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디지털 상호작용성의 합리성: 형이상학적 구조 분석을 중점으로

        신양섭 ( Shin Yang Seob ) 한양대학교 현대영화연구소 2021 현대영화연구 Vol.17 No.1

        디지털 매체를 통해 이루어지는 각종 커뮤니케이션에서 합리성의 문화적 가치는 여전히 과소평가되고 있다. 탈근대를 강조하는 오늘날의 ‘포스트모던’ 시류 속에서 아이러니하게도 디지털 상호작용성을 통하여 비로소 가능한 논리적 소통 또한 충분히 연구되지 못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이에 대한 비판적 입장으로부터 출발한다. 디지털 상호작용성 자체에 대한 미디어적 구조 분석을 본격적으로 시도한 사람은 매체학자 마노비치이다. 그는 미디어 사태에 대해 사용자가 ‘선택’의 방식으로 행하는 계열체적 환원, 그리고 이에 대해 즉각적으로 이루어지는 통합체적 변형의 이중 구조로부터 디지털 루프 알고리즘의 보편적 재귀성을 개념적으로 도출했다. 그러나 마노비치와 로잘린드 크라우스간의 포스트 미디어 논쟁이 보여주듯 결국 이들의 디지털 상호작용성에 대한 이해는 매체론적 단계를 넘어가지 못하고 있다. 디지털 상호작용성의 매체성을 존재론적으로 특정화하는 것이 아니라 그 논리적 알고리즘을 통해 규명해가는 바로 그 문제 해결적 과정을 개념화해야 하는 것이다. 이에 대해 서양 합리주의 전통을 진정한 합리성 중심의 방식으로 해체해가는 니콜라스 레셔의 가치론은 시사하는 바가 많다. ‘신의 입장에서 생각해 볼 수 있는 가장 완벽한 세계’라는 라이프니츠의 양상론적 사고 방식으로부터 레셔는 현대의 타자적 논리에 상응하는 메타 윤리적 실천 철학을 선보인다. 아리스토텔레스의 공동체를 위한 도덕 중심적 ‘선’ 이념, 최대한의 많은 사람들에게 최대한의 행복을 마련해보고자 부심하는 공리주의 그리고 선험적 차원에서 기존의 존재론과 차별되는 근대적 자유 이념과 짝을 이루는 칸트의 윤리 이념, 이 세 방향의 실천 철학은 레셔의 가치론을 경유해서 디지털 상호작용성의 실천적 측면들에 대해 좀 더 분명한 이론적 맥락을 부여해준다. 이러한 문제의식 속에서 본 연구는 헨리 젠킨스의 디지털 환경적 스토리텔링, 제임스 폴 지의 디지털 기호학, 이언 보고스트의 디지털 주체성 그리고 미구엘 시카르트의 디지털 주체성을 조명해본다. The cultural value of rationality tends to be underestimated in various digital-aided communications. In today’s “post-modern” Zeitgeist, which emphasizes the deconstruction of the modernity, ironically, logical communications, specific for the digitalized interaction, have not been fully studied. This essay begins with a critical stance on the topic. It is media scholar Lev Manovich who has attempted to analyze the media structure of the digital interaction itself. He conceptually derived the notion of universal recursivity based on the digital loop algorithm from the dual structure of paradigmatic option for the user and the immediately ensuing syntagmatic transformation. As shown in the post-media debate between Manovich and Rosalind Krauss, however, the understanding of digital interaction does not seem to go beyond the dimension of a media study. It is necessary to conceptualize the very heuristic process which is not to illuminate through an ontological specification of the mediality of digital interaction but through its logical algorithms. In this respect, Nicholas Rescher’s axiology, deconstructing the Western rationalist tradition in a true rationality-oriented manner, has many implications. From Leibniz’s modal-logic Weltanschauung of “the most perfect world, which is made possible from the standpoint of God,” Rescher presents a meta-ethical practice philosophy that can be ‘coherent’ with the contemporary logics of the other: 1. Aristotle’s communal moral-oriented idea of the ‘good’, 2. utilitarianism which seeks to provide the greatest happiness for the greatest number of people, and 3. Kant’s consciousness of the modern ethic, which transcendentally differs from the classical consequentialism. The three-way practical philosphies endow the agenda of the practical aspects of digital interactivity with a specific theoretical context via the axiology of Rescher. In this constellation of the problematic, this study tries to shed light on Henry Jenkins’s digital environmental storytelling, James Paul Gee’s digital semiotics, Ian Bogost’s digital subjectivity and Miguel Sicart’s digital performance.

