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해남도(海南島) 해구(海口)방언의 음운 체계와 동사 보어 형식

        장정임 한국중국언어학회 2010 중국언어연구 Vol.0 No.33

        Haikou is located in the northernmost part of Hainan Island. The Haikou dialect is classified as a variety of Southern Min, The verbal complement construction of this dialect is significant from both synchronic and diachronic perspectives. This paper is based on the author`s own field work. Part2 is a brief summary of the distribution of Chinese dialects and minority languages spoken on Hainan Island, Part3 is a summary of the phonological system of the Haikou dialect. Part4 provides examples of the verbal complements of the Haikou dialect. The author followed Yue`s(l993l) subclassification of the Chinese verbal complement and provided Haikou examples of manner, extent. degree. causative/resultative. potential. and directional complements. Each type of complement in the Haikou dialect is different from Standard Mandarin. which underlines the synchronic diversity of the verbal complement structure in modern Chinese. Also, one particular point of interest from the diachronic perspective is the causative/resultative complement. In the Haikou dialect, both `verb+comp+object` order. which is the same as in Standard Mandarin, and `verb+object+comp` order exist. although the latter shows a rather restricted occurrence. In ·verb+object+comp.` the complement can be interpreted as a verb and the sentence can be interpreted as the serial verb construction. This shows that the Haikou dialect still preserves the word order of a time when the verbal complement structure had not yet developed. Part5 is a conclusion. stressing the value of Chinese dialectal grammar in understanding the synchronic and diachronic diversity of Chinese grammar.

      • 藏语安多方言田野调查研究

        于洪志 한국어정보학회 2008 한국어정보학 Vol.10 No.1

        The Tibetan sound field investigation is the basic work of Tibetan phonetics study. According to contemporary phonetics theory, this article uses advanced equipment and instrument in studying native language. It has expatiated the meaning of the Tibetan Ando dialect field investigation. It has explaining the ways and processes of the Tibetan Ando dialect field investigation from laying down investigation outline, collecting related information, fixing pronouncing partnership, making investigation notice and depiction. It has elaborated recording operation flow, recording environment and hardware and software instrument and the ways to arrange audioinformation. It has analyzed the results of the Tibetan Ando dialect field investigation.

      • KCI등재

        황해도 방언 연구의 회고와 전망

        장승익 한국방언학회 2019 방언학 Vol.0 No.30

        이 글은 황해도 방언에 대한 기존의 연구 성과를 주제별(음운, 문법, 어휘)로 정리하고 앞으로의 연구 방향을 모색해 보려는 시도이다. 황해도 방언 관련 연구사를 정리한 곽충구(1992, 2001)에 기초하여 이 연구에 포함되지 않은 몇몇 연구를 추가하여 논의를 진행하였다. 음운 분야와 관련해서는 이 방언의 음소(단순모음 체계, 하향 이중 모음, /ㅈ/의 음가), 구개음화, 전설모음화, 모음조화 및 저모음화에 관한 연구들을 정리하였다. 문법 분야와 관련해서는 조사, 어미에 관한 연구를 확인하였다. 그리고 어휘 분야에서는 이 방언의 친족어 연구인 곽충구(1995), 그리고 양원화(1937), 정원수(2002), 장승익(2018)의 논의를 정리하여 소개하였다. 그리고 황해도 방언 관련 연구 과제로는 ‘현대 황해도 방언 자료 수집 및 연구’, ‘국내 실향민 집단 정착 마을에 대한 조사 연구’, ‘사회언어학적 연구’를 제시하였다. This paper is an attempt to map the existing research results of the Hwanghae-do dialect into subjects (phonology, grammar, and vocabulary) and explore the future direction of research. Based on Gwak (1992, 2001) which summarized existing studies related to the Hwanghae-do dialect, some research not included in the study was added to advance the discussion. As for the phonological field, this research compiles the study of phonemes, palatalization, front-vowelization, vowel harmony and low-vowelization of this dialect. In the grammatical field, the case-markers and study on word endings are reviewed. In the vocabulary field, research by Yang (1937), Gwak (1995), Jeong (2002), and Jang (2018) were summarized and introduced. Additionally, research projects related to the Hwanghae-do dialect include "Investigation and Research of the Hwanghae-do dialect", "Research on the Settlement of displaced people from North Korea" and "Sociolinguistic Research."

