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생태기반 지역계획 고찰 - ‘생태계획(Ecological Planning) 이론’과 ‘생태적도시주의(Ecological Urbanism)’를 중심으로 -

        권윤구,한소영 한국경관학회 2019 한국경관학회지 Vol.11 No.1

        Ecology is a prerequisite and sufficient condition for regional planning. There has been a mainstream of ecological-based regional planning around in the field of landscape architecture. Since it has been mainly dealt with in Korea from the perspective of landscape studies, the study of ecology from a macro perspective of regional planning is insufficient.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overall flow of regional planning based on theory and practice, focusing on ecological planning theory and ecological urbanism. To this end, we explored the academic and practical flows of regional planning, and what each of these two theories meant by having a complementary relationship.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ecological theories began to be linked to ecological planning theory and ecological urbanism in the modern age with the pursuit of practical direction and development. Second, the ecological planning theory implies the ecological ecology itself, and it is understood that various layers are overlapped to pursue ecological structure diversity and connectivity in landscape planning. In ecological urbanism, the meaning of ecology sympathizes with the category of world view that binds man and nature together. The perception is that ecology is not only limited to environmental ecology, but also includes social, political and landscape ecology. Ecological urbanism takes the city as an organism and places importance on the consensus process in various fields in planning. Discourse on ecology that has been passed down in various fields for a long time could be limited to two large theories that do not have a clear conclusion in terms of ecological planning theory and ecological urbanism.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hat by tracing how the meaning of ecology started from McHarg has been changed up to now, we could verify the meaning and value of ecology that is still valid from the past to the present.

      • KCI우수등재

        Postmodernity and the Buddhist Studies of Ecology - Joanna Macy"s Ecological Self and Buddhist Self-Denial

        Yoon Young-Hae(윤영해) 불교학연구회 2006 불교학연구 Vol.15 No.-

          Jacques Derrida (1930~2004) is in the front line of postmodernistic challenges and deconstruction philosophy which is his main ideology. Derrida"s deconstructionism is the deconstruction of the absolute from the center and in the center of the subject of which must be deconstructed is the absolute, modern self-definition which has the aspects of uniformity and standardization.<BR>  Joanna Macy criticized modern self-definition in her thesis "The Ecological Self: Postmodern Ground for Right Action" and advocates ecological self with a postmodernistic vision.<BR>  She uses the modernistic self-concept in the same context with Buddhist self denial and moreover, she advocates ecological self-understanding based on Buddhist non-self and dependent origination. She also makes it clear that the ecological self-understanding and its practical model that she has suggested are based on postmodernism. Hence, it has been verified that eco-Buddhism uses the same grammar with postmodernistic ecology.<BR>  Macy"s ecological self-theory can only be in the same context with Buddhist bodhisattva. Her theory concludes with an action plan while in Buddhism the Buddhist self-denial can only be concluded with its practical usage of the bodhi"s charity performance.<BR>  The ecological practices as an ethical duty based on modern self-concept can only draw a line of demarcation between oneself and others and eventually can not function as a complete ecological idealism. Therefore, Macy emphasizes the best alternative solution for the current ecological crisis, which is to take action based on the ecological self-understanding that takes the same stance as Buddhist self-denial, dependent origination and bodhisattva.   포스트모던적 도전의 선봉에 데리다(Derrida, Jacques, 1930~2004)가 있으며 그의 중심사상을 해체철학이라 부른다. 데리다의 해체주의는 중심으로서의 절대의 해체이며 그 해체되어야 할 대상의 중심에 절대와 획일과 보편적 성격을 갖는 근대적 자아개념이 자리 잡고 있다.<BR>  조안나 메이시(Joanna Macy)는 자신의 논문 “생태학적 자아: 올바른 실천을 위한 포스트모던적 기반”에서 이 근대적 자아개념을 비판하고 포스트모던적 비전으로서 생태학적 자아를 주창한다.<BR>  메이시는 불교의 자아부정과 동일한 논리체계로써 근대적 자아의 개념을 용도폐기하고, 나아가 불교의 무아설과 연기법에 근거한 생태학적 자아이해를 주창한다. 또한 자신이 제시한 생태학적 자아이해와 그 실천적 모형이 포스트모더니즘에 근거하고 있음도 명백히 한다. 이로써 생태불교학은 포스트모던적 생태학과 그 논리체계를 같이 하고 있음이 확인된다.<BR>  메이시의 생태학적 자아이론은 불교의 보살론과 맥을 같이 할 수밖에 없다. 조안나 메이시의 이론은 실천으로 결론을 삼고 있으며 불교의 자아부정은 그것의 실천인 보살의 자비행으로 결론지을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BR>  근대적 자아개념에 근거한 윤리적 의무로서의 생태적 실천은 자타의 분립을 피할 수 없으며, 이는 결코 온전한 생태적 이상으로 기능할 수 없다. 따라서 메이시는 불교의 자아부정, 연기법 및 보살론과 맥을 같이하는 생태학적 자아이해와 이에 근거한 실천만이 오늘의 생태위기에 대한 최선의 대안임을 역설한다.

