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Missio Dei and Korean Church

        김은수 한국기독교학회 선교신학회 2012 선교신학 Vol.29 No.-

        하나님의 선교(Missio Dei)가 1952년 이후 세계교회에 처음 등장한 후, 한국은 1969년 1월 한국기독교교회협의회(NCCK)의 제2차 총회를“오늘의 한국에 있어서의 Missio Dei”라는 주제로 열면서 공교회의 협의체에 의해 정식으로 도입하였다. 한국교회가 하나님의 선교를 받아들이게된 배경은 세 가지로 정리된다. 먼저는 NCCK회원 교단들이 주축이 된 도시산업선교(UIM)의 활동이라고 할 수 있다. UIM이 Missio Dei의 배경이 될 수 있었던 것은 한편, 1960년대 한국의 급격한 산업화와 노동환경의 변화, 그에 따른 성장위주의 군사독재정권에 대한 선교적 대응으로서 Missio Dei를 현재적 종말론적 시각에서 수용한 것이고 다른 한편, 예수 그리스도의 복음을 과거와는 달라진 한국적 상황에서 새롭게 발견하고 이것을 선교적 과제로 수용한 한국교회의 자의식과 신학적 발전의 결과라고 할 수 있다. 다음은 1960년대 그리스도인들의 사회 정치적 참여이다. 이들은 하나님의 통치가 한국교회에는 물론 한국역사 속에서도 이루어져야 한다는 강한 의식에서 교회는 사회문제를 진지하게 수용하여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NCCK 회원교회를 중심으로 전개된 이러한 노력은 삼위일체 하나님의 선교의 영역이 교회 안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세계역사 속에서도 계속되어야 한다는 인식이 확산됨으로써 Missio Dei신학을 공교회가 받아들이게 되는 중요한 배경이 되었다. 끝으로 토착화논의이다. 그 주요쟁점은 성서전통과 한국문화전통과의 연결성이다. 서남동은 기독교역사의 민중전승과 한국의 일반역사의 민중전승의 두 백성 모두 고난의 역사로 보고 한국교회의 선교적 과제는 기독교와 한국의 두 민중전승이 Missio Dei 안에서 합류하는 것이라고 주장하였다. 따라서 전통문화와 종교와의 대화는 토착화논의의 중요한 주제이며, 1963년 Mexico 세계선교와 전도위원회(CWME)의 쟁점이었다. 결국 한국교회의 토착화 논의에는 Missio Dei신학이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하지만 한국교회의 ‘Missio Dei’ 이해에는 중대한 문제점도 내포하고 있었다. 1976년 한국신학연구소의 심포지엄에서 ‘Missio Dei’를 지지하는 심일섭과 비판하는 김명혁이 각각 주제를 발표하면서 중대한 오류를 범하였다. 이들은 Missio Dei란 말을 공적으로 처음 사용한 때가 1952‘윌링엔’대회이며 ‘호켄다이크’가 주장하였다고 하였으나 대회의 공식보고서나 대회기간 중에 사용된 적이 없을 뿐 아니라 Missio Dei는 후켄다이크가 아니라 독일 슈투트가르트의 감독 하르텐슈타인이 처음 사용하였기 때문이다. NCCK가 Missio Dei를 공식 수용한 총회를 직접적으로 비판한 반응은 거의 없었으나 에큐메니칼 선교에 대한 보수적인 교회들의 비판은 매우 강하였다. 대표적으로 1975 서울에서 개최된 The evangelical Conference for Mission을 들 수 있다. 이들은 “social-political oriented Missio Dei”에 대항하여 구속에 대한 성서적 가르침에 근거한 “Missio Christi”로 대체되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그러나 1982년 채택된 “The Seoul Declaration: Toward an Evangelical Theology for the Third World”에서 복음주의자들은 서구신학을 비판하면서 고난당하는 자들의 관점에서 자신들의 해석학을 찾고자 시도하였고, 그 결과 Missio Dei를 선언문에서 고백하였다. 하지만 여전히 일부 복음주의자들은 Missio Dei를 부정적인 시각으로 보고 있다. 따라서 한국교회의 과제는 Missio Dei를 복음의 토착화를 위한 단초로 삼는 것과 ‘Missio Dei’를 한국교회의 일치를 위한 신학적 근거로 활용하는 것 그리고 ‘Missio Dei’를 성령론적 관점에서 발전시키는 것이다.

