체론이 어떻게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Taxing regimes of the United States are divided into three categories, that is, taxation for corporation, partnership and individual. Because S corporation and limited liability company (LLC) are basically taxed through partnership taxation, a lot of taxable entities are regulated under this taxation. It is difficult to apply because the Internal Revenue Code(I.R.C.) has only 36 sections about that, but related regulations are provided over about 250 pages. Partnership taxation is supported by two theories, that is, aggregate theory and entity theory. Aggregate theory is a kind of theory that states that partnership is only equal to the aggregate of partners. According to this theory, each partner is finally responsible for tax liability. In contrary, entity theory is a kind of theory that states that partnership exists separately regardless of its partners. Partnership taxation is basically based on aggregate theory. However, because it is not easy to establish a taxation system only with aggregate approach, both theories are included in a lot of provisions. So, to summarize key points of partnership taxation from the standpoint of aggregate and entity approach is helpful to understand. This is also helpful when we need to revise the provisions. Especially, because partnership taxation was enacted as a title of “Special Taxation for Partnership Firms” and has been effective since 2009 in South Korea, it is a task of great significance at this time to review the partnership taxation horizontally according to both theories. In this article, I would like to review and compare the legal attitude of U.S. law with Korean’s with respect to aggregate theory and entity theory in partnership taxation.

      • KCI등재

        법인과 조세제도

        김기영 한국상사법학회 2009 商事法硏究 Vol.27 No.4

        The Government submitted the amendment draft of Commercial Law in 2008 to introduce Limited Partnership and Limited Liability Company. This is for the respond to the changing economic circumstances and the needs of new corporate entities which fit for the small company especially. On the other hand, the Partnership Taxation which will become effective on Jan. 1, 2009 was introduced to the tax law. The traditional structure for taxing income divides into two main classes - the individual income tax and the corporate income tax. The individual income tax is one level of tax, and the corporate income tax is two levels of tax. The traditional explanation for the original adoption of a corporate income tax is that developments in entity theory led Congress to consider the corporation, but not the partnership, as a taxpayer or "entity" separate from its owners. However, entity theory is not fit for the taxing income earned by legal entity. The main reason for taxing income earned by legal entity is the convenience. That is, the corporate income tax was thought to be a necessary mechanism for enforcing a comprehensive scheme of individual income taxation conveniently. Therefore, entity theory should be abandoned in the income taxation. Thus, Introduction of partnership taxation system is a landmark in the history of our income taxation system. This responds to the change of economic environment. A partnership serves as an conduit between a business and its owners, so the partnership entity is not taxed directly. However, that partnership taxation was introduced in the special tax treatment control law does not suit the taxation system because a pass-through taxation system is always not profitable for the partners. The main reason the conduit theory was adopted in the income tax law is taxing partners of entity like partnership under civil law directly in the economic substance. So, partnership taxation should be prescribed in the individual income tax law and corporate income tax law.

