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문화콘텐츠산업의 경제적 파급효과와 발전전략

        김정숙(Kim Jeong-sook),안영규(Ahn Young-gyu) 한국문화산업학회 2009 문화산업연구 Vol.9 No.1

        This paper examines the economic impacts and development strategies of cultural contents industry. The Korean cultural contents market is known to have several serious problems: the infringement of copyright, weak competitiveness, shortage of specialists, and lack of understanding about cultural contents. Therefore, enforcement of copyright, protection of private information, broadening of free entrepreneurial activities, promotion of global competitiveness, nurturing of professionals, and acknowledgement of the culture content are necessary in order to resolve the problems and to promote the cultural contents industry as a driving industry in the 21th century. Current situation of the global economic crisis will be described in the second chapter. Chapter three examines definition and main characteristics of the cultural contents industry and its economic impacts. Chapter four discusses present status of cultural contents industry and development strategies for the industry. This paper examines the economic impacts and development strategies of cultural contents industry. The Korean cultural contents market is known to have several serious problems: the infringement of copyright, weak competitiveness, shortage of specialists, and lack of understanding about cultural contents. Therefore, enforcement of copyright, protection of private information, broadening of free entrepreneurial activities, promotion of global competitiveness, nurturing of professionals, and acknowledgement of the culture content are necessary in order to resolve the problems and to promote the cultural contents industry as a driving industry in the 21th century. Current situation of the global economic crisis will be described in the second chapter. Chapter three examines definition and main characteristics of the cultural contents industry and its economic impacts. Chapter four discusses present status of cultural contents industry and development strategies for the industry.

      • KCI등재

        문화산업의 법률적 정의 및 개념 고찰

        김시범 인문콘텐츠학회 2018 인문콘텐츠 Vol.0 No.48

        Korean Cultural Contents Industry has been growing faster than the other Korean industries for last two decades. But, the conception of ‘Cultural Contents Industry’ is not clearly defined yet. This paper studies the conceptions of ‘Cultural Industries’ and ‘Content Industry’ as well as ‘Culture and Arts’, ‘Cultural Products’ and ‘Content’ which have been defined at Korean legal systems including 「Culture and Arts Promotion Act」, 「Framework Act on the Promotion of Cultural Industries」 and 「Content Industry Promotion Act」. This paper reviews the conception changes of the legal terms from 1995 when the ‘Cultural Industry’ was firstly defined at 「Culture and Arts Promotion Act」 and compare those legal terms with other acts which have been amended frequently. The industry value chain could be divided by four stages ; planning & creation stage, business development & production stage, practical utilizing & distribution stage, possession & consumption stage. The industry object is tangible or intangible goods of materials or information, such as, codes, letters, diagrams, colors, voices, sound, images or videos and their combinations which create the economic value added with cultural elements, such as, artistic value, originality, entertainment, refreshment, and popularity. The industry field covers publishing with literature & linguistics, printing & periodicals, cartoons, music with Korean classical music, movies with video materials, performance with dance, festivals, fine arts with characters, design advertising, broadcasting pictures with drama & animation and games. There are tangible industry fields including architecture, cultural properties, artworks, craftworks, costumes, sculpture, ornaments,props, household items and digital contents industry field, such as, edutainment, mobile cultural content, digital cultural content, user-created cultural content and multimedia cultural content. Also, cultural space of exhibitions, expositions, sample fairs, photographs, popular culture and art industry, entertainments are included. 우리나라 문화산업은 빠르게 성장하고 있지만, 아직 그 개념이 명확하게 정립되지못하였다. 이 글에서는 「문화예술진흥법」, 「문화산업진흥기본법」, 「콘텐츠산업진흥법」, 「콘텐츠산업 특수분류」 등과 같은 법제도상에 정의되고 있는 ‘문화예술’, ‘문화상품’, ‘콘텐츠’, ‘문화산업’, ‘콘텐츠산업’ 등의 개념을 살펴보았다. ‘문화산업’이법에서 정의된 1995년부터 법제도의 신규 제정 및 개정을 통해 그 개념이 어떻게변화되었는지를 비교분석하였다. 문화산업의 가치사슬은 기획창작단계인 ‘기획ㆍ개발’, 사업화단계인 ‘제작ㆍ생산’, 활용유통단계인 ‘공연ㆍ전시ㆍ유통’, 그리고 소비향유단계인 ‘소비ㆍ이용ㆍ판매’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산업의 대상은 예술성ㆍ창의성ㆍ오락성ㆍ여가성ㆍ대중성등의 문화적 요소가 체화(體化)되어 경제적 부가가치를 창출하는 유형ㆍ무형의 재화인 부호ㆍ문자ㆍ도형ㆍ색채ㆍ음성ㆍ음향ㆍ이미지 및 영상 등의 자료ㆍ정보 및이를 제공하는 서비스의 복합체를 의미한다. 이 산업의 영역은 만화, 영화, 국악을포함한 음악, 무용ㆍ연극ㆍ축제를 포함한 공연, 연예(演藝), 미술ㆍ디자인 요소를활용한 광고, 캐릭터, 인쇄ㆍ정기간행물ㆍ문학ㆍ어문(語文)을 아우르는 출판, 애니메이션ㆍ비디오물을 포함한 방송영상물 및 게임 등을 포함한다. 또한, 유형의 건축, 문화재, 미술품, 공예품, 의상, 조형물, 장식용품, 소품 및 생활용품 등과 지식정보ㆍ 콘텐츠솔류션ㆍ에듀테인먼트ㆍ모바일문화콘텐츠ㆍ디지털문화콘텐츠ㆍ사용자제작문화콘텐츠ㆍ멀티미디어문화콘텐츠 등의 전자매체 기반의 문화상품과 전시회ㆍ 박람회ㆍ견본시장 등의 문화공간과 사진 및 대중문화예술산업 등이 포함된다.

