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교육인식론’의 성립조건에 관한 탐구

        이상오(Lee, Sang-O) 한국교육사상연구회 2016 敎育思想硏究 Vol.30 No.1

        전통학문으로서의 철학의 위기는 ‘인식론’의 위기와 별반 다르지 않다. 왜냐하면 철학의 역사는 인식론의 역사와 함께 하여 왔기 때문이다. 이렇게 본다면, 교육철학의 위기역시 교육인식론의 위기와 다르지 않다. 지금까지 교육철학은 ‘철학적 인식론’ 내지 ‘전통적 인식론’의 범주하에서 연구결과들을 축적시켜 왔다. 그러나 ‘교육인식론’이란 개념이 무엇인지에 대해서 - 즉 ‘교육인식론’의 가능성에 대해서 - 명확한 이해를 얻기는 여전히 불안하다. 따라서 만약 우리가 교육인식론이라는 개념을 사용하고자 한다면, 우선 교육인식론의 성립조건에 대해서 알아보는것이 순서일 것이다. 철학적 인식론은 '지식에 관한 이론'(the theory of knowledge)이다. 이런맥락에서 본다면, 교육인식론은 ‘지식교육’에 관한 이론이라고 할 수 있다. 교육학은 이론학이면서 동시에 실천학이다. 보다 정확히 말하면 교육학은 교육실천과의 교호작용을 통하여 이루어지는 교육이론이다. 결과적으로 본 연구에서 도출된 교육인식론의 성립조건은, 첫째, 지식은 속성상 변증법적 과정을 통하여 형성된다는 사실을 인지하는 것이며, 둘째, 따라서 지식교육은 일방적 지식전달이 아니라 대화, 토론, 담론 등 의사소통의 과정을 통해서 가능한 ‘반성적 지식의 교육’이라는 사실을 인지하는 것이다. 이런 조건의 충족을 통하여 교육인식론의 윤곽도 서서히 드러날 것이다 The crisis of philosophy as a traditional science depends on the crisis of the epistemology. The reason is that philosophy has been developed with the epistemology historically. In this aspect, the crisis of educational philosophy may not be different from the crisis of educational epistemology. So far, educational philosophy has also accumulated the researches under the category of philosophical or traditional epistemology. Hence, educational philosophy is to be restored through the formation of philosophical or educational epistemology. However, it is uncertain to clearly understand the concept of educational epistemology - the scientific identity of educational epistemology - with the outputs of preceding research. Therefore, it is desirable to study the formative condition of educational epistemology first of all, if we would talk about what educational epistemology is. Epistemology is the theory of knowledge. So, educational epistemology should deal with the theory of knowledge education as the theme. As a result, the potential of 'genuine' knowledge education may be revealed if the formative condition of educational epistemology is to be clear. In short, the formative conditions of educational epistemology are as follows: 1) to recognize that knowledge is being formed through the dialectic process essentially, 2) to understand the methodic problem in knowledge education. Neither knowledge-delivery-education nor cramming education, but the forms of dialogue, discussion and feedback (critic, reflection) being actualized in the intermediation of knowledge are very proper methods of genuine knowledge education to realize educational epistemology, which leads to education of reflective knowledge. This logic depends on the concepts of 'epistemological errors' and 'epistemological reflection'.

