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텅 빈 사람들」: 악몽 혹은 비전-“경계 상황” 속의 텅 빈 사람들-

        허정자 한국T.S.엘리엇학회 2005 T.S. 엘리엇 연구 Vol.15 No.1

        T. S. Eliot’s darkest poem, “The Hollow Men”(1925) dramatizes the spiritual and emotional sterility of the hollow men who are at the bottom of the abyss. In “The Hollow Men”, the hollow men or stuffed scarecrow men in the sinful or fallen “death’s dream kingdom” are called to rearrange their death-in-life but they are appalled to do any significant actions or decisions. And they don’t have any courage to take part in the final meeting in “twilight kingdom,” a kind of painful but hopeful transitional stage between “death’s dream kingdom” and “death’s other Kingdom”, because they face the truth about themselves and their past lives in this “dream crossed twilight between birth and dying.” So they shrink from crossing to the “death’s other Kingdom,” Kingdom of God where there are blessed divine vision of “eyes”, “perpetual star”, and “multifoliate rose.” In spite of the potentiality of their salvation, they are unable to attain rebirth or vision in the higher dream because of their inertia and spiritual aridity. The unhappy period in his life at the time of publishing “The Hollow Men” led Eliot to change his life and convert to Christianity in 1927. In this respect we can regard “The Hollow Men”, as a prelude or a vision of Eliot‘s New Life from nadir of despair through humility to thirst for divine love.

      • KCI등재

        기독교 관점에서 본 T. S. 엘리엇과 필립 라킨의 시 비교 연구

        김명옥(Kim, Myong-ok)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문학연구소 2007 외국문학연구 Vol.- No.27

        본 논문에서 필자는 20세기 전반기의 대표적인 모더니즘 시인 엘리엇 T. S. Eliot과 1950년대 영국의 ‘시운동파 The Movement’ 그룹의 대표 시인 필립 라킨 Philip Larkin의 시들을 기독교의 관점에서, 특히 장소와 이동 모티프 그리고 죽음과 노년에 대한 견해를 중심으로 서로 비교․ 검토하였다. 엘리엇이 연결사를 생략하고 수많은 암시와 객관적 상관물을 사용하여 자신의 감정과 경험을 객관화한 반면에 라킨은 전후 영국의 소시민으로서 개인적인 경험과 정서를 비교적 진솔하고 솔직하게 표현하고 있는 만큼 두 시인의 기법적인 차별성을 종교적인 시각에서 검토하는 일은 또 다른 사실들을 깨우쳐 준다는 점에서 그 의의를 찾아 볼 수 있다. 1927년 영국 가톨릭 Anglo-Catholic으로의 개종을 기점으로 그 이전에 쓴 엘리엇의 초기 시들은 전반적인 라킨의 시들과 기법 면에서 많은 유사성을 보인다. 즉 두 시인은 좁은 방, 골목길, 호텔, 거실, 술집 등 협소한 공간 배경의 설정과 함께 그 속에서 살아가는 등장인물들의 수평적, 순환적 이동을 주요한 모티프로 활용하고 있다. 바로 이러한 기법적 장치는 두 시인의 관심이 주로 세속적이며 육체적인 삶에 묶여 있음을 간접적으로 표현한다. 그러나 엘리엇의 후기 시들 특히 그의 개종 이후의 시들은 초기 시들뿐 만 아니라 라킨의 시들과 다른 양상을 보인다. 그 이전의 협소한 공간 대신에 보다 상징적인 성경의 공간으로, 그리고 강가에 머무는 대신 강을 건너고, 순환과 하강의 움직임 대신에 바다로의 끝없는 항해 혹은 층계를 오르는 상승의 이동 이미지들이 등장한다. 바로 이러한 변화는 엘리엇의 관심이 지상이 아닌 천상 즉 영원한 초월적 세계로의 탐험으로 바뀌었음을 입증하고 있다. 더구나 죽음과 노년에 대한 두 시인의 반응은 두 시인의 종교적 시각으로 매우 대조적인 양상을 드러낸다. 엘리엇의 경우 노인을 영원으로의 탐험가로 묘사하면서 내세적인 삶에 대한 희망과 적극적이고 긍정적인 정서를 표현하는 반면에 라킨은 죽음에 대한 경멸과 공포를 시의 주된 정서로 표현하면서 삶에 대한 절망과 허무를 노래한다. 바로 이러한 두 시인의 차별성은 서로 다른 그들의 종교적 시각 즉 내세를 믿고 종교적 수련을 통해 그 삶을 향해 나아가는 기독교인 엘리엇과 죽음으로 종결된다는 라킨의 허무주의적 불신앙의 인생관에서 비롯됨을 알게 되었다. 동시에 엘리엇의 기독교 시들이 절대자의 존재를 믿지 않는 이 시대에 신앙적 주제도 기법상의 표현에 따라 최고의 걸작품이 될 수 있는 가능성을 열어주고 있다는 점에 새삼 우리의 주목을 환기시킨다. This study is to survey the Christian perspective of T. S. Eliot and Philip Larkin with comparing their poems, especially their use of the place and motion motifs. Both poets have worked in the different eras. Eliot represents the age of Modernism of the former part of the 20th century while Larkin, the “Movement” of the 1950's, which makes their poetic techniques quite different from each other. Eliot objectifies his personal emotions with the symbolic allusions and the 'objective correlatives' with no connectives and Larkins uses openly his life experiences and emotions as his poetic materials. Eliot's early poems before his Christian conversion in 1927 shares with Larkin's whole poems the common traits: the use of the narrow, imprisoned places such as rooms, streets, alleys, hotels and also the horizontal, cyclical or downward movement of the characters. It implies that such technical mechanism reflects the thematic significance focussing on the physical, earthly life rather than on the spiritual, heavenly one. In his later Christian poems, however, Eliot shows the paradigm shift with using the different place and motion images but in Larkin's poems appears no change. That is, from Eliot's “The Hollow Men” we can find the character's movement of crossing the river rather than remaining by the rivers, or of going up the stairs or forward toward the sea, which symbolizes the character's spiritual, religious exploration. However, all through Larkin's whole poems we notice the same moving pattern as usual, which proves Larkin's consistent attention always toward the earthly lives. In the use of ‘death’ and ‘old age’ motifs, we can find differences in them. For Eliot, his later poems delineates death and the old age, not as an object to hate or to feel anger, but one to transcend by being an explorer forward to the eternal sea. But in Larkin can be found no attempt to voyage beyond the earthly life, only describing the personal terror and meaninglessness for the physical extinction. Through this study I have discovered such technical differentiation is caused mainly by their religious views on this life and an after-life and Eliot's later poems including Four Quartets have opened the possibility of the Christian work being a masterpiece in this age of disbelief.

