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영남신학대학교 사회복지학과의 문화복지 중심 특성화에 관한 연구

        조운희(Woon-Hee Cho) 영남신학대학교 2014 신학과 목회 Vol.42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orientation & conceptual definition of Culture, Culture Welfare, Welfare Culture, and Social Welfare Culture the better training social worker and performance management of social welfare education and practice. The results were as followings : First, Culture definition is ‘the everything produced by man, except that a created thing created by God’, Secondly, Culture Welfare definition is ‘One of the essential social welfare approach in order to recover God’s creative rule(position rule, role rule and relationship rule) as a target of culture’, Thirdly, Welfare Culture is defined as ‘the mechanism of actualization process in order to practice Culture Welfare’, Fourth, Social Welfare Culture is defined as ‘social science aimed attainment of welfare society which was accomplished Culture Welfare, through actualization of Welfare Culture at micro, meso and macro levels’. Fifth, Department of Social Welfare Culture’s primary orientation is rather “Pay It Forward(2000)” movie than “El Sistema(2008) movie”. therefore we must pursuit of social welfare education & social movement for human and society such as a multi-level marketing love system. Sixth, Department of Social Welfare Culture must seek to possess the characteristics of case management and Culture Welfare. Lastly, it needs to examine the detail plan such as educational system. And then accept the certificate of qualification on social worker as a case manager, nurture teacher & culture social worker.

      • 복지문화 프로그램의 일환으로서 템플스테이 활용방안

        권경임(Kwon, Kyung Yim) 동국대학교 불교사회문화연구원 2010 불교문화연구 Vol.11 No.1

        우리나라는 급격한 경제성장과 사회변동으로 물질적 풍요를 가져왔지만 이로 인해 계층간 지역간 갈등을 초래하게 되었다. 뿐만 아니라 특정계층에 대한 사회적 배재가 심화되고 인간보다 물질을 우선시하는 비인간화 현상을 초래하게 되었다. 이러한 사회현상 속에서 인간성을 회복하고 삶의 질을 향상시 키며 문화적 취약계층을 배려하고 소통할 수 있는 복지의 문화화 내지 문화의 복지화에 대한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또한 지금까지의 사회복지가 물질적으로 균등한 배분에 기초한 복지사업들이 주를 이루어 왔다면, 앞으로의 복지문화는 진정한 자아실현을 목표로 개개인의 삶의 질을 높이고 풍요로운 삶을 지원하는데 목적을 두고 실천되어야 할 것이다. 현재 주5일 근무제가 실시되어 여가 및 관광이 활성화되고 있고 근로자만이 아니라 복지대상자에게도 복지관광이 시행되어 그성과가 입증되고 있는데, 템플스테이를 복지관광의 측면에서 뿐만 아니라 현대인들이 진정한 자아를 찾아서 인생의 참된 의미를 회복하도록 유도할 수 있는 복지문화 프로그램으로 활용할 수도 있을 것이다. 한국사회의 새로운 문화현상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는 템플스테 이를 복지문화 프로그램으로 활용하고 연계하는 방안을 모색해 보려고 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이 논문에서는 우선 복지문화의 개념을 알아보고, 복지문화의 이론적 배경으로 정상화(Normalization), 인클루젼(Inclusion,당사자 참가), 임파워먼트(Empowerment, 역량강화), 삶의 질 (Quality of life), 복지의 문화화 및 문화의 복지화, 복지의 교육과 공동체 형성 등에 대해 고찰해 보았다. 그리고 템플스테이의 연구동향과 더불어 템플스테이의 현황과 프로그램에 대해 살펴보고, 복지문화 프로그램으로서 템플스테이 유형을 복지관광 프로그램과 정신문화복지 프로그램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이와 같이 복지문화 프로그램의 일환으로서 템플스테이의 활용 방안에 대해 연구함으로써, 템플스테이 프로그램이 복지문화의 지평을 확대하고 정신문화복지의 향상에도 기여할 수 있다는 것이 본 논문의 취지이다. This Paper is the rapid economic growth and drastic change of society has brought about material affluence along with the social conflicts in terms of region and class of people in Korea. In addition, that caused the dehumanization trend of society which put more value on material than humanity i.e human value. So we are urgently need the cultural welfare policy which restores humanity and upgrades the quality of life in the degenerated social phenomena. Especially we have to take care of and protect the weak in order to have a good communication and harmony among every class of the society. So far the welfare policy has put the emphasis on the equal distribution of material. However, the future welfare policy should be placed more emphasis on the realization of true self which upgrade the quality of each individual. In that respect, templestay can be applied as a good, mental welfare program which overcomes the alienated humanity and restores the true meaning of life through finding the original, true self. After establishment of five-working day a week, the vitalization of leasure and sightseeing has been popular in Korea. So the favorable outcome of the welfare sightseeing has been proved not only for workers but for the welfare recipient. Accordingly, in this paper, I would like to seek a plan to apply templestay that considered to be a newly established cultural phenomenon as a welfare and culture program in Korea. Firstly, in this paper, I defined the concept of welfare culture and examined the theoretical background such as normalization, inclusion, empowerment, quality of life, enculturation of welfare, welfare-centered culture, the education of culture and the formation of community. The recent study of templestay mostly centered on religious and sightseeing aspect. However, I reviewed templestay in terms of welfare culture. Further more, I examined the present situation and program of templestay as two patterns of welfare culture. One is sightseeing welfare program and the other is spiritual welfare program. Especially, I emphasized that templestay program will broaden the horizon of welfare culture and contribute to the spiritual welfare culture by the application of templestay.

