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대학작문에서 비판적 문식성 교육의 필요성과 방법 고찰

        김경화 한국 리터러시 학회 2016 리터러시 연구 Vol.- No.18

        There has been much interest in the various writing types that fall under the overarching category of functional literacy: writing for individual cognitive development and growth, writing for societal adaptation, writing to advance subject knowledge and self-reflective writing. It is therefore necessary to develop and implement classes related to critical literacy, in order to promote the further development of college courses that embody the critical literacy concept. Critical literacy assumes that literacy practice is influenced by power relationships, personal interests, and political and economic interactions. Therefore, students― the main actor of literacy activities in college education― should be able to critically identify various relationships affecting the literacy activities performed by themselves or others, as well as other socially accepted literacy practices. Despite the importance of critical literacy, it was difficult to implement critical literacy approaches in practical terms: its theoretical nature can be somewhat difficult to apply in a structured learning and teaching environment. In this vein, the instruction of <book discussion and writing> could be employed in order to design the class on critical literacy. ‘Book discussion’ is considered the specific situations and contexts of lectures. And students can easily understand critical literacy by the reading text, the book discussion and questions of the teacher. 대부분의 대학작문은 기능적 문식성의 관점에서 개인의 인지 발달과 사고력 신장을 위한 글쓰기, 사회 적응을 위한 글쓰기, 그리고 학문의 발전을 위한 글쓰기, 개인의 성찰을 위한 글쓰기 등이 주를 이루고 있다. 기능적 문식성이 중심을 이루고 있는 대학작문의 심화 발전을 위해서, 그동안 간과되어 왔던 비판적 문식성의 성격을 갖고 있는 강의를 개발하고 운영할 필요가 있다. 비판적 문식성은 문식 실천이 권력관계, 이해관계, 정치적·경제적 관계 등에 영향을 받는 것으로 간주한다. 문식성은 중립적이지 않으며, 문식 활동을 통해 이해와 표현, 생산과 수용 등을 행하는 이들은 주체적으로 이를 수행할 수 있어야 한다. 때문에 대학교육을 통하여 학생들은 본인이 행하는 읽기나 쓰기 등의 문식 행위와, 타인 혹은 사회에서 통용되는 문식 행위에 내재되어 있는 여러 관계들을 비판적인 관점으로 파악하고, 이에 대한 주체적인 판단과 실천을 할 수 있어야 한다. 이러한 비판적 문식성은 이론의 특성상 체계화된 교수·학습 이론의 적용이 어려워, 그동안 중요성에 비하여 구체적인 실행이 어려웠다. 대학에서 비판적 문식성 교육의 구체적인 수업 실행을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독서-토론-글쓰기> 방법을 제안하였다. <독서-토론>은 꾸준히 연구되고 있는 교수·학습 방법이면서, 개별 수업의 상황과 맥락이 적극적으로 반영될 수 있는 수업이기 때문이다. 또한 텍스트 활용과 교사의 질문 등을 통하여 학생들이 비판적 문식성을 보다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이기 때문이다.