      • KCI등재

        Missio Dei and Korean Church

        EunSoo KIM 한국선교신학회 2012 선교신학 Vol.29 No.-

        하나님의 선교(Missio Dei)가 1952년 이후 세계교회에 처음 등장한 후, 한국은 1969년 1월 한국기독교교회협의회(NCCK)의 제2차 총회를 “오늘의한국에있어서의Missio Dei”라는주제로열면서공교회의협의체 에 의해 정식으로 도입하였다. 한국교회가 하나님의 선교를 받아들이게 된 배경은 세 가지로 정리된다. 먼저는 NCCK회원 교단들이 주축이 된 도시산업선교(UIM)의 활동이라고 할 수 있다. UIM이Missio Dei의배경이 될 수 있었던 것은 한편, 1960년대 한국의 급격한 산업화와 노동환경의 변화, 그에 따른 성장위주의 군사독재정권에 대한 선교적 대응으로서 Missio Dei를 현재적 종말론적 시각에서 수용한 것이고 다른 한편, 예수 그리스도의 복음을 과거와는 달라진 한국적 상황에서 새롭게 발견하고 이것을 선교적 과제로 수용한 한국교회의 자의식과 신학적 발전의 결과라고 할 수 있다. 다음은 1960년대 그리스도인들의 사회 정치적 참여이다. 이들은 하나님의 통치가 한국 교회에는 물론 한국 역사속에서도 이루어져야한다는 강한 의식에서 교회는 사회문제를 진지하게 수용하여야한다고 주장하였다. NCCK 회원교회를중심으로전개된이러한 노력은 삼위일체 하나님의 선교의 영역이 교회안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세계 역사속에서도 계속되어야한다는 인식이 확산됨으로써 Missio Dei신학을 공교회가 받아들이게되는 중요한 배경이 되었다. 끝으로 토착화논의이다. 그 주요 쟁점은 성서전통과 한국문화전통과의 연결성이다. 서남동은 기독교역사 의민중전승과한국의일반역사의민중전승의두백성모두고난의역사로 보고 한국교회의 선교적 과제는 기독교와 한국의 두 민중전승이 Missio Dei 안에서 합류하는 것이라고 주장하였다. 따라서 전통문화와 종교와의 대화는토착화논의의중요한주제이며, 1963년Mexico 세계선교와전도위 원회(CWME)의 쟁점이었다. 결국 한국교회의 토착화 논의에는 Missio Dei신학이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하지만 한국교회의 ‘Missio Dei’ 이해에는중대한 문제점도 내포하고 있었다. 1976년 한국신학연구소의 심포지엄에서 ‘Missio Dei’를 지지하는 심일섭과 비판하는 김명혁이 각각 주제를 발표하면서 중대한 오류를 범하였다. 이들은 Missio Dei란 말을 공적으로 처음 사용한 때가 1952 ‘윌링엔’대회이며 ‘호켄다이크’가 주장하였다고 하였으나 대회의 공식보고서나 대회기간중에 사용된 적이 없을 뿐 아니라 Missio Dei는 후켄다이크가 아니라 독일 슈투트가르트의 감독 하르텐슈타인이 처음 사용하였기 때문이다. NCCK가 Missio Dei를 공식 수용한 총회를 직접적으로 비판한 반응은 거의 없었으나 에큐메니칼 선교에 대한 보수적인 교회들의 비판은 매우 강하였다. 대표적으로 1975 서울에서 개최된 The evangelical Conference for Mission을 들 수 있다. 이들은 “social-political oriented Missio Dei”에 대항하여구속에대한성서적가르침에근거한“Missio Christi”로대체되어 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그러나 1982년 채택된 “The Seoul Declaration: Toward an Evangelical Theology for the Third World”에서복음주의자들은 서구신학을 비판하면서 고난당하는 자들의 관점에서 자신들의 해석학을 찾고자시도하였고, 그결과Missio Dei를선언문에서고백하였다. 하지만 여전히 일부 복음주의자들은 Missio Dei를 부정적인 시각으로 보고 있다. 따라서 한국교회의 과제는 Missio Dei를 복음의 토착화를 위한 단초로 삼는것과‘Missio Dei’를한국교회의일치를위한신학적근거로활용하는 것 그리고 ‘Missio Dei’를 성령론적 관점에서 발전시키는 것이다.

      • KCI등재

        글로벌 10대 기업의 DEI(다양성, 형평성, 포용성) 전략 및 커뮤니케이션에 관한 탐색적 고찰

        박한나,진범섭 한국광고PR실학회 2024 광고PR실학연구 Vol.17 No.1

        최근 ESG와 함께 다양성(diversity), 형평성(equity) 및 포용성(inclusion)을 포괄하는 DEI 개념이 중요한 이슈로 부각되고 있다. 본 연구는 세계 경제를 선도하는 글로벌 기업들이 DEI를 어떻게 경영 전략에 통합하고 커뮤니케이션하는지를 PR관점에서 분석하였다. 포춘(Fortune)지가 발표한 2023 글로벌 500대 기업 중 상위 10곳을 대상으로 사례연구를 진행하여 각 기업의 웹사이트, DEI 및 ESG 보고서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고, 이를 통해 기업의 DEI 관련 정책 및 프로그램, 웹사이트를 통한 기업의 DEI 커뮤니케이션 전략을 탐색하였다. 분석 결과, DEI는 단순한 윤리적 의무를 넘어서 글로벌 10대 기업 경영 전략의 핵심 요소로 확인되었다. 이들 기업은 다양성, 형평성 및 포용성에 기반한 조직문화와 업무 환경 구축을 통해 직원들의 만족도와 소속감을 향상시키며, 이를 통해 비즈니스 성과의 극대화를 도모하고 있다. 본 연구는 PR 실무자들과 국내 기업에 DEI 전략과 커뮤니케이션에 대한 이해를 제공하고, 향후 DEI 연구를 위한 기반을 마련하고자 한다. The concept of DEI (Diversity, Equity, and Inclusion), alongside ESG (Environmental, Social, and Governance), has emerged as a pivotal issue in contemporary business practices. From a public relations standpoint, this study analyzes how the top 10 global corporations leading the world economy strategically approach and communicate DEI initiatives. A case study was conducted focusing on the top 10 companies featured in Fortune's 2023 Global 500 list. Data were collected from each company’s website, as well as their DEI and ESG reports, to evaluate their DEI initiatives and communication strategies. The analysis revealed that DEI is more than a mere ethical obligation and has become a core element of the business strategies of the top 10 global companies. These companies have enhanced employee satisfaction and a sense of belonging by establishing a work environment and organizational culture based on DEI, thereby maximizing business performance. This study aims to provide PR practitioners and companies in Korea with an understanding of DEI strategies and communication. It also seeks to lay the groundwork for future research on DEI.