      • KCI우수등재

        디지털 전환(Digital Transformation)에 의한 지능정보화 사회의 거버넌스 연구

        손형섭(Son, Hyeung-Seob) 한국공법학회 2021 공법연구 Vol.49 No.3

        코로나로 가속화된 디지털 트랜스포테이션(Digital Transformation)에 의해 지식정보사회의 거버넌스도 변화되어야 한다. 디지털 전환은 공적영역에서 정부와 국회를 중심으로 변화를 유도하고, 사적영역에서는 산업구조의 변화와 비즈니스의 변화를 견인하고 있다. 대한민국에서 공적영역과 사적영역에서 디지털 전환에 따른 지식정보화 사회의 혁신과 변화에 적합한 효율적인 새로운 거버넌스의 체계를 논할 필요가 있다. 디지털 전환(Digital Transformation)의 네가지 기술적 힘으로 cloud computing, big data, AI 그리고 사물인터넷을 들고 있다. 이러한 기술에 따라 아마존, 구글, 넷플릭스 등의 기업이 크게 활약하고 있다. 각국에서는 이러한 공사 영역에서 디지털 전환(Digital Transformation)을 가속화하고 있다. 국내에서는 공공영역에서 디지털 전환(Digital Transformation)에 따라 전자정부의 행정서비스, 청와대 국민청원제도, 국회의 전자청원제도와 입법 DB, 그리고 법원의 판결문에 대한 DB공개 등이 국민 소통과 정책 현실화에 기여하고 있다. 이러한 시스템은 보텀업 방식으로 국민의 의사를 수렴하는 기능을 한다. 대통령과 각 기관장은 각 분야마다 디지털을 활용한 정책 아젠다를 톱다운 방식의 거버넌스를 효과적으로 실시할 수 있다. 나아가 보텀업과 톱다운 방식으로 제기된 아젠다는 국회나 각 기관의 의사결정기관에서 모두 모아 빅데이터 분석과 AI를 통한 결과를 가지고, 민의로 최종적 조율을 거쳐 결정하는 거버넌스를 만들어야 한다. 합리적인 거버넌스는 불필요한 규제를 배제하고 데이터에 근거한 합리적인 법체계가 필요하다. 사적영역에서 기업의 경영진들(C-suite)은 디지털 혁신 의제를 이끄는 원동력이 되어야 하고, 디지털을 활용하여 재구성된 비즈니스 모델에 도전하는 자세를 가져야 한다. 포스트 코로나에는 디지털 전환은 더욱 가속되어 1차, 2차 산업이 각기 스마트 팜, 스마트 팩토리로 전환되고, 3차 산업 전체가 디지털로 전환될 것이다. 따라서 이 논문에서는 ①기업과 정부는 의사결정의 절차와 방식에서 다양한 아젠다를 각각의 디지털 타워에 모아서 AI를 통해 분석하고, ② 그러한 예측 · 추천 등의 결과를 의사결정권자와 해당 분야 전문가들이 모여 결정하는 디지털 · 인공지능 거버넌스 체계를 구상했다. 종래 헌법에 따른 민주주의 거버넌스, 법치주의 거버넌스에 더하여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디지털 · AI거버넌스의 활용을 제안한 것이다. 나아가 기술과 입법적 검토를 통하여 정부조직과 민간의 기업 등의 의사절차와 산업구조의 선진화 및 합리화가 도모될 수 있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 정보보안과 개인정보 보호의 원칙과 구현도 필수적으로 수반되어야 한다. Intelligent information society should accelerate digital transformation and the governance should induces change. Digital transformation induces change in the public domain, centering on the government and the National Assembly, and in the private domain, it is driving changes of the industrial structure and business. Now, in South Korea, it is necessary to discuss an efficient governance system suitable for innovation and change in intelligent information society by the digital transformation. In Korea, new digital transformations such as e-government administrative services, the Blue House National Petition System, the National Assembly’s e-petition system and legislative database, and the disclosure of the database of judicial decisions will contribute to public communication and policy realization. Such a system functions as a bottom-up method to collect public opinion. Furthermore, the results of AI and big data analysis, led by the president and each agency head, are participated by experts, so that top-down governance can be effective. All of these policies must be gathered in the National Assembly to create new governance through final coordination with a private will. Reasonable governance eliminates unnecessary regulations and requires a reasonable legal system based on data. In the private realm, C-suite should be the driving force behind the digital transformation agenda, and should take an attitude to challenge the business model restructured using digital, rather than sticking to the company"s previous success experiences. Furthermore, the development of cloud computing and user protection are essential in digital transformation, and related act has already been implemented. Due to the post-covid 19 situation, digital transformation will accelerate further, so that the primary and secondary industries will be converted to smart farms and smart factories, respectively, and the entire tertiary industry will be converted to digital. Therefore, the government should promote governance appropriate to these changes. In the future governance of intelligent information society, efforts should be made to expand public goods, efficiently distribute resources, and effectively resolve disputes and conflicts through using digital technologies. Even in this process, it is necessary to continue legal review to enable the realization of the digital transformation by reviewing the domestic and international aspects of digital transformation that enable the conventional constitutional state system and human rights protection system to function better. Therefore, this paper considers new governance system that ① companies and governments should collect various agendas in the process and method of decision-making in each digital tower and analyze them through AI, ② Decision makers and experts make key policy decisions based on AI’s predictions and recommendations. This research proposes the use of data-based digital governance and artificial intelligence governance for democratic governance and legal governance according to the constitution.

