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회장 취임 기념논문] 동아시아 근대의 고유한 위상과 특징

        김상준(SangJun Kim) 한국이론사회학회 2015 사회와 이론 Vol.26 No.-

        이 글은 동아시아 근대의 고유한 위상과 성격을 추출하고 유형화하여 동아시아 근대에 대한 체계적인 역사사회학적 인식틀을 구축함을 목적으로 한다. 동아시아 근대의 원형(原型)과 그 변형 과정, 이를 통해 형성된 동아시아 근대 체제의 특징, 그리고 그 내부의 (국가 또는 세력 단위의) 하위 유형(sub-types)들을 포착하고 분석하여 체계적으로 범주화할 것이다. 널리 운위되는‘동아시아의 부상(浮上)’은 이제 더 이상 서구 모델과의 근사(近似) 정도로 판정할 수 없게 되었다. 그 부상을 이해하는 관건은 이제 동아시아)가 서구형에 아직 못 미치는 점을 색출하고 격차를 계량하는 것이 아니라, 서구 근대를 그토록 압축적으로 수용할 수 있었던 그 수용체(receptor)의 특이한 형질, 즉 체형(體形)과 체질(體質)이 무엇인가를 규명하는 것이 되었다. 동아시아인으로서의 자부감 때문이 아니라 오히려 동아시아 근대가 직면해 있는 곤경을 이해하고 그로부터의 출구를 모색하기 위해서다. 오늘날 ‘동아시아의 부상’은 ‘서구 근대의 위기’와 긴밀하게 맞물려 있다(근대지속 가능성의 위기). 동아시아 근대가 단지 서구형 근대의성공적 수용일 뿐이라면, 그 역시 위기에 처한 서구 근대의 한계를 더욱 압축적인 형태로 내장 한 채, 압축된 만큼 더욱 빠른 속도로 침몰할 운명일 수도 있다. 동아시아 근대의 고유 형질(形質)에 대한 정확한 이해는 동아시아 압축 근대가 처한 이러한 딜레마의 성격과 연원, 그리고 그 곤경으로 부터의 출구(지속가능한 근대)를 모색하는 데 관건적인 관심사가 된다. ‘동아시아 근대의 독특한 형질’은 동아시아 근대의 원형, 그리고 그 원형의 변형 과정을 동태적 유형학(typology)과 위상학(topology)으로 체계화할 때 포착될 수 있다. 그래야 부상(浮上)이 의미하는 바의 전모와 현재의 상황이 내포한 딜레마의 정체도 밝힐 수 있다. Modern world history in the 21th century seems going back to the future. China and India are coming back to the front stage of history as they were before the ‘European hegemony’. Not only these two, but also South East Asia and Latin America are emerging. Historical importance of Indian Sea and South China Sea is reemphasized. Eurasian silk roads through vast lands and sees are reevaluated and revitalized. This ‘Rise of the Rest’ is an opening of a new future, but also going back to the past, that is, before ‘The Rise of the West’. During the time which historians call ‘the early modern age’, Eurasian civilizations were communicating and transacting more equally than the time of European hegemony. So now we can observe three stages (or sequences) of modern age: 1) the early modern, 2) the fully modern, and 3) the late modern era. The second stage of modern era began from the Rise of the West; and the third stage, from the Rise of the Rest, the civilizational situation of which resembles that of the first one when peace in East Asian prevailed. Reflecting this situation, this paper reformulate East Asian modern history into three stages, and thinking about the possibility of East Asian regime of peace.