      • KCI등재

        미술교육의 탈구조주의 생태학적 접근

        장연자 한국기초조형학회 2014 기초조형학연구 Vol.15 No.4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search the ecological approach to the art education and the directions in terms of aesthetic and psychological dimensions in support of the post-structuralism and ecological viewpoint that claims the metaphysical revolution of relationships between nature and humans. To achieve this objective, this study conducted related literature review and the summary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an ecological disclosure and limitation of scientism as well as ecological philosophy as post-modern paradigm are discussed as a theoretical basis of the search for the educational approach to ecology. Second, a relationship between nature and art is explored first and then intrinsic objective of art education is discussed to facilitate the ecological approach to the art education. In addition, the ecological aspect of the art education is described. Third, three directions for the ecological art education are proposed as the discussion on the ecology and art education are summarized. The directions of art education aim to: 1) commune with nature and vitality, 2) sensitivity and ecological imagination, and 3) ecological awakening and spiritual recovery. In summary, art education for sustainable ecological education for the future shall make students realize that all beings co-exist in the universal life system and depend on each other eternally. 이 연구의 목적은 자연과 인간의 관계에 대한 형이상학적 변혁을 주장하는 탈구조주의 생태학의 주장에 궤를 같이 하여 자연에 대한 심미적․정신적 차원에서 미술교육의 생태학적 접근을 모색해 보고 지향점을 찾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달성하기 위한 연구의 방법은 문헌연구를 중심으로 진행하였고 그 연구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생태학의 교육적 접근을 모색하기 위한 이론적 바탕으로 생태학 담론과 과학주의의 한계, 그리고 포스트모던 패러다임으로서의 생태철학에 대해 고찰한다. 둘째, 미술교육의 생태학적 접근 모색을 위해 먼저 자연과 미술의 관계를 탐색하고 미술교육의 내재적 목적에 대해 고찰한다. 셋째, 이러한 생태학과 미술교육에 관한 논의를 종합하여 생태학적 미술교육의 방향을 다음과 같이 세 가지로 제시한다. 이는 1) 자연의 교감과 생명력, 2) 감수성과 생태적 상상력, 3) 생태적 각성과 영성회복을 지향점으로 하는 미술교육이다. 결론적으로 지속가능한 미래를 위한 생태교육은 모든 존재가 우주적 생명체계 내에서 서로 상생하며 항구적 의존관계에 있음을 깨닫게 하는 교육이 되어야 함을 주장하였다.