      • KCI등재

        문화산업 진흥법제의 개선방안 – 문화산업진흥 기본법 및 콘텐츠산업 진흥법의 정합성을 중심으로 –

        김윤명 홍익대학교 법학연구소 2023 홍익법학 Vol.24 No.4

        이 글은 문화산업 및 콘텐츠산업 관련 법제의 정합성과 관련 개별법과의 관계를 고려한 법제의 개정방안을 제시하는 것을 주된 목적으로 한다. 무엇보다, 문화산업진흥 기본법은 문화산업의 진흥을 위한 법률이지만, 콘텐츠 관련 규정또한 적지 않다. 이러한 이유로 콘텐츠산업 진흥법의 성격이 콘텐츠관련 기본법적 성질을 갖기는 하나 문화산업진흥 기본법의 하위 법률로서 이해되기 때문에 양 법과의 관계를 명확하게 정리하는 것도 의미가 있다. 나아가, 콘텐츠산업 진흥법의 명칭을 ‘콘텐츠산업 기본법’으로 개정하는 것도 고려할 필요가 있다. 무엇보다, 문화산업진흥 기본법의 콘텐츠 관련 규정이 중복되기 때문이다. 문화산업진흥 기본법에서는 문화콘텐츠, 디지털문화콘텐츠 및 멀티미디어문화콘텐츠 등 다양한 유형의 콘텐츠가 정의되어있다. 그렇지만, 다양한 콘텐츠 관련 정의를 각각 별도로 유형화하면서 개별적으로 정의하는 것이 어떤 의미를 갖는지 의문이다. 콘텐츠 자체가 디지털화된 상태를 말하거나 목적에 따라 문화콘텐츠, 교육콘텐츠, 산업콘텐츠 등 다양하게 불리워질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문화콘텐츠는 디지털화된 것이나 그렇지 않은 것이나 달리 볼 것은 아니라는 점도 마찬가지다. 더욱이, 콘텐츠가 다양한 미디어의 결합적 속성을 갖는다는 점에서 멀티미디어 형태가 아닌 콘텐츠를 상상하기도 어렵다. 결국, 콘텐츠 관련 정의는 콘텐츠의 유형화 내지 문화체육관광부 소관 콘텐츠의 범위를 예시적으로 나열한 것으로 볼 수 있다. 이러한 정책적 의도가 담겨있다면 콘텐츠산업 진흥법이 콘텐츠 관련 산업의 기본법적인 역할을 기대할 수 있다는 점에서 콘텐츠 관련 규정을 콘텐츠산업 진흥법으로 옮기는 것이 합당한 입법방안이 될 것이다. 기본적으로 문화산업진흥 기본법과 콘텐츠산업 진흥법의 개정방안을 제시하였으나 개별적인 콘텐츠산업 법제가 상당수 존재하기 때문에 이들 법제와의 중복성 및 정합성을 위한 개정방안도 마련하는 것이 필요하다. 기계적이고 기능적인 조정이 아닌 실질적으로 산업진흥을 위한 규정을 명확히 하고, 산업규제적 속성들은 정리하여야 한다. 또한, AI(인공지능) 환경에서 문화의 창작이슈도 제기되고 있기 때문에 ‘문화산업 법제정비단’의 구성 및 운영을 제안하였다. The main purpose of this paper is to propose a revision plan for the cultural industry and content industry related laws, considering the consistency of the laws and the relationship with related individual laws. First of all, the Cultural Industries Promotion Act is a law for the promotion of cultural industries, but there are also a number of content-related regulations. For this reason, although the Content Industry Promotion Act has the nature of a basic law related to content, it is understood as a subordinate law to the Cultural Industries Promotion Act, so it is meaningful to clarif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laws. Furthermore, it is necessary to consider revising the name of the Content Industry Promotion Act to the Content Industry Basic Act. To this end, we first conducted a literature review on the Cultural Industries Promotion Act and the Content Industry Promotion Act. First of all, there is an overlap in the content-related provisions of the Cultural Industries Promotion Act and the Content Industry Promotion Act. The Cultural Industries Promotion Act defines various types of content, including cultural content, digital cultural content, and multimedia cultural content. However, it is questionable whether it is meaningful to define various content-related definitions while categorizing them separately. This is because the content itself can be referred to as cultural content, educational content, industrial content, etc. depending on the state of digitization or purpose. It is also true that cultural content is not the same as digitized or non-digitized content. Furthermore, it is difficult to imagine content that is not in multimedia form, as it has the combined properties of various media. In the end, the definition of content can be seen as a typology of content or an illustrative list of the scope of content under the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s jurisdiction. If this policy intention is contained, it would be a reasonable legislative measure to move the content-related regulations to the Content Industry Promotion Act, as the Content Industry Promotion Act can be expected to serve as the basic law for content-related industries. Basically, I have proposed a revision plan for the Cultural Industries Promotion Act and the Content Industry Promotion Act, but since there are quite a few individual content industry laws, it is necessary to prepare a revision plan for redundancy and consistency with these laws. It is necessary to clarify the regulations for practical industry promotion and organize the regulatory attributes of the industry, rather than making mechanical and functional adjustments. In addition, since the issue of cultural creation in the AI(artificial intelligence) environment is also being raised, I would like to propose the formation and operation of the ‘Cultural Industry Legislation Improvement TF’.

