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지각된 유용성과 사용용이성이 기업 이러닝 교육의 학습전이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자기효능감과 업무환경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박대범,구자원 대한경영정보학회 2018 경영과 정보연구 Vol.37 No.3

        본 연구는 이러닝 학습 경험이 있는 국내외 기업 종업원 390명을 대상으로 지각된 유용성, 사용용이성, 자기효능감 및 업무환경이 학습전이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 분석하였다. 또한 각 요인의 학습전이에 대한직접효과와 더불어 자기효능감과 업무환경의 매개효과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이러닝 학습자의 지각된 유용성과 사용용이성은 자기효능감에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보였으며, 상사 및 동료 지원과 조직 분위기에도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갖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자기효능감은 학습전이에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보였으며, 상사 및 동료 지원과 조직 분위기도 학습전이에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각된 유용성 또한 학습전이에 유의미한 영향을 갖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하지만 지각된 사용용이성은 학습전이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매개효과 분석결과 자기효능감과 업무환경은 각각 지각된 유용성, 지각된 사용용이성과 학습전이에 대해 모두 매개효과를 갖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시사점은 첫째, 기업교육에서 보편화된 이러닝에 대해 기술수용 단계를 벗어나 수용 후 실질적인 학습전이 효과에 대한 영향요인을 반영한 새로운 연구 모형을 제시하였다. 기술수용모델에서 외부 특성요인에 대한 매개변수로 사용되는 지각된 유용성과 지각된 사용 용이성을 독립변수로, 외부특성요인으로 연구되었던 자기효능감과 조직 환경을 매개변수로 사용한 연구모형을 도출하였다. 둘째, 기술수용과 학습전이에 관한 연구는 단일국가를 대상으로 한 연구들이 대부분이다. 26개 국가의 표본을 대상으로 다양한 샘플을 사용하여 연구 모형을 검증함으로써 신뢰성을 높였다. 셋째, 기존의 연구에서 지각된유용성과, 사용용이성을 수용의향 및 학습전이의 주요 결정요인으로 고려하였다. 본 연구는 수용된 정보기술에 대해 학습자 및 환경 요인의 매개효과를 탐색하여 지각된 유용성, 사용용이성의 학습전이에 대한 경로를 강화하고 보완하였다. 본 연구에서 활용된 다양한 국가의 표본 분석을 기반으로 향후 국제비교연구도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This research performed the empirical test for the effects of learning transfer on perceived usefulness, perceived ease of use, self-efficacy and work environment using 390 employees who have experienced e-learning in domestic and foreign companies. Analyzed the mediating effects of self-efficacy and work environment in addition to direct effect of each factor on learning transfer. The results showed that perceived usefulness and perceived ease-of-use of e-learning learner had a positive(+) effect on self-efficacy and a positive influence on supervisor and peer support and organizational climate. Self-efficacy showed a positive effect on learning transfer, and supervisor support, peer support and organizational climate had a positive influence on learning transfer as well. Perceived usefulness also had a positive effect on learning transfer. However, perceived ease-of-use had no significant effect on learning transfer. As a result of the mediating effect analysis, self-efficacy and work environment were analyzed to have mediating effects between perceived usefulness, perceived ease of use, and learning transfer.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is study designed a new research model that reflects factors influencing the effect of learning transfer on acceptance of e-learning that is common in corporate education. It has derived a research model of perceived usefulness and perceived ease-of-use, which were used as mediating variables for external characteristics factors, as independent variables, using self-efficacy and work environment as mediating variables, which were studied as external factors. Second, most of the studies on technology acceptance model and learning transfer are conducted in a single country. The reliability was enhanced by testing the study models using different samples from 26 countries. Third, perceived usefulness and ease-of-use in existing studies have been considered as key determinants of acceptance intention and learning transfer. This study explored the mediating effects of learner and environmental factors on the accepted information technology and strengthened and supplemented the path of learning transfer of perceived usefulness and ease-of-use. In addition, based on the sample analysis of various countries used in this study, it is expected that future international comparative studies will be possible.