      • KCI등재

        문화복지로서의 지역문화진흥에 대한 소고 - 생활문화 활성화를 위한 "생활문화센터"를 중심으로-

        김민정 사회복지법제학회 2021 사회복지법제연구 Vol.12 No.3

        In modern society, social, economic and political unrest factors such as polarization, low birth/aging, uneasy social safety nets, and employment insecurity have continuously raised concerns about the decline in the quality of life and happiness of the people. Based on similar cultural basic rights or cultural perfume rights, discussions on the significance and role of cultural welfare for improving the quality of life of the people and realizing a sustainable society are being expanded, and the central and regional areas are being discussed. Plans for the realization of cultural welfare are also continuously prepared. However, there are disparities in income levels, generations, and regions in cultural sesame oil events, and it can be said that the realization of cultural welfare through equal cultural sesame oil is being hindered. The "2013 Basic Culture Law" and the "2014 Regional Culture Promotion Law" were enacted in the dimension of building a legal foundation for improvement of such problem situations. Based on these laws and regulations, the government establishes and enforces policies for promoting regional culture, eliminates cultural disparities between regions, and realizes cultural welfare through the development of unique regional cultures (regional cultures). Although we are aiming for it, there are still limits to the application of laws and policies, and the need for improvement has been raised. Therefore, in this study, I examine the meaning of cultural welfare in a cultural state and the promotion of regional culture as cultural welfare, the concept and policy of living culture from the perspective of promoting regional culture, and the importance of promoting regional culture from the perspective of welfare. I examined the necessity of revitalizing living culture. In addition, I examine the current state of operation and major issues, focusing on the "Living Culture Center," which is one of the important infrastructure facilities for revitalizing life and culture. 현대사회에서는 양극화, 저출산·고령화, 불안전한 사회안전망, 고용불안 등 사회·경제· 정치적 불안요소로 인해 국민 삶의 질과 행복 수준의 저하에 대한 우려가 지속적으로제기되고 있다. 이에 최근 문화적 기본권 내지 문화향유권을 바탕으로 국민 삶의 질의향상과 지속가능한 사회의 구현을 위한 문화복지의 의의 및 역할에 대한 논의가 확대되고 있고, 중앙과 지역의 문화복지 구현을 위한 계획도 지속적으로 마련되고 있다. 그러나 현실적으로 문화향유권의 행사에 있어 소득수준·세대별·지역간 격차가 발생하고 있고 평등한 문화향유를 통한 문화복지의 실현은 저해되고 있는 상황이라고 할 수있다. 이러한 문제상황에 대한 개선을 위한 법제적 기반을 마련하기 위한 차원에서2013년「문화기본법」과 2014년「지역문화진흥법」이 제정된 바 있다. 정부는 이들법규정을 근거로 지역문화진흥을 위한 정책을 수립·시행하여 지역 간의 문화격차를 해소하고 지역별 특색 있는 고유문화(지역문화)의 발전을 통한 문화복지의 실현을 목표로하고 있지만 여전히 실제 법·정책의 적용측면에서 한계점이 존재하고 개선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문화국가에서의 문화복지, 문화복지로서의 지역문화진흥의 의미를 검토해 보고, 지역문화진흥의 관점에서 생활문화 개념과 정책을 살펴봄으로써 복지적 관점에서의 지역문화진흥의 중요성과 생활문화 활성화의 필요성을 검토해 보았다. 또한, 생활문화 활성화를 위한 중요한 기반시설 중 하나인 "생활문화센터"를 중심으로운영 현황과 주요이슈를 살펴본 후, 향후 개선방향을 검토하였다.

