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Critical Interpretations of Digital Labor on Digital Platforms

        Dal Yong Jin(진달용) SBS 2016 미디어경제와 문화 Vol.14 No.2

        21세기 초에, 소셜 네트웍 사이트, 검색 엔진, 그리고 스마트폰과 같은 디지털 플랫폼은 매우 빠른 속도로 성장하고 있으며, 사람들의 일상생활을 변화시키고 있다. 본 논문은 디지털 플랫폼을 기술철학의 전통 중 기술 비판론 입장에서 해석한다. 기술철학의 세 가지 측면, 즉 도구적 이론부터 비판적 이론까지를 설명하고, 이를 플랫폼 기술에서 어떻게 적용•확대해야 하는지를 논의한다. 특히 본 논문은 플랫폼 기술을 기술비판적 입장에서 해석하는 바, 이는 기술과 인간 간의 관계, 특히 기술과 노동과의 관계를 보다 정밀하게 살펴보고자 하는 데 그 의의가 있다. 마지막으로, 본 논문은 디지털 플랫폼 소유자와 기업들이 디지털 노동자를 어떻게 유용하는지를 자유노동과 렌트라는 개념을 통해서 해석하고 있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플랫폼에 의존하는 21세기 자본주의 사회에 대한 분석적인 프레임을 제공하고자 했다. In the early 21<SUP>st</SUP> century, digital platforms, such as social network sites, search engines, and smartphones and their operating systems, have rapidly grown and changed people’s daily activities. This article addresses the characteristics of digital platforms from the standpoint of the critical theory of technology in the tradition of the philosophy of technology. It explicates the historical development of three different approaches to technology, from instrumental theory to substantive theory to figure out the main characteristics of critical theory. It applies these frameworks to platform technologies, but mainly from the critical approach of technology, in order to advance our understanding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echnology and human beings, in particular digital technology and labor. Finally, it investigates the ways in which digital platform owners and corporations appropriate digital labor and their platform in making profits through ‘the dual extraction of free labor and rent’ in order to provide an analytical framework for the platform-driven capitalist society.

