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노인의 여가몰입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김춘옥(Kim Choon ok) 한국복지실천학회 2015 한국복지실천학회지 Vol.6 No.2

        노년기를 상실의 시기가 아닌 새로운 창조의 시기로 만들기 위해서는 노인의 여가활동에서 여가몰입 경험을 통하여 정신건강 측면인 우울을 해소할 수 있게 함으로써 노인의 생활을 보다 가치 있고, 만족스러운 삶을 영위할 수 있도록 요구되는 시점에 있다. 따라서 노인을 위한 보다 전문적인 여가서비스 향상과 능동적인 여가활동 참여 활성화 방안이 노인 복지적 측면에서 모색되어야 할 필요성이 제기된다. 본 연구는 이러한 필요성을 바탕으로 서울시 및 경기도 거주 노인여가시설을 이용하는 60세 이상의 노인 293명을 조사.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첫째, 개인적 특성에 따른 여가몰입 및 우울,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가에 대한 차이를 평균분석을 통해 살펴본 결과 성별은 0.05 유의수준에서 인지몰입과 행위몰입 모두 유의미한 차이가 없어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학력 및 종교, 배우자유무, 동거 가족형태, 건강상태, 여가시설이용기간, 경제상태는 행위몰입과 인지몰입 모두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또한 연령과 여가시설종류는 행위몰입에 개인적 특성이 미치는 영향의 차이에 대한 평균분석결과 0.05 유의수준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어서 여가몰입 및 우울,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여가시설을 이용하는 노인이 인지하는 여가몰입정도는 일상생활에서 마음상태인 우울(긍정적정서, 부정적정서) 및 삶의질(신체적 삶의질, 정신적 삶의질, 사회적 삶의질)에 영향관계를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노인이 인지하는 여가몰입은 삶의 질 및 우울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라는 연구가설 2는 채택되었다. 셋째, 여가시설을 이용하는 노인이 인지하는 우울의 정도는 삶의 질 및 하위요인인 신체적 삶의 질, 정신적 삶의 질, 사회적 삶의 질에 0.05 유의수준에서 영향관계를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노인이 인지하는 우울정도는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라는 연구가설은 채택되었다. 따라서 삶의 질은 우울 의 긍정적, 부정적 인지정도에 따라 영향관계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여가시설을 이용하는 노인의 여가몰입 인식 정도가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우울은 매개역할을 할 것이다'는 가설을 검증하기 위해 4단계 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분석 결과 여가시설을 이용하는 노인들이 인지하는 여가몰입 정도는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에서 우울이 부분매개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In order to switch the old age to the period for new creation other than the period of loss, it's about the time for us to do something so that the elderly can lead more valuable and satisfactory life by assisting them in solving their depression from the aspect of mental health through leisure commitment experience in leisure activities. Accordingly , there comes up the necessity of having to inquire into the plan for more professional leisure service improvement and revitalization of the elderly's active participation in leisure activities for the elderly. This study, on the basis of such necessity, obtained the results as follows by surveying and analyzing 293 elderly people above 60 of age, who used the leisure facilities for the elderly located in seoul city and Gyeonggin-do. First, this study confirmed the contents of difference verification of the influence on leisure commitment, depression and quality of life according to the elderly's personal characteristics through t-test and post verification as follows. As a result of looking into whether the person characteristics has an influence on leisure commitment, depression, and quality of life through the average analysis, it was found that gender had no meaningful influence as it didn't show any difference both in cognitive commitment and in behavioral commitment at a level of 0.05 significance level. However, it was found that there existed a meaningful difference in both behavioral commitment and cognitive commitment in relation to educational background, marital status, type of the family living together, use-period of leisure facilities, and economic conditions; age and sorts of leisure facilities were found to show a meaningful difference at a significance level of 0.05 as a result of average analysis of the difference in influence of personal characteristics on behavioral commitment, having an influence on leisure commitment, depression and quality of life. Second, The research result revealed that the level of leisure commitment perceived by the elderly using a leisure facility has an influencing relationship on depression (positive emotion, negative emotion) as a state of mind in a daily life and the quality of life(quality of physical life, quality of a mental life and quality of a social life). Accordingly, Research Hypothesis 2 'The Elderly's Leisure Commitment will have an Influence on Depression and the Quality of Life' was adopted. Third, The level of depression perceived by the elderly using a leisure facility was found to have an influential relationship at a meaningful level of 0.05 between the quality of life and the sub-factors such as the quality of physical life, quality of mental life, and quality of social life, and adopted was the research hypothesis that 'the level of depression perceived by the elderly might have an influence on the quality of life.' Accordingly, the quality of life was found to show a difference in influential relationship according to the level of affirmative, or negative perception of depression. Fourth, this study conducted the 4-stage regression analysis in order to verify the hypothesis that 'Depression might play an intermediary role in the process, in which the level of leisure commitment perception of the elderly using a leisure facility has an influence on the quality of life; as a result of analysis, it was revealed that depression had a partial mediated effect on the quality of life in the level of leisure commitment perceived by the elderly who used a leisure facility.