      • KCI등재후보

        미국의 디지털 범죄와 사생활 보호

        金炯盛(Kim Hyung-Sung),金學信(Kim Hak-Shin) 미국헌법학회 2008 美國憲法硏究 Vol.19 No.1

        현재 인터넷이 인간처럼 스스로 지능을 갖는다는 웹 3.0의 시대를 바라보면서 인터넷을 통한 디지털 기술의 환경은 지속적이며 급속도로 발전하고 있다. 이러한 디지털 기술의 발달로 인하여 여러 분야에 순기능도 있지만, 이에 발맞추어 필연적으로 역기능도 급속하게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며 컴퓨터를 통한 새로운 범죄 방법, 기술들은 언제, 어디서나 쉽게 인터넷의 접근을 통하여 범죄자에게 악용되고 있다. 특히 최근에는 경제활동, 행정서류 등 법적 문서도 디지털화 되고 있다. 개인, 기업, 정부기관 등 모든 영역에서 생산되는 자료는 기본적으로 컴퓨터 작업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기존의 자료도 디지털 자료로 변환되고 있다. 그러나 아직까지 우리의 현실은 디지털 범죄에 관한 구체적인 법률이 마련되어 있지 않아 많은 법적 다툼이 제기될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다. 이러한 법적 미비가 결국 기본권 침해, 특히 사생활 침해 문제로 이어지지만, 수사를 하는 수사기관이나 수사를 받는 당사자도 이에 대하여 전혀 인식을 하고 있지 못하고 있는 것이 현재의 실정이다. 이 논문은 미국의 수사기관에 의한 디지털 범죄 수사시에 헌법상 보장된 기본권 침해로 특히 수사시관이 디지털 증거를 수집함에 있어 야기되는 타인의 사생활 공개ㆍ침해 문제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현재 우리나라에서는 수사기관이 디지털 범죄와 관련하여 개인의 기본권 침해 문제에 관하여 논의 및 관련된 사례가 없는 실정이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미국은 기존 전통적인 범죄사례와 판례에서 이를 도출하여 디지털 범죄에 적용하였다. 따라서 이에 대한 구체적인 검토가 앞으로 우리나라의 입법방향을 제시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Throughout the 20th and 21st centuries, Internet is one of the greatest inventions of mankind. Internet web environments have been advanced from the stage of collecting, presenting, and transferring digital information, Web 1.0, to the current generation of Web 2.0, enabling users to produce and share information more easily. The environments of digital technology through Internet will be enhanced and developed further to the extent of advanced Web 3.0 with the main function of self-intelligence. Although digital development has positive functions in a wide variety of the fields, some mal-functions of digital development have inevitably emerged. Easy access to and frequent use of computers by criminals have been accelerating new types of crime methods and techniques in the modern society, because of mis-use or abuse of computer itself and flooding information on the Internet. In particular, legal and administration documents in enterprise and government sectors are recently digitalized as well. Any data produced by individuals, corporations, and government branches have basically been produced and stored on computer. Almost all of historical information and data have also been digitalized. Studies the conflicts derived from violations of granted constitutional rights for individual during the collection of digital evidence by law enforcement such as violating individual privacy. Currently, there has not been any argument or case that indicates violation of individual privacy relative to the investigation of digital crime by law enforcement in Korea. To solve this kind of conflicts, American traditional crime cases and precedents on digital crime were applied. So, this chapter scrutinizes possible directions of legislation in Korea on this specific subject. Either digital crimes or cases related to the evidence have not taken place that many in Korea up to now. However, there was one case related to digital evidence at Seoul District Court in April 2007. It is obvious that there will be gradual increase in the number of such cases. Thus, researches and embodied laws must be established for law enforcement to study a variety of related cases relative to the constitutional rights for individuals, which will occur while investigating digital crime. The following research and legislation of digital crime by law enforcement will surely contribute to resulting in the citizens’ less violation and the security of maximum individual privacy.

