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계몽과 성

        이경희 ( Kyung Hee Lee ) 연세대학교 유럽사회문화연구소 2009 유럽사회문화 Vol.3 No.-

        This paper aims to study the relation between enlightenment and sex revealed in Dialektik der Aufklarung written by Th. W. Adorno and M. Horkheimer. They insisted that Western modern spirit of enlightenment and its principle had a significant effect on sex awareness. According to them, we can summarize the characteristic of enlightenment as follows. First of all, enlightenment reveals the human superiority. Second, enlightenment aims at the unified system. Thus finally enlightenment excludes the incommensurable and enforces the uniformity. Now they regards mythology and enlightenment as equal. They insists that mythology is also the part of the enlightenment of western thought aims at ruling as a kind of rational systematization. They gave an amplification of their thoughts through Homer`s Odyssey. The main character, Odysseus is the embodiment of the enlightened citizen, that is the modern individual in this work. And also we can recognize that the consistent strategy of enlightenment is applied to the problem of sex through his contract with women like Penelope(Penelopeia) and Circe(Kirke). Applying enlightenment to whole western civilization as well as to mythology, they are able to make the sadistic heroine, Juliet(Juliette) a legitimate child of enlightenment. Finally we can treat Sade, the critic of enlightenment and Kant, the zenith figure of enlightenment in one same direction, without discrimination. Through holding up true mirror to the last terminus of enlightenment which purged the romantic love and believed in science thoroughly, Sade`s work clearly shows not the light of enlightenment but the negative, back side of enlightenment. Thus we can realize to what self-destruction the enlightenment as the domination general leads in the realm of sex.

      • KCI등재

        한국 불교에 있어서의 돈점논의와 雲峰大智 선사

        정영식 한국사상문화학회 2013 韓國思想과 文化 Vol.68 No.-

        The sudden-gradual argument in Chinese Buddhism was one between sudden and gradual enlightenment, but not one related with a cultivation process. The conflict between sudden enlightenment/ sudden cultivation and sudden enlightenment/ gradual cultivation has occurred typically in Korean Seon, but not in Chinese Chan and Japanese Zen. As a matter of fact, an emphasis on sudden enlightenment/ sudden cultivation is characteristic of Korean Seon, which stresses Patriarchal Chan, and the essence of the Patriarchal Chan was the very sudden enlightenment/ sudden cultivation. It was in the Seonmun bojang nok (Records of Precious Treasures of Seon) that the idea of sudden enlightenment/ sudden cultivation appeared for the first time in the Korean peninsula. This book based on the Chan of Cao-Dong school stresses that Seon is prior to Gyo (doctrine). Toward the Joseon Dynasty, there were lots of those who advocated sudden enlightenment/ gradual cultivation, one of whom was Master Cheongheo Hyujeong. As for an advocate of sudden enlightenment/ sudden cultivation during the Joseon, there was Master Seolbong Daeji(1606?~1690?), who asserted his own unique theory of sudden enlightenment/ sudden cultivation. While explaining the whole cultivation as a process of sudden enlightenment/ gradual cultivation on the one hand, Seolbong analyses the gradual cultivation further into a sudden cultivation and a full enlightenment(jeung-o) on the other. In other words, he suggests the whole cultivation is composed of three phases, namely sudden enlightenment, sudden cultivation and full enlightenment. Furthermore, according to him, those of high and middle capacities are different in their cultivation process. For those of high spiritual ability, as they can complete their cultivation at the moment of sudden enlightenment, such a state is full enlightenment and the sudden cultivation of this sort is referred to as that for function. On the contrary, for those of middle and low capacity, their sudden enlightenment refers to understanding enlightenment(hae-o) and the sudden cultivation at this time is that for essence. Accordingly he states that one should go through gradual cultivation, which means full enlightenment after sudden cultivation. 중국에서의 돈점논쟁은 돈오와 점오사이의 논쟁이지 수행과정과 관련된 것은 아니었다. 돈오돈수와 돈오점수 사이의 대립과 논쟁은 중국과 일본에는 없는 한국선의 특징이다. 또 돈오돈수를 강조하는 것이 한국선의 특질인데 그것은 조사선을 강조하기 때문이며, 조사선의 본질이 바로 돈오돈수이다. 한국에서 돈오돈수가 처음 나타나는 것은 禪門寶藏錄인데, 선문보장록은 조동선에 근거해서 교에 대한 선의 우위를 주장하는 것이 특징이다. 조선시대에 들어와서는 돈오점수론자들이 많았는데, 청허휴정도 그 중의 한사람이다. 조선시대의 돈오돈수론자로서는 雲峰大智(1606?~1690?)를 들 수 있는데, 그는 독특한 돈오돈수설을 주장한다. 그는 수행의 과정을 頓悟漸修로 설명하면서도, 漸修를 다시 頓修→證悟로 분석하고 있다. 즉 수행의 과정을 頓悟→頓修→證悟의 3단계로 이해하고 있다. 또한 상근기와 중하근기의 수행과정이 달라서, 상근기의 경우는 돈오 시에 바로 수행이 완성되므로(修悟一時), 이때의 돈오는 證悟이며 돈수는 事에 대한 돈수이다. 반면에 중하근기의 돈오란 解悟이며 돈수는 理에 대한 돈수이다. 따라서 頓修後證悟라는 漸修의 과정을 거쳐야한다고 말한다.