      • KCI등재

        근대 이행기 중국의 유교 연구-장즈둥과 량수밍을 중심으로-

        강중기 ( Kang Jung-ki ) 인하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8 한국학연구 Vol.0 No.49

        Confucianism in China during the modern era was conducted to cope with the cultural identity crisis caused by the Western tax tie. On the one hand, in the process of trying to accurately recognize the challenge of a powerful hitter in the modern Western world, and looking for a new departure along with a reflection on the Chinese tradition in need. Zhang zhi-dong's theory of using Chinese substance(中體) and Western function(西用) defines Chinese substance as a relationship of use, but it discusses the relationship between Chinese substance and Western function based on functional, rather than strict logic. Sometimes he discusses Chinese substance and Western function in the framework of Being Sage Inside Being Kingly Outside(內聖外王), and sometimes deals with them from the perspective of essence-end(本末) and main-minor(主輔). As to how the Confucian tradition of China, which is based on a fundamental different principle while embracing the political system of the modern West, can act as a solution to the problem of modern times, Zhang zhi-dong cannot offer a satisfactory solution. Liang shu-ming presents unique cultural theories and new interpretations of Confucianism in the process of solving the problems of science, democracy and religion in the modern western world, which have emerged as a Chinese interest since the tie with the West. For science and democracy, Liang defines Western culture as one of the three types of human culture based on the theory of culture tripology, while placing it at the first stage in the development of human culture. Liang also claim that the Chinese culture should be controlled by intuition, as the intellectual activities of the human brain have gone too far and the modern Western civilization is facing destruction. This leads to the idea of giving universal value to Western modern civilization (science and democracy) and putting it under the control of Chinese traditional culture (Confucianism). On the issue of Confucianism being a religion, Liang suggests Confucian religious theory that it performs the function of religion even though it is not a religion. Furthermore, Confucianism argues that it is superior to other religions because there are no superstitious elements that are complicit with other religions. However, it is necessary to consider whether establishing Confucianism as a religion is the way to revive the original significance of human history of mentality.

      • KCI등재후보

        개항기 방한서양인 기록에 나타난 한국의 세탁문화 인식에 영향을 미친 요인

        황진영,강혜승 단국대학교 석주선기념박물관 2020 한국 복식 Vol.- No.43

        본 연구는 개항기 한국을 방문한 서양인 기록에 나타난 복식문화 중 한국 세탁문화의 인식을 연구 하기 위해 서양인 기록을 분류하고, 서양인의 방문 목적과 관점에 의해 기록에 미친 영향요인을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에 연구의 목적에 따라 영향을 미친 요인에 대해 진행한 연구내용은 다음과 같다. 서양인들은 일상거리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세탁하는 한국 여성의 모습을 보며, ‘노예’, ‘악습’, 그리고 ‘비경제적’, ‘나쁜 세탁방법’, ‘빨래의 노예’, ‘거대한 세탁소’ 등의 표현으로 여성의 비참한 삶을 부정적으로 비판하기도 하였지만 한편에서는 단순한 세탁방법이 가장 한국복식에 맞는 세탁방법이라는 긍정적인 평가를 하였다. 서양인들은 대체로 서양인의 생활문화와 서양복에 기준을 맞춰 한국의 세탁문화를 판단하였기 때문에 왜곡된 시각과 부정적인 면이 더 표현되는 양상을 보였다. 한국의 세탁문화 기록에 영향을 미친 요인은 서양인의 방문목적이나 관점을 통해 파악할 수 있었 다. 한국을 주로 방문했던 서양인은 미국과 유럽인들 위주였으며, 개신교나 천주교인들로 선교를 목적으로 한국을 방문하였다. 방문자들의 대부분은 종교적 영향을 받아 한국의 문화를 바라보았고, 선교사들은 당시 종교 전파를 위해 의료와 교육 선교를 적극 활용하였다. 선교사들의 시각에는 더러운 조선의 거리와 같은 비위생적인 환경에서의 세탁은 의료 선교로, 여성의 끊임없는 노동은 교육 선교 라는 종교적 관점으로 한국인을 기독교화 할 대상으로 바라보았을 뿐 아니라 서양의 종교를 통해 변화될 수 있음을 홍보하기 위해 미개하고 비 문명화된 한국의 이미지로 강하게 부여하여 왜곡된 모습을 시각화하여 활용하였다. 비위생적인 환경이라 평하며 세탁과 흰옷의 문화와 연결하여 주변 환경과 대비되는 불결함을 더욱 부각시켰다. 이렇게 만들어진 이미지는 종교적으로 계몽해야 할 의무가 있다는 당위성을 부여하기 위하여 여성의 노동과 청결, 위생을 이미지화 시켰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서양인의 사진과 글의 이미지에 투영되어 있는 선교사들의 의도를 정확하게 파악하고 검토하는 작업이 반드시 필요하다. 이와 같이 살펴본 서양인들의 세탁문화를 인식하는 차이를 바탕으로 서양 인이 기록하기 전 어떠한 요인들로 영향을 받고 작성되었는지 고찰하는 것이 본 연구의 의의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factors affecting Western records and Western records in order to study the perception of laundry culture, which refers to the most negative expressions among Korean clothes’ perceptions of Westerners who visited Korea during in the Early Modern Era. Therefore, the study carried out according to the purpose of the study is as follows. As a factor influencing the Western record of Korean laundry culture, it was influenced by Western perceptions by religious factors such as evangelism through women’s education and medical mission through Korean hygiene and cleanliness. It has been confirmed that Westerners have strongly expressed the image of savage and uncivilized Korea as an image the Korean laundry culture. The image created in this way was to show the justification and effectiveness of modern education project by missionaries. Through the opportunity, it was a great success to meet the purpose of the mission such as the increase of Christians and participation in education.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accurately grasp and review the intentions of missionaries projected in images of photographs and writings of Westerners. This study is meaningful to examine what factors were influenced and written before Westerners recorded based on the differences in the perception Korean laundry culture of Westerners. Especially, if we compare and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erception according to the difference of social change, customs and religion and the Western society revealed in the costume, it is possible to analyze the close to the formation process of the costume culture in the Early Modern Era.

