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문화콘텐츠學의 도입타당성에 관한 연구― 대림대학을 중심으로 ―

        정수연 한국사상문화학회 2011 韓國思想과 文化 Vol.58 No.-

        21세기는 문화콘텐츠 산업의 시대이다. 무형의 아이디어와 지식을 기반으로 하는 문화콘텐츠 산업이 매우 중요해졌다. 문화콘텐츠 산업은 원소스 멀티유즈 특성 때문에 하나의 제대로 된 소스만 있다면 다양한 분야에서 막대한 부가가치와 이윤을 창출할 수가 있다. 그리고 인간의 감성, 상상력, 창의력을 新 성장 동력으로 확고히 자리매김하고 있고 세계 각국은 막대한 투자와 지원을 아끼지 않고 있다. 문화콘텐츠산업의 시대에서 대림대학은 현행 교양 과정에 편성되어 있는 문화콘텐츠 관련 교과목을 발판으로 새로운 발전 방안을 마련하여 적극적으로 대응해야 할 필요성이 시급히 대두되고 있다. 이와 관련해 문화콘텐츠學의 도입 타당성에 대해를 고민을 해 볼 필요가 있다. 최근의 문화콘텐츠學은 디지털 시대에 새로운 매체의 지속적 출현으로 문화콘텐츠의 중요성이 급격히 부각되면서 빠른 속도로 문화콘텐츠 관련 학과들을 중심으로 발전해나가고 있고 기존 학문의 활용론으로 자본주의 사회의 물질적인 가치를 최우선적으로 하며 문화콘텐츠의 전 분야를 폭넓게 이해하고 기획, 개발, 제작, 판매 등 전문지식 습득과 현장 경험으로 실무적인 능력까지 갖추도록 방향을 잡고 있고 이러한 것들이 가능한 한국문화콘텐츠 산업을 이끌어 나갈 핵심 인력을 양성하는데 중점을 두고 있다. 이러한 측면에서 대림대학은 현행의 문화콘텐츠 과정을 전반적으로 사회의 트렌드를 반영하는 방향으로 확대 및 개편해야 하는 필요성이 매우 크다. 대림대학의 발전과 이미지 고양을 위한 과정으로 내부의 핵심 역량을 강화하는데 문화콘텐츠를 수단과 방법으로 활용해야 하며 다양한 분야의 문화콘텐츠를 對人과 對社會의 네트워크 창구의 역할로 활성화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이미 대림대학에는 문화콘텐츠 과정의 설립 인프라가 상당한 규모로 구축되어 있고 문화콘텐츠 분야가 대학생들에게 있어서 미래의 희망직업으로 선호도가 매우 높으므로 국제적인 경쟁력 강화에 문화콘텐츠는 상당히 효과적이다. 특히, 안양을 중심으로 서울 및 수도권의 문화콘텐츠 관련 기업과 긴밀한 협력관계를 교류할 수 있으므로 문화적인 기회 제공과 취업 연결에 유리하며 충분한 부가가치 형성과 학교 內 전공 교과 과정 각각의 융합과 통합을 위한 중핵(重核)의 역할도 가능하다. 즉, 문화콘텐츠 과정은 다양한 학제 간 통합으로 실무교육 성과를 100% 높일 수 있다. 그리고 문화콘텐츠 분야에 관련해 정부의 특성화 대학 선정 등의 기회를 확보할 수 있으므로 대림대학은 국가 핵심 산업인 문화콘텐츠 산업이 주는 이익과 혜택을 제공받고 공유하면서 나름대로의 이익과 고용을 창출해야 한다. 따라서 대림대학이 문화콘텐츠學을 체계적으로 도입하여 효과적으로 실행하기 위해서는 밑바탕을 잘 마련해야 하고 직업 전문 교육의 메카로 최근의 트렌드 변화를 무리 없이 소화하는 여력이 매우 중요하다. 대림대학의 문화콘텐츠學의 도입은 타당한 의무이자 사명이다. 그리고 문화콘텐츠 산업에 적응할 수 있는 전문 인력을 시급히 양성해야 하는 것이 무한한 책임이다. 그러므로 대림대학은 문화콘텐츠 활성화를 통해 고부가가치와 수익 창출이 가능하도록 최상의 조건에서 문화콘텐츠 학과 개설 또는 교양과정 內 문화콘텐츠 과정의 활성화 추진 그리고 기존 학과와의 상호 협력 연계 전공 설치라는 3가지 현실적인 대 ... The 21st century is an era of cultural content industry. The idea of ​​intangible cultural content and knowledge-based industry has become very important. One Source Multi Use cultural content industry because of the nature of a source only if the right value and enormous wealth in different areas are not profitable. And human emotion, imagination, creativity and firmly established itself as a new 新 growth and around the world without a huge investment and is willing to support. DAELIM University College in an era of cultural contents industry, the current general education courses are organized in a culture of content-related course as a springboard to establish a new development plan to respond proactively has become an urgent necessity. In this regard, the introduction of cultural content, feasibility studies have to worry about the need to see you. Latest in the Digital Age of Culture Content continual emergence of new media content, the importance of culture is emphasized dramatically accelerated the development of cultural content, mainly related subjects through them and study in the application of existing capitalist society, the highest value of the material shipped As the culture content in all areas of broad understanding and planning, development, production, sales and professional knowledge and experience in the field with practical skills to equip the direction of holding, and these things are possible Korea Culture and Content industries to lead core workforce is focused on. Cultural content related subjects in school a total of 28 departments and 27 colleges gyeongmin College, Shingu College, Chang'an College, Hallym Mary College, etc. In this respect, the current culture of DAELIM University College course content reflects the general trend in society towards the need for expansion and reform is very high. DAELIM University College for the development and image enhancement process to strengthen the core competencies of the internal cultural content and the ways and means to utilize the various fields of culture and society towards people with a network to enable the role of office shall be. The culture of DAELIM University College content courses already established a substantial infrastructure is built to scale, and the university students in the field of cultural content in the future hope of favor as a profession is very high, so that international competitiveness is quite effective on the cultural content. In particular, by Anyang and Seoul and the metropolitan center of culture-related businesses can interact and work closely with employment opportunities and cultural connections, and sufficient added value to the formation of glass and majors in school for each core of the convergence and integration The role is also available. In other words, a variety of interdisciplinary courses integrating cultural content in 100% hands-on training can improve performance. And the field of cultural content in relation to the characterization of the government the opportunity to obtain college selection and the core industries of the country, so DAELIM University College cultural content industry and provide benefits under a profit sharing and creating their own interests and employment should be. Therefore, two Culture Content DAELIM University College effectively implemented by introducing a systematic basis in order to prepare well and vocational education as a mecca of the latest trends that have the ability to digest a smooth change is very important. DAELIM University College Culture Content of the introduction of the duty and mission is a valid. And the cultural content industry can adapt to the urgent need to train professional staff is responsible for that space. Therefore, the cultural content through the activation DAELIM University College profit to enable value-added and in excellent condition and cultural content, open or liberal arts subjects in the active promotion of cultural content, proces...