      • KCI등재

        신탁법상 신탁의 납세의무자

        백제흠(Baik Jeheum) 한국세법학회 2020 조세법연구 Vol.26 No.1

        우리나라의 신탁제도는 2011년 신탁법의 전면 개정에 따라 새로운 신탁유형의 도입 등의 규정이 포함되면서 크게 도약할 수 있는 제도적 발판이 마련되었다. 신탁거래에서도 일반 거래와 같이 신탁재산의 수익, 보유 및 이전과 관련하여 다수의 과세문제가 발생한다. 신탁의 과세문제는 전형적인 민사 또는 상사법리와 차별되는 영미법상 신탁 특유의 논리로 인하여 복잡성과 불확실성이 현저하고, 그중에서도 신탁거래의 납세의무자 판정은 신탁세제의 문제점이 전면적으로 등장하는 영역이다. 우리나라의 경우 개별 세법에 신탁의 납세의무자 규정이 있는 경우도 있지만 그 규정 자체가 체계적이지 못하고 세목별로도 일관된 법리가 형성되어 있지 않다. 나아가 과세관청에서는 신탁의 납세의무자 판정에 관하여 명의신탁에 폭넓게 적용되는 실질과세원칙을 적극 활용하여 과세하는 입장을 취하다 보니 다수의 조세분쟁이 양산되고 있고, 그 다툼의 해결을 주로 해석론에 의지하고 있는 실정이다. 신탁의 납세의무자가 구체적 사실관계에 따라 각기 다르게 판정된다면 신탁거래에 대한 과세의 불확실성을 높이는 것이 된다. 우리나라의 현행 신탁세제는 기존 신탁의 과세문제는 물론 새로운 신탁유형의 과세문제를 해결하기에는 부족한 점이 많은바, 이 글에서는 신탁세제의 납세의무자에 대한 예측가능하고 합리적인 개선방안을 제시하기 위해서 신탁의 민사법적 본질과 신탁실체설과 신탁도관설에 따른 과세이론, 외국의 입법례 및 우리나라의 현행 신탁세제에 대하여 검토·분석하였다. 우리나라 신탁세제는 신탁의 권리나 유형이 아니라 세목에 따라 신탁의 납세의무자를 달리 파악하고 있는 점이 특징이다. 기본적으로 소득세와 증여세에서는 신탁도관설이 지배하여 수익자가 납세의무자이고 재산세에서는 신탁실체설에 따라 수탁자가 납세의무자이다. 부가가치세에서는 신탁도관설과 신탁실체설이 혼재되어 원칙적으로는 위탁자가, 예외적으로는 수탁자가 납세의무자가 되고, 취득세에서는 수탁자가 납세의무자로 규정되어 있다. 이와 같은 복잡하고 비체계적인 규정에 더하여 과세 관청의 실질과세원칙의 확대 적용에 따라 신탁세제는 그 출발선인 납세의무자의 판정에서부터 과세불확실성이 내재되어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입법론으로는 신탁의 본질이론으로 신탁재산에 대한 권리를 수익자의 수익권과 수탁자의 관리․처분권으로 구분하는 가치지배권설을 신탁과세이론에 적극 반영할 필요가 있다. 즉, 신탁세제를 수익권에 관한 수익세제와 관리·처분권에 관한 관리·처분세제로 구분하여 각 세제에서 지배적인 가치 내지 권리를 보유하는 당사자를 납세의무자로 일관되게 판정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에 따르면, 원칙적으로 신탁재산의 수익에 대한 가치지배가 문제되는 수익세제에서는 수익자를, 신탁재산에 대한 관리․처분권이 작동하는 관리․처분세제에서는 수탁자를 납세의무자로 삼되, 만일 그로 인하여 과세형평 등의 문제가 생기는 영역이 있다면 다른 당사자를 납세의무자로 보는 예외규정을 두어 실질과세원칙의 역할을 갈음하도록 하면 될 것이다. 이러한 입장에서 볼 때 수익세제와 대부분의 관리․처분세제는 납세의무자를 수익자와 수탁자로 규정하고 있어 일부 예외규정에 대한 정비만 하면 되지만 원칙적으로 위탁자를 납세의무자로 규정하고 있는 부가가치세는 이를 수탁자로 변경하는 것이 요청된다. 해석론으로 신탁세제의 불확실성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신탁법상 신탁과 명의신탁을 준별하여 신탁법상 신탁에 대해서는 실질과세원칙의 적용을 원칙적으로 제한하여야 하고 신탁의 권리와 유형을 중심으로 그 적용단계에서의 납세의무자 판정에 관한 구체적 판단기준을 제시하는 것이 필요하다. The complete revision of the Trust Act in 2011 set the stage for major advancements in Korea’s trust system through revisions such as introduction of new types of trust, etc. A number of taxable issues arise for trust transactions, as is the case for general transaction, in relation to the profit from, and possession and transfer of trust assets. Taxation issues of trusts are subject to considerable complexity and uncertainty due to the unique logic behind trusts under common law that are distinct from civil or commercial law, among which determining the taxpayer in the trust transaction is an area which fully exposes the problems of the trust system. In Korea, although taxpayers for trusts are often specified in individual tax laws, they are disorganized and inconsistent among different tax items. Moreover, as the tax authority aggressively utilizes the substance-over-form principle, which is often used in ‘name trusts’, in determining the taxpayer for trusts, a number of taxation disputes arise