      • KCI등재

        문학교육 담론의 비판적 문식성 재개념화 양상에 대한 고찰

        박수민 한국문학교육학회 2020 문학교육학 Vol.0 No.67

        As critical pedagogy continues to change, the concept of critical literacy is not fixed either. Korean language education researchers reconceptualize critical literacy slightly differently. This paper confirms the reconceptualization of critical literacy with a focus on literary education. Through this, this paper understands the specific meaning of critical literacy. It does not appear in the literacy dictionary but is valid in the discourse of literature education. The research method is discourse analysis. In short, it reviews the discourse of critical literacy since 1990s, produced both inside and outside literary education, then write the close relationships in meta-language. According to the analysis, the critical literacy assumed in literary education in the 1990s and 2010s is clearly distinguished. Critical literacy in the former is the ability to criticize the ideology of literature. In the latter, it is the ability to understand and reflect in context. The reason for this change was the discourse of critical literacy in Korea language educationa around 2010. 비판적 교육학이 변모하여 온 만큼 비판적 문식성 개념도 고정되어 있지 않다. 문학교육과 국어교육 연구자들 역시 비판적 문식성 개념을 조금씩 다르게재개념화한다. 본고는 문학교육 담론에서 비판적 문식성이 재개념화되어 온 양상을 검토한다. 이를 통해 문식성 용어 사전에는 나오지 않지만 문학교육 담론에서는 유효한 비판적 문식성의 다양한 의미를 이해한다. 연구 방법은 담론 분석으로 1990년대 이후 문학교육 안팎에서 생산된 비판적 문식성 담론을 비교하고 영향 관계를 도출하여 메타언어로 기술한다. 분석에 의하면 1990년대와2010년대 문학교육 담론의 비판적 문식성은 상이하다. 전자의 비판적 문식성을‘문학이라는 이데올로기를 문제 삼는 능력’이라고 한다면 후자의 비판적 문식성은 ‘맥락을 고려하여 복잡하게 생각하는 능력’에 가깝다. 이러한 변모의 주요 계기는 2010년 전후 독서교육의 비판적 문식성 담론과 주고받은 상호작용이다.

      • KCI등재SCOPUS

        An EFL Model of Critical Literacies: Adapted and Reshaped from Previous Studies

        Young-Mee Suh,Seonmin Huh 한국영어교육학회 2023 ENGLISH TEACHING(영어교육) Vol.78 No.4

        This article aims to suggest a model of critical literacy in English as a Foreign Language (hereafter EFL) contexts. The paper will introduce previous critical literacy models in first or second language teaching and learning and those in EFL contexts. Then, several empirical studies based on the models are introduced suggesting important issues to consider in implementing critical literacy in EFL contexts. A model of critical literacy in EFL contexts is, consequently, suggested with the three key elements for successful critical literacy implementation in EFL contexts, language for criticality development, affects and criticality development and citizenship and criticality development. The model pursues balancing conventional literacy education, critical literacy education and citizenship education. The researchers suggest balancing conventional skill-based literacy, affective pedagogy, and citizenship education with the development of critical literacies. Teacher-initiated practice and guidance, incorporation of community-sensitive topics and materials, and students’ active participation are key elements practitioners should consider in their adaptation of critical literacy instruction in EFL contexts.

      • KCI등재

        Critical Literacy in Korea: A Review of Research on Critical Approaches to Texts

        Soo Joung Choi 팬코리아영어교육학회(구 영남영어교육학회) 2019 영어교육연구 Vol.31 No.3

        Reviewing research on critical approaches to literacy published in Korea within the last 15 years , this article aims to present an overview of the current state of knowledge and research findings on critical literacy practices in Korea to identity gaps in the current understanding and suggest future research directions. Thirty papers comprising both empirical and non-empirical studies were reviewed to this end. The result of the review indicates that English as a foreign language (EFL) learners in Korea are capable of reading texts critically by challenging the ideological assumptions contained within and are also able to identify alternative perspectives and interpretations, regardless of their age and proficiency level. The review further illustrates that in the unique context of EFL teaching and learning, learners’ comprehension of a text should precede their engagement in critical literacy practices. Teachers’ preparedness and competence in critical literacy are revealed as important prerequisites in the successful incorporation of critical literacy curriculum in Korea. Given that critical literacy-informed studies in Korea are still evolving, further investigations are needed to gain a deeper understanding of the possibilities and challenges of introducing critical literacy to EFL learners in Korea. Future research directions are discussed based on the study’s findings.

      • KCI등재

        Critical Literacy in Korea: A Review of Research on Critical Approaches to Texts

        최수정 팬코리아영어교육학회 2019 영어교육연구 Vol.31 No.3

        Reviewing research on critical approaches to literacy published in Korea within the last 15 years , this article aims to present an overview of the current state of knowledge and research findings on critical literacy practices in Korea to identity gaps in the current understanding and suggest future research directions. Thirty papers comprising both empirical and non-empirical studies were reviewed to this end. The result of the review indicates that English as a foreign language (EFL) learners in Korea are capable of reading texts critically by challenging the ideological assumptions contained within and are also able to identify alternative perspectives and interpretations, regardless of their age and proficiency level. The review further illustrates that in the unique context of EFL teaching and learning, learners’ comprehension of a text should precede their engagement in critical literacy practices. Teachers’ preparedness and competence in critical literacy are revealed as important prerequisites in the successful incorporation of critical literacy curriculum in Korea. Given that critical literacy-informed studies in Korea are still evolving, further investigations are needed to gain a deeper understanding of the possibilities and challenges of introducing critical literacy to EFL learners in Korea. Future research directions are discussed based on the study’s findings.