      • KCI등재후보

        한국(韓國)의 문화(文化) : 문화콘텐츠학(學)의 도입타당성에 관한 연구 -대림대학을 중심으로

        정수연 ( Soo Yun Chung ) 한국사상문화학회 2011 韓國思想과 文化 Vol.58 No.-

        21세기는 문화콘텐츠 산업의 시대이다. 무형의 아이디어와 지식을 기반으로 하는 문화콘텐츠 산업이 매우 중요해졌다. 문화콘텐츠 산업은 원소스 멀티유즈 특성 때문에 하나의 제대로 된 소스만 있다면 다양한 분야에서 막대한 부가가치와 이윤을 창출할 수가 있다. 그리고 인간의 감성, 상상력, 창의력을 新 성장 동력으로 확고히 자리매김하고 있고 세계 각국은 막대한 투자와 지원을 아끼지 않고 있다. 문화콘텐츠산업의 시대에서 대림대학은 현행 교양 과정에 편성되어 있는 문화콘텐츠 관련 교과목을 발판으로 새로운 발전 방안을 마련하여 적극적으로 대응해야 할 필요성이 시급히 대두되고 있다. 이와 관련해 문화콘텐츠學의 도입 타당성에 대해를 고민을 해 볼 필요가 있다. 최근의 문화콘텐츠學은 디지털 시대에 새로운 매체의 지속적 출현으로 문화콘텐츠의 중요성이 급격히 부각되면서 빠른 속도로 문화콘텐츠 관련 학과들을 중심으로 발전해나가고 있고 기존 학문의 활용론으로 자본주의 사회의 물질적인 가치를 최우선적으로 하며 문화콘텐츠의 전 분야를 폭넓게 이해하고 기획, 개발, 제작, 판매 등 전문지식 습득과 현장 경험으로 실무적인 능력까지 갖추도록 방향을 잡고 있고 이러한 것들이 가능한 한국문화콘텐츠 산업을 이끌어 나갈 핵심 인력을 양성하는데 중점을 두고 있다. 이러한 측면에서 대림대학은 현행의 문화콘텐츠 과정을 전반적으로 사회의 트렌드를 반영하는 방향으로 확대 및 개편해야 하는 필요성이 매우 크다. 대림대학의 발전과 이미지 고양을 위한 과정으로 내부의 핵심 역량을 강화하는데 문화콘텐츠를 수단과 방법으로 활용해야 하며 다양한 분야의 문화콘텐츠를 對人과 對社會의 네트워크 창구의 역할로 활성화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이미 대림대학에는 문화콘텐츠 과정의 설립 인프라가 상당한 규모로 구축되어 있고 문화콘텐츠 분야가 대학생들에게 있어서 미래의 희망직업으로 선호도가 매우 높으므로 국제적인 경쟁력 강화에 문화콘텐츠는 상당히 효과적이다. 특히, 안양을 중심으로 서울 및 수도권의 문화콘텐츠 관련 기업과 긴밀한 협력관계를 교류할 수 있으므로 문화적인 기회 제공과 취업 연결에 유리하며 충분한 부가가치 형성과 학교 內 전공 교과 과정 각각의 융합과 통합을 위한 중핵(重核)의 역할도 가능하다. 즉, 문화콘텐츠 과정은 다양한 학제 간 통합으로 실무교육 성과를 100% 높일 수 있다. 그리고 문화콘텐츠 분야에 관련해 정부의 특성화 대학 선정 등의 기회를 확보할 수 있으므로 대림대학은 국가 핵심 산업인 문화콘텐츠 산업이 주는 이익과 혜택을 제공받고 공유하면서 나름대로의 이익과 고용을 창출해야 한다. 따라서 대림대학이 문화콘텐츠學을 체계적으로 도입하여 효과적으로 실행하기 위해서는 밑바탕을 잘 마련해야 하고 직업 전문 교육의 메카로 최근의 트렌드 변화를 무리 없이 소화하는 여력이 매우 중요하다. 대림대학의 문화콘텐츠學의 도입은 타당한 의무이자 사명이다. 그리고 문화콘텐츠 산업에 적응할 수 있는 전문 인력을 시급히 양성해야 하는 것이 무한한 책임이다. 그러므로 대림대학은 문화콘텐츠 활성화를 통해 고부가가치와 수익 창출이 가능하도록 최상의 조건에서 문화콘텐츠 학과 개설 또는 교양과정 內 문화콘텐츠 과정의 활성화 추진 그리고 기존 학과와의 상호 협력 연계 전공 설치라는 3가지 현실적인 대안에서 가장 현명한 선택을 반드시 해야 한다. 한국은 최근 문화콘텐츠 산업이 디지털 기술 발달과 함께 21세기 한국 경제를 이끌어 나갈 주력산업으로 급성장하면서 문화콘텐츠에 대한 수요와 시장의 규모가 크게 확대되고 있다. 반면에 전문 인력과 교육기관도 미비하고 부족한 실정이다. 대림대학은 이러한 현실을 감안하여 3가지 대안 중 우선적으로 학과 개설을 선택하여 본격적으로 제대로 된 문화콘텐츠學을 교육하고 제대로 된 교육기관으로서 확고한 비전으로 교수진을 확보해서 문화콘텐츠의 각 분야별로 전문 인력을 양성해서 국가 핵심 산업인 문화콘텐츠 산업을 주도해 나가야 한다. 학과 개설이 불가피한 경우 2가지 대안에서 현명한 차선의 선택을 해서 적극적으로 추진해내가야 한다. 그것이 대림대학의 방향성이자 목표의식이다. The 21st century is an era of cultural content industry. The idea of intangible cultural content and knowledge-based industry has become very important. One Source Multi Use cultural content industry because of the nature of a source only if the right value and enormous wealth in different areas are not profitable. And human emotion, imagination, creativity and firmly established itself as a new 新 growth and around the world without a huge investment and is willing to support. DAELIM University College in an era of cultural contents industry, the current general education courses are organized in a culture of content-related course as a springboard to establish a new development plan to respond proactively has become an urgent necessity. In this regard, the introduction of cultural content, feasibility studies have to worry about the need to see you. Latest in the Digital Age of Culture Content continual emergence of new media content, the importance of culture is emphasized dramatically accelerated the development of cultural content, mainly related subjects through them and study in the application of existing capitalist society, the highest value of the material shipped As the culture content in all areas of broad understanding and planning, development, production, sales and professional knowledge and experience in the field with practical skills to equip the direction of holding, and these things are possible