and the resolution of most of the tax cases generally depends on legal interpretation. If the determination of the taxpayer of a trust differs based on specific factual circumstances, uncertainty involved with taxation of trust transactions will increase. As the current tax system in Korea is inadequate in solving not only existing trust-related tax issues, but also issues arising from new types of trusts, this article reviews and analyzes the civil-law nature of trusts as well as the taxation theory behind them (i.e., trust entity theory and trust conduit theory), foreign legislations, and the current tax system of trusts in Korea to present a predictable reasonable measure to improve the trust tax system. Korea’s trust tax system is unique in that it distinguishes the trust’s taxpayer based on tax item rather than on the type or the rights of the trust. Generally, in income tax and gift tax, the trust conduit theory dominates in such a way that the beneficiary is prescribed as the taxpayer, whereas property tax follows the trust entity theory so that the trustee is prescribed as the taxpayer. In value added tax (VAT), a mixture of the trust conduit theory and the trust entity theory apply so that the prescribed taxpayer is the trustor in principle and trustee as an exception, whereas in acquisition tax the trustee is prescribed as the taxpayer. In addition to such complicated and disorganized provisions, due to the broad application of the substance-over-form principle, the trust taxation system is plagued with uncertainty over the application of tax from the basic issue of determination of taxpayer. To address these problems, legislation needs to actively reflect the value-based theory as the trust’s essence theory, categorizing the trust property rights into the beneficiary’s rights to profit from the property and the trustee’s rights to manage and dispose of the property, into the trust taxation theory. In other words, the trust tax system needs to be categorized into a profit tax system related to beneficiary rights and a management and disposition tax system related to the rights of management and disposition so that the taxpayer is consistently determined in each tax system according to the parties who holds the prevalent value or right. In this case, the beneficiary would be the taxpayer in a profit tax system in which the control over the value or profit from trust property is in principle of the essence, whereas the trustee would be the taxpayer in a management and disposition tax system where the management or disposal rights over the trust property is the main concern. If any problem arises due to such measure in terms equity in taxation, etc., an exceptional provision may be put in place to play the role of the substance-over-form principle. According to such view, whereas only minor modifications would be necessary in the profit tax system and most management and disposition tax systems, the VAT system would n