      • KCI등재

        사회복지기관의 안전문화 척도 타당화에 관한 연구 - 종합사회복지관, 노인복지관, 장애인복지관을 중심으로 -

        문영주 사단법인 한국안전문화학회 2024 안전문화연구 Vol.- No.26

        Social welfare institutions that provide comprehensive social welfare services based on the community respond more sensitively to environmental changes than other types of social welfare organizations. As a result, there is a growing demand for not only improving the quality of services provided by social welfare institutions but also creating a safe organizational culture. In this regar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a safety culture scale to examine the level of safety culture in social welfare institutions and provide evidence for its validity.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study, a mail survey was conducted targeting social workers at social welfare institutions(community welfare centers, senior welfare centers, and welfare centers for people with disability) located in Busan Metropolitan City. The results of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performed on the 1,260 returned questionnaires were as follows. First, the safety culture scale, which consists of 52 questions on 7 factors: safety activities, teamwork, education/training, policy/system, fair culture, leadership, and perception/attitude, was found to have secured construct validity. Second, the composite reliability of the safety culture scale was above .7, and the average variance extraction(AVE) value was above .5, showing that convergent validity was secured. The safety culture scale of social welfare institutions presented in this study can be used to monitor the level of safety culture of individual institutions, identify areas requiring improvement, and prepare alternatives. In addition, it is expected to provide meaningful information for follow-up researchers regarding the safety culture of social welfare institutions.

      • KCI등재

        ‘문화복지’ 개념 정의에 대한 내용 분석: 학술지를 중심으로

        이현서 여가문화학회 2014 여가학연구 Vol.11 No.3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research trend in relation to ‘cultural welfare’ and to explore how the concept of cultural welfare was defined in Korean research articles by employing content analysis. The first article that studied cultural welfare was published in 1986. From then until January 2013, a total of 47 research articles were published. There were only eight articles from 1986 to 2000; however, since 2001 the number of research articles has increased dramatically. The two most dominant academic disciplines of the journals published the articles were the department of social welfare and of the public administration or public policy. The research topics of 47 articles were divided into six categories: cultural welfare services for social minorities, history of cultural welfare policies, arts education for social minorities, development of cultural environment in rural areas, definitions of cultural welfare, and cultural rights. Based on the content analysis on definitions of cultural welfare, this study found three criteria in defining cultural welfare; first, professional scholars showed different definitions of cultural welfare depending on either a broad definition of social welfare or a narrow definition of social welfare. Second, scholars presented different definitions of cultural welfare based on the preference between ‘cultural democracy’ and ‘democratization of culture.’ Third, the definitions of cultural welfare were differed based on the target groups: social minorities (a narrow definition of cultural welfare) vs. all of the people (a broad definition of cultural welfare). In general, most of the researchers employed a broad definition of cultural welfare; however, they used a narrow definition of cultural welfare in mentioning specific methods to achieve the goal of cultural welfare. Thus, it was found that there was the discrepancy between when scholars mentioned goals of cultural welfare and when they showed how to achieve the goals. 이 연구는 국민들 여가생활에 주요한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문화복지’에 대한 연구를 한 학술지 논문들에 대한 빈도분석을 통해 ‘문화복지’ 현상에 대한 연구 경향을 살펴보고 내용분석을 통해 ‘문화복지’라는 용어가 개념정의 되는 방식을 고찰하였다. 문화복지에 관한 논문은 1986년에 처음 출간된 이후 2013년 1월까지 총 47편이 출간되었다. 먼저 문화복지 연구 경향을 시기별로 보면 2000년까지 겨우 8편에 불과했으나 2001년 이후부터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학술지 전공별로 보면 사회복지학계와 행정 및 정책학계 학술지 논문 수가 각각 9편으로 가장 많아 문화복지 연구를 주도하고 있었다. 연구 주제는 여섯 가지 유형으로 나눌 수 있는데 사회적 취약계층에 대한 문화복지 서비스 연구, 문화복지정책 역사 연구, 예술교육 대중화 연구, 지역문화시설 확대에 대한연구, 문화복지 개념 정의 연구 및 문화권 연구 등이다. 한편 문화복지 개념을 정의하는 경향을 살펴보면 문화복지 사업 현장 종사자들의 경우 대부분 문화복지 개념을 깊이 인식하지 않은 채 사업을 진행하였고, 전문 연구자들은 문화복지 개념 정의를 할 때 세가지 기준을 가지고 정의하고 있었다. 첫째, 사회복지에 대한 개념을 협의적 또는 광의적으로 하느냐에 따라, 둘째, 문화복지의 목적이 문화민주주주의 또는 문화의 민주화인가에 따라, 마지막으로 문화복지의 대상을 소외계층 또는 국민 전체로 할 것인가에 따라 문화복지를 다르게 개념 정의하였다. 대부분의 논문에서 문화복지 개념을 설명할 때‘문화’의 개념은 거의 언급하지 않았으며 문화복지의 개념을 광의적 문화복지(모든국민을 위한 문화복지)로 설명하고 있는데 반해 문화복지 실현 수단으로는 오히려 협의적 문화복지(취약계층 위주의 문화복지)로 설명하여 목적과 수단 간의 불일치 현상을보이고 있다. 향후 문화복지 개념 정의에서 ‘문화’에 대한 개념 설명을 풍부히 하고 문화복지의 목적과 수단 간의 불일치 현상을 해결하기 위해 여가 연구 학계를 포함한 문화연구 전문가의 노력이 필요하다.