      • KCI등재

        리더십과 동태적 역량이 디지털 전환을 매개로 기업성과에 미치는 영향 - 항공우주 및 방위산업을 중심으로 -

        김진석,김기웅,박성식 한국항공운항학회 2023 한국항공운항학회지 Vol.31 No.3

        In the recent context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there is growing interest in digital transformation and smart factory as a focal point. But, the Aerospace and Defense (A&D) sector has seen limited research on digital transformation, primarily concentrating on digitally-driven areas. The study validates hypotheses pertaining to the factors that facilitate successful digital transformation within the A&D sector and the influence of digital leadership and dynamic capabilities, employing statistical tools like SPSS and AMOS. The comprehensive analysis reveals that, similar to manufacturing industries, digital leadership in A&D companies exerts an influence on successful digital transformation through dynamic capabilities. Furthermore, digital transformation within the A&D sector has a positive impact on firm performance. This paper offers empirical insights into digital transformation within the A&D sector, shedding light on how successful digital transformation can be achieved within the domestic A&D industry.

      • KCI등재

        디지털 기업가정신의 구성요인에 관한 탐색적 연구

        변충규,박종복 한국벤처창업학회 2022 벤처창업연구 Vol.17 No.2

        This exploratory study was conducted to derive the components of digital entrepreneurship by targeting the experts related to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Through the review of previous studies and Delphi analysis, the major components of digital entrepreneurship were derived into the ‘digital entrepreneurial orientation area’ and the ‘digital technology competency area’. The components of digital entrepreneurship are innovativeness, proactiveness, risk-taking, desire for achievement, ability to identify digital business opportunities, digital technology utilization capability, digital operation process establishment capability, digital technology development capability, digital technology acceptance, information exchange, and cooperation network establishment, digital-based customer acquisition and management was presented. The importance and execution of success factors were measured through IPA analysis. The first quadrant(keep up the good work) includes proactiveness, ability to identify digital business opportunities, and ability to establish digital business processes. The second quadrant(concentrate here) includes innovativeness, digital technology development capability, and digital technology acceptance. The third quadrant(low priority) includes risk-taking, desire for achievement, digital technology utilization capacity, and digital-based customer acquisition and management. The fourth quadrant(possible overkill) includes information exchange and cooperation network establishment.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presents the concept and components of digital entrepreneurship for digital entrepreneurs that can be applied in Korea. 본 연구에서는 디지털 기업가정신의 구성요인을 도출하기 위해 정보통신기술(ICT) 창업 관련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탐색적 연구를 하였다. 선행연구 검토 및 델파이(Delphi) 분석을 통해 디지털 기업가정신의 구성요인 대영역은‘디지털 기업가적 지향성 영역’과‘디지털 기술 역량 영역’으로 도출되었다. 디지털 기업가정신의 구성요인은 혁신성, 진취성, 위험감수성, 성취욕구, 디지털 사업기회 식별능력, 디지털 기술 활용역량, 디지털 운영 프로세스 구축능력, 디지털 기술개발 역량, 디지털 기술 수용성, 정보교환 및 협력 네트워크 구축, 디지털 기반의 고객확보 및 관리 등 11개의 항목을 도출하였다. 주요 속성의 상대적인 중요도를 파악하기 위해 IPA 분석을 하였다. 제 1사분면(우위 유지 영역)에는 진취성, 디지털 사업기회 식별능력, 디지털 운영 프로세스 구축능력 등이 위치하였다. 제 2사분면(중점 개선 영역)에는 혁신성, 디지털 기술개발 역량, 디지털 기술 수용성 등이 위치하였다. 제 3사분면(저우선 순위)에는 위험감수성, 성취욕구, 디지털 기술 활용역량, 디지털 기반의 고객 확보 및 관리 등이 위치하였다. 제 4사분면(현상유지 영역)에는 정보교환 및 협력 네트워크 구축이 위치하였다. 본 연구는 국내에서 적용할 수 있는 디지털 기업가와 예비 디지털 기업가를 위한 디지털 기업가정신의 개념 및 구성요인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 KCI등재후보

