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Cultural Policy and ‘Cultural Economic Strategy’ in Japan

        남기범,조규훈 사단법인 미래융합기술연구학회 2020 아시아태평양융합연구교류논문지 Vol.6 No.2

        The Japanese Government announced the “Cultural Economic Strategy” at the end of 2017 and presented a frame of government cultural policy that approaches culture from an economic perspective. This study analyzes Japan's attempts from the perspective of cultural policy development and comparative cultural policy. In order to compare the cultural policy with historical development, the development of cultural policy through the previous research set the standards and framework for visual comparison. This study analyzed the significance and suggestions of "economic strategy." Based on such comparison, we recognized the concept and importance of culture and analyzed the area of cultural policy, the subject of cultural policy, and the viewpoint of cultural policy. Cultural arts and life culture, cultural democracy, cultural industry and cultural economy, national and international areas as cultural policy, cultural welfare and multi-culture, market and government (central and local government) analysis dimension was set and implication was derived using these standards.

      • KCI등재

        조선 시대 문화정책의 현재적 가치 연구 - 문화적 국정운영의 사례를 중심으로

        원향미 한국예술경영학회 2017 예술경영연구 Vol.0 No.41

        Today, Korean cultural policy is continuously expanding its scope, but its social ripple effect is insufficient. I first pointed out that an expanded frame of cultural policy should be newly constructed. In other words, cultural policy should now play an expanded role of cultural influence on national affairs as well as the classical role of policy intervention in cultural domain. This paper focuses on the cultural policy of the Joseon Dynasty as a historical example of the expanding role of cultural policy called ‘cultural influence on national policy’. The culture played a dual role in the Chosun Dynasty, which was a cultural nation as an ideal model of the nation. One is a culture as a humanitarian culture to cultivate the members of the neo-Confucian state, and the other is the culture as a state revival that takes the culture as the principle of national operation. Through this, the principle of national operation was expressed as Munchi(the principles of civilian government) and Ye-ak(Ritual & Music). We used Kyong yeon, the academic research and communication system between the king and the bureaucracy in the national administration. National policy research and production institutions and cultural arts institutions were run separately, both actively managed by the state. In the Chosun Dynasty, culture is not a part of the sub-sphere of national affairs as in the present, but a principle of national operation and culture has influenced to the whole process of state administration. Despite the systematic limitations of the monarchy, it is meaningful that the cultural policy of Joseon provided a starting point for the expansionary role of cultural policy, which is the ‘culture - based administration of the nation’ which Korean cultural policy should aim for today. 오늘날 한국 문화정책이 지속적으로 그 영역을 확대하고 있으나 사회적 파급효과가미비한 지점에 대해 필자는 먼저 문화정책의 확대된 프레임을 새로 구성해야 함을지적하였다. 즉, 문화정책이 이제는 문화영역에 대한 정책적 개입이라는 고전적 역할과 더불어 국정에 대한 문화적 영향이라는 확대된 역할까지 수행하여야 한다는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국정에 대한 문화적 영향이라는 문화정책의 확장적 역할에대한 역사적 사례로 조선시대 문화정책에 주목하였다. 국가의 이상적 모델로서 문화국가를 지향했던 조선시대에서 문화는 성리학적 원리에 맞는 국가구성원 양성을위한 ‘인도(人道)로서의 문화’와 국정운영의 원리로 기능하는 ‘입국(立國)으로서의 문화’라는 이중적 역할이 부여되었다. 그래서 국정운영의 원리로 문치(文治)주의와 예악(禮樂)을 천명하였고, 국정운영에 있어서는 경연(經筵)이라는 군신(君臣) 간의 학문연구 및 소통 시스템을 활용하였다. 또한 국가정책 연구 및 생산기관으로 집현전, 홍문관, 규장각 등의 연구기관이 존재하였고 장악원, 도화서 등의 문화예술실연기관도 국가주도로 운영하였다. 지금처럼 문화영역이 국정의 하위 분야에 속한 것이아니라 국가운영의 원칙과 국정운영의 전 과정에 문화가 그 영향력을 행사하였다고볼 수 있다. 왕정(王政)이라는 체제적 한계에도 불구하고 조선의 문화정책은 오늘날한국 문화정책이 지향해야 할 ‘문화에 기반한 국정운영’이라는 문화정책의 확장적역할에 대한 단초를 제공하였다는데 그 의의가 있다.

