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디지털 아트의 시뮬라시옹 효과와 의미재현방식 연구

        홍은정 한국일러스아트학회 2014 조형미디어학 Vol.17 No.1

        본 연구에서는 보드리야르의 소비이론을 근거로 현대 디지털 아트의 본질과 위치를 분석하고, 현대소비사회를 어떻게 재현해내고 있는지 실제를 확인하였다. 즉, 보드리야르의 소비이론에서 그 철학적 기반을 이루고 있는 시뮬라시옹(simulation)이 디지털 아트를 통해 어떻게 재현되고 있는지의 양상을 분석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특히 본 연구에서 디지털 아트를 대상으로 삼은 이유는 디지털 아트의 특성이 시뮬라크르의 개념을 가장 적극적으로 수용하고 고민하는 분야라는 점 때문이다. 디지털 아트는 작품 구성의 재료와 형식, 즉 매체와 예술이라는 각각의 요소들을 새로운 시각에서 재설정하려는 시도에서 출발하였다. 디지털 아트는 시대의 환경적 요건에 따라, 구성하는 요소들이 변화되고 있으며, 과거에는 없었던 새로운 개념이나 구성요소들이 디지털 아트에 수용되고, 현실화되고 있다. 보드리야르의 시뮬라시옹 특성에 의한 분석틀을 준거로 작품사례분석을 한 결과, 디지털아트가 단순히 현대소비사회가 품고 있는 문제적 상황들을 비판하는 데서 그치지 않고, 그것을 통해서 관람자들에게 폭로함으로써 우리가 삶의 주체로서 미디어가 만들어낸 이미지를 맹신하고 굴복하는 것이 아닌, 스스로가 삶의 주체가 되어야 한다는 자각을 끊임없이 일깨우고 있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다. 디지털 아트는 단순히 시각적으로 보이는 사물을 만드는 것이 아니라, 사물 너머의 사상과 정서적 이미지를 표현하는 활동이라는 점에서 시대를 조망할 수 있는 훌륭한 매체적 특성을 갖고 있다. 디지털아트는 예술과 기술이 결합한 예술로서 디지털 장치의 융합 속에서 그려진 뉴 미디어 속의 예술이며 이는 기술의 이성적 가치와 예술의 감성적 가치가 공존하는 새로운 형태의 표현 작업이다. 이성적 가치와 감성적 가치의 조화로 인해 서로 분리되어 있었던 기술과 예술의 요구가 동시적으로 지향하는 모습은 디지털아트가 다른 예술과 다른 가장 획기적인 발전인 것이다. 결국 디지털아트는 지금의 소비사회에 필요한 감성적 가치를 기술이라는 기반 속에서 즐거움이라는 이상을 실현하기 위한 노력인 것이다. This study analyzes the nature and position of modern digital art based on Baudrillard’s consumption theory, and clarifies its practices by examining how it represents modern consumption society. That is to sa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aspects of the way in which simulation, which provides the philosophical basis for Baudrillard’s consumption theory, is represented through digital art. In particular, the reason why this study has taken digital art as its subject is that characteristics of digital art suggests that it is a field in which the concept of simulacre is most positively accepted and considered. Digital art started from the attempt at re-establishing matters and forms of artwork construction, viz., individual elements of media and art from a novel perspective. Digital art undergoes changes of its components in accordance with environmental requirements of the times, and unprecedented novel concepts and components are accommodated and realized in digital art.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f artwork cases with reference to a framework in terms of the characteristics of Baudrillard’s simulation, we can tell that digital art does not simply criticize problematic situations contained in modern consumption society, but does disclose truths through them to incessantly arouse the awakening with which we should be the subjects of our own life for ourselves rather than blindly trusting and surrendering ourselves to images media create. Digital art has such brilliant media characteristics that it does not make things simply visually seen but it allows us to view the times in that it is an activity for expressing philosophies and images beyond things. Combined with technologies, digital art is expressional work in a novel form in which rational values of technologies and emotional values of art coexist contained within new media with incorporation of digital equipment. The simultaneous direction of the requirements of technologies and art, which have been separated from each other, owing to the harmony between the rational and emotional values is the most groundbreaking development different from other art types. Attempts at speaking for rational and emotional desires and harmoniously meeting these desires are challenges and groping for making dreams come true in the times of sensibility in which sensibility is considered important. After all, digital art is an effort to realize emotional values necessary for current consumption society as the ideal of pleasure on the basis of technologies.