      • KCI등재

        연구 논문 : 초기 그리스도교 회화의 “마누스 데이(Manus Dei)” 도상연구

        조수정 ( Soo Jeong Cho ) 한국미학예술학회 2010 美學·藝術學硏究 Vol.32 No.-

        ‘마누스 데이(Manus Dei, 하느님의 손)’은 그리스도교 회화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고, 또한 가장 오래된 소재라고 흔히들 간단하게 말한다. 그러나 이렇게 단언하는 데 대한 자세한 설명이나 구체적인 예를 언급한 연구는 매우 드물고, 그 도상학적 중요성에 대한 인식은 이미 일반화되어 있으나, 본격적 연구의 대상으로서는 아직까지도 소홀이 다뤄지는 감이 있다. 따라서 본 논문은 ‘마누스 데이’이 라는 조형적 이미지의 기원, 그리고 그리스도교 회화에서의 등장과 초기의 발전 양상을 조명하고, 그 도상학적 의미의 분석을 통한 심도 있는 이해를 목적으로 삼는다. ‘두려운 신비(Mysterium Tremendum)’로 표현되는 하느님은 인간의 지력을 넘어서는, 그래서 인간과는 아주 다른 존재로 종종 묘사된다. ‘마누스 데이’는 이러한 신적 초월을 표현하는 도구로 쓰인다. 한편 ‘마누스 데이’는 인간에 대한 하느님의 섭리를 나타내기도 한다. < 아브라함의 희생제사>, < 이집트 탈출>, 그리고 <불가마 속의 세 히브리 청년>과 같은 그림에 그려진 ‘마누스 데이’는 한결 같이 인간을 찾아나서는 아버지로서의 하느님을 의미하고 있다. 본문에서는, 마이우스 묘지(Coemeterium Maius)와 아를르의 석관(Sarcophage d`Arles), 그리고 성 사비나 (Santa Sabina) 성당의 문에 조각된 ‘마누스데이’의 예를 분석하였다. 여기서는 특히 ‘마누스 데이’가 지닌 종말론적 성격에 주목하였다. 초기 그리스도교 미술의 예에서 보듯, 카타콤바와 석관에 등장 하는 ‘마누스 데이’는 인간의 구원에 대한 희망을 표현하고 있기 때문이다. 또한 ‘마누스 데이’의 기원과 유래를 조명하기 위해, 유태교 미술, 특별히 두라 유로포스(Doura-Europos)의 시나고그에 그려진 프레스코화와의 비교연구를 시도하였다. 유태교 전통은 사상적으로 그리스도교에 많은 영향을 주었고, 이는 회화의 영역에서도 그대로 감지되며, ‘마누스 데이’의 경우, 유태교의 회화적 전통은 그 도상의 성립에 중요한 영향을 미쳤다. 마지막으로 비잔틴 주화에 새겨진 황제의 초상 에 ‘마누스 데이’가 그려진 점에 주목하여, 로마 미술의 영향에 대한 고찰과 아울러, 이 도상의 의미가 비잔틴 제국 내에서 어떻게 정착되는지 설명하였다. 비잔틴 주화의 예에서 보듯,‘마누스 데이’의 상징성은 지상의 군주, 즉 비잔틴 제국의 황제의 통치권에 신적 정당성을 부여하려는 정치적 의도에 결부되기도 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보았듯, ``Manus Dei`` 라는 이미지는 무(無)에서부터 어느 날 갑자기 생겨난 것이 결코 아니다. 여기에는 그리스도교의 전통 뿐만 아니라, 유태교와 로마미술의 영향이 날실과 씨실처럼 얽혀 있으며, 우리의 짧은 연구에서 포착하지 못한 또 다른 시각언어가 개입되었을 수 있다. 또한 ``Manus Dei``는 고정된 이미지가 아니다. 아브라함과 모세, 그리고 부활에 관한 초기의 한정된 주 제에 머물지 않고, 그 의미의 폭을 넓혀 나간다. 구원의 문제에 있어서 세례와 성체성사의 중요성이 점차 강조됨에 따라, ``Manus Dei``는 그리스도의 세례나 미사 전례를 주제로 한 그림에 도입되고, 이후 하느님의 손의 의미 확대와 더불어 다 양한 도상에 등장하게 된다. 생명력 있는 이미지로서, 현재를 살아가는 우리 각자 에게 또 다른 의미로 다가오는 ``Manus Dei’는 앞으로도 계속 연구되어야 할 과제를 남겨주고 있다. Depicted as a hand reaching down from above, ``Manus Dei`` was the most typical symbol of the God Father, not only in the beginning of the Christian epoch but also through the Middle Age. It is simply said that the ``Manus Dei`` is one of the most popular and ancient symbols of God. But very few study explained the reason or showed concrete examples about this affirmation. Although the iconographic importance of ``Manus Dei`` has been already generalized, it is difficult to find a detailed study on the ``Manus Dei``. In this study, we trace the origin of ``Manus Dei`` in the early christian art and focus on its iconological meanings. For this, we analyse some examples of ``Manus Dei``, painted on the wall of Coemeterium Maius, sculptured on a sarcophagus of Arles and on the front door of the basilica of Saint Sabina Also, an comparative analyses of the jewish art-especially the frescoes of the synagogue of Doura Europos-and the early christian art is carried out. Finally, we discuss the iconographical influence of roman art on ``Manus Dei``, dealing with byzantine coins. Often described as Mysterium Tremendum, God is fully different from man, beyond human perception. ``Manus Dei`` represents this transcendence of God. This ancient symbol indicates also His concern for man. ``Manus Dei`` depicted in the scene of ``Sacrifice of Abraham``, of ``Exodus``, and of ``Three young Hebrew in the furnace`` show His search for man. We can as well point out the eschatological signification of ``Manus Dei``; the examples from catacombs and sarcophagus reflect the economy of salvation. As we see through the examples of byzantine coins, the symbolism indicates that the temporal n1er of the Empire is receiving divine sanction for his authority.