      • KCI등재

        국학기공(國學氣功)프로그램이 어르신들의 우울에 미치는 영향

        김일식 ( Il Sik Kim ),김흥걸 ( Hye Sook Shin ),신혜숙 ( Heung Gul Kim ),서호찬 ( Ho Chan Seo ) 국제뇌교육종합대학원 국학연구원 2015 선도문화 Vol.18 No.-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prove the effectiveness of a Kookhak-Kigong program to initiate the spirit of Sundo-Kigoing as Korean peoples` innate mind-body training techniques. For this research 1,320 elderly people who are over 60 years old participated in the Kookhak-Kigoing program with a questionnaire related to social changes based on populations and a measure of depression in the elderly citizen`s halls and houses. SPSS 18.0 was used for a statistical analysis of this research and the results are the following. First, When checking up on the depression of the elderly people according to the changes based on populations, society, their economical situation, for sex women are meaningfully higher than men for the depression. For ages, the degree of the depression of the participants who are older and older is heavier than the younger people. In a life style with or without their family, the elderly people who live with alone higher the degree of the depression than them who live their wives or husbands and children. For money, the elderly people with less 300,000 won higher meaningfully the degree of the depression than them with more than 900,000 won. For education, the elderly people without any education background higher meaningfully the degree of the depression than them with a degree of college or university. Second, according to the result a paired t-test between pretest-posttest, a control group and an experiment group, the effectiveness of the Kookhak-Kigong program shows that the elderly people in the experiment group low meaningfully in the weakening factor, depression factor, and whole depression factor. On the country, as time passes, the elderly people in the control group shows that the degree of the depression becomes worse.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above research, the elderly people who participated in the Kookhak-Kigong program makes meaningful differences in sex, ages, lifestyles with or without family, money and their education background. Also the Kookhak-Kigong program shows that this program makes the elderly people low the degree of the depression. Therefore, the Kookhak-Kigong program makes useful effects to make the elderly people low the depression and shows that this program can make a use as a tool to keep the elderly`s healthy life.