      • KCI등재

        교육적 경험의 의미: 오우크쇼트와 듀이의 관점

        고영준 ( Young Jun Ko ) 한국교육철학학회(구 교육철학회) 2012 교육철학연구 Vol.34 No.1

        이 글의 목적은 오우크쇼트와 듀이의 경험이론을 비교함으로써 그들의 경험이론이 가지고 있는 교육적 함의를 좀 더 분명히 드러내는 데에 있다. 서양의 지적 전통에서 오우크쇼트와 듀이는 공통적으로 자신의 경험이론을 교육에 적용함으로써 교육의 개념을 해명하려고 했던 대표적 교육사상가라고 말할 수 있다. 특히, 그들은 경험의 개념에 비추어 지식의 성격 문제를 고찰하고, 다시 그 고찰에 비추어 지식이 교육에서 어떤 위치를 차지하는가를 검토했다는 점에서 공통점이 있다. 또한 그들은 그러한 고찰에서 각기 독특하면서도 일관된 관점, 이를테면 경험에 관한 ``정태적 관점``과 ``동태적 관점``을 제시함으로써 교육적 경험의 의미와 성격에 관한 이해의 폭을 넓혔다고 말할 수 있다. 나아가서, 교육의 관점에서 보면, 그들의 경험이론에는 ``종합``의 가능성이 들어 있으며, 이 점에 주목할 때 그들이 제시하는 교육적 경험의 의미는 새롭게 조명될 수 있다. 그런 만큼, 그들의 경험이론을 고찰하는 것, 특히 그들의 공통점과 차이에 주목하는 것은, 그들 각각의 교육이론을 이해하는 일뿐만 아니라 교육적 경험 자체를 이해하는 일에도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how up the educational implications of M. Oakeshott`s and J. Dewey`s experience theory in making a comparison between them. In the western intellectual tradition, Oakesthott and Dewey can be regarded as representative educational thinkers tried to elucidate the concept of education in their own experience theories. Especially, the common feature between them is to inquire into the nature of knowledge in light of the concept of concrete experience and thereby find the right place of knowledge in education. Moreover, their theories resulted in broaden understanding on nature of educational experience. That is, in Oakshott`s view knowledge is the modified experience in which philosophical experience as a self-knowing activity is latent, whereas in Dewey`s view it is the result of reflective thinking on primary experience. And, in the former, the core of educational experience is a philosophical experience which can revive the concreteness and life of the modified experiences and convert them to diverse and unique voices, so-called ``subject-matters``, in a conversation of ``education``. Whereas, in the latter, the core is the process of constant growth of experience by a qualitative thinking which can reconstruct ``an experience`` by focusing the quality of primary experience in the border line of abstract knowledges. Futhermore, their views on educational experience have a possibility of synthesis. In a word, educational experience encompasses the philosophical and the qualitative together. It is a constantly growing harmony of the diverse and unique voices which leads the learner to his or her real self. So, from their views, we can show up the implications as follows: in a word, this world is the world of education. It is never other things but the world of educational experience, the only real thing that we have to comprehend and contemplate. And it is the human achievements that are not to be imparted without learner`s own intellectual endeavors in interaction with other selves, teachers. Personal learner`s self-conscious growth cannot be possible without understanding on the achievements, because they are not the mere accumulation of inert information but the genuine resource that enriches and clarifies meanings of self and thereby makes the learner realize his or her own self.

      • KCI등재후보

        교육 공공성 개념과 교육제도의 변화

        박청미(Park, Cheong Mi ) 한국교육사상연구회 2007 敎育思想硏究 Vol.21 No.3

        This article is intended to make offer a logical foundation about the change of educational institution related in idea and conceptualization of educational publicness. With this in mind, this article is examined in several arguments as for educational publicness, from anti-neo-libertarian, conceptual categorization to the grade of educational policy. And in this theme, there is discovered a gap between the grade of categorization of concept and the argument as for the grade of educational policy. The gap is dued to the difference of conceptual categorization, determining categorization or reflective categorization as for the range of the educational publicness and the public educational system. This article is intend to fill a gap of this, based on issue of the historical instituionalism, Kant's language on the『Critique of Judgement』and the historical sociology of education. Therefore, we can confirm the educational publicness is value judgemental, social constructual, and be related in creation of altanative life. And we can suggest the vector of change in the public educational system will be transformed, depending on the reflective categorization as for educational publicness. 이 글은 교육제도의 변화와 변화의 내적 기제에 대한 관심으로, 교육 공공성 개념과 교육제도 변화의 관계를 드러내려고 하는 논문이다. 이 글에서 제도란 장기간에 걸친 인간행동의 정형화된 패턴을 의미한다. 그리고 제도에 관한 변화의 내적 기제를 살펴본다는 것은 제도의 변화를 인간행동의 선택과 관련하여 살펴볼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이 글에서는 인간행동의 선택이 그가 지닌 개념-담론의 향상과 관계되는 개념과 깊은 상관이 있다고 가정된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교육제도 변화와 변화의 내적 기제에 대한 이와 같은 가정-교육 공공성 개념이 교육제도 변화의 내적 기제로 작용할 수 있다는 것에 대한 이론적 타당성을 찾아보고, 실제로 그것이 어떻게 가능할 수 있을지에 대해서도 함께 살펴보려는 데에 있다고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우선은, 이 글에서 교육제도 변화의 내적 기제로 삼게 된, 교육 공공성 개념과 관련한 최근 담론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최근 논의 가운데에서 교육 공공성 개념에 대한 간극을 발견하고, 담론의 향상이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이러한 간극을 규명함으로써 가능해질 것으로 보았다. 그리하여 본 연구는 역사적 제도주의의 최근 이슈, 교육역사사회학의 논의, 칸트『판단력비판』의 개념어들을 비판적으로 수용하여 보았다. 그리고 이를 기반으로 실제로 최근 교육 동향에 대한 인식을 고려하여 교육 공공성에 대한 개념화를 시도해 보았다.