      • KCI등재

        일본의 문화경제전략에 대한 연구: 문화정책의 변화를 중심으로

        남기범 한국비교정부학회 2020 한국비교정부학보 Vol.24 No.4

        (Purpose) The Japanese government recognizes that culture will play an important role in revitalizing the stagnant national economy after the East Japan Earthquake. Based on these needs, the Japanese government announced its ‘Cultural Economy Strategy’ in 2018. This study attempted to analyze the implications of the cultural economy strategy in the process of cultural policy developmen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Japan's cultural and economic strategy in terms of the development of cultural policy and a comparative perspective. (Design/methodology/approach) Through prior research on the historical development of cultural policy and the comparison of cultural policy, the standard and framework for the view of the development of cultural policy and the basis for comparison are set. The significance and implications of the 'Cultural Economy Strategy' were analyzed from the perspective of change and development of cultural policy. These criteria for analysis include the concept and importance of culture, areas and objects of cultural policy, and actors and participants of cultural policy. (Findings) In terms of the concept and significance of culture, it is not limited to culture and art, which is the object of existing cultural policy, but recognizes the importance of the concept more deeply through the expansion of the concept of culture. It is meaningful to expand from culture and art to living culture, cultural industry, from local culture to international cultural fields linked to national brands, to cultural welfare and multicultural symbiosis policies for the creation and enjoyment of culture for the whole people. In addition, in the concept of cultural properties, while maintaining a perspective on the preservation of traditional cultural properties, a balanced interest is paid to the creation of future cultural properties. It recognizes various executive entities and related organizations and organizations according to the expanded cultural concept and policy area. Various participants are working to establish a framework for participation in the policy process. (Research implications or Originality) The exploratory analysis of Japan's Cultural Economic Strategy in this study is judged to be valuable in providing meaningful information in contemplating the direction of cultural policy.