      • KCI등재후보

        성경적 상황화를 위한 ‘Missio Dei’의 재고(再考)

        배춘섭 개혁신학회 2020 개혁논총 Vol.51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evaluate the ‘Mission of God’(Missio Dei) for biblical contextualization. The modern contextualization of the Bible can convey different meanings in the context of the Evangelism and the Ecumenicalism. The conceptual difference of the contextualization results from the different approaches to the Missio Dei. Firstly, the Lausanne Congress interprets the contextualization as a process of effective delivery of the Gospel to another culture without any changes or distortion to the original meaning thereof. On the other side, WCC values the contextual theology of understanding the Gospel in all areas and contexts of the mission including the theology and ethics. Such divergence in the contextualization is a result of two different perspectives in understanding the Missio Dei. Consequently, development of the two concepts has led to contextualization of different concepts in the Evangelism and the Ecumenicalism camps. Missio Dei was first discussed at the Willingen Conference in 1952 by Karl Hartenstein. Later, the concept was spread by Vicedom, followed by Newbigin, who defined the Missio Dei from the perspective of the Holy Trinity. Yet, Hoekendijk proposed a different approach to Missio Dei at the conference. He emphasized the coming of God on the Earth as Shalom to explain the Missio Dei, which means the Context is considered to be more important than the Church. WCC has accepted this argument and, as a consequence, justified the development of the contextualized theology for certain cultures. However, C. Wright had a frontal refutation of the ideas of Missio Dei and the contextualized theology. Nowadays, in the postmodernism, his missionary Biblical analysis alerts the risks of the divergently developed contextualized theology. In conclusion, he argues for the demand for the actualization of the ‘Mission Dei’ of God’s redemption of his people through Biblical contextualization of the God’s messages in the Bible in the various contexts of the rapidly changing world. 본 논문의 목적은 성경적 상황화를 위해 ‘하나님의 선교’(Missio Dei)를재고하는 데 있다. 오늘날 상황화는 복음주의와 에큐메니컬 두 진영에 의해 다른 의미로 이해된다. 이런 상황화의 개념적 차이는 그들이 Missio Dei 에 대한 다른 관점에서 비롯된다. 먼저 로잔대회는 복음을 타문화권에 의미의 변형이나 왜곡 없이 효율적으로 전달하는 과정으로서 상황화를 이해한다. 반면 WCC의 상황화는 신학과 윤리를 포함해 선교의 모든 영역들을상황 속에서 복음을 이해하는 상황화 신학을 중시한다. 이런 상황화의 두흐름은 Missio Dei를 다른 시각으로 해석한 결과이다. 이런 이유로 Missio Dei의 두 개념적 발전은 복음주의와 에큐메니컬 진영 안에서 각기 다른 개념의 상황화를 빚어낸다. Missio Dei는 칼 하르텐슈타인(Karl Hartenstein)에의해 1952년 빌링겐 대회(Willingen Conference)에서 처음 거론되었다. 이후휘체돔(Vicedom)이 이를 보급하고, 뉴비긴(Newbigin)은 삼위일체의 관점에서 Missio Dei를 정립했다. 하지만 이 대회에서 호켄다이크(Hoekendijk)는Missio Dei를 다른 관점으로 제시한다. 그는 Missio Dei를 샬롬(Shalom)으로서 하나님이 이 땅에 오신 것을 강조했다. 그래서 그의 Missio Dei는 세상(Context)이 교회보다 더 중요시 된다. 이런 그의 주장을 WCC는 그대로 수용한다. 그리고 자연스럽게 WCC는 특정문화를 위한 상황화 신학(Contextrualized Theology)의 발전을 정당화시켰다. 이에 반해, 크리스토퍼라이트(C. Wright)는 WCC의 Missio Dei 사상과 상황화 신학에 대해 정면으로 반박한다. 그의 선교적 성경해석학은 오늘날 포스트모더니즘 속에서 다양하게 발전한 상황화 신학의 위험성을 알린다. 결론적으로 그는 성경의메시지가 급변하는 다양한 세상 속에서 성경적으로 상황화가 되어, 하나님께서 택한 백성을 구원하시는 ‘Missio Dei’를 실천할 것을 촉구한다.