Korea Culture and Content industries to lead core workforce is focused on. Cultural content related subjects in school a total of 28 departments and 27 colleges gyeongmin College, Shingu College, Chang`an College, Hallym Mary College, etc. In this respect, the current culture of DAELIM University College course content reflects the general trend in society towards the need for expansion and reform is very high. DAELIM University College for the development and image enhancement process to strengthen the core competencies of the internal cultural content and the ways and means to utilize the various fields of culture and society towards people with a network to enable the role of office shall be. The culture of DAELIM University College content courses already established a substantial infrastructure is built to scale, and the university students in the field of cultural content in the future hope of favor as a profession is very high, so that international competitiveness is quite effective on the cultural content. In particular, by Anyang and Seoul and the metropolitan center of culture-related businesses can interact and work closely with employment opportunities and cultural connections, and sufficient added value to the formation of glass and majors in school for each core of the convergence and integration The role is also available. In other words, a variety of interdisciplinary courses integrating cultural content in 100% hands-on training can improve performance. And the field of cultural content in relation to the characterization of the government the opportunity to obtain college selection and the core industries of the country, so DAELIM University College cultural content industry and provide benefits under a profit sharing and creating their own interests and employment should be. Therefore, two Culture Content DAELIM University College effectively implemented by introducing a systematic basis in order to prepare well and vocational education as a mecca of the latest trends that have the ability to digest a smooth change is very important. DAELIM University College Culture Content of the introduction of the duty and mission is a valid. And the cultural content industry can adapt to the urgent need to train professional staff is responsible for that space. Therefore, the cultural content through the activation DAELIM University College profit to enable value-added and in excellent condition and cultural content, open or liberal arts subjects in the active promotion of cultural content, process and cooperation with existing Department of linking the three kinds of major installation at a realistic alternative should be the wisest choice. Korea recently developed cultural content industry with digital technology will lead the 21st century economy, major industries in Korea, while fast-growing demand for cultural content and have greatly increased the size of the market. In contrast, the lack of professional staff and educational institutions, and are insufficient. DAELIM University College Given these realities, the three kinds of alternatives to select the first department to open in earnest with the right training Culture Content and educational institutions as well as a clear vision to make the cultural content of professors specializing in each field staff positive and led the country to get out of the core industries of the cultural content industry. Open University in the inevitable alternative to the two kinds of wise and actively pursue the next best option is to go done. DAELIM University College It is the sense of the direction and goal.