      • KCI등재

        무인점포 고객의 사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서비스스케이프와 기술준비도를 중심으로

        김봉석,유재원 한국생산성학회 2024 生産性論集 Vol.38 No.3

        정보통신기술의 발전과 인건비 상승 등 사회적 변화로 인해 판매원이 존재하지 않는 무인점포를 우리 주변에서쉽게 발견할 수 있다. 이러한 무인점포의 확연한 발전에 비해 학문적 고찰과 연구가 부족한 실정이다. 일부 신기술과 시스템 환경을 중심으로 한 무인점포의 선행연구는 존재하나, 소비자 행동을 중심으로 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무인점포 소비자의 사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사용의도에 대한 서비스스케이프와 기술준비도의 영향을 중심으로 연구하였다. 무인점포를 이용한 320명의 소비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고차 요인분석과 형성적 변수(Formative construct) 분석에 용이한 PLS-SEM 구조방정식 모형으로 진행하였다. 연구 결과, 서비스스케이프와 기술준비도는 모두 무인점포 사용의도에 유의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서비스스케이프는 지각된 사용용이성과 지각된 즐거움을 통해 사용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으며, 기술준비도는 지각된사용용이성과 지각된 즐거움을 통해 사용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기술준비도는 서비스스케이프에 비해 무인점포의 사용의도에 더 큰 영향을 미친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서비스스케이프와 기술준비도가 무인점포의 사용의도를 결정하는데 중요한 요인임을 시사한다. 무인점포를 설계 및 운영하는 관리자는 편안한 서비스스케이프를 조성하는데 초점을 맞추어야 하며, 사용하기 용이하고 새로운 가치를 주는 기술을 개발하여 사용자가기술적 환경에 자연스럽게 녹아 들 수 있는 환경조성에 초점을 맞추어야 할 것이다. Due to social changes driven by advancement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and rising labor costs, unmanned stores without sales staff can readily prevalent in our life. Despite the clear progress of unmanned stores, there is a lack of academic consideration and research. Although there are previous studies on unmanned stores that focus on some new technologies and system environments, there is insufficient research that focuses on consumer behavior when using unmanned stores.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factors that influence consumers’ intention to use unmanned stores in a non-face-to-face distribution environment. The unmanned stores are a new distribution channel that leverages artificial intelligence and self-service technology to transform traditional retail service models. we measured technology readiness as an internal factor and servicescape as an external factor, and these are the components of technology acceptance model, such as perceived ease of use and perceived pleasure, and their impact on consumer usage intention. This research is expected to promote understanding of consumer behavior at unmanned stores in a non-face-to-face distribution environment, and contribute to strengthening the competitiveness of unmanned stores and improving con-sumer satisfaction. The research design aim to proposes and verifies a model that combines Technology Acceptance Model (TAM) with Technology Readiness (TR) and Servicescape to explain the behavior of customers using unmanned stores. Technology Acceptance Theory model (TAM) explains that a user’s perceived ease of use, perceived utility, and perceived pleasure influence usage intentions. The Technology Readiness (TR) explains that users’ optimism, innovativeness, discomfort, and anxiety reflect their susceptibility to new technologies, and the TR concept is a combination of four concepts applied to a second-order formative construct. The servicescape, which includes the physical and social environment of an unmanned store, is composed of spatiality, convenience, stability, and cleanliness, and this is analyzed as a second- order reflective construct. That is, we seek to study how technology readiness and servicescapes influence consumers’ perceived ease of use, perceived pleasure, and usage intentions. The servicescape is composed of spatiality, convenience, comfort, and cleanliness, and defines a second-order reflective construct, and the technology readiness is composed of optimism, innovation, discomfort, anxiety which were defined as second-order formative indicators, and analyzed perceived Ease of use, perceived pleasure, and intention to use. As a result, show that servicescape and technology readiness have a positive (+) influence on perceived ease of use and perceived pleasure, and perceived ease of use and perceived pleasure have a positive (+) influence on usage intention. In other words, in the service environment provided by unmanned stores, a technology readiness that integrates the technology usage ability, technical understanding, and adaptability of customers using unmanned stores can be positive impacted to convenience of customer and ease of use. Unmanned stores are rapidly growing due to factors such as technological development, changes in consumer perception, and increasing demand for face-to-faceservices. Through this study, we were able to suggest the direction for the development of unmanned stores by analyzing the factors behind the intention to use them. This study presented the importance of the servicescape of unmanned stores and the technological readiness of consumers, and provided suggestions for improving the competitiveness of unmanned stores by understanding consumers desires and values. By the influence of technology readiness, which is an internal influence variable of unmanned store users, it was possible to get implications that it could have a greater impact on ease of use and enjoyment of use. Existi...