      • KCI등재

        생태학적 인식을 위한 문학교육 구성 방향

        이원영 문학과환경학회 2019 문학과 환경 Vol.18 No.3

        This study viewed the cultivation of a sense of accordance with nature and a sense of criticism towards civilization to be necessary in literature education for ecological awareness and aims to present literature education content composition direction and material. As ecological crises are increasingly becoming severe, threatening the survival of mankind, the performance of practical discourse that can respond to ecological threats is being demanded from Ecologism. Also, above all, literature education as the practical discourse of Ecologism must be designed to propel change towards ecological epistemology. This study was progressed in the following order to achieve such goals. First, explorations were made of the meaning of change towards ecological awareness. Through this, it was verified that there are limitations to propelling change towards ecological awareness when simply forming a sense of criticism towards civilization that concentrates on criticism towards humans that cause ecological destruction in literature education and such limitations can be supplemented through the designing of methods that form a sense of accordance with nature. Next, for the implementation of literature education for the cultivation of ecological awareness, ecological awareness education was applied within the content system of literature education courses and materialized and materials were proposed. Through this, proposals were made for methods in which literature education for the cultivation of ecological awareness deals with a sense of criticism towards civilization along with a sense of accordance with nature within the category of literary attitudes and in which it is materialized using the content elements of relational self-reflection or the realization of ecological communities. Also, the poems 「The Winter Sky」 by Seo Jeong-ju were presented as material for the formation of a sense of accordance with nature as a response to the fact that the material composition of current literature textbooks focus on the formation of a sense of criticism towards civilization. 이 연구는 생태학적 인식을 위한 문학교육에는 문명 비판 의식과 함께 자연과의 조응 의식의 함양이 필요하다고 보고, 이를 위한 문학교육의 내용 구성 방향과 제재를 제안하는 게 목적이다. 점차 심각해지고 있는 생태 위기가 인류의 생존을 위협하는 상황에서 생태주의는 생태 위기에 대응할 수 있는 실천 담론으로의 이행이 요구되고 있다. 그리고 생태주의 실천 담론으로서 문학교육은 무엇보다 생태학적 인식론으로의 전환을 추동할 수 있도록 설계되는 것이 필요하다. 이 연구는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순서로 진행되었다. 먼저 생태학적 인식으로의 전환의 의미를 탐색하였다. 이를 통해 문학교육에서 생태 파괴를 야기하는 인간에 대한 비판에 주력하는 문명 비판 의식을 형성하는 것만으로는 생태학적 인식으로의 전환을 추동하기에 한계가 있으며, 이러한 한계를 자연과의 조응 의식을 형성하게 하는 방식의 설계를 통해 보완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다음으로는 생태학적 인식 함양을 위한 문학교육의 실행을 위해 생태학적 인식의 교육을 문학교육과정의 내용 체계 속에 적용하여 구체화하고 제재를 제안하였다. 이를 통해 생태학적 인식 함양을 위한 문학교육을 문학의 태도 범주에서 문명 비판 의식과 함께 자연과의 조응 의식을 다루면서, 관계적 자아 성찰이나 생태 공동체의 실현이라는 내용 요소로 구체화하는 방식으로 설계하여 제안하였다. 그리고 현행 문학 교과서의 제재 구성이 문명 비판 의식의 형성에 주안점을 두고 있다는 점에 대응하여 자연과의 조응 의식을 형성하기 위한 제재로 서정주의 시 「동천冬天」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후보

        생태교육의 내용과 전망

        김기대 한국홀리스틱교육학회 2015 홀리스틱융합교육연구 Vol.19 No.1

        현재 생태계의 위기를 극복하기 위하여 생태주의 환경관이 필요하다. 이 연구에서 생태주의 환경관을 포함하고, 생태학에 기반한 생태교육의 내용과 전망을 분석하였다. 우리는 생태교육을 통하여 생태학의 기본 원리를 이해하고 어떻게 조화를 이루어 사는 능력을 학습하여야 한다. 생태교육의 목표는 생태학의 기본 원리를 이해하고 함께 사는 것을 이해하는 능력인 생태소양을 증진시키는 것이다. 생태소양은 인간과 사회, 자연계가 서로 어떻게 관계하고 있고, 인간과 사회가 지속가능하게 관계하는 방법에 대한 이해를 포함한다. 생태소양의 요소로 생태적 지식, 생태중심 태도, 생태 감수성을 들 수 있다. 이 연구에서는 기초 생태학 개념과 생태학 원리 및 법칙에 입각한 생태적 지식의 종류를 분석하였다. 분석한 생태적 지식은 공통점과 유사점을 고려하여 7가지로 범주화하였다. 생태교육은 근본적으로 생태학의 원리에 기반한 교육이고 근본적인 삶의 변화를 목표로 한다. 생태교육의 교수 학습 방법, 생태교육 관련 교육과정과 생태교육의 평가 방법은 앞으로 생태교육에서 연구되어야 하는 분야이다. 홀리스틱 교육 비전의 원칙은 생태교육과 일치하며 홀리스틱 교육은 실현하는 분야가 될 것이다. The aim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ontents and prospects of ecological education that is based upon ecology and includes the environmental views of ecology. We learn to get abilities to understand basic principles of ecology and live in harmony with ecosystem through ecological education. The goal of ecological education is to enhance ecological literacy, understanding ecological basic principles and living together with surrounding things. Ecological literacy includes understandings about how humans, society and ecosystem are related and how humans and society live sustainably. The elements of ecological literacy are composed of ecological knowledge, attitude toward ecology and ecological sensitivity. As a result of this study, ecological knowledge is classified according to basic ecological conceps and ecological principles and law, considering commons and diferrences. Finally, ecological education is based on ecological principles inherently and is pursuit of life changes. The studies of teaching, curriculum and evaluation methods in ecological education are urgently needed. The principle of holistic education goes well with ecological education and ecological education is one of fields to make realize holistic education.

