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여말선초의 불교서사와 유교의 관계

        김진영 어문연구학회 2013 어문연구 Vol.78 No.-

        이 논문은 여말선초 불교서사의 전승양상을 검토한 다음, 불교서사의 전승과 유교의 관계를 문학사적인 측면에서 살펴본 것이다. 첫째, 유교적인 이념이나 강상(綱常)을 담은 불교서사가 여말선초에 집중적으로 전승된 것은 정치나사상적으로 큰 변화가 있었기 때문이다. 이때부터 불교가 지배적인 종교에서 밀리고 신진사대부들이 유교를 앞세워 중세의 통치 질서를 마련하기 시작했다. 이에 불교계에서는 스스로의 입지를 강화하는 치원에서 변화를 모색할 수밖에 없었고, 이것이 불교서사에 유교적인 이념을 담게 된 동인이다. 그렇게 함으로써 불교도 유교와 다르지 않음을 항변하면서 위기상황을 타개하고자 한 것이다. 둘째, 여말선초의 불교서사는 작품집과 단독작품으로 전승되었다. 작품집에는 중단편의 불교서사가 다수 이입되어 있다. 이러한 불교서시는 시대상을 반영하여 유교에서 중시하는 내용을 수렴해 놓았다. 단독작품으로 유전된 것도 모두 유교에서 백행의 근원이라고 여기는 효행을 전면에 내세워 다루었다. 셋째, 여말선초 불교서시는 유학자들이 중시하는 내용을 담고 있어 시대상황에 적절히 대응했음을 알 수 있다. 이는 유교의 득세와 불교의 위기가 불교서사를 발양하는 촉매제가 되었음을 의미하는 것이다.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 불교도 유교와 다르지 않음을 불교서사를 통해 항변한 것이라 하겠다. 불교서사에서 우리의 역사는 물론, 유교의 이념이나 강상을 다룬 것도 바로 그러한 사정 때문이다. 이렇게 내용적인 변화를 모색하다가 조선 후기에 들어와 유교를 더 전격적으로 끌어들이면서 불교소설보다는 유교소설적인 특정이 더 강화된 것이라 하겠다. This thesis is studied about transmission aspects of Buddhism narration in the end of the koryo dynasty and early chosun dynasty, and the relationship of Buddhism narration's transmission and Confucianism is considered in terms of history of literature. The main content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ransmission background of Buddhism narration is like that. The Buddhism narration that is contained Confucius ideology or morality is focused in the end of Koryo dynasty and early chosun dynasty. Because this time has some variation of politics or thought. And this time Buddhism is expelled from dominant position, rising nobility pivoted on Confucianism. And with this they made a new ruling order. So in Buddhism they could have changed themselves for their position, this is become the agent that Buddhism narration has Confucius ideology. By so doing, Buddhism protested that they weren't different from Confucianism.. Second, it is considered about transmission aspects of Buddhism narration. First for the transmission, Buddhism narration is distributed various collection of works. In these works, novella and short stories of Buddhism narration are imported. These Buddhism narration reflected the phases of the times, so is came under important contents of Confucianism. Therefore these works are put up the filial behavior that is most important in Confucianism. In the second place, the intervention reason of Confucianism is confirmed in contents of transmission. On investigation of every works, they have Confucian scholar's important contents, so this is right for state of a period. Third, in the end of the koryo dynasty and early chosun dynasty the ruling ideology is changed Confucianism from Buddhism. Such being the case, Buddhism narration is made for their autogenous power. So Confucianism power and Buddhism crisis are become catalyst that Buddhism narration is raised. To overcome a crisis, Buddhism narration protested that Buddhism didn't differ from Confucianism. This being so, it is treated our history and ideology of Confucianism in Buddhism narration. And this means that Buddhism narration would be greatly diversified. Like this way Buddhism narration is seeking of change, they attracted Confucianism electrically more in latter period chosun dynasty. Therefore Buddhism narration has been strength of Confucianism novel's characteristic.