      • KCI등재

        사용자유형을 조절변수로 한 스마트헬스케어서비스 수용의도의 구조모형

        최영남(Yuung-Nam Choi),김근형(Keun-Hyung Kim),오성렬(Sung-Ryoel Oh) 한국콘텐츠학회 2015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5 No.9

        본 논문에서는 첫째, 스마트헬스케어서비스(Smart Health Care Services)의 수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규명하였고, 둘째 스마트헬스케어서비스의 수용의도에 대한 영향요인들의 영향력이 의료인과 비의료인에 따라서 어떻게 달라지는지 살펴보았다. 연구모형의 독립변수로는 개인혁신성, 자기효능감, 촉진조건, 보안성을 적용하였으며, 매개변수로는 인지된 용이성과 유용성을, 종속변수로는 수용의도, 조절변수로는 사용자유형(의료인 vs. 비의료인)을 적용하여 연구가설을 수립하여 데이터를 수집하고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스마트헬스케어서비스 사용자들의 자기효능감은 인지된 용이성과 유용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며, 그 영향력은 의료인과 비의료인 사이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스마트헬스케어서비스에 대한 촉진조건은 인지된 용이성과 유용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며, 용이성의 경우 그 영향력은 비의료인이 더 민감하였다. 스마트헬스케어서비스의 보안성은 인지된 용이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며, 그 영향력은 의료인이 더 민감하였다. 스마트헬스케어서비스의 용이성과 유용성은 각각 수용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며, 용이성의 영향력은 비의료인이 더 민감하였고 유용성은 의료인이 더 민감하였다. In this paper, first, we examined the factors which would affect userss intention for accepting Smart Healthcare Service. Second, we analyzed weather the types(health care provider vs. health care recipient) of the users would modulate the factorss influences. The independent variables of the research model are novelty-seeking, self-efficacy, facilitating conditions and security. The mediating variables are the perceived ease of use and the perceived usefulness. The dependent variable is the acceptance intention and the moderating variable is the user type which contains health care provider and health care recipient. A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we recognized that the self-efficacy of the users would affect the perceived ease of use and the perceived usefulness in the smart healthcare services, but the user types(health care provider vs. health care recipient) did not modulate the factorss influences. We also recognized that the facilitating conditions would affect the perceived ease of use and the perceived usefulness in the smart healthcare services, in particular, the user types modulated the influences in the ease of use. We also recognized that the security would affect the perceived ease of use and the influence was more sensitive in the case of the health care provider. At last, we recognized that the ease of use and usefulness would affect the acceptance intentions. The influence of the ease was more sensitive in the case of the health care recipient. The influence of the usefulness was more sensitive in the case of the health care provider.