      • KCI등재

        문화정책의 인구정치학적 전환과 예술가의 정책적 위상

        박소현 ( Park So Hyun ) 민족문학사학회 2017 민족문학사연구 Vol.63 No.-

        이 글의 목적은 최근의 `블랙리스트` 사태를 현재의 문화정책을 가능케 한 구조적 속성 및 문제점들과 연계해 조망함으로써, 근본적 성찰의 토대 내지는 장을 구성해보려는 것이다. 대한민국의 문화정책은 1980년대 후반부터 `국민의 삶의 질 향상`이라는 범정부적인 목표에 `문화`를 접속시키기 위해 국민 일반이라는 보편적인 `인구` 개념을 적극적으로 도입하는 쪽으로 변화해 왔다. 그 과정에서 `문화복지` 개념은 창작자=공급자인 전문적 예술가 지원 중심의 문화정책에서 향유자=수용자인 국민 일반을 중심에 설정하는 문화정책의 지평을 열어주었다. 이러한 중심축의 이동은 분명 문화정책의 국가적 위상을 확고히 다지는 데에는 기여했다. 그러나 다른 한편에서 애초에 문화정책의 중심이었던 예술가의 정책적 위상은 어떻게 재설정되었는가라는 문제가 남을 수밖에 없다. 이 글은 바로 이 지점에 주목하여 예술가를 국가가 임의적으로 `좌파`로 규정하고 공적 지원에서 배제한 `블랙리스트`사태가 문화정책의 근본적인 문제에 가닿는 것임을 고찰하고자 했다. 이를 위해서 먼저 `문화복지` 개념의 도입을 통해서 문화정책이 본격적인 인구정치학적 기 획으로 전개되어 왔음을 살펴봤다. 그리고 이 인구정치학적인 기획 내에서 예술가가 정책 대상으로서 규정하기 곤란한 일종의 한계점 내지는 난점으로서 과소화되어 왔음을 고(故) 구본 주 소송 사건과 `예술인 복지법` 제정을 통해서 드러내고자 했다. 끝으로 이러한 문화정책의 난점 위에서 `문화예술계 블랙리스트` 사태가 `문화정책`으로서 출현하고 작동해온 방식을 검토하였다. 그럼으로써, 문화정책의 인구정치학적 전환과 확장 속에서 해결되지 못한 예술가의 불안정한 정책적 위상은 현재의 문화정책이 안고 있는 구조적 문제의 핵심이며, 가장 약한 고리라는 점, 그리고 `블랙리스트`는 바로 그 지점에 틈입하여 예술(가)정책의 한계를 심화시키고 문화정책 전반을 뒤흔드는 결과를 초래했다는 점을 밝히고자 했다. 이렇게 본다면, `블랙리스트` 이후의 문화정책은 바로 이 예술가의 존재론에서 출발해야 비로소 근본적인 성찰과 재정립이 가능하다고 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literature is to examine the structural characters and problems of cultural policy bringing about the present `blacklist of the artists` created and managed by Korean government. Korean cultural policy has changed since the late 1980s, by introducing the demographic concept of `the public in general` for the purpose of relating culture with the pan-governmental goal of `improvement of the public`s quality of life. In the process, the concept of `cultural welfare` contributed to change the cultural policy from centering on supporting artists as creators or providers to focusing on the public in general as demanders enjoying arts. This change of central axis in cultural policy resulted in firmly ensuring the national status of cultural policy. However, I think that the status of artists within cultural policy remained as a serious problem in the process of such a great turn. This literature focused on this problem, and critically examined that the `blacklist`, with which Korean government arbitrarily labeled a lot of artists as the left and excluded them from public funding, reached the fundamental problems of cultural policy. To do so, first, I examined that cultural policy in Korea developed itself as a real demographic project by introducing the concept of `cultural welfare.` And then, I intended to reveal the fact that the status of artists has been underestimated in this demographic turn through the case of the late Gu Bon-ju, a well appreciated sculptor within art world, and with the enactment of Artists Welfare Law. Finally, I reconsidered how the `blacklist` uprose as an important cultural policy and worked forcefully on the crux of underestimated status of artists in cultural policy. By doing this, I