      • 문화예술에서 문화산업콘텐츠 융합을 통한 발전방안 연구

        지상범(Jee, Sang-Baum) 중앙대학교 교양교육연구소 2012 교양논총 Vol.- No.6

        현대사회의 디지털 미디어의 급속적인 발전은 국가 간 문화 및 산업경계를 허물고 세계를 하나의 시장으로 통합시켜 나가고 있고 문화 창의성 관련 산업이 결합되어 고부가가치를 창출해 내는 문화 예술 산업이 바로 지식과 정보문화의 시대를 이끌어 갈 미래형 산업일 뿐만 아니라 국가 경제에 있어서도 핵심적인 요소로 자리 잡아가고 있다. 또한 문화서비스를 제공하는 정보제공 산업이 급속하게 확대되어 나가고 있으며 이러한 추세에 따라 콘텐츠의 수요 또한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있지만, 국내의 콘텐츠산업 부문에서 공급의 현실은 절대적으로 부족한 현실이다. 창의성을 핵심역량으로 하는 문화예술 산업에서 그러한 역량을 보유하고 있는 우리나라의 경우 문화예술 산업이 세계시장에서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는 무한한 잠재력을 지니고 있다. 이러한 잠재력을 보유하고 있는 한국이 세계시장에서 경쟁력을 갖추기 위해서는 그러한 인프라를 활용할 콘텐츠의 수급과 콘텐츠의 개발에 있다. 이 논문의 문제의식은 여기에서 출발한다. 따라서 차세대 국가 고부가가치 산업을 이끌 문화예술과 콘텐츠산업 융합 발전방안을 제시하고 그 문제점과 대응방안을 제시하는 것이 이 글의 목적이다. 이를 위해서는 우선 융합형 콘텐츠 신시장 개발인데, 그 가운데에서도 CG산업 시장의 개발육성이다. CG 산업은 활용도와 경제적 부가가치가 매우 높을 뿐만 아니라 다른 산업으로 확산이 용이하며, 영화, 게임, 애니메이션 등 주요 콘텐츠 분야에서 중요한 비중을 차지하고 있고 방송, 광고 등으로 그 영역이 확대되어 나가고 있다. 그 다음으로는 가상현실 분야 시장의 개척이다. 즉 가상현실 기술을 활용하여 문화부문 및 제조업, 서비스업 등과 연계하여 융합형 콘텐츠를 개발하여 이를 현실화시키는 일이다. 또한 융합형 콘텐츠 산업인프라 조성을 통해 무엇보다 문화콘텐츠 전반에 대한 기술연구를 지원하고 창작이나 감성 문화예술 등 문화콘텐츠 핵심기술을 개발하고 대학문화콘텐츠 기술연구소를 설치/운영 및 융합 환경에 맞는 콘텐츠 산업관련 제도개선이 요구된다. 또한 경쟁력 우위의 글로벌 콘텐츠 육성을 통해 콘텐츠의 경쟁력을 키우는 일이다. 말하자면 국내·외적으로 경쟁력과 품질의 우수성을 겸비한 콘텐츠의 육성이다. 그리고 국가적 차원의 해외시장 진출 활로를 지원하여 콘텐츠의 세계화를 유도하는 일이다. 이를 위해 무엇보다 아시아지역은 지리적으로 인접하고 있으며 문화적 유사성과 더불어 최근 한류로 인한 성장성이 매우 높을 뿐만 아니라 교역 비중이 높은 특성을 지닌다. 이에 따라 중국시장은 진출이 더욱 확대될 것으로 보며 중국시장의 원활한 진출을 위해 제도적 장벽을 완화하고 저작권보호 및 무역장벽을 해소하여 실익을 확보할 수 있도록 지원할 필요가 있다. 또한 안정된 성장을 위한 국내 지원체계를 마련하여 해외로 진출하는 기업들의 안정된 성장을 돕는 일이다. 즉 협력 사업을 위한 지원기구를 설치하여 해외진출을 돕고 법률이나 세무, 금융 등 기업의 민원을 해결할 수 있는 전담기구를 설치하는 것은 물론 분야별 전문가와 연계한 기술 지원체계 기반을 마련해야만 한다. 마지막으로 양방향 문화예술 교류의 확산을 통해 반 한류 등의 장벽을 해소하여 미래지향적인 교두보를 확보하는 일이다. 현재 문화예술 교류가 아시아 진출이 대부분이지만 아시아지역은 단기적으로는 진출대상인 동시에 중장기적으로 아시아 시장을 함께 상생하는 통합의 시장으로 보아야 하며 시장통합을 위한 교류협력 기반을 마련해야만 한다. The rapid development of digital media in the modern society breaks down the cultural and industrial boundaries between nations and integrates the world into one market. Culture/arts industry that is combined with cultural creativity to generate high added value is a future-oriented industry that will lead the age of knowledge and information culture and the key element of the national economy. Also, the information industry providing cultural services is quickly growing and the demands for contents are also increasing explosively. However, Korea"s contents industry seriously lacks the supply of quality contents. As Korea has extensive capacities in culture/arts industry that is based on creativity, its culture/arts industry has infinite potentials to gain leadership in the world market. In order to gain leadership in the world market, Korea needs to develop and supply contents that will utilize its infrastructure. This is the topic of this stud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directions for the convergence of culture/arts and contents industries to lead the new-generation high value added industries of Korea and to discuss their problems and solutions. In order to achieve this, it is important to develop a new market for the convergence of contents, especially the CG industry. The CG industry can not only be applied to various areas with very high value added, but it can easily be spread to other industries. It is taking an important part in the major contents industries, such as films, games, and animation, and spreading its scope of application to broadcasting and advertising. Next is the exploration of a market in virtual reality. Virtual reality technologies can be combined with culture, manufacture, and services to develop convergence contents. Also, it is required to establish infrastructure for convergence contents industry to support technical research in cultural contents, develop key technologies for cultural contents, establish/ operate technical research centers for college cultural contents, and improve the systems for the convergence of contents industry. Also, competitive global contents should be developed. In other words, it is important to nurture contents with internal and external competitiveness and quality excellence. Also, the government should support local businesses in the overseas market for the globalization of contents. The Asian market, in particular, is geographically adjacent, shares cultural similarity with Korea, and offers markets with great potentials, proven by the Korean Wave, and active trading. As the Chinese market is expected to expand, it is necessary to alleviate the restrictions for business in the Chinese market and provide support to protect copyrights and remove trading barriers for actual profitability. Also, a support system should be established in Korea for stable growth of companies that are doing business abroad.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supportive organization for collaborative business abroad, an exclusive organization to resolve complaints pertaining to legal issues, tax issues, and financial issues, and lay the foundation for a technical support system that is linked to a pool of experts. Finally, it is important to bridge the divide in the popularity of the Korean Wave by spreading two-way exchange of culture and arts. Korea"s exchange in culture/arts is mostly limited to Asia, but Asia is a short-term destination that will be integrated in the mid- to long-term perspective and that needs a foundation for exchange and collaboration for market integration.

