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오디박 첨가 모닝빵의 품질특성 및 항산화성

        김현정 ( Hyun Jeong Kim ),신숙경 ( Suk Kyung Shin ),김미리 ( Mee Ree Kim ) 한국식품조리과학회(구 한국조리과학회) 2013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Vol.29 No.6

        본 연구는 항산화능이 우수하나 착즙 후 버려지는 오디박을 건조시켜 모닝빵에 첨가(0, 1, 3, 5 %)하여 품질특성과 항산화능을 분석하였다. 빵의 무게와 부피는 건오디박 함량 3%인 경우 대조군에 비하여 증가하였으나 그 이상 첨가 시에는 감소하였다. 빵의 pH는 건오디박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낸 반면, 산도는 건조 오디박 첨가량이 증가 할수록 유의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건오디박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당도와 환원당 함량이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p<0.05). 색도는 L값과 b값의 경우, 오디박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감소하였으나, a값은 증가하였다. 총 phenol함량은 건오디박의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였다. 항산화능은 DPPH 라디칼 소거능 및 hydroxy 라디칼 소거능 모두 건오디 박의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IC50 값이 낮아져, 건오디박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항산화능이 증가되었다. 관능검사 결과, 기호도에서 외관의 색은 3% 건오디박 첨가군이 4.6점으로 가장 높았다. 맛과 향은 3% 건오디박 첨가군이 각각 4.5점, 3.8점으로 가장 높았다. 경도 및 씹힘성은 대조군이 가장 높았다. 전반적인 기호도와 구입의사는 1% 건오디박 첨가군이 각각 4.9점으로 가장 높았다. 강도검사에서 건오디박을 첨가할수록 색과 오디향, 오디맛의 강도가 높게 나타났으며, 이와 반대로 버터향과 버터맛, 경도와 씹힘성의 강도는 건오디 박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낮아지는 것을 볼 수 있다. 이상의 결과들을 종합적으로 고찰해보면 모닝빵 제조 시 건오디 박의 첨가로 인해 모닝빵의 품질이 개선되고 항산화능이 우수할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소비자검사와 강도검사를 고려할 때 건오디박 1~3% 첨가군이 적정한 배합비로 결정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functional bread added with dried mulberry pomace. The effect of dried mulberry pomace (0, 1, 3 or 5%) on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breads was evaluated. The weight, volume and height were higher in bread added with dried mulberry pomace, compared with control bread. As the concentration of the dried mulberry pomace increased, decreased in pH and increased in acidity. The sugar concentration(°Brix) and reducing sugar(%) increased with the amount of dried mulberry pomace. The hunter color system L(lightness) and b(yellowness) value of the crumb of breads with increasing dried mulberry pomace were decreased, but the a(redness) value was increased. Contents of total phenol increased with addition amount of dried mulberry pomace. The antioxidant activities such as DPPH and hydroxy radical scavanging activity of the dried mulberry pomace increased with increase of dried mulberry pomace amount. The sensory results showed that scores of over-all preference of the breads added with dried mulberry pomace were higher than that of control.

      • KCI등재

        건오디, 건오디박, 오디 농축액의 품질특성 및 항산화성

        전혜련(Hye Lyun Jeon),홍윤표(Yoon Pyo Hong),이지현(Ji Hyun Lee),김형돈(Hyung Don Kim),김미리(Mee Ree Kim)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12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41 No.10

