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이공계 대학생의 흥미-전공일치도,자기효능감과 전공적응도 간의 관계

        강혜영 한국상담학회 2011 상담학연구 Vol.12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elements of major adjustment in science and engineering and to examine Holland's congruence hypothesis. This study asks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 1) How does the interest-major congruence and self efficacy effect on major adjustment? 2) Are there any groups contrast to Holland's congruence hypothesis? If there are, Are there any differences in self efficacy between groups? For this purposes, data regarding Holland's Self Directed Search, Self efficacy, Major adjustment were collected from 305 Korean college students who major in science and engineering at University in Chungnam(male: 203, female: 102). For calculating the congruence, Healey & Mourton(1983)’s ‘two letter code’ was utiliz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23.7% of major adjustment was explained by interest-major congruence and self efficacy. Interest-major congruence and self efficacy were effective variables on major adjustment, and self efficacy was more effective variable than interest-major congruence. Second, four groups were created by interest-major congruence(high vs low) and major adjustment(high vs low). Groups contrast to Holland’s congruence hypothesis were identified. The results of one way analysis of variance showed that self efficacy of group A(congruence high & major adjustment high), group C(congruence low & major adjustment high) were higher than group B(congruence high & major adjustment low), group D(congruence low & major adjustment low). 본 연구에서는 크게 두 가지 문제를 살펴보았는데, 첫째, 개인흥미-전공일치도와 자기효능감이 전공적응도에 미치는 상대적 중요도는 어떠한가, 둘째, Holland 일치성 가정과 달리 개인흥미-전공일치도가 높으면서 전공적응도가 낮은 집단, 반대로 개인흥미-전공일치도가 낮으면서 전공적응도가 높은 집단이 존재하는가, 그리고 존재한다면 집단 간에 자기효능감에 차이가 있는가 하는 것이었다. 이를 위하여 충청권 소재 4년제 대학교 이공계학과(학부, 전공)에 재학 중인 2, 3, 4학년(남: 203명, 여: 102명) 총 305명에게 자기탐색검사(SDS)를 실시하고, 전공적응도, 자기효능감 등을 측정하였다. 학생의 흥미유형과 전공(학과) 간의 일치도는 Healey와 Mourton(1983)의 ‘두 자리 코드’ 일치도 방법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개인흥미-전공일치도와 자기효능감 전체가 전공적응을 설명하는 양은 23.7%였다. 그리고 자기효능감과 개인흥미-전공 일치도 두 변인 모두 전공적응도에 의미 있게 영향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 중, 자기효능감의 영향이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개인흥미-전공일치도가 낮더라도 전공적응도가 높은 학생(20.6%), 그리고 개인흥미-전공일치도가 높더라도 전공적응도가 낮은 학생(10.6%)이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이 두 집단 간에는 자기효능감 수준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를 통하여 개인흥미-전공 일치도와 자기효능감 모두 전공적응도에 의미있게 영향미치는 요인이지만 이 가운데 자기효능감이 더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점, 그리고 Holland 일치성 가정과 맞지 않는 집단도 존재하며 이 집단 간에 자기효능감의 차이가 있다는 점 등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대학의 전공 선택 상담 시, 개인의 흥미와 함께 자기효능감도 중요하게 고려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 KCI등재

        Inverse Effects of Information: The Influence of Personality Congruence on Preference for High Technology Products