      • KCI등재

        출판산업과 문화콘텐츠산업의 동반발전을 위한 연구

        윤세민 한국출판학회 2012 한국출판학연구 Vol.38 No.2

        이 연구는 21세기 디지털 시대에 큰 변화의 기로에 선 출판산업을 중심으로 하여 문화콘텐츠산업과 출판산업에 대한 이론적 논의, 문화콘텐츠산업의 현황과 동향, 출판산업의 현황과 동향 및 전략, 문화콘텐츠산업과 출판산업 진흥의 방향과 정책 등을 차례로 고찰하고, 이를 기초로 하여 한국의 출판산업과 문화콘텐츠산업의 동반발전을 위한 제언을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한국의 문화콘텐츠산업은 매년 꾸준한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한국의 문화콘텐츠산업에서 출판산업이 차지하는 위치와 역할은 지대하다. 전체 문화콘텐츠산업 중에서 매출 규모, 총 종사자수, 수출입규모, 부가가치 규모 등에서 출판산업이 단연 앞서는 것으로 나타났다. 디지털 시대를 맞아 출판산업은 문화콘텐츠산업의 원천 콘텐츠요 리드 콘텐츠로서 지식정보산업의 핵심 역할을 하고 있다. 여기에 'OSMU' 라는 문화콘텐츠의 다중 유통 방식은 문화콘텐츠의 원형으로서 출판콘텐츠가 갖는 가능성을 더욱 높여준다고 하겠다. '책 콘텐츠' 를 보유하고 있는 출판계는 디지털 시대 환경에 맞는 새로운 콘텐츠와 새로운 서비스로 미래를 대비한다면, 최근의 거대한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응하며 출판산업은 물론 문화콘텐츠산업과의 동반 성장을 꾀할 수 있을 것이다. 출판 콘텐츠와 문화콘텐츠산업의 보완적 관계를 응용하면서 출판산업과 문화콘텐츠산업이 동반 발전할 수 있도록 선택과 집중의 정책 전략과 실천이 따라야 한다. 문화콘텐츠산업으로서의 출판산업의 발전은 곧 문화콘텐츠산업 전반의 발전을 견인할 것이다. 결론적으로 한국의 출판산업과 문화콘텐츠산업의 실제적인 동반발전을 위해 제언을 하였다. This study aims at suggesting the prospects with the development of Korea's publishing industry and cultural content industry, discussing on the phase of the publishing industry as culture content industry, the meaning and status of culture content industry, the status and strategies of the publishing industry, and the direction and policies of cultural content industry and the publishing industry promotion, focusing on the publishing industry that is under a significant change at the digital age in the 21st century. Korea's cultural content industry occupied by the place and role of the publishing industry is important. The publishing industry of entire cultural content industry is far ahead in sales scale, the total Employees, trade size, and value-added scale. If the publishing that has 'Book content' prepares for the future with new content that matches your environment in the digital age while testing new services, we will be able to seek to adapt to actively big changes and the growth of new publishing culture and publishing industry In conclusion, this study suggested the publishing industry in Korea and the cultural content industry for the practical development. Publishing in the Digital Age is the source of the cultural content industry and the leading content more practically works, the publishing industry and the development of the cultural content will become a representative brand to improve the country's cultural soft power ultimately.

