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음악교육에서의 과정중심 평가 이해

        권덕원 ( Kwon Doug-won ),석문주 ( Seog Moon Joo ) 미래음악교육학회 2020 미래음악교육연구 Vol.5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최근 일부 교육학자들 및 교육기관들에서 강조하고 있는 “과정중심의 평가”에 대하여 학문적으로 이해하고, 음악교육에 바르게 적용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는 데 있다. 일부 학자들은 과정중심의 평가를 매우 새로운 평가방식으로서, 학교에서의 여러 가지 평가 상의 문제, 또는 학습상의 문제를 해결해 줄 것처럼 소개하고 있다. 그러나 실제로는 과정중심 평가는 전혀 새로운 평가방법이 아니며, 이미 관행이 되어 있는 평가 체제, 즉 진단평가-형성평가-총합평가의 체제 속에서, 특히 형성평가를 강조하는 것이다. 음악교육의 평가는 그 자체로 이미 “과정”을 중시하고 있다. 음악은 시간의 예술이고, 시간이 흘러야 학생들의 음악적 능력이 나타나며, 시간의 경과 속에서 비로소 학생들의 음악적 능력을 바르게 평가할 수 있다. 향후 음악교육에서 바람직한 평가의 방향은, 첫째 진단평가를 통하여 학생의 출발점을 파악하고, 둘째, 신뢰도와 타당도를 갖춘 총합평가를 실시하여 학생의 도달점(성취도, 결과)을 파악하며, 셋째, 진단평가와 총합평가 사이에서 학생의 변화 및 성장 과정을 알 수 있는 내용을 관찰하여 기록하고, 넷째, 학생의 자기평가를 통하여 음악적 변화와 성장의 내면을 파악하며, 다섯째, 학생 간 상호평가를 통하여 동료 관점에서 각 학생의 음악적 변화와 성장을 파악하고, 마지막으로 평가의 다양한 방법을 활용하되, 교사가 조정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실행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해 나가야 할 것이다. The aim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evaluation based on the process” that recently several educators and educational institutions intensely advocate, and to find appreciate directions for music education. Some scholars and teachers introduce the “evaluation based on the process” as a new way for solving problems of evaluation and education in schools. However, it is never new evaluation, only focusing “formative” aspect among diagnostic-formative-summative system of evaluation that most of teachers already know and use. If we focus on the process excessively, ignoring the result of learning, then it is difficult to figure out the whole shapes and states of students’ learning. Now we know that it is the time to rightly understand the “evaluation based on the process” and to examine proper ways of evaluation in order to reflect the recent feature of music learning, maintaining the nature of music education. In fact, the evaluation of learning in music classes are based on the “process.” Because the music is an art of time, the singing, playing, listening, and creating of students need temporal process. Teachers cannot evaluate students in terms of music without the concept of time or process. Of course, the “process” is important in evaluation of music, but we need more points besides the process: the starting point and the result. In Music education, we should properly apply the diagnosis-formative-summative system of evaluation and various methods such as observation, self-evaluation, and mutual evaluation. These methods might provide us more holistic, internal, and interactive states of students’ learning.