      • KCI우수등재

        미디어기기 이용역량과 정보 프라이버시 염려가 비판적 이해 역량으로서 정보 분석 및 평가에 미치는 영향: 독립변수 vs. 매개변수로서 정보 프라이버시 염려의 역할 규명을 중심으로

        류성진 한국방송학회 2024 한국방송학보 Vol.38 No.3

        미디어 리터러시 개념의 확장에 따라 미디어 리터러시 간 관계에 관한 연구가 조금씩 진행되고 있다. 그중 하나는 단순 미디어기기 이용역량으로서 미디어 리터러시이고, 다른 하나는 좀 더 본질적인 내용 분석 역량으로서 비판적 이해 역량인 미디어 리터러시이다. 이와 함께 이러한 미디어 리터러시에 중대한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요인으로 정보 프라이버시 염려가 주목받고 있다. 한편, 미디어 리터러시와 정보 프라이버시 염려는 연령에 따라, 즉 디지털 원주민과 디지털 이주민 간에 상당히 다른 수준을 나타낸다는 연구 결과가 있다. 이러한 기존 연구 결과를 기반으로, 이번 연구는 한국정보통신정책연구원(KISDI)의 2022년 <한국 미디어 패널조사> 데이터를 활용하여 앞서 언급한 세 가지 변수, 즉 미디어 기기 이용역량, 정보 프라이버시 염려, 그리고 비판적 이해 역량으로서의 정보 분석 및 평가 간 인과성을 밝혀내고자 했다. 연구 결과, 3가지 변수 모두에서 디지털 원주민이 디지털 이주민보다 전반적으로 높은 수준을 나타냈다. 변수 간 인과성의 경우, 디지털 원주민과 이주민 간에는 일부 변수 간 관계에서 효과 크기에 차이가 있었으나, 전반적으로 유사한 결과를나타냈다. 정보 프라이버시 염려와 미디어기기 이용역량은 모두 비판적 이해 역량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미디어기기 이용역량에 비해 정보 프라이버시 염려가 상대적으로 비판적 이해 역량을 더욱더 강력하게 설명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미디어기기 이용역량과비판적 이해 역량 간 인과성에 영향을 미치는 정보 프라이버시 염려의 매개효과는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정보 프라이버시 염려의 간접 효과는 미디어기기 이용역량의 직접 효과보다 약한 것으로 드러나, 개별 독립변수로서 정보 프라이버시 염려의 역할에 대한 가능성을 타진할 수 있었다. 연구 결과에 대한 깊이 있는 논의와 향후 연구를 위한 제언은 연구 마지막에 제시해 뒀다. With the expansion of the concept of media literacy, there has been a growing body of research on the relationship between media literacies. There are two types of media literacy: media literacy, which is the ability to use media devices, and media literacy, which is the ability to analyze content and evaluate it critically. In addition, information privacy concerns have been recognized as a factor that can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media literacy. On the other hand, research has shown that media literacy and information privacy concerns differ significantly by aga, that is, between digital natives and digital immigrants. Based on these existing research findings, this study utilized data from the Korea Information Society Development Institute(KISDI)’s <2022 Korea Media Panel Survey> to explore the causality between the three variables mentioned above: media device use literacy, information privacy concerns, and information analysis and evaluation as critical understanding literacy.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at digital natives had higher overall levels than digital immigrants on all three variables. In the terms of causality,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effect sizes for some of the relationships between digital natives and immigrants, but overall the results were similar. Both information privacy concerns and media device use literacy were found to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critical understanding literacy, but information privacy concerns were found to be a stronger predictor of critical understanding literacy than media device use literacy. The mediating effect of information privacy concerns on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media device use literacy and critical understanding literacy was found to be significant. However, the indirect effect of information privacy concerns was found to be weaker than the direct effect of media device use literacy, suggesting the possible role of information privacy concerns as an independent variable. An in-depth discussion of the findings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presented at the end of the study.