      • KCI등재

        중국 문화콘텐츠 산업의 구조변화와 한국의 대응전략

        김영재(Kim, Young Jae) 인문콘텐츠학회 2016 인문콘텐츠 Vol.0 No.40

        본 연구는 중국 문화콘텐츠 산업의 구조 변화에 따른 기회와 위협을 확인하고, 해외시장 진입 유형, 현지화 및 시장지향성, 디지털 미디어 환경 도래에 따른 콘텐츠 비즈니스 모델 혁신이라는 세 가지 관점에서 한국의 대응전략을 모색하였다. 중국의 산업 구조변화는 시장화, 세계화, 융합화, 금융화 등 네 가지 방향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이는 한국 문화콘텐츠의 현지 시장 경쟁력 약화, 세계 시장에서의 입지 약화, 중국시장 수익구조 악화, 한국 문화콘텐츠 산업의 중국자본 종속이라는 결과를 초래할 수 있어 시급한 대응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중국 기업과의 전략적 제휴 강화를 통한 협력형 시장 진입, 현지화와 시장 지향성의 강화, 연관 산업에서 수익원을 확보하기 위한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의 필요성을 확인하였다. 그에 따라 본 연구는, 콘텐츠 기획개발의 현지화, 중국이 구축하고 있는 글로벌 네트워크 참여, 사업구조 고도화를 위한 연관 산업 동반진출, 현지 기업들과의 공동사업, 한국 금융자본의 중국 문화금융 시스템 참여 등을 대응전략으로 도출하였고, 정책 방안으로는 정부 간 공동제작 협정 추진, 한중 공동제작 투자펀드 활성화, 콘텐츠 기획 개발 현지화 지원, 콘텐츠와 연관 산업의 해외 동반진출 전담조직 신설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is to suggest the strategy for Korean culture contents industry considering opportunity and treat from the structural change of Chinese culture industry. To develop the strategy, the discussion has centered on foreign market entry mode, localization and business model innovation in digital media environment. The directions of recent change of Chinese culture industry can be summarized as; i) introduction of market system with fair competition, ii) establishment of global network, iii) convergence with other industry for transition from ‘made in China’ into ‘created in China’, and iv) introduction of financing system for culture industry. This could be serious threat on Korean culture content industry, in that, it could weaken the local market competitiveness, profit structure in Chinese market, and the positioning of Korean culture contents in global market. It also could cause the subordination of Korean culture contents industry to abundant Chinese capital flowing into culture industry. The Korean culture contents industry should respond to this structural change, by shifting the market entry mode into ‘cooperative mode’ with strategic alliance with various players in China, which will also improve the localization of content and market-orientation of local operation. Also, the business model innovation by securing the variety of revenue streams from other industry value chains is needed. The government should support this strategic change, helping i) localization of content development, ii) participation in global network of Chinese culture industry, iii)collaboration with Chinese companies in culture industry , and iv) participation in financing system of Chinese culture industry.

      • KCI등재

        문화콘텐츠산업 관련 법체계 정립에 대한 고찰

        조용순 한국지식재산학회 2013 産業財産權 Vol.- No.42

        “Contents Industry Promotion Act(CIPA)” has been, in fact, under control the Ministry of Culture, Sports & Tourism(MCST). Consequently, additional basic law has come to co-exist with the pre-established “Cultural Industry Promotion Basic Act(CIPBA)”, under which so far, cultural contents and digital cultural contents has been promoted. The revision also made the role of the former one unclear that has solely given base to other the subordinating specific laws including Game Industry Promotion Act, Music Industry Promotion Act. Basic Act for Development of Broadcast and Communication also contains legal ground for the promotion of contents industry, which shall be problematic in relation with CIPA. With respect to Intellectual Property Basic Act(IPBA), clear relations between the intellectual property and contents, and clear and definitive roles between Intellectual Property Committee and Contents Industry Promotion Committee, both are to be installed, need to be considered. CIPA contains mixed ranges of provisions acting as basic law and specific law, in which there is limit that provisions as basic law should be embodied in a specific law. In this regard, CIPA is required to establish a reasonable relations with specific laws. While CIPA is constituted primarily with provision of “programmed regulation”, CIPBA contains provision that is not represented in a specific law, so that no duplication is incurred and each are made up for among CIPA, CIPBA and other specific laws. Considering the concerns about conflict between MCST and Korea Communication Commission, the article 4 of CIPA seems to need revision in a way to secure that Basic Act for Development of Broadcast and Communication is consistent to the basic concept of CIPA. With respect to Intellectual Property Basic Law, IPBA is completely programmed regulation, CIPA is consistent with the purpose and basic concept of IPBA, no direct conflicts are expected. However, contents can be concluded in intellectual property, when planning policy involved, it is need to reconcile with intellectual property Committee. In particular, up on now the Minister of MISP (Ministry of Science ICT and Future Planning) takes on the management of business associated with digital contents. However, upon examination of the organization of Ministry of Culture and MISP, digital contents exclude digital “cultural” contents. In conclusion, the author argues that digital contents means information contents only. In other words, in the field of digital contents MISP should pursue the industry of multimedia contents excluding multimedia “cultural” contents; Internet-related industry; an promotion policy of digital contents distribution and user protection excluding digital “cultural” contents. On the other hand, the area of broadcasting and communications contents can problematically cause duplicative works with MSIP, KCC and MCST, especially, on their fields which associated with the production and promotion policy. Therefore, through amendments to the CIPA, a legal supplementation is needed on the legal application order of broadcasting and communications contents. For the days coming, legal environments need to be improved consistently in a way the relations among laws involved with contents industry promotion are clarified and optimized, from which participants around contents industry benefit from more supports and the consistent policies.

