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來庵 鄭仁弘 政治 哲學思想과 功業의 位相 硏究 - 중국의 北宋 范仲淹, 越南의 黎朝 阮를 비교하며 -

        권인호 동양철학연구회 2008 東洋哲學硏究 Vol.53 No.-

        유학은 사람에게 필수적이고 실학적인 학문이다. 즉 유학사상의 종지는 『대학』에서 말하는 ‘수기치인’으로서 구체적으로 ‘경세사상’이라고 할 수 있다. 이 논문의 중심 연구대상 인물인 정인홍은 조식의 수제자이자 조선 중기 강우학파(남명학파)의 대표적 인물이다. 또한 그는 선조 말년에서 광해군 시대 대북파의 영수이고 임진왜란 때 제일의 의병장이며 조선조 산림정치의 효시를 이룬 인물이다. 그의 정치철학과 학문사상 및 공적과 업적은 한 마디로 ‘출장입상(出將入相)’으로 표현될 수 있는 국가와 사회에 공업을 이룩한 사람이다. 그것은 조선 후기 실학적 사상과도 연결되는 특징을 가진다. 정인홍이 효렴과 탁행으로 이른바 ‘오현사’의 한 사람으로 발탁되어, 남명 조식의 유교적 민본과 실천적 학문사상을 이어받아 출사하였던 시대적 중요성의 의의를 부각할 수 있는 바탕을 가진다. 이를 보다 구체적으로 정인홍이 경연 강의와 상소문에서 시폐에 대한 광정을 개진하고 ‘당대 최고의 선정관’ 및 기축옥사의 올바른 처리와 임진왜란 때 창의하여 의병장으로 실천하는 모습을 재조명 해본다. 정인홍은 올바른 유학자상을 지녔으면서도 파란만장하고 불행한 개인의 생애를 중국 북송 시대 범중엄과 월남의 려조 완채에 비교하여 연구하였다. 일찍이 사마천의 『사기』 「공자세가」에 “문사가 있는 자는 반드시 무비가 있는 법이다.”라는 말에서 ‘출장입상’이라는 공통점을 정인홍과 범중엄 그리고 완채를 비교 연구하기에 알맞은 인물이다. 범중엄에 대해 사고전서제요 등에서도 극찬하였는데, 그의 정치사상으로는 ‘선우후락’ 사상으로 유학의 민본사상을 바탕으로 한 것이었고 대략 ‘그의 인품과 행사는 시대에 매우 탁월하였다. 베트남의 완채가 지은 「평오대고」의 전체적인 요지는 중국 명나라의 침략에 맞서 월남의 독립을 이루어 나가는 역사적 쾌거 사실을 기록하였다. 여기에 도도히 흐르는 그 핵심 주제는 유학적 민본사상이었다. Confucianism is essential and practical science for the people. Therefore, the core of Confucian thought is 'Self-Cultivation and the Ordering of Society'(修己治人) in the Great Learning(『大學』) or the 8administration thought(經世思想). But the study of Confucianism and ancient sages in Joseon have attached weight to Neo-Confucianism of Song period and the people who are related to that. Jeong In-hong(鄭仁弘, 1535-1623) who is the central figure of this study was Cho Sik(曺植,1501-1572)'s best pupil and representative person of the School of Right-river(江右學派[the School of Nam-myeong 南冥學派]) in the middle period of Joseon . ‘To become a general outside, to become a prime minister inside(出將入相)' is the expression of His political philosophy, learning and achievement are expression. He distinguished himself at the country and society. That result was connected with practical science in the latter period of Joseon. I studied his political philosophy and achievement in comparison with Fan Zhong-yan(范仲淹, 989-1052) in the North Song dynasty, China and Nguyen Trai(阮廌, 1380-1442) in the Le Dynasty, Vietnam. Fan Zhong-yan won high praise by Sikuquanshutiyao 四庫全書提要. This material said that his personality and behavior were excellent of the times. The core of His political philosophy is the thought of 'Feel anxiety first, enjoy later(先憂後樂)' that was based on democratic thought of Confucianism. Nguyen Trai recorded historical fact of brilliant that resist Ming dynasty, China and achieve independence of Vietnam in 「BinhNgoDaiCao 平吳大誥」. The main theme of this record is democratic thought of Confucianism.