      • KCI등재

        Imago Dei, dominium terrae, Missio Dei: 창세기의 인간 창조 서술에 대한 선교신학적 고찰

        구자용(Cha Yong Ku) 한국선교신학회 2016 선교신학 Vol.43 No.-

        이 논문은 구약성서의 인간 창조 서술의 핵심으로 볼 수 있는 ‘하나님의 형상’의 구약신학적 의미와 선교신학적 의미가 무엇인지에 대해서 연구한다. ‘하나님의 형상’은 전통적으로 외형적 혹은 내면적 어떤 의미로 해석되어 왔다. 그러나 최근 구약신학의 분야에서는 아래의 두 가지 사실에 근거하여 그것을 ‘땅에 대한 지배권’(dominium terrae)으로 해석한다. 첫째, 창 1:26의 문맥이 이것을 명확히 보여주며, 둘째, ‘형상’의 히브리어 표현인 ‘첼렘’이 어원학상 ‘상/동상’이란 의미를 지니며, 실제로 고대근동 지방에서는 이 개념을 ‘신의 대리자’로서 행세하는 왕들이 ‘왕의 이데올로기’를 가시화하는 수단으로 사용하였다는 점이다. ‘땅에 대한 지배권’의 모습은 구약과 고대근동에서 자연과 동물에 대한 일방적이고 폭력적인 다스림으로 나타나기도 하나, 동시에 ‘보존과 보살핌의 개념’으로 이해되기도 한다. 창세기 1장 28절에도 이두 가지의 모습이 다 나타나기도 하는데, 이것을 구약성서 자체가 드러내는 ‘하나님의 행하심’의 모습과 고대근동 지방에서 늦은 시기에 대두된 ‘페르시아의 왕의 이데올로기’와 연관하여 보면 창세기 1장 28절의 ‘땅에 대한 지배권’은 인간에게 주어진 자연에 대한 평화적 통치권으로 이해할 수 있다. 인간의 권리로서 주어진 ‘땅에 대한 통치권’이 특히 ‘하나님의 형상’과 관련이 있다는 사실은 동시에 그것이 ‘하나님의 행하심’의 모습을 따라 규정되어야 함을 의미한다. 인간과 모든 만물의 주로서의 ‘하나님의 행하심’은 모든 인간과 만물에게 은혜를 주시며 돌보실 뿐 아니라 궁극적 구원을 주시고 모든 창조 세계를 새롭게 하시는 것으로 나타난다. 그러므로 이런 ‘하나님의 행하심’에 참여하도록 부름 받고 보냄을 받은 인간의 사명, 곧 하나님의 형상대로 지음을 받은 모든 인간에게 주어진 ‘땅에 대한 지배권’은 ‘하나님의 선교’에 참여하도록 부르심과 보내심이라고 할 수 있다. This paper examines the meaning of ‘the image of God’(imago Dei), which can be seen as the core of the human’s creation narrative of the Old Testament, in terms of both the theology of the Old Testament and the theology of Mission. The ‘image of God’ has traditionally been interpreted in an outward or inward sense. However, in the field of theology of the Old Testament it has recently been interpreted as ‘dominion over the earth’ (dominium terrae) based on the following two facts. Firstly, the context of Gen 1:26 shows this clearly. Secondly, the Hebrew word for ‘image,’ ‘zele’,’ etymologically means ‘figure’/‘statue’, and this concept was actually used in Ancient Middle East by the kings, who were posing as God’s representatives, as a means of visualizing the ‘Royal Ideology.’ On the one hand, ‘dominion over the earth’ appears in the Old Testament and in Ancient Middle East as a unilateral, violent reign over nature and animals. On the other hand, it can also be understood as a concept of preservation and care. In Gen 1:28, both these aspects are reflected. However, in regard to ‘actio Dei’ in the Old Testament itself as well as the ‘Persian Royal Ideology,’ which has emerged at a relatively late stage in Ancient Middle East, ‘dominion over the earth’ of Gen 1:28 can be seen as the peaceful dominion over nature. The fact that ‘dominion over the earth’ as a given human right is particularly related to the ‘image of God’ at the same time indicates that it must be characterized in accordance with ‘actio Dei’. As the Lord of all human beings and animals, ‘actio Dei’ reveals itself not only to bestow grace to all people and things and take care of them but also to ultimately give them salvation and to renew all creation. Therefore, the mission of the human being, who is called and sent to participate in ‘actio Dei’, that is the ‘dominion over the earth,’ which is given to all human beings created in the image of God, can also be considered the calling and sending for the participation in the ‘missio Dei.’