      • KCI등재

        비판이론의 관점에서 본 기술과 교육의 관계- 호르크하이머와 아도르노의 이론을 중심으로 -

        홍은영 한독교육학회 2022 교육의 이론과 실천 Vol.27 No.1

        Pedagogical discussions of technology can limit the proper understanding of technology and education by confining both only to a confrontational relationship. This study examines the relationship between education and technology from the perspective of the critical theory of Horkheimer and Adorno; this theory reflects on the fundamental dilemma of education and bourgeois culture that divides culture into a dichotomous structure of means and ends. To this end, Chapter 2 examines the relationship between means and ends which is presented in Horkheimer’s critique of instrumental reason, focusing on Rohbeck’s analysis of instrumental reason. Next, Chapter 3 explores Adorno’s understanding of technology that takes a position of intrinsic criticism, unlike Horkheimer’s thought that is somewhat conciliatory to totality. Notably, beyond the criticism of technology in the cultural industry, in aesthetics, technology is understood as a general concept that mediates the content and materials of artwork. This can be interpreted as an emphasis on the social properties of technology, and the intrinsic relationship between technology and content. Based on Adorno’s criticism on the theory of Halbbildung, the concept of education and culture does not mean anything noble that seeks elevation and harmony of human spirit; rather, it is implicated in adapting to the domination of nature in connection with reality. Further, the cultural industry has intensified the educational regression due to half-education. Now, notice here that recognizing the intertwined culture and technology requires more sensitive reflec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ducation and technology as well as the internal debates about education itself. Subsequently, Chapter 4 posits that technology is not completely different from education; education is objectified within technology; technology is objectified education and the product of education. Then, technology can be understood as a social practice in that it contains an opportunity for the inevitable formation and mediation of Dasein (human existence). In this sense, education has technical properties. Finally, this study discusses the implications of the intrinsic relationship between technology and education for pedagogical thoughts about technology. This discussion centers on the criticism of the present; a review of technology and education concepts; technologization as conditions to criticize education; and a constant denial of humanistic education. 본 연구는 기술에 대한 교육학적 논의가 기술과 교육을 대립관계로만 환원하는 것은 기술과 교육에 대한 적절한 이해를 제약할 수 있다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한다. 이러한 배경으로 본 연구는 문화를 수단과 목적의 이분법적 구도로 구분하는 부르주아적 문화와 교육의 근본적 딜레마를 성찰하는 호르크하이머와 아도르노의 비판이론의 관점에서 교육과 기술의 관계를 논의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2장에서는 호르크하이머의 도구적 이성 비판에 나타난 수단과 목적의 관계를 로베크의 분석을 중심으로 살펴본다. 3장에서는 총체성에 다소 유화적인 호르크하이머의 사유와 달리 내재적 비판의 입장을 취하는 아도르노의 기술 이해를 고찰한다. 이때 특별히 주목할 점은 문화산업적 기술 비판을 넘어 미학영역에서의 기술 개념은 작품의 내용과 재료를 매개하는 총괄 개념으로서 이해된다는 것이다. 이것은 기술의 사회적 속성과 기술과 내용 간의 내재적 관계를 강조하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아도르노의 절반의 교육 비판을 통해 교육과 문화 개념은 인간 정신의 고양과 조화를 추구하는 어떤 고귀한 것을 뜻하지 않고, 오히려 현실과의 연관성에서 자연 지배에의 적응에 연루되고 있다. 절반의 교육으로 나타나는 교육의 퇴보는 문화산업으로 강화되고 있다. 여기서 강조될 점은 문화와 기술의 상호 얽힘에 대한 인식이 교육과 기술 관계에 대한 좀 더 예민한 성찰과 교육 관념 자체의 자기비판을 요구한다는 것이다. 4장에서는 기술은 교육과 완전히 다른 것이 아닌, 기술 안에 교육이 대상화되고, 기술은 객관화된 교육이자 교육의 결과물임을 논의한다. 기술은 인간 현존재의 불가피한 형성과 매개의 계기를 내포하고 있다는 점에서 사회적 실천으로 이해될 수 있다. 이런 점에서 교육은 기술적 속성을 지니고 있다. 결론에서 기술과 교육의 내재적 관계가 기술에 대한 교육학적 사유에 줄 수 있는 함의를 현재에 대한 비판, 기술과 교육 개념의 재검토와 교육 비판의 조건으로서 기술화 그리고 휴머니즘적 교육의 쉼 없는 부정의 측면에서 논의하였다.

      • KCI등재

        Critical Interpretations of Digital Labor on Digital Platforms: Developing the Philosophy of Technology Perspectives

        진달용 (주)에스비에스 2016 미디어경제와 문화 Vol.14 No.2

        In the early 21stcentury, digital platforms, such as social network sites, search engines, and smartphones and their operating systems, have rapidly grown and changed people’s daily activities. This article addresses the characteristics of digital platforms from the standpoint of the critical theory of technology in the tradition of the philosophy of technology. It explicates the historical development of three different approaches to technology, from instrumental theory to substantive theory to figure out the main characteristics of critical theory. It applies these frameworks to platform technologies, but mainly from the critical approach of technology, in order to advance our understanding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echnology and human beings, in particular digital technology and labor. Finally, it investigates the ways in which digital platform owners and corporations appropriate digital labor and their platform in making profits through ‘the dual extraction of free labor and rent’ in order to provide an analytical framework for the platform-driven capitalist society.