      • KCI등재

        노인 우울이 긍정심리자본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

        권순만,고재욱 사단법인 미래융합기술연구학회 2022 아시아태평양융합연구교류논문지 Vol.8 No.7

        In this study, the relationship between depression,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and social support in the elderly was confirmed. Furthermore, the moder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depression in the elderly and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was investigated. For this purpose, data were analyzed targeting 726 elderly people aged 65 and above living in Seoul city, and Gyeonggi province, and Gangwon province. Correlation analysi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depression,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and social support, which are major variable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conditioning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to verify the moder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depression and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The study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elderly depression and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showed a negative correlation, the elderly depression and social support showed a negative correlation, and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and social support had a positive correlation. Second, among the depressive factors of the elderly, personal depression and environmental depression had a significant negative effect on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and other depression had a negative effect only on hope among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factors. Third, it was possible to confirm the partial moder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depression in the elderly and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On the effects of personal depression and other depression on self-efficacy, family support and friend support showed a moderating effect, on the effect of environmental depression on hope, friend support and neighbor support showed a moderating effect, and personal depression on optimism Regarding the effect, family support showed a moderating effect, and on the effect of personal depression on resilience, friend support showed a moderating effect.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 method to reduce depression in the elderly and improve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is required, and to help the elderly with high depression to lead a healthy old life without loneliness by strengthening social support so as not to fall into depression. 본 연구에서는 노인의 우울, 긍정심리자본, 사회적 지지간의 관계를 확인하고 나아가 노인 우울이 긍정심리자본에 미치는 영향에서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경기·강원지역에 거주하고 있는 65세 이상 노인 726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분석하였다. 주요변인인 우울, 긍정심리자본, 사회적 지지들 간의 관련성을 살펴보기 위한 상관분석과 우울과 긍정심리자본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를 검증하기 위한 다중회귀분석과 조절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노인 우울과 긍정심리자본은 부적 상관관계, 노인 우울과 사회적 지지는 부적 상관관계, 긍정심리자본과 사회적 지지는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둘째, 노인 우울 요인 중 개인우울과 환경우울은 긍정심리자본에 유의미한 부적 영향을 주었고, 타인우울은 긍정심리자본 요인 중 희망에서만 부적 영향을 주었다. 셋째, 노인 우울과 긍정심리자본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의 부분적인 조절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개인우울과 타인우울이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가족지지와 친구지지가 조절효과를 보였고, 환경우울이 희망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친구지지와 이웃지지가 조절효과를 보였으며, 개인우울이 낙관주의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가족지지가 조절효과를 보였고, 개인우울이 복원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친구지지가 조절효과를 보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노인의 우울을 감소시키고 긍정심리자본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법이 요구되며, 우울감이 높은 노인들이 우울감에 빠지지 않기 위해 사회적 지지 강화를 통하여 고독하지 않고 건강한 노년기의 삶을 영위하도록 실천적정책적인 방안이 마련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노인학대, 자아존중감, 일상생활수행능력(ADL) 및 정신사회적 요인과 노인 우울 간의 관련성

        강월숙,문재우,박재산 한국보건사회학회 2011 보건과 사회과학 Vol.0 No.29

        To identify the impact of abuse, Self-Esteem, ADL, Psychosocial Factors on elderly depression, the survey was conducted on 1,000 elderly people in Seoul and Kyunggi-do from November 8 to November 26 in 2010. Data analyses were carried out using SPSS Ver. 12.0 and AMOS 7.0 software.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ellows;First, activities of daily living(ADL) had a positive impact on depression (p<0.01), and stress as psychological factors had a positive impact on depression(p<0.01). Second, the elderly abuse had a negative impact on self-esteem(p<0.001), and self-esteem had a negative impact on depression. In conclusion, the severer elderly abuse, the higher depression. Third, social support had a negative impact on depression(p<0.001). The result showed that the higher the social support of the elderly, the lower depression. Fourth, the family conflict had a positive impact on stress(p<0.01), as a result the higher family conflict, the severer depression in the elderly. Fifth, the family intimacy had a negative impact on depression(p<0.01), as a result the higher family intimacy, the lower depression in the elderly. In conclusion, self-esteem, ADL, stress factors had a direct impact on elderly depression in the elderly. And social support, family conflict and family intimacy were indirect factors affecting on the elderly depress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promotion of self-esteem, the resolution of family conflict, and the security of emotional support through family intimacy will be regarded as the most important factors for the mental healthy elderly . 노인의 신체적, 정신적 요인과 노인학대에 의한 자아존중감이 노인우울에 영향을 미치는가를 규명하기 위해 서울과 경기도 일부 지역에 위치한 노인복지관 65세 이상 노인 1,000명을 대상으로 2010년 11월 8일부터 26일까지 3주에 걸쳐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분석을 위한 모든 자료처리는 SPSS Ver.12.0을 이용하였고, 구조방정식모형은 AMOS Ver. 7.0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를 살펴보면,첫째, 노인의 일상생활동작능력(ADL)은 우울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p<0.01), 정신적 요인으로서 스트레스 또한 우울에 정(+)의 영향(p<0.001)을 주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노인학대는 자아존중감에 음(-)의 영향(p<0.001)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자아존중감은 우울에 음(-)의 영향(p<0.001)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노인학대가 심할수록 우울의 정도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사회적 지지가 정신적 요인인 스트레스에 음(-)의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나( p<0.001) 노인들의 사회적 지지가 높을수록 우울은 감소한다는 점을 알 수 있었다. 넷째, 가족간 갈등은 스트레스에 정(+)의 영향(p<0.01)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결국 가족간 갈등이 심할수록 노인들의 우울이 증가함을 알 수 있었다. 다섯째, 가족친밀감은 스트레스에 음(-)의 영향(p<0.01)을 주는 것으로 분석된 바, 가족친밀감이높을수록 노인 우울은 감소함을 알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노인의 자아존중감, ADL, 스트레스 요인은 노인 우울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나타났으며, 사회적 지지, 가족간 갈등, 가족친밀감 요인은 노인우울에 간접적인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결과에 근거하여 정신적으로 건강한 노인을 위해서는 자아존중감 증진, 가족간 갈등 해소와 가족 친밀감 향상을 통한 정서적 지지 확보가 가장 중요하다고 본다.