      • KCI등재

        오정희 소설의 생태의식 고찰

        나선혜 ( Seon Hye Na ) 현대문학이론학회 2015 現代文學理論硏究 Vol.0 No.63

        이 논문에서는 오정희의 단편소설 「불의 강」과 「옛우물」을 생태비평의 관점에서 살펴봄으로써 자연을 대하는 작가의 자세와 삶에 대한 인식이 생태의식과 맞닿아 있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오정희 소설의 생태문학적 가능성은 그녀의 소설이 반생명적 문명에 관한 문제와 함께 생명력의 원천인 여성의 정체성에 대해 예민하게 성찰하고 있다는 점에서 비롯된다. 오정희는 생태위기의 현실을 절감하고 반문명적인 태도를 기저로 문명이 자연을 황폐화 하는 방식에 대해 「불의 강」과 「옛우물」에서 문제를 제기하고 그 해답을 모색하고 있다. 작가는 두 작품에서 지나치게 빠른 속도로 진행되어 온 현대의 문명과 이것이 야기한 반생명성에 깊은 회의를 보인다. 또한 자연을 공생과 친화라는 관점에서 바라보며, 모든 생명체가 상호 연관되어 있다는 생태학적 인식을 드러내고 있다. 이 작품들은 적극적으로 생태문학을 표방하고 있지는 않지만 그 밑바탕에 생태적 감각과 의식을 깔고 있는 작품들이다. 생태문학이 생태위기를 초래한 근대적 세계관에 내재된 파괴성을 비판하고 성찰하며, 생태의식과 가치를 내면화하고 근본적인 인식의 해체와 변화를 꾀하는 문학이라면, 이 두 작품은 생태문학의 범주에서 논의되기에 충분하다. 오정희의 작품 속에는 생태의식이 표층적으로 분명하게 드러나 있지 않은 까닭에 그동안 작가의 작품을 생태문학의 관점에서 분석한 논문은 찾아보기 힘들었다. 그리하 여 본 논문에서 작가가 포착하고 있는 생태위기의 양상을 확인하고, 이를 극복하기 위한 궁극적인 대안으로서의 생태의식을 살펴본 결과 오정희 소설이 가지는 생태문학적 의의를 찾을 수 있었다. 오정희 소설의 ‘생명력’과 ‘자연’, ‘여성의 생산성’과 ‘모성성’에 대한 관심은 생태의식을 일깨우고 생태적 세계관을 추구하거나 환기하는 생태문학에 맞닿아 있다고 할 수 있다. 이처럼 오정희 소설을 이해하는 데 있어 생태문학과의 연계성 속에서의 연구는 작가의 문학에 대해 새로운 가치를 발견할 수 있는 의미 있는작업일 것이다. 또한 생태문학의 지평을 넓히고 작가의 문학정신을 새롭게 규명해 낸다는 점에서 그 의의를 가진다고 하겠다. It is difficult to come across papers that analyzed the works of Oh Jeong-hee from the perspective of ecological literature since her ecological consciousness is not clearly revealed on the surface of her works. There is, however, no doubt that her novels clearly contain her ecological thinking inherent in them, which means that an effort to examine it from the perspective of ecological literature will help to broaden the horizon of ecological literature further and shed new light onto her literary spirit. This study looked into two of her short stories, “The River of Fire”and “The Old Well”, from the perspective of ecological criticism. The two works deserve a full discussion from the perspective of ecological literature as ecological literature criticizes and reflects on destructibility inherent in the modern world view that caused the ecological crisis, internalizes ecological consciousness and values, and makes an attempt at the dissolution and change of fundamental consciousness. The possibilities of her works as ecological literature are found in that they reflect on the identity of women, the source of life force, along with the issues of life-threatening civilization in a sensitive manner. In her “The River of Fire”, Oh raises issues with the suppressed psychology and lifelessness of characters through the spaces to represent urban civilization and industrialization. The husband``s hostility toward the modern industrial civilization that brought the ecosystem to destruction grows so uncontrollably that he ends up setting a thermal power plant on fire. His act can be understood as his denial of space that has lost its life force and as the manifestation of his ecological consciousness to restore it. At the end of the story, "the fireballs surging and then falling down into the river" represent the tolerance of nature (water) to embrace everything and the recovery of life force. In her “The Old Well”, Oh reflects on the being of man throughout the story, introducing nature in the process. She accepts life as a part of a circulatory system under the mythological viewpoint, which is in line with the viewpoint of deep ecology. She embodies the water (well) of nature as the life or womb of women, which is interpreted as her introduction of ecofeminism elements. The work also shows a character that regains her comfort back by returning to nature. Wounded people and their healing by nature have something to do with "ethics of caring" based on maternity (including productivity, life or femininity).In short, Oh``s interest in "life force," "nature," and "productivity of women" in her works is in line with ecological literature to arouse ecological consciousness and pursue or stir up an ecological view of the world.