      • KCI등재

        근세초기 구어자료에 나타나는 「べし」의 사용양상 - 『昨日は今日の物語』와 『醒睡笑』를 중심으로 -

        李粹晑 ( Lee Su-hyang ) 한국일어교육학회 2021 일본어교육연구 Vol.- No.57

        본 논문은 근세초기 구어자료에 나타나는 「べし」의 사용양상을 살펴보기 위해 『昨日は今日の物語』와 『醒睡笑』를 대상으로, 활용형과 의미용법에 대해 고찰한 것이다. 고찰결과 다음의 사항을 알 수 있었다. 첫째, 활용형은 회화문과 지문에서의 차이는 크지 않았으나 「べし」는 둘 다 회화문에서의 사용빈도가 조금 높았다. 두 자료에 나타나는 활용형의 분포를 종합해보면 전체적으로 「べし」가, 「べき」보다 사용률이 약간 높게 나타났는데, 이것은 중세후기의 경향이 반영된 것이라 할 수 있다. 아울러 중세부터 나타난 연용형과 이연형의 감소경향도 확인되었다. 둘째, 종지형이 사용되어야 할 곳에 연체형이 사용된 예가 소수 발견되었는데 이것은 중세후기부터 나타나기 시작한 <종지·연체형의 합일화 현상>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판단된다. 셋째, 「べし」의 활용형에 접속하는 품사의 종류로는 동사가 대부분을 차지하였으며, 다른 품사는 소수에 한정되어 사용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넷째, 『昨日は今日の物語』에 나타난 「べし」의 의미는 [의지]-[추량]-[당연·필연]-[적당·권유·명령]의 순서로 나타났으며, 『醒睡笑』에서는 [추량] [당연·필연]-[가능]-[적당·권유]-[의지]의 순서로 나타났다. [의지]의 의미를 제외한 [추량]과 [당연·필연]은 같은 사용빈도의 순서를 보이고 있는 점과 두 자료 전체의 사용양상을 살펴본 결과를 통해 [추량]과 [당연·필연]이 주된 의미로 사용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다섯째, 「べからず」는 4예 중에서 [금지]가 3예, [불가능]이 1예 나타났다. 현대일본어에서 「べからず」는 주로 [금지]의 의미에 사용되고 있는데 본 연구 결과에서도 이러한 경향이 파악되었다. This paper examines the use of ‘Beshi’ in the Kinouwa kyounomonogatari and Seisuisyo in order to examine the meaning and utilization type of “Beshi” in the early modern era. The result of examination is as follows. First, the difference between the conversation type and the text was not significant, but ‘Beshi’ in both Kinouwa kyounomonogatari and Seisuisyo was slightly higher in the conversation type. Taken together, the overall use rate of ‘Beshi’ was slightly higher than that of ‘Beki’, which can be said to reflect the tendency of the late Middle Ages. In addition, the trend of decrease in < renyoukei > and < izennkei > was confirmed from the Middle Ages. Second, the phenomenon of ‘continuous shape coalescence’ that appeared from the late Middle Ages was confirmed. Third, it can be seen that verbs accounted for most of the types of word class connected to the utilization of ‘Beshi’, and other word classes were limited to a few. Fourth, excluding the meaning of [will], [Conjecture] and [Naturalness·Inevitability] show the same order of use, and the results of examining the usage patterns of both data show that [Conjecture] and [Naturalness·Inevitability] are used as the main meanings. Fifth, among the four cases of ‘Bekarazu’, three were [Prohibition] and one was [impossible].