tried to discuss that the unstable status of artists is the very core of the structural problem in Korean cultural policy, and the `blacklist` trespassed on the problem, deepening the crux of cultural policy and shaking it to its very foundation. Therefore, it will be possible to redesign cultural policy after the `blacklist` only through starting from the ontological argument about artists within cultural policy based on the fundamental reflection.

      • KCI등재

        한국의 현 종교지원정책과 문화자본주의

        우혜란 사단법인한국교수불자연합회 2022 한국교수불자연합학회지 Vol.28 No.2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South Korea's religious policy from an economic viewpoint and, specifically, to explain the current religious policy in the context of the cultural policy and the development of the cultural industry of S. Korea. It is well-known that religious policy is a part of cultural policy de facto, and the prime purpose of cultural policy is to develop, utilize, and commercialize cultural resources to create profits for the sake of the cultural industry. Since we are in an era of cultural capitalism when culture is the main engine of economic growth and in the period of neo-liberalism when the boundary between culture and economy is gradually disappearing, investigating current religious policy in the context of the cultural industry is inevitable. Firstly, this paper scrutinizes precedent research on religious supporting policy in S. Korea and summarizes their main concerns and issues. Secondly, the contents and backgrounds of a series of the government's big projects for religious culture are selected, and some trends and characteristics of S. Korean religious policies are delineated. And lastly, it is confirmed that governments have established religious policy in parallel with the development of the cultural industry in the country, while the religious culture/heritage of Korea intertwins with the national cultural policy and cultural industry (promotion) policy. As a result, Korean religious culture is increasingly absorbed in the economic logic, becoming the object of investment and commodification.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의 현 종교(문화)지원정책을 경제적 관점에서 고찰하는 데에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국가의 종교지원정책을 정부의 문화정책 그리고 문화산업의 발전이라는 맥락에서 설명하는 데 있다. 이는 종교정책이 큰 틀에서 문화정책에 포함되며, 문화정책의 주요 목적이 문화자원을 개발, 활용하고 상품화하여 이윤을 창출하는 문화산업을 육성하는 데 있기 때문이다. 필자가 한국의 현 종교정책을 한국의 문화정책과 문화산업의 맥락에서 살펴보고자 하는 것은 동시대는 문화를 경제성장의 주된 동력으로 간주하여 자본의 적극적인 투자의 대상이 되는 문화자본주의 시대로, 문화가 경제화되고 경제가 문화화되어 문화와 경제의 구분이 사라지는 신자유주의 시대이기 때문이다. 본 논문에서는 우선 한국의 종교지원정책을 다룬 선행연구의 주요 방향과 주장을 살펴보고 그 한계점은 제시하면서, 이를 보완 또는 극복할 수 있는 하나의 접근방법으로 경제적 관점을 제안하였다. 이어서 종교지원사업의 종류와 그 배경을 살펴보고, 근래에 정부가 진행한 비교적 큰 규모의 종교지원사업들을 사례로 현 종교지원정책의 특징과 경향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한국의 종교지원정책이 한국 문화산업의 발전과 함께 수립ㆍ전개되었으며, 그 결과 한국의 종교문화(유산) 또한 그간의 국가의 문화정책 그리고 문화산업 육성정책과 맞물리면서 경제 논리에 포섭되어 투자ㆍ개발ㆍ활용의 대상이 되어왔음을 확인하였다.