      • KCI등재

        내암(來庵) 정인홍(鄭仁弘) 정치(政治) 철학사상(哲學思想)과 공업(功業)의 위상 연구(位相 硏究) : 중국의 북송(北宋) 범중엄(范仲淹), 월남(越南)의 려조(黎朝) 완치(阮치)를 비교하며

        권인호 ( In Ho Kwon ) 東洋哲學硏究會 2008 東洋哲學硏究 Vol.53 No.-

        유학은 사람에게 필수적이고 실학적인 학문이다. 즉 유학사상의 종지는 『대학』 에서 말하는 `수기치인`으로서 구체적으로 `경세사상`이라고 할 수 있다. 이 논문의 중심 연구대상 인물인 정인홍은 조식의 수제자이자 조선 중기 강우학파(남명학파)의 대표적 인물이다. 또한 그는 선조 말년에서 광해군 시대 대북파의 영수이고 임진왜란 때 제일의 의병장이며 조선조 산림정치의 효시를 이룬 인물이다. 그의 정치철학과 학문사상 및 공적과 업적은 한 마디로 "출장입상(出將入相)"으로 표현될 수 있는 국가와 사회에 공업을 이룩한 사람이다. 그것은 조선 후기 실학적 사상과도 연결되는 특징을 가진다. 정인홍이 효렴과 탁행으로 이른바 `오현사`의 한 사람으로 발탁되어, 남명 조식의 유교적 민본과 실천적 학문사상을 이어받아 출사하였던 시대적 중요성의 의의를 부각할 수 있는 바탕을 가진다. 이를 보다 구체적으로 정인홍이 경연 강의와 상소문에서 시폐에 대한 광정을 개진하고 `당대 최고의 선정관` 및 기축옥사의 올바른 처리와 임진왜란 때 창의하여 의병장으로 실천하는 모습을 재조명 해본다. 정인홍은 올바른 유학자상을 지녔으면서도 파란만장하고 불행한 개인의 생애를 중국 북송 시대 범중엄과 월남의 려조 완채에 비교하여 연구 하였다. 일찍이 사마천의 『사기』 「공자세가」에 "문사가 있는 자는 반드시 무비가 있는 법이다."라는 말에서 `출장입상`이라는 공통점을 정인홍과 범중엄 그리고 완채를 비교 연구하기에 알맞은 인물이다. 범중엄에 대해 『사고전서제요』 등에서도 극찬하였는데, 그의 정치사상으로는 `선우후락` 사상으로 유학의 민본사상을 바탕으로 한 것이었고 대략 `그의 인품과 행사는 시대에 매우 탁월하였다. 베트남의 완채가 지은「평오대고」의 전체적인 요지는 중국 명나라의 침략에 맞서 월남의 독립을 이루어 나가는 역사적 쾌거 사실을 기록하였다. 여기에 도도히 흐르는 그 핵심 주제는 유학적 민본사상이었다. Confucianism is essential and practical science for the people. Therefore, the core of Confucian thought is `self-Cultivation and the Ordering of Society`(修己治人) in the Great Learning(『大學』) or the 8administration thought(經世思想). But the study of Confucianism and ancient sages in Joseon have attached weight to Neo-Confucianism of Song period and the people who are related to that. Jeong In-hong(鄭仁弘, 1535-1623) who is the central figure of this study was Cho Sik(曺植,1501-1572)`s best pupil and representative person of the School of Right-river(江右學派[the School of Nam-myeong 南冥學派]) in the middle period of Joseon. `To become a general outside, to become a prime minister inside(出將入相)` is the expression of His political philosophy, learning and achievement are expression. He distinguished himself at the country and society. That result was connected with practical science in the latter period of Joseon. I studied his political philosophy and achievement in comparison with Fan Zhong-yan(范仲淹, 989-1052) in the North Song dynasty, China and Nguyen Trai(阮치, 1380-1442) in the Le Dynasty, Vietnam. Fan Zhong-yan won high praise by 『Sikuquanshutiyao 四庫全書提要』. This material said that his personality and behavior were excellent of the times. The core of His political philosophy is the thought of `Feel anxiety first, enjoy later (先憂後樂)` that was based on democratic thought of Confucianism. Nguyen Trai recorded historical fact of brilliant that resist Ming dynasty, China and achieve independence of Vietnam in 「BinhNgoDaiCao 平吳大誥」 The main theme of this record is democratic thought of Confucianism.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