      • KCI등재

        한국의 도시재생 과정 분석과 쟁점: 문화적 재생에 기반을 둔 융복합 콘텐츠 성공사례를 중심으로

        권희주,문현미 한국동북아학회 2020 한국동북아논총 Vol.25 No.2

        문화도시와 창조도시의 개념을 기반으로 둔 문화예술 도시재생은 새로운 창조환경을 맞이하며 변화하고 있다. 특히, 디지털 기술의 발달과 스마트 혁명으로 인해 문화예술 소비자들은 새로운 콘텐츠를 원하고 있다. 이제 도시재생은 현대인들의 삶에 맞는 문화예술을 향유 할 새로운 메커니즘의 구축과 기술, 장르, 산업의 유형으로 융합된 융복합 콘텐츠가 필요한 시점이다. 이에 본 연구는 문화도시와 창조도시의 이론적 배경을 통해 도시재생과 문화예술 간의 상관성을 찾고, 최근 현대인들이 도시에서 체험하고 있는 융복합 콘텐츠의 형태와 특징을 파악하여 국내 도시재생을 위한 융복합 콘텐츠의 활용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도시재생 프로그램과 같은 융복합 콘텐츠에 대한 중요성을 인식하고 산업, 기술, 문화예술의 장르가 함께 새로운 생태계를 만들고 유관산업을 육성시켜 다양한 계층과 사회가 새로운 융복합 콘텐츠를 공유하고 향유할 수 있는 융복합 콘텐츠의 신시장이 형성되기를 기대해본다. Based on the concept of cultural city and creative city, the regeneration of cultural and artistic cities is changing to meet new creative environments. In particular, due to the development of digital technology and the smart revolution, consumers of culture and arts want new content. Now it is time for urban regeneration to establish a new mechanism to enjoy culture and arts suitable for modern people's lives and to integrate convergence contents into types of technology, genre and industry. In response, this research was designed to find the correlation between urban regeneration and cultural arts through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cultural cities and creative cities, and to identify the types and characteristics of convergence contents that modern people are experiencing in cities recently, and to suggest ways to utilize convergence contents for urban regeneration in Korea. Through this study, recognizing the importance of convergence contents such as urban regeneration programs, we hope that the genres of industry, technology, and culture and arts will create a new ecosystem together and foster related industries, creating a new market for convergence content where various classes and societies can share and enjoy new convergence content.