      • KCI등재

        Cultural welfare : Tensions between cultural orientation and governmental concerns

        Sehun Kim 한국문화예술경영학회 2014 문화예술경영학연구 Vol.7 No.2

        이 논문은 문화복지 정책과 그것이 기반하고 있는 ‘관리적’ 관심을 분석하고 있다. 문화복지는 삶의 질의 중요 성을 강조하기 위해 한국 정부에 의해 도입된 개념으로, 문화예술영역을 중심으로 한 삶의 질에 대한 공공 및 정 치 영역으로부터 관심을 이끌어내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그러나 이와 동시에 문화복지의 실천과 관련하여 몇 가지 이슈도 제기하고 있다. 이 논문은 이러한 이슈를 문화적, 예술적 가치와 관리적 관심의 관계라는 측면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푸코에 의해 새롭게 정의된 관리(government) 및 관리합리성(governmentality) 개념을 활용, 문화복 지를 ‘관리적 권력’(governmental power)의 행사 방식의 한 유형으로 제시하고, 이를 문화복지 정책과 그것이 기 반하고 있는 관리적 관심이라는 차원에서 분석하였다. 끝으로, 이 논문은 문화복지 개념이 가져다 준 큰 유용성 에도 불구하고, 문화적, 예술적 가치와 이것의 수단적 활용에 초점을 둔 관리적 관심이 어떻게 조율되어야 하는 지와 관련하여, 여전히 해결되어야 할 과제를 제기하고 있음을 지적하였다. This paper reviews cultural welfare policy in Korea and explores its governmental concerns. ‘Cultural welfare’ is a new terminology introduced by the Korean government in order to emphasize the significance of quality of life. The notion has been useful for attracting public and political attention with respect to the efforts to promote people’s quality of life especially in the sphere of culture and arts, but it also raises some issues concerning its implementation in the field of cultural policy. The paper examines the issues in terms of relationship between cultural and artistic values and ‘governmental’ concerns, and the latter’s regulative aspect over cultural values. In order to explore ‘cultural welfare’ from the point of its governmental concerns, this paper appropriates terms such as ‘government’ and ‘governmentality’, which Foucault redefines as a benefit to differentiate a new type of power from the past ones and examine its rationality. By analyzing cultural welfare programs in cultural policy, this paper links the cultural welfare policy to its governmental concerns and reveals the notion’s fruitful outcomes and at the same time, problems. As a conclusion, the notion of cultural welfare, despite its usefulness in cultural policy, has the limitation of its full application to the area of culture and the arts, and necessitates the integration of governmental concerns with cultural and artistic values in the formation of cultural welfare policy