        디지털은 우리에게 무엇이 되는가? : 디지털 세계의 마음들 Minds in the digital world

        윤완철 한국기독교교육정보학회 2004 기독교교육정보 Vol.8 No.-

        As it is widely recognized that digital technology is the new foundation upon which future culture is about to be built, many futurologists have conjectured, either optimistically or pessimistically, how 'being digital' may affect human life, and possibly even mind. The influences of digital technology as we witness today are so diverse that people apt to rely on superficial and incoherent observations to foretell the plausible outcomes of the ongoing changes. Such improvisation is frequently subject to a tunnel vision or undue extension of short transient trends, only augmenting our sensed impressions. In this paper, the underlying current of digital civilization at the scientific and engineering depth is examined to identify the elements and motivations of technical thrust, since it may provide a better insight on the long-term direction of digital civilization. Computer science, human-computer interaction, network and virtual technologies, artificial intelligence, cognitive psychology, cognitive science and engineering are reviewed to reflect how those disciplines participated in forming the digital world. Two most typical and important types of large-scale systems, that are dynamic plant systems and enterprise systems, are compared in terms of their changes in the fashion of human-system interaction since mid-20th century. It is observed that the systems, as being digitalized, are logically integrated so that human decision-making tasks are growingly supported by computer and automation technology. The most conspicuous aspects of this supported interaction are the logical certainty of operations, which are more often given in declarative forms now, and a feel of control, or being in command, in the integrated level It is then argued that the certainty of control is a necessity in the teleological relationship between the human and the world but the feel of control, if used to illusively become an autonomous master of universe, may hamper the relationship between God and the human, or entire civilization. A dialectic task-artifact cycle is observed in the transformation of both types of system, which works in a gravity field of seeking prosperity and power, raising doubt regarding the human's true command of own civilization. Digital society is heavily networked and information abundant, where individuals are entirely responsible for the selection and adoption of attitudes and thoughts that are advocated through the cyberspace. To cope with, the church should devise proper means to equip its youth with a solid Christian worldview, some of which are suggested in the conclusions based on the author's teaching experience with technology-oriented students.