      • KCI등재

        ADHD 아동·청소년의 진단평가 절차에 대한 고찰

        이상훈 한국정서행동장애학회 2020 정서ㆍ행동장애연구 Vol.36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help teachers and parents understand the medical diagnostic evaluation procedure of ADHD and contribute to more accurate ADHD diagnostic evaluation. To this end, we reviewed the diagnostic guidelines, including the medical diagnosis process and principles, screening and evaluation, and diagnosis decisions for ADHD in children and adolescents, with a focus on diagnostic guidelines from the American Academy of Pediatrics (AAP). According to the results, we suggest the following. First, in order to make accurate and stable diagnosis, it is necessary to be adhered the diagnostic principles and systematically diagnose it through a diagnostic algorithm. Second, for screening and evaluation, it is necessary to collect effective information through appropriate procedures and tools from parents, teachers, important community informants, and children themselves. In addition to diagnosis, treatment and intervention require close efforts to form close relationships with children, families, and teachers. Third, the diagnosis of ADHD should be determined by checking whether the DSM-5 diagnostic criteria are met, considering age and gender, identifying comorbid conditions, and excluding other diseases. Parents' expectations, beliefs and perceptions of mental disease should also be considered when deciding on diagnosis. It should also be noted that factors that have not yet been identified can shape the child’s current problems. Finally, for a more accurate diagnosis, it is necessary to develop guidelines for ADHD diagnosis at the level of related societies or associations, and to continuously educate them to clinicians. Also transdisciplinary research efforts in related fields are needed to understand and apply the diagnostic criteria for childhood mental disorders including ADHD and DSM-5 in accordance with our culture, society, and health care system. 본 연구에서는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ADHD)의 의료적 진단평가 절차에 대한 교사와 부모들의 이해를 돕고 ADHD 진단평가에 기여할 수 있도록, 미국소아과학회(AAP)의 진단지침을 중심으로 아동·청소년의 ADHD 진단 과정과 원칙, 선별과 평가, 진단 결정을 포함한 진단평가 절차를 고찰하였고 다음과 같이 제언한다. 첫째, 정확하고 안정적인 진단을 위해서 진단 원칙을 준수하고 진단 알고리듬을 통해 체계적으로 접근해야 한다. 둘째, 선별과 평가를 위해 부모를 포함한 가족과 교사와 지역사회 주요 관련인 그리고 아동 본인으로부터 타당한 절차와 도구를 통해 효과적인 정보를 수집해야 한다. 진단뿐만 아니라 치료 및 중재를 위해서 아동과 부모, 교사 및 학교와 긴밀한 관계형성 노력이 필요하다. 셋째, ADHD 진단은 DSM-5 진단기준의 부합 여부 확인, 연령과 성별에 대한 고려, 동반질환 파악과 다른 질환의 배제 과정을 거쳐 결정해야 한다. 또한 진단을 결정할 때 부모의 기대와 신념, 정신질환에 대한 인식도 고려해야 하며, 미처 파악하지 못한 요인들이 아동의 현재 문제를 형성할 수도 있다는 점을 유념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보다 정확한 진단을 위해서 관련 학회나 협회 차원에서 ADHD 진단지침을 개발하고 이를 임상의들에게 지속적으로 교육해야 하며, ADHD를 포함한 아동기 정신질환과 DSM-5의 진단기준을 우리 문화와 사회, 보건의료체계에 맞게 이해하고 적용하기 위한 관련 분야의 초학문적 연구 노력이 필요하다.

      • KCI등재

        첨단기술을 활용한 시설물 점검 및 진단 기술 검·인증을 위한 성능평가 방법론

        이영호,배성재,정욱,조재용,홍성호,남우석,김영민,김정렬 한국재난정보학회 2020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Vol.16 No.1

        연구목적: 본 연구는 시설물 점검 및 진단분야에 도입될 첨단 기술 및 장비의 동향을 조사하고 미국, 일본, 한국의 표준화 체계를 분석하여 국내 실정에 맞는 시설물 점검 및 진단장비 성능평가 방법의 기본 방향을 제시하고 성능평가 기준이 우선 적으로 개발되어야 할 대상을 선정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방법: 시설물 점검 및 진단에 활용되는 첨단 장비 현황을 분석하기 위하여 시설물통합정보관리시스템(FMS)의 최근 5년간 보고서와 시설물 유지관리 업체와 안전진단전문기관에 소개된 첨단 기술을 조사하였다. 또 한, NTIS에 등록되어 있는 과제, 논문, 연구보고서, 특허 등을 검색하였다. 이후 미국, 일본, 한국의 표준화 체계를 조사하여 국내 실정에 맞는 형태의 시설물 점검 및 진단장비 성능평가 방법의 기본 방향을 제시하고 전문가 인터뷰와 설문조사를 수행하여 성능평가 기준이 우선적으 로 개발되어야 할 대상을 선정하였다. 연구결과: 자유로운 기술 개발이 이루어지고 지나친 제약이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성능평가 프로 세스는 조사항목별로 장비나 기술의 종류에 상관없이 해당 장비나 기술이 목표하는 점검에 대하여 요구되는 목표 성능지표를 개발하여 해 당 성능지표를 만족할 경우 성능을 인증해 주는 방식으로 진행될 필요가 있다. 또한, 전문가 인터뷰와 설문조사 결과 내구성 평가의 콘크리 트 균열 조사항목과 안전성 평가의 콘크리트/강재 변위/변형/피로 조사항목에 활용되는 첨단장비나 기술들을 대상으로 성능평가 기준을 우 선적으로 개발해야 할 필요성을 확인하였다. 결론: 내구성 평가의 콘크리트 균열 조사항목이나 안전성 평가의 콘크리트/강재 변위/변형/피 로 조사항목을 대상으로 성능평가 가이드라인을 우선적으로 개발할 필요성이 있으며, 자유로운 기술 개발을 도모하고 기존에 개발된 첨단 장비에 새롭게 개발될 첨단장비의 성능을 공통된 기준으로 평가하기 위해서는 표준화된 시편이나 테스트 베드를 구축하여 기술 종류에 관 계없이 제시된 요구 성능을 충족하면 성능을 인정하는 방식으로 검증하는 체계를 구축해야 한다. Purpose: This paper proposes a performance evaluation method for state-of-the-art facility inspection/ diagnostic equipment through a trend survey of equipment and standardization systems of US, Japan, and Korea. This paper also suggests the priority of developing a performance evaluation method through expert interviews and surveys. Method: In this study, report for the last 5 years of FMS, state-of-the-art equipment of facility maintenance companies/safety diagnosis specialist agencies and papers/research reports/patents of NTIS were analyzed to identify recent trends of facility inspection/diagnostic equipment usages. standardization system of US, Japan, and Korea were analyzed to figure out a suitable form of a performance evaluation method for the domestic situation. And expert interview and survey were conducted to identify the priority of developing a performance evaluation method. Result: The performance evaluation method must be developed by the shape that only evaluates performance, regardless of types of equipment, on inspection item level for creative technology development. The priority of developing the performance evaluation method was identified as crack detection of concrete for durability evaluation and displacement/deformation/fatigue detection of concrete and steel for stability evaluation. Conclusion: The performance evaluation method will be developed firstly for the crack detection of concrete for durability evaluation and displacement/deformation/fatigue detection of concrete/steel for stability evaluation. In order to promote creative technology development, the performance evaluation method should be developed in a form that provides standardized specimens or testbeds and can be applied regardless of types of technologies.