        손용석,김성은 한국마케팅학회 2013 ASIA MARKETING JOURNAL Vol.14 No.4

        In today’s society with its emphasis on unlimited information access, control of available information about high-technology products is often vital to their success. When a product is released, consumers may initially be attracted through information about its remarkable internal and external features. They may also perceive a degree of congruence between their own personalities and the product image as more information becomes available over time. Consumers’ changing impressions of the product may influence personality congruence negatively or positively. These changes and their effects on preference for high-technology products are the focus of this paper. A survey was given to a sample of 206 students at K University to investigate the degree to which consumer behavior can be influenced by personality congruence. The need for clear and definite product knowledge in this process and the effect of product information on preference were also investigated. Three analyses were conducted. The results of Analysis 1 showed the influence of personality congruence on preference for high-technology products. Judgments about personality congruence were based on non-compensatory rather than compensatory information processing. The respondents considered certain aspects of a product’s personality rather than the product as a whole when making preference decisions. The results of Analysis 2 indicated that when less information was available about a product, consumers who perceived high personality congruence with the product tended to have higher preference for it compared to those who perceived low personality congruence with the product. On the other hand, when consumers were given more information, no difference was observed in the impact of personality on preference between perceived high and low personality congruence. Lastly, the results of Analysis 3 showed that when consumers with high need for closure (NFC) perceived high congruence between their own personalities and a product, objective information regarding the product was not used in decision-making; instead, judgments about the product were based on perceived personality congruence. On the other hand, high-NFC consumers who perceived low personality congruence between themselves and the product tended to require more information about the product in order to give it a positive evaluation. In contrast, low-NFC consumers who perceived high personality congruence felt comfortable with large amounts of information. For low-NFC consumers who perceived low congruence, the level of information had no influence on preference.

      • KCI등재

        브랜드캐릭터의 정보원 속성과 일치성 요인의 효과에 관한 연구

        김운한 ( Woon Han Kim ),이경렬 ( Kyung Yul Lee ),신현희 ( Hyun Hee Shin ) 한국커뮤니케이션학회 2007 커뮤니케이션학연구 Vol.15 No.3

        본 연구는 브랜드캐릭터 호감도와 광고 호감도에 영향을 주는 변인들의 효과를 검증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친근성을 비롯한 신뢰성, 역동성, 매력성 등의 정보원 속성변인과 브랜드캐릭터와 브랜드 개성의 일치성, 브랜드캐릭터와 자아이미지 일치성 등 일치성 변인이 브랜드캐릭터 호 감도와 광고 호감도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였다. 실험 결과, 친근성과 매력성은 캐릭터호감과 광고호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친근성은 여러 선행요인 중에서 광고호감과 캐릭터호감에 가장 큰 설명력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신뢰성의 경우 캐릭터 호감도에는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나 광고 호감에는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역동성은 캐릭터 호감이나 광고 호감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이는 소비자들이 캐릭터를 대할 때 캐릭터의 친근성과 매력성을 중요시하는 반면 역동성은 크게 고려하지 않는 것을 의미한다. 일치성과 관련하여, 브랜드캐릭터와 브랜드개성 일치성, 그리고 브랜드캐릭터와 자아이미지 일치성은 캐릭터 호감과 광고 호감에 모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일치성 요인이 캐릭터 호감에 영향을 주는 중요한 선행요인으로 작용함을 입증한 것이다. 그리고 브랜드캐릭터 호감은 광고 호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캐릭터 호감이 광고호감의 선행요인으로 작용함을 보여주었다. 정보원 속성 변인과 일치성 변인의 영향력을 비교할 경우 일치성 변인에 비해 친밀감과 매력성 변인이 캐릭터 호감 및 광고 호감에 더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소비자가 선호하는 캐릭터를 제작하고 그 효과를 객관적으로 측정하기 위해 친근성 요인을 우선적으로 고려하여야 하며, 브랜드개성 일치성, 자아이미지 일치성 요인이 함께 고려되어야 함을 의미한다. This study analyzed the variables that influence brand character likability and advertising likability. The variables included such source characteristics as familiarity, credibility, dynamism and attractiveness, and such congruence factors as brand character and brand personality congruence, brand character and self image congruence. Results explained that both familiarity and attractiveness(especially familiarity) were significant factors for brand character likability and advertising likability, while credibility and dynamism factors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factors for brand character likability and advertising likability. This means consumers think much of familiarity and attractiveness and think little of credibility and dynamism when seeing brand characters. As to congruence, significant impact on brand character likability and advertising likability was found for both two congruence factors: brand character and brand personality congruence, brand character and self image congruence. Results indicated brand character likability had significant impact on advertising likability, which means brand character likability plays a precedent role for advertising likability. When compared the impact of source characteristics with that of congruence factors, familiarity and attractiveness were found to be more important factors than congruence.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the familiarity, as well as brand personality congruence and self image congruence be considered the major factor in order to produce likable brand characters and evaluate the preference value of brand characters.