      • KCI등재후보

        기초 생태소양을 반영한 논생태계 체험프로그램 개발

        김선휴(Sun Huh Kim),김기대(Kee Dae Kim) 중앙대학교 한국교육문제연구소 2013 한국교육문제연구 Vol.31 No.4

        본 연구의 목적은 생태소양의 성격을 탐색하며, 생태소양을 갖추기 위하여 누구나 익혀야할 기초적인 생태원리들을 선정하고, 선정된 생태원리들을 이해하기 적합한 논생태계에서 체험 프로그램을 제시하는데 있다. 생태소양의 자연과학적 측면으로서 생태계 이해를 익혀야할 기초적인 생태학적 개념들을 탐색하였다. 장상호의 학문의 구조에 대한 생각과 생태학자들이 생태계를 이해하는 데 중시한 개념들에 근거하여 생태학적 기초요소에 관한 연구자들의 결과를 비교하였다. 생태계 제 요소간의 상호작용을 중시하는 Klemow의 11가지 생태개념이 기초생태소양을 함양하는데 상대적 적절성을 보였다. 이에 근거하여 논생태계 프로그램에서 익힐 생태개념들로 Klemow가 제시한 개념들을 사용하였다. 논생태계는 다원적 특성, 습지로서의 특성을 가지고 있으며, 생태소양을 학습할 수 있는 학습의 장소이며, 학습의 대상이다. Klemow가 제시한 생태개념들에 근거하여 논생태계의 가치를 탐구한 결과 생태계를 이해하는 데 필요한 생태 개념들을 익히고, 생태소양을 함양시키기에 논생태계는 적합하다. Independent Investigation Method(IIM) 프로그램을 적용한 선행연구 분석을 통하여 과학적 탐구활동을 하기에 적합한 프로그램임을 확인하였다. IIM 프로그램이 적용된 논생태계 체험프로그램과 통하여 학습자들은 10가지 생태 개념들을 논에서 확인하도록 구성되었다. 학습자는 논생태계 프로그램을 통하여 생명현상, 물질순화, 에너지 흐름, 그 속에 인간의 역할을 살펴볼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sought features of ecological literacy, selected basic principles of ecology  which everyone should learn, and proposed appropriate learning of how and where to understand the  ecological principles chosen. Orr’s ecological literacy has features of natural science, humanities, and  sociology. Ecological literacy represents understanding of ecological principles based on natural science  as well as humanistic and sociological recognition about human life in ecosystems. Basic ecological  concepts for the understanding of ecosystems were investigated in regard to natural science enhancing  ecological literacy. Ecologists’ various opinions about ecological foundation elements were compared  from Jang’s structure of study and the concepts emphasized for ecologists to understand the  ecosystem. Basic ecological concepts of Klemow which emphasize the interaction between the elements  of ecosystems were relatively adequate rather than those of other researchers for the understanding of  ecosystems. On the basis of these results, the paddy field experience program was composed of Klemow ’s basic ecological concepts. By the analysis of previous studies to which the IIM program have been  applied, the IIM program is suitable for scientific research activities and is a learning tool to investigate  paddy field ecosystems. With the IIM program for paddy field ecosystem experience program, learners can  understand the kinds of 10 ecological concepts in paddy fields. The paddy field ecosystem is easy to  access compared to other ecosystems. In addition to exploring a variety of biological phenomena as well  as providing our daily food, paddy fields are historical places of our national agricultural culture.  Throughout the paddy field ecosystem experience program, paddy fields are expected to be refocused.