      • KCI등재

        BDI-Ⅱ에 의한 도시지역 노인의 우울 정도와 관련요인

        양수,김남초 대한간호학회정신간호학회 2001 정신간호학회지 Vol.10 No.4

        This study was conducted to measure the level of depression by BDI-Ⅱ which has not been used in Korea, and to identify factors influencing depression among the elderly. Data were collected from July to August 2000. Study participants were 301 elderly aged of 60 years or over who were recruited from 9 senior centers located in Seoul, Korea. The questionnaire consisted of demographics and BDI-Ⅱ by developed by Beck(1996). The data were analyzed byt-test, ANOVA.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mean score of depression was 17.10±9.76, which means mild depression by Beck(1996). Of the sample, 116(38.5%) were nondepressed, 72(23.9%) were mildly depressed, 74(24.6%) were moderately depressed, and 39(13.0%) were severely depressed. 2. Regarding the sub-dimensions, depression score was highest in the item of Lost of Interest in Sex, whereas the item-score of Suicidal. Thoughts or Wishes was lowest. 3. With respect to the Changes in Sleeping Pattern item, 15.6% subjects reported that they were sleeping more, and 56.1% indicated that they were sleeping less. For changes in Appetite, 57.2% endorsed decreased appetite, whereas 10.4% reported increased appetite. 4. The mean score of depression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terms of following factors: gender, age, existence or absence of a spouse, family resident, education, provider of living expenses, number of going out, number of friends, perceived health status, ADL, knowledge of the cause of depression, thought of prognosis for depression. 5. In the multiple stepwise regression analysis on depression, significant predictors were existence or absence of a spouse, ADL, gender, thought of prognosis for depression, number of going out, family resident. These variables explained 24.9% of depression. In the light of these results, this study will be further used as a basic data to identify risk factors of depression and to realize the importance of care for depressed elderly. Also, these results showed that the education for the depressed elderly is very important. Therefore much attention has to be paid to elderly from the standpoint of mental health nursing. We would like to make following suggestions based 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 The development of intervention program to help the community-dwelling elderly seek treatment modalities are offered. * Further study research on a development of a model which comprehensive explains depression of the elderly should be needed. * It is necessary to study systematically the availability of BDI-Ⅱ with consideration of the cultural differences.

      • KCI등재후보

        한국의 일 도시에서 노인과 비노인 주요 우울 장애의 증상 비교

        홍성욱(Sung-Wook Hong),이대수(Dae-Su Lee),제영묘(Young-Myo Jae),장세헌(Sae-Heon Jang),최진혁(Jin-Hyuk Choi),장유경(Yu-Kyung Jang),윤창영(Chang-Young Yoon) 대한생물치료정신의학회 2008 생물치료정신의학 Vol.14 No.1

