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특집 논문 : 생태주의와 동아시아 공동체 그리고 정의 ; 생태민주주의와 생태공동체적 사유

        양해림 ( Hae Rim Yang ) 한국환경철학회 2010 환경철학 Vol.0 No.10

        환경과 생태 민주주의(ecological democracy)는 자연과 인간의 소통체계를 회복하고자 하는데 있다. 그리고 이것이 근대의 제도내에에서 불가능한 것이라면, 생태적인 원리가 구체화된 대안제도들이 논의되고 실험하는 장(場)이 되어야 한다. 생태민주주의의 사회로 가기 위한 전략은 녹색 공공영역의 확산 및 활성화, 공공영역의 급진화가 필요하다. 생태민주주의의 기획은 민주주의의 가치를 살리면서 생태적 합리성을 높여 나갈 수 있는 근본적인 기획이라 할 수 있다. 생태적 합리성은 지구의 한계에 대한 인식을 기반으로 하여 재구성된 것이다. 즉 한계의 인식은 자연과 인간의 관계, 자연의 존재방식, 그리고 인간의 인식능력 모두를 재평가하고자 하는 것이다. 다시 말해 한계의 인식이란 지구생태계가 인간의 사회활동의 결과로 빚어진 오염을 정화하고 항상성을 유지할 수 있는 자정능력, 인간의 사회활동을 지탱할 수 있는 능력, 그리고 생태과정을 이해하고 조절할 수 있는 능력 등에 이미 한계를 안고 있다는 인식이다. 생태적 합리성은 도구적 합리성을 넘어서는 의사소통적 합리성에 기반을 두지만 이것을 넘어서는 보편적 합리성인 것이다. 따라서 생태민주주의는 자기의 이익을 넘어 공동체의 구성원으로서 인류, 그리고 자연을 고려한 이념이어야 한다. 생태공동체는 국가보다는 시민사회의 공적 영역을 민주화의 주된 대상으로 삼는다. 이제껏 전통적인 민주주의의 논의는 국가의 민주화에 초점을 맞추어 왔다. 특히 서구에서는 개인보다 상위, 국가보다는 하위의 사회적 공간이고, 기능면에서는 국가와 경제에 의해 에워싸일 수 없는 모든 사회적 상호작용이며, 그 구성의 핵심은 의식적 자발적 결사체들의 형성과 그리고 조직화된 커뮤니케이션 관계에 있다. 생태민주주의는 공동체 지향적인 측면을 갖는다. 생태민주주의는 공적인 문제에 시민들이 참여한다. 즉 시민들이 공동체의 관점에서 판단하여 기본적으로 공동체 지향적인 측면이 강하다. 특히 토의과정에서 상대방을 설득하기 위해서는 자기 자신의 사익에 근거하기 보다는 상대방의 이익이나 공동체 이익의 관점에서 토론해야 한다. 따라서 생태민주주의는 생태적 가치를 활성화시킬 수 있는 긍정적 가치를 이기적 이익이 아닌 공동의 이익을 지향한다. 공동체의 이익 중에서 먼저 그 공동체 사회가 기반을 두고 있는 생태적 토대가 온전히 보존될 수 있어야 한다. Environmental and ecological democracy is to recover the communicating system between the nature and mankind. If this is impossible to achieve within the institution of modern times, alternative systems in which ecological principles are materialized should be fully discussed and experimented. The strategy for advancing to the ecological democracy requires the expansion and revitalization of green public areas as well as the radicalization of public areas. The planning of the ecological democracy can be said to be a fundamental planning that can enhance the value of the democracy and increase the ecological rationality. The ecological rationality is one that has been reconstituted on the basis of the recognition of the limit of the Earth. In other words, the recognition of the limit is made to revaluate the way of existence in nature, mankind`s cognitive ability,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nature and mankind. It means that the recognition of the limit is to recognize already-existing limits in number of different capabilities: the self-cleansing property, with which global ecosystems could purify the contamination resulting from the activities of human society and maintain the homeostasis; the ability to sustain the activities of human society; and the ability to understand and regulate the ecological process. Although ecological rationality is based on communicating rationality that goes beyond instrumental rationality, it is also universal rationality that lies beyond the former. Therefore, ecological democracy must be an ideology that rises above self advantage, and considers the nature and mankind as members of the community. Ecological community takes the public areas of the civil society rather than the nation as the main target of democratization. Until now, the conventional debate on democracy has been focused on the democratization of a nation. Especially, in the West, the public area of the civil society means a social space above individuals and below a nation, and functionally means all the social interactions not enclosed by a nation and economy. The core of the constitution lies in the conscious and voluntary formation of associations as well as in the systemed communication relationships. Ecological democracy is to some degree community-oriented. In ecological democracy, citizens participate in public issues. In short, ecological democracy is basically more community-oriented than not since citizens make a judgment from a standpoint of a community. Particularly, one should discuss from the perspective of the advantage of the other party or the community instead of the personal interest when one wants to persuade the other party in discussions. In conclusion, ecological democracy aims for the common advantage rather than the selfish advantage and for the positive value that can invigorate the ecological value. Among the advantages of a community, first of all, the ecological foundation, on which the society is based, should be wholly preserved.