      • KCI등재

        從韓日兩國近代雙語詞典的詞彙看文明的轉變:交通、流通

        申雄哲 경성대학교 한국한자연구소 2020 한자연구 Vol.0 No.28

        Paying critical attention to the concept of ‘transportation’ and ‘circulation’, this essay examines the collection status of vocabulary in bilingual dictionaries of various languages in early-modern East Asia. By doing so, it follows the trajectory of translingual practice, and clarifies a part of the transition of modern East Asian civilization. The research method in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it confirms the concepts of ‘交通 (kotsu, kyothong)’ and ‘流通 (ryutsu, yuthong)’ by defining a monolingual dictionary in Japanese and Korean. Next, it selects words representing each concept after investigating the translation (English) of a modern Japanese-English dictionary and Korean-English dictionary. The translated words corresponding to those representing the concepts are extracted from some major early-modern bilingual dictionaries of Japanese and Korean. It, then, analyzes the aspect of changes from the late 19th century to the early 20th century by looking into the translations of those extracted (Japanese and Korean). Based on the above-mentioned research and analysis, it reveals significant developmental characteristics in translating the concept of ‘transportation’ and ‘circulation’ in East Asia.

      • KCI등재

        근대초기 동남아 경제 진화에 미친 네덜란드 동인도회사의 영향

        김동엽 ( Dong Yeob Kim ) 서강대학교 동아연구소 2012 東亞 硏究 Vol.31 No.1

        This article is to shed light on the impact of the Dutch East India Company(VOC) on the evolution of the Southeast Asian economy in the early modern era. It specifically focused on the state and merchant capitalists that played an important role in the capitalist development of the time. The VOC was said to be the most advanced capitalist institution of the time. It was not only a corporate entity but also a de facto state in Asia. With its military power the VOC disarmed the role of Southeast Asian states in trade by deteriorating them into either a dependent peripheral state or a non-commercial absolute state. The VOC also limited the commercial role of the indigenous merchants. Instead, the VOC heavily relied on the Chinese to supplement its needs and to connect the local people with the Dutch. The Chinese emerged as the major merchant capitalists and the wealthy middle class in Southeast Asia ever since. The opportunity to build a constructive relationship between the state and indigenous merchant class in Southeast Asia was wasted under such circumstance. And it caused to push further the Southeast Asian economy to the periphery of the world economic system afterwards.