        목적 우울증은 가장 흔한 정신장애 중 하나이지만, 임상 양상은 매우 다양하다. 임상적으로 우울증 환자들 중에서 우울한 기분의 호소 없이 신체 증상만을 호소하는 경우도 흔하며 이러한 양상은 구미보다는 아시아에서, 젊은 성인보다는 노인에서 더 흔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우울증 증상의 표현은 사회문화적 요인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는 전제 하에서, 17개 항목의 해밀톤 우울증상 척도[Hamilton Rating Scale for Depression-17(HAM-D-17)]를 사용해서 한국의 일 도시에서 노인 군(n=39)과 비노인군(n=54)의 우울증상 표현 양상 특징을 비교해 보았다. 연구자료 및 방법 본 연구에서는 노인군과 비노인군의 우울증상 표현 양상을 비교하기 위해서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 4th edition(DSM-Ⅳ)의 진단 기준에 의해 주요우울장애로 진단되어 2006년 9월부터 2007년 2월까지 부산시 소재 김원묵 기념 봉생 병원에서 치료 받았던 93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17개 항목의 해밀톤 우울증상 척도를 시행하였다. 또한 두 군간 결과의 차이를 비교 분석하기 위해서 독립 표본 T-검정 (independent T-test)를 사용하였으며, 피어슨 상관계수를 적용하여 HAM-D-17과 사회인구학적 요소간의 상관관계를 확인해 보았다. 결과 HAM-D-17을 사용해 노인군과 비노인군의 우울 증상을 비교 평가해본 결과, 노인군은 7번 항목(일과 활동) (t=3.639, p=0.000), 8번 항목(지체) (t=2.063, p=0.042), 9번 항목(초조) (t=2.419, p=0.01), 11번 항목(신체적 불안) (t=2.403, p=0.018), 12번 항목(위장관계 신체 증상) (t=3.260, p=0.002)에서 비노인군보다 의미 있게 높은 점수를 보인 반면, 14번 항목(성적 증상) (t=-9.519, p=0.000)은 낮은 점수를 보였다. 결론 노인 주요 우울 장애 환자들은 비노인 주요 우울 장애 환자들보다 일과 활동 지체, 초조, 신체적 불안, 위장관계 신체 증상 등의 호소는 많았고, 성적 증상의 호소는 유의하게 적었으나, 우울한 기분의 호소는 두 군 간에 차이가 없었다. Objectives: Depressive disorders are very common diseases in the world. However, it shows various aspects in clinical manifestations. Clinically, depressive patients commonly show somatic symptoms only without any signs of depressed mood. It has been known that this kind of features occur more often in Asian societies than in Western, and moreover, in elderly than non-elderly. So far as the expression of depressive symptoms is much affected by sociocultural factors, using the 17 items Hamilton Rating Scale for Depression(HAM-D-17), this research compared the expressive characteristics of depressive symptoms between elderly(n=39) and non-elderly(n=54) in Busan city in South Korea. Material and Methods : To compare the clinical manifestation of depressive disorders between elderly and nonelderly, we evaluated 93 patients using 17 items of Hamilton Rating Scale for Depression(HAM-D-17). The differences between two groups were analyzed using independent t-test. Also, we correlated HAM-D-17 items with sociodemographic factors using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ll patients were diagnosed major depressive disorder according to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 4th edition(DSM-Ⅳ) and they had been treated at Bongseng hospital in Busan city from September 2006 to February 2007. Results: There were some differences in HAM-D-17 scores between elderly and non-elderly. Elderly patients scored significantly higher in item 7(work and activities) (t=3.639, p=0.000), item 8(retardation)(t=2.063, p=0.042), item 9(agitation) (t=2.419, p=0.01), item 11 [nxiety(somatic)]t=2.403, p=0.018), item 12[omatic symptoms(gasrointestinal)]t=3.260, p=0.002), but lower in item 14(genital symptoms)(t=-9.519, p=0.000) than non-elderly. Conclusions: We concluded that elderly patients reported significantly higher levels of work and activities, retardation, agitation, anxiety(somatic), somatic symptoms(gastrointestinal), but lower level of genital symptoms than non-elderly patients.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complaining of depressed mood between two groups.