      • KCI등재

        특수학급 입급,배치를 위한 진단평가 관련 선행 연구 고찰

        강병주 ( Byeong Joo Kang ),김성화 ( Seong Hwa Kim ),최정미 ( Jeong Mee Choi ) 대구대학교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2007 특수교육저널 : 이론과 실천 Vol.8 No.2

        The increase of special classes has brought about a quantitative increase to make the opportunity available for students, who need it, to have special education. It is true, however, that there have been many qualitative problems. In this respect, this consideration was given regarding the actual conditions of diagnosis and eval-uation in special class for the qualitative improvement of special education. This study investigated the composition of the school diagnostic evaluation com-mittee, the best time for diagnostic evaluation, the procedure for student placement in special classes, the actual condition of tools for the diagnostic evaluation, and the problems related to the evaluation.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The composition of school diagnostic evaluation committee, the best time for diagnostic evaluation, and the procedure of placement in special classes were not appropriate in Korea. And the actual condition of tools for the diagnostic evaluation was shown neither to be prepared nor used appropriately for each disability category. Accordingly, it is suggested that further studies should be undertaken to search for concrete improvement with such problems and generate theoretical backgrounds.

      • KCI등재후보

        퍼지추론규칙을 이용한 적응형 평가시스템

        엄명용,정순영,이원규 한국컴퓨터교육학회 2003 컴퓨터교육학회 논문지 Vol.6 No.4

        본 논문에서는 기존의 LCMS에서 사용되는 평가시스템에 퍼지 추론 규칙을 이용한 적응형 퍼지평가시스템(AFES : Adaptie Fuzzy Evaluation System)을 제안한다. AFES 는 학습자가 하나의 학습코스(learning course)에 들어가기 전에 퍼지진단평가(fuzzy diagnostic evealuation)를 통해 학습자에게 코스수준(course level)을 부여한다. 학습자는 코스수준에 따른 맞춤식 학습경로(learning path)로 학습을 종료한 후, 퍼지최종평가(fuzzy final evaluation)를 통해 최종성적(final grade)을 AFES 으로부터 부여 받는다. AFES, 의 가장 큰 특징은 최종성적의 점수 부여 규칙에 있는데, 만약 서로 다른 학습자가 동일한 문제 수에 대하여 같은 수의 정답을 냈더라도, AFES 는 125 가지 퍼지 추론 규칙(fuzzy reasoning rule)에 의거하여 탄력적으로 서로 다른 최종성적을 학습자에게 부여한다. We introduce an AFES(Adaptive Fuzzy Evaluation System) that applies an evaluation system used to existing LCMS(Learning Contents Management System) to a fuzzy reasoning rule. The AFES confers a course level on the learner through a fuzzy diagnostic evaluation before the learner enters a learning course. After the learner completes a learning course through the tailored learning path that is suitable for the learner’s level, the AFES confers a final grade on the learner by means of fuzzy final evaluation. The biggest characteristic of the AFES is a grade rule of the final grade. Although different learners get the same number of correct answers to the same number of questions, AFES flexibiv confers the different final grade on the learner by means of the number of 125’s fuzzy reasoning rules.