      • KCI등재

        특집 : 법정책학의 기본문제 ; 문화법정책의 이론과 실제

        김창규 ( Chang Kyu Kim ) 한국법정책학회 2014 법과 정책연구 Vol.14 No.3

        문화는 광범위하고 다양하게 사용되고 있는 개념이다. 이러한 문화를 어떻게 규정하는가에 따라 문화법정책의 대상과 방법은 달라진다. 문화를 예술활동이나 작품과 동일시하는 협의의 개념에서 보면, 문화의 영역은 장르적 의미로 국한되고 문화와 관련 있는 집단은 직업적 범주로서 예술인에 한정된다. 반면, 문화를 생활방식 전체를 의미하는 광의의 개념에서 보면, 문화법정책은 인간 삶의 모든 영역이 포함된다. 우리나라의 문화법정책에 있어서 문화에 대한 이해는 2006년 5월 문화헌장의 제정과 그 법제도화의 일환으로 2013년 12월 30일 제정되어 2014년 3월 31일부터 시행된 「문화기본법」 이전까지는 문화의 법적 정의는 존재하지 아니한 채, 「문화재보호법」에 따른 문화재, 「문화예술진흥법」에 따른 문화예술 및 문화산업, 「문화산업진흥기본법」에 따른 문화산업의 정의를 통하여 그 범위를 확장하여 왔다. 그리고 문화법정책을 총괄하는 문화체육관광부의 문화산업국이신설된 1995년 전까지는 문화=문화예술=예술, 1995년부터 2001년까지는 문화=산업, 2002년부터 2005년까지는 문화=콘텐츠로 인식되었지만, 2006년부터는 문화=삶의 총체적인 방식으로 전환되었다. 이러한 문화에 관한 법의 제정?개정? 폐지와 관련제도의 개선을 대상으로 하는 공공정책이 문화법정책이다. 오늘날 세계 주요 국가들은 문화예술의 창작 진흥에서 문화복지, 생활문화 및 지역문화에 관심을 보이고 있고, 문화예술의 산업적이며 경제적인 측면을 중시하는 문화법정책적 경향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문화법정책의 범위가 문화생산자로부터 문화향유자 중심으로 변화하고, 고급문화나 순수문화예술로부터 문화산업과 미디어예술 등으로 문화법정책의 대상이 확대되어 가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우리나라 문화법정책도 1990년대 이후부터 문화생산자나 공급자 중심에 서 수용자인 국민들을 중심으로 하는 접근성, 교육기회 확대와 같은 문화복지정책이 강조되고 있다. 더 나아가 종전 문화법정책의 영역이 경제정책, 정보통신정책, 외교정책, 교육정책과 연계하여 종합적인 정책을 추진하는 경향이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시대적 상황에 대처하여 우리나라는 2013년 12월 “문화에 관한 국민의 권리와 국가?지방자치단체의 책임을 정하고 문화정책의 방향과 그 추진에 필요한 기본적인 사항을 규정함으로써 문화의 가치와 위상을 높여 문화가 국민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고 국가사회의 발전에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도록 한다”는 입법목적 하에 「문화기본법」을 제정하였다. 이것은 우리나라에 있어서 문화정책부처 뿐만 아니라 다른 정책부처와의 문화법정책 연계 및 종합적 문화 법정책의 수립과 효율적 추진을 위한 법적 기반이 마련되었음을 의미한다. 더나아가 문화분권의 실현을 위한 「지역문화진흥법」이 2014년 1월 28일 제정되어 2014년 7월 29일부터 시행되게 되었다. 이러한 변화는 종전 한국 문화법 정책의 이론과 실무에 있어서 대폭적인 전환을 요구하고 있다. 이에 본고는 우리나라 문화법정책의 개념, 범위, 이론적 배경 등을 검토하고 미래지향적 문화법 정책의 기본방향과 이념을 설정함과 동시에 문화법제의 체계와 그 대상영역별특성을 규명하여 제시하고 있다. Culture” is one of the words used in many ways. So the subject and methods of cultural law and policy can vary according to the way “culture” defines. If it defines as artistic activities and works in a narrow sense, the territory of culture would be limited to the genre meaning, and the group related to culture could be limited to the artists as the category of profession. Whereas, if it defines as the entire way of lives in a broad sense, cultural law and policy would cover every sphere of human life. The range of the understanding of culture has been broadened through the definitions of Cultural Heritage in “Cultural Heritage Protection Act”, Culture and Arts and Cultural Industry in “Culture and Arts Promotion Act” and Cultural Industries in “Framework Act on the Promotion of Cultural Industries” until “the Framework Act on Culture” was enacted on December 30 2013. Before 1995 when Cultural Industry Bureau that handled cultural law and policy was newly established in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culture was accepted as culture and arts, and from 1995 to 2001 culture was accepted as industry, from 2002 to 2005 culture was accepted as contents. However, the concepts of culture have turned to the overall ways of life since 2006. Therefore, cultural law and policy is public policy which covers legislation, revision, or abolition of laws relating to culture and improvement of related systems. Today world”s major countries have interests in cultural welfare, living culture, and regional culture and they have a tendency to value on the industrial and the economic aspects of culture and arts. Also, the range of cultural law and policy is changing from cultural producer-oriented to cultural consumer-oriented and the range of policy target is being expanded from High culture or Fine arts to cultural industries and Media Art. Since 1990”s in Korea, Cultural welfare policy including improvement of accessibility and educational opportunity has been emphasized. Moreover, the range of cultural law and policy have increasingly a tendency to connect with economy policy,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policy, diplomacy, and education policy and to implement comprehensive policy. For these reasons on December 2013, “the Framework Act on Culture” was enacted under the legislative purpose: to prescribe the rights of nationals and the duties of State and local governments with regard to culture, and to provide for the direction of cultural policy and basic matters for implementation, thereby raising value and statue of culture and contributing to improvement of the quality of lives and the social development of the nation. It means that legislative requirements has arranged for liaison, establishment or efficient implementation of the comprehensive cultural law and policy between cultural policy government departments and others. Furthermore, “the Local Culture Promotion Act” for the realization of cultural decentralization was enacted on January 28 2014 and will be enforced from July 29 2014. These changes need a major alteration in the theory and practice of cultural law and policy in Korea. Accordingly, this paper is analyzing the concepts, range and theoretical background of cultural law and policy, setting future-oriented cultural law and policy”s direction and idea, and establishing and suggesting the structure of cultural laws and the characte

      • KCI등재

        포스트 코로나19 시대에 있어서 문화정책 방향의 모색

        권영길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2023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Vol.17 No.2