      • KCI등재

        디지털 시대의 여가와 관광의 의미

        한미옥(Han, Mi-Ok),김남조(Kim, Nam-Jo) 한양대학교 관광연구소 2018 觀光硏究論叢 Vol.30 No.4

        본 연구는 일상화된 디지털 환경 속에서 진정한 여가와 관광은 어떤 의미와 역할을 해야 하는가라는 문제 제기에서 출발하였다. 디지털 여가의 특성부터 사회 문제로 부각되고 있는 다양한 디지털 역기능의 문제점과 이를 해결하기 위한 사회적 수요에서 시작된 디지털 디톡스(digital detox) 현상을 여가·관광의 관점에서 논의해 보았다. ICT 및 모바일 기술 발달이 가져온 연결성은 일상과 관광경험과의 분리를 어렵게 함으로써, 기존의 여행과 관광을 통해 얻을 수 있었던 여러 가지 혜택을 감소시키는 결과를 가져왔으며 이는 디지털 디톡스 관광에 대한 수요를 형성하는 계기가 되었다. 이로 인해 디지털 기기와의 단절을 목적으로 등장하게 된 ‘디지털 프리 관광(digital free tourism)’ 은 ‘완전한 일탈’ 을 통해 디지털 환경의 연결성이 주는 압박감과 스트레스의 해소를 위한 수단이며, 동시에 여행이 가진 본래의 의미에 집중하고, 보다 질 높은 관광경험과 삶의 질을 추구하는 형태로 발전하고 있다. 디지털 시대의 관광경험을 보다 더 잘 이해하기 위해서는 디지털 환경의 연결성과 비연결성에 대한 다양한 논의가 필요하며, 현 시대에 필요한 진정한 휴식과 삶의 질의 고양을 위해 여가 및 관광분야의 새로운 노력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This study started with the question of what true leisure and tourism should do in digital age. It reviews digital stress and digital addiction, which has emerged as social problems from the characteristics of digital leisure and discusses digital detox phenomenon, which started in social demand to solve such problem, from a leisure and tourism perspective. Connectivity in a travel context brought about by ICT and mobile technology developments has resulted in reduced benefits from traditional travel and tourism by making it difficult to separate daily life from tourist experience. As a result, ‘digital free tourism’ aims breaking up with digital devices, “complete escapism- physical and psychological fully escaped form(liminality)-”. Therefore it is a means of relieving pressure and stress from connectivity to the digital environment, and has developed into a form of focusing on the authenticity of travel and pursuing higher quality tourism experience and quality of life. This paper suggests that better understanding of the tourism experience of the digital age requires a variety of discussions on connectivity/disconnectivity of travel context, and new perspective in leisure and tourism are needed to enhance the quality of life.

      • KCI등재

        AI 디지털교과서 법령 현황 및 법적과제

        정순원 대한교육법학회 2023 敎育 法學 硏究 Vol.35 No.3

        윤석열 정부는 2022년 지능정보사회에 맞는 미래 인재양성과 이를 위한 정책 추진을 국정과제로 설정하였고, 교육부는 이에 따라 “디지털 인재양성 종합방안”과 “모두를 위한 맞춤 교육의 실현 디지털 기반 교육혁신 방안”을 마련한 바 있다. 이 정책들은 AI 디지털교과서의 개발 및 배포를 핵심내용으로 하고 있고, 구체적인 계획은 2023년 6월 “AI 디지털교과서 추진 방안” 수립하여 추진하고 있다. 우리나라 디지털교과서 정책은 2007년부터 시작되어 오늘에 이르고 있는데, 특히, 디지털교과서의 가장 큰 법적 문제 중 하나인 디지털교과서의 법적 지위를 부여하는 등의 내용을 담은「교과용도서에 관한 규정」개정안이 입법예고된 바 있다. 이 글은 윤석열 정부의 AI 디지털교과서 정책이 현행 우리나라 법령체계에서 가지는 한계와 문제점을 분석해 보고 앞으로 해결해야 할 법적 과제를 제언해 보고자 하였다. 단편적으로 「교과용도서에 관한 규정」을 개정함으로써 AI 디지털교과서 관련 법적 문제가 해결될 수 있다고 보이나, AI 디지털교과서가 독립된 법적 지위를 가지고 또한 안정적으로 개발 및 활용하기 위해서는 「초·중등교육법」, 「저작권법」, 「개인정보보호법」등 관련 법령들을 다각적으로 검토·분석하여 법적 과제들을 해결할 필요가 있다. The Yoon Seok-yeol government has set the nurturing of future competency suitable for the intelligent information society and the promotion of policies for this as a national task in 2022. The Ministry of Education has established a “comprehensive plan for nurturing digital competency” and “a digital-based education innovation plan to realize customized education for all.” ” has been prepared. These policies have the development and distribution of AI digital textbooks as their core content, and specifically, the “AI Digital Textbook Promotion Plan” is being established in June 2023 and various implementation plans are being prepared and promoted. Korea's digital textbook policy began in 2007 and continues to this day. Among the problems with digital textbooks, the biggest legal obstacle, the "Regulations on Textbooks," was revised and new special regulations on digital textbooks were established. The legislation has already been announced. This article analyzes the overall laws and regulations related to digital textbooks that are necessary for the development and distribution of AI digital textbooks to produce results that the public can feel, and proposes the limitations and problems of the laws and future tasks. As a result, it appears that the problem can be resolved by piecemeal revision of the “Regulations on Textbooks,” but it is only a stopgap measure. In order for digital textbooks to have the same legal status as book-type textbooks, a comprehensive review and analysis of related laws and regulations is necessary. It was suggested that revisions must be made across the board to enable stable development and use.