      • KCI등재
      • KCI등재

        대학수업에서 플립러닝에 대한 교수자의 경험이 플립러닝 사용의도, 활용태도, 지각된 유용성과 용이성에 미치는 영향

        박혜진 부산대학교 교육발전연구소 2018 교육혁신연구 Vol.28 No.1

        연구목적: 본 연구에서는 대학교육에서 교수자의 플립러닝에 대한 경험이 플립러닝 사용의도, 활용태도, 지각된 유용성과 용이성 간에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 탐색하였다. 연구방법: 이를 위해서, 본 연구는 강원지역 A대학의 전임교원을 대상으로 조사를 진행하고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주요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첫째, 교수자의 플립러닝 수업 운영 경험에 따라 플립러닝에 대한 사용의도, 활용에 대한 태도, 지각된 유용성, 지각된 용이성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플립러닝 관련 교수법 참여 경험에 따라 교수자의 플립러닝에 대한 사용의도, 활용태도, 지각된 유용성, 지각된 용이성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즉, 플립러닝 관련 교수법에 참여했던 경험과 그렇지 않은 경험은 교수자가 플립러닝 사용의도나 활용태도, 지각된 유용성과 용이성 측면에 차이가 없다고 할 수 있다. 셋째, 플립러닝을 활용하고자하는 교과목 유형에서 플립러닝에 대한 사용의도, 활용태도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또한 교수자는 교양 교과목보다 전공 교과목에 플립러닝을 사용하고자 하는 의도가 높았다. 결론: 교수자가 플립러닝에 대한 절차와 단계를 이해하고 능숙하게 수업을 진행할 수 있도록 실질적 역량을 강화할 수 있는 기회 제공이 필요하다. 또한 성공적인 플립러닝 수업을 위해 교수자의 개별적 교수설계 지원과 성공적인 수업 사례 등을 공유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Purpose: This study explor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ntention of using flipped learning, the attitude of use, and perception and ease of perception as a result of the professor s flipped learning experience in college education. Method: The multivariate ANOVA was performed to analyze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of the two groups according to the teachers experience of flipped learning, experience of teaching method, experience requirement, and type of subject. Results: First, According to the professor s experiences of flipped learning, there were differences in intention to use, attitude to use, perceived usefulness, and perceived ease of use. second, Flipped Learning related teaching method the presence or absence of participation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for the professor s Flipped Learning usage degree, usage attitude, perceived usefulness, perceived ease of use. Conclusion: It is necessary to provide the opportunity for the instructor to strengthen the practical ability to understand the procedures and steps of flip learning and to be able to progress the lesson proficiently.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prepare a plan to share the instructional design support of the instructor and the successful case example for the successful flip learning lesson.