      • KCI등재

        영산강유역 고대사회의 실체

        최성락(Choi Sung-rak) 역사문화학회 2008 지방사와 지방문화 Vol.11 No.2

        영산강유역 고대사회의 실체를 연구하는 것은 문헌 자료의 부족으로 인해 매우 어려운 일이다. 4세기에서 6세기 중엽까지의 사회성격과 관련하여 왜인설, 백제 정복설 등과 같이 외부적인 관점에서의 주장과 마한론과 같이 내부적인 관점에서의 주장이 제기되었다. 특이한 점은 1990년대 새롭게 제기된 왜인설이나 확대된 마한론이 모두 6세기 중엽까지 영산강유역이 백제와는 관련이 없다는 공통된 인식을 하고 있다는 것이다. 각 연구자들의 관점을 비교해 본 결과, 고고학 자료에 의한 객관적인 해석보다는 자신의 관점에 따라 고고학 자료를 보는 경향이 강하다고 생각한다. 따라서 필자는 기본적으로 내부적인 관점에서 이 지역의 문화가 어떻게 변화되었고, 또 외부와는 어떠한 관계를 가졌는가 하는데 중점을 두어야 한다고 본다. 이러한 시각에서 본다면 영산강유역 고대사회의 실체는 어디까지나 재지세력에 의해 형성된 사회가 될 것이다. 그렇지만 고대사회의 실체를 고고학 자료가 아닌 문헌 자료에 근거해야 하기 때문에 4세기 후반 이후에는 마한이라고 지칭할 수 없게 된다. 또 백제가 어떠한 과정을 거쳐 직접지배를 하게 되었는지, 또 그 과정에서 어떻게 전방후원형 고분이 등장하게 되었는지에 대해서는 더 연구되어야 할 문제이다. 앞으로 영산강유역 고대사회의 실체를 좀 더 분명히 밝히기 위해서는 고대사회가 어떻게 형성되었는지 검토해야 하고, 또 어떠한 요인으로 변화되었는지를 살펴보아야 할 것이다. 이와 더불어 문헌 자료의 검토와 당시 국제적 정세를 고려하여야 한다. 어떠한 주장에 앞서 세밀한 분석과 합리적인 해석이 요구되지만 자신의 관점이 적절한지도 생각해 볼 필요가 있다. Understanding the entity of the ancient society in the Yeongsan river basin is difficult due to the lack of documented records. “Ancient Japanese theory(倭人說)”and “Baekje’s subjugation theory(百濟征服說)”from the external perspective and “Mahan theory(馬韓論)”from the internal perspective were proposed regard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society from the 4th century to the mid 6th century. What is interesting is that the newly proposed “ancient Japanese theory”of the nineties and expanded “Mahan theory”consider Baekje to be irrelevant to this area until the mid 6th century. It seems that archaeological materials are interpreted by the perspective of individual researchers instead of an objective interpretation. Therefore, I will look at the changes in the Yeongsan river basin and the relationship it had with surrounding regions from the internal perspective. By viewing the entity of ancient society in the Yeongsan river basin in the internal perspective, the society is regarded as one built from preexisting internal power. However, ancient society in the Yeongsan river basin should be named based on documentations instead of archaeological materials, therefore, after the 4th century it should not be called Mahan. Also, further study of when Baekje established relation with this region and how the keyhole shaped tombs(前方後圓形古墳) were built are needed not limiting the source of study to archaeological materials. In the future, to learn more about the ancient society in the Yeongsan river basin, we will need to examine how the society was built and what elements brought changes. Also, review of the documented records and international relation at the time should be considered. Thorough analysis and rational interpretation must be carried out accompanied by consideration for adequacy of individual’s perspective before making an assertion.