      • KCI등재

        노인의 은퇴 이후 우울발생까지의 기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이성진 ( Sung-jin Lee ),윤기혁 ( Gi-hyeok Yun ),이진열 ( Jin-yeol Lee ) 아시아문화학술원 2017 인문사회 21 Vol.8 No.5

        본 연구는 은퇴 이후 노인의 우울의 발생 시기, 노인집단별 우울의 발생위험도 차이, 은퇴 이후 우울 발생까지의 기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고찰하였다. 이를 위해 부산광역시와 경상남도의 복지관(사회복지관 및 노인복지관) 이용 노인과 지역 거주노인들 32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생존분석법의 생명표법모델과 콕스회귀모형을 사용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우울감 인지는 성별과 연령별로 차이를 보이고, 우울증 진단은 성별·연령별·동거형태별로 차이를 보인다. 둘째, 생명표분석에 의하면, 우울감과 우울증의 발생 비율은 은퇴이후 1-2년 뒤가, 우울증 발생 위험률은 6년차, 11-16년 등의 시기, 그리고 노인집단별 차이는 우울증에서만 나타났다. 셋째, 노인들의 은퇴 후 우울감 발생 기간에는 자녀와의 동거, 정서폭력, 방임, 종교활동, 생산노무직 등이 은퇴이후 우울증 진단까지의 기간에는 정서지원과 기초생활보장지원 등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결과를 바탕으로 노인우울의 예방과 대응을 위한 방안을 제언하였고 향후 은퇴이후 노인의 우울증 등을 경감시킬 수 있는 실천적인 연구를 후속 연구로 제안한다. This study intends to examine the time of occurrence of depression in the elderly after retirement, the difference in degree of risk of occurrence of depression by elderly group, and the factors influencing the period from their retirement to occurrence of depression. Data was collected through a survey targeting 320 elderlies visiting social welfare centers in Busan and Gyeongsangnam-do as well as those residing in the regions, and actuarial model and cox regression model of survival analysis were used.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diagnosis of depression varies by gender and age, and diagnosis of depression varies by gender, age, and cohabitation. Second, the incidence of depression and depression in the second half of the year ranged from one year to two years after the onset of depression, and the incidence of depression in depression occurs in periods ranging from six to 16 years of age, and the difference between the elderly and the elderly. Third, when the retirement elderly, such as retirement, emotional violence, neglect, religious activities, and manufacturing age, emotional support and support for depression, emotional support and basic welfare support were affected.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ions for the prevention and countermeasures of depression in the elderly are suggested and future research is suggested to reduce the depression of elderly people after retirement in the future.

      • 경로당 이용 노인의 특성이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 우울감 매개효과 중심으로 -