      • KCI등재

        종합학습평가를 위한 퍼지추론 시스템

        손창식(Chang-Sik Son),김종욱(Jong-Uk Kim),정구범(Gu-Beom Jeong) 한국지능시스템학회 2006 한국지능시스템학회논문지 Vol.16 No.6

        학습자에 대한 학습능력의 평가는 진단평가, 형성평가와 총괄평가 단계로 구분할 수 있다. 이러한 단계적 평가는 학습자의 사전 학습 준비상태부터 학습 과정의 충실성 및 학습 결과까지를 종합적으로 판단할 수 있는 기준이 된다. 본 논문에서는 퍼지추론을 이용하여 각 단계의 평가를 모두 고려한 종합학습평가 방법을 제안하였다. 학습 수행능력에 대한 객관적인 평가를 위하여 각 평가 단계별로 가중치를 부여하였고, 진단, 형성 빚 총괄 평가에 대한 퍼지추론에서 획득한 비퍼지화 값을 최종평가의 소속함수 구간으로 적용하였다. 그 결과 객관성을 보장할 수 있는 명확한 추론을 수행할 수 있었으며, 종합적인 학습평가 방법의 타당성을 보였다. Evaluation of learning ability of students is classified a step of diagnostic, formative and summative evaluation. This step-by-step evaluation is the standard of synthesis judgement, from a student's prior learning of preparation state to devotion of learning process and even learning result. In this paper, we propose the method of synthesis learning evaluation which is considered evaluation of each step in using fuzzy inference. In order to get objective evaluation of learning ability, we applied to the weights by evaluation steps. And we reflected defuzzification values of final evaluation membership function interval obtained by fuzzy inference about diagnostic, formative and summative evaluation. As a result, it processes definite inference ensures objectivity and shows validity of the synthesis evaluation method.

      • KCI등재

        온라인 사용후기가 접근성과 진단성 및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광석(Kwang Seok Han) 한국광고홍보학회 2011 광고연구 Vol.0 No.88

        본 연구는 온라인 블로그(blog)의 사용후기의 방향성과 사전지식 수준에 따라 접근성과 진단성에 어떠한 차이가 발생하고 구매의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실증적으로 검증하였다. 연구 결과 고지식·부정 메시지 조건에서는 ``종합·평가적인 기억정보``보다 ``개별·비평가적인 기억정보``의 접근성과 진단성이 높게 나타났다. 반면, 저지식·부정 메시지 조건에서는 ``개별·비평가적인 기억정보``보다 ``종합·평가적인 기억정보``의 접근성이 높게 나타났으나 진단성은 두 기억 정보 간의 차이가 없이 모두 진단적으로 평가하였다. 고지식·긍정 메시지 조건에서는 ``종합·평가적인 기억정보``보다 ``개별·비평가적인 기억정보``의 접근성이 높았으나 진단성은 반대로 ``개별·비평가적인 기억정보``에 비해 ``종합·평가적인 기억정보``가 높게 나타났다. 반면, 저지식·긍정 메시지 조건에서는 ``개별·비평가적인 기억정보``보다 ``종합·평가적인 기억정보``의 접근성이 높게 나타났으나 진단성은 두 기억정보간의 차이가 없이 모두 진단적이지 않게 평가하였다. ``개별·비평가적인 기억정보``은 고지식에서 접근성이 높았으나 진단성은 고지식에 비해 저지식에서 높게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구매의도에 있어서는 고지식보다는 저지식에서 높았으며, 부정 메시지 조건에 비해 긍정 메시지 조건에서 높게 인식하였다. This research proves substantially that as the message type of the online review and a level of prior knowledge, what would be different on the accessibility and a diagnosticity and how does it affect purchase intention. Upon the result of the research, in the case of a high degree of knowledge about negative information, discrete evaluative memory information is higher than global evaluative memory information for accessibility and a diagnosticity. On other hand, in the case of a low degree of knowledge about negative information, global evaluative memory information is higher than discrete evaluative memory information for accessibility but both are same for a diagnosticity. In the case of a high degree of knowledge about positive information, discrete evaluative memory information is higher than global evaluative memory information for accessibility but the result is opposite for a diagnosticity. On other hand, in the case of a low degree of knowledge about positive information, global evaluative memory information is higher than discrete evaluative memory information for accessibility but both are not for a diagnosticity. Discrete evaluative memory information is higher in the case of a high degree of knowledge for accessibility but discrete evaluative memory information is higher in the case of a low degree of knowledge for a diagnosticity. Finally for purchase of intention, the case of a low degree of knowledge is higher than the case of a high degree of knowledge and positive information is higher than negative information.