      • KCI등재

        고전무협서사와 서구 좀비물의 만남 — 넷플릭스 <킹덤>을 중심으로

        최진아 중국문화연구학회 2022 중국문화연구 Vol.- No.55

        Netflix’s “Kingdom” is about the process of a prince who child of a concubine from defeating zombies and protecting the throne from opposing forces. The main character, Crown Prince, has martial arts close to Daoist magic. His figure is close to a hero in the classic martial arts narrative. The limitations of birth, the heroic appearance, and the appearance of the chivalrous fighter staying in the guest’s seat, not the owner’s seat, appropriated the image of martial arts narrative as it is. In addition, the ideology of the protagonist is loyalty and filial piety. In this paper, we explore the structure of classical martial arts narratives projected into the Kingdom series, the arrangement of Korean-Chinese humanities contents, and their meaning. As a result, it was considered that the Kingdom series borrowed the structure of classical martial arts narratives featuring heroic chivalrous fighter and Korean, Chinese humanities contents were appropriate, such as Chinese Taoist hermit narrative and Jiangxi(僵尸) images. In addition, by using Korea’s actual historical events and geography as humanities contents, viewers were able to form a strong consensus on the actions of the main character of the Kingdom series. Zombies combined with these martial arts not only formed empathy through the use of motifs familiar to East Asian viewers, but were also accepted by Western viewers for their distinctive charm from existing Western zombies. 넷플릭스 ‘킹덤’은 서자 출신의 왕세자가 백성을 괴롭히는 좀비들을 무찌르는 과정에 대한 이야기이다. 주인공 왕세자는 도술에 근접한 무예를 지녔다. 그의 형상은 고전무협서사의 영웅에 가깝다. 출생의 한계, 영웅적 풍모, 주인으로서의 자리가 아닌 객의 자리에 머무는 협객의 모습은 무협서사의 이미지를 그대로 차용한 것이다. 또한 주인공이 지닌 이데올로기는 충과 효이다. 본 논문에서는 킹덤 시리즈에 투영된 고전무협서사의 구조와 한, 중 인문 콘텐츠의 배치 및 그 의미에 대해 탐색한다. 그 결과 킹덤 시리즈는 영웅적 협객이 등장하는 고전무협서사의 구조를 차용하였고 중국신선설화, 강시 이미지 등 인문 콘텐츠를 현대적으로 변용한 것으로 고찰되었다. 또한 한국의 실제 역사적 사건과 지리를 인문 콘텐츠로 활용하여 킹덤 시리즈의 주인공의 행위에 시청자들이 공감대를 강하게 형성하도록 만들었다. 이러한 무협과 결합된 좀비물은 동아시아권 시청자들에게 익숙한 모티프의 활용으로 공감을 형성하였을 뿐 아니라, 기존 서구의 좀비물과 변별되는 매력으로 서구의 시청자들에게도 수용되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