      • KCI등재

        인공지능 시대의 도구적 이성 비판: 프랑크푸르트학파 창설 100주년의 회고와 전망

        이국배 동양사회사상학회 2023 사회사상과 문화 Vol.26 No.4

        This article explores the current relevance of the critique of instrumental reason on the occasion of the 100th anniversary of the founding of the Frankfurt School. To achieve this, the paper retrospectively examines the paradigm of critique of instrumental reason that was central to critical theory within the intellectual context and assesses the potential resurgence of critique of instrumental rationality in an era symbolized by artificial intelligence. When assuming the role of director of the Social Research Institute in 1930, Horkheimer characterized the contemporary period as an era where reason had been reduced to a mere means. In his view, human intellectual activity had been diminished to a utilitarian sense, solely functioning as an optimization means for ends. The concept of instrumental reason synthesized Horkheimer’s idea of instrumental reason with Weber’s notion of instrumental rationality and Lukács’ concept of reification, ultimately representing a comprehensive result. The modern society dominated by instrumental reason becomes the target of critique. Therefore, the critique of instrumental reason signifies a contemporary succession and intensification of the so-called ‘Weberian paradigm,’ evaluating the past century of critical theory as a history of practical application and experimentation of critique of instrumental reason. While Horkheimer chose the path of philosophical critique of reason as a means to overcome instrumental reason, Adorno pursued an inherent critique of Enlightenment reason through negative dialectics. Conversely, Marcuse sought avenues of liberation through the exploration of a ‘new sensitivity’ in art while intensifying criticism of the technological society. However, the fundamental question that motivated the formation of critical theory, namely “How can individual critical capacity be nurtured in a conformed and objectified era?” remains an unresolved task within critical theory. Differently from the traditional critical theorists, Habermas attempts a groundbreaking shift in paradigm by focusing on communicative action, an alternate facet of reason, rather than upholding the critique of instrumental reason. He criticizes Horkheimer and Adorno for simplifying cultural history into a process where only instrumental reason amplifies through the dialectics of Enlightenment. Habermas argues that while positivism concentrated solely on the method of epistemology, the traditional critical theory also exhibited similar biases by focusing solely on the instrumental aspect of reason. According to him, the history of Enlightenment is not merely the evolution of instrumental reason but also the development of critical reason. The transition to the paradigm of