      • KCI등재

        春亭 卞季良의 敎化詩 一考察

        조영린(Cho Young Rin) 동아인문학회 2016 동아인문학 Vol.37 No.-

        이 논문은 조선 초기의 대표적 유학자인 春亭 卞季良의 漢詩를 교화적인 내용으로 살펴본 글이다. 이 논문에서 춘정 변계량의 敎化詩에 주목하는 이유는 그가 주로 활동했던 시기가 성리학적 유교주의를 표방하는 麗末鮮初의 교체기로서 그의 문학이 이러한 過渡期的 문학의 특성을 고스란히 담고 있으며 鮮初의 문학사적 전환을 예고하는 대표적인 사례이기 때문이다. 조선 초기 臣.民의 복속과 일체감을 유도하기 위해 관각의 대표적 문신들이 수행했던 기본적인 작업은 민본주의에 입각한 애민정책으로 농민들의 생활안정을 위한 重農政策과 성리학을 기본이념으로 하여 敎化를 강조하는 敎化儒敎의 정책이었다. 춘정은 이러한 교화정책을 실천하여 그의 문집에 많은 교화시를 저작하였는데 그의 시 가운데 교화시를 군주의 각성과 규계를 위한 교화시, 사대부의 태도와 임무에 대한 교화시, 애민의식 고취에 대한 교화시 등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춘정의 이와 같은 교화시를 통한 계몽의식은 고려에서 조선으로 교체되는 격동의 시기에 민심을 수습하고 사회전반의 안정을 꾀함으로써 태평성대의 기반을 다지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고 할 수 있다. 결국 춘정의 敎化詩는 性理學을 수용하여 기존세계의 변혁과 성리학적 인격으로 새로운 인격적 정립을 기도하고자한 王朝交替期 지식인들의 啓蒙的인 문학과 그 의미가 통한다고 할 수 있다. 려말선초의 변혁기 문학은 도학적 사유를 기반으로 한 유교지향적인 특성을 지니는 시기로 그의 시 세게는 이러한 시대적 배경으로부터 기인한 것이라고 사료된다. 더구나 이 시기는 사림파 학자들이 成宗代 이후에 중앙 관계에 진출하고 學脈으로서의 면모를 다지기 이전의 시기로서 사림파 학자들의 선구로서 후대에 전개될 사림파 철학을 배태하는 의미로서 부각될 수 있다. This paper was edifyingly researched about the representative Confucian scholar Choonjeong(春亭) Byeongyeryang(卞季良) in the early years of the Chosun Dynasty. The reason why the Choonjeong Byeongyeryang’s edification poetry received attention is that his literatures have the literature’s characteristic in a transition period(過渡期的) as the transition in the end of the koryo dynasty and early chosun dynasty(麗末鮮初) claiming the confucian confucianism and the typical example to herald the literary’s switch of early chosun dynasty(鮮初). The office’s representative civil service’s basic primary tasks to induce the sense of unity and the obedience of retainers and people(臣・民) in the early chosun dynasty was the policy of cherishing agriculture(重農政策) for living’s stability of farmers with the policy of loving people on a democratic basis and the policy of edification of Confucianism(敎化儒敎) emphasizing edification(敎化) based on the basic ideology of Neoconfucianism. Choonjeong wrote a lot of poetries of edification in the collection of his work by practicing this policy of edification. It was partitively searched such as the edification poetry for the awakening of sovereign, the edification poetry for Scholar-gentry class’s the attitude and duty and the edification poetry for inspiring the sense of loving people and so on in his poetries. It can be said that the sense of enlightenment through Choonjeong’s edification poetry such of type played an important role for the establishment of the piping times of peace as handling public unrest at the tumultuous period to replace from the koryo dynasty to the chosun dynasty and making an attempt at social general stability. Eventually, the edification poetry(敎化詩) of Choonjeong could make sense with the enlightening literature(啓蒙的) of intellectuals at the change of the dynasty (王朝交替期) to pray for new personal rights with the existing world’s revolution and the confucian personal rights by embracing Neo-confucianism( 性理學). His poem world is considered to come from these historical backgrounds as the literature in the age of innovation in the end of the koryo dynasty and early chosun dynasty has Confucainism oriented characterize. Moreover, as earlier times to harden countenance with academic line (學脈) and the Sarim party’s scholars entered central national institution after the reign of Seongjong(成宗代), it can come to emerge as the meaning to conceive the Sarim party’s philosophy to development to future generations as the first of the Sarim party’s scholars.