      • KCI우수등재

        성찰 관련 국내 간호연구 동향분석

        이미경,장금성 간호행정학회 2019 간호행정학회지 Vol.25 No.2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nalyze research on reflection in Korean nursing, and suggest future directionsfor effective application of reflective practice in Korean nursing education and practice. Methods: A review was performedusing domestic databases including RISS, KISS, DBpia, and NDSL. Twenty-three papers were analyzed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key variables regarding reflection, and findings regarding reflection. Results:Reflection in nursing research has received attention since 2005, generating almost half the publications in the last3 years. Key variables regarding reflection were classified into reflection-related general term (34.7%), reflective action(8.6%), and reflection writing method (56.7%). Findings regarding reflection were categorized into correlationof reflection with other variables (26.1%), learning evaluation using a reflective journal (22.2%), effects of applyingreflection as an intervention (47.4%), and Korean Self-Reflection and Insight Scale validation (4.3%). Conclusion:Results indicate that reflection or reflective practice is an important component in integrating theories to practice,and that reflective practice is a prerequisite to becoming a professional nurse as well as a crucial tool for ideal changesin nursing. Considerable effort should be made to define the concept of reflective practice and effectively apply itto nursing education and practice in Korea.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성찰 관련 국내 간호 연구동향을 분석하여 국내 간호학에 성찰적 실천의 활성화, 효과적 적용 및 발전을 위한 연구방향을 제시하는 데 있다. 방법: 문헌검색을 위해 RISS, KISS, DBpia, NDSL을 이용하였고, 총 23편의 논문을 일반적 특성, 성찰관련 주요변수 및 성찰관련연구 결과로 분석하였다. 결과: 국내 성찰관련연구는 2005년 이후로 관심을 받아오고 있으며, 연구 논문의 거의 절반이 최근 3년에 걸쳐 출판되었다. 성찰관련 주요변수분석으로는 성찰관련 일반용어(34.7%), 성찰 행위(8.6%), 성찰 서면방법(56.7%)으로 분류되었고, 성찰관련연구 결과분석은 성찰과 다른 변수 간의 상관관계(26.1%), 성찰저널을 이용한 학습평가(22.2%), 중재로서의 성찰 적용효과(47.4%), 자기성찰 및 통찰력 측정도구 타당화(4.3%)로 분류되었다. 결론: 간호학에서의 성찰 및 성찰적 실천은 이론을 실무에 통합하는 데 중요한 요소이고 전문적 간호실무가가 되기 위해 필수적이며 간호학의 이상적인 변화를 위해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다. 성찰적 실천의 개념을 확립하고 국내 간호교육 및 실무에 효과적으로 적용하기 위한 많은 노력이 이루어져야 한다.