      • KCI등재

        순수 조형 예술에 나타나는 공간 개념 확장 - 디지털 아트를 중심으로 -

        고경호,이현아 한국기초조형학회 2009 기초조형학연구 Vol.10 No.4

        This study illustrates on how the idea of space can be expanded when fine arts encounters digital media. To do so, how the paradigm of space has in fine arts has evolved will be examined.  Art history tells us that art and technology have reacted upon each other.  Today's fine art develops especially with encounters with digital media. Such trends can be witnessed in various forms, from everyday industrial objects, video cameras, large sized projectors to internet games.  The development of digital technology naturally takes a part in artistic techniques and results in a quantitative expansion of digital art. In the process of development work with media, the space concept extended in various ways. Therefore, it appears the changing of space concept in Visual Arts from actual space is based on the early sculptures to digital virtual space based on digital art. In order to examine the significance of the expansion of the concept of space that digital art has caused, this study will also review the digital attributes in fine arts by discussing changes in representational methods, communicational modes, and understanding of space in reality that digital art has created. This means that one way of communication by artists has changed to an interactive one through considering spatial context, where artwork is interpreted in accordance with the viewer's subjective opinion.   This study will also discuss how digital media - which is madfe up of everyday material - has developed in harmony with fine art in terms of the concept of space by reviewing actual art works. By analyzing the development of ways that reconstruct a space in digital art, it brings the possibility of interpretation of the aesthetic about the effective use of digital media. In conclusion, aesthetic interpretation of digital media uses in fine arts should be done by focusing on new space and the expansion of interpretation that has been introduced by a combination of existing media of fine arts and digital media. 본 연구는 순수 조형 예술이 디지털 매체와의 조우를 통해 어떻게 공간성을 확장하게 되는 지에 대해 다룬다. 이를 위해 우선은 조형예술에 나타나는 공간패러다임의 변천 과정을 알아본다. 미술사가 우리에게 보여주는 것은, 예술과 기술이 상호작용하며 발전해 왔다는 사실이다. 오늘날 예술의 발전은 특별히 디지털 매체와의 조우를 통해 진행되고 있는데, 일상적 산업 오브제에서 비디오 카메라, 대형 프로젝터와 인터넷 게임에 이르기까지 실로 다양한 유형을 보여주고 있다. 디지털 기술의 발달은 예술의 기법에 자연스럽게 자리하게 되어, 디지털 아트의 양적 팽창을 가져왔다. 이러한 매체 발달의 과정에서 작품이 갖는 공간성 역시 다양한 방식으로 확장되었다. 따라서 초기의 공간 점유 위주의 조각 작품에서 영상작품이나 디지털 가상공간에 이르기까지 조형예술에 나타나는 공간성의 형식과 의미 변화를 통해 공간 패러다임의 발전 과정을 되짚어 본다. 다음으로 본 논문은 디지털 아트가 가져오는 공간성 확장의 함의를 다루기 위해 조형예술에서의 디지털적 속성과 연결 지어 규명한다. 이는 디지털 매체를 통한 재현 방식, 소통 형식, 현실공간의 이해의 변화를 통해 이야기될 수 있다. 이는 작가의 일방성에서 작품이 놓인 공간적 맥락과 감상자의 해석적 지평과의 관계를 함의한다. 이어서 본고는 현실의 일상적 소재로서 디지털 매체가, 특별히 공간성의 측면에서, 순수 입체 조형 예술과 어떻게 조화를 이루고 발전되었는지를 구체적 사례를 통해 살핀다. 디지털 작품이 갖는 공간 재생 방식의 발전 과정을 분석함으로써 디지털 매체 활용의 미학적 해석 가능성을 열고, 결론적으로 재매개의 관점에서 매체의 복합적 활용이 가져오는 공간성 확장의 의미를 짚어본다. 디지털 매체 활용의 미학적 해석 가능성은 무엇보다도 순수 입체 조형 예술에 이용되어온 기존 매체와 디지털 매체의 결합이 촉발시키는 공간의 발생과 해석 지평의 확장에 주목하는 가운데 이루어져야 한다.