      • KCI등재

        암묵적 자기 이론이 서비스 실패에 대한 소비자의 반응에 미치는 영향

        김학균 ( Kim¸ Hakkyun ),전은미 ( Jeon¸ Eunmi ) 한국소비자학회 2020 소비자학연구 Vol.31 No.6

        본 연구는 소비자들이 서비스 실패를 경험했을 때 불평행동을 유발하는 근원적 동기를 암묵적 자기 이론을 중심으로 고찰하였다. 서비스 실패에 관한 기존 문헌은 주로 지금까지 서비스 실패의 결과로 도출되는 소비자의 감정이나 행동에 초점을 맞추고 이를 위한 서비스 회복을 중심으로 이루어져왔다. 그러나 본 연구는 불평행동을 유발하는 근원적인 선행요인이 개인이 지닌 보유한 기존의 믿음에서 발생하는 것으로 보고 그 심리적 동기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소비자는 동일한 서비스 실패에 대해서도 각기 다르게 반응할 수 있으며 또한 겉으로 드러나는 불평행동이 동일하게 보일지라도 불평행동을 촉진하는 동기는 개인이 보유한 믿음으로 달라 질 수 있다고 예측하였다. 즉, 소비자는 자신의 감정을 표출하기 위해 불평행동을 하는 반면 또 다른 소비자는 서비스의 품질을 개선하기 위해 불평행동을 할 수 있다. 이렇게 불평행동의 동기가 달라지는 이유는 암묵적 자기 이론, 즉 개인이 가지는 자신의 변화 가능성에 대한 믿음 때문이라고 예상하며 서비스 실패 상황에 대처하는 소비자의 불평행동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제안한다. 이에 실증적 실험을 통해 암묵적 이론이 서비스 실패에 대한 소비자의 반응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연구결과를 통해 개인의 기질이 고정되어 있으며 노력이나 학습에 의해 변화될 수 없다고 믿는 불변 이론가가 서비스실패의 상황에 노출될 때는 부정적인 감정을 표출하기 위해 불평행동을 하는 반면 개인의 기질은 변화가 가능하며 개인의 노력에 의해 개선될 수 있다고 믿는 증진 이론가는 서비스의 품질을 극복하기 위해 불평행동에 참여하게 된다는 것을 밝혀냈다. 더불어 소비자가 서비스 실패를 경험했을 때 불평행동에 참여하려는 의지, 분노 등은 암묵적 자기이론에 따른 차이가 없었다. 본 연구는 이를 통해 관련 문헌의 확장에 기여하며, 소비자의 불평행동에 대한 심도 있는 이해를 도모함으로써 실무적 시사점을 제공하는데 의의가 있다. Consumers tend to react differently to service failure. This paper suggests that consumers’ implicit beliefs about their personalities may influence their reactions to service failures, and the reasons for their complaint behaviors. Previous research has identified two implicit self-theories: incremental theory and entity theory. Individuals who believe in incremental theory, known as incremental theorists, consider their personal traits as malleable and believe they can enhance their capabilities through their own efforts. In contrast, individuals who believe in entity theory believe they cannot improve their capabilities through their own efforts. Drawing on this distinction, we propose that incremental theorists complain in order to induce service improvement, whereas entity theorists complain in order to express their feelings. In other words, incremental theorists who believe in the malleability of personal traits can perceive their complaint behavior as a way of helping the business correct its errors and improve its customer care. On the other hand, entity theorists who believe that even a high degree of effort cannot generate any capability improvement may simply view their complaint behavior as a way of venting their anger or regulating their emotions. To test this hypothesis, we conducted a behavioral experiment. As a result, entity theorists engaged in complaint behaviors to express their anger and dissatisfaction, whereas incremental theorists engaged in complaint behaviors to help the service firm resolve service failures and improve its service quality. These results demonstrate that people engage in complaint behavior for different reasons, and one explanation for this disparity is people's beliefs in the self. This research contributes to an understanding of the different reasons behind consumers’ reactions to service failures.