      • KCI등재

        중국 온라인 피트니스 앱(App) 사용자의 사용의도에 관한 연구 - 킵(Keep) vs 위에둥취안(悅動圈)을 중심으로 -

        유욱호,박상수,조강필,왕서혜 중국지역학회 2021 중국지역연구 Vol.8 No.4

        본 연구에서는 중국에서 최근 유행하고 있는 피트니스 앱, 킵(Keep; 이하 킵)과 위에 둥취안(悅動圈)을 중심으로 해당 앱의 일상적 사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피트니스 앱 의 특성, 사용자 개인적 특성), 지각된 용이성 및 사용의도 간의 영향관계를 검증하였다. 이에 피트니스 앱 이용자 505명(킵/301, 위에둥취안(悅動圈)/204)을 대상으로 조사를 실 시하였으며, 그 결과를 토대로 시사점을 도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차이검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사용자 앱(킵 & 위에둥취안悅動圈)에 따른 차이 분석결과에서는 건강의식 변수에서만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 났으며, 킵의 평균값이 위에둥취안(悅動圈)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성별에 따른 차 이분석 결과에서는 킵의 경우, 편리성, 오락성, 정보성 등 3개 변수에서 통계적으로 유 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위에둥취안(悅動圈)은 9개 변수 모두 통계적으 로 유의미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주간 사용횟수에 따른 차이분석 결과에서는 킵의 경우 혁신성, 맞춤성, 자기효능감 등 6개 변수에서 주간 사용횟수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위에둥취안(悅動圈)의 경우는 9개 변수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가설검증 결과는 다음과 같다. 피트니스 앱의 특성(편리성, 오락성, 정보성), 사용자 개인적 특성(혁신성, 맞춤성, 자기효능감)이 피트니스 앱에 대한 지각된 용이성 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분석결과, 앱의 특성인 오락성, 개인적 특성인 혁신성, 맞춤성, 자기효능감이 지각된 용이성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각된 용이성은 사용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용자의 건강의식 조절효과 결과에서는 사용자의 건강의식에 따라 피트니스 특성 인 오락성, 개인특성인 맞춤성이 자각된 용이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차이가 있는 것 으로 나타났다. 집단 간 경로계수의 유의성 및 경로계수에 대한 차이를 검증하기 위한 다중집단 비교분석 결과에서는 킵의 경우, 정보성, 자기효능감 2개 변수에서 유의성이 확인되었으며, 위에둥취안(悅動圈)의 경우, 오락성, 맞춤성, 자기효능감 3개 변수에서 유의성이 확인되었다. 또한, 킵과 위에둥취안(悅動圈) 두 집단 모두 지각된 용이성이 사용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두 집단의 경로계수 값에 대 한 차이 검증에서는 ‘오락성, 맞춤성, 자기효능감→지각된 용이성’, ‘지각된 용이성→사 용의도’ 4개 경로 값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paper chooses the fitness app ‘Keep’ and ‘Yuedongquan(悅動圈)’ as the analysis object and analyzed the facyors of user characteristics, fitness app characteristics, perceived ease of use and intention to use. And conducted a research on taking personal health consciousness as moderating effect. In addition, the differences in the results of path analysis were examined through multi-group analysis according to the app ‘Keep’ and ‘Yuedongquan (悅動圈)’.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only in user’ health consciousness, there a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of ‘Keep’ and ‘Yuedongquan(悅動圈)’. ‘Keep’ is higher than ‘Yuedongquan(悅動圈)’. In the results of analysis of differences according to gender, in the case of Keep, there a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ree variables such as convenience, entertainment. but in case of Yuedungquan, all nine variables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the results of the analysis of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number of weekly use, in the case of Keep, there a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the number of weekly use in 6 variables such as innovativeness and self-efficacy, in the case of Yuedungquan, 9 variables all were found to b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Second, hypothesis verification results indicated that the entertainment of fitness app, the innovation, customization and self-efficacy of user characteristics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perceived ease of use. In addition, between the entertainment of fitness app, customization of user characteristics and perceived ease of use, the health consciousness has the moderating efffct. Between the perceived ease of use and intention to use, the health consciousness also has the moderating effect. Finally, in the case of multi-group analysis, it is confirmed that there are differences in fitness app of ‘Keep’ and ‘Yuedongquan(悅動圈)’.

      • KCI등재

        기대된 사용 용이성, 지각된 유용성 및 시스템품질이 개인용 로봇 수용에 미치는 영향

        김유정,이형석,윤종수,이영로 한국자료분석학회 2009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Vol.11 No.4

        This paper examined research factors that determined the adoption of personal robots and how those factors were related to each other. Based on the prior researches, we selected beliefs(usefulness, ease of use), quality factor(system quality), and intention to use, and we conceptualized those factors as expected ease of use, perceived usefulness, system quality(perceived system quality-expected system quality). The findings showed that expected ease of use had a significant and positive influence on perceived usefulness whereas it was not related to system quality. System quality was proven to influence positively and significantly on perceived usefulness. Also, it was shown that perceived usefulness had a strong relationship with intention to use whereas system quality was not related to intention to use. And expected ease of use was proven to give a negative effect on system quality. 본 연구에서는 유비퀴터스 서비스의 주요 단말로 대두되고 있는 URC(ubiquitous robot companion) 개인용 로봇의 수용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기대된 사용 용이성, 지각된 유용성, 시스템품질(지각된 시스템품질-기대된 시스템품질)과 URC 개인용 로봇 이용의도에 대한 관련성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URC 시범서비스 대상자 1000 가구를 대상으로 URC 개인용 로봇에 대한 기대된 신념과 품질 대한 설문을 2006년 9월에 실시하였고, 2007년 4월에 지각된 신념과 품질에 대한 설문 등을 실시하였다. 유효 설문지 498개를 대상으로 가설을 검증한 결과, 지각된 유용성이 URC 개인용 로봇에 대한 이용의도의 강력한 선행요인으로 나타났으나, 기대된 사용 용이성은 이용의도와 관련성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기대된 사용 용이성이 지각된 유용성에는 매우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고, 기대된 사용 용이성이 지각된 유용성을 매개로 이용의도에 영향을 주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시스템품질(지각된 시스템품질-기대된 시스템품질)은 URC 개인용 로봇 이용의도에는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지각된 유용성에는 강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밝혀졌다. 또한 기대된 사용 용이성은 시스템품질(지각된 시스템품질-기대된 시스템품질)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전사적자원관리시스템의 사용과 저항에 관한 실증연구: 공공기업 A사를 중심으로