      • KCI등재

        “链上的艺术”: 元宇宙视域下NFT数字艺术发展与审美价值探索

        刘磊,金桂台 중국인문학회 2023 中國人文科學 Vol.- No.85

        디지털 기술의 발전과 함께 디지털 기술은 문화적 인식과 통합되어 문화 예술 분야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디지털 아트는 오늘날의 트렌디한 문화가 되어 문화와 예술 분야의 발전을 촉진하고 있다. 예술적 인식의 형태가 널리 받아들여지고 예술 창작에 디지털 아트의 적용이 점점 더 많아짐에 따라 이 논문은 디지털 아트를 연구 대상으로 삼아 디지털 아트에서의 디자인 사고와 그 미적 가치를 탐구하였다. NFT 디지털 아트의 현황과 속성에 대한 체계적인 분석을 통해 금융 및 사회 영역의 속성을 실제 사례와 함께 분석하여 중국 문화와 시장에서 출현하는 과정을 제시하였다. 미학적 사고 측면에서 NFT 디지털 아트와 미학의 연관성을 심도 있게 연구하고 디지털 시대 미학 개념의 재정의에 대해 과학적으로 탐구하여 미학의 미래 발전에 대한 새로운 통찰력을 제공하였다. 디지털 미디어 아트의 관점에서 본 논문은 역사적 복원, 가상 현실 및 증강 현실 경험에 대한 NFT 디지털 아트의 예술적 창조에 초점을 맞추고 역사적 메타 우주에서 그 가치를 초월하는 것을 조명하였다. 이론적 분류와 다단계 비교를 통해 기술에서 출발한 NFT 예술 작품의 가치 창출 회로 모델을 제시하고, 메타 유니버스 분야에서는 디지털 경매 플랫폼, 가상 예술 커뮤니티, 인터랙티브 예술 세계의 중앙 집중식, 탈중앙화, 탈중앙화 예술품 가치 협상 방식을 심도 있게 살펴보았다. 또한 기술적, 경제적 가치 거품, 사회적, 사용 가치 강조, 미적, 맥락적 가치 안정화 등 NFT 예술 작품이 제시하는 진화적 추세를 종합적으로 탐구하였다. The integration of digital technology with cultural consciousness has led to its widespread use in the field of culture and art. Digital art has become a popular cultural phenomenon, promoting the development of this field. As digital art gains wider acceptance as a form of artistic expression, it is increasingly used in creative works. This paper focuses on digital art as a research subject to explore its design thinking and aesthetic value. This text presents a systematic analysis of the current situation and attributes of NFT digital art, including its financial and social domain attributes. Practical cases are used to illustrate the emergence of NFT digital art in Chinese culture and market. The relationship between NFT digital art and aesthetics is thoroughly examined in terms of aesthetic thinking. The study also delves into the redefinition of aesthetics in the digital era, offering new perspectives on its future development. This paper focuses on the artistic creation of NFT digital art in historical restoration, virtual reality, and augmented reality experiences. It reveals the value transcendence of NFT digital art in the historical meta-universe. The paper forms a value-generating circuit model of NFT artwork starting from technology through theoretical sorting and multi-level comparison. The meta-universe field is the subject of study, with a focus on the centralized, decentralized, and de-centralized artwork value negotiation modes of digital auction platforms, virtual art communities, and interactive art worlds. The text comprehensively discusses the evolutionary trends of technical and economic value bubbles, social and usage value highlighting, and aesthetic and contextual value stabilization presented by NFT artworks.