      • KCI등재

        공민왕 원년(1352)의 동아시아 삼국의 국내 정세와 왜구

        이영(李領) 중앙대학교 일본연구소 2013 日本 硏究 Vol.0 No.35

        The 1st year of king Gongmin(1352) of Koryo(高麗) dynasty was the confusion period of East Asia when the many political and social revolutions were proceeding. In China there were many revolts by the revolution forces and in Japan, the political upheaval ‘Kannonojyoran(観応の擾乱)’ which had begun 2 years ago, came to the climax. That was the same year when Asikaga Tadayoshi(足利直義) was venenated by his elder brother, Asikaga takauji(足利尊氏), the Seiidaishyougun(征夷大将軍) of Muromachi-Bakuhu(室町幕府). In this year, king Gongmin came to throne. Koryo dynasty was required to go through the political and social reforms and the Waegu started to invade in full force near Kaesung(開城), the capital of Koryo. At this time, ‘Japan’ had sent the messages as follows: the korean thieves were plundering while they are drifting on a sea. But the truth of ‘Japan’ was syouni yorihisa(少弐賴尙) whom I had ihdicated as the mastermind of waegu.

      • KCI등재

        여말선초 청주한씨 제주입도조(濟州入島祖) 한천(韓?) 재조명

        홍기표 ( Hong Ki-pyo ) 제주대학교 탐라문화연구원 2017 탐라문화 Vol.0 No.55

        본고는 여말선초 고려유신(高麗遺臣)으로 청주한씨 제주 입도조로 알려진 한천(韓?)을 재조명하였다. 현재까지 그의 생애 전반을 조명한 논문은 한 편도 없다. 이에 본고는 한천과 교유관계에 있었던 인물들의 개인 문집들을 통하여 그의 생애와 사상을 조명하였다. 더 나아가 한천에 대해 논란의 소지가 있는 `생몰년`, `제주 입도와 시기`, `후사(後嗣) 문제` 등에 대해 의견을 제시하였다. 최소한 문헌 및 금석학적 수준에서 한천을 조명할 수 있는 모든 자료를 수합 분석 하였다. 또 그 자료들 속에서 향후 규명해야 할 논점까지 제시하였다. 본고를 토대로 향후 한천 연구에 심층적 전개가 이루어지기를 기대한다. This research sheds new light on `Han cheon`, the vassal of Koryeo in the end of the Koryeo dynasty and early Chosun dynasty, known as `Jeju lpdojo` of Cheongju Han Clan. There is no thesis examining his life left so far. This article, therefore, examines his lifetime and thought by looking into individual anthologies of his company. Moreover, it advances opinions about his `dates of birth and death`, `entry into Jeju` and `issue of his heir`, and so on. Not only does it go on overall analysis of Han cheon with literature materials and epigraphy as far as possible, but presents issues to be examined in the future with it. This report expects the discussion on Han cheon in depth on the basis of this review.