      • KCI등재

        退翁 性徹의 頓悟頓修 思想

        都大玄 한국불교학회 2008 韓國佛敎學 Vol.50 No.-

        In the Seonmun-jeongro, Seong-cheol insists, for the first time in the history of Korean Seon, that the basic purport of Seon school lies in Sudden enlightenment-sudden cultivation(頓悟頓修). He defines Sudden enlightenment-sudden cultivation as becoming Buddha by achieving Ultimate Enlightenment. Enlightenment, for him, is always ultimate enlightenment. But most of Korean Buddhist scholars criticized his opinion seriously and Seong-cheol's standpoint has not been accepted in Korean Buddhist academic world. The theory of Sudden enlightenment-sudden cultivation leaved a big footmarks in the history of Chinese Seon school. It is based on the philosophy of sixth patriarch Hui-neong and the mindlessness of Patriarch Seon. Master Seong-cheol emphasizes mindlessness on the basis of the Middle path especially. Since Korean Seon has followed the theory of Sudden enlightenment-gradual cultivation(頓悟漸修) of Master Bojo, it has not given serious consideration to mindlessness. From the viewpoint of Seong-cheol Seon, Sudden enlightenment-gradual cultivation is incomplete theory of Enlightenment. Nevertheless, it has been regarded as a guiding principle of Seon practice for last over 8 hundred years of Korean Seon. It can be said that the theory of Sudden enlightenment-gradual cultivation is an intellectual misunderstanding and makes us stop cultivation on the way to the ultimate enlightenment. Therefore Seong-cheol criticized the theory of Sudden enlightenment-gradual cultivation strongly, and expounded the true meaning of ultimate Enlightenment which can be attained only through Sudden enlightenment-sudden cultivation. As Seong-cheol insisted, if we change the term Sudden enlightenment-gradual cultivation to Intellectual awakening-gradual cultivation, there can be two different and compatible standpoint of enlightenment and cultivation, that is, Sudden enlightenment-sudden cultivation and Intellectual awakening-gradual cultivation in Korean Seon Buddhism. 性徹은 『禪門正路』를 통해 韓國禪宗史에서 처음으로 선종의 근본종취는 ‘頓悟頓修’에 있다고 주장한다. 그는 돈오돈수란 ‘단박 깨침과 단박 닦아 마친다’는 뜻으로, 한번 깨치면 부처가 된다[見性成佛]는 것과 깨침이란 더 이상 닦을 것이 없는 완전한 究竟妙覺이라고 정의한다. 그러 나 한국불교계 많은 학자들은 그의 주장에 대해 강한 비판을 가하였고, 아직도 학계에서 정설로 받아들여지지 않고 있다. 중국선종계에서는 큰 발자취를 남긴 ‘中道에 입각한 돈오돈수사상’은 六祖 慧能의 돈오돈수사상인 동시에 祖師禪의 無心思想이다. 性徹은 이 가운데 특히 중도를 근간으로 한 무심사상에 강조점을 두고 있다. 그 이유는 韓國禪에서는 普照 知訥의 頓悟漸修說로 인해 無心에 소홀해왔기 때문이다. 사실 ‘미완성 견성이론’이라 할 수 있는 돈오점수설이 지난 8백여 년간 수행지침으로 지켜져 온 것은 한국선불교의 큰 과오라고 볼 수 있다. 解悟를 究竟覺으로 착각하기 쉬운 돈오점수설은 見性의 과정인 중간단계에서 수행을 그만 둘 수 있는 이론이기 때문이다. 그래서 性徹은 ‘頓悟’의 정체를 분명히 하기 위한 과정에서, 돈오점수비판이 요구되었던 것이며, 古佛古祖의 經論과 語錄을 바탕으로 하여 잘못된 한국선불교의 見性觀을 바로잡으려는 것이 그 본질이다. 性徹의 주장처럼 만약 ‘頓悟漸修’라는 용어대신 ‘解悟漸修’로 고쳐 쓰기만 한다면 한국선불교사에서 깨달음을 보는 시각이 서로 다른 두 이론이 나란히 공존할 수 있을 것으로 본다.

      • KCI등재

        초기불교 경전에 나타난 돈(頓)과 점(漸)