      • KCI등재

        문식성(literacy) 교육의 쟁점 탐구

        정혜승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08 교육과정평가연구 Vol.11 No.1

        This study is intended to find the directions of literacy education by clarifying the issues of various discussions about the literacy education. The issue of literacy education here can be further divided into several perspectives that recognizes the significance and role of literacy, existence method of literacy, and objective of literacy education. As for the recognition of which function the literacy does in an individual and/or society, the position that absolutely believes in the role and importance of literacy while looking at it as a myth conflicts with the position that sees literacy as a kind of mere human ability in a limited sense. As for the recognition related to which way the literacy exists, the autonomous point that sees literacy as a psychological ability of individual conflicts with the ideological point that literacy is highly related to ideology or power. As for the recognition what the objective of literacy education is, the position of emphasizing on the functional literacy conflicts with the position of emphasizing on the critical literacy. Since the issues that are confronted with are closely related from each other, the issues related to literacy education can be generalized as a conflict between two paradigms. They can be presented not only as the functional paradigm that puts together the position of regarding literacy as a myth, position of recognizing literacy as an autonomous model and position of asserting the functional literacy as the most important objective of literacy education, but also as the critical paradigm that puts together the position of recognizing the importance and role of literacy in a limited sense, position of recognizing literacy as an ideologic model and position of arguing literacy as the most important objective of literacy education. Two paradigms are confronted with each other from the basic recognition about the study area and literacy based on one paradigm up to the the recognition about the educational objective and method based on another paradigm. However since this is an issue in the difference between the viewpoint of literacy and the educational value, it is difficult to judge which one of two paradigms are right or wrong. They have contributed to the literacy education in different ways. Therefore, both functional literacy and critical literacy can be said as those to be taken equally rather than taking one side. The thing that only pursues for functional literacy while believing blindly in the role of literacy is an attitude of not seeing a part rather than the whole. In the perspective that critical literacy could not be attained without an emphasis on the basic ability of function literacy, the position of educating both sides equally would be necessary. 이 연구는 문식성 교육에 대한 여러 논의들을 쟁점을 중심으로 정리하여 문식성 교육의 방향을 탐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문식성 교육의 쟁점은 문식성의 의의와 역할에 대한 인식, 문식성의 존재 양태에 대한 인식, 문식성 교육의 목표에 대한 인식 측면으로 나누어볼 수 있다. 문식성이 개인과 사회에 어떤 기능을 하고, 어떤 의미를 지니는가에 대한 인식은 문식성을 신화로 보면서 그 역할과 의의를 절대적으로 신뢰하는 입장과 문식성을 단지 인간 능력의 일종으로 제한적으로 보는 입장이 대립각을 세우고 있다. 문식성이 어떤 방식으로 존재한다고 보는가와 관련된 인식은 문식성을 개인의 심리적 능력으로 보는 자율적 관점과 이데올로기나 권력과 깊은 관련을 맺고 있다고 보는 이데올로기적 관점이 대립하는 양상을 띤다. 문식성 교육의 목표가 무엇인가에 대한 인식은 기능적 문식성을 강조하는 입장과 비판적 문식성을 강조하는 입장이 대립하고 있다. 각 쟁점에서 대립하는 관점들은 서로 긴밀하게 연관되어 있어 문식성 교육과 관련된 쟁점을 두 패러다임의 대립으로 종합할 수 있다. 문식성을 신화로 믿는 입장, 문식성을 자율적 모델로 인식하는 입장, 기능적 문식성을 문식성 교육의 가장 중요한 목표로 주장하는 입장을 아우르는 기능적 패러다임과 문식성의 의의와 역할을 제한적으로 인식하는 입장, 문식성을 이데올로기 모델로 인식하는 입장, 비판적 문식성을 문식성 교육의 가장 중요한 목표로 주장하는 입장을 아우르는 비판적 패러다임을 상정할 수 있는 것이다. 두 패러다임은 기반으로 하는 학문 분야와 문식성에 대한 기본적인 인식에서부터 교육 목표와 방법에 대한 인식에 이르기까지 상반된 관점을 가지고 대립하고 있다. 그러나 문식성에 대한 관점, 교육적 가치관의 차이의 문제이므로 두 패러다임 중 어느 것이 옳고, 그르다고 단정하기 어렵다. 양자는 각기 다른 방식으로 문식성 교육에 기여해 왔으며, 문식성 교육 목표를 설정할 때 기능적 문식성과 비판적 문식성은 어느 한 쪽만을 취해서는 안 되는, 다 잡아야 할 두 마리 토끼라고 할 수 있다. 문식성의 역할을 맹신하면서 기능적 문식성만을 추구하는 것은 나무만 보고 숲은 보지 못하는 태도이며, 기능적 문식성이 강조하는 기본적인 능력 없이 비판적 문식성은 성취될 수 없다는 점에서 양자를 균형 있게 교육하는 절충적 관점이 필요하다.