      • 디지털 게임 아트의 특성 연구

        백수희 ( Su Hee Baek ) 한국영상미디어협회 2009 예술과 미디어 Vol.8 No.2

        현대예술에서 하나의 주류를 형성하고 있는 디지털 아트는 다양한 테크놀로지의 융합과 더불어 회화, 조 각, 설치, 그리고 퍼포먼스 등의 모든 예술의 장르를 통합하는 것과 동시에 예술의 표현 방식을 점점 더 다 양화시키고 있다. 최근 많은 디지털 아티스트들은 그 들의 작품에 유희적 측면을 강조한 놀이적 요소와 이 미 대중문화에 깊숙이 침투한 디지털 게임의 요소를 결합시켜 대중들에게 보다 가까이 접근하고자 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이러한 디지털 아트의 변화와 흐름 속에서 본 논 문은 디지털 아티스트들이 그들의 작품에서 게임의 형식 또는 구조를 차용한 게임 형식의 예술 작품의 특징 분석에 초점을 맞추었다. 따라서 본 논문은 게임의 차용에 의해 변형된 디지털 아트의 새로운 예술 표현 형식을``디지털 게임 아트(Digital game art)``라 규정하고 이 새로운 형식에 대한 구체적인 정의와 특성을 연구한 것이다. Digital art is a mainstream category in contemporary art as it utilizes various technologies to integrate all artistic genres such as fine art, sculpture, installation and performance. In so doing, digital art diversifies the methods of artistic expression. It is a recent trend among many digital artists to reach out to the masses through playfully enhancing the aspect of enjoyment with the elements of digital games. Given these changes and trends in digital art, this thesis pays particular attention to the characteristics of digital art works which are appropriated digital game form and digital game structure. ``Digital game art`` is a new artistic expression which utilizes the medium of digital games. To better understand ``digital game art``, I will examine the characteristics in digital game art.

      • KCI등재

        대중의 문화예술 사회적 메시지 속성과 디지털아트 소비의도 간의 관계 연구

        홍은정 한국디지털디자인학회 2014 디지털디자인학연구 Vol.14 No.2

        본 연구는 대중이 문화예술을 소비하는 가치속성적 측면에서, 문화예술에 대한 사회적 메시지가 얼마나 설득적인 영향력을 가지는가에 대해서 실증적으로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서 문화예술에 관한 사회적 메시지의 강도와 감성적 가치, 관여도, 사회적 증거에 따라 디지털 아트 소비의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그리고 이 과정에서 사회적 메시지를 통해 형성된 디지털 아트에 대한 이미지가 어떠한 매개효과를 지니는지 분석하였다. 그 결과 사회적 증거 요인이 제일 크게 영향을 미친다는 것은 일종의 네트워크 효과로서 타인의 문화예술에 대한 관심 및 인지도, 호의성, 실질적 향유현황이 높다고 지각할수록 디지털 아트에 대한 노출도 증가하여 디지털 아트에 대한 이미지도 긍정적으로 인식하며 디지털아트 이미지가 디지털 아트 소비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를 종합해볼 때, 문화예술 전반에 관한 사회적 메시지는 호의적인 디지털 아트 이미지라는 매개 변인을 통하여 실질적 소비의도에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디지털 아트 장르에 대한 활성화를 위해서는 먼저 다양한 홍보를 통하여 디지털 아트에 대한 호의적 이미지를 대중에게 어필하는 것이 중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This study has empirically tested how persuasive impact social messages have on culture and art on the side of value properties on which people consume culture and art. For this purpose, it has analyzed what influence strengths, emotional values, involvement, social evidence of social messages about culture and art have on people’s intention to consume digital art, and what mediating effects images of digital art formed in terms of social messages in this course have. The results drawn from this study based on such research methods and the procedure of analysi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The greatest influence of the factor of social evidence is a kind of network effect. This is a result that suggests that the more one perceives others’interest in, recognition of, preference of, and substantial enjoyment of culture and art as high, the more increased one’s exposure to digital art is and the more positive one’s recognition of digital art images, and digital art images would have influence on people’s intention to consume digital art in accordance with social messages about culture and art, it turned out that digital art images had significant influence on people’s intention to consume digital art. Considering the research results so far in general terms, we can tell that social messages about culture and art at large have influence on people’s substantial intention to consumption via the mediating variable, favorable digital art images. Thus, in order to make the digital art genre vivid, it is first of all believed to be important to make favorable images of digital art appeal to people in terms of various public relations.