      • KCI등재후보

        생태적 합리주의의 철학적 기초

        윤용택 동국대학교 동서사상연구소 2011 철학·사상·문화 Vol.0 No.11

        The natural disaster and the ecological disturbance are getting worse because of environmental pollution, climatic change, natural resource depletion etc. We invited these problems with the excessively high growth of economy. The sustainability of mankind is not the rhetoric for the growth of economy but the key word for the survival and welfare of mankind. If we recognized that the sustainability of mankind is the most important topic, we should reconsider the valuation bases for utility, productivity, rationality in pre-ecological society. I split rationalism into two groups in relation to the sustainability of mankind. One is the dominant rationalism that human beings can control environment and may dominate nature from the narrow anthropocentrism, and the other is the ecological rationalism that human beings must make rational choices considered ecological factors for the sake of their sustainability. The ecological irrationality has increased greatly by the dominant rationalism. In other words, the dominant rationalism has only made environmental pollution, climatic change, and natural resource depletion worse. Therefore, the ecological rationalism as the extended rationalism has been made the urgent demand for the solution to ecological problems. The dominant rationalism has failed because it tried dominating nature without full understanding of her. For the sake of the sustainability of mankind, we have to preserve abundant nature, and restore destructed environment and eco-system. The person who fully understands nature can manage her well. The ecological rationalism insists that we have to grasp the complicated organic causation of nature, evaluate the non-instrumental values as well as instrumental values of nature, and consider the welfare of non-human beings as well as human beings. If we managed the earth with the ecological rationality, we could raise the sustainability of mankind. 자원고갈, 환경오염, 기후변화 등으로 인해 자연재해와 생태계교란은 먼 미래의 일이 아니라 현실이 되었다. 이 모든 것들은 과도한 경제성장으로 인류 스스로가 자초한 것이다. 이제 ‘인류의 지속가능성’은 경제성장을 위한 수식어가 아니라 인간의 존립과 안녕을 위한 핵심어가 되고 있다. 오늘날 가장 큰 화두가 ‘인류의 지속가능성’이라 한다면, 자연을 간과해온 전(前) 생태적 사회에서의 효용성, 생산성, 합리성 등의 평가 기준들은 재고되어야 한다. 여기서는 인류의 지속가능성 문제와 관련해서 합리주의를 두 가지로 나누어보았다. 하나는 편협한 인간중심적 입장에서 인간이 자연과 환경을 지배할 수 있다는 ‘지배적 합리주의’이고, 다른 하나는 인간은 자연의 일부이기 때문에 인류가 지속가능하기 위해서는 생태적 요인을 고려한 합리적 선택이 이뤄져야 한다는 ‘생태적 합리주의’이다. 지배적 합리주의는 자원고갈, 환경오염, 생태계 파괴 등 생태적 비합리성을 심화시키고 있다. 따라서 환경과 생태계 위기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지배적 합리주의를 넘어선 확장된 합리주의로서의 생태적 합리주의가 필요하다. 지배적 합리주의는 자연에 대한 충분한 이해 없이 자연을 지배하려다 실패하였다. 인류가 지속가능하기 위해서는 풍요로운 자연은 잘 보전하고, 이미 파괴된 환경과 생태계를 복원해야 한다. 자연을 가장 잘 이해한 사람이 자연을 가장 잘 경영할 수 있다. 생태적 합리주의는 자연과 생태계의 복잡한 유기적 인과성을 파악하고, 자연의 도구적 가치뿐만 아니라 비도구적 가치도 고려하며, 미래세대뿐만 아니라 다른 생명의 안위도 헤아려야 한다고 주장한다. 생태적 합리성을 고려하면서 지구를 생태적으로 경영할 때 인류의 지속가능성은 높아질 것이다.