      • KCI등재

        디트리히 본회퍼의 관계적 신형상론 고찰 ‐ 마르틴 루터의 관점과 연계하여

        김현주 장로회신학대학교 기독교사상과문화연구원 2024 장신논단 Vol.56 No.2

        본 논문은 디트리히 본회퍼의 ‘관계적 신형상론(relational view of imago Dei)’을 루터의 관점과의 연결성 속에서 분석한다. 창세기 1장 27-28절의 인간이 하나님의 형상으로 창조되었다는 선언은 인간론의 중요한 진술을 담고 있다. 하지만 구체적으로 하나님 형상이 무엇을 뜻하는지는 다양하게 해석될 여지를 남겨두고 있다. 기독교 신학의 주류 관점이었던 실체적 신형상론(substantive view ofimago Dei)과는 다르게 마르틴 루터(Martin Luther, 1483-1546)는 인간의 신형상됨의 근원을 인간의 자질과 같은 인간에게서 찾지 않고 인간의 외부인 하나님에게서 찾고자 했다. 루터는 하나님과 인간의 의로운 관계성을 가진 인간이 신형상이라는 구원론적 신형상론을 제시하였다. 루터의 신형상론을 계승한 근대 루터파 신학자 디트리히 본회퍼(Dietrich Bonhoeffer, 1906-1945)는 루터의 구원론적 신형상론에서 더 나아가 ‘관계적 신형상론(relational view of imago Dei)’을 제시하면서 루터의 관점을 심화하고 있다. 본회퍼는 인간의 신형상은 ‘나와 타자(I and the other)’의 윤리적 관계성을 통해 드러난다고 이해하고 있다. 본회퍼는 ‘나와 타자’의 관계를 하나님과 인간, 남성과 여성 또는 인간과 인간, 인간과 자연이라는 삼중 틀로 확장하여 신형상의 범위를 개인 차원에서 공동체 차원으로 전환하였다. 결과적으로, 본회퍼는 신형상론을 타자와의 관계성을 통해 윤리적인 면으로 승화시켜 인간적, 자연적 타자의 존엄성을 강조했으며 인간의 타자를 향한 책임성마저도 하나님이 창조 시부터 인간에게 부여한 사명으로 인식하게 하였다. 관계적 형상론의 확장성과 윤리성에도 불구하고 신적 타자와의 의로운 관계성을 신형상의 출발점으로 삼음으로써 그리스도인만이 하나님의 형상으로 간주할 수 있다고 해석될 여지를 남기고 있다. 또한 타락 후에도 모든 인간이 신형상임을 암시하는 성서의 구절들과의 해석학적 긴장에 대한 고찰이 필요해 보인다. This paper examines Dietrich Bonhoeffer’s relational view of imago Dei in connection with Martin Luther’s doctrine. The declaration in Genesis 1:27-28 that humans were created in the image of God contains an important statement about anthropology. However, what God’s image entails is left open to various interpretations. Unlike the substantive view of imago Dei, which was the mainstream perspective in Christian theology, Martin Luther(1483-1546) sought the origin of imago Dei not in human qualities but in God, external to humans. Luther presented a soteriological view of the image of God in which a human in a righteous relationship with God is considered imago Dei. Dietrich Bonhoeffer (1906-1945), a modern Lutheran theologian who followed Luther’s view, further developed Luther’s soteriological view by proposing a relational view of imago Dei, deepening Luther’s perspective. Bonhoeffer understood imago Dei as revealed through the ethical relationship between ‘I and the other.’ He extended the relationship of ‘I and the other’ to a triadic framework of God and humans, males and females, humans and nature, expanding the scope of imago Dei from an individual to a communal dimension. Consequently, Bonhoeffer elevated the doctrine of the image of God to an ethical level through relationality with others, emphasizing the dignity of human and natural others. He even recognized responsibility for others as a mission given to humans by God from creation. Despite the expansiveness and ethicality of the relational view of the image of God, it leaves room for interpretation that only Christians can be considered in the image of God by starting with the righteous relationship with the divine other. A review of the hermeneutical tension with biblical passages that imply all humans are the image of God even after the Fall seems necessary.