        임승택(Lim, Seung-taek) 불교학연구회 2012 불교학연구 Vol.32 No.-

        How can we achieve enlightenment, which is the ultimate purpose of Buddhism? There are two different opinions on this topic in Korean Buddhism. The first one is sudden enlightenment, and the other one is gradual enlightenment. These two opinions may be mistaken as being in contrast with each other. But based on Early Buddhist texts, this study reveals that these two are not contradictory. If we could acknowledge that the sudden enlightenment is not limited to a one-time event and is repeated again and again, we can call this series of enlightenments as gradual enlightenment. Through Early Buddhist texts, I discovered that Buddha’s enlightenment, anuttarasammasaṁodhi was a gradual enlightenment which was composed of the Four Noble Truths(cattari-ariyasaccani). I explained that the Four Noble Truths includes two rounds of enlightenments, one of which we can call pariñña and the other sacchikiriya. I confirmed that both of these could be regarded as kinds of enlightenment. Based on these facts, I concluded that sudden enlightenment and gradual enlightenment do not oppose each other, and gradual enlightenment includes a number of sudden enlightenments in Early Buddhism. This study arrives at another important point that enlightenment should precede the procedures of practice. I came to understand that the teaching of Four Noble Truths reveals this fact. The first element of Four Noble Truths, dukkha-ariyasacca means to realize the painful realities of life. All the other elements of Four Noble Truths follow this enlightenment. Especially, the last element of Four Noble Truths, dukkhanirodhagaminiya-paṭpada means to practice the cultivation of mind on the basis of the previous elements of enlightenments. I think these teachings of Early Buddhism are similar to Chinul(知訥, 1158-1210)’s practice system, and also connected with his thoughts of sudden enlightenment gradual cultivation(頓悟漸修). In modern times, Chinul’s opinion was criticized by Sungchol(1912-1993) who claimed sudden enlightenment sudden cultivation(頓悟頓修). And subsequently, the followers of Chinul and the disciples of Sungchol have been arguing with each other. I expect that the present study will contribute to the reconciliation of this debate and to the increase in our understanding of the similarities and the interactions between Early Buddhism and Korean Buddhism. 이 논문은 초기불교 경전에 나타나는 깨달음의 돈점 문제를 다룬다. 깨달음이란 인식의 전환을 통해 ‘괴로움이 소멸된 상태’에 이르게 해준다. 초기불교에서는 이것이 발현되는 양상에 관해 근기에 따른 차이를 인정한다. 정형화된 하나의 방식만을 고집하지 않으며 사람에 따라 서로 다르게 체험되는 깨달음의 사례에 대해 언급한다. 이러한 초기불교의 입장에서 볼 때 돈점을 둘러 싼 편 가르기 방식의 경직된 논쟁은 바람직하지 않다. 초기불교의 깨달음은 다양한 양상으로 나타나며, 바로 그러한 다양성이야말로 오히려 본래적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전제 아래 필자는 깨달음에 해당하는 다양한 용어들을 살펴보았다. 깨달음 (bodhi), 완전한 지혜(aññā), 반야(paññā), 지혜(ñāṇa), 두루한 앎(pariññā)과 체험적 앎(sacchikiriyā), 뛰어난 앎(abhiññā), 밝은 앎(vijjā), 깨어있음(anubodha) 등이 그것이다. 이들 중에서 일부는 궁극적인 완전한 깨달음을 지칭하며 다른 일부는 일상적인 차원에서 발현되는 인식의 전환을 묘사한다. 또한 필자는 초기불교를 대표할 만한 깨달음 사례로서 붓다가 밝힌 위없이 바르고 원만한 깨달음(無上正等正覺, anuttara-sammā-saṁbodhi)에 대해서도 살펴보았다. 전법륜품에서는 이것을 사성제의 실현으로 풀이하며, 또한 고성제ㆍ집성제ㆍ멸성제ㆍ도성제에 이르는 점차적인 과정으로 묘사한다. 필자의 고찰에 따르면 고성제의 실현은 두루한 앎(pariññā)을 통해 이루어지는 것으로 깨달음의 차원에 속하고, 집성제의 실현은 끊음(pahāna)을 통해 이루어지는 것으로 닦음의 차원에 배속된다. 또한 멸성제의 실현은 체험적 앎(sacchikiriyā)을 통해 이루어지는 것으로 깨달음의 영역에 속하고, 도성제의 실현은 그 자체로서 닦음(bhāvanā)의 영역에 해당한다. 필자는 이러한 사성제의 실현 과정이 확립된 절차로 나타나며, 더불어 시간적인 간격을 두고 순차적으로 이루어진다는 사실을 밝혔다. 이것을 통해 필자는 사성제를 내용으로 하는 위없이 바르고 원만한 깨달음이란 점오이며, 반복되는 선오후수(先悟後修) 혹은 두 겹의 돈오점수(頓悟漸修)의 구조를 취한다는 결론을 내렸다. 필자는 한국불교의 돈점논쟁은 한국불교만의 고유한 사정을 반영하며, 한국불교의 강인한 생명력을 의미하는 것일 수 있다고 생각한다. 그러나 이러한 논쟁이 건전성을 잃지 않기 위해서는 초기 불교 당시의 가르침을 참고할 필요가 있다고 본다. 한국불교의 돈점논쟁에서 핵심이 되는 질문은 “깨달음 이후 또 닦아야 하는가.”이다. 이것에 대해 보조지눌은 “몰록 깨달음을 얻고서 차례로 닦아 나간다.”라는 돈오점수를 내세웠고, “깨달음이 전제되지 않으면 참된 닦음이란 있을 수 없다.”라고 덧붙였다. 이러한 지눌의 주장은 사성제를 실제 내용으로 하는 초기불교의 위없이 바르고 원만한 깨달음 사례에 형식적으로 일치한다.