      • KCI등재후보

        한국(韓國)의 문화(文化) : 문화콘텐츠학(學)의 도입타당성에 관한 연구 -대림대학을 중심으로

        정수연 ( Soo Yun Chung ) 한국사상문화학회 2011 韓國思想과 文化 Vol.58 No.-

        21세기는 문화콘텐츠 산업의 시대이다. 무형의 아이디어와 지식을 기반으로 하는 문화콘텐츠 산업이 매우 중요해졌다. 문화콘텐츠 산업은 원소스 멀티유즈 특성 때문에 하나의 제대로 된 소스만 있다면 다양한 분야에서 막대한 부가가치와 이윤을 창출할 수가 있다. 그리고 인간의 감성, 상상력, 창의력을 新 성장 동력으로 확고히 자리매김하고 있고 세계 각국은 막대한 투자와 지원을 아끼지 않고 있다. 문화콘텐츠산업의 시대에서 대림대학은 현행 교양 과정에 편성되어 있는 문화콘텐츠 관련 교과목을 발판으로 새로운 발전 방안을 마련하여 적극적으로 대응해야 할 필요성이 시급히 대두되고 있다. 이와 관련해 문화콘텐츠學의 도입 타당성에 대해를 고민을 해 볼 필요가 있다. 최근의 문화콘텐츠學은 디지털 시대에 새로운 매체의 지속적 출현으로 문화콘텐츠의 중요성이 급격히 부각되면서 빠른 속도로 문화콘텐츠 관련 학과들을 중심으로 발전해나가고 있고 기존 학문의 활용론으로 자본주의 사회의 물질적인 가치를 최우선적으로 하며 문화콘텐츠의 전 분야를 폭넓게 이해하고 기획, 개발, 제작, 판매 등 전문지식 습득과 현장 경험으로 실무적인 능력까지 갖추도록 방향을 잡고 있고 이러한 것들이 가능한 한국문화콘텐츠 산업을 이끌어 나갈 핵심 인력을 양성하는데 중점을 두고 있다. 이러한 측면에서 대림대학은 현행의 문화콘텐츠 과정을 전반적으로 사회의 트렌드를 반영하는 방향으로 확대 및 개편해야 하는 필요성이 매우 크다. 대림대학의 발전과 이미지 고양을 위한 과정으로 내부의 핵심 역량을 강화하는데 문화콘텐츠를 수단과 방법으로 활용해야 하며 다양한 분야의 문화콘텐츠를 對人과 對社會의 네트워크 창구의 역할로 활성화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이미 대림대학에는 문화콘텐츠 과정의 설립 인프라가 상당한 규모로 구축되어 있고 문화콘텐츠 분야가 대학생들에게 있어서 미래의 희망직업으로 선호도가 매우 높으므로 국제적인 경쟁력 강화에 문화콘텐츠는 상당히 효과적이다. 특히, 안양을 중심으로 서울 및 수도권의 문화콘텐츠 관련 기업과 긴밀한 협력관계를 교류할 수 있으므로 문화적인 기회 제공과 취업 연결에 유리하며 충분한 부가가치 형성과 학교 內 전공 교과 과정 각각의 융합과 통합을 위한 중핵(重核)의 역할도 가능하다. 즉, 문화콘텐츠 과정은 다양한 학제 간 통합으로 실무교육 성과를 100% 높일 수 있다. 그리고 문화콘텐츠 분야에 관련해 정부의 특성화 대학 선정 등의 기회를 확보할 수 있으므로 대림대학은 국가 핵심 산업인 문화콘텐츠 산업이 주는 이익과 혜택을 제공받고 공유하면서 나름대로의 이익과 고용을 창출해야 한다. 따라서 대림대학이 문화콘텐츠學을 체계적으로 도입하여 효과적으로 실행하기 위해서는 밑바탕을 잘 마련해야 하고 직업 전문 교육의 메카로 최근의 트렌드 변화를 무리 없이 소화하는 여력이 매우 중요하다. 대림대학의 문화콘텐츠學의 도입은 타당한 의무이자 사명이다. 그리고 문화콘텐츠 산업에 적응할 수 있는 전문 인력을 시급히 양성해야 하는 것이 무한한 책임이다. 그러므로 대림대학은 문화콘텐츠 활성화를 통해 고부가가치와 수익 창출이 가능하도록 최상의 조건에서 문화콘텐츠 학과 개설 또는 교양과정 內 문화콘텐츠 과정의 활성화 추진 그리고 기존 학과와의 상호 협력 연계 전공 설치라는 3가지 현실적인 대안에서 가장 현명한 선택을 반드시 해야 한다. 한국은 최근 문화콘텐츠 산업이 디지털 기술 발달과 함께 21세기 한국 경제를 이끌어 나갈 주력산업으로 급성장하면서 문화콘텐츠에 대한 수요와 시장의 규모가 크게 확대되고 있다. 반면에 전문 인력과 교육기관도 미비하고 부족한 실정이다. 대림대학은 이러한 현실을 감안하여 3가지 대안 중 우선적으로 학과 개설을 선택하여 본격적으로 제대로 된 문화콘텐츠學을 교육하고 제대로 된 교육기관으로서 확고한 비전으로 교수진을 확보해서 문화콘텐츠의 각 분야별로 전문 인력을 양성해서 국가 핵심 산업인 문화콘텐츠 산업을 주도해 나가야 한다. 학과 개설이 불가피한 경우 2가지 대안에서 현명한 차선의 선택을 해서 적극적으로 추진해내가야 한다. 그것이 대림대학의 방향성이자 목표의식이다. The 21st century is an era of cultural content industry. The idea of intangible cultural content and knowledge-based industry has become very important. One Source Multi Use cultural content industry because of the nature of a source only if the right value and enormous wealth in different areas are not profitable. And human emotion, imagination, creativity and firmly established itself as a new 新 growth and around the world without a huge investment and is willing to support. DAELIM University College in an era of cultural contents industry, the current general education courses are organized in a culture of content-related course as a springboard to establish a new development plan to respond proactively has become an urgent necessity. In this regard, the introduction of cultural content, feasibility studies have to worry about the need to see you. Latest in the Digital Age of Culture Content continual emergence of new media content, the importance of culture is emphasized dramatically accelerated the development of cultural content, mainly related subjects through them and study in the application of existing capitalist society, the highest value of the material shipped As the culture content in all areas of broad understanding and planning, development, production, sales and professional knowledge and experience in the field with practical skills to equip the direction of holding, and these things are possible Korea Culture and Content industries to lead core workforce is focused on. Cultural content related subjects in school a total of 28 departments and 27 colleges gyeongmin College, Shingu College, Chang`an College, Hallym Mary College, etc. In this respect, the current culture of DAELIM University College course content reflects the general trend in society towards the need for expansion and reform is very high. DAELIM University College for the development and image enhancement process to strengthen the core competencies of the internal cultural content and the ways and means to utilize the various fields of culture and society towards people with a network to enable the role of office shall be. The culture of DAELIM University College content courses already established a substantial infrastructure is built to scale, and the university students in the field of cultural content in the future hope of favor as a profession is very high, so that international competitiveness is quite effective on the cultural content. In particular, by Anyang and Seoul and the metropolitan center of culture-related businesses can interact and work closely with employment opportunities and cultural connections, and sufficient added value to the formation of glass and majors in school for each core of the convergence and integration The role is also available. In other words, a variety of interdisciplinary courses integrating cultural content in 100% hands-on training can improve performance. And the field of cultural content in relation to the characterization of the government the opportunity to obtain college selection and the core industries of the country, so DAELIM University College cultural content industry and provide benefits under a profit sharing and creating their own interests and employment should be. Therefore, two Culture Content DAELIM University College effectively implemented by introducing a systematic basis in order to prepare well and vocational education as a mecca of the latest trends that have the ability to digest a smooth change is very important. DAELIM University College Culture Content of the introduction of the duty and mission is a valid. And the cultural content industry can adapt to the urgent need to train professional staff is responsible for that space. Therefore, the cultural content through the activation DAELIM University College profit to enable value-added and in excellent condition and cultural content, open or liberal arts subjects in the active promotion of cultural content, process and cooperation with existing Department of linking the three kinds of major installation at a realistic alternative should be the wisest choice. Korea recently developed cultural content industry with digital technology will lead the 21st century economy, major industries in Korea, while fast-growing demand for cultural content and have greatly increased the size of the market. In contrast, the lack of professional staff and educational institutions, and are insufficient. DAELIM University College Given these realities, the three kinds of alternatives to select the first department to open in earnest with the right training Culture Content and educational institutions as well as a clear vision to make the cultural content of professors specializing in each field staff positive and led the country to get out of the core industries of the cultural content industry. Open University in the inevitable alternative to the two kinds of wise and actively pursue the next best option is to go done. DAELIM University College It is the sense of the direction and goal.