communicative reason is evaluated both as a perspective to seek multidimensional democratic solidarity through mutual relationships and as a critical public sphere. However, doubts about the practical functioning of the communicative reason have intensified, raising various questions even within the tradition of critical theory regarding whether it is the optimal path for envisioning the future. The exploration in this text concludes that the paradigm of critique of instrumental reason remains relevant and current in today’s information society, epitomized by artificial intelligence. The reasons for this include, firstly, the autonomous development of technological power, including artificial intelligence, contributing paradoxically to the current relevance of the paradigm of instrumental reason critique. Secondly, the social prevalence of instrumental reason infringing upon human agency and paradoxically leading to the annihilation of theory itself through a scientific ethos founded on instrumental reason provides conditions for the resurgence of critique. The ability of instrumental reason, a skill evolved by humans as a means of self-preservation, no longer being exclusively human due to the advancement of a... 이 논문은 프랑크푸르트학파 창설 100년을 맞아 도구적 이성 비판의 현재성을 탐색하는 작업이다. 이를 위해 이 글은 비판 이론의 중심에 있었던 도구적 이성 비판 패러다임을 비판 이론 내부의 사상사적 맥락에서 회고하고, 인공지능으로 대표되는 이 시대에 도구적 이성 비판의 부활 가능성을 진단한다. 1930년 사회연구소장으로 부임한 호르크하이머는 당대를 이성이 한낱 도구로 축소된 기형의 시대로 규정했다. 그가 보기에 인간의 사유 활동은 실용적 의미로만 축소되어, 오직 목적을 위한 수단의 최적화 기능으로 전락했다. 도구적 이성 개념은 호르크하이머가 베버의 도구적 합리성 개념과 이른바 베버 서클의 충실한 회원이었던 루카치의 물화(reification) 개념을 적극적으로 수용하여 종합한 결과이다. 도구적 이성이 전면화된 근대 사회가 비판의 대상이다. 따라서 도구적 이성 비판은 이른바 ‘웨버리안 패러다임(Weberian paradigm)’의 현대적 계승과 본격화를 의미하며, 비판 이론의 지난 한 세기는 도구적 이성 비판의 실천적 적용과 실험의 역사로 평가될 수 있다. 호르크하이머가 도구적 이성의 극복 방안으로 이성에 대한 이성 비판이라는 철학의 길을 택했다면, 아도르노는 부정 변증법을 통해 계몽적 이성에 대한 내재적 비판을 시도했다. 반면 마르쿠제는 기술화 사회에 대한 비판의 강도를 높이면서 예술의 ‘새로운 감성(new sensitivity)’을 통한 해방의 활로를 모색한다. 그러나 비판 이론 형성의 결정적 동기가 되었던 질문, 즉 “순응적이고 사물화된 시대에 개인의 비판 능력은 어떻게 해야 함양될 수 있는가”에 대한 답변은 여전히 해결되지 않은 과제로 남았다는 지적이 비판 이론 내부에서 제기된다. 하버마스는 도구적 이성 비판을 비판 이론의 중심 과제로 설정했던 기존의 비판이론과 달리 의사소통 행위라는 이성의 또 다른 능력에 주목함으로써 패러다임의 획기적 전환을 시도한다. 그는 호르크하이머와 아도르노가 계몽의 변증법을 통해 문화사 전반을 도구적 합리성만이 증대되는 과정으로 단순화했다고 비판한다. 하버마스가 보기에는 실증주의가 인식의 방법론에만 집중하여 도구적이고 형식적인 측면에 치우친 견해를 제시했다고 한다면, 기존의 비판 이론 역시도 합리성의 도구적 측면에만 주목함으로써 마찬가지의 편향성을 보인다. 하버마스는 공론장과 법적 타당성, 그리고 권력의 정당성 모색과 민주주의의 제도화 역시도 사회적 합리성을 총체적으로 증진시키는 이성의 해방적 능력이며, 따라서 계몽의 역사는 단순히 도구적 이성의 진화사가 아니라 비판적 이성의 발전사이기도 하다고 주장한다. 의사소통적 이성 패러다임으로의 전환은 한편으로 상호주관적인 관계를 통해 다각적 수준의 민주적 연대를 모색할 수 있는 비판적 공론 영역의 전망을 연 것으로 평가된다. 그러나 다른 한편으로는 의사소통적 이성의 현실적 작동에 대한 의문이 증폭되면서 미래 구상을 위한 최적의 활로인지에 대해서는 비판 이론의 전통 내부에서조차도 다양한 문제 제기가 계속되고 있다. 이 글의 탐색 결과는 도구적 이성 비판 패러다임이 인공지능으로 대표되는 오늘의 정보사회에서도 여전히 유효하며 현재성을 갖는다는 것이다. 그 이유로는 우선 1) 인공지능을 비롯한 기술적 힘의 자율적 발전과 통제 불가능성이 오히려 도구적 이성 비판 패러다임의 현재성을 위한 현실적 조건 ...