      • KCI등재
      • KCI등재

        포스트 디지털 매체 시대의 예술에 관하여

        심혜련 ( Hea Ryun Shim ) 한국미학예술학회 2015 美學·藝術學硏究 Vol.43 No.-

        이 논문의 주제는 포스트 디지털 매체 시대의 예술에 관한 것이다. 포스트디지털 매체 시대는 디지털 매체 이후의 시대를 의미한다. 이는 디지털 매체 시대를 벗어났다는 의미에서의 포스트가 아니라, 디지털 매체를 중심으로 이전과는 또 다른 매체적 상황이 전개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므로 나는 이 논문에서 먼저 지금의 매체적 상황을 포스트 디지털 매체라고 규정하는 이유와 포스트 디지털 매체의 특징을 설명한다. 그 다음 이러한 매체적 상황에서 디지털 매체예술과 퍼포먼스를 대표적인 예술이라고 규정하고, 이 둘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설명한다. 디지털 매체예술과 퍼포먼스는 작품 없는 예술이라는 공통점과 관객과의 상호작용성이라는 공통점을 갖는다. 특히 이 두 예술형식은 작품 없는 예술이라는 특징을 중심으로 물질적인 작품 개념을 부정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디지털 매체예술은 반복성을 중심으로, 반면 퍼포먼스는 일회성을 중심으로 작품의 물질성을 부정한다. 이것이 바로 이 두 예술형식이 갖는 차이점이다. 상호작용성도 마찬가지다. 디지털 매체예술은 매체를 중심으로 매체화된 지각을 강조하는 반면, 퍼포먼스는 매체를 배제하는 비매체적 지각을 강조한다. 이 논문에서는 바로 이러한 공통점과 차이점을 중심으로 디지털 매체예술과 퍼포먼스를 설명하고, 이 두 예술형식이 만날 수 있는 지점과 앞으로의 전망에 대해 살펴본다. This study is about art in the post-digital media era. The post-digital media era is the period after digital media. This means that another medium situation different from before is developing focusing on digital media, not getting out of the digital media era. Therefore, this study explains the reason why the medium situation of the present time is defined as post-digital media and the characteristics of post-digital media. Then, this study defines digital media art and performance as representative art in this medium situation and explains common and different points between these two. Both digital media art and performance are called art with no work and have interactivity with the audience. In particular, these two forms of art deny concepts of material works, based on the characteristic as art with no work. Nevertheless, digital media art and performance deny materiality focusing on repeatability and onceness, respectively. This is the difference between these two forms of art. Interactivity is the same. Digital media art emphasizes medialized perception focusing on media, while performance emphasizes non-medialized perception excluding media. Based on these common and different points, this study explains digital media art and performance and considers the point that these two forms of art could meet and the future prospects.