      • KCI등재

        디지털콘텐츠산업의 환경변화에 따른 창의인재양성을 위한 대학교육시스템에 관한 연구

        박현욱 ( Park Hyeon-wook ),이종호 ( Lee Jong-ho ) 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회(구 시각디자인학회) 2017 커뮤니케이션 디자인학연구 Vol.61 No.-

        4차 산업혁명은 디지털콘텐츠 산업의 발전을 가져오고 있다. 디지털콘텐츠 산업에 대한 연구발전은 지속적으로 증가해가고 있으며 글로벌 IT기업들의 참여로 자유로운 행동과 오감을 통해 소통하는 미래 컴퓨팅 환경 기술로 발전하고 있다. 새로운 기술들의 개발 및 일부 기술의 변화, 확산, 그리고 관련 기술에 대한 사회적 논의가 확대되면서 이들 기술들을 기반으로 한 새로운 사회적 변화에 대한 논의가 확산되고 있으며 새로운 기술들에 대한 다양한 교육적 노력이 지속되고 있다. 디지털콘텐츠산업의 기술개발의 범위는 엔터테인먼트 산업에 국한할 것이 아니라 다양한 산업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산업 플랫폼으로서의 기술개발 전략에 필요한 융합교육 구축이 중요해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디지털콘텐츠 산업의 융합발전을 위한 창의적 인재양성을 위한 교육시스템으로 산업체 수요에 부응하는 기술개발, 기술이전, 인재육성을 핵심으로 하는 신산학 협력정책 비전 및 추진전략을 수립해야한다. 21세기 사회의 환경적 변화가 디지털콘텐츠 산업의 발전과 그에 호응하는 차원에서 인재 양성 문제가 논의될 수 있다는 가능성을 제시하고 신산학협력의 새로운 방향의 교육시스템은 실용화, 상품화 중심으로 디자인과 신기술의 교육 분야의 조화롭고 균형 잡힌 교육 자원의 분배와 인문사회학적 교육의 심화를 통한 인재 양성 시스템이 구축되어야 한다. 디지털콘텐츠 산업의 글로벌형 창의 인재의 육성을 위해서는 문제 해결 능력을 갖춘 창의적 콘텐츠 기획자 육성, 글로벌 스토리텔링 소양을 기반으로 미디어간 영역을 아우르는 컨버전스형 전문가 양성, 통합형 기획개발자 육성이 필요하다.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has brought about the development of the digital contents industry. The research and development of the digital contents industry is steadily increasing, and it is developing into a future computing environment technology that communicates through free action and five senses through participation of global IT companies. The scope of technology development in the digital contents industry is not limited to the entertainment industry, but it is becoming important to build convergence education necessary for technology development strategy as an industrial platform that can affect various industries. The education system of the new direction of the new industry-academia cooperation should be constructed through the distribution of harmonious and balanced educational resources in the fields of design and new technology centered on commercialization and commercialization, and the training system of humanities and sociology by intensifying education for humanities and sociology. In order to cultivate global creative talents in the digital contents industry, it is necessary to cultivate creative content planners with problem-solving abilities, foster convergence-type experts to encompass the inter-media area based on global storytelling, and foster integrated planning and development developers.