      • KCI우수등재

        중관학파에서 무상정등각의 성취

        남수영(Nam Soo young) 불교학연구회 2018 불교학연구 Vol.55 No.-

        불교의 여러 학파들은 불타의 가르침을 진리로 받아들이면서도 깨달음을 서로 다르게 해석함으로써 서로 논쟁하였다. 따라서 여러 불교 학파들의 깨달음 해석을 올바르게 이해하려면, 그들의 깨달음 해석을 그들 각자의 사상적인 맥락 속에서 고찰할 필요가 있다. 본 논문은 그런 필요에 따라 용수 및 월칭의 저술과 반야 계통의 경론을 중심으로 해서, 중관학파에서 설하는 무상정등각의 성취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대승불교에 속하는 중관학파에게 수행의 최고 목적은 무상정등각의 성취이다. 본래 초기불교에서 무상정등각이란 ‘사성제에 대한 최고의 올바르고 완전한 깨달음’을 의미하는 말이었지만, 􋺷대지도론􋺸에서 그것은 일체법의 총상과 별상을 모두 아는 지혜라는 의미로 사용되었다. 그리고 여기서 대승의 보살이 자신의 열반을 보류하고, 무상정등각의 성취를 바랐던 이유를 알 수 있게 된다. 왜냐하면 보살의 서원은 모든 중생을 걸림없이 제도하는 것이고, 그것은 무상정등각(=일체종지)을 성취함으로써 가능해지기 때문이다. 용수와 􋺷반야경􋺸에 의하면 무상정등각의 성취를 위해서는 세 가지 조건이 갖추어져야 한다. 그것은 자비심(慈悲心), 보리심(菩提心), 반야지(般若智)이다. 그 셋은 다음과 같이 관련되어 있다. 자비심은 보리심의 바탕이다. 왜냐하면 보살은 자비심 때문에 보리심을 일으키기 때문이다. 반야지는 자비심과 보리심이 성취되도록 돕는다. 왜냐하면 반야지는 보살의 자비와 육바라밀을 무희론과 무집착의 청정한 것으로 만들어 보살이 무상정 등각을 성취하도록 돕기 때문이다. 월칭의 􋺷입중론􋺸에 의하면 보살은 자비심, 보리심, 반야지를 바탕으로 제1환희지로 부터 제10법운지에 이르는 여러 단계에서 십바라밀을 완성하고 무상정등각을 성취함으로써 마침내 불지(佛地)에 도달하게 된다. 불지에 도달하여 불타가 된 보살은 무상정등각(=일체종지), 삼신(三身), 십력(十力)과 함께 사선(四禪), 사무량(四無量), 팔등지(八等至) 내지 십바라밀(十波羅蜜) 등의 여러 공덕을 갖추고 걸림없이 중생을 제도하게 된다. The Buddhist schools debated each other, interpreting the notion of enlightenment differently, while accepting Buddha’s teaching as truth. So, to understand correctly the enlightenment interpretations of Buddhist schools, it is necessary to examine their enlightenment interpretations according to their ideological contexts. According to such necessity, this paper examined the perfect enlightenment (無上正等覺) of Madhyamika, centering on the Madhyamika and Prajñāpāramitā literatures. For Madhyamika, the highest goal of practice is the achievement of perfect enlightenment. In early Buddhism, the perfect enlightenment refers to the perfect enlightenment on the four noble truths, however, in Mahā-prajñāpāramitā-śāstra (􋺷大智度論􋺸), it is used as the knowledge of the common and individual characteristic of all things, At this point, we can know why Mahāyāna Bodhisattvas wish the perfect enlightenment. According to Nagārjūna (龍樹, 150-250), three conditions must be met for the achievement of perfect enlightenment: the mercy for all creatures (慈悲心), the wish of perfect enlightenment (菩提心), and the knowledge of emptiness (般若智). The mercy for all creatures is a basis of the wish of perfect enlightenment. The knowledge of emptiness helps to complete the mercy for all creatures, which is followed by the wish of perfect enlightenment to be completed. According to Candrakīrti (月稱, 600-650), Bodhisattvas arrive at the Buddha stage (佛地) with achievement of the perfect enlightenment, which can be completed through the completion of 10 paramitas (波羅蜜多). The 10 paramitas can be achieved through 10 stages of practice from the 1st joy-stage (歡喜地) to the 10th truth-cloud-stage (法雲地), based on the mercy for all creature, the wish of perfect enlightenment, and the knowledge of emptiness. A Bodhisattva who attains the Buddhahood keeps the perfect enlightenment and many other strengths to save all creatures freely.