      • KCI등재후보

        이광순의 선교신학

        이신형 ( Shin Hyung Lee ) 서울신학대학교 기독교신학연구소 2013 神學과 宣敎 Vol.42 No.-

        본 논문이 논의하는 것은 1세대 선교신학자인 이광순의 선교신학이다. 이광순의 선교신학에는 한국의 선교신학을 구성하는 중요한 전거점이 들어 있다. 이광순이 기초한 ‘우리의 선교신학’에는 한국 신학의 방향과 과제가 담겨있다. 따라서 이 글이 집중하는 것은 ‘우리의 선교신학’의 선언 뒤에 있는 이광순의 선교신학을 추적하는 것이다. 이광순의 선교신학에 의하면 우리의 선교신학은 삼위일체 하나님의 선교신학이다. ‘하나님의 선교’는 선교신학사에서 쟁점이 되는 용어이다. 에큐메니칼과 복음주의의 이해가 대립하고 있다. 이광순에 의하면 ‘우리의 선교신학’은 복음주의적 에큐메니칼이다. 교회가 하나님의 구원의 활동에서 중심적인 위치에 있다. ‘하나님의 선교’는 교회를 갱신해서 선교하는 교회로 만들며 선교하는 교회는 구원의 수직적 차원의 바탕위에 수평적 차원을 지향한다. 이광순에 의하면 ‘우리의 선교신학’은 통전적이다. 예수의 선교에 기초한 선교신학이기에 통전적이다. 예수의 선교는 구원의 수직적인 범주가 수평적인 범주보다 우선한다. 따라서 인간화, 해방화, 자유 및 인권에 대한 관심은 교회선교에서 목적이 아니라 구원의 결과가 된다. 하나님 선교의 통전성에 대한 인식은 교회선교의 실천적 과제를 안내한다. 세상에서 그리스도의 주권 세움을 교회의 갱신과 설립보다 우선시하는 에큐메니칼과는 다르게 복음주의적 에큐메니칼인 ‘우리의 선교신학’은 교회에 대한 그리스도의 주권 세움을 통해서 세상에서 그리스도의 주권확립을 지향한다. 따라서 이광순은 교회가 당면한 여성지도자 문제, 도시빈민교회 문제, 여성군종장교제도의 문제, 통일과 북한선교의 문제 등 실천적 과제에 대해서 관심을 둔다. 이 논문은 네 파트로 나누어져 있다. 첫째 파트는 이광순의 선교신학을 논의해야할 이유와 당위성에 대해서 다루며, 두 번째와 세 번째 파트에서 ‘우리의 선교신학’의 이론적 토대와 통전성의 문제 및 실천적 과제에 대해서 다룬다. 마지막 네 번째 파트에서 2, 3세대 선교신학자의 과제에 대해서 간략하게 제안한다. Kwang Soon Lee is a retired professor of mission in Presbyterian College and Theological Seminary. And she was also Kyung Gik Han`s professor of theology of mission. She wrote an interesting essay named ``our theology of mission`` which is considered as a manifesto of the Presbyterian denomination. In that essay, she manifested three elements as the basic principle for establishing our theology of mission. The first element is that Missio Dei is a basic concept of our theology of mission. As a Missio Dei, the subject of mission is the Triune God, not church. The second element is that the Bible is the foundation of the mission in terms of the method and the content. The last element is that the church is the means of the mission, so that the regeneration of church is the key to Missio Dei. That is to say God`s primary goal is to regenerate the church`s passion for world mission.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clarify what ``our theology of mission`` is about. The first that we need to clarify is the meaning of Missio Dei. Missio Dei is the general term of mission. The evangelicalism names its theology of mission as Missio Dei. The ecumenicalism names its theology of mission as Missio Dei. However, the question is what we mean when we call our theology of mission as Missio Dei. Do we mean it in terms of the evangelicalism or the ecumenicalism? And what if we mean it a bit different from both; then how do we name it? So this article clarifies the meaning of Missio Dei. Next, the biblical foundation of our theology of mission needs to be clarified. And third which we are about to make clear is that the regeneration of church is the key to understanding Missio Dei in terms of our theology of mission. Kwang Soon Lee puts Jesus as the biblical foundation of our theology of mission. She found that the work of Jesus reported in Matthew 4:23 is the key to unlock the holistic character of our theology of mission. Based upon Matthew 4:23, Kwang Soon Lee describes Jesus prefers the individual over the social justice. So does our theology of mission. In that sense our theology of mission is the evangelicalism. According to Kwang Soon Lee, the mission is to establish the sovereignty of Jesus over the world as the ecumenicalism emphasizes. So does our theology of mission. In that sense our theology of mission is the ecumenicalism. Therefore in this article, I declare that our theology of mission is Missio Dei in terms of the evangelical ecumenism.

      • KCI등재

        다양성, 형평성, 포용성(DEI)에 기반한 직원경험 향상에 관한 고찰

        조민정 한국고객만족경영학회 2023 고객만족경영연구 Vol.25 No.4

        본 연구는 탁월한 고객경험을 구축하는 데 있어 직원경험의 중요한 역할을 강조한다. 직원을 내부고객으로 인식하고 혁신적이고 차별화된 고객경험은 조직 내 긍정적인 직원경험에서 비롯된다고 가정한다. 이러한 주장에서 출발하여, 직원이 인식하는 직장에서의 긍정적인 경험의 토대를 직원의 다양한 관점과 가치, 의견이 존중되는 다양성, 형평성, 포용성(DEI)의 가치를 중심으로 논의한다. 그리고 이러한 DEI의 가치를 효과적으로 관리함으로써 직원경험을 향상시킬 방안을 액센츄어, 사우스웨스트항공, 넷플릭스, 링크드인, 스타벅스의 다섯 개 글로벌 기업의 사례연구를 통해 살펴보고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본 연구에서는 이론적 배경에서 DEI의 가치를 내재화하고 실행하는 것이 어떻게 직원경험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을지 내재적 동기부여 관점에서 살펴보았다. 특히, 다양한 동기부여 이론들에 기반하여, DEI의 세 가지 원칙들의 상호작용이 직원들을 내재적으로 동기부여 함으로써 직원경험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과정을 설명하였다. 다음으로 DEI에 대한 한국에서의 주요 이슈인 성별과 세대 및 연령과 관련한 내용을 검토한 후, 기업들의 DEI 관리에 대한 대응 전략을 보다 깊이 살펴보기 위해서 다섯 개 글로벌 기업의 사례를 다양한 관점에서 살펴봄으로써 보다 풍부한 함의를 도출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포괄적인 논의를 통해 결론에서는 본 연구의 요약과 함께 긍정적인 직원경험을 위한 DEI 가치의 효과적인 관리방안에 대한 가이드라인을 제시한 후 본 연구의 시사점 및 향후 연구방향에 대해 제안한다.