      • KCI등재

        STEAM(융합인재교육)에서의 미술교과 내용의 가능성과 한계

        이은적 한국초등미술교육학회 2012 미술교육연구논총 Vol.33 No.-

        limitations of art education through STEAM teaching plans. Firstly, this research examines concepts of ‘The era of converging knowledge and education’, ‘Convergence education for creative thinking’, ‘Art education in the quest of transformation: Davinci prosect’ ‘New frame of convergence education -STEAM’ and compares integration with convergence. Secondly,this research categorizes and characterizes teaching plans of STEAM focused on art educational contents by following: 1) Design based studies using contents or results of scientific studies. 2) Artistic expression inspired by the contents or results of scientific studies. 3) Artistic expression by applying scientific observations, and methods of study. 4) Extension of artistic formations utilizing media by developed co-operation of science, engineering,and technology. 5) Artistic expression using mathematical thinking 6)Etcetera. In conclusion this research synthesizes factors that are analyzed then reviews characteristics and efficiency of art education applied in STEAM by the meaning of ‘Unified Understanding’, ‘Extending cognition of art’, ‘Extending concepts of art’, ‘Recognizing importance of design in future’,‘Learning thinking methods’, and ‘Converging thinking and creativity’. Then this research also examines characteristics and limitations of art education in STEAM as convergence education. 본 연구는 STEAM 교육으로 고안된 수업 설계를 미술교과 내용을 중심으로 분석하여 STEAM 교육에서의 미술 교과 내용의 가능성과 특징, 그리고 한계를 분석한다. 이분석을 위해 통합과 융합 교육에 대한 이론을 살펴 분석 규준을 도출하였다. 이어서설계된 STEAM 교육 사례를 검토하여 여기서 통합된 미술 교과 내용을 유형별로 분류해보고 그 특성을 분석한다. 결론적으로 미술 교과 내용이 통합적인 이해가 가능하고 융합적 사고로 창의성을 키워줄 수 있는 맥락에서 구성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한다. 그리고 STEAM 교육은 학문 중심 통합으로 공통된 주요 개념, 원리(법칙), 탐구 방법에 의한 간학문적 접근 방식을 취하는 경우가 많다는 것을 발견한다. 그렇지만 일반적인 교육과정의 통합교육에서처럼 STEAM 교육에서의 미술교과 내용 조직에서는 한계도 갖게 됨을 확인한다.

      • KCI등재

        창의적 콘텐츠와 방송통신융합 환경에서의 저작권

        최상회(Choi, Sang-Hoe) 충북대학교 법학연구소 2011 과학기술과 법 Vol.2 No.1

        Recently, digital media had a tremendous impact on the development of the Internet, telecommunications, and broadcasting areas. The rapid popularization of the Internet,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and digital broadcasting networks have led us to an epochal framework for epochal framework for content services with an end-to-end delivery chain of content generation, distribution, and consumption. A copyright is a set of exclusive rights granted by a state to the creator of an original work or their assignee for a limited period of time upon disclosure of the work. This includes the right to copy, distribute and adapt the work. In most jurisdictions copyright arises upon fixation and does not need to be registered. Copyright owners have the exclusive statutory right to exercise control over copying and other exploitation of the works for a specific period of time, after which the work is said to enter the public domain. Uses covered under limitations and exceptions to copyright, such as fair use, do not require permission from the copyright owner. All other uses require permission. Copyright owners can license or permanently transfer or assign their exclusive rights to others. Fundamental Law for distribution and production is copyright law. It is true that copyright laws place restrictions on the publication and use of another person's creative work. We should try to achieve a perfect combination of profit on authors and public, those would be the best contents.