      • KCI등재

        사회과에서 매체 해독을 활용한 비판적 담론 교육 방안에 관한 연구

        은지용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2005 사회과교육 Vol.44 No.2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search for a program of critical discourse education using media literacy in social studies and to illustrate actual cases. First, this study discussed the need of media literacy and its relationship with social studies education. Second, it examined the previous studies in order to support what this study suggested. Third, it search for the program of critical discourse education using media literacy in social studies. This study proposed a teaching & learning method that has been established for cultivating critical thinking & practical participation attitude, teaching critical discourse theme, and practising discourse classes. Lastly, it illustrated a teaching & learning lesson plan of discourse theme as an actual classroom case. This study suggested a demand for further studies on critical discourse education using media literacy. First, various discourse themes that is closely related to thematic strand and the social studies curriculum must keep being developed and applied to actual classrooms. Then, different types of administrative support and workshops among teachers of each course of study must be activated for developing thematic strands, practical classroom models, and learning materials. Second, teachers and learners must cooperate in an open and self-regulating atmosphere in order to settle critical discourse education using media literacy. Third, this study has not analyzed the process of actual classroom practice because it focused mainly on the theoretical support of searching for the program. Thus, further research on classroom practice and educational effect of critical discourse education using media literacy in the social studies classroom. 본 연구의 목적은 사회과에서 매체 해독을 활용한 비판적 담론 교육 방안을 모색하고적용 사례를 제시하는 것이다. 우선, 매체 해독의 필요성과 의미에 대해 개관한 후 매체 해독과 사회과 교육의 관계에 대해 논의하였다. 둘째, 관련 선행 연구들을 비판적으로 고찰하여 본 연구의 시사점을 모색하였다. 셋째, 본 연구의 핵심 주제인 매체 해독을 활용한 비판적 담론 교육 방안을 제시하였다. 교육목표로 비판적 사고력 및 실천적 참여 태도 함양, 교육내용으로 비판적 담론 주제 및 담론 주제 선정의 근거, 담론 수업 실행을 위한 교수-학습 방법을 제시하였다. 넷째, 비판적 담론 교육 방안의 적용 사례를 보여주기 위해 담론 주제를 단원으로 설정하여 교수-학습 과정안을 작성하였다. 마지막으로, 매체 해독 활용 비판적 담론 교육이 정착되기 위해 필요한 제반 과제 및 향후 연구 과제에 대해 다음과 같이 제언하였다. 첫째, 사회과 교육의 성격 및 내용을 고려하여 관련 주제 스트랜드 및 교육과정 내용 요소와 상호 유기적으로 연계될 수 있는 담론 주제가 계속해서 꾸준히 개발되기 위해 담론 주제, 적용 가능한 수업 모형, 관련 학습 자료 등의 개발 및 공유 작업이 원활히 수행될 수 있도록 교사들간 공동 연구 및 협조 체제 구축을 위한 교과 모임 활성화, 각종 행정적 지원 등이 요구된다. 둘째, 매체를 활용한 비판적 담론 교육이 학교 현장에서 뿌리내리기 위해서는 자율적이고 개방적인 대화의 문화가 정착되고, 교사와 학생이 탐구 공동체로 거듭나야 할 것이다. 셋째, 실제 교실 수업 현장에서 매체 활용 비판적 담론 교육의 구체적 실행 과정, 교육적 효과, 시사점 등에 대한 면밀한 분석을 위해 후속 연구들이 이어져야 할 것으로 본다.