        정병노,김승운,강희택 한국경영교육학회 2012 경영교육연구 Vol.27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relationships among perceived usefulness, perceived ease of use, user resistance and job performance in the ERP (Enterprise Resources Planning) system of a public enterprise. Specifically, based on TAM (Technology Acceptance Model), this study explores the factors which reduce user resistance and improve the use of an ERP system, and investigates whether the use enhances employee's job performance of the public enterprise. For this, we conducted a survey targeting the employees of an public corporation in Korea, gathering data from a total of 314 employees with which our model empirically was tested. As a result, perceived ease of use of an ERP system positively affects perceived usefulness and both perceived usefulness and perceived ease of use negatively affect user resistance toward the ERP system. User resistance has a negative influence on the use of the ERP system, which in turn determines employee's job performance. Finally, some implications, limitations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s are discussed. 본 연구에서는 조직 상황에서 전사적자원관리(ERP) 시스템에 대한 사용자 저항과 사용의 선행 요인들을 규명하고, ERP 시스템에 대한 사용자 저항과 사용 및 업무성과 사이의 관계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세부적으로 기술수용모형(TAM, Technology Acceptance Model)을 토대로 지각된 유용성과 지각된 사용용이성이 ERP 시스템의 사용뿐만 아니라 사용자 저항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하고, 계속적으로 사용자 저항이 시스템 사용에, 또 시스템 사용이 시스템 사용자의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국내 한 공공기업의 종업원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314명으로부터 수집된 응답 결과를 바탕으로 통계적으로 실증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결과, ERP 시스템의 지각된 유용성은 지각된 사용용이성에 의해 결정되고, 이러한 두 가지 요인, 즉 지각된 유용성과 지각된 사용용이성이 사용자 저항에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사용에 대하여 지각된 유용성은 정(+)의 영향을 미치고 사용자 저항은 사용에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사용은 개인의 성과에 정(+)의 영향을 미침을 밝혀내었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연구의 시사점, 한계점 및 향후 연구방향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고령친화환경의 조절효과를 통한 노인의 인지기능과 기술사용 용이성 인식의 관계 : 운동보조 웨어러블 로봇기기 사용을 중심으로

        정인혜(Inhye Jung),김윤명(Yoon Myung Kim),강미선(Miseon Kang),송시영(Si Young Song),김성희(Seong Hee Kim) 한국노년학회 2022 한국노년학 Vol.42 No.2