        The COVID-19 Pandemic limited daily life activities in all areas of society due to quarantine measures of social distancing. The global world defines the post COVID-19 era as the era of New Normal. Even in the New Normal era, culture continues without stopping. Accordingly, cultural policy should also seek the direction of cultural policy suitable for this situ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arch the direction of Korea's cultural policy in the post COVID-19 era. The research results can be summarized into the followings: Firstly, the basic framework of cultural policy should be established. Korean cultural policies have changed according to changes in the government, but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basic framework for their contents to promote the continuous development of cultural policies. Secondly, it is necessary to support technology development and digital platform construction for digital transformation in line with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Thirdly, cultural policies should be promoted centering on consumers. It is necessary to grasp the reality of the downturn in the cultural sector caused by the COVID-19 pandemic and to provide efficient policy support. Fourthly, welfare support for culture and artists should be strengthened. And lastly, we suggest a four-phase model for the cutural policy intervention according to two dimensions of short-long term period and readiness-potentiality.

      • KCI등재

        다문화주의와 다문화가족정책: 이념과 정책의 탈구

        김혜영 한국여성정책연구원 2014 여성연구 Vol. No.

        The aims of this paper is to analyze the gap between multi-culturalism and multi-cultural family policy. To this end, this article delineates the uniqueness of the multi-culturalism in Korea that is different from the one found in the West, and it shows that multi-cultural family policy does not taking into a multi-culturalism in sufficient, based analysis of making process The Support Law for Multi-Cultural Family. Multi-cultural policy represented multi-cultural family policy is not enough to realize the multi-culturalism and does not include valid elements of multi-cultural policy. This is caused by the ‘Korean multi-cultural situation' and ‘approach of the family policy drawn on Familism'. Also, Korean multi-cultural family policy misuse the concept of multi-culturalism without adopting the essence of multi-cultural theory, and we have lost the good opportunity to experiment multi-culturalism. Finally, I suggest the two ways to improve multi-cultural family policy, one is to strengthen the multi-cultural elements and the other is to expand the generousness of family policy. 지구화와 함께 국가의 경계를 넘는 인구가 증가하면서 한국 역시 다양한 변화를 경험하고 있다. 노동이주와 더불어 국제결혼의 급속한 증가는 우리 사회로 하여금‘다인종 다문화사회로의 전환'을 선언케 하였을 뿐만 아니라 이에 대응하는 다양한 법과 제도를 구비하게 만들고 있다. 다문화가족지원법 역시 이러한 정책의 일환의 하나인데, 다문화가족지원법에 근거한 다문화가족정책은 최근 급진전되어온 것이 사실이다. 그러나 다문화가족정책은 주요 지원대상을 한국인과 국제결혼한 외국인, 그리고 이들의 자녀로 제한하고 있으며, 이들에 대한 지원은 주로 가족생활유지와 자녀양육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는 점에서 다문화가족정책에 대한 정당성과 적실성을 둘러싼 다양한 비판이 끈임 없이 제기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한국의 다문화 현실을 짚어보고, 한국 다문화현상이 갖는 특성으로 인해 다문화가족정책에 내포된 가족주의적 요소가 가미되어 있음을 살펴보고 있다. 가족주의와 다문화주의가 뒤얽힌 다문화가족정책으로 인해 다문화정책에 대한 사회적 관심과 정책을 둘러싼 국민적 공감대는 쉽사리 확보할 수 있다는 긍정적 측면이 없지 않다. 그러나 다른 한편, 다문화정책에 내포된 다문화주의적 요소는 기형적 형태의 프로그램으로 변질됨으로써 다문화개념의 혼용과 오용을 초래하고, 장기적으로는 정책의 실효성을 낮추는 결과를 초래할 것으로 예측된다. 더욱이 부계중심적인 가족주의색채가 강한 다문화가족정책은 향후 국제결혼의 감소와 노동이주의 증가가 예견된다는 점에서 정책패러다임의 전환기에 직면해있으며, 향후 정책전환의 방향과 과제를 제안하고 있다.