      • KCI등재후보

        부동산신탁 과세제도의 현재와 미래: 신탁세제의 분석과 개선방안에 관하여

        임재혁 한국지방세학회 2019 지방세논집 Vol.6 No.2

        The revised Trust Act introduced new systems such as collateral trusts, self-trusts and beneficiary certificates issuance trusts, through which measures to utilize real estate trusts for collateral purposes were diversified. Such a trust structure is a system developed around the Anglo-American law, citing the convenience of bankruptcy remoteness, dual recourse, and controlling interests of mortgage holders. Meanwhile, in connection with the trust tax system, the Supreme Court recently made decisions in various tax categories, including acquisition tax, property tax and value-added tax(2012du22485, 2014du38149, 2015du49694, 2014du13393, 2016da224961). A real estate trust is a kind of property trust that manages and preserves land or buildings by trusting them, and pays them according to the status quo at maturity. Many development trust companies went bankrupt in the wake of the financial crisis in 1997. The real estate investment is classified into development trust, property management trust, disposition trust and collateral trust. Meanwhile, each country's trust tax system can be divided into two: the trust entity theory and the trust conduit theory. The former believes that the trust property can be an independent taxpayer or a taxable unit(United States and Great Britain’s taxation systems), whereas the latter assumes the trust is merely a conduit for distributing income to the beneficiary(Germany’s taxation system). It is assessed that national taxes(income tax, corporate tax, value added tax, inheritance tax and gift tax), and acquisition tax among local taxes of Korea's trust taxation system were taken as trust conduit theory, while property tax, gross real estate Tax, and local public facilities taxes were taken as trust entity theory. However, recent Supreme Court decisions seem to have made a number of cases based on the belief of trust entiy theory. This attitude of precedent is thought to be a desirable tendency to enhance the essential function of trust. Nevertheless, the recent legislation has been based on trust conduit theory, as opposed to the attitude of the Supreme Court’s decisions. In order to realize the legislative purpose of amending the Trust Act in 2011, effective trust taxation system is very important. Trust entity theory has a theoretical advantage in that it increases the predictability of taxpayers and clarifies legal relations compared to trust conduit theory. Consistent trust conduit theor (as clearly seen in the taxation issues of collective investment schemes) will not only burden taxpayers with unnecessary tax compliance costs, but will also result in excessive administrative costs. Therefore, it is desirable to pursue a unified trust taxation system under trust entity theory that can be harmonized with the revised Trust Act. 2011. 7. 25. 개정 신탁법을 통하여 유한책임신탁, 수익증권발행신탁, 신탁사채, 유언대용신탁, 수익자연속신탁 등 다양한 신탁제도가 도입되었다. 이와 같은 신탁구조는 도산절연, 이중청구 및 담보권자들의 이해관계 조절의 편의성을 이유로 영미법계를 중심으로 발전한제도이다. 한편, 최근 신탁세제와 관련하여 대법원은 취득세, 재산세, 부가가치세 등 다양한세목에서의 판결을 선고한 바 있다(대법원 2017. 5. 18. 선고 2012두22485 판결, 대법원2017. 6. 8. 선고 2014두38149 판결, 대법원 2017. 6. 8. 선고 2015두49694 판결, 대법원2017. 6. 15. 선고 2014두13393 판결, 대법원 2017. 8. 29. 선고 2016다224961 판결). 부동산신탁은 위탁자가 수탁자에게 토지, 건물 등 부동산을 수탁하여 개발, 관리, 처분하게 하거나 담보로 제공하는 재산신탁의 일종이다. 우리나라 신탁 실무는 종전에는 개발신탁(토지신탁)이 많이 이루어졌으나 1997년 금융위기를 겪으면서 다수의 개발신탁회사가 도산하였고 현재에는 담보신탁이 대부분이다. 부동산신탁은 그 기능에 따라 개발신탁, 관리신탁, 처분신탁, 담보신탁으로 구분된다. 한편, 각국의 신탁세제는 신탁재산을 독립된 납세의무자또는 과세단위가 될 수 있다고 보는 신탁실체이론과, 신탁은 수익자에게 소득을 분배하여 주는 도관에 불과하다는 신탁도관이론으로 구분하여 볼 수 있다. 미국과 영국은 전자(前者)의예이며 독일은 후자(後者)를 채택하는 대표적인 국가이다. 물론, 각 국가마다 원칙에 대한 예외규정을 다수 두고 있음에 주의를 기울일 필요가 있다. 우리나라 신탁세제 중 국세(소득세, 법인세, 부가가치세, 상속세 및 증여세), 지방세 중 취득세는 신탁도관이론을, 지방세 중 재산세, 종합부동산세, 지역자원시설세 등은 신탁실체이론을 취한 것으로 각각 평가된다. 다만, 최근 대법원 판례는 부가가치세 및 지방세 분야에서신탁실체설에 입각한 판시를 다수 내리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판례의 태도는 신탁의본질적인 기능인 도산절연 또는 재산분리를 제고하는 바람직한 경향으로 생각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재산세 분야를 제외한 최근 입법(예컨대, 부가가치세법)은 판례의 태도와는 반대로 신탁도관설에 입각한 태도를 보이고 있다. 2011년 신탁법 개정의 입법 취지를 실현하기 위하여서는 그 세제상 뒷받침이 필수적이다. 신탁실체이론은 신탁도관이론에 비하여 납세자의 예측 가능성을 증대시키고 법률관계를 간명하게 한다는 점에서 이론적 우위를 갖는다. 특히 집합투자기구 등의 과세 문제에서 보는 것처럼 신탁도관이론을 일관하는 것은 납세자에게 불필요한 조세순응비용을 부담시킬 뿐만아니라, 행정비용도 과다하게 발생할 것이다. 따라서, 개정 신탁법과 조화를 이룰 수 있는 신탁실체설에 따른 통일적, 일원적인 신탁세제를 지향하되, 현행 지방세법 제9조 제3항의 규정과 같이 구체적 타당성 측면을 고려하여 일부 신탁도관설를 가미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 KCI등재후보