      • KCI등재

        패션 브랜드에서 자기 이미지 일치성이 브랜드, 제품 및 점포 선호에 미치는 영향 -브랜드, 제품 및 점포 선호의 관계를 포함하여-

        정인희 한국기초조형학회 2020 기초조형학연구 Vol.21 No.6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 of self-image congruence with brand, product and store images on brand, product and store preference, and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preference for product and store and self-image congruence on brand preference. The research methodology covers theoretical review and an empirical survey followed by statistical analysis.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and 456 responses from female consumers in their twenties and thirties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reliability test, regression, and factor analysis of IBM SPSS Statistics 25. The results were as follows. While the positive effects of self-image congruence on the preference for product, store, and brand were confirmed, the most strongest relationship between two variables was observed in the case of product preference, and the relationship in the store preference was observed relatively low. Among 5 image factors-neat, feminine, unique, cute, and plain images-, neat image was the most desired ideal self-image and this one affected on the product, store, and brand preference definitely. A hypothesized path model explaining brand preference was tested, and the effects of self-image congruence and the store preference were verified. The results of this study contributed to establish the theory on self-image congruence and preference by determining the positive effect of self-image congruence on the preference for brand, product, and store at the same time in the same group. Some future research topics were suggested regarding the comparison of the effect size of self-image congruence on preference for multiple objects and the use of image factors to measure and analyze the effect of self-image congruence. 본 연구의 목적은 동일한 패션 브랜드를 대상으로 하여 브랜드와 제품 및 점포 이미지와의 자기 이미지 일치성이 브랜드와 제품 및 점포의 선호 각각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제품과 점포에 대한 선호와 브랜드에 대한 자기 이미지 일치성이 브랜드 선호에 미치는 영향력을 규명하는 것이다. 연구방법은이론적 배경 고찰과 실증조사 및 분석이다. 조사대상은 20~30대 여성으로 온라인 서베이를 통해 총456부의 응답 자료를 수집한 후, 이에 대해 IBM SPSS Statistics 25로 기술통계와 신뢰도 분석, 회귀분석, 요인분석 등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자기 이미지 일치성은 브랜드와 제품 및점포의 선호 각각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쳤으며, 그 영향력은 제품 선호에서 가장 크고 점포 선호에서 가장 작은 것으로 나타났다. 응답자들이 가장 추구하는 이미지 요인은 깔끔한 이미지였으며, 브랜드와 제품 및 점포에 대한 선호 모두에서 깔끔한 이미지에서의 자기 이미지 일치성이 가장 큰 영향을미쳤다. 브랜드 선호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자기 이미지와의 일치성이 가장 중요하게 작용했으며, 점포 선호는 브랜드 선호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나 제품 선호가 브랜드 선호에 미치는영향력은 확인하지 못하였다. 본 연구의 성과는 자기 이미지 일치성과 브랜드와 제품 및 점포에 대한긍정적 관계를 동일 브랜드를 대상으로, 동일 소비자 집단을 통해 확인함으로써 패션 브랜드에서의 자기 이미지 일치성과 선호의 이론을 정립하는 데 기여한 점이다. 또한 자기 이미지 일치성의 영향력이제품에 대한 선호에서 가장 크게 나타나고 점포에 대한 선호에서 가장 낮게 나타났다는 결과를 통해대상에 따른 차이의 비교 연구 필요성을 제시하였으며, 자기 이미지 일치성을 요인별로 측정하고 분석에 활용하는 연구의 방향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