      • 현실 녹색정책의 이념과 생태주의 사상

        한면희(Han Myun-Hee) 경북대학교 인문학술원 2010 동서사상 Vol.8 No.-

        환경문제가 심화되던 1970년대 이후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접근이 둘로 분화되는 경향을 보였다. 하나는 보수적 환경주의이고, 다른 하나는 진보적 생태주의이다. 환경주의는 배출구 사후관리 해법을 취하는 소극적 정책 일변도로 나타나고 있었는데, 여기에는 전통적인 인간 중심주의 사상이 깃들어 있었다. 진보적 생태주의는 자연을 대하는 개인의 가치관과 생활 습관을 바꾸는 데 주안점을 두는 생태 낭만주의 그리고 사회적 및 자연적 억압을 쇄신하는 형태로 사회제도를 혁신하고자 한 생태 합리주의의 둘로 대별할 수 있다. 다만 생태주의는 문명 패러다임의 전환을 도모하는 근원적인 것이기 때문에 산업 자본주의에 편입된 현실의 정책 이념일 수 없다. 각 나라와 UN은 20세기 후반부터 최근에 이르기까지 소극적 환경주의보다 더 적극적인 녹색정책을 채택하기 시작했는데, 녹색성장과 녹색뉴딜, 생태적 현대화, 그리고 지속가능한 발전 등이 그것이다. 필자는 환경위기가 가시화되는 현실에 비추어볼 때 이런 일련의 정책 이념이 생태주의로 이행하는 단계적 디딤돌 역할을 하는 것일 뿐이라고 평가한다. Since the 1970s, the approaches to be suggested as the solutions of environmental problems have been inclined to divide two directions. One is conservative environmentalism which is composed mostly of the end-of-pipe solution as a passive approach. The root of this environmentalism will be the world-view of traditional anthropocentrism. The other is progressive ecology. Ecological thoughts can be usefully divided into two major categories, that is ecological romanticism and ecological rationalism. Ecological romanticism seeks to save the world by changing the attitudes of personal lives and the viewpoint of the value of nature. Ecological rationalism seeks to change the social institutions that have provoked the oppression of society and the exploitation of nature. However ecological thoughts can not be used as the ideas of actual policies under the industrial capitalism, because they fundamentally should pursue the shift of civilization paradigm. From the last 20 years ago to the present, each countries and UN are going to choose more advanced green policies than before. As representative examples of the ideas of their policies we shall refer to green growth, green new deal, ecological modernization, and sustainable development. By the way, I consider these actual green policies as stepping-stones to progressive ecology in the relation to the advent of environmental crisis.