        본 연구는 노인의 인지기능과 기술사용 용이성 인식의 관계를 고령친화환경이 어떻게 조절하는지 알아보고자 수행되었다. 대한민국에 거주하는 만 65세 이상 74세 미만 전기노인 277명을 대상으로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여 조절효과의 유의성을 검증하였으며, 물리적 고령친화환경, 서비스 고령친화환경, 사회문화적 고령친화환경이 개별적인 조절변수로 각 분석모형에 포함되었다. 조절효과분석은 SPSS PROCESS Macro Model 1을 사용하였으며, 조절효과의 심층적 탐색을 위해 단순 기울기(Simple Slope)와 존슨-네이만(Johnson-Neyman Technique) 분석을 병행하였다. 조절효과 분석결과, 인지기능이 기술사용 용이성 인식에 미치는 영향에서 유의한 조절효과를 가진 고령친화환경의 하위 항목은 서비스 환경(B=-.180, p<.05)과 사회문화적 환경(B=-.199, p<.05)이었고, 물리적 환경의 조절효과는 나타나지 않았다(B=-.070, n.s.). 즉 인지기능이 낮을수록, 웨어러블 로봇기기를 사용하기 쉽다고 생각하는 기술사용 용이성 인식정도가 낮아지지만, 자신이 살고 있는 지역의 고령친화 정도가 서비스 환경과 사회문화적 환경 측면에서 높다고 인식할수록 인지기능이사용 용이성 인식에 미치는 영향이 완화되는 것이다. 기술사용 용이성 인식은 실제 기술사용으로 이어지게 하는 주요 요인이라는점에서, 상대적으로 자신의 인지기능이 저하되었다고 인식하는 노인들의 기술사용 용이성 인식을 높이는 것은 이들의 기술사용을촉진하는 역할을 할 것으로 예상할 수 있다. 기존의 고령친화환경을 이루는 도식과 요소에 기술의 자리를 마련하는 방안에 대한 연구자들의 노력과 정책적인 시도가 뒷받침되어야 할 것이며, 본 연구는 이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였다는 점에서 그 의의를 찾을 수 있다. This study examined how the age-friendly environment moder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cognitive ability and the perceived ease of use of technology, especially on the wearable robots for mobility improvement, of older adults. Accordingly, 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on 277 older adults aged 65-74 years living in Korea. SPSS PROCESS Macro Model 1 was used to analyze the moderating effect, and simple slope and Johnson-Neiman methods were conducted to understand the moderating effect in depth. As a result of the moderating effect analysis, the service-side environment and the socio-cultural environment moderated the relationships between cognitive ability and perceived ease of use of technology significantly. That is, the higher the degree of the age-friendly environment in the service-side and socio-cultural environment, the less impact of cognitive ability on the ease of use of technology. Since the perceived ease of use is one of the major factors leading to actual technology use, the result of this study suggests researchers efforts and policy attempts to provide a place for technology in the elements of the age-friendly environment are needed.

      • KCI등재

        모바일 외식 플랫폼서비스특성이 사용용이성과 유용성 및 재사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전장철 국제문화기술진흥원 2019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 Vol.5 No.2

        본 연구는 모바일 외식플랫폼서비스 특성에 대한 하위차원을 파악하고 사용용이성, 유용성 및 재사용의도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 검증하고자 하였다. 자료 수집은 2019년 2월 11일부터 2019년 2월 28일까지이며, 연구자가 외식업체를 방문하여 직접 면담을 통하여 설문내용을 제시하였다.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모바일 외식플랫폼서비스의 편재접속성, 상호작용성은 사용용이성에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상황인식성은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편재접속성, 상황인식성, 상호작용성은 유용성에 유의적인 영향을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사용용이성은 유용성에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편재접속성은 재사용의도에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상황인식성, 상호작용성은 재사용의도에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사용용이성은 재사용의도에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유용성은 재사용의도에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examined the sub - dimensions of mobile food platform service characteristics and verified how they affect the usability, usability and re - use intention. The data collection is from February 11, 2019 to February 28, 2019. The researcher visited the food service company and presented the questionnaire by direct interview.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ubiquitous connectivity and interactivity of the mobile eater platform service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ease of use, but the situational awareness has no significant effect. Second, ubiquitous connectivity, situational awareness, and interactivity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usability, and ease of use has a significant effect on usability. Third, ubiquitous connectivity has a significant effect on re - use intention, and situational awareness and interactivity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re - use intention. Fourth, ease of use has no significant effect on re-use intention, but usefulness has a significant effect on re-use inten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