      • KCI등재

        박정희 정부기 문화재정책과 민속신앙 : 국사당과 밤섬부군당을 중심으로

        정유진 한국역사민속학회 2012 역사민속학 Vol.39 No.-

        박정희 정부는 역사와 문화를 통치에 적극적으로 활용하였다. 박정희 정부의 문화재 정책 역시 근대화와 민족주의에 관련된 것들을 선택하고 집중적으로 개발했으며, 그렇지 않은 문화재들은 그 중요성에 상관없이 소외되었다. 이 논문에서는 박정희 정부기 문화재 정책의 문제점으로 인해 현실의 문화재들이 겪게 되는 문제를 민속신앙, 특히 무속신앙 관련 문화재를 통해 구체적으로 밝혀보고자 한다. 민속신앙은 박정희 정부의 문화재 정책이 가지고 있던 문제점을 두드러지게 보여주는 소재이다. 1962년 박정희 정부는 「문화재보호법」을 기초로 하여 새로운 문화재 정책을 시행했다. 이 때 민속 신앙은 한국 민중들의 생활과 의식에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다는 가치를 인정받아 보호받아야 할 문화재로 지정되었다. 그러나 당시 사회에서는 민속신앙을 미신, 원시적인 것, 가난하고 배우지 못한, 즉 근대화되지 못한 사람들이 믿는 것으로 규정하는 관념이 만연하였다. 또한 민속신앙과 관련된 문화유산들은 새마을 운동의 시행으로 인해 조직적으로 훼손되고, 파괴되었다. 즉 민속신앙은 문화재로서 인정은 받지만, 사회적으로 배척을 받는 모순적인 상황에 처해졌던 것이다. ‘인왕산 國師堂’과 ‘밤섬 府君堂’은 민속신앙이 겪었던 문제를 구체적으로 보여주는 사례이다. 인왕산 국사당은 1973년 박정희 정부에 의해 ‘중요민속자료 제28호’로 선정된 굿당이다. 국사당은 조선 시대부터 왕실의 의뢰를 받아 무당들이 나라굿을 하는 장소로 의의가 있었다. 하지만 실제 중요민속자료로 지정되는 과정을 살펴보면, 건물의 건축적 가치와 무신도의 예술성만이 주목을 받았고, 무속 문화의 가치는 소외된 채 외형적인 부분만을 보호받게 되었다. 반면 밤섬 부군당은 밤섬 사람들이 전통적으로 지켜온 마을 제당이다. 1968년 여의도 개발공사의 일환으로 밤섬이 폭파되는 사건이 발생했다. 밤섬 사람들은 전통적인 터전을 잃고 육지로 이주할 수밖에 없었다. 이때 밤섬 사람들은 밤섬이 잘 보이는 와우산 자락에 부군당을 새로이 만들었다. 그리고 이들은 새로운 터전에서 경제적으로 힘든 삶을 살면서도 밤섬 부군당과 그와 관련한 마을 문화를 지켜냈다. 결국 ‘밤섬 부군당굿’은 2005년 서울시무형문화재로 지정되며 민중들의 문화로서 인정 받았다. 이처럼 중요민속자료로 선정되었지만, 문화로서의 가치는 잃었던 국사당, 그리고 1970년대 사회적인 탄압 속에서도 민중들의 손에 의해 살아남은 밤섬 부군당을 비교해 보면, 박정희 정부의 문화재 정책이 가지고 있었던 문제점을 구체적으로 알 수 있다. 박정희 정부의 문화재 정책은 민속신앙의 문화적인 가치를 민중들의 삶에 대한 무관심과 무속신앙에 대한 편견으로 배제하고 있었다. 그리고 이 정책의 결과 포섭된 문화재는 실제 문화적 가치를 잃은 채 形骸化되었다. 반면 정책으로부터 배제된 문화들은 민중들에 손에 의해 문화적 가치를 유지하며 살아남았다. Park Jung-hee administration actively exploited history and culture in its rule. Its policy on cultural assets focused on the development related to modernization and nationalism, while the cultural assets not related to them were alienated, regardless of their importance. This study was aimed to concretely investigate the problems of our cultural assets confronted, folk beliefs, specifically the cultural assets related to shamanism, due to the problems with the administration’s policy on cultural assets. Folk beliefs were a subject matter that could clearly indicate the problems with Park Jung-hee administration’s cultural assets related policy. In 1962, the administration enforced a new policy on cultural assets based on 『Cultural Properties Protection Act』. At the time, folk beliefs were designated as cultural assets that should be protected after the recognition of its value that it was closely related to the lives and consciousness of the Korean citizens. However, there was a widespread belief at the time that shamanism had to be regarded as superstition, something primitive, or something that poor, not-well-learned and uncivilized people believed. Besides, the enforcement of Saemaeul Movement boosted the organizational destruction and suppression of folk beliefs. Namely, even if it was recognized as one of the cultural assets, it had to confront the contradictory situations where it was excluded socially. Inwangsan Guksadang and Bamseom Bugundang were the examples that clearly showed the problems faced by folk beliefs. Inwangsan Guksadang was a Gutdang designated as ‘Folk Material No. 28’ by Park Jung-hee administration in 1973. Guksadang was meaningful in that it had been used as a place where shamans had conducted exorcisms for the country after being commissioned by the royal court during the Joseon period. However, when looking at the actual processes of its designation as folk material, the architectural value of its building and artistic significance of paintings of shamanic gods (Musin-do) were the only aspects that were spotlighted, while its culture was excluded, thus resulting in protecting its external parts only. On the other hand, Bamseom Bugundang was a village Jedang that people on Bamseom traditionally commemorated. As part of the construction of developing Yeoui-do, there was a construction that bombed Bamseom in 1968. People on Bamseom had no choice but to lose their traditional living base and move to the land. In the meantime, people on Bamseom made Bugundang anew at the skirt of Wau-san, from which they could see the islet at the time. While living difficult lives economically in their new living bases, they were successful in preserving the village culture related to Bugundang on Bamseom. Finally, Bamseom Bugundangje (shamanistic rite) was recognized as a folk culture by being designated as one of the intangible cultural assets of Seoul City in 2005. When comparing Guksadang selected as folk material but losing its cultural value to Bamseom Bugundang surviving with the aid of the people on its islet despite the social suppression in the 1970s, the study could concretely confirm the problems with the policy of Park Jung-hee administration on cultural assets. The administration’s policy on cultural assets excluded the cultural values of folk beliefs in the name of people’s indifference to their lives and prejudice against shamanism. The cultural assets embraced as a result of this policy became poorer, while losing their cultural values. On the other hand, the cultures excluded in policy have survived, while maintaining their cultural values with the aid of the people.