      • KCI등재

        천성산 터널 반대운동에 관한 언론 담론 분석

        유채원(Chaewon Yoo),구도완(Dowan Ku) 한국환경사회학회 2016 환경사회학연구 ECO Vol.20 No.1

        이글은 천성산 터널 반대운동에 관한 언론 담론을 분석함으로써 개발과 환경/생태, 민주주의와 권위주의를 둘러싼 2000년대 이후 우리나라 환경 담론의 지형을 분석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를 위해 5개 중앙 일간지를 분석대상으로 프레임 분석방법을 사용하여 언론 담론을 분석한다. 이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한겨레신문, 경향신문 등 진보지들은 생태와 생명의 중요성을 강조하면서 부실하게 진행된 환경영향평가를 다시 실시하라는 담론을 통해 고속철도 공단과 정부를 비판하고 지율 등 반대운동세력을 지지했다. 반면 조선일보, 중앙일보, 동아일보 등 보수지들은 지율 등을 환경근본주의라고 비판하면서 사회경제적 손실을 강조하고 법적 절차, 국책사업의 일관성과 국가 권위 등의 담론을 통해 지율 등은 물론 정부의 무능을 비판했다. 둘째, 보수지들은 시민들의 참여를 배제하는 권위주의적 방식으로 개발과 경제성장을 추구하는 개발 권위주의 담론구성체를 형성했다. 반면 진보지들은 자연 생태계와 개별 생명의 가치를 경제성장이나 개발의 가치보다 도덕적으로 우위에 두면서 형식적 법적 절차의 수행이 아니라 비판적 전문가와 시민이 의사결정에 참여하는 과정을 강조하면서 생태 민주주의와 생명지상주의 담론을 생산했다. 셋째, 이 운동의 정치사회적 의미는 다음과 같이 해석할 수 있다. 첫째, 권위적 개발주의 담론구성체는 경제, 법, 제도, 절차적, 경제적 합리성 등과 같은 지배적인 가치관들과 접합하며 반대운동 세력을 근본주의자들로 낙인찍어 고립시키는데 성공한 반면, 생태 민주주의와 생명지상주의 담론구성체는 생명과 자연의 내재적 가치에 대한 도덕적 당위성 담론을 주로 생산했기 때문에 대중의 폭넓은 지지를 얻는 데 한계가 있었다. 둘째, 지율과 그의 지지자들(도롱뇽의 친구들 등)은 기존의 환경운동세력과 달리 개별 생명에 대한 근본적(radical) 담론을 급진적으로 실행했기 때문에 한편으로 급진적 운동의 지지자를 확산시킨 반면 현실적인 운동의 지지자들로부터 스스로를 고립시키는 결과를 낳았다. 셋째, 지율의 담론은 숙의와 소통에 바탕을 둔 생태적 합리성으로 성숙되지 못했다고 평가할 수 있다. This paper aims to figure out the discourse terrain of environmental issues since 2000 by analyzing media reports on the movement against Cheonseongsan Tunnel Construction. We analyzed the media report discours by using frame analysis method. We can conclude as follows. Progressive newspapers such as The Hankyoreh, The Kyunghyang Shinmun urged that government and constructor should preserve ecosystem and lives in the Cheonseongsan and re-implement the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which was not evaluated correctly. On the contrary, conservative newspapers such as Chosun Ilbo, Korea Joongang Daily, Donga Ilbo labelled movement activists as environmental fundamentalists and emphasized socio-economic costs of delayed construction, authority of the government and consistency of national development projects. Conservative newspapers constituted developmental authoritarian discursive formations which argue the priority of development and economic growth with authoritarian process. On the contrary, progressive newspapers constituted ecological democracy and life fundamentalism discursive formations which emphasize the participatory and democratic policy process and the ecological value and intrinsic value of non-human beings rather than economic value. We can interpret the socio-political meaning of this case as follows. Firstly, developmental authoritarian discursive formations were successful to label environmentalists as stubborn fundamentalists and isolated them from the mass by articulating their discourses to the dominant value system such as economy, law, institution, legitimate process, and economic rationality. On the contrary, ecological democracy and life fundamentalism discursive formations were not so successful to mobilize the support of the public consistently, because they relied on the normative discourse on the intrinsic values of life and nature. Secondly, though Jiyul and Friends of Salamanders could proliferated radical nature preservation values, they isolated themselves from realist environmentalists, because they practiced radical and fundamental discourses with no compromise. Thirdly, the discourse of Jiyul is not the discourse of ecological rationality which is based on deliberation and communication.