        브랜드 이미지, 자아 이미지, 광고 모델 이미지의 일치성정도가 광고효과에 미치는 영향

        남아영,장은주,서찬주 韓國商品學會 2013 商品學硏究 Vol.31 No.3

        연구목적: 본 연구는 광고에서 나타날 수 있는 다양한 이미지간의 일치성 정도를 포괄적으로 다룬다. 브랜드 이미지와 자아 이미지의 일치성 정도, 광고모델 이미지와 자아 이미지의 일치성 정도, 브랜드 이미지와 광고모델 이미지의 일치성 정도를 동시에 고려하여 다양한 종속변수들을 살펴보고자 하며 특히 기존 연구에서는 잘 다루지 않은 광고주목률을 살펴보았다. 연구설계 및 방법론: 2×2×2 요인 설계로 하여 가설을 검증하고자 하였으며 230명의 학부학생들이 본 연구의 실험에 참가하였다. 분석 및 연구 결과: 연구 결과, 브랜드 이미지와 자아 이미지의 일치성 정도가 높은 경우가 낮은 경우보다 광고태도, 브랜드태도, 구매의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광고모델 이미지와 자아 이미지의 일치성 정도가 높은 경우가 낮은 경우보다 광고태도, 브랜드태도, 구매의도가 높게 나타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브랜드 이미지와 광고 모델 이미지의 일치성 정도가 높은 경우에 낮은 경우보다 소비자의 광고태도, 브랜드태도, 구매의도가 더 높아지는 것을 살펴 볼 수 있었으나 브랜드 이미지와 광고모델 이미지의 일치성 정도가 낮은 경우가 높은 경우보다 소비자의 광고주목률이 높았다. 시사점 및 연구의 한계점: 본연구의 결과는 광고를 하는 실무자들은 광고의 목적을 분명히 구별하여서 광고모델을 선정하고 또한 목표 고객을 선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것을 알려준다. 본 연구의 한계점 중 하나는 독립변수들 간의 다양한 상호작용 효과를 논리적으로 이론적으로 살펴보지 못한데 있다. 향후 연구 방안: 향후 연구들은 광고에 대한 다양한 일치성 정도의 단계를 좀더 세밀하게 나누어 광고 효과를 살펴볼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이미지 일치성의 다양한 상호작용 효과, 삼원 효과에 대한 향후연구를 기대하여 본다. 공헌점: 본 연구는 광고에서 나올 수 있는 다양한 이미지 일치성 정도에 대해 포괄적인 시야로 살펴보고 광고효과에 관한 종속변수도 광고효과에서 상대적으로 간과되었던 광고주목률을 포함하여 광고태도, 브랜드태도, 구매의도까지 살펴보았다는데 의의가 있다. 또한 소비자의 광고주목률이 높은 광고 일지라도 광고태도나 브랜드태도, 구매의도에 오히려 부정적인 효과를 이끌 수 있다는 사실을 확인하여주고 있다. Purpose: This study examines the comprehensive advertising effects for the degrees of image congruence among brand, self-concept, and ad source with a particular focus on attention-getting and various advertising effects. Design/methodology/approach: After reviewing the previous literature, 4 hypotheses were suggested and tested in an experimental situation using a 2×2×2 among 230 undergraduate students. Results/findings: The results indicated that as the degree of congruence between brand image and self-concept image was higher, attitude toward advertisement, brand attitude, and purchase intention were increased. Second, as the degree of congruency between ad source image and self-concept image was higher, attitude and purchase intention were increased. Finally, as the degree of congruence between brand image and ad source image was higher, attitude toward advertisement, brand attitude, and purchase intention of consumers were increased. However, on the contrary, as the degree of congruence between brand image and ad source image became low, attention-getting on the advertisement of consumers was higher. Research implications/limitations: The result of this study implies to advertising practitioners that they need to consider various congruency effects among ad source, brand image and self-concept of consumers. One possible limitation of this study is related to the lack of theoretical backgrounds and theories as well as various interaction effects of independent variables. Future work/research: Future research may consider examining advertising congruence from various views with sophisticated effects the degrees of congruence into several levels, and various interaction effects among diverse degrees of congruence. Originality/value: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a sense that it examines the comprehensive advertising effects for the degrees of image congruence among brand, self-concept, and ad source wit a particular focus on attention-getting and various advertising effects. Further, this study portrays that even high attention-getting advertising could lead to negative attitude and purchase intention.