      • 인형심리진단평가에 나타난 중년여성의 부부관계 경험 연구 : 부부관계 투사를 중심으로

        최정임(Choi, Jeong-im),최광현(Choi, Gwang-hyeon) 한국인형치료학회 2020 인형치료연구 Vol.6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인형심리진단평가를 활용하여 중년여성의 부부관계 및 투사 경험을 자기인식, 타인인식, 가족관계 측면에서 심층적으로 이해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25년 이상의 결혼기간을 거친 50대의 중년여성 4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에 대해 질적 사례분석 방법을 적용하여 분석한 결과 자기인식에서는 참여자들의 방어와 생존, 긍정적 소망, 독립, 강함, 부정적 소망, 약함과 의존, 공격 순으로 도출되었다. 타인인식에서는 대부분의 참여자가 수(數) 상징체계 2로 표현되었으며, 이는 이분법적 원칙, 현실의 문제에 압도당하는 갈등과 분열을 일으키는 혼란스러움을 겪고 있으며 심리 내면에는 균형과 조화를 이루고자 하는 소망을 드러냈다. 한편 가족관계에서는 ‘목적지향향’과 ‘분열형’, ‘세대단절형’과 ‘부친고립형’, ‘밀착형’과 ‘이산형’, ‘균형형’ 등 다양한 가족체계로 드러났다. 연구 참여자들과 그들의 배우자들은 자신의 원 가족과의 미해결 문제를 얼마나 가지고 있는가가 새로운 부부관계를 만들어가는 과정에 큰 영향을 받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하여 연구 참여자들은 부부문제의 원인을 배우자에서 찾았던 것으로부터 자신에게도 있음을 통찰하였다. 그리고 가족과 부부관계의 상호작용을 개선하고 가족 간의 화합과 균형을 이루기를 소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중년여성의 자기 및 부부관계 경험에 대해 심층적으로 이해하고 인형심리진단평가의 유용성을 입증함으로써, 상담 및 치료 현장의 개입 도구를 더 확장하는데 연구의 의의가 있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examine middle-aged women’s couple projection experiences in self-awareness, awareness of others, and family relationships with the figure-based psychological diagnostic evaluation and in-depth interviews and understand common meanings among them. For these purposes, the study administered the figure-based psychological diagnostic evaluation with four middle-aged women in their fifties that had been married for 25 years or longer. The analysis results show that the subjects displayed defense and survival most in self-awareness, and they were followed by positive wish, independence, strong, negative wish, weak and dependent, and aggression in the order. In awareness of others, most of the participants were expressed in 2, a numeric symbolic system, which shows that they were undergoing confusion causing conflicts and disruptions overwhelmed by the dichotomous principle and real issues and wished to achieve balance and harmony inside their psychology. In family relationships, they exhibited a variety of family systems including “goal-oriented” and “disrupted”, “generational gap” and “isolation of the father”, “adhered” and “separated”, and “balanced”. The participants and their spouses were under the huge influence of their unresolved issues with their primary families in the process of forming new couple relationships. The present study helped the participants have an insight that they were looking for the cause of their couple issues in their spouses and also responsible for their couple issues. In addition, they wished to improve interactions in family and couple relationships and have harmony and balance in their families. Through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is meaningful to further expand intervention tools in the field of counseling and treatment by in-depth understanding of middle-aged women’s experiences of self- and marital relations, and by proving the usefulness of the puppet psychological diagnosis evaluation.