      • KCI등재

        생태철학 : ‘주ㆍ객체 이원론’의 종언? ― 생태철학의 탈이성주의 경향에 대한 비판적 논의

        전석환 대동철학회 2008 大同哲學 Vol.43 No.-

        현대의 심각한 환경과 생태문제는 생태철학을 새로운 철학적 문법학으로 부상시켰다. 그러한 철학의 의의는 인간의 자연지배에 대한 위기의식을 고취하는 것으로 집약될 수 있을 것이다. 그런데 그 철학의 핵심은 인간과 자연, 정신과 물질, 마음과 몸 등의 주체와 객체의 이원론적 구조를 극복하는 시도로 제시된다. 그러나 이러한 시도가 환경과 생태의 실제적 현실에 얼마나 구체적 실천으로 나타날 수 있는가에 대한 의문이 제기될 수 있다. 왜냐하면 그러한 시도들은 목적론적 종교, 신비주의, 그리고 사변적 철학 등의 탈이성주의의 모습을 지닌 형이상학적 일원론을 지향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그러한 시도가 과연 주·객체의 이원론을 극복할 수 있는 대안적 세계관의 내용을 담고 있는 것 일까? 그렇다면 ‘방법적 합리주의’는 후기 형이상학적, 혹은 탈이성주의를 표방하는 현대에도 여전히 유효한 것이 아닐까? 물론 지금까지의 ‘이성의 책무’가 그 중심에 자리 잡아야 한다는 것은 당연하지만, 이성개념 그 자체는 전통적 개념을 넘어선 폭넓은 ‘합리성’의 개념으로 확장되어야만 한다. 즉 그것은 이성개념이 지닌 ‘사고’, ‘언어’, ‘인식’, ‘행위’ 안에 종속될 수 있는 ‘총괄개념이어야 만 한다. 하버마스에 의해 제시되는 의사소통적 합리성은 형이상학 없는 주·객 이원론을 극복할 수 있는 세계관의 단초를 보인다.물론 그러한 논의가 비판적 개방성을 담지할 수는 있지만, 이상적 담론상황을 구체적 생활의 형태로 부각하기에는 역부족이라는 한계가 지적될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환경과 생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즉 주·객 이원론을 극복할 수 있는 생태철학은 ‘의사소통적 합리성’에서처럼 탈이성주의를 표방해야 하지만 ‘방법적 합리주의’의 한계 안에서 그 해법을 찾아야 한다는 점은 확실하다. The seriousness of environmental and ecological problems in modern society raise ecological philosophy to a new philosophical grammar. And the core of this philosophy is seemed to try the dual construction between subject and object such as man and nature, sprit and matter, mind and body, etc. But the realistic possibility of this kind of trial into the concrete practice from the environmental and ecological perspectives can be questioned. It is because such trials aim at metaphysical monism figuring as Delogocentrism such as teleological religion, mysticism, and speculative philosophy, etc. However, can such a trial have contained an alternative world view overcoming a subjective-objective dualism? If so, it is asked that 'methodological rationalism' is still available to the modernity claiming to stand for the post metaphysical, or the delogocentrism. In fact it is fair that until now 'the task of reason' has been centered in our life, the concept of reason itself must expand wider concept of 'rationality' beyond the traditional one. That is, it should be a 'comprehensive concept' which are subordinated to the concept of reason endowed with 'speculation,' 'language,' 'cognition,' 'action.' The 'communicative rationality' suggested by Harbermas shows a clue of the world view which can overcome the subjective-objective dualism. Although such a discourse is able to hold a critical openness, it can be pointed out the limitation that bringing ideal discourse into actual life would be the lack of strength. In spite of this, although ecological philosophy which can solve the environmental and ecological problems, that is, can overcome the subjective-objective dualism should claim to stand for delogocentrism as like in 'communicative rationality,' it is sure that the solution should be found within the limitation of 'methodological rationalism.'