      • KCI등재

        중국의 조선어 방언 구술발화 조사 및 연구- 평안북도 방언화자를 중심으로-

        이금화 연세대학교 언어정보연구원 2017 언어사실과 관점 Vol.42 No.-

        The study firstly discusses selection standard of informant and investigation point for the investigation of Chinese Korean dialect oral utterance materials, which is in the crisis of extinction. The study also proposes the Pyeonganbuk-do materials which are typical during all the investigating materials until now, and then discusses the importance of oral utterance investigation materials as well as dialect features of relevant materials. The investigation and study of Korean dialect started from 1960s in China and mainly focused on the phonology, syntax and lexicology with little study of oral utterance relatively. Because of Chinese reform and opening policies in the late 1970s and urbanization process, traditional Korean group residences became hollow rapidly and began to disintegrate. After the establishment of South Korea and China diplomatic relations, the dialects, having transmission of for a long time, dissipated due to the inflow of South Korean. So I think it is very important to collect and record the materials which may cease to exist forever if we do not collect them right away. The oral utterance materials are the contents that native speakers spoke in a natural state so they can be used not only in the study of phonology, syntax and lexicology but also in discourse study. The paper firstly discusses selection standard of informant and investigation point for the investigation of Chinese Korean dialect oral utterance materials and searches dialect features. I think it may be beneficial for foundation of dialect study by reviewing the distribution and aspect of investigation generally. Also, the stories of informant's life display the arduous history of Korean nation so they may be an important materials for the study of Korean history.

      • KCI등재후보

        광복 후 북한의 방언 조사와 연구 실적에 대하여

        황대화(黃大華) 한국방언학회 2010 방언학 Vol.0 No.12

        The paper makes a survey of the findings from investigations and studies on dialects since liberation in North Korea. In the first part of the paper, the purpose, methodology and objects for the investigations are introduced, and sources of the dialects quoted in many different papers and books are exmamined. In the second part, papers and books as findings from studies on dialects are surveyed diachronically with reference to the history of Korean language in North Korea, which is divided into three periods. 이 글은 광복 이후 북한에서 이루어진 방언 조사 및 연구를 연구사적 관점에서 논의하였다. 먼저 여러 논저를 통하여 방언 연구 목적, 대상, 방법론을 살펴보았다. 북한의 방언 조사 연구는 순수히 방언 연구를 위한 목적과 문화어의 보급을 위한 목적으로 이루어졌다. 한편, 조사 대상 지역은 함북 육진 지역과 평북 지역에 치중되어 있고 상대적으로 평남, 강원도, 개성(경기도)은 매우 적다. 그리고 개별방언의 특징을 중세국어와 비교하고 그 통시적 변화를 기술하는 연구에 역점을 두었고 방언분화에 대한 연구는 상대적으로 적다.

      • KCI등재

        평안도 방언 연구의 회고와 전망

        정의향 한국방언학회 2019 방언학 Vol.0 No.30

        본고는 그동안 이루어진 평안도 방언 연구 성과를 음운, 문법, 어휘로 나누어 주제별로 살펴보고 향후에 이루어질 평안도 방언 연구의 방향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한국어 방언 연구가 오랜 전통을 가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분단으로 인하여 평안도 방언의 조사와 연구는 그리 활발하지 못했다. 분단 이후에는 평안도 출신의 연구자들의 연구가 주를 이루었고 이후에는 평안도 출신의 실향민을 대상으로 한 연구가 부분적으로 이루어졌다. 한중 수교 이후 재중동포들을 대상으로 한 연구가 본격적으로 이루어져 평안도 방언에 대한 연구 성과를 어느 정도 볼 수 있었다. 지금까지 평안도 방언에 대한 연구사를 살펴보면 주로 역사적 발전을 추적하기 위한 음운사적인 것에 대한 연구, 공시적인 체계나 구조를 밝히는 연구, 음운체계와 음운규칙에 대한 정밀한 분석, 그리고 음운과정에 대한 연구, 나아가 문법에서의 문법형태 특히 선어말 어미와 종결어미 형태들의 통사 기능과 의미 특성에 초점을 두어 연구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research result of the Pyeongan dialect, and suggest the direction of research from now on. Although the research of the Korean dialect has a long history, it is not animated because of the divided country Korean Peninsula. After the division, the native of the Pyeonganbecame to the main force of the research. Since then the native of the Pyeongan became to the object of study. After the establish diplomatic tieswith China, we can find some research result which aimed for the overseas Koreans in China. If we examine the history of literary research of the Pyeongan dialect, we can know most of the research are the phoneme, vocal sound system, phoneme process and the ending of the form.