      • 논문(論文) : 여말선초(麗末鮮初) 양구지역 백자요지(白磁窯址) 성립에 관한 연구

        정두섭 ( Du Sub Jung ) 강원대학교 사학회 2011 江原史學 Vol.0 No.25

        양구지역은 고려 시대의 전통적 자기 생산지가 아니었으며 자기가 만들어진 시기도 정확하게 알 수 없다. 하지만 14세기 고려의 사회적 배경을 통한磁器所 해체와 확산과정을 살펴보면 그 시기를 추정하여 볼 수 있다. 忠定王 2년(1350)부터 왜구의 본격적 침입은 남해안에 위치한 전라도에 많은 피해를 주었다. 이때를 전후해서 해안가는 물론 내륙까지 쳐들어와 약탈을 자행했으므로 해안 지방에서 가마를 운영하던 장인들이 내륙 깊숙이 들어가 그 지방의 원료를 사용해서 청자 및 자기를 만들었다. 양구 지역은 도자기 제작에 필요한 용수와 땔감, 그리고 胎土가 풍족했기 때문에 청자의 제작기술을 지니고 있었던 장인들은 어렵지 않게 정착하여 백자를 제작하였을것이다. 양구의 窯業은 이러한 과정에서 시작된다고 볼 수 있다. 국립중앙박물관에 소장된 이성계 발원 불사리장엄구 일괄품을 통해 홍무24년 4월 즉, 1391년의 4월에 그릇이 제작되었음을 정확히 알 수 있다. 이 외에 발원자와 발원목적, 그리고 양구 방산의 사기장인 沈.이라는 제작자 등을 확인할 수 있다. 이 자기들은 방산면 장평리, 송현리, 금악리 등에서14~15세기경에 제작된 편들과 태토와 유약, 번조방식 등이 서로 공통되는데, 태토를 정제하는 기술이 아직은 미흡하여 분쇄 과정만으로 거친 원료를 사용하였고, 유약 또한 고려 시대 청자에 맞는 것으로 제조가 되어 다소 철분이 많이 들어 있는 유약을 사용하고 있음이 확인된다.世宗實錄』「地理志」에 기록된 양구 방산지역 20호의 50명이 거주한 기록을 통해, 1호에 평균 2.5명이 가족을 이루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亡姓으로 기록된 성씨 등을 토대로 자기수공업에 필요한 기본인력의 수와 자기점촌을 이루는 호수 등을 통하여 20호 기준 50명의 4곳, 30호 기준 75명의 3곳, 또는 40호 기준 100명의 2곳 정도의 자기점촌이 양구 지역에 존재했을 것으로 추정하였다. 또한, 3기의 요지에서 모두 4점의 관사명이 새겨진 백자 도편을 살펴보았다. 이처럼 백자요지가 성립되고, 이어서 바로 공납자기를 제작할 수 있었던 이유는 공납청자를 만들던 강진일대의 장인들이 양구지역에 정착하였을 연계성을 더해 준다고 생각된다. 이들은 청자의 제작기술을 이미 지니고 있었기 때문에, 다른 태토를 선택했어도 어느 정도의 기술력은 유지되었고, 중앙에도 공납할 수 있는 백자를 제작하였을 것으로 보인다. It is not known when porcelains were made in Yanggu exactly, and Yanggu was not a porcelain producing district of Koryo kingdom neither. However in 14th century, the dissolution and dissemination of porcelain producing station make it possible for us to estimate when the district was formed. Since 1350, Because of the invasion of Japanese pirate raiders, the southern coast of Chulla province had been badly damaged. An aftermath of this made craftsman move inside of the Peninsula, producing porcelain of that area. Craftsman from the southern coast might settle down in Yanggu very well, because it had plenty of materials, such as water, wood, and clay. The porcelain production in Yanggu began in this process. I could know not only that the porcelain was made in April, 1391 based on Yi Seong-gye praying package of sarira containers possessed in the National Museum of Korea, but also that prayer, praying purpose, and the producer Simryong, the master craftsman of Bangsanmyun, was existed. The porcelain was common in overglaze, clay, and burning form with those produced in Bangsanmyun, Jangpyungli, Songhyunli, Keumakli around 14th or 15th century. I also could verify that they used rough materials only because they didn``t have enough refining technique and used overglaze plenty of iron fits for Koryo porcelain. I could understand that there lived 50 people of 20 families in Bangsanmyun, 2.5 person per one family. And I estimated that many producing points were existed in Yanggu, 4 points of 50 persons in 20 families, 3 points of 75 persons in 30 families, 2 points of 100 persons in 40 families, based on lost name, standard workforce for porcelain industry, and number of families making porcelain industry. Also, I could find the broken pieces stamped 4 residential names in 3 producing points. I think that the producing area was quickly made and porcelain could be supplied to the Government because craftsman from Kangjin settled down in Yanggu. Although the clay was different, they could supply porcelains to the Government because they already had techniques making celadon porcelains.