      • KCI등재

        4차 산업혁명 시대 콘텐츠산업 정책 인식에 관한 연구

        전경란 한국애니메이션학회 2019 애니메이션연구 Vol.15 No.2

        This research’s goal is finding which factors of contents industry policies are important and should be prioritized in current newly changing era. Contents industries and related policies are gaining importance under changing environment of 4th Industrial Revolution driven by intellectual information technology. To evaluate contents industry policy factors, recognition on relative importance of those factors was analyzed through AHP on contents industries, policy institutes and experts in academia. The results shows that strengthening content technology is most important. Subsequently, training content experts, improving the contents related system, strengthening content usage and consumer safety are analyzed to have importance. In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era, strengthening content technology and training experts were recognized as most important factors. In complex weights analysis, strengthening R&D system has the biggest priority. Following strengthening R&D system, strengthening the development of new technology-based content, establishing content industry vision and resetting policy goals, establishing an industry-academy-research network for field-oriented human resources were recognized to have priorities in order. In the analysis on each expert groups, industry experts gave importance in order of strengthening content technology, improving the system, training contents experts and strengthening content usage and consumer safety. On the other hand, experts in policy institutes gave priorities in order of training contents experts, strengthening content technology, improving the system and strengthening content usage and consumer safety while academics did in order of training contents experts, improving the system, strengthening content technology and strengthening content usage and consumer safety. The result shows that while experts in policy institutes and academia are mostly concerned with training contents experts, industries take factors related to current industry issues like strengthening content technology, improving the system as the most important factors. 이연구는 새로운 변화의 시기에 콘텐츠산업 정책의 어떤 요인이 상대적으로 중요하며 우선시되어야 하는지살펴보고자 하였다. 사물인터넷, 클라우드, 빅데이터, 모바일, 인공지능 기술과 같은 지능정보기술의 도입으로 4차 산업혁명이라는 새로운 변화가 이루어지고 있는 상황에서 콘텐츠산업과 콘텐츠산업 정책의 중요성이 더해지고 있기 때문이다. 콘텐츠산업 정책 요인을 평가하기 위해 콘텐츠 관련 산업계, 정책기관, 학계 전문가를 대상으로 계층분석과정을 수행하여 콘텐츠산업 정책 요인의 상대적 중요성 인식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콘텐츠 기술역량 강화가 가장 중요하게 평가되었다. 이어서 콘텐츠 전문인력 양성, 콘텐츠 관련 제도 개선, 콘텐츠 이용 및소비자 안전 강화의 순으로 분석되었다. 4차 산업혁명 시대에 콘텐츠산업 정책은 다른 어떤 요인보다 기술역량을강화하고 전문인력을 양성하는 것이 중요하게 인식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복합가중치 분석 결과에서는 16개평가요인 중 콘텐츠 R&D 체계 구축 강화가 가장 중요하게 평가되었다. 이어서 신기술 기반 콘텐츠 전문인력 양성, 신기술 기반 콘텐츠 개발 강화, 콘텐츠산업 비전 구축 및 정책목표 재설정, 현장중심 인력양성을 위한 산학연네트워크 구축 등의 순서로 중요도 인식이 높았다. 전문가 집단별 분석에서는 산업계 전문가의 경우 콘텐츠 기술역량 강화, 콘텐츠 관련 제도 개선, 콘텐츠 전문인력 양성, 콘텐츠 이용 및 소비자 안전 강화의 순으로 분석되었다. 반면에 정책기관 전문가의 경우 콘텐츠 전문인력 양성, 콘텐츠 기술역량 강화, 콘텐츠 관련 제도 개선, 콘텐츠 이용 및 소비자 안전 강화의 순으로, 학계 전문가의 경우 콘텐츠 전문인력 양성, 콘텐츠 관련 제도 개선, 콘텐츠 기술역량 강화, 콘텐츠 이용 및 소비자 안전 강화의 순으로 집단별로 약간씩 차이가 나타났다. 정책기관 및 학계 전문가가 콘텐츠 전문인력 양성의 중요성을 높게 평가한 반면, 산업계 전문가의 경우 콘텐츠 기술역량 강화와 콘텐츠관련 제도 개선 등 산업계 현안 문제에 대한 정책 요인을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었다.