      • KCI등재후보
      • KCI등재

        ‘이 시대’ 방언 조사ㆍ연구의 이론과 실제

        김정대 우리말학회 2014 우리말연구 Vol.37 No.-

        글은, 경남방언을 대상으로 하여, 필자가 생각하는 바람직한 ‘이 시대’ 방언 조사·연구의 방법을 정리하기 위해 작성된 것이다. ‘이 시 대’라는 표현을 넣은 것은, 산업화 시대를 맞아 방언이 급속도로 사라져 간다는 절박함 때문이다. 필자는 방언의 조사·연구가 그 대상에 따라 이원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고 믿고 있는데, 하나는 구술 발화에 대한 것이 고 다른 하나는 어휘·음운·문법에 대한 것이다. ‘이 시대’ 구술 발화의 조사와 연구 방법에 대한 필자의 견해는 제2장에 밝혀져 있다. 무엇보다 시급한 것은 전래 방언이 더 이상 사라지기 전에 양질의 구술 발화를 많 이 수집(녹음)하여 저장하는 일임을 강조했다. 국립국어원(2006)의 구술발화 부문과 같은 기존의 질문지를 참조하여 부족한 내용을 보충한 질문지로써 구술 발화를 조사하는 일이 유익하다는 점도 지적했고, 조사한 자료는 디지털 방식으로 안전하게 저장해야 함도 정리해 두었다. 그리고 구술 발화를 조사할 때가 아니면 영원히 조사되지 않았을지도 모르는 문법자료나 어휘·음운 자료로는 어떤 것이 있는지를 몇몇 예로써 소개해 두 었다. ‘이 시대’ 어휘·음운·문법의 조사와 연구 방법에 대한 필자의 견 해는 제3장에 정리돼 있다. 이것들에 대한 조사 지점은 가능하다면 시· 군 단위가 아니라 면 단위로 좁힐 것을 힘주어 말했다. 그리고 그 까닭을 설명하기 위해, 산청·창원·창녕 등 3개 지역을 대상으로 하여 면 단위, 혹은 마을 단위의 차이로 말미암아 언어가 달라진 상징적인 예를 도표로 정리하고 약간의 설명을 덧붙여 두었다. 자료 조사와는 달리 ‘이 시대’ 어 휘·음운·문법의 연구가 어떻게 이루어져야 할 것인가 하는 점에 대해서 는 특별한 언급을 할 수 없음을 밝히고, 앞선 연구에서 다시 살펴보아야 할 내용, 앞선 연구에서 지나쳐온 내용 등을 조명하는 일이 필요함을 강 조했다. 그리고 늘 우리 곁에 존재하지만, 눈여겨보지 않으면 놓치기 쉬 운 자료들을 예의주시하여 늘 새로운 연구 주제를 개발해 나가야 함을 암 시하였다. 그 과정에서 지금까지 필자가 관심을 가졌던 몇몇 연구 주제를 정리하기도 했고, 최근 관심을 갖고 살펴보고 있는 ‘이엉’과 ‘써근새’(썩은 이엉) 관련 내용을 소개하기도 했다.

      • KCI등재

        상고·중고 한어에 나타난 *N-계 지시사의 기원 고찰 - 트랜스-동아시아 언어 연구의 일례로

        장정임(Chang, Jung-Im) 한국중어중문학회 2022 中語中文學 Vol.- No.88

        In Archaic Chinese, there existed demonstratives with an *N- initial such as 爾 *njiai, 乃 *nə, 若 *njiak, and 而 *njiə. The origin of the *N- demonstratives has long been controversial. They were frequently used as second-person pronouns in Archaic Chinese. Their occurrences as second-person pronouns predate those as demonstratives. Therefore, it is commonly assumed that the *N- demonstratives were derived from the second-person pronouns. This paper objects to this idea based on the directionality of grammaticalization. A second-person pronoun frequently derives from a demonstrative, but not vice versa. Demonstratives are considered as so-called “primitives of grammaticalization,” i.e., they may give rise to various kinds of grammatical markers, while they cannot be historically derived from other lexemes(Plank 1979, Diessel 1999, Kuteva et. al. 2019). The origin of the *N- demonstratives is as follows. They were borrowed from the neighboring Proto-Austroasiatic language(PAA). As pointed out by Norman & Mei(1976: 274), the Austroasiatics inhabited the shores of the middle Yangtze and parts of the southeast coast from 1000 B.C. to 500 B.C. and gave an influenced to Old Chinese. In PAA, the word meaning ‘this’ is reconstructed as *niɁ; *nih or *nɔɁ; *nɔh. Therefore, it is not surprising that the *N- demonstratives are borrowings from the PAA word meaning ‘this.’ *N- demonstratives must have been broadly spread in southern China in Archaic and Medieval times. For instance, 爾 appears frequently in Six dynasty texts, such as in Shishuo xinyu 『世说新语』. It may well be because, after the Rebellion in the yǒngjiā era(永嘉之乱), the center of koine moved from the north to Nanjing, which was the capital of Eastern Jin 晋 and the following southern dynasties. 爾 is still broadly used as a near or far demonstrative in modern central and southern dialects, such as Wu, Hui, Southern Xiang, Northern Gan, and Min dialects(Zheng 2017).

      • KCI등재후보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