      • KCI등재

        촉각 정보의 애매모호성이 제품평가에 미치는 영향

        박은영(Park, Eun Young) 한국상품학회 2015 商品學硏究 Vol.33 No.6

        본 연구는 진단적 촉각 정보의 애매모호성이 제품 판단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살펴보았다. 특히 제품의 촉각 정보가 제품 판단에 미치는영향에 대한 기존의 연구를 바탕으로 진단적 촉감정보의 애매모호성의 조절효과를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두 개의 실험을 진행하였는데, 실험 1에서는 시장에 새롭게 출시되는 볼펜의 필기감을 평가하는 상황에서 볼펜의 진단적인 촉감정보인 무게감과 비진단적인 촉감정보인 볼펜 손잡이의 질감간의 상호작용 효과를 검증하였고, 실험 2에서는 생수 평가에 대한 시음 평가 상황에서 진단적 촉감정보인 온도와 비진단적 촉감정보인 컵홀더의 질감간의 상호작용 효과를 검증하였다. 분석 결과, 진단적 촉각 정보의 애매모호성이 높은 조건에서는 비진단적 촉각정보의 감정이 제품평가에 영향을 미치지만, 진단적 촉각 정보의 애매모호성이 낮은 조건에서는 제품판단에 대한 비진단적 촉각 정보의 영향이 사라졌다. 따라서 본 연구의 가설이 지지되었다. 본 연구는 두 가지 차원의 촉감 정보의 상호작용을 밝히고 특히 진단적 촉각 정보의 애매모호성의 조절효과를 밝혔다는 점에서 기존 연구와의 차별점을 갖는다. 본 연구의 결과는 촉감(touch) 관련 연구를 확장했다는 점에서 학술적 의미를 가지며, 더불어 제품 관리자 및 마케팅 실무자에게도 유용한 시사점을 제공한다 This research examined the potential impact of the tactile information(e.g., weight, temperature) on the evaluation of objects. Particularly, we suggested that diagnostic tactile information effect is moderated by the ambiguity of diagnostic information. We tested the proposed effect in two laboratory studies involving evaluation toward a ball pen (Study 1) and evaluation toward water taste (Study 2). In the high ambiguity of diagnostic tactile information condition, nondiagnostic tactile information affects product evaluation. However, low ambiguity of diagnostic tactile information had no effect on the product evaluation. The results provided an understanding of how consumers respond to tactile information and highlight implications for marketers seeking to increase the effectiveness ofmarketing communication

      • KCI등재

        제품범주정보 현저성이 브랜드확장 평가에 미치는 영향

        김귀곤(Gwi Gon Kim),전승우(Seung Woo Chun),차태훈(Tai Hoon Cha) 한국마케팅학회 2009 마케팅연구 Vol.24 No.1