      • KCI등재

        환경과 생명의 위기에 대한 붓다와 맑스의 대화

        이도흠 한국불교학회 2019 韓國佛敎學 Vol.89 No.-

        When we seek alternatives to the crises of the environment and life, Marxism has a dual significance. Marxism is the sharpest analytic tool among all ideas in criticizing the capitalist contradiction as the dominant and fundamental cause of the global environmental crisis. On the other hand, nature seen in Marxism is nothing but an object on which humans create new value by working for their own purposes. Marxism does not escape anthropocentrism because it focuses on the instrumental value rather than on the intrinsic value of nature. Buddhism places more emphasis on life than any thoughts, and looks all life forms in nature not from anthropocentrism but from dependent origination. However, it does not see the power dynamics inherent in it. By combining these two thoughts, we synthesize them into the humanization of nature and the naturalization of human being. Its concrete expression might be 'ecological labor' or 'sustainable development', and its ultimate goal should be Hwajaeng Buddhist ecological community. At this time, its premise must, first of all, be to acknowledge the intrinsic value of nature, to move away from the separation between spirit and body and to think in the mom as the integration of the mind and the body. It is also necessary to shift the human purpose toward nature to new rationality, which is an Hwajaeng Buddhist ecological rationality whose purpose is to communicate and coexist with all the life forms, overcoming the instrumental rationality. The postmodern alternative is to reform the society into an ecologically circulatory system that does not produce waste and pollution, under the paradigm of hwajaeng Buddhism. Finally, in order to overcome the global environmental crisis, we must synthesize individual enlightenment and socio-cultural reform through consciousness transformation and solidarity. 환경과 생명의 위기에 대한 대안을 모색할 때, 맑시즘은 이중적이다. 환경 위기를 낳은 근본적이고 지배적 요인인 자본주의 모순을 비판할 때 맑시즘은 모든 사상 가운데 가장 예리한 분석 도구다. 반면에, 맑시즘은 자연의 본원적 가치보다는 그 도구적 가치에 초점을 두고 있기 때문에 인간중심주의를 벗어나지 못한다. 불교는 어느 사상보다 생명을 중시하는 원리를 품고 있으며 인간중심주의를 벗어나 모든 생명과 자연을 연기론으로 본다. 하지만, 거기에 내재되어 있는 권력을 인식하고 비판하거나 구조적 모순을 비판하는 데 한계를 보인다. 이에 불교와 맑스를 종합하여 대안을 모색하면, 근본적으로는 자본주의 체제를 변혁하고, ‘자연의 인간화’와 ‘인간의 자연화’를 대대(待對)의 관계로 종합해야 한다. 이의 구체적인 표현은 ‘생태적 노동’이나 ‘지속가능한 발전’이며, 최종 목적지는 화쟁의 생태공동체다. 이때 먼저 전제가 되어야 하는 것은 자연의 내재적 가치를 인정하는 것, 인간을 정신과 육체로 나눈 이분법에서 벗어나 몸으로 사유하는 것이다. 목적 지향적 합리성에서 벗어나 온 생명과 소통하고 상생하는 것 자체가 목적인 생태적이고 화쟁적인 합리성으로 전환해야 한다. 탈근대적인 대안은 화쟁의 패러다임 아래 이 사회를 생태론적 순환 시스템으로 개혁하는 것이다. 개인의 깨달음과 사회개혁과 문화개혁을 종합하는 것도 필요하다.