      • KCI등재후보

        화예의 생태 미학적 가능성 -국제 대지 미술제 출품작과 다니엘 오스트 작품을 중심으로-

        홍성덕 ( Sung Duck Hong ) 한국화예디자인학회 2014 한국화예디자인학 연구 Vol.30 No.-

        The interest in ecology in modern art began in the late 20th century and has continued as the areas of ecological art grow. As thedestruction of the environment has emerged as one of main issues in our society, people have become more aware of ecology. With such current trends ecological art has become closely connected to floral art through a common formative language, art.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explore the aesthetic relation of floral art to ecological art through the study of land art, environmental art, and art-in-nature. Modern floral art, considered as a part of ecological art, may have potential eco-aesthetic value and may give new approaches to some issues for future studies in ecological art. In order to explore the relationship between floral art and ecological art, this paper will examine first the study of land art, environmental art, and art-in-nature. Floral art has been influenced by eastern culture and includes the nature-oriented view that emphasizes respect for life and considers both nature and man to be equally important. Recent studies in ecology claim that it is important to have coexistence and interconnectivity between nature and man and between nature and culture so that all living things including human beings will eventually have a better life. Scholars in floral art also acknowledge and support the idea of coexistence and interconnectivity in ecological art. In the same context, regarding to ecological issues, land art, environmental art, and art-in-nature may be included as broader themes of ecological art. Land art has expanded our views of perceptual space through making an environment, nature and culture object. Environmental art has contributed to the foundations of ecological art by showing the potential to share environmental creativity, life, and multilayers between the environment and man. Art-in-nature has opened the door for ecological art to communicate between the life of nature and spirituality. Finally floral art creates formativeness and natural forms using materials from nature such as flowers and trees and rearranging them into our living environment. I argue that floral art in essence has similarities and close interrelationship with land art, environmental art, and art-in-nature.

      • 회칙 「찬미받으소서」의 생태 교육에 관한 방법론적 연구 - 몬테소리의 우주교육을 중심으로

        김상인 인천가톨릭대학교 복음화연구소 2016 누리와 말씀 Vol.- No.39

        본 논문은 프란치스코 교황의 회칙 「찬미받으소서」의 생태 교육에 관한 방법론적 연구를 목적으로 전개된다. 우선 회칙의 개관을 통해 현대 세계의 생태적 위기 상황을 살펴보고 위기 극복을 위해 교황이 설명한 신학적 근거들과 통합 생태론을 알아본다. 이를 통해 교황이 대안으로 제시한 생태 교육과 생태 영성에 관하여 살펴본다. 이에 중요한 원리로서 나타난 생태 교육의 네 가지 차원과 교육 방법 그리고 생태 영성에 있어서 생태적 회개에 필요한 네 가지 태도들에 대해서도 알아본다. 다음으로 교황이 생태 교육의 과제로 제시한 생태 교육 방법론의 연구적 중요성에 집중한다. 이에 필자는 몬테소리(M. Montessori)의 우주교육을 교육 방법적 방안으로 제시한다. 이러한 근거는 몬테소리가 가톨릭적 사상을 바탕(특히, 창조론)으로 우주교육 안에서 생태 교육적 방법을 고안하였고 이를 적용하여 구체화하였기 때문이다. 그래서 이러한 우주교육의 개념과 목적 그리고 방법과 프로그램에 대해서 살펴본다. 끝으로 몬테소리 우주교육의 방법과 교황이 제안한 생태 교육 방법과의 밀접한 관련성을 찾도록 시도한다. 이는 우주교육의 생태 교육적 요소에서 드러나는데, 구체적으로 생태학적 의미와 교육 목적, 교육 내용과 방법에서 찾을 수 있다. 두 가지 교육 방법을 비교한 결과, 많은 부분에서 우주교육과 교황의 생태 교육적 방법의 유사점을 찾을 수 있고 오늘날의 생태 교육 방법론에 시사하는 바가 크다는 결론에 도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make researches on methodology of ecological education in Pope Francis encyclical “Laudato Si’.” Firstly, look over modern world ecological crisis in encyclical outline, then look into Pope’s theological bases to tide over this crisis and integral ecology. Through this, look into ecological education and ecological spirituality, which were suggested as to alternative ideas by Pope Francis. Then, examine 4 dimensions of ecological education and educational method, which were shown as to the important principles, and 4 attitudes needed for ecological conversion in ecological spirituality. After, this study focuses on the importance of the methodology of ecological education which Pope has presented as to ecological education assignment. Here, this study presented M. Montessori’s cosmic education as to educational method. This basis comes from that Montessori proposed ecological education method within cosmic education which was based on Catholic thoughts (especially ‘the Creation’) then Montessori has actualized by its application. So, here examines such a cosmic education concept, purpose, method and program. Finally, try to find the close relationship between this Montessori’s cosmic education method and Pope’s ecological education method proposal. It is revealed in ecological education element within cosmic education, concretely can find in ecological meaning and purpose of education, education context and method. As a result of comparing these two education methods, can find similarities in many parts between cosmic education and Pope’s ecological education method. And concluded that it is very suggestive to today’s ecological education methodology.