      • KCI등재

        한 성인교육자의 농촌지역 교육 경험을 통한 자문화기술지

        이다현 한국방송통신대학교 미래원격교육연구원 2017 평생학습사회 Vol.13 No.2

        This study examined the experiences of an adult educator who conducted a community education in rural areas through an auto-ethnography. As an adult educator, I became aware of local residents and rural education through the experience of Byulbit-gun, Dalbit-gun and Batbit-si, the background of this study. Through the educational planning and operation process, I, as an outsider, could recognize the difficulties of working in the community lifelong education, and had meet diverse characteristics who could not be comprehended with the typical concept of an adult learner. I also confirmed that the mistrust of local residents to an involuntary form of education and distrust of learning site. Meanwhile, I learned that the community was a habitat for survival and living of residents, and could find myself who did not understand their language of life. Through a series of experiences, the researcher had a reflective experience that the adult learners should be met in the rural context and the educational practice should be performed as an educational experience rather than a clear object of education. I also could have a chance to change of recognition that adult learners should be understood as residents prior to the adult learner. Through this study, I suggest the followings suggestions to adult educators and researchers who would like to make better practice. First, I suggest research on region and regional adult learners. This will enable to overcome the limitation of training adult educators and local education that have been out of context and make educational practice based on regional contexts. Second, adult educators need to participate a new theoretical discussion about themselves through opening their site and sharing experience. The role of educators at the field is more than instruction. Thus, adult educators should contribute to the formation of new discourse on adult educators' concepts and roles through opening of their own fields. Finally, I suggest building relationships with an area based on the trust. Regional education consists of a variety of factors and relationships. When adult educators and researchers become part of the relationship without separating themselves from the area, they can be able to reflect region fully into their educational practice. 이 연구는 농촌에서 주민교육을 수행한 한 성인교육자의 경험을 자문화기술지를 통해 탐색한 결과물이다. 성인교육자인 나는 이 연구의 배경이 되는 별빛군․달빛군․햇빛시에서의 교육 경험을 통해 농촌지역 주민과 교육을 새롭게 인식하였다. 교육기획과 운영 과정에서 외부인으로서는 알 수 없는 지역 평생교육 현장에서 일하기의 어려움을 확인하였으며, 전형적 성인학습자의 개념으로 일괄할 수 없는 다양한 특성을 가진 지역 주민을 접하였다. 또한 비자발적 형태의 교육에 대한 지역 주민의 불신과 학습장에 대한 불안감을 확인하였다. 그 가운데 지역을 주민의 생존과 생활의 터전으로 이해해야 한다는 것을 인식하였으며, 그들의 생활 언어를 이해하지 못하는 부족한 나 자신을 발견하였다. 일련의 경험으로 연구자는 지역의 맥락 속에서 성인학습자를 만나야 하며, 교육의 분명한 목적보다는 교육적 경험 차원에서 실천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반성적 경험을 하였다. 또한 성인학습자이기 전에 지역 주민으로서 성인학습자를 이해해야 한다는 인식 전환의 계기를 가질 수 있었다. 이 연구를 통해 본 연구자는 좀 더 나은 교육 실천을 하고자 하는 성인교육자와 연구자에게 다음과 같은 세 가지 제안을 하고자 한다. 첫째, 지역과 지역 성인학습자에 대한 연구를 제안한다. 이는 비맥락적 성인교육자 양성과 지역교육의 한계를 극복하고, 지역 맥락에 기반을 둔 교육 실천을 가능하게 할 것이다. 둘째, 성인교육자 스스로 현장에 대한 개방과 경험 공유를 통한 성인교육자에 대한 새로운 이론적 논의 시도가 필요하다. 현장에서 성인교육자의 역할은 교수 행위를 넘어서는 것이다. 이에 성인교육자 스스로 다양한 자기 현장 개방을 통해 성인교육자의 개념과 역할에 대한 새로운 담론 형성에 기여해야 한다. 셋째, 성인교육자와 연구자들의 지역과 신뢰에 기반을 둔 맺음을 제안한다. 지역교육은 다양한 요소와 주체의 관계 속에서 이루어진다. 성인교육자와 연구자 스스로 지역과 분리되지 않고 관계의 일부가 되었을 때 그들의 교육 실천에 지역을 충분히 담아낼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고등교육의 제도적 의미와 이론적 의미의 구분과 논거에 관한 교육학적 성찰