      • 문화융성정책의 문화생활기여도 분석

        이종수(Lee, Jong-Soo) 중원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2016 인문사회과학연구 Vol.2 No.1

        본 연구는 2013년 박근혜정부가 국정기조로 수행중인 ‘문화융성’정책의 의의와 주요 내용을 분석하고, 구체적으로 제도 시행 1년을 넘기는 시점에서 문화융성정책의 주요 소비자들인 일반시민들의 문화융성정책 인지도와 정책 기여도를 정책현장에서의 문화소비자들에 대한 설문조사를 중심으로 접근하였다. 주요 내용은 문화정책에 대한 고객들의 만족도와 체감도 등을 분석하고 정책개선대안을 제시하였다. 이를 위하여 박근혜 정부의 ‘문화융성’정책(culture prosperity policy)의 사회적 파급력 등에 대한 주요 선행연구를 살펴보고, 문화융성정책의 효과를 국민의 휴식과 창의력 향유, 전파 신장에 도움이 되었나 등을 살펴 보고, 박근혜 정부의 문화융성정책의 개선방향으로 제도와 운영 측면의 과제를 다섯 가지로 제시하고, 구체적인 정책 제언사항으로는 먼저 제도적 측면에서의 일곱 가지 사항을, 절차적 측면에서 다섯 가지 사항을 제안하고 결론에서 의의와 연구의 한계, 후속연구 과제 등을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way to define policy tasks of cultural prosperity policy - focused on Culture day. The study consists of five sections. The first section clarifies research questions, the purpose of study and methodology about policy tasks of cultural prosperity policy. The second section deals with methods of study, literature review, previous research and theoretical background of policy tasks of cultural prosperity policy. The third section presents analysis variables about policy tasks of cultural prosperity policy. The forth section suggests research effect & limitations for fostering contribution analysis of cultural prosperity policy. The last concluded and proposed some suggestion & expectation effect, so forth.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