      • 문화복지 거버넌스의 탐색적 연구

        이석형(Suk-Hyung Lee) 영남신학대학교 2010 신학과 목회 Vol.34 No.-

        Cultural Welfare is new area in Social welfare Practice. This study provide meanings and needs of Cultural Welfare. The Meaning of Cultural Welfare is guarantee of Cultural Welfare Activity which Government's Institutional support and private networks. People get improvement of life Quality. Activating Cultual Welfare, Governance of Cultural Welfare is needed. Also, This Study shows Theatre Kongnamul's case which performed Governance of Cutural Welfare. The Leading Requirements of the Governance of Cultural Welfare are Local Peculiar, Education of Arts, and Organization of Systematic Cultural Welfare. Governance of Cutural Welfare is not top-down System which roots Govenment but button-up system which roots voluntary local resident. Succeeding of Governance of Cultural Welfare, it need finance and adminstration. Compromise Model which both contains Top-down System and Buttom-up System is needed. Succeeding factors of this study's case are preliminary research stage of local area, communication with local residents, systematic Governance of local resources, a local government head's concern about Governance, and Government handed over power to the local resident. Ultimately, This Study Provide basic-data of the Governance Development of Cultural Welfare.

      • KCI등재

        유교문화와 새로운 노인복지 패러다임 모색

        이현지(李炫知) 한국국학진흥원 2014 국학연구 Vol.0 No.25

        최근 노인복지를 위한 다각적인 노력이 시도되고 있다. 노인복지란 현대사회가 해결해야 할 대표적인 과제라고 할 수 있다. 지금까지 노인복지와 관련한 선행연구를 살펴보면, 노인문제의 실태, 노인복지의 현황, 노인복지 프로그램 분석 등 현실적인 연구는 풍부하다. 반면, 새로운 노년관과 노인복지를 위한 패러다임을 모색하는 연구는 미흡하고, 최근에서야 새로운 문제의식과 함께 새로운 노년관 정립의 필요성과 현행 노인복지의 이론적 체계에 대한 검토가 시도되고 있다. 본 연구자는 노인복지에 대한 선행연구의 성과를 인정하면서, 현대노인복지 패러다임에 대한 문제제기를 통해서 새로운 노인복지 패러다임을 모색해보고자 한다. 이러한 문제의식을 가지는 이유는 다음과 같다. 첫째, 현대 노인복지의 질적 양적 확대에도 불구하고, 현대 노인의 불행은 간과할 수 없는 상황까지 이르렀다. 둘째, 현대 노인복지 패러다임은 노인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노력을 경주해왔으나 명백한 한계에 직면하고 있다. 셋째, 현대인은 과거의 그 어느 시대보다 노인으로 살아가는 시간이 길어지고 있다. 그러나 현대 노인복지 패러다임은 노인이 어떤 삶을 살아야 할 것인지에 대한 비전을 제시하지 못하고 있다. 이에 현대노인복지 패러다임을 비판적으로 진단하고 진정한 노인복지를 위한 새로운 패러다임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새로운 노인복지 패러다임의 해답을 유교문화에서 찾고자 한다. 왜냐하면 유교는 어떤 사상보다도 늙음의 문제에 대해 구체적인 해결방안을 모색하고자 했던 사상이기 때문이다. 이러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 먼저 현대 노인복지 패러다임의 한계를 분석하고, 다음으로 유교문화에서 노인에 대한 인식과 늙음에 대한 태도는 어떠했는지 살펴 본 후에, 마지막으로 유교문화를 토대로 하는 새로운 노인복지 패러다임을 구축해 보고자 한다. Nowadays multidirectional efforts for the welfare of the aged are being attempted. The welfare of the aged is a main task which is solved by modern society. If we review the advanced research, there are many researches about research on the actual condition of the aged, the current situation of the welfare of the aged, and the analysis of the welfare program of the aged. But researches on the new view of the aged or a new paradigm of the welfare of the aged are few. In this paper, we recognize the products of the advanced research and will explore a new paradigm of the welfare of the aged. The reasons why we want to do this are as follows. First, in spite of the expansion of the welfare of the aged, unhappiness of the aged are increasing. Second, the modern paradigm of the welfare of the aged meets the obvious limitations. Third, nowadays we should live as the aged much longer than the past. But modern paradigm of the welfare of the aged can not show the vision how the aged can live happy. Therefore, the exploration of a new paradigm of the welfare of the aged is needed. In this study, we will look for a new paradigm of the welfare of the aged in the Confucian culture. The reason is that Confucianism is the thought which had actively endeavored to solve the problems of aging. To achieve the research goal, first, we will analyze the limitation of the modern paradigm of the welfare of the aged. Next, we will review the recognition for the aged and attitudes to aging in the Confucian culture. Finally, we will build a new paradigm of the welfare of the aged on the basis of the Confucian culture.