        최성욱(Choi, Sungwook) 한국열린교육학회 2019 열린교육연구 Vol.27 No.1

        ‘고등교육’은 대학 이상의 기관에서 이루어지는 교육을 가리킨다. 상급기관에서 시행하는 교육이므로 그 수준은 당연히 높은 것으로 간주하는 경향이 있다. 그러나 대학에서 항상 고급의 교육만 일어나는 것은 아니다. 하급학교인 초등학교에서도 얼마든지 고등 수준의 교육이 이루어질 수 있다. 고등학문의 내용을 다룬다고 해서 그 교육이 고등 수준의 것이라는 보장이 없다는 말이다. 이는 교육의 위계가 학교의 위계와 일치하지 않으며, 학교의 등급체계와 별도의 기준에 의해 파악되어야 할 성질의 것임을 시사한다. 고등교육의 실질적인 의미는 제도적인 형식과 기준으로 파악되는 것이 아니라 이론적으로 밝혀질 문제이기 때문에 교육의 개념과 위계수준을 타당하게 식별할 수 있는 이론망의 구축과 적용이 중요하다. 이 연구는 제도의 형식과 구별된 고등교육의 실질적 의미를 설명하기 위한 이론적 토대로서 듀이와 장상호의 교육이론에 주목하였다. 듀이는 제도와 구별된 교육을 경험의 재구성이라는 측면에서 설명하였고, 장상호는 학교태(schooling)와 구별된 교육의 의미를 자율적인 삶의 한 양상으로 식별했다. 듀이와 장상호의 이론을 통해서 고등교육을 제도적 차원과 이론적 차원으로 구별하는 데 필요한 최소한의 근거를 확인해 볼 수 있다. ‘Higher education’ usually refers to education conducted by institutions above high schools. Since education is conducted by a higher authority, the level tends to be considered high. However, there is not always a high level of education in universities. Higher standards of education can also be achieved at lower level elementary schools. There is no guarantee that an education is of higher quality just because it deals with the contents of higher learning. This suggests that the hierarchy of education is not consistent with the hierarchy of schools and should be determined by separate standards from that of schools. If the substantial meaning of higher education is not to be identified by institutional forms and standards but to be theoretically identified, the theoretical framework for identifying the level of education is established in a reasonable manner. This study focused on the educational theory of Dewey and Chang Sang-ho as theoretical bases for explaining the substantial meaning of institutions and differentiated higher education. Dewey explained education in terms of the reformation of experience from institutions, while Chang struggled to identify the meaning of education that was differentiated from schooling as a form of an autonomous lifestyle. Dewey and Chang s theories provide meaningful reasons for differentiating higher education into institutional and theoretical dimensions.