      • KCI등재후보

        大韓帝國 초기 文明開化論의 발전

        金度亨(Kim Do-Hyung) 한국사연구회 2003 한국사연구 Vol.121 No.-

        The "civilization and enlightenment" theories that were first presented by the central figures of the Kapsin coup in the early 1880s lasted throughout the Kabo reforms and continued to spread by the time of the Great Han Empire. Particularly after Japan emerged victorious in the Sino-Japanese War, they began to concentrate even more on the course of enlightenment, on the direct and indirect experience of enlightenment, and look towards the wealth and might of the United States. Their enlightenment theories were systemized in the newpapers Tongnip sinmun and Meeil sinmun. Advocates of these enlightenment theories based their ideas on Social Darwinism, attempting to pursue the enrichment and strengthening of their nation as well as maintain their independence. They emphasized the need for the active adoption of Western civilization for this purpose. The Western civilization they wanted to adopt included technology, of course, as well as social customs, politics and religion, but they also went so far as to apply everything Western to public lifestyles and behavior, clothing types, and the appearance of urban areas. Within this atmosphere, the strongest emphasis was placed on politics and religion. In other words. in adopting Western political theory. they demanded the expansion of popular rights and the reform of political institutions while simultaneously enforcing a belief in Christianity which was at the basis of these theories. The society that they wanted to establish was ultimately the capitalist society of Western nations. They called this process of Westernization the "civilizing" process or "enlightenment" and held Japan and in extreme cases held the US as the model. Towards this goal, they planned self-strengthening, through the expansion of trade and commerce, strengthened education and increased enlightenment activities, thereby saturating the populace with their reform theories and expanding their power base for their leadership. On one hand, their enlightenment theories were also a way of fortifying their own class position. Although they advocated the expansion of popular rights, this was based on the preservation of the landlord-peasant system and opposed popular participation in politics and the use of military force. They viewed mass political participation as possible only after a period of education. In this regard, the movement to establish a national assembly had serious limitations from the very outset. Furthermore, their ideas of "civilization and enlightenment" were not unrelated to their ideas of "independence" in that after the Sino-Japanese War, their "enlightenment" for the sake of independence was unable to negate the imperial power of the Great Han Empire. Therefore, through such symbols of independence, they emphasized the expansion of military rights and even as they discussed popular rights they simultaneously supported the maintenance of "autocratic imperial rights". The enlightenment reform theories that were pursued as part and parcel of the civilization and enlightenment theories can be differentiated from pyonbi5p (legal reform) theory that had currency around the time that the Hwangsong sinmun was published. According to the pyonbi5p theory. Western political theory was to be applied only to a foundation based on pride in traditional history and culture. and reliance upon Confucianism. Although these two types of modern reform theories were combined in the course of the enlightenment movement ikremons un dong) that unfolded after 1905 in an effort to regain Korea's national rights. these two followed a divided path upon annexation. The manifestation of this division was further related to the conflicts surrounding the problems with opening the country and the cultivation of indigenous industries that were introduced together with the enlightenment theories.

      • KCI등재

        초월적 자각과 깨달음(覺) -칸트철학과 불교사상을 중심으로-

        강성률 ( Seong Ryool Kang ) 한국동서철학회 2011 동서철학연구 Vol.62 No.-