        벤처캐피탈 조합의 회계와 세무에 대한 소고

        최문수(Mun-Soo Choi),박종대(Jong-Dae Park) 숭실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07 사회과학논총 Vol.9 No.-

        창업투자회사(벤처캐피탈)는 벤처기업 등에의 투자를 위해 창업투자회사 고유의 자금과 창업투자회사가 결성한 조합 출자금을 주된 투자재원으로 삼고 있다. 벤처캐피탈 업계에서는 투자조합을 통한 투자의 비중과 중요성이 확대되고 있는 추세이나 관련 세법이나 회계처리 방법에서는 현실을 제대로 반영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조합이론은 크게 도관이론(導管理論)과 실체이론(實體理論)으로 구분된다. 조합을 독립된 납세주체로 보지 않고 단순한 도관으로 보는 도관이론(conduit theory)과 조합이 독립적인 권리의무의 주체가 될 수 있다고 보는 실체이론(entity theory)이 그것이다. 투자조합은 법률적으로 권리의 주체성이 인정되지 않고 있으며 세무 상으로도 도관이론을 적용하여 과세의 실체가 되지 않는다. 다만 투자조합은 「조세특례제한법」에 따라서 투자조합이 조합원의 출자금으로 투자 또는 운용하여 얻은 소득에 대하여 조합원에게 분배할 때 소득세 또는 법인세를 원천징수하여 신고납부할 의무를 지게 된다. 현행 우리나라 조세법상으로는 조합에 대한 과세근거를 명확하게 규정하고 있는 명문규정이 없는 실정이므로 조합과세에 관한 규정 제정이 필요하다. 조합과세에 관한 규정 제정시 도관이론이 실체이론보다 조합원들에게 세제상 유리하기 때문에 현재의 도관이론을 기본으로 하여야 활 것이다. 실체이론은 이중과세의 문제점이 있기 때문에 조합과세는 기본적으로는 도관이론을 따르되 조합소득의 원천징수나 일정한 조합원과의 거래시 등 실체이론을 필요에 따라 활용하여야 할 것이다. For investing in the venture companies, venture capital corporations use not only their own fund but also investment association fund. In the venture capital industry, the percentage and the importance of the investment through the investment association fund is growing. But presently the related tax law and accounting method do not reflect the actual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ory and practice regarding the venture capital partnership in the light of current accounting system and taxation. There are in general two theories for the venture capital partnership : conduit theory and entity theory. The conduit theory insists that the partnership is considered as a conduit. and it doesn't have any independent right and duty in the taxation. On the other hand, the entity theory insists that the association has its own right and duty independently in the taxation. The investment association has no any legal right. and no taxation right according to the conduit theory. But exceptionally, the investment association has withholding duty in the taxation according to the related tax law. Namely, the investment association has to withhold the taxes and pay it to the government when the income of the association is divided to the partners of the association. At present, as there is no particular article for the association in the tax law of Korea, it is necessary to enact the provisions for the association taxation.

      • KCI등재

        주주의 지위 -주주중심주의의 비판적 고찰-

        이동승 한국경영법률학회 2010 經營法律 Vol.20 No.2

        This article is about the shareholder primacy doctrine and owner- theory. Traditionally legal scholarship has recognized the shareholder primacy doctrine as a leading principle which governs corporate law. But this article challenges that recognition on the ground that the shareholder primacy doctrine can not afford to cope with recent global crises and corporate corruptions. The shareholder primacy doctrine can not be reasoned only from contractarian theory in the common law jurisdictions, but from owner-theory in the civil law jurisdictions. But the reasoning of two theories is not appropriate in that a corporation is not a nexus, but a legal entity separated from it's shareholders, and a corporation can not be owned by anyone. More important thing to notice is that the theories are not designed to solve the foregoing the issues (global crises and corporate corruption), because the contractarian theory denies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and the owner-theory makes it a rule for a corporation to pursue maximizing interests of shareholders.