      • KCI등재

        휴리스틱으로서 도덕적 직관의 신뢰성과 한계

        정진규 한국윤리학회 2020 倫理硏究 Vol.130 No.1

        Moral judgments are mostly intuitive. Cognitive psychology also defines the mechanism of intuitions as heuristics. Therefore, this thesis will first discuss the concept of moral intuitions and humanistics. Next, I examine the discussion by G. Gigerenzer, who claims the reliability of moral intuition as a heuristic. G. Gigerenzer trust fast and frugal heuristics. Also, G. Gigerenzer proposes the concept of 'Ecological Rationality' on a normative level. The ecological rationality is that the interaction of the heuristics with the environment should be analyzed at a normative level. On the other hand, unlike G. Gigerenzer, D. Kahneman and A. Tversky doubt the reliability of the heuristics. This is because heuristics cause systemic bias. From this point of view, D. Kahneman and A. Tversky propose a Prospect Theory and the framing effect. W. Sinnott-Armstrong notes the framing effect of influencing moral intuition from a normative point of view. W. Sinnott-Armstrong argues that moral intuitions cannot be justified on a normative level if it is subject to framing effect. In conclusion, I intend to accept Armstrong's discussion and argue that the moral intuition is an efficient judging mechanism, but is not reliable on a normative level. 도덕 판단은 대부분 직관적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인지 심리학은 직관의 메커니즘을 휴리스틱으로 규정한다. 따라서 본 논문은 먼저 도덕적 직관과 휴리스틱의 개념을 논의하고자 한다. 다음으로 논자는 휴리스틱으로서 도덕적 직관의 신뢰성을 주장하는 기거렌처의 논의를 살펴보고자 한다. 기거렌처는 빠르고 적은 정보를 이용하는 휴리스틱을 신뢰한다. 또한 기거렌처는 규범적 차원에서 생태적 합리성의 개념을 제시한다. 생태적 합리성은 휴리스틱과 환경의 상호작용을 규범적 차원에서 분석해야 한다는 것이다. 반면 기거렌처와 달리 카너먼과 트버스키는 휴리스틱의 신뢰성을 의심한다. 휴리스틱이 체계적 편향을 발생시키기 때문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카너먼과 트버스키는 전망 이론과 프레이밍 효과를 제시한다. 암스트롱은 도덕적 직관이 프레이밍 효과의 대상이 된다면 규범적 차원에서 정당화될 수 없다고 주장한다. 결론적으로 논자는 암스트롱의 논의를 받아들여 휴리스틱으로서 도덕적 직관이 추론적 확증 없이는 정당화될 수 없다고 주장하고자 한다. 또한 도덕적 직관의 신뢰성을 전적으로 부정하는 것이 아니라 도덕적 직관의 신뢰성 조건을 규명하는 작업이 필요하다고 주장하고자 한다.

      • KCI등재

        论上海城市精神的文明生态建构

        胡近(Hu Jin),阙天舒(Que Tian Shu) 동북아시아문화학회 2004 동북아 문화연구 Vol.1 No.6

        The modern city has potentially strong and invisible power to sustain and promote it. This is the spirit of the modern city. Under the civilized system that is open and collisive, the values of the city spirit is made and settled in combining with the ecological environment in societies. Therefore, the values of the city spirit is rationally constructed by the city spirit and the social ecology. This means that it is to construct the cultural ecology of the city spirit. In my paper, I would like to research how to construct the reality and the rationality of the modern city in the point of view of the civilized ecology of the city spirit.