      • 문화복지적 관점에서의 고령자 문화예술 : 원로예술인 공연지원사업 중심으로

        박태준 서울기독대학교 사회복지연구소 2018 통합사회복지연구 Vol.1 No.1

        The meaning of ‘cultural welfare’ can be understood as an interpretation of culture from aspects of welfare. Opinions differ as some interpret welfare broadly and say that culture must be included within the domain of welfare. *The researcher intends (I intend) to interpret the meaning of cultural welfare as follows. I would like to argue that, while a cultural welfare interpretation aims to improve the average quality of life for the people on one hand, it is the protection of the cultural rights of *the socially weak (second-class citizens) such as those in low-income groups and the disabled who should receive social protection. The senior artist performance creation support project began in 2015 and was conducted for 3 years until 2017 by the National and Regional Foundation for Arts and Culture Association. It was a support project that funded performance production costs for performance groups in which senior artists of 60 years of age or older made up 30% or more of the member ratio and provided funding for the performance fees of senior artists when existing performance groups would conduct performances in which 30% or more of the performers were senior artists. Culture and art related groups based locally were the subjects for support and contemporary music (western music), dance, drama, and traditional music performances or performances fusing various genres were supported. Results gained through such support were as follows. First, information on senior artists should be made into data. Second, senior program projects should be diversified. Third, the participation of culture based facilities conducting culture and arts programs is needed. Fourth, content development based on local characteristics and activity bases for senior artists within local areas should be fostered. Fifth, community activities for senior artists should be guaranteed. With such research results, it can be expected that local culture based facilities will encourage and pursue the active participation of the living arts and professional arts. 문화복지라는 의미는 문화를 복지적 측면으로 해석하는 것을 ‘문화복지’로 이해 할 수 있을 것이다. 혹자는 복지를 광의의 의미로 해석하고 문화가 복지의 영역 안으로 들어가야 한다는 의견이 분분한 것이 사실이다. 연구자는 문화복지적 의미는 이렇게 해석하고자 한다. 이는 국민의 평균적 삶의 질 향상을 지향하는 한편 저소득층 또는 사회적 보호를 받아야 하는 장애인 등의 사회적 약자로 인식되는 문화적 권리를 보호하는 것을 문화복지적 해석으로 주장하고 싶다. 원로예술인 공연창작 지원사업은 2015년 시작되어 2017년까지 3년간 전국지역문화재단연합회에서 주관하여 진행되었다. 지원대상은 60세 이상의 원로 예술인이 30% 이상을 차지하는 공연단을 구성하는 경우에는 공연 제작비를 지원하고, 기존 공연단체가 원로예술인 30%이상이 출연하는 공연을 진행할 경우 원로예술인의 출연료를 지원하는 지원사업이다. 지역에 기반을 두고 있는 문화예술 관련 운영단체가 그 대상이 되었으며, 현대음악(양악), 무용, 연극, 전통음악 등 또는 장르 간 융합 공연이 지원되었다. 이러한 지원을 통해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원로예술인에 대한 정보 데이터화가 필요하다. 둘째, 노인 프로그램의 사업의 다양화가 필요하다. 셋째, 문화예술 프로그램을 수행하는 문화기반시설의 참여가 요구된다. 넷째, 지역의 특징을 기반으로 한 콘텐츠 개발과 원로예술가의 지역 내 활동 기반을 조성해야 한다. 다섯째, 시니어인 원로예술인들의 지역사회 활동이 보장되어야 한다. 이런 연구 결과로 지역 문화기반 시설에서 생활예술과 전문예술의 적극적인 참여를 독려 하고 진행될 것을 기대할 수 있다.