      • KCI등재

        기술 · 정보 문화연구의 비판적 접근과 새로운 실천 지형

        이광석(Kwang-Suk Lee) 한국언론학회 2013 커뮤니케이션 이론 Vol.9 No.S

        이 글은 기술정보 문화 분석의 고질적인 기술주의적 서술과 구조 없는 기술주체의 낙관론을 벗어나 새로운 비판적 태도이자 방법으로서 ‘기술 · 정보 문화연구’를 제안한다. 이론적으로는 과학기술연구 내 사회적 구성주의의 중층적이고 두텁게 사회문화적 맥락을 드러내는 관점, 그리고 주체 형성의 권력관계를 밝히는 ‘비판적’ 문화연구의 전통을 적극 수용할 것을 주장한다. 이 두가지 이론적 태도에 덧붙여, ‘기술 · 정보 문화연구’는 정보기술 현실과 문화해석의 주어진 지평을 넘어서서 대안을 구상하려는 실천적 태도가 필요하다고 본다. 즉 일상 기술과 미디어의 문화정치적 가능성에 근거한 실천과 행동주의 연구의 경향과 방법이 중요하다고 판단한다. 결론에서는 이론-비평(해석)-현장의 세 층위에서 실천적 개입을 요하는 기술정보 문화연구의 새로운 확장 영역들을 제시하고 그 함의를 밝힌다. The present study suggests a ‘critical inquiry of cultural studies upon technology and ‘information’(CICSTech), beyond both the often techno-centric descriptions in IT analyses and groundless optimism about media users. In theory, CICSTech has to include the perspective which enables us to disclose socioculturally over-determined and detailed contexts, while it embraces the theoretical tradition of the ‘critical’ cultural studies with regard to interpreting the subjects. In addition to these two theretical attitudes, CICSTech requires the practical attitude mapping the alternatives beyond a given horizon of the dominant IT realities. In other words, CICSTech shoud be based upon practical and interventionist research observing cultural-political potentials of everyday technology and media. In conclusion, this paper identifies new trends of CICSTech and estimates the expandable areas of future research, through conducting the theoretical-analytic-practical interventions to technology-information culture.

      • KCI등재

        기술·정보 문화연구의 비판적 접근과 새로운 실천 지형

        이광석(Kwang-Suk Lee) 한국언론학회 2013 커뮤니케이션 이론 Vol.9 No.2

        이 글은 기술정보 문화 분석의 고질적인 기술주의적 서술과 구조 없는 기술주체의 낙관론을 벗어나 새로운 비판적 태도이자 방법으로서 ‘기술·정보 문화연구’를 제안한다. 이론적으로는 과학기술연구 내 사회적 구성주의의 중층적이고 두텁게 사회문화적 맥락을 드러내는 관점, 그리고 주체 형성의 권력관계를 밝히는 ‘비판적’ 문화연구의 전통을 적극 수용할 것을 주장한다. 이 두가지 이론적 태도에 덧붙여, ‘기술·정보 문화연구’는 정보기술 현실과 문화해석의 주어진 지평을 넘어서서 대안을 구상하려는 실천적 태도가 필요하다고 본다. 즉 일상 기술과 미디어의 문화정치적 가능성에 근거한 실천과 행동주의 연구의 경향과 방법이 중요하다고 판단한다. 결론에서는 이론-비평(해석)-현장의 세 층위에서 실천적 개입을 요하는 기술정보 문화연구의 새로운 확장 영역들을 제시하고 그 함의를 밝힌다. The present study suggests a ‘critical inquiry of cultural studies upon technology and information’(CICSTech), beyond both the often techno-centric descriptions in IT analyses and groundless optimism about media users. In theory, CICSTech has to include the perspective which enables us to disclose socioculturally over-determined and detailed contexts, while it embraces the theoretical tradition of the ‘critical’ cultural studies with regard to interpreting the subjects. In addition to these two theretical attitudes, CICSTech requires the practical attitude mapping the alternatives beyond a given horizon of the dominant IT realities. In other words, CICSTech should be based upon practical and interventionist research observing cultural-political potentials of everyday technology and media. In conclusion, this paper identifies new trends of CICSTech and estimates the expandable areas of future research, through conducting the theoretical-analytic-practical interventions to technology-information culture.