        강희성 ( Kang Hi-sung ),정신섭 ( Jung Shin-sub ) 한국사회복지경영학회 2017 사회복지경영연구 Vol.4 No.1

        본 연구는 경로당을 이용하고 있는 노인들의 심리적 안녕감을 향상시키는 방안을 모색하기 위하여 경로당 이용 노인의 특성과 우울감을 변수로 설정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농어촌 경로당 이용 노인 652명으로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고 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경로당 이용 노인의 특성이 우울감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는 정서심리 관계요인, 가족 관계요인, 경제 관계요인이 우울감에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노인의 우울감을 감소시키기 위해서는 신체건강관계요인과 사회 관계요인보다는 정서심리 관계요인, 가족 관계요인, 경제 관계요인을 향상시키는 방안이 요구된다. 둘째, 경로당 이용 노인의 특성이 심리적 안녕감에 영향을 미치는 연구결과에서는 정서심리 관계요인, 가족 관계요인, 사회 관계요인, 경제 관계요인이 심리적 안녕감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노인의 심리적 안녕감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신체건강 관계요인보다 정서심리 관계요인, 가족 관계요인, 사회 관계요인, 경제 관계요인을 향상시키는 것이 더 효과적임을 알 수 있다. 셋째, 경로당 이용 노인의 우울감이 심리적 안녕감에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노인의 심리적 안녕감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노인의 우울감을 감소시킬 수 있는 방안이 요구된다. 넷째, 경로당 이용 노인의 특성이 심리적 안녕감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우울감이 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노인의 특성이 노인의 심리적 안녕감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기도 하지만, 우울감 역시 노인의 심리적 안녕감에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노인의 심리적 안녕감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노인의 특성과 우울감을 동시에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이 요구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seek ways to promote the psychological well-being of elderly people using senior citizen center. The traits of elderly people in the senior center and depression were set as variables. 652 people using the senior center in rural areas were surveyed an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factor of psychological emotion, family relations, and economic status had a negative effect on depression as the effect of the traits of elderly people in the senior center on depression. Based on this result, it is needed to find out how to improve the factor of psychological emotion, family relations, and economic status rather than physical health status and social relations in order to reduce depression of elderly people. Second, the factor of psychological emotion, family relations, social relations, and economic status had a positive effect on psychological well-being as the effect of the traits of elderly people in the senior center on psychological well-being. Therefore, it suggests that it is more effective to improve the factor of psychological emotion, family relations, social relations, and economic status rather than physical health status in order to improve the psychological well-being of elderly people. Third, depression of the elderly people in the senior center had a negative effect on psychological well-being. Namely, it is needed to find ways to reduce depression of elderly people to improve the psychological well-being of them. Finally, depression had mediating effect in the influence of the traits of elderly people in the senior center on psychological well-being. In other words, we can find out that the traits of elderly people not only have the direct effect on the psychological well-being of them but depression also influences on the psychological well-being of the elders. Therefore, it is needed to find ways to improve the traits of the elders and depression simultaneously to promote the psychological well-being of elderly people.

      • KCI등재

        노인의 사회적 지지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 : 여가활동만족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권영순(Kwon, YoungSoon),오서진(Oh, SeoJin),이상주(Lee, SangJoo) 한국노년교육학회 2020 노년교육연구 Vol.6 No.1

        본 연구에서는 노인의 사회적 지지가 노인의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 여가활동만족이 이러한 관계에서 어떠한 효과를 가지는지 확인하여, 노인의 우울을 감소시키기 위해 요구되는 사회적 캠페인과 수립되어야 할 정책의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시행되었다. 본 연구의 분석자료는 제5차 국민노후보장 패널 본조사 및 부가조사이며, 분석대상자는 국민노후보장 패널 응답자 중 만 65세 이상의 노인들 중 결측 값이 없는 응답자 2870명이었다. 본 연구의 독립 변수는 노인의 사회적 지지이며 4개의 하위요인으로 구성되었다. 그리고 본 연구의 종속 변수는 노인의 우울로, 조절 변수는 노인의 여가생활만족도로 설정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노인의 사회적 지지에 따른 노인의 우울을 살펴본 결과, 사회적 지지의 하위요인 중 정서적 지지, 물질적 지지, 평가적 지지는 그 수준이 높을수록 우울이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정보적 지지는 그 수준이 높을수록 우울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사회적 지지와 우울의 관계에서 여가활동만족도의 조절효과를 살펴본 결과 정서적 지지와 우울의 관계(t=2.899, p<.01), 평가적 지지와 우울의 관계(t=2.361, p<.05)에서 여가활동만족이 조절효과가 있음이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제시된 노인 정책과 사회적 인식의 바람직한 방향성은 다음과 같다. 첫째, 노인의 우울을 감소시키기 위해서는 노인을 위한 정책과 사회적 배려에 있어 정보적 지지에서 머무는 것이 아니라, 정서적, 물질적, 평가적 지지 등의 심리적, 물리적, 경제적 차원의 실질적인 지원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둘째, 노인들의 우울을 감소시키기 위해서는 노인의 정서적 지지와 평가적 지지를 높이는데 도움이 되는 여가활동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제공할 필요가 있다는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social support on the depression of the elderly and to identify the effects of leisure satisfaction on these relationships. And by that, it was implemented to suggest the direction of social campaigns and policies to be established to reduce the depression of the elderly. The analysis data of this study was the 5th KReIS, and the subjects were 2870 elderly people over 65 years old. The independent variable of this study was the social support of the elderly and consisted of four subfactors. The dependent variable of this study was the depression of the elderly and the moderating variable was the leisure life satisfaction of the elderly. The analysis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depression of the elderly according to the social support, emotional support, material support, and evaluative support were found to decrease the depression with higher levels, but informative support was found to increase the depression with higher level. Second, leisure activity satisfaction had a moder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support and depression, and the evaluation support and depression. With these results, the suggested directions of the elderly policy and social awareness are as follows. First, in order to decrease the depression of the elderly, substantial support at the psychological, physical and economic level(emotional support, material support, and evaluative support) are needed over the inforamative support. Second, in order to decrease the depression of the elderly, it is necessary to develop and provide a leisure activity program that helps to increase the emotional and evaluative support of the elderly.