        본 연구는 부산물로 버려지는 오디박의 식품 소재로서의 활용가능성을 위한 기초연구로 이화학적 품질 특성 및 항산화성을 분석하여 오디 및 오디 농축액과 비교하였다. 오디와 오디박은 동결건조 하여 사용하였고, 오디즙은 농축하여 사용하였으며, 수분함량은 건오디는 7.32%, 오디박은 6.0%이었고 농축액의 가용성 고형물 함량은 24.7°Brix이었다. 환원당 함량은 건오디가 45.7%로 가장 높았으며, 오디박은 24.5%, 농축액은 30.9%이었다. pH는 건오디, 5.81, 오디박, 5.92, 오디농축액은 5.80이었으며, 산도는 건오디가 0.064%, 오디박이 0.035%, 오디 농축액이 0.080%이었다. 일반성분으로 탄수화물과 조회분은 건오디가 높았으며, 조단백, 조지방 및 조섬유는 건오디박이 높게 나타났다. 색도는 적색도를 나타내는 a값은 건오디가 4.7, 건오디박이 4.3으로 오디박은 오디와 유사하였다. 총 phenol 함량은 건오디가 0.039 mg/mL로 가장 높았고, 오디박은 0.026 mg/mL, 오디 농축액은 0.024 mg/mL였다. 총 flavonoid 함량은 건오디박이 0.48 mg/mL로 가장 높았고 건조오디는 0.26 mg/mL, 오디 농축액은 0.14mg/mL였다. DPPH radical 소거능의 IC50 값(건오디: 5.89mg/mL, 오디박: 7.86 mg/mL, 오디 농축액: 33.47 mg/mL) 및 hydroxyl radical 소거능의 IC50 값(오디: 20.50 mg/mL, 오디박: 22.59 mg/mL, 농축액: 52.94 mg/mL)은 농축액에 비하여 건조오디와 오디박이 높았다. ABTS radical 소거능은 건오디(6.92%)>오디박(4.53%)>농축액(3.27%)의 순이었고, FRAP은 건오디(0.036 mg/mL)>오디박(0.021 mg/mL)>농축액(0.011 mg/mL)의 순이었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오디농축액 제조 시 부산물로 얻어져 폐기되는 오디박은 색상이 우수하고, 당함량은 적고 식이섬유와 조단백이 풍부할 뿐 아니라, 총플라보노이드 및 페놀함량이 높아 항산화능이 우수하므로 가공식품 또는 건강기능 식품소재로 활용가치가 매우 높다고 사료된다. Mulberry pomace, a by-product obtained from mulberry juice, has not been utilized as food. In this study, antioxidant activities, proximate composition and physiochemical characteristics of mulberry pomace were evaluated and compared with those of mulberry fruit or mulberry concentrate. Mulberry fruit was pressed and filtered. The filtrate and residue were used as mulberry juice and mulberry pomace, respectively. Mulberry juice was evaporated, after which a concentrate (24.7° Brix) was obtained. Moisture contents of mulberry concentrate, freeze-dried mulberry, and pomace were 68.7%, 6.03%, and 7.32%, respectively. Reducing sugar contents were 45.7% in freeze-dried mulberry, 24.5% in pomace, and 30.9% in mulberry concentrate. The pH and acidity of the three samples ranged from 5.80~5.92 and, 0.035~0.080%, respectively. Carbohydrate and crude ash contents were the highest in mulberry fruit, whereas crude protein, fat, and fiber contents were the highest in pomace. Redness of the Hunter color system was 4.7 in mulberry and 4.3 in pomace. Total phenolic content was the highest in mulberry fruit, whereas total flavonoid content was the highest in pomace. Antioxidant activities (DPPH, hydroxyl, and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were enhanced in the order of mulberry fruit> pomace> mulberry concentrate. Especially, antioxidant activities, such as DPPH and hydroxyl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of mulberry pomace were similar with those of mulberry fruit. Based on these results, freeze-dried mulberry pomace may be considered as a functional as well as an additive material for food processing.

      • KCI등재

        저장 중 건오디박 첨가 빵의 품질 특성

        김현정(Hyun Jeong Kim),신숙경(Suk Kyung Shin),김미리(Mee Ree Kim)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13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42 No.1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storage quality characteristics of bread with added dried mulberry pomace (DMP, 0, 1, 3 or 5%) during storage at 4°C for 7 days. During the entire storage period, the moisture content was higher in breads containing DMP compared with the control bread. Textural properties by TPA showed that the hardness of DMP bread maintained a lower hardness than that of the control during the entire storage period. Moreover, DSC (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ry) result showed that ΔH (crystal melting enthalpy) of the bread containing DMP was lower than that of the control bread, which indicate the retarding of retrogradation. The sensory preference test results demonstrated that the bread with 3% DMP had higher scores in over-all preference than the others. These results suggest that DMP delays the retrogradation of bread during storag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