      • KCI등재후보

        사찰의 지역사회 참여 프로그램의 실태와 개발 방안

        조기룡 한국불교선리연구원 2010 禪文化硏究 Vol.9 No.-

        The missionary activities is the basis for the existence of Buddhist order. And the basic unit of the missionary activities is each temple and an individual believer. Without the participation of temples in a local community, Buddhist order can't do missionary activities because a temple and a believer are based on a local community. The present writer is focusing on Buddhist social welfare and Buddhist culture as the plan for participation of temples in a local community, because Buddhist order has continued the activity of social welfare since the introduction of Buddhism in Korea and Korean Buddhism have formed, preserved, and succeed Korean culture. Between 2006 year and 2010 year, Korean Buddhism puts up a good show in social welfare and local culture festival. The number of Buddhist social welfare facilities increase 958 from 536, and in the year 2009 the local culture festivals that the Buddhist temples and organizations held are 426 cases. This numerical value proves that Buddhist order participates local communities through social welfare activities and local culture festivals. But there are the reform measures that temples participate efficiently in local community through social welfare activities and local culture festivals. In the field of social welfare, firstly the temples must increase Buddhist social welfare facilities in the regions except the metropolitan area and Youngnam(嶺南) area. Secondly the temples must take interest in the woman welfare and the homeless welfare. Thirdly the temples must come into operation in nursing and housework support for old man. Fourthly the temples must promote an social atmosphere to appreciate disabled person. In the field of local culture festivals, firstly each of temples must have contents in temple concert. Secondly the temples must participate in local culture festivals and develop the programs in which the contents for Buddhist culture are involved. Lastly the space of temple must is offered as the space of local culture. 포교는 불교교단 존립의 근간이다. 그런데 불교 포교의 기초 단위는 개별사찰과 신도 개개인이다. 그리고 사찰과 그 구성원인 신도들은 지역사회를 기반으로 하고 있기에 지역사회에 참여하지 않고서는 포교를 할 수 없다. 사찰의 지역사회 참여 방안은 다양하나 본고에서는 사회복지와 문화행사에 초점을 두었다. 사찰은 불교의 한반도 전래 이후 지속적으로 사회복지 활동을 전개하여 왔으며, 또한 불교는 한국문화를 주체적으로 형성 ‧ 보존 ‧ 계승하여 왔기 때문이다. 대한불교조계종 사회복지재단과 한국천주교중앙협의회에서 발표한 2006년과 2010년의 사회복지시설 수 변동 현황을 살펴보면, 불교계는 2006년 536개에서 2010년 958개로 422개가 증가하였다. 반면 가톨릭은 동년 대비 1,127개에서 1,264개로 증가하여 137개의 증가에 그쳤다. 2006년 가톨릭이 불교에 하여 사회복지시설이 두 배 이상 많았던 것에 비하면 불교계 사회복지시설의 증가는 괄목할 만하다. 문화행사 분야를 살펴보면, 2010년 문화관광부에서 공식적으로 집계한 지방자치단체 주관의 문화축제는 813건이었다. 그런데 2009년 대한불교조계종 화부에서 불교계 신문에 보도된 불교계 주관 문화축제는 426건이었다. 물론 이 수치가 전국 문화축제 813건 중 불교 문화축제가 426건을 차지하고 있다는 의미는 아니지만 사찰이 문화행사를 통하여 지역사회에 동참하기 위한 력을 반증하는 수치임에는 분명하다. 사회복지와 문화행사에 대한 분석결과들을 볼 때, 불교계가 사회복지와 문화행사를 통하여 지역사회에 참여하기 위한 노력을 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다. 하지만 사찰들이 지역사회에서 사회복지와 문화행사를 통하여 효율적으로 참여하기 위해서는 개선사항들이 몇 가지 있다. 사회복지 분야에서는 첫째, 수도권과 영남권 이외 지역에서도 불교계 사회복지 시설을 증설하여야 한다. 둘째, 도심사찰에서는 여성복지와 부랑인 ‧ 노숙자복지에 관심을 기울여야 한다. 셋째, 노인복지를 위한 간병과 가사 지원복지 프로그램을 시행하여야 한다. 넷째, 장애인을 포용하고 이해하는 사회 분위기 조성에 기여하여야 한다. 문화행사 분야에서는 첫째, 산사음악회의 사찰별 특성화를 기하여야 한다. 둘째, 지역축제에 적극 동참하고 불교문화콘텐츠의 프로그램을 개발하여야 한다. 셋째, 사찰공간을 지역문화공간으로 제공하여야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