      • KCI등재

        노인맞춤돌봄서비스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우울증의 매개효과 -

        순덕기 한국전시산업융합연구원 2023 한국과학예술융합학회 Vol.41 No.1

        This study was started to analyzes the impact of elderly customized care services on the life satisfaction, verifies the mediating effect of depress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current status of customized care services for the elderly, examined how customized care services affect depression and life satisfaction, and use them as basic data for the development direction and policy suggestions of customized care services for the elderly. Therefore, this study established a model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depress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nfluence of customized care services for the elderly on life satisfaction. To this end, a quantitative survey was conducted on 1,750 elderly people who were service users at institutions providing customized care services in seoul province. The data of 1,740 people who completed the survey were analyzed using the SPSS 22.0 program, and the main findings are as follows. Among the sub-factors of the elderly customized care service, life education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 significant effect on life satisfaction, and life education had a negative (-) significant effect on depression. Depression had a negative (-) significant effect on life satisfaction. Therefore, depression was found to have a complete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life education and life satisfaction. It was found that among the customized care services for the elderly, providing more life education services rather than directly increasing life satisfaction reduces depression and life satisfaction. Based on these research results, the development direction and policy suggestions of customized care services for the elderly are as follows. First, it is necessary to faithfully provide the most basic welfare services to solve food, clothing, and shelter. Second, it is necessary to expand the care hours of customized care services for the elderly. Third, the types of customized care services for the elderly should be expanded in various ways. Fourth, in order to increase the life satisfaction of the elderly, it is necessary to actively support programs to expand life education service hours and prevent or reduce depression of the elderly. 본 연구는 노인맞춤돌봄서비스를 제공받는 노인을 대상으로 노인맞춤돌봄서비스, 우울증, 삶의 만족도의 구조적관계 파악하기 위해서 시작되었다. 본 연구의 목적은 노인맞춤돌봄서비스의 현황과 실태를 파악하고 노인맞춤돌봄서비스가 우울증과 삶의 만족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검증하고 노인맞춤돌봄서비스의 발전방향성 및 정책적 제언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본 논문은 노인맞춤돌봄서비스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관계에서 우울증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한 모형을 구축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시에서 노인맞춤돌봄서비스를 제공받는 노인 1,750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이용하여 양적 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 완료한 1,740명의 자료를 SPSS 22 프로그램을 이용해 분석하였으며, 연구결과 및 내용은 다음과 같다. 노인맞춤돌봄서비스의 하위요인 중 생활교육이 삶의 만족도에 정(+)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생활교육이 우울증에 부(-)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우울증은 삶의 만족도에 부(-)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그러므로 생활교육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관계에서 우울증이 완전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노인맞춤돌봄서비스 중 신체건강교육과 정신건강교육의 생활교육서비스가 삶의 만족도에 직접적으로 높이기보다는 생활교육서비스를 많이 제공하면 우울증이 낮아지고 삶의 만족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노인맞춤돌봄서비스의 발전방향과 정책적 제언을 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의식주를 해결하기 위한 가장 기본적인 복지서비스를 충실히 제공해야 한다. 둘째, 노인맞춤돌봄서비스의 이용시간을 확대하여야 한다. 셋째, 노인맞춤돌봄서비스의 종류를 다양하게 확대시켜야 한다. 넷째, 노인맞춤돌봄서비스를 통해 노인의 삶의 만족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노인들에게 생활교육서비스 시간을 확대하고 우울증을 예방하거나 감소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적극적으로 지원할 필요가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