      • KCI등재

        중국의 문화산업 규제와 한한령

        이건웅 글로벌 문화콘텐츠학회 2018 글로벌문화콘텐츠 Vol.0 No.33

        Comparing before and after the ban on Korean contents, the atmosphere of Korean and Chinese cultural industry has completely changed. The ban on Korean contents brought on by Terminal High Altitude Area Defense(THAAD) left lessons of reflection and awakening in Korea and China. This research analyzed synchronically regulation on Chinese cultural industry taking the opportunity of ban on Korean contents. Was there any regulation on Korean cultural industry before the ban on Korean Culture in Korea from now? In addition this paper analyzed the flow and direction of policy and regulatory measure in cultural industry of Chinese government before and after the ban on Korean contents in China surrounding research theme of 'Was there no regulation on Chinese cultural industry?'. In conclusion, Chinese government is strongly regulating overall cultural industry. It has regulated all the cultural contents of overseas as well as Korean cultural contents and its own cultural industry is more strictly regulated. Its point is in that Chinese government is effectively manage and supervise cultural industry. This basis is not limited to cultural industry but is Chinese government's policy and orientation. As shown in 19th National Peoples' Congress of the Communist Party of China in October, 2017 and Double Congress in March, 2018. Xi Jin-ping government cracks down on the internal through anti-corruption action and is making China strong by establishing Sole Ruling System. Regulation on journal and media integrating newspaper and publication into Central Propaganda Department has been strengthened and in particular legal system to regulate all the company home and abroad for ICT area based on Internet has been established through <Internet Safety Law>. Taking an opportunity of THAAD, China put the brake on spreading Korean cultural industry. Whenever political issues has occurred on the Korean Peninsula, cultural industry surrounding Korean Wave is highly likely to be hit first. After learning lessons from this ban on Korean contents, we need to establish action while strengthening essence and durability of Chinese cultural industry. That is the lesson of the ban on Korean cultural contents. 한한령 이전과 이후 한중 문화산업의 분위기는 많이 달라졌다. 사드로 촉발된 한한령은 한중 양국에 반성과 자각이라는 교훈을 남겼다. 본 연구는 한한령을 계기로 중국 문화산업의 규제를 공시적으로 분석했다. 현재를 중심으로 한한령 이전에는 한국 문화산업에 대한 규제는 없었는지, 또한 중국 문화산업에 대한 규제는 없는지를 중심으로 한한령 이전과 이후 중국 정부의 문화산업 정책과 규제 방안의 흐름과 방향을 분석했다. 결론적으로 중국 정부는 문화산업 전반을 강력히 규제하고 있다. 한국 문화상품뿐만 아니라 해외 모든 문화상품을 규제하고 있으며, 자국의 문화산업은 더욱 엄격하게 규제하고 있다. 중국 정부는 문화산업을 효율적으로 관리·감독하는데 방점이 있다. 이러한 기조는 비단 문화산업에 국한된 것이 아니라 중국 정부의 국가 정책이며 방향성이다. 2017년 10월, 중국공산당 19차 당대회와 2018년 3월 양회에서 드러났듯이 시진핑 정부는 반부폐 척결을 통해 내부를 단속하고 1인 지배체제를 확립해 강한 중국을 만들어 가고 있다. 신문·출판은 중앙선전부에 통합하는 언론미디어에 대한 규제도 강화하고, 특히 인터넷 기반으로 한 ICT 분야는 <인터넷안전법>을 통해 국내외 기업을 모두 규제할 수 있는 법적 장치를 마련했다. 중국은 사드를 계기로 한국 문화산업의 확산에 제동을 걸었다. 한반도의 정치적 이슈가 발생할 때마다 한류를 중심으로 한 문화산업이 가장 먼저 타격을 받을 가능성이 높다. 이번 한한령을 계기로 한국의 입장에서는 중국 문화산업의 본질을 파악하여 내구력을 키워나가고 그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 그것이 이번 한한령의 교훈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