      • KCI등재

        통섭의 관점에서 본 디지털 매체예술의 의미와 특성 - 아방가르드 예술과 디지털 매체예술과의 관계를 중심으로 -

        진경아 한국기초조형학회 2015 기초조형학연구 Vol.16 No.5

        The purpose of this study lies in finding the direction digital media art should pursue moving forward by studying and analyzing the meanings and characteristics of digital media art in its relation to the avant-garde art in the consilience perspective. The study subjects were digital media art works for various purposes, and the study analyzed the subjects in comparison with the consilience examples that appear in the avant-garde art works. The study process first looked at the media and their formation processes in the theoretical background. Next, the examples of the avant-garde and digital media art were analyzed in the consilience concept, and the correlation between the two fields was studied. Th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the avant-garde art showed the characteristics of 1) consilience of humanity studies and visual art, 2) consilience of science technology and sculpture art, 3) consilience of art and anti-art, and 4) consilience among different art genres due to complex art. Digital media art showed the characteristics of 1) consilience of the art work and audience, 2) consilience of pure art and commercial art, 3) consilience of multidisciplinary studies, and 4) consilience of digital technology. In order to draw out the relevance between the two fields to an ideal level, this study utilized the concept of “consilience” as the objective standard of analysis, and conducted comparison analysis of representative cases in which the mentality was put into practice. The study result revealed that the avant-garde spirit of art has joined various spirits of experimentations of digital media art in its succession, and its characteristics were settled as 1) consilience of concept, 2) consilience of knowledge, 3) consilience of form. Thus, by taking down the boundary between the two fields of genre suggested for each of the period, which has been in dichotomous opposition up to this point, in the dimensions of concept, knowledge and form, and including them into a single large stem, it was evident that the correct meaning of consilience demanded by the current period is being sought. In particular, digital media art was seen to allow for access and communication of multidisciplinary studies including the fields of humanities, social studies, science, and the arts among others at an equal level, thus carrying out experiments of meaning and concept of consilience through a more extensive and in-depth method, while taking on challenges on the possibilities of new consilience and the future with digital technology including interaction and virtuality. 본 연구의 목적은 디지털 매체예술의 의미와 특징을 아방가르드 예술과 관련지어 통섭의 관점에서 연구ž분석함으로써 앞으로 디지털 매체예술이 나아가야 할 방향을 모색하는데 있다. 연구대상은 다양한 목적의 디지털 매체예술 작품을 통섭의 관점으로 분석하되 아방가르드 예술작품에 나타난 통섭의 사례와 비교ž분석하였다. 연구과정은 먼저, 이론적 배경으로 매체와 매체예술이 형성되는 과정에 대하여 살펴보았고, 다음으로 아방가르드의 예술작품과 디지털 매체예술의 사례를 통섭의 개념을 중심으로 분석한 뒤 두 분야 간 관련성을 살펴보았다. 분석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아방가르드예술은 1)인문학과 시각예술의 통섭, 2)과학기술과 조형예술의 통섭, 3)예술과 반예술의 통섭, 4)복합예술로 인한 예술장르 간 통섭의 특징을 나타내었다. 디지털 매체예술은 1)작품과 관객의 통섭, 2)순수예술과 상업예술의 통섭, 3)다학제, 학문의 통섭, 4)디지털 기술 통섭의 특징을 나타내었다. 이상으로 두 분야 간 관련성을 끌어내기 위해 본 논문은 객관적분석 틀로 ‘통섭’의 개념을 사용하였고 그 정신이 실천된 대표적 사례들을 비교ž분석하였다. 연구의 결과 아방가르드 예술정신이 디지털 매체예술의 다양한 실험정신과 맞닿아 계승되고 있는 점을 알 수 있었는데, 그 특성은 1)개념의 통섭, 2) 지식의 통섭, 3)형식의 통섭으로 정리되었다. 이로써 시대별로 제시된 두 개의 작품군은 개념과 지식, 형식의 차원에서 그간 이분법적으로 대립되었던 영역 간 경계를 허물어 하나의 큰 줄기로 포섭함으로써 시대가 요구하는 올바른 통섭의 의미를 찾아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디지털 매체예술은 인문ž사회ž과학ž예술 등 다학제 학문이 대등한 위치에서 접속하고 소통함으로써 보다 폭넓고 심층적인 방법으로 통섭의 의미와 개념을 실험하고 있고, 동시에 상호작용과 가상성등 디지털 기술력을 바탕으로 새로운 통섭의 가능성과 미래에 도전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공연예술 콘텐츠의 온라인 유통 방안에 대한 연구