      • KCI등재

        비판적 미디어 리터러시 신장을 위한 한국어 교육 원리 연구 -중국인 학습자들의 미디어 텍스트 반응 양상을 사례로-

        장청원 ( Zhang Qingyuan ) 연세대학교 언어연구교육원 한국어학당 2020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 Vol.57 No.-

        Through this research, it is intended to improve the critical media literacy of the Chinese by designing this educational scheme. In recent years, research on improving the media literacy of Chinese people has become increasingly important in response to the low media quality of Chinese people. To this end, firstly in this study the concept and extension of media literacy are examined, and secondly the relationship between media literacy and critical thinking is examined, based on that the concept of critical media literacy is redefined. At the same time, the new forms of literary works in the media age are identified. Using this as a contact, the two concepts of media literature and critical thinking have been re-linked. Through the discussion of the above concepts and relationships, the educational principles of critical media literacy are reorganized. To be more specifically, in this study, it is focused on the various media forms of Yoon Dong-Ju’s poetry and a educational scheme is designed aiming at improving Chinese media literacy. In this scheme the understanding process and appearance of Chinese learners are investigated. And hopefully through this scheme to grasp the process of Chinese learners’ understanding of diversified media texts and critical understanding of these media texts. Finally, through the above investigation, a critical media literacy teaching program suitable for Chinese people was designed. I hope this study can be used as a reference basis for future media literacy research, and also a new perspective and a way of thinking for Chinese students is provided by using Korean literary works as a medium. And it facilities the students to re-examine their media literacy, critically understand various media texts, and make their own critical value judgments in line with social values and ethical attitude. (Seoul National University)

      • KCI등재

        국어과 교육과정에서 비판적 문식성의 구성 방향 - 읽기 영역을 중심으로 -

        이경남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2019 한국초등국어교육 Vol.67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direction of the composition of critical literacy in the reading area of Korean language curriculum.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the concept of critical literacy was first considered. Critical literacy, which is emphasized in reading education, means that the reader can recognize the power relations of complaints inherent in the language so that they can practice socially. As the new media environment changes, critical literacy is again being important in reading education. Educational issues related to critical literacy include issues as a national curriculum, neutrality of text selection, and identity of educational content. In this study, critical stance, social practice, and critical literacy were presented as categories of educational content of critical literacy. Sub-contents related to the three categories should be implemented as educational content, taking into account sequence and continuity. 본 연구의 목적은 국어과 교육과정의 읽기 영역에서 비판적 문식성의 구성 방향을 탐색하는 것에 있다. 연구 목적을 위해 비판적 문식성의 개념을 먼저 고찰하였다. 읽기 교육에서 강조하는 비판적 문식성은 독자가 언어에 내재한 불평의 권력 관계를 주체적 으로 인식하여 사회적 실천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말한다. 새로운 매체 환경의 변화 에 따라 비판적 문식성이 읽기 교육에서 다시 중요하게 다루어지고 있다. 비판적 문식 성과 관련된 교육적 쟁점으로 국가 교육과정으로서의 적합성, 텍스트 선정의 중립성, 교육내용의 정체성과 관련된 쟁점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비판적 문식성의 교육 내용의 범주로 비판적 자세, 사회적 실천, 비판적 문식성과 관련된 자료를 제시하였다. 세 가지 범주와 관련된 하위 내용을 계열성과 계속성을 고려하여 교육내용으로 구현해야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