      • KCI등재

        유럽연합(EU)의 새로운 사회계약: 전략과 방향성

        김일곤 ( Ii-gon Kim ) 한국외국어대학교 EU연구소 2023 EU연구 Vol.- No.66

        본 글은 유럽연합이 추진하는 새로운 사회계약의 전략적 내용과 방향성을 가늠하는 것을 연구의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본 글은 유럽 그린 딜의 내용 분석을 통해 유럽연합의 새로운 사회계약이 경제적, 환경적, 사회적 목표들 사이에 균형을 그 내용과 방향으로 하지만, 내용상 신자유주의의 경제적 합리성을 내포한 탓에 그 균형점에서 경제적 목표에 보다 우선순위가 두어져 있는 것으로 주장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본 글은 결론에서 새로운 사회계약을 향한 전환의 과정에서 상품, 서비스, 자본, 노동과 같은 기존의 시장 요소에 앞으로 하나의 재화로서 환경 또한 그 구성요소로 포함되고, 유럽통합의 측면에서 환경 부문이 통합을 이끌어가는 또 다른 주요한 동력이 될 것이며, 그리고 생태적 시민권이 발현되고 실천되는 시민권의 확장 가능성을 제시한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gauge the strategic content and direction of the New Social Contract promoted by the European Union. Through a content analysis of the European Green Deal, this article argues that the European Union’s new social contract balances economic, environmental, and social objectives in its content and orientation, but that it prioritizes economic objectives in that balance due to its implicit neoliberal economic rationality. Nevertheless, the article concludes that in the transition towards a new social contract, the environment will be included in the traditional market elements such as goods, services, capital, and labor as a commodity; that in the context of European integration, the environmental sector will become another major driver of integration; and that ecological citizenship as a possible expansion of citizenship will be expressed and practiced.

      • KCI등재

        공맹사상을 통한 사회생태주의의 특성 연구 - 백무산의 시를 중심으로

        김동명(Kim Dong-myeong) 한국비평문학회 2020 批評文學 Vol.- No.77

        이 논문에서는 백무산 시를 대상으로 공맹사상을 통한 사회생태주의의 특성을 논의했다. 먼저, 백무산 시에서 ‘천명(天命)’의 평등성과 위계의 해체가 도출되었다. 그의 시에서 공자의 천명은 작금의 생태계 위기에 대응하여 위계의 해체를 주문하는 사회생태주의의 사유로 되살아났다. 백무산 시에서 모든 인간은 천명을 담지한 존재이기에 평등하다는 사유가 추출된 것이다. 나아가 백무산 시에서 ‘인(仁)’의 호혜성과 상호부조의 생성이 도출되었다. 그의 시에서 인간과 인간, 인간사회와 자연은 모두 호혜성의 열린 상태를 노정한다. 공맹의 ‘인’은 북친의 사유에서 되살아나 백무산 시에서 형상화된 것이다. 마지막으로, 백무산 시에서 대동(大同)의 지향과 변증법적 이성이 논의되었다. 인간이 자연의 도(道)를 본받아 인도(人道)로 삼는다는 공자의 사유는 이차자연인 인간이 변증법적 이성의 과정을 노정함으로써 전체 생태계의 창조적 진화가 가능하다는 북친의 사유와 닿는다. 이러한 사유가 백무산 시에서 대동(大同)의 지향과 변증법적 이성으로 형상화된 것이다. This paper discusses the characteristics of social ecology that appeared in the poetry of Baek Mu-san through the thoughts of Confucius and Mencius. First, I derived the equality of "Mandate from Heaven(天命)’ and the dissolution of hierarchy from his poetry. In his poetry, this Confucius" concept was revived as a reason for social ecology which calls for the dissolution of hierarchy in response to the current ecological crisis. The concept that all the public are equal since they all received Mandate from Heaven was embodied in Baek Mu-san’s poetry. Furthermore, I derived the reciprocal benefits of "Benevolence(仁)" and the creation of mutual assistance from Baek Mu-san’s poetry. In his poetry, the thought of Confucius and Mencius that the relationship both between human beings and between human society and nature has to be open through reciprocity was revived in Bukchin"s thought, and such thought was embodied in Baek Mu-san’s poetry. Finally, I discussed the orientation towards to Great Unity(大同) and the dialectical rationality in Baek Mu-san’s poetry. Confucius" thought that human beings should embrace the province of nature(道) as a guide of humanity(人道) is in line with Bukchin"s thought that human beings, who are the second nature, can enable the creative evolution of the entire ecosystem through the process of dialectical rationality. Such thought was embodied in Baek Mu-san’s poetry in the form of the orientation towards to Great Unity and the dialectical rational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