        칸트에 의하면, 외적 사물에 대한 인식은 우리 자신의 내적 자발성에서 유래한다. 이것은 결국 깨달음이라는 인식의 태도가 일종의 자기 인식에 대한 스스로의 확인이라는 점에서 불교에서 말하는 깨달음의 개념과 거의 동일하다고 볼 수 있다. 본고는 이러한 관점에서 칸트가 말하는 초월적 자각과 불교에서 주장하는 깨달음에 대해 살펴보고자 하였다. 먼저 판단하는 능력으로서의 지성이 우리 가운데 존재한다는 사실은 우리 인간에게 선천적인 자발성이 있음을 인정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런데 이 지성은 판단하는 능력이며, 이러한 지성에 의해 의식의 통일이 있어야만 모든 인식들이 우리에게 성립할 수 있다. 바로 이 순수하고 근원적이며 불변적인 의식을 칸트는 초월적 자각이라 불렀다. 여기에서 지성에 관하여 모든 직관을 가능케 하는 최상원칙이란 직관의 모든 다양이 자각의 근원적, 종합적 통일이라는 조건에 따른다는 것이다. 다시 말하면, 우리가 현실에서 경험하는 모든 외적 대상 혹은 내적인 의식의 흐름까지도 오성이 그 근원이 되는 자각 작용 없이는 전혀 불가능하다는 것이 된다. 여기에서 이른바 초월적 자각이 없고서는 사유 자체가 불가능하다는 결론이 나온다. 왜냐하면 주어진 표상들이 내가 생각한다 라는 자각의 작용을 통유(通有)하지 않으면 하나의 자기의식 속에 총괄되어 있지 않을 것이기 때문이다. 불교의 최상 목표는 보리 또는 각(覺, 깨달음)을 얻는 것이다. 깨달음이야말로 불교의 궁극적 목표이자 최고의 이상적 단계이다. 그렇다면 과연 칸트가 말한 초월적 자각과 불교에서 말하는 깨달음과는 어떤 관계에 있는가? 불교에서 사문들이 수많은 고통과 번잡함을 인내하며, 외적인 간섭과 제재를 감수하고서도 끝내 도달하고자 했던 궁극적 목표는 각자(覺者), 깨닫는 자가 되는 것이었다. 그러나 깨달음에 도달하는 데에는 보통 점오성불론(점차적으로 각 단계를 거쳐 부처에 이를 수 있다고 주장하는 이론)과 돈오성불론(어느 순간, 갑자기 부처의 경지에 도달할 수 있다는 것)이 있다. 성불이란 멀리 떨어져있는 두 바위 사이를 발딱 뛰어넘는 것처럼, 순간적으로 일어나야 한다는 것이 후자의 주장이다. 칸트에 의하면, 직관에 의하여 주어진 다양이 결합되어서 하나의 대상을 표상하기 위해서는 이러한 다양이 선험적 통각 밑에로 넣어져서 통일되어짐으로써만 가능하다고 보았다. 이렇게 본다면, 초월적 자각은 모든 가능한 직관의 다양에 종합적 통일의 원리를 주는 것이 된다. 그리고 사물에 대한 최종적이고 근원적인 인식이란 결국 우리 자신의 내적 자발성에서 유래하는 바, 이것은 결국 깨달음이라는 인식의 태도가 일종의 자기 인식에 대한 스스로의 확인이라는 점에서 불교에서 말하는 깨달음의 개념과 거의 동일하다고 말할 수 있다. 나아가 깨달음에는 또한 가치의 판단이 개입되어 있게 마련이다. 즉, 불교에 있어서 깨달음의 의미는 그 내용이 진리 또는 진실이라고 포괄적으로 표현될 때이다. 이렇게 본다면 결국 깨달음이라고 하는 것은 ``진리를 깨우쳤음을 스스로 의식하는 일``이 되겠다. 결국 칸트에서의 초월적 자각이 모든 인식의 근원이었다면, 불교에서 말하는 깨달음이란 해탈과 열반의 경지에 이르는 것이고 결국 그것은 불교의 최고 정점, 부처(깨달은 자, 覺者)가 되는 길이었다. According to Immanuel Kant, human perception on the external matter is derived from internal spontaneity. It is similar to Enlightenment in Buddhism in a way that the attitude towards perception of Enlightenment is a sort of a self-confirmation on self-perception. In this regard, transcendental apperception and Enlightenment in Buddhism are going to be discussed here. Above all, human understanding as a reasoning ability means that it should be admitted that a human being has an innate spontaneity. This human understanding is ability to reason and all perceptions can be made to a person with connection of consciences by human understanding. Kant called this pure, original and unchanged conscience as transcendental apperception. The most superior principle here to make all perceptions possible about human understanding is that every aspect of shape and method of an intuition is upon a certain condition that apperception is connected in original and comprehensive way. In other words, all external matter or even internal flow of conscience that a person experiences in real life cannot exist without its origin, apperception activity on human understanding. As a result, it can be said that thinking is impossible without so called transcendental apperception. Because the given ideas cannot be summarized inside one`s conscience unless a common possession of the apperception activity as I think. The ultimate aim of Buddhism is to get Bodhi, the Supreme Enlightenment or wisdom (覺). Enlightenment is the final object and supreme and ideal step in Buddhism. Then what relations are between transcendental apperception of Kant and Enlightenment in Buddhism? Every Buddhist monk endures all the sufferings and complications, putting up with all external bother and restrictions against them to reach to the level of being the Enlightened One (覺者). However, there are two ways to become one: a gradual theory that you can be one by stepping each level and a sudden theory that you can be one at one day. The latter argues that the attaining Buddhahood should happen in a moment as you jump from one rock to another in a far distance. Kant saw that existence of an idea of an object with several shapes and methods combined that are given by an intuition can be only achieved by those combined being under the transcendental apperception. In this view, transcendental apperception provides the principle of comprehensive connection to every possible shape and method of an intuition. And the final and fundamental perception on things originates from innate spontaneity. So it can be said, after all, that it is almost the same to the concept of Enlightenment in Buddhism in a way that attitude towards perception as Enlightenment is kind of a self-confirmation on self-perception. Moreover, a value judgment is naturally involved in Enlightenment. That means the meaning of Enlightenment is in the moment itself when it is expressed as it is the truth in a comprehensive way. If so, Enlightenment is "self-sensing that one has realized the truth." Therefore, when transcendental apperception is the origin of every perception in Kantianism, the Enlightenment in Buddhism is becoming a certain level of nirvana, which is the way to the ultimate point of Buddhism, to become the enlightened one (Buddha).