      • KCI우수등재

        1960~70년대 조선시대 농업사 연구와 내재적 발전론, 근세사회론

        염정섭 한국사연구회 2019 한국사연구 Vol.- No.184

        In this paper, I will critically examine the research results based on the intrinsic development theory among the agricultural history studies of the Joseon dynasty from the 1960s to the 1970s, I would like to search through the proposal of the ‘early modern society era theory'. In the 1960s, the Korean historians had published a lot of research results in the historical context of raising the logic of overcoming colonialism in history, the development of change in Korean society, the development of economics. In the 1960s and 1970s, the research results of the agricultural history of the Joseon Dynasty, including Kim Jong-seop's research on land registers, were largely based on intrinsic development theory. The conclusions of the research results of the agricultural history of the intrinsic developmental theory that was established as a premise were based on the recognition of the age division of the transition from medieval society to modern society. Therefore new alternatives to intrinsic development theory should be made in the division of times. It will be possible to distinguish the Korean society from the Joseon society by focusing on the social personality, the ruling class, especially the domination system which is seen between the Joseon dynasty society and the Koryô dynasty society, and it can be established as the middle age and the early modern age. Specifically, it can be presumed that the ruling system of the early modern society was established in the latter half of the 15th century and continued for a long period of time through the mid-19th century. In addition, we should pay attention to the transition of the early modern society into the modern society and look for the change factors of the early modern society internally and emphasize the theoretical and empirical search to capture the development of change in history and trace the direction of redefine of intrinsic development theory. 본 논문에서 한국사연구회 창립(1967년)을 전후한 시기 즉 1960년대부터 1970년대까지 이루어진 조선 시대 농업사 연구 가운데 내재적 발전론에 의거한 연구성과를 비판적으로 검토하고, 내재적 발전론에 대한 대안을 시대구분론에 입각한 ‘근세사회론’의 제기를 통해 모색하고자 하였다. 1960년대 한국사학계는 앞선 시기 식민주의 역사학에 대한 극복논리의 제기, 한국사회의 변화 발전, 경제학계의 후진국개발론, 일본학계의 영향 등이라는 역사적 배경 속에서 내재적 발전론에 의거한 조선 후기 사회의 변화 발전을 설명하는 연구성과를 발표하였다. 金容燮의 量案 연구에서 비롯한 1960년대와 70년대의 조선시대 농업사 연구성과는 대체로 내재적 발전론에 입각한 또는 내재적 발전론의 범주에 들어가는 것이었다. 1960년대와 70년대 조선 후기 농업사 연구성과의 결론이자 전제로 자리잡았던 내재적 발전론은 중세사회에서 근대사회로의 이행이라는 시대구분 인식에 근거하고 있었다. 따라서 내재적 발전론에 대한 새로운 대안 제시가 시대구분론에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조선왕조사회와 고려왕조사회 사이에 보여지는 사회성격, 지배층, 특히 지배체제의 차별에 주목하여 대략 고려사회와 조선사회를 구별하여 중세와 근세로 자리매김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구체적으로 근세사회의 지배체제가 대략 15세기 후반에 정립되어 19세기 중반에 이르기까지 장기간에 걸쳐 시기적인 부침을 거치면서 지속된 것으로 규정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근세사회의 지배체제는 양반(사족) 지배층이 신분제와 관료제를 기본 골격으로 삼고, 성리학적 이념을 현실화하기 위한 중앙정부와 향촌사회 지배세력의 노력이 하층민에게 가해지는 역사과정이 전개되면서, 직접생산에 대한 부세수취와 인신 노동력에 대한 신역부과를 재정적 기반으로 삼아 유지되는 체제라고 규정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근세사회에서 근대사회로의 전환에 주목하여, 근세 사회의 변화 요인을 내부적으로 찾고 또한 역사상의 변화 발전이라는 점을 포착하기 위한 이론적, 실증적 모색을 강조하고 내재적발전론의 재정립’이라는 방향성을 추적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근대 초기 서사 텍스트의 저작, 번역, 번안 개념에 관한 고찰 - 근대 초기 신문연재소설을 중심으로

        최성윤 한국문학이론과비평학회 2013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Vol.59 No.-