      • KCI등재

        부동산신탁 과세제도의 현재와 미래: 신탁세제의 분석과 개선방안에 관하여

        임재혁 ( Im Jayhyuk ) 한국지방세학회 2019 지방세논집 Vol.6 No.2

        2011. 7. 25. 개정 신탁법을 통하여 유한책임신탁, 수익증권발행신탁, 신탁사채, 유언대용 신탁, 수익자연속신탁 등 다양한 신탁제도가 도입되었다. 이와 같은 신탁구조는 도산절연, 이중청구 및 담보권자들의 이해관계 조절의 편의성을 이유로 영미법계를 중심으로 발전한 제도이다. 한편, 최근 신탁세제와 관련하여 대법원은 취득세, 재산세, 부가가치세 등 다양한 세목에서의 판결을 선고한 바 있다(대법원 2017. 5. 18. 선고 2012두22485 판결, 대법원 2017. 6. 8. 선고 2014두38149 판결, 대법원 2017. 6. 8. 선고 2015두49694 판결, 대법원 2017. 6. 15. 선고 2014두13393 판결, 대법원 2017. 8. 29. 선고 2016다224961 판결). 부동산신탁은 위탁자가 수탁자에게 토지, 건물 등 부동산을 수탁하여 개발, 관리, 처분하게 하거나 담보로 제공하는 재산신탁의 일종이다. 우리나라 신탁 실무는 종전에는 개발신탁(토지신탁)이 많이 이루어졌으나 1997년 금융위기를 겪으면서 다수의 개발신탁회사가 도산하였고 현재에는 담보신탁이 대부분이다. 부동산신탁은 그 기능에 따라 개발신탁, 관리신탁, 처분신탁, 담보신탁으로 구분된다. 한편, 각국의 신탁세제는 신탁재산을 독립된 납세의무자 또는 과세단위가 될 수 있다고 보는 신탁실체이론과, 신탁은 수익자에게 소득을 분배하여 주는 도관에 불과하다는 신탁도관이론으로 구분하여 볼 수 있다. 미국과 영국은 전자(前者)의 예이며 독일은 후자(後者)를 채택하는 대표적인 국가이다. 물론, 각 국가마다 원칙에 대한 예외규정을 다수 두고 있음에 주의를 기울일 필요가 있다. 우리나라 신탁세제 중 국세(소득세, 법인세, 부가가치세, 상속세 및 증여세), 지방세 중 취득세는 신탁도관이론을, 지방세 중 재산세, 종합부동산세, 지역자원시설세 등은 신탁실체이론을 취한 것으로 각각 평가된다. 다만, 최근 대법원 판례는 부가가치세 및 지방세 분야에서 신탁실체설에 입각한 판시를 다수 내리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판례의 태도는 신탁의 본질적인 기능인 도산절연 또는 재산분리를 제고하는 바람직한 경향으로 생각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재산세 분야를 제외한 최근 입법(예컨대, 부가가치세법)은 판례의 태도와는 반대로 신탁도관설에 입각한 태도를 보이고 있다. 2011년 신탁법 개정의 입법 취지를 실현하기 위하여서는 그 세제상 뒷받침이 필수적이다. 신탁실체이론은 신탁도관이론에 비하여 납세자의 예측 가능성을 증대시키고 법률관계를 간명하게 한다는 점에서 이론적 우위를 갖는다. 특히 집합투자기구 등의 과세 문제에서 보는 것처럼 신탁도관이론을 일관하는 것은 납세자에게 불필요한 조세순응비용을 부담시킬 뿐만 아니라, 행정비용도 과다하게 발생할 것이다. 따라서, 개정 신탁법과 조화를 이룰 수 있는 신탁실체설에 따른 통일적, 일원적인 신탁세제를 지향하되, 현행 지방세법 제9조 제3항의 규정과 같이 구체적 타당성 측면을 고려하여 일부 신탁도관설를 가미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revised Trust Act introduced new systems such as collateral trusts, self-trusts and beneficiary certificates issuance trusts, through which measures to utilize real estate trusts for collateral purposes were diversified. Such a trust structure is a system developed around the Anglo-American law, citing the convenience of bankruptcy remoteness, dual recourse, and controlling interests of mortgage holders. Meanwhile, in connection with the trust tax system, the Supreme Court recently made decisions in various tax categories, including acquisition tax, property tax and value-added tax(2012du22485, 2014du38149, 2015du49694, 2014du13393, 2016da224961). A real estate trust is a kind of property trust that manages and preserves land or buildings by trusting them, and pays them according to the status quo at maturity. Many development trust companies went bankrupt in the wake of the financial crisis in 1997. The real estate investment is classified into development trust, property management trust, disposition trust and collateral trust. Meanwhile, each country's trust tax system can be divided into two: the trust entity theory and the trust conduit theory. The former believes that the trust property can be an independent taxpayer or a taxable unit(United States and Great Britain’s taxation systems), whereas the latter assumes the trust is merely a conduit for distributing income to the beneficiary(Germany’s taxation system). It is assessed that national taxes(income tax, corporate tax, value added tax, inheritance tax and gift tax), and acquisition tax among local taxes of Korea's trust taxation system were taken as trust conduit theory, while property tax, gross real estate Tax, and local public facilities taxes were taken as trust entity theory. However, recent Supreme Court decisions seem to have made a number of cases based on the belief of trust entiy theory. This attitude of precedent is thought to be a desirable tendency to enhance the essential function of trust. Nevertheless, the recent legislation has been based on trust conduit theory, as opposed to the attitude of the Supreme Court’s decisions. In order to realize the legislative purpose of amending the Trust Act in 2011, effective trust taxation system is very important. Trust entity theory has a theoretical advantage in that it increases the predictability of taxpayers and clarifies legal relations compared to trust conduit theory. Consistent trust conduit theor (as clearly seen in the taxation issues of collective investment schemes) will not only burden taxpayers with unnecessary tax compliance costs, but will also result in excessive administrative costs. Therefore, it is desirable to pursue a unified trust taxation system under trust entity theory that can be harmonized with the revised Trust Ac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