      • KCI등재

        서사의 디지털 자질과 서사 공간

        장일구(Jang Ilgu) 한국언어문학회 2008 한국언어문학 Vol.67 No.-

        Digital could be undertood a constitutional notion not as a substantial one. So it is necessary to treat its features for reasonable arguments. One can note the core digital features: interactivity, hypertextuality and multi-media. Not all digital devices realize the digital features, or non-digital media might show digital-like features close to interactivity and hypertextuality. Some notions realtive to the narrative space would be the digital features of narrative. Spatial form in written narrative is a crucial phase of digital narrativities, and virtual reality simulated in recent fantastic novels is a eminent corresponding digital experence. I will argue on the digital features of narrative relative to the above two phases of narrative space, and expand the arguemental horizon of digital narratives.

      • KCI등재

        AI 시대 예비교사 소양교육으로서 디지털 리터러시 필요성 고찰: 세계시민교육 관점에서

        이은화,신하영 세명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2024 人文 社會科學硏究 Vol.32 No.3

        · 연구 주제: 예비교사 소양교육에서 디지털 세계시민교육의 필요성을 고찰하고 이를 교육과정에 반영하는 방안을 제시한다. · 연구 배경: 디지털 시대와 AI의 도래로 인해 세계시민교육의 개념이 새로운 변화와 도전에 직면하게 되었다. · 선행연구와의 차이점: 본 연구는 디지털 대변환 시대에 맞춰 디지털 리터러시를 세계시민교육에 통합하는 점에서 기존 연구와 차별화된다. · 연구방법: 다양한 주체들이 논의하는 세계시민교육의 개념을 분석하고, 디지털 시대에 적합한 개념 틀을 정립하였다. · 연구결과: 예비교사들이 글로벌 인식과 책임감을 높이고, 다양한 문화적 배경을 이해하며, 디지털 도구를 활용해 창의적이고 비판적인 사고를 발전시킬 수 있는 교육과정을 제안하였다. · 공헌점 및 기대효과: 본 연구는 디지털 시대에 부합하는 세계시민교육을 통해 교육적 혁신을 추구하며, 미래 교육 환경에 적응할 수 있는 교사를 양성하는 데 기여할 것이다. · Research topics: This study explores the necessity of integrating digital literacy into GCED for pre-service teachers. It aims to develop a curriculum framework that enhances essential global skills and values. The focus is on adapting GCED for the digital age. · Research background: The digital age and AI necessitate updates to GCED, including digital literacy. Traditional GCED promotes skills for global issues and values like sustainability and human rights. This study aligns these with digital capabilities. · Differences from prior research: Previous studies focused on traditional GCED. This research uniquely integrates digital literacy, addressing digital age challenges and opportunities. It proposes a curriculum for pre-service teacher training in this context. · Research method: The study reviews various GCED concepts from stakeholders to establish a digital-age framework. It includes a literature review and case studies. A curriculum for pre-service teachers is then proposed based on this analysis. · Research results: The study creates a framework integrating digital literacy into GCED, enhancing global awareness in pre-service teachers. It shows how digital tools foster critical thinking. The proposed curriculum prepares educators for a digital educational environment. · Contribution points and expected effects: This research innovates education by aligning GCED with digital age needs. It offers a practical curriculum for pre-service teachers, equipping them with necessary skills and values. Expected effects include better-prepared educators capable of fostering global citizenship and digital literacy in stude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