        Early modern writers' recognition for the concept of translation or adaptation was flimsy, so has authored comprehensively to obscure the boundary. Indicators such as 'written by', 'translated by' and 'adapted by' was not considered as the target of an aggressive interpretation until now. In this paper, I noted the way how the early modern adaptation of newspaper serials referred to the author. For several years in the early 1920s, the concept of authoring, translating and adapting was raised to the agenda for discussion, obtained direction by gradual agreement. Especially the concept of adaptation is ambiguous itself, before and after this period reveals subtle differences in the patterns. The first example of serial fiction using 'adapted by' is found in Maeilsinbo, 1922. In so-called the era of adaptation, there was not the word, adaptation. The consciousness of adaptation which is separated from translation existed, but the boundaries of original and adaptation remained ambiguous. After 1922, serial authors wrote an additional mark of 'translated by' or 'adapted by' behind the pen name in many cases. Writers was beginning to recognize the concept of adaptation Which is different from creative work. After only a few years,the aspect that each medium inscribe 'adapted by' was generalized. The recognition of writers about the originality has been established. 근대 초기의 작가들은 번역 혹은 번안에 대한 개념 인식이 박약한 상태였고, 그래서 그 경계를 모호하게 하여 포괄적인 저술 행위를 했다. 따라서 필자서명 뒤에덧붙여진 ‘작’, ‘역’, ‘번안’ 등의 지표들은 지금까지 적극적인 해석의 대상으로 여겨지지 않았다. 본 논문은 근대 초기 신문의 번안 연재물이 어떤 식으로 필자를 표기하고 있는지에 주목하였다. 1920년대 초 몇 년간은 우리 문단과 문인들에게 있어 저작 및 번역, 번안의 개념이 토론의 의제로 제기되고 점진적 합의에 의한 방향성을 획득해 가던 시기였다. 특히 번안이라는 행위의 개념은 그 자체로 애매모호한 것이어서 이 시기 이전과 이후 양상이 미묘한 차이를 드러낸다. 서사 텍스트를 연재하면서 신문 지상에 ‘번안(飜案)’이라는 표지를 처음 사용한예는 1922년 매일신보에서 발견된다. 그만큼 근대 초기의 소설사 자료에서 ‘번안’이라는 용어는 낯선 것이다. 번안의 시대에 번안이라는 말은 없는 모순적 상황이 지속되었다. 번역과 구분되는 번안이라는 의식은 존재했을지 모르나 저작과 동일시하는 과정에서 왜곡되었고, 따라서 번역 행위와 관련한 의식만이 명징했을 뿐창작과 번안의 경계는 계속 모호한 상태로 남아 있었다. 이후 다수의 번역 및 번안 작품에서 연재물의 필자가 필명 뒤에 ‘역’ 혹은 ‘번안’의 표지를 부기하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번안 작품에 번안이라고 드러나게밝히기 시작했을 뿐 아니라 당대의 문인들이 ‘번안’ 개념을 ‘저작’ 개념과 구분하여인식하기 시작했다는 점을 중요시할 필요가 있다. 1922년 이후의 각 신문 소설 연재 난에서는 ‘번역’ 아니면 ‘저작’이라는 구분으로부터 ‘창작’ 아니면 ‘번역․번안’이라는 구분으로 인식의 틀이 이행해 가는 양상이 여실하게 드러난다. ‘번역’이냐 ‘번안’이냐 하는 구분은 때에 따라 모호하게 처리되더라도 순수 창작의 독점적 지위는 전에 없이 강조되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로부터 불과 몇 년 후 각 매체의 연재 지면에서 원작과 원작자를 명기하고 ‘번안’이라는표지를 드러내는 것이 일반화되는 양상은 이러한 문인들의 의식이 조금씩 표출되고 문단적 합의를 이룬 결과라고 하겠다.