      • KCI등재

        사회복지교육의 목적성에 대한 성찰과 과제

        석재은(Jaeeun Seok) 한국사회복지교육협의회 2022 한국사회복지교육 Vol.60 No.-

        한국의 사회복지교육에 대한 개혁 논의는 근본적 문제의식과 달리 자격주의(credentialism), 전문가주의(professionalism) 강화로 전개되며, 사회복지교육의 정체성을 되찾는 근본적 해법과는 거리가 멀어져 왔다. 사회복지교육에 대한 보다 근본적 논의를 위해서는 사회복지교육의 목적성에 대한 성찰이 필요하다. 따라서 이 글에서는 사회복지교육의 목적성을 성찰하고, 제한적인 교과과정 내에서 핵심 교과내용으로 재구성할 수 있는 개혁방향을 모색하고자 한다. 사회복지교육의 목적성은 더 나은 삶과 더 나은 사회를 위해 사회정의 가치를 추구하는 전문적 실천을 할 수 있는 전문인력을 양성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가치, 지식, 기술의 내포적 관계를 사회복지실천의 성찰(reflection)이라는 교육방법으로 통합해내는 것이 중요하다. 이와 같은 사회복지교육 개혁을 위해 다음과 같이 제안하였다. 첫째, 사회정의 가치 실천이라는 사회복지교육의 목적성을 명확히 하고, 변용가능한(transformative) 핵심역량을 키울 수 있는 핵심 교과목 및 교과내용의 재구성이 필요하다. 둘째, 사회복지실천현장의 교육수요로부터 핵심역량을 구성하는 교과과정을 귀납적으로 재구성하고, 기본 공통영역과 전문영역의 교과과정으로 분류하고 모듈식으로 체계화하는 것이 필요하다. 셋째, 자격제도와 사회복지교육의 개혁 과제를 분리하는 것이 필요하다. 넷째, 가치-지식-기술의 통합적이고 성찰적 교육을 위해 사회복지현장의 실천 사례들을 체계적으로 축적하고, 사회복지 교과서를 새롭게 개발하며, 교수자의 혁신을 위한 교수 재교육이 필요하다. Unlike the fundamental awareness of the problem, the discussion on the reform of social welfare education in Korea has been developed with the strengthening of credentialism and professionalism and has been far from a fundamental solution to regaining the identity of social welfare education. For a more fundamental discussion on social welfare education, it is necessary to reflect on the purpose of social welfare education. Therefore, in this article, we reflect on the purpose of social welfare education and seek reform directions that can be reconstructed into a core curriculum within the limited curriculum. The purpose of social welfare education is to nurture professionals who can practice professionally pursuing the value of social justice for a better life and a better society. To this end, it is important to integrate the inclusive relationship between values, knowledge, and skills into an educational method called reflection in social welfare practice. The following proposals were made to reform social welfare education. First, it is necessary to clarify the purpose of social welfare education, which is the practice of social justice values, and to restructure core subjects and contents that can develop transformative core competencies. Second, it is necessary to inductively reorganize the curriculum that composes core competencies from the educational demand in the social welfare practice field, classify it into basic common areas and specialized areas, and systematize it in a modular way. Third, it is necessary to separate the reform task of the qualification system and social welfare education. Fourth, for value-knowledge-technology integrated and reflective education, it is necessary to systematically accumulate practice cases in social welfare fields, develop new social welfare textbooks, and retrain professors for innovation of instructors.

      • KCI등재

        4·16이후 교육적 성찰 담론과 대안적 실천 전략으로써 포토보이스

        오영범 교육비평 2024 교육비평 Vol.0 No.54

        이 연구는 세월호 참사 10주기를 맞아 교육적 성찰 담론과 대안적 실천 전략을 모색해 보는 것이 목적이다. 이를 위해, 세 가지 교육 성찰적 관점에서 세월호 참사를바라보았다. 첫째, 세월호 참사 당시 ‘가만히 있으라’에 대한 반발의 은유가 되었던 ‘가만히 있지 않겠다’에 내재된 다층적 의미를 표면화하였다. 둘째, 4·16 이후 전개된 교육적 변화와 노력, 그리고 그 한계를 조명하였다. 셋째, 교육적 성찰을 통해 드러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대안으로 ‘포토보이스’를 통해 교육의 방향을 제시하였다. ‘가만히 있지 않겠다’에 내포된 다층적 의미는 타율적인 존재에서 자율적인 존재로 벗어남, 사유를 초월하는 실천 의지를 위한 움직임, 그리고 민주주의와 교육에 대한 성찰을 바탕으로 상술하였다. 4·16 이후 교육계는 사회적 책임을 인식하고 성찰을 통해 새로운 대안을 제시하는 학술적 접근이 있었다. 그러나 목표와 실천 간의 간극, 거대 담론에 기반한 대안 제시로 현장 실천력 약화, 각 지역의 정치 지형 변화로 인한 연계성 및 일관성 부족 등과 같은 한계가 부각되었다. 세월호 참사로 나타난 부와 권력을 향한 공부, 입시 경쟁체제 속에서의 인간 상실, 타인의 아픔에 응답하지 못하는 공감 부재, 사회 부조리에 눈감는 비판적 사고의실종, 인간 존엄의 상실과 비윤리성, 삶에 대한 진지한 성찰의 부족 등과 같이 신자유주의 교육이 내포한 문제들을 해결할 수 있는 대안을 제시하였다. 경쟁 중심의교육체제를 완화할 수 있는 교육정책에 따라 교사에게 교육권을 보장하고, 학생은 개별 고유성 발현에 집중하며, 학부모는 교육 주권자로서의 사랑을 실천하면 궁극적으로 ‘시민성을 갖춘 인간 교육’을 실현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educational reflection discourse and alternative practice strategies in commemoration of the 10th anniversary of the Sewol Ferry disaster. To this end, a researcher looked at the Sewol Ferry disaster from three educational reflective perspectives. First, the multi-layered meaning inherent in ‘I will not stay still’, which became a metaphor for the backlash against ‘Stay still’ during the Sewol Ferry disaster, was brought to the surface. Second, it sheds light on the educational changes and efforts that have occurred since 4·16, and their limitations. Third, the direction of education was presented through ‘photovoice’ as an alternative to solve the problems revealed through educational reflection. The multi-layered meaning contained in ‘I won’t stay still’ was detailed based on the movement from a heteronomous existence to an autonomous existence, a movement for the will to practice that transcends thought, and reflection on democracy and education. After 4·16, there was an academic approach in the education field that recognized social responsibility and proposed new alternatives through reflection. However, limitations were highlighted, such as the gap between goals and practice, weakening field implementation ability by presenting alternatives based on grand discourse, and lack of connectivity and consistency due to changes in the political landscape of each region. Lastly, an alternative solution to the problems inherent in neoliberal education was presented. In accordance with education policies that can alleviate the competition-oriented education system, teachers are guaranteed the right to education, students focus on expressing their individual uniqueness, and parents practice love as sovereigns of education, ultimately leading to ‘human education with citizenship’. It is expected that this can be realized.