      • 회칙 「찬미받으소서」의 생태 교육에 관한 방법론적 연구

        김상인(Kim Sangin) 인천가톨릭대학교 복음화연구소 2016 누리와 말씀 Vol.- No.39

        본 논문은 프란치스코 교황의 회칙 「찬미받으소서」의 생태 교육에 관한 방법론적 연구를 목적으로 전개된다. 우선 회칙의 개관을 통해 현대 세계의 생태적 위기 상황을 살펴보고 위기 극복을 위해 교황이 설명한 신학적 근거들과 통합 생태론을 알아본다. 이를 통해 교황이 대안으로 제시한 생태 교육과 생태 영성에 관하여 살펴본다. 이에 중요한 원리로서 나타난 생태 교육의 네 가지 차원과 교육 방법 그리고 생태 영성에 있어서 생태적 회개에 필요한 네 가지 태도들에 대해서도 알아본다. 다음으로 교황이 생태 교육의 과제로 제시한 생태 교육 방법론의 연구적 중요성에 집중한다. 이에 필자는 몬테소리(M. Montessori)의 우주교육을 교육 방법적 방안으로 제시한다. 이러한 근거는 몬테소리가 가톨릭적 사상을 바탕(특히, 창조론)으로 우주교육 안에서 생태 교육적 방법을 고안하였고 이를 적용하여 구체화하였기 때문이다. 그래서 이러한 우주교육의 개념과 목적 그리고 방법과 프로그램에 대해서 살펴본다. 끝으로 몬테소리 우주교육의 방법과 교황이 제안한 생태 교육 방법과의 밀접한 관련성을 찾도록 시도한다. 이는 우주교육의 생태 교육적 요소에서 드러나는데, 구체적으로 생태학적 의미와 교육 목적, 교육 내용과 방법에서 찾을 수 있다. 두 가지 교육 방법을 비교한 결과, 많은 부분에서 우주교육과 교황의 생태 교육적 방법의 유사점을 찾을 수 있고 오늘날의 생태 교육 방법론에 시사하는 바가 크다는 결론에 도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make researches on methodology of ecological education in Pope Francis encyclical “Laudato Si’.” Firstly, look over modern world ecological crisis in encyclical outline, then look into Pope’s theological bases to tide over this crisis and integral ecology. Through this, look into ecological education and ecological spirituality, which were suggested as to alternative ideas by Pope Francis. Then, examine 4 dimensions of ecological education and educational method, which were shown as to the important principles, and 4 attitudes needed for ecological conversion in ecological spirituality. After, this study focuses on the importance of the methodology of ecological education which Pope has presented as to ecological education assignment. Here, this study presented M. Montessori’s cosmic education as to educational method. This basis comes from that Montessori proposed ecological education method within cosmic education which was based on Catholic thoughts (especially ‘the Creation’) then Montessori has actualized by its application. So, here examines such a cosmic education concept, purpose, method and program. Finally, try to find the close relationship between this Montessori’s cosmic education method and Pope’s ecological education method proposal. It is revealed in ecological education element within cosmic education, concretely can find in ecological meaning and purpose of education, education context and method. As a result of comparing these two education methods, can find similarities in many parts between cosmic education and Pope’s ecological education method. And concluded that it is very suggestive to today’s ecological education methodolog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