      • KCI등재

        여말선초 제주 입도조 연구

        홍기표(Hong Ki-pyo) 제주학회 2018 濟州島硏究 Vol.49 No.-

        본고는 그간 제주 역사학에서 입도조(入島祖)에 대한 학문적 접근이 거의 없던 점에 착안하여 처음 시도한 글이다. 물론 여기에는 그만한 이유가 있었다. 『고려사』(고려사절요) 및 『조선왕조실록』등의 정사류 및 여타 사료에 그들과 관련한 기사가 극히 드물었기 때문이었다. 결국 가문에 전하는 가승 및 족보에 의존할 수밖에 없는데, 입도조의 입도연대 및 입도지역 등 가급적 ‘사실’에 기반을 둔 내용만 인용하며 서술을 전개하였다. 입도조의 학덕, 교화 등 그들이 제주에 끼친 영향 등은 객관적으로 고증할 사실을 확인할 수 없어 논의의 대상에서 제외시켰다. 여말선초 제주에는 육지로부터 많은 사람들이 들어와 정착하여 후손을 남겼다. 이들을 제주에서는 입도조라 부른다. 입도조란 본관이 제주인 고, 양, 부 삼성(三姓) 이외의 타 성씨가 제주 섬 이외의 지역 및 국가에서 제주로 처음 들어와 정착하여 살며 후손(혈족)을 남기고 그들이 대대로 제주에 거주하며 가문을 이루었을 때의 시조이다. 여말선초 제주에 들어와 입도조로 조명되는 인물은 대략 16명으로 파악되며 다음과 같다. 광산김씨 김윤조(金胤祖), 풍기진씨 진계백(秦季伯), 제주좌씨 좌형소(左亨蘇), 김해김씨 김만희(金萬希), 청주한씨 한천(韓?), 양천허씨 허손(許?), 경주이씨 이미(李美), 신천강씨 강영(康永), 순흥안씨 안득경(安得敬), 남양홍씨 홍윤강(洪允康), 경주김씨 김검룡(金儉龍), 나주김씨 김인충(金仁忠), 원주변씨 변세청(邊世淸), 진주강씨 강윤희(姜允熙), 연안김씨 김안보(金安寶), 연주현씨 현사경(玄思敬). 이들은 대체로 고려 공민왕대, 조선건국 전후, 조선 태종대에 집중적으로 입도하였으며 그 지역은 대부분 제주섬 북부지역에 자리 잡고 있었다. 또한 입도조의 입도 이유는 첫째 유배인, 둘째 정치적 망명, 셋째 은둔 처사, 넷째 공무수행 후 정착의 네 유형으로 구분이 가능했다. 유배인과 정치적 망명은 대부분 타의에 의해 먼 변방 제주로 입도한 경우이다. 이에 반하여 공무수행 후 정착과 은둔 처사형의 삶을 위한 입도는 제주에 스스로 선택하여 들어온 자의적 입도로 이해했다. In the end of the Koryeo dynasty and early Chosun dynasty, many people settled down Jeju island from the land and left descendants. They were called Ipdojo in Jeju. In more detail, they are the progenitor from other region or country, who have different family name from that of indigenous clans of Jeju(Go, Yang and Bu). They left descendents and had resided in Jeju for generations. Sixteen people are counted as Ipdojo approximately. They are as in the following. Kim yunjo(金胤祖)-‘Gwangsan Kim (family clan)/ Jin gyebaek(秦季伯)-‘Pung-gi Jin / Jwa hyungso(左亨蘇)- Jeju Jwa / Kim manhui(金萬希)- Kimhae Kim / Han cheon(韓?)-‘Cheongju Han/ Heo son(許?)- Yang-cheon Heo / Lee mi(李美)-‘Gyeonju Lee / Kang yeong(康永)-‘Sincheon Kang / Ahn deuk-kyung(安得敬)-‘Sunhong Ahn’/ Hong yunkang(洪允康)- Namyang Hong / Kim gum-ymg(金儉龍)- Gyeongju Kim/ Kim inchung(金仁忠)- Naju Kim’/ Byun Secheong(邊世淸)-‘Wonju Byun / Kang yunhui(姜允熙)- Jinju Kang’/ Kim ahnbo(金安寶)-‘Yeonahn Kim’/ Hyun sa-gyeong(玄思敬)-‘Yeonju Hyun . Most of these people came into Jeju island in the era of king Gong-min(Koryeo dynasty), around the establishing Joseon dynasty and in the era of king Taejong(Joseon dynasty). Generally, they located in northern part of the island. These are the reasons of their coming into the island. First of all, banishment. Secondly, political asylum. Thirdly, life in seclusion. Finally, settlement after the execution of their official duty. First two cases were usually enacted against their will. Last two cases, whereas, were self-determined cas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