      • KCI등재

        다산 교육관의 현대 교육적 의의

        박준영(Park, Zoon Young) 한국교육사상연구회 2005 敎育思想硏究 Vol.16 No.-

        본 논문의 목적은 현대적 의미를 지니고 있는 다산의 교육이론에 관한 고찰을 통해서 다산의 교육관이 갖는 현대 교육적 의의를 밝히는데 있다. 다산은 오학과 천자문교육에 대한 비판을 통해 새로운 학문적 시각으로 새로운 교육관을 모색하였다. 그는 자녀교육에 대한 자신의 관점을 분명하게 밝힘으로써 인간의 인격교육에 대한 확고한 신념을 보여주었을 뿐만 아니라 인생의 올바른 삶을 위한 명쾌한 가르침을 제시하였다. 또한 그는 국가적인 차원에서 과학 기술교육의 강조를 통해 국민 개개인의 풍요로운 삶을 염원하였으며 급기야는 부국의 꿈을 이룰 수 있도록 헌신하였다. 이와 같은 다산의 진보적이고 실용주의 교육관은 오늘날 많은 갈등을 지니고 있는 한국교육현실에서 교육실천이 어떠한 방향으로 나아가야 하는가에 대해 올바른 길을 제시해 주고 있다. The aim of this paper is to discuss about modern educational significance of Dasan's view to education. Dasan's view to education include the new view of education in which the various new real teaching materials including Chines classics of Confucianism must supplied for a useful knowledge to a real life. Moreover, Dasan suggest the view of learning which put the importance to the learner's thought process and tried the view of education which integrated a cognition training and a subject solution method. Such view to education attachs an importance to the educational reality and practice, and emphasize the importance of a scientific search and technology which provide a useful knowledge to a real life. Dasan insisted that this should be the major theory of education. This Dasan's view to education has a meaning that it showed a problem about the direction of teaching. Dasan's advice to solve the current educational problem of Korea is that a practical and ethical education must be pointed in order to improve a moral ability.

      • KCI등재

        마르쿠제의 문화비판과 전쟁담론

        임채광 ( Lim Chai-kuang ) 한국동서철학회 2017 동서철학연구 Vol.0 No.83

        마르쿠제는 전쟁과 함께 성장하였고 전쟁으로 인하여 망명하게 되었으며, 후기 자본주의의 “전쟁의 문화”를 경험하면서 이와 같은 현상을 연구, 비판하는 것이 그의 주요 관심 주제 중 하나가 되었다. 초기에는 “전체주의의 기원”에 대한 연구를 통해 당시의 전쟁 논리의 배후에 “영웅적-민족 현실주의”가 놓여 있음을 지적하였으며, 이와 같은 세계관은 후기 자본주의 사회의 내부에 숨겨져 있는 은밀한 작동 원리로 진화하여 전개 되었다. 복지국가 또는 복지 사회를 표방하는 현대 사회는 전쟁을 통하여 작동하며 전쟁을 준비하는 산업장치로서 지탱하고 유지되는 것이다. 이제 전쟁 산업은 단지 복지사회의 운용과 작동원리로서 긴요한 것이 아닌 개개인의 일상을 지배하게 되었으며 욕구이자 의식체계 저변에 자리하게 되었다. 마르쿠제는 전쟁문화의 시대에 살아가는 현대인에게 첫째, 인간다움의 회복을 위해 현존하는 문화적 현실에 대한 강력한 부정을 요구한다. 자아에 대한 성찰이자 개인적자유의 확장이다. 둘째, 비록 현재에 기거하지만 과감히 내일을 선택하는 실천행위이며, 폭력적이고 불합리한 전쟁문화의 일상을 거부하는 용기이다. 이는 개인적으로 하나의 희생이고 헌신이기도 하다. 마지막으로 정치적 연대의 중요함이다. Marcuse grew up in the war and was exiled because of war. It was one of his main concerns to study and criticize this phenomenon by experiencing the "culture of war" of late capitalism. At first, he pointed out that "heroic - national realism" lies (is) behind the logic of war through the study of "origin of totalitarianism". This view of the world was developed to a covert working principle hidden within late capitalism. The modern society identified by a welfare state and a welfare society is working through war and is sustained and maintained as an industrial device that prepares for war. War industry (culture ) now is not required just for welfare society and its working principle but it dominates daily life of people and takes the position in the desires and consciousness of modern people. How can we escape from the war culture? First, it calls for a strong denial of the existing cultural reality in order to restore humanity. It is a reflection on self and an extension of personal freedom. Second, it is a practice to take Tomorrow bravely, and it is the courage to reject the everyday life of violent and irrational war culture. This is personally a sacrifice and a dedication. Finally, political solidarity is important.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