      • KCI등재후보

        한국사상(韓國思想) 철학(哲學) : 한국 불교에 있어서의 돈점논의와 운봉대지(雲峰大智)선사

        정영식 ( Young Sik Jeong ) 한국사상문화학회 2013 韓國思想과 文化 Vol.68 No.-

        중국에서의 돈점논쟁은 돈오와 점오사이의 논쟁이지 수행과정과 관련된 것은 아니었다. 돈오돈수와 돈오점수 사이의 대립과 논쟁은 중국과 일본에는 없는 한국선의 특징이다. 또 돈오돈수를 강조하는 것이 한국선의 특질인데 그것은 조사선을 강조하기 때문이며, 조사선의 본질이 바로 돈오돈수이다. 한국에서 돈오돈수가 처음 나타나는 것은 禪門寶藏錄인데, 선문보장록은 조동선에 근거해서 교에 대한 선의 우위를 주장하는 것이 특징이다. 조선시대에 들어와서는 돈오점수론자들이 많았는데, 청허휴정도 그 중의 한사람이다. 조선시대의 돈오돈수론자로서는 雲峰大智(1606?∼1690?)를 들 수 있는데, 그는 독특한 돈오돈수설을 주장한다. 그는 수행의 과정을 頓悟漸修로 설명하면서도, 漸修를 다시 頓修→證悟로 분석하고 있다. 즉 수행의 과정을 頓悟→頓修→證悟의 3단계로 이해하고 있다. 또한 상근기와 중하근기의 수행과정이 달라서, 상근기의 경우는 돈오 시에 바로 수행이 완성되므로(修悟一時), 이때의 돈오는 證悟이며 돈수는 事에 대한 돈수이다. 반면에 중하근기의 돈오란 解悟이며 돈수는 理에 대한 돈수이다. 따라서 頓修後證悟라는 漸修의 과정을 거쳐야한다고 말한다. The sudden-gradual argument in Chinese Buddhism was one between sudden and gradual enlightenment, but not one related with a cultivation process. The conflict between sudden enlightenment/ sudden cultivation and sudden enlightenment/ gradual cultivation has occurred typically in Korean Seon, but not in Chinese Chan and Japanese Zen. As a matter of fact, an emphasis on sudden enlightenment/ sudden cultivation is characteristic of Korean Seon, which stresses Patriarchal Chan, and the essence of the Patriarchal Chan was the very sudden enlightenment/ sudden cultivation. It was in the Seonmun bojang nok (Records of Precious Treasures of Seon) that the idea of sudden enlightenment/sudden cultivation appeared for the first time in the Korean peninsula. This book based on the Chan of Cao-Dong school stresses that Seon is prior to Gyo (doctrine). Toward the Joseon Dynasty, there were lots of those who advocated sudden enlightenment/ gradual cultivation, one of whom was Master Cheongheo Hyujeong. As for an advocate of sudden enlightenment/ sudden cultivation during the Joseon, there was Master Seolbong Daeji(●1606?∼1690?), who asserted his own unique theory of sudden enlightenment/ sudden cultivation. While explaining the whole cultivation as a process of sudden enlightenment/ gradual cultivation on the one hand, Seolbong analyses the gradual cultivation further into a sudden cultivation and a full enlightenment(jeung-o) on the other. In other words, he suggests the whole cultivation is composed of three phases, namely sudden enlightenment, sudden cultivation and full enlightenment. Furthermore, according to him, those of high and middle capacities are different in their cultivation process. For those of high spiritual ability, as they can complete their cultivation at the moment of sudden enlightenment, such a state is full enlightenment and the sudden cultivation of this sort is referred to as that for function. On the contrary, for those of middle and low capacity, their sudden enlightenment refers to understanding enlightenment(hae-o) and the sudden cultivation at this time is that for essence. Accordingly he states that one should go through gradual cultivation, which means full enlightenment after sudden cultivation.

      • KCI등재

        검도 깨달음의 구조에 관한 연구 -후설(Husserl)의 현상학적 관점에서-

        이상호 ( Sang Ho Lee ),박동철 ( Dong Chul Park ) 대한무도학회 2012 대한무도학회지 Vol.14 No.1

        본 연구는 검도 깨달음의 구조에 관한 연구이다. 검도에서 깨달음은 심신일여의 체험과 인격완성을 그 목적으로 하고 있다. 하지만 구체적으로 깨달음을 얻기 위한 방법론이나 깨달음이 무엇인가에 대한 근본적인 질문에는 목적론적이고 동의반복의 의미만 제시하였다. 이는 결국 검도철학이 지향해야 할 이론적 근거의 결핍으로 나타났고 검도가 지향해야 할 실천적 방법을 충족시키지 못하는 결과를 초래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후설의 현상학적 방법이라는 틀로 검도 깨달음의 구조를 설명하였다. 현상학적 방법은 사실 그 자체가 가지고 있는 본질을 드러내는 실천적 과정이며, 그 방법의 이론적 총체를 의미한다. 마찬 가지로 검도는 검도수행을 통해 검도가 가진 본질적인 의미, 즉 깨달음을 구현해야 한다는 점에서 현상학적 방법은 의미가 있다. 따라서 현상학적 방법을 토대로 한 검도 깨달음의 구조는 엄밀한 이론적 타당성을 가지고 실천적 방법의 제시를 충족시킬 수 있는 유용한 방법이 될 수 있다. 특히 후설의 판단중지와 환원의 방법은 정신적인 깨달음을 이해할 수 있는 방법적 의미를 가지며, 발생론적 현상학에서 보여준 인격적 자아의 태도를 생활세계에 적용함으로써 검도철학을 형성할 수 있는 하나의 방법이 될 수 있다. 검도 깨달음의 경지를 체득하는 것은 의식작용의 결과이다. 하지만 의식은 신체를 전제로 한다는 점에서 신체가 가진 역할을 설명해야 한다. 신체 깨달음의 출발은 초월론적 신체의 의미로 설명할 수 있다. 신체가 가지는 초월적 자아는 감각적 의식기관이며, 주체적 실천 행위의 의지적 기관이다. 신체의 역할은 감각과 무의식 행위의 기반 그리고 더 나아가 의지기관을 가능하게 하는 운동감각을 가진다. 또한 신체는 사회관계에서 인격완성을 위한 상호주관성의 의미를 가진다. 이러한 신체의 능력을 기반으로 검도에서 깨달음의 구조를 두 가지 방향으로 제시하였다. 하나는 의식세계에서 순수자아를 기반으로 검도 수행의 과정을 통하여 심신일여의 체험과 깨달음의 의미를 밝히는 것이며, 다른 하나는 생활세계에서 검도 수행을 통한 인격자아의 완성과 깨달음의 의미를 어떻게 이론적 근거와 실천적 방법으로 타당성을 획득할 수 있는가를 확인하는 것이다. 깨달음이라는 관점에서 본다면 전자는 깨침의 과정이며, 후자는 닦음의 과정이다. 하지만 깨침과 닦음은 나눌 수 있는 것이 아니라, 깨달음을 얻기 위한 상호토대이며 깨달음을 얻기 위해 설명하는 방법이다. 서로 포개어 덮을 수 있는 원리(nesting principle)가 적용된다. 동양적인 사상을 기반으로 검도에서 깨달음의 구조를 닦음과 깨침을 설명할 수 있다는 것은 서양의 스포츠와는 다른 동양무도의 검도학의 이론적 체계 형성에 일조할 수 있다. 이를 통해 검도가 하나의 학으로 성립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lineate the structure of Enlightenment in Kumdo. The purpose of Enlightenment in Kumdo is the unit of mind and body and the completion of character. But its concrete methodology did not present in what Enlightenment is, only suggested the teleological meanings and tautology. This incurred the deficiency of theoretical foundation directing the philosophy of Kumdo and not satisfied the practical method of it. As one of solutions, I seek to explain the structure of Enlightenment in Kumdo by phenomenological approach. Phenomenological method is practical process and theoretical aggregation representing the essence which has "to the thing themselves". Phenomenological method is meaningful to realize the Enlightenment by which cultivation of Kumdo seeks its essence. The structure of Enlightenment in Kumdo based on phenomenological method will be useful, rigorous, and theoretical adequacy. And fulfill the necessity of practical method. Especially the meanings of epoche and reduction have the methodological meaning to understand the conscious Enlightenment. As the attitude of personal self applies to the life-world in genetic phenomenology, which is one of methods to build the philosophy of Kumdo. To embody the Enlightenment of Kumdo is the result of conscious operation. But consciousness is to presuppose the material body. Therefore we need to explain the body`s role. The departure of Enlightenment in body is to explain the meaning of the transcendental body. Transcendental-self having body is in the charge of the role of sensuous consciousness and volitional role in practical behavior. The body of Kumdo discipline has basically kinesthesia, which describes the roles that are unconscious behavior and passive meaning of sensation and positive will, which are the departure of enlightenment. Also, body is meaning of inter-subjectivity to personal integration in the social relation. On basing the capabilities of body, I will suggest two directions. One verifies the meanings of experiencing the unification of mind and body and Enlightenment through the process of Kumdo cultivation based on pure-self. The other certifies the completion of persona-self and meaning of Enlightenment get the validity as the theoretical grounds and practical methods in life-world by the Kumdo cultivation. The former is a process of kkaechim (breakenness), the latter is a pocess of ttaeum (practice). There are not procedural priority in the kkaechim and ttaeum. Kkaechim has to ttaeum, simultaneously ttaeum has to kkaechim. These show to be applied as the nesting principle each other. To explain the structure of Enlightenment in Kumdo by kkaechim and ttaeum, they will contribute to establishment of the Kumdo`s study as theoretical basis. This is a different with the theoretical approach showing in sports in the Western.