      • KCI등재

        일본 유학생 잡지 『대한학회월보』의 <몽유록계 서사>의 특징과 서사 장치의 실험

        전은경 국제한인문학회 2022 국제한인문학연구 Vol.- No.33

        이 글은 근대계몽기 일본 유학생 잡지였던 『대한학회월보』에 실린 몽유록계 서사의 특징을 살펴보고, 이러한 몽유록계 서사가 어떤 변주와 실험을 하고 있는지 밝히고자 하였다. 이전까지 선행연구에서 거의 다루어지지 못한 『대한학회월보』만의 특징을 살펴보고, 이러한 학회지의 성격이 몽유록계 서사물에 미친 영향력과 결과에 대해서 논의하였다. 몽유록계 서사물은 국내외 학회지에서 모두 보이는 양식이기는 하지만, 특히 일본 유학생 학회지에서 압도적으로 많이 등장했다. 당대 지식인들이 다양한 고전 양식 중 <몽유록계 서사물>을 선택했다는 것은 시대적 상황과 출판 매체의 적합성을 고려했을 때 알맞았기 때문일 것이다. 이 가운데 『대한학회월보』는 일본 유학생회의 통합을 목적으로 성립한 대한학회의 학회지로서, 통합 학회답게 다른 일본 유학생 학회지의 특성도 고스란히 담겨 있었다. 대한학회가 비록 태극학회나 공수학회까지 포함하여 통합을 이룬 것은 아니지만, 태극학회와 공수학회의 임원진이나 회원들이 대한학회의 임원진을 역임하고, 회원으로 다수 입회한 이상, 대한학회는 이미 일본 유학생회의 통합적 구심의 역할을 하기 시작한 것으로 볼 수 있다. 이러한 가운데 일본의 입장에서도 대한학회가 일본 유학생회의 통합 학회의 기능을 담당한다고 보였을 것이다. 따라서 『대한학회월보』는 통합 학회의 역할과 더불어 집단적 목소리를 내는 소통구로서의 역할을 담당했다고 보는 것이 타당할 것이다. 이러한 가운데 『대한학회월보』의 2기 편집진은 직접적인 정치 내용을 피하고, 간접적이고 비유적인 글, 소설적인 글로 기재해달라는 요구를 하게 된다. 이미 그 이전부터 압박과 검열을 받아오고 있는 상황에서, 몽유록계 서사물은 간접적, 비유적, 소설적인 장치로 비판과 의도를 우회할 수 있는 장치가 될 수 있었다. 이렇게 『대한학회월보』의 몽유록계 서사물은 통합 학회지로서의 특징을 담지한 채로, 새로운 문예의 실험과 활용을 통해 근대 초기 문학을 형성해나가는 발판이 되어주었다.

      • KCI등재

        한국어사에서 20세기 초 한국어의 위상과 문법 특징

        홍종선(Hong Jongseon) 한국어학회 2016 한국어학 Vol.71 No.-

        The early 20th century is a period of time when Korea confronted with the surging waves of modernization, and made a variety of internal reactions. The Korean language, not immune to the upheaval, also experienced new changes and gradually gained characteristics of today’s Korean. Although scholars have not yet fully agreed upon the time division of Korean, Gabo reformation (1896) is usually considered to be the beginning of modern Korean. Thus, the early 20th century was also the beginning of modern Korean. Phonological, lexical, and grammatical characteristics of modern day Korean began to appear during this period of time. Phonologically, the 10 vowel system was established, glottal sounds and aspirated sounds increased, vowel harmony declined. Phenomena such as vowel raising, front-vowelization,monophthongization, and the word-initial rule appeared. Meanwhile, hangul-Chinese mix writing became common practice, and hangul-only writing also started to take place in narrative writing, and elements of spoken language began to reflect in written language. All those pointed to the unification of written and spoken language. Under the influence of modernization, a great amount of new words appeared. Especially, Japanese and other foreign words flooded in in great quantities. Grammatically, ‘-eos-(-엇-), -neun-(-는-), -ges-(-겟-)’ trichotomy system of tenses was established, and hearer-oriented honorific system also formed a binary system of ‘hasoseo(하소서), hasibsio(하십시오), hao(하오), hage(하게), haera(해라)’ and ‘hae (해), haeyo(해요)’. In word formation and sentence construction, the use of ‘-gi(-기)’ became more frequent than ‘-eum(-음)’, while ‘∼geot(∼ 것)’ also significantly increased. In negative, causative and passive expressions, the use of long form, which has fewer restrictions than the short form, became more frequent. A tendency towards simplicity appeared. In the same vain, long and complex sentences with several clauses tend to be avoided. Instead, short simple sentences became more favorable. Korean linguistics scholars should pay closer attention to the modernization period, which includes the early 20th century. In order to fully understand today’s Korean language, more thorough research on this immediately preceding period is necessar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