        본 연구는 브랜드확장평가에 있어서 동양인이 서양인보다 브랜드확장의 적합성을 높게 판단하고 호의적으로 평가한다는 최근 Monga and John(2007)의 연구결과와 브랜드확장 평가과정에서 제품범주정보의 브랜드혜택연상에 대한 간섭효과를 제시한 Meyvis and Janiszewski(2004)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그 기저에 흐르는 동서양간의 심리적 메커니즘의 차이를 접근성-진단성(accessibility-diagnosticity) 관점에서 분석하였다. 즉 본 연구는 동서양간의 제품범주정보의 현저성과 그로 인한 브랜드혜택연상에 대한 간섭효과의 차이, 그리고 브랜드혜택연상에 대한 접근성과 진단성의 차이에 따라 동서양간의 확장브랜드로서의 모브랜드(narrow brand vs. broad brand)에 대한 선택이 달라질 수 있음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실증분석을 위해 동양인과 서양인을 대상으로 5번에 걸친 사전조사과정을 거쳐 실험대상 제품, 가상의 브랜드, 추구하고자하는 브랜드혜택연상 등을 결정하였다. 이를 기초로 본 조사에서는 내구성 있는 2개의 포트폴리오 브랜드(narrow brand: TV, DVD player, 오디오, broad brand: TV, 냉장고, 세탁기)를 대상으로 내구성 있는 캠코더로의 브랜드확장상황을 제시하였다. 뿐만 아니라 제품범주정보의 노출 횟수, 제품범주제공과 확장평가 및 확장브랜드선택 사이의 시간 차이를 조절하여 제품범주정보에 대한 접근성을 조절하였다. 본 연구에는 총 488명(한국 243명, 미국 245명)이 참여하였으나, 부적절한 응답과 불성실한 설문지를 제외하고 414부(한국 212부, 미국 202부)의 설문지가 분석에 활용되었다. 연구 결과 동양인들이 서양인들에 비하여 폭이 넓은 브랜드의 선택경향이 높게 나타났으나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는 않았다. 따라서 제품범주정보 및 브랜드혜택연상의 회상정도에 대한 추가분석을 통하여 동양인들의 폭이 넓은 브랜드 선택경향에 대한 가설을 간접적으로 확인하였다. 또한 노출횟수의 증가, 시차단축을 통한 실험에서는 동서양 모두 폭이 좁은 브랜드의 선택비율이 높아졌을 뿐만 아니라 동양인에게서 상대적으로 그 비율이 높게 증가하여 동서양간의 차이가 사라지는 결과를 얻었다. 이는 A-D 관점에서 제품범주정보의 브랜드혜택연상에 대한 간섭효과 및 노출횟수의 증가 전, 시차단축 전의 동양인의 폭이 넓은 브랜드에 대한 선택경향을 간접적으로 확인해 준다. 본 연구는 더 많은 연구와 실증을 필요로 하겠지만 동서양간의 브랜드확장평가의 차이를 브랜드확장평가의 심리적 메커니즘 측면에서 살펴봤다는 그 자체로서도 이론적인 측면에서 상당한 의미를 지닌다. 뿐만 아니라 마케팅 실무적 측면에서도 기존의 확장결과를 고려한 마케팅전략, 더 나아가 글로벌 환경에서의 다양한 마케팅전략의 수립에도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is research analyzed the East-West differences in psychological mechanism in the view of accessibility-diagnosticity based on the results of two recent researches; One is conducted by Monga & John(2007) that Easterners(vs. Westerners) perceive the brand extension fit highly and evaluate the brand extension favorably. The other is conducted by Meyvis and Janiszewski(2004) that the interference effect on brand benefit association of product category information can exist in the process of brand extension evaluation. Namely, this research focused on the fact that the East-West choices of parent brand(narrow brand vs. broad brand) could vary according to 1) the East-West differences in the salience of product category information, 2) the differences in the interference effect on brand benefit association of product category information, 3) the differences in the accessibility and diagnosticity of brand benefit association. We expect that Easterners choose the broad brand more than Westerners. And there will be no choice differences between them on extension brand in case of high salience on product category information. For this empirical analysis, we decided the test target products, fictitious brand, pursuing brand benefit association by targeting Easterners and Westerners through 5-time pretests. Based on the two portfolio brands with durability(narrow brand: TV, DVD player, audio, broad brand: TV, refrigerator, washing machine), we presented a brand extension situation to the camcorder with durability. Furthermore, we modulated an accessibility of the product category information by controlling the exposed numbers to the product category information and the time differences between the phase of product category offer and extension evaluation/extension product choices. Namely, the survey was run by the respective three groups (Firstly, offering information one time and evaluating after 50 minutes; secondly, offering information one time and evaluating after 5 minutes; lastly, offering information three times and evaluating after 50 minutes) through shortening time interval between beginning of information offering and extension evaluation as well as increasing the exposed numbers to information to manipulate a salience of product category informations. Although total 488 people(243 Koreans and 245 Americans) participated in this survey, we just utilized reliable responses from 414 respondents(212 Koreans and 202 Americans) except inappropriate and insincere responses. The results indicate that although a preference for broad brand is higher in the East than in the West, it is not meaningful statistically. Accordingly, We indirectly affirmed the hypothesis on the preference of East for the broad brand through an additional analysis on a degree of recall for product category information and a brand benefit association. Furthermore, we found out that both East and West have a high preference ratio of narrow brand by increasing the exposed numbers to the product category information and shortening the time interval between the information offer and extension evaluation. In addition, by relatively raising the preference ratio toward the East, the difference between the East-West came to be diluted. This result indirectly showed a preference tendency of the East for the broad brand from an A-D perspective before the interference effect on brand benefit association, increasing the exposed numbers and shortening the time interval. This research got access to the more realistic and consumer-focused strategies than the existing researches. Firstly, we approached to the brand extension evaluation from the viewpoint of A-D. This was very practical model, providing it is natural that there was a time interval between the time of information offering and the time of purchasing(that of brand extension evaluation). Secondly, parent brand was chosen in the process of choosing extension products. Now that consumers generally tend to decide pro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