      • KCI등재

        융복합교육으로서 문학관 체험학습의 가능성 연구

        이호형(Lee Ho hyung) 우리말교육현장학회 2016 우리말교육현장연구 Vol.10 No.2

        2015 교육과정의 개정으로 융복합교육의 방향은 국어 교과와 타 교과의 융합에만 초점을 맞추고 있어 국어 교과의 도구성만을 강조하고 있다. 그런데 국어교육은 그 자체로 융복합적 특성을 가지고 있어 도구 교과는 물론 소통과 사고를 위한 교과, 문화 계승과 창조의 교과로 거듭날 수 있다. 이에 따라 이번 연구에서는 국어교육이 지속적으로 실천해 온 문학관체험학습이 융복합교육의 가능성이 있음을 밝히고, 그것이 가지는 융복합적 특성을 밝히고자 한다. 문학관 체험학습은 문학관 자체가 문학작품을 중심으로 하는 문화콘텐츠라는 점, 교실의 문학 수업과 창의적 체험활동을 연계한다는 점, 통합적인 언어활동을 통한 복합양식 문식성 향상을 가능하게 한다는 점에서 융복합적 특성을 갖는다. The 2015 curriculum revision focuses the convergence education direction only on the convergence of Korean language subject and other subjects, thereby emphasizing only the Korean language subject as a tool. Korean language education itself, however, has the convergence characteristics, thereby enabling it to not only become the tool subject but also be recreated as a subject for communication and thinking and a subject for inheriting culture and achieving creativity. This study thus sought to identify the convergence characteristics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based on its continued literature museum experience learning. The literature museum experience learning itself is cultural contents based on the cultural space, it connects the classroom literature learning and creative experiential activities, and it enables integrated language activities. These are the convergence characteristics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 KCI등재

        대학의 통합형 비교과 프로그램을 활용한 스토리텔링 교육의 실제 사례와 방안

        전은경(Jun Eunkyung) 한국문화융합학회 2021 문화와 융합 Vol.43 No.11

        이 연구의 목적은 미래 교육을 대비하며 스토리텔링 교육의 필요성을 깨닫고, 이러한 스토리텔링을 교과와 연계한 통합형 비교과 프로그램으로 교육하는 방법과 실제 방안, 또 향후 방향에 대해서 살펴보는 것이다. 그동안 스토리텔링 교육은 그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교과 과정 내부에서 교양과목이나 전공 영역에서 다루어져왔다. 그러다보니 일회성으로 끝나거나 특정 전공 영역에 한정되어 다양한 전공의 학생들을 위한 프로그램으로 운영되지 못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교과와 연계하여 통합형 비교과 프로그램을 운영한 실제 사례와 효과에 대해서 제시하였다. 스토리텔링 교육을 특강, 글쓰기 클리닉, 글쓰기 대회 등 다양한 비교과 프로그램을 통합하여 단계별로 진행함으로써 다양한 전공의 학생들이 참여하고 실제 창의적 역량, 문화적 소양, 융합적 사고, 통합적 사고를 향상시킬 수 있었다. 따라서 향후에는 이러한 스토리텔링 교육을 통합형 비교과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학년별, 주제별심화 과정을 개설하여 비교과 프로그램 내부에서 지속적으로 이어갈 필요가 있다. 더 나아가 지역의 문화콘텐츠와연계하여 진행함으로써 미래를 준비하는 창의적 인재, 융합적인 인재, 글로컬 인재를 양성하는 데 이바지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pare for future education, realize the necessity of storytellingeducation, and examine how to educate such storytelling through integrated extracurricular activitieslinked to the subject, actual methods, and future directions. Despite its importance, storytellingeducation has been dealt with in the field of liberal arts or majors within the curriculum. As aresult, it was not operated as a program for students of various majors because it ended one-timeor was limited to a specific major area. Therefore, in this study, actual cases and effects of operatingan integrated extracurricular activities in connection with the subject were presented. By integratingextracurricular activities and programs such as special lectures, writing clinics, and writingcompetitions, students from various majors participated and improved actual creative competencies,cultural literacy, convergent thinking, and integrated thinking. Therefore, in the future, it isnecessary to develop an integrated comparison program and open in-depth courses by grade andsubject to continue such storytelling education within the extracurricular activities. Furthermore,it is expected that it will contribute to fostering creative talents, convergent talents, and globaltalents preparing for the future by conducting it in connection with local cultural contents.