      • 『대승기신론(大乘起信論)』「해석분(解釋分)」의 각(覺)에 대한 고찰

        강대현 ( Kang Dae-hyun ) 위덕대학교 밀교문화연구원 2015 密敎學報 Vol.16 No.-

        『대승기신론』「해석분」은 현시정의ㆍ대치사집ㆍ분별발취도상으로 구성되어 있다. 현시정의에는 중생심에 대한 올바른 이치를 심진여문과 심생멸문을 통하여 나타내고 있는데,특히 심생멸문에서 나타나는 중생심의 생멸상을 심도있게 분석하고 있다. 깨달음[각]은 진 여문이 아니라 생멸문에서 논의되는 사안이기 때문이다. 생멸문안에는 자성청심인 본각을 비롯한 무명으로 덥혀 있는 불각,종국에는 불생불멸의 여래장이 진여와 같아지는 구경각, 그리고 불각으로 부터 구경각으로 나아가는 과정에서의 상사각과 수분각 등 이른바 각의 차제가 설해지고 있다. 다시 말해서 불각ㆍ상사각ㆍ수분각ㆍ구경 각을 통틀어 시각이라고 하는데, 본각은 각의 가능성을 제시한 원리 이며, 또한 불각도 본래부터 불각이 아니다. 따라서 본각으로의 회복을 찾아주는 각의 원리에 시각의 차제등장함으로써, 불각으로 부터 시작하여 구경각에 이르는 도정에서, 그 차제가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The Branch for Explain in Mahayanasraddhotpadasastra, it is composed of □the traditional or accepted viewpoint of a Mahayana dharma[현시정의]ㆍ□the correction of mistaken attachment[대치사집]. □the clarification of the determination to follow the way [분별발 취도상]. There is the exact meaning of the mind of sentient beings shows an example of a true thusness aspect of the mind and arising and ceasing aspect of the mind in □, especially, there is a very detailed analysis of the arising and ceasing aspect of the mind of the mind of sentient beings appear in □. Because Enlightenment is a matter to be discussed in arising and ceasing aspect of the mind. There are explained the order of Enlightenment in the arising and ceasing aspect of the mind, such the original en觸tenment [본각] of original purity, the non―enlightenment[불각] of in the darkness of ignorance, the ultimate enlightenment [구경각], the semblance enlightenment [상사각] and the approximate enlightenment [수분각] and so on. In other words, These four collectives referred to as the initial enlight-enment [시각],the original enlightenment is a principle that suggests the possibility of Enlightenment, also the non-enlightenment nor the non-enlightenment from the original. It has appeared on the order of Enlightenment to the original enlightenment with the principles of Enlightenment which connects the gap the non-enlightenment, thus, the initial enlightenment was a very important role in the process of recovering the original enlightenm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