        박상순 한국연극교육학회 2022 연극교육연구 Vol.41 No.-

        Technological progress in the era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has an overall effect on the art ecosystem. In particular, the digital media platform is emerging as an important topic in the mediation area in the process of production and consumption of art after COVID-19. The production, distribution, and consumption of art content riding on online digital technology is gradually expanding through the platform. It is still in its infancy, but it is gradually expanding rapidly. This virtuous cycle structure has a great impact on the performing arts world as well. The attempts of new online-based performance styles and changes in delivery methods are also a fresh stimulus for the performing arts world. Due to the COVID-19 outbreak, the video of a performance and the use of a digital media platform will also change the role of the local cultural foundation. Local cultural foundations implemented culture and arts policies for the enjoyment of local people's art and the activities of artists, mainly offline. Today's digital media platform is a new challenge. This study is a study on various attempts and directions to prepare the online content foundation of local cultural foundations in the environment of non-face-to-face performing arts. As a first step, we examine the current state of damage in the performing arts sector due to COVID-19 in terms of performance volume and region. And we look at the response policies of art-related public institutions. In the second stage, we analyze the attempts of a performance imaged in a non-face-to-face environment. It is an analysis of the possibility of a video performance where digital technology is applied and the performance meets the audience in a non-face-to-face manner. As a third step, we examine how performing arts operate on digital media platforms. First, understand the increasing use of digital platforms in non-face-to-face personal spaces after COVID-19. And the change of communication mode and dependence on digital platform are analyzed. We look at the expansion trend of the distribution of performances based on digital platforms. We compare OTT platforms of domestic and foreign large OTT platforms and public culture and arts related institutions. As a fourth step, we examine the online infrastructure establishment policy of the regional cultural foundation. Using eight regional cultural foundations as data materials, the analysis is focused on operating channels, access trends, and major business contents. And it analyzes the online content expansion and digital transformation policies and implementation projects of the regional cultural foundations that are currently being implemented. The regional cultural foundation is preparing an interactive ecosystem for art production and art consumption through a digital media platform, and is entering the stage of preparing the environment for the acceptance and development of new art forms. It provides opportunities for challenging experiments to art producers and provides a platform for art consumers to participate in active art activities without time and space restrictions. In early 2020, the activities of the local cultural foundation were contracted and temporarily transformed due to COVID-19. New changes in the production of works by artists and the activities of local residents in the theater industry have been an opportunity to rethink the role of the local cultural foundation. Now, the use of digital media platforms has become a necessity rather than an option. Regional cultural foundations need to establish online-based policies in consideration of the purpose, nature, and direction of their respective establishments, and should extensively review methods such as expansion from existing platforms and establishment of integrated platforms. Specialized content is required while performing its own role, and the philosophical basis for digitalization must be considered. First, in the production of video content, ...

      • KCI등재

        디지털사회혁신을 위한 미술관 운영과 역할 확장

        구보경(Koo, Bo Kyung) 한국미술교육학회 2021 美術敎育論叢 Vol.35 No.4

        디지털사회혁신(DSI)은 시민이 직접 디지털 기술을 활용하여 일상에서 발생하는 사회문제를 해결하는 진보적이고 혁신적 활동을 지칭한다. 본 연구는 디지털 기반 사회혁신 플랫폼으로서 미술관의 역할과 가능성을 살펴보는데 목적이 있다. 사회혁신 개념을 바탕으로 디지털기반 미술관 운영방안을 탐색하였다. 미술관에서 디지털 기술은 관람객의 접근성과 참여를 확대시켰다. 디지털 기술은 미술관이 사회혁신 역할을 수행하는데 유용한 도구이자 사회적 플랫폼으로서의 기능을 촉진시킨다. 디지털사회혁신을 위해 미술관은 조직 내부의 혁신이 우선시 되어야 한다. 미술관의 조직문화 및 사회혁신 역할에 대한 인식의 변화도 필요하다. 조직구성원과 시민들이 협력하여 미술관이라는 플랫폼에서 사회문제를 함께 해결하는 과정에서 공동체의 공감대가 형성된다. 미술관은 디지털 연대를 구성하고 소통하는 장소이자 새로운 가치를 구현하는 공공의 장소가 된다. 미술관 관람객, 참여자, 지역사회, 타 기관과의 협업을 통해 미술관 콘텐츠와 정보를 교류하고 가치를 공유하며 사회통합과 다양성을 추진하는 사회혁신 주체이자 플랫폼으로서 미술관의 역할은 지속되어야 할 것이다. Digital social innovation(DSI)refers to progressive and innovative activities in which citizens directly utilize digital technologies to solve social problems that occur in their daily l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ole and possibility of art museums as a digital-based social innovation platform. Based on the concept of social innovation, a digital-based plan for art museum operation was explored. In art museums, digital technologies expanded visitors accessibility and participation. Digital technologies promote the function of art museums as a useful tool and social platform for playing a role in social innovation. For digital social innovation, the innovation within the organization should be prioritized in art museums. It is also necessary to change the perception of the art museum s organizational culture and social innovation role. A community consensus is formed in the process of collaborating with members of the organization and citizens to solve social problems together on a platform called the art museum. The art museum becomes a place to organize and communicate digital solidarity and a public place to realize new values. The art museum should continue to play a role as a social innovation entity and platform that exchanges information, shares values, and promotes social integration and diversity through collaboration with art museum visitors, participants, local communities, and other organizatio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