      • Reflection on reflection: Clinical nurse teachers’ perceptions concerning reflection and their roles in reflection sessions

        Kwon. Su hye 고신대학교 전인간호과학연구소 2015 전인간호과학학술지 Vol.7 No.-

        Purpose: This qualitative research was undertaken to explore clinical nurse teachers’ personal perceptions of reflection and their roles in reflection session with students in clinical practice. Method: By a purposive sampling, 14 clinical nurse teachers were approached for an individual semi-structured interview. Qualitative analysis suggested by Burnard was utilized for data analysis. Results: Clinical nurse teachers perception of reflection was described by six sub-themes of definition of reflection, reflection as a requisite in nursing,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of reflection, effectiveness of reflection sessions, different kinds and levels of reflection, and reflective teachers. Clinical nurse teachers roles in reflection sessions were described as roles in identifying impeding factors and creating conditions for reflection, roles in building a trustful relationship with students, roles in encouraging reflection in students, roles in helping students overcome negative reflections, roles in dealing with ethical issues, and difficulties in roles in reflection sessions. Conclusion: The results of the study suggest that the deeper understanding on their roles as reflective teachers would guide nurse educators to be more conscious of their roles and competencies regarding reflection, which in turn will foster nursing students reflective learning abilities.

      • KCI등재

        전문직 정체성 형성 및 촉진을 위한 의학교육 현황과 고려점

        한희영,서보영,Han, Heeyoung,Suh, Boyung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2021 의학교육논단 Vol.23 No.2

        Professional identity formation (PIF) is an essential concept in professional education. Many scholars have explored conceptual frameworks of PIF and conducted empirical studies to advance an understanding of the construct in medical education. Despite its importance, it is unclear what educational approaches and assessment practices are actually implemented in medical education settings. Therefore, we conducted a literature review of empirical studies reporting educational practices for medical learners' PIF. We searched the Web of Science database using keywords and chose 37 papers for analysis based on inclusion and exclusion criteria. Thematic analysis was conducted. Most empirical papers (92%) were from North America and Western Europe and used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including mixed methods (99%). The papers reported the use of reflection activities and elective courses for specific purposes, such as art as an educational activity. Patient and healthcare experiences were also found to be a central theme in medical learners' PIF. Through an iterative analysis of the key themes that emerged from the PIF studies, we derived the following key concepts and implications: (1) the importance of creating informal and incidental learning environments, (2) ordinary yet authentic patient experiences, (3) a climate of psychosocial safety in a learning environment embracing individual learners' background and emotional development, and (4) the reconceptualization of PIF education and assessment. In conclusion, research on PIF should be diversified to include various cultural and social contexts. Theoretical frameworks should also be diversified and developed beyond Kegan's developmental framework to accommodate the nonlinear and dynamic nature of PIF.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