      • The Kingdom of God and The Church in Relation to Mission Theology

        하광민 총신대학교 2022 總神大論叢 Vol.42 No.-

        “The kingdom of God” is a core theme that runs through the entire Bible. In the 20th century, there was active theological debate abou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kingdom of God and the church in missions. This paper deals with historical and biblical discussions about the kingdom of God. In particular, it deals with various discussions on the “God's Mission” (Missio Dei) that appeared in the mid-20th century. The Catholic Church interprets the church as the kingdom of God, but the correct biblical perspective has two temporal modes of existence that are inherent and futuristic, and it has six characteristics. First, God rules. Second, the kingdom is Christ-centered. Third, the message of the kingdom of God includes the cross. Fourth, the kingdom of God creates a community. Fifth, the Holy Spirit leads the community of God's kingdom to love and peace. Sixth, the kingdom of God requires a distinctive kingdom ethic. Because the kingdom of God creates the church, the church is a tool for the kingdom of God and has a mission to testify of the gospel of the kingdom. In this process, the concept that occurred in the middle of the 20th century was Missio Dei. In the early days, it started as a concept that could be shared by the ecumenical and evangelical camps, but gradually the concept began to change. The theological influence of Missio Dei reveals God's mission starting from the unity of the Triune God. This is the shift from the existing church-centered mission to a God-centered mission. In addition, it has been shown that the work of the triune God sends the church into the world, so there is a contribution that reveals that the church has a missionary nature. However, ecumenical theology ended up with a theological error, starting well enough with the united nature of the triune God, but sadly shifting to a possible dialogue with other religions Ecumenical theology aims at shalom peace and true humanization by placing the world between God and the church, but the true kingdom of God must bear the message of the cross of Jesus Christ, and the church, the community of the redeemed, connects the world and God. The church should play an intermediate role. 성경에서 “하나님의 나라”의 주제는 성경전체를 관통하는 핵심주제이다. 20세기에 들어 선교에 있어서 하나님 나라와 교회와의 상관관계에 대한 신학적 토론이 활발하게 일어나고 있다. 이 논문은 하나님나라에 대한 역사적 논의들과 성경적 논의들을 다루고 있다. 특히 20세기 중반에 등장한 ‘하나님의 선교’(Missio Dei)에 대한 다양한 논의들을 다룬다. 카톨릭 교회는 교회를 하나님 나라로 해석하지만 바른 성경적 관점은 하나님 나라는 내재적이며 미래적인 두 시간적 존재양식을 지니며 6가지의 특징을 지니게 된다. 첫째, 하나님이 다스리신다. 둘째, 그리스도 중심적이다. 셋째, 하나님 나라의 메시지는 십자가를 포함한다. 넷째, 하나님의 나라는 공동체를 탄생시킨다. 다섯째, 성령은 하나님 나라의 공동체를 사랑과 평화로 인도한다. 여섯째, 하나님 나라는 분명한 왕국 윤리를 요구한다. 하나님 나라가 교회를 발생시키기 때문에 교회는 하나님 나라를 위한 도구이며 왕국복음을 증거해야 하는 사명을 가진다. 이 과정에서 20세기 중반에 일어난 개념이 Missio Dei인데 초기에는 에큐메니칼 진영과 복음주의진영에서 함께 공유할 수 있는 개념으로 출발했으나 점차 개념이 변질되어지기 시작했다. Missio Dei가 끼친 신학적 영향은 삼위 하나님의 연합에서 출발하는 하나님의 선교를 드러낸 것이다. 이는 기존의 교회 중심의 선교가 하나님 중심의 선교로 옮겨지게 된 것이다. 또한 삼위 하나님의 일하심이 교회를 세상 속으로 보내는 것으로 나타났기에 교회는 선교적 본성을 지니고 있음을 밝힌 공헌이 있다. 하지만 에큐메니칼 신학은 삼위 하나님의 연합적 속성에서 출발하는 교회의 선교적 본성을 타종교와의 연합으로까지 열어놓은 신학적 오류로 귀결되고 말았다. 에큐메니칼 신학은 하나님과 교회 사이에 세상을 위치하여 샬롬의 평화와 진정한 인간화를 목표로 하지만 진정한 하나님 나라는 예수 그리스도의 십자가의 메시지를 품고 있어야 하며 구속받은 자들의 공동체인 교회가 세상과 하나님을 연결하는 중간적 역할을 해야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