      • KCI등재

        한류 콘텐츠로서의 한국 전통춤 활용에 관한 담론

        문희철,김운미 한양대학교 우리춤연구소 2014 우리춤과 과학기술 Vol.10 No.1

        본 연구는 한국 전통춤이 한류의 새로운 전통문화 콘텐츠로서 활용되어 한류의 확산과 지속을 돕는 방안의 관 점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그동안 한국 전통춤 콘텐츠가 노출되었던 드라마와 K-POP의 퍼포먼스를 사례로좀 더 구체적이고 확장된 문 화 융합을 통한 대중문화와 한국 전통문화의 연계와 협업이 필요하다. 비교적 자주 노출되는 TV 사극 드라마에 나오는 한국 전통춤의 분량의 증가를 위하여 각 시대별 전통춤 연행 연대표를 개발 하여 사극 제작자가 쉽게 드라마에 전통춤을 활용할 수 있는 기반을 조성하고 K-POP 가수의 노래나 퍼포먼스에서도 한국의전통문화와 춤을 창의적으로 접목하여 한국 전통문화예술과 한국 전통춤의 이 미지 노출을 통하여 세계인들이 한국 전통춤을 인식할 수 있는 기반을 조성하고 한류를 이룬한국 대중문화와 한국전통문화의 협업을 통한 연구와 콘텐츠의 개발이 더욱 활성화되어 이루어 진다면 한국 전통춤은 현 시대 가 요구하는 한류전통문화 콘텐츠로서 한류의 지속과 발전에 기여할 수 콘텐츠로 활용될 것이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help the Korean Wave to extend and continue by usingKorean traditional dance as new content in traditional culture of the Korean Wave. Basedon Korean traditional dance contents exposed to television dramas and performances ofK-pop, popular culture should be connected and collaborated with Korean traditional culturethrough more specific and extended cultural convergence. Korean traditional dance will beused as content to contribute to maintaining and developing the Korean Wave as Koreantraditional culture contents meeting the needs of the times if establishing a basis thathistorical drama makers easily apply Korean traditional dance to historical dramas bydeveloping a chronology of Korean traditional dance in each period in order to increase theappearance of Korean traditional dance on historical dramas, to create a basis that people inthe world can recognize Korean traditional dance through the image exposure of Koreantraditional cultural art and dance by creatively combining Korean traditional culture anddance with songs or performances of K-pop artists, and to activate the development ofcontents and studies through collaboration between Korean popular culture and Koreantraditional culture that have achieved the Korean Wave.

      • KCI등재

        중등 영재 지도교사들의 융합인재교육(STEAM)과 융합영재교육에 대한 인식

        서보경,맹희주 韓國英才學會 2016 영재교육연구 Vol.26 No.1

        This research studies the perception to gifted education teachers between the middle school gifted education for STEAM and Convergence Gifted Education for revitalizing Convergence Gifted Education. The conclusions according to the analysis, it shows that the awareness of gifted education teachers for Convergence Gifted Education is lower than the level of the awareness for STEAM, and it appears that the Gifted education teachers especially has the experience adapting Convergence Gifted Education who awareness for Convergence Gifted Education is the highest. On the other hand, not only teachers has the experience adapting Convergence Gifted Education and the very poorly recognition for the task of Comprehensive Plan for Gifted Education promotion including the development of an creative and convergence content, a they has the very low experience for the development. And it analyzes that although there is no meaningful differences, teachers who are in science gifted teachers and the mature experienced man realizes very optimistically the necessity need of Convergence Gifted Education. Therefore, it analyzes that recognition to the necessity need of Convergence Gifted Education is reinforced through the training for the gifted teachers in the mathematics gifted education and in less teaching experience. But it points out that answers over the majority cognized to resemble the Convergence Gifted Education and STEAM, though the object is only different. Furthermore, it suggests that the differentiated Convergence Gifted Education curriculum providing the suitableness for the characteristic and level is needed for the desirable fixedness. 본 연구는 융합영재교육의 활성화를 위하여 중등 영재 지도교사들을 대상으로 융합인재교육(STEAM)과 융합영재교육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였다. 연구 결과, 영재 지도교사들의 융합영재교육에 대한 인지도는 융합인재교육(STEAM)에 대한 인지도보다 더 낮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융합영재교육에 대한 인지도가 높은 교사들은 현장 적용 경험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영재교육진흥종합계획의 추진과제로서 창의․융합형 콘텐츠 개발이 포함되어 있음에 대한 인지도는 매우 낮았으며, 콘텐츠 개발 경험 또한 매우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는 없지만 과학영재 지도교사와 영재 지도 경력이 높을수록 융합영재교육의 필요성에 매우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영재교육 교원 연수를 통해 수학영재 지도교사와 저경력의 영재 지도교사들에게 융합영재교육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을 강화시킬 필요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그러나 과반 수 이상의 응답자들이 융합인재교육(STEAM)과 융합영재교육이 대상만 다를 뿐 유사하다고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융합영재교육의 올바른 정착을 위해 영역별 영재의 특성과 수준에 적합한 차별화된 융합영재교육이 필요함을 인식시킬 필요가 있는 것으로 시사되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