      • KCI등재

        사회적 가치 일치성이 사회적 기업에 대한 태도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사회적 가치 일치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최은정,김수현 한국소비자·광고심리학회 2013 한국심리학회지 소비자·광고 Vol.14 No.1

        One of the common things found in recent studies about social enterprises is their focus on social value in social enterprises. However, in recent studies of social enterprises from a marketing perspective, there have been some mixed reports about the impact of social values on attitudes and behaviors related to purchases. This study holds the view that this difference is caused by the dependence of sub-social values on social enterprises, and their mediating effect on social value congruence. Therefore,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first,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consumers’ perceived social value perceptions about social enterprises and consumers’ obtained social values; second, is to understand whether this social value congruence affect positive attitudes toward social enterprises and purchase intentions; lastly to provide managerial implications to social enterprises. Based on previous studies, the authors divided the social values of social enterprises into four types: (1) environment-friendly; (2) local community-oriented; (3) employees' welfare; and (4) social responsibility. Through the literature review, the authors developed a research model and hypotheses, which test a dynamic relationship showing each sub-value of the social enterprises’ values affect the positive attitudes toward social enterprises and the purchase intention mediating by the value congruence. According to the analysis results of this study, social perceptions for three of the sub-constructs- ‘environment-friendly’, ‘employees’ ‘welfare’, and ‘social responsibility’-positively affected the value congruence, whereas ‘local community oriented’ did not. The value congruence affected positive attitudes toward social enterprises, and, subsequently, purchase intentions. The value congruence also indirectly affected purchase intentions through its effect on positive attitudes. That is, the mediating effect of social value congruence on purchase intention has been confirmed. Finally, the research results are discussed in comparison with previous studies. Based on these results, some managerial implications and directions for future studies are suggested in this study. 사회적 기업 관련 연구의 공통된 특징을 살펴보면 사회적 기업이 지닌 사회적 가치에 주목했다는 점이다. 그러나 최근 마케팅관점의 사회적 기업에 대한 연구들에서는, 사회적 가치가 구매 태도 및 행동 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일부 상반된 결과를 보고하고 있다. 이러한 결과는 사회적 기업의 차별적인 세부 사회적 가치에 따른 영향인 것으로 보이며, 개인의 사회적 가치 일치성의 매개효과가 있을 것으로 보인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연구목적을 가지고 진행하였다. 첫째, 본 연구는 기본적으로 사회적 기업의 가치가 사회적 기업에 대한 태도에 영향을 미치고 궁극적으로 구매의도에 영향을 미치는지 파악하고자 했다. 둘째, 사회적 가치 일치성의 사회적 가치와 기업에 대한 소비자의 태도간의 매개효과가 여부를 파악하고, 셋째, 사회적 기업의 활성화를 위한 소비자 관점의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하기 위함이었다. 본 연구는 사회적 기업의 가치를 환경 친화(environment-friendly), 지역사회 공생(local community-oriented), 종업원 복지(employees’ welfare), 사회 공헌(social responsibility), 4개의 사회적 기업의 세부가치가 사회적 가치 일치성을 매개로 하여 기업에 긍정적인 태도와 구매의도에 미치는 역학관계를 연구 모델로 수립하였다. 본 연구의 실증연구를 위해 사회적 기업에 대한 인지가 있는 소비자들을 대상으로 온라인 서베이를 실시하였고, 수집한 총 481명의 샘플이 본 분석에 사용되었다. 가설 검증 결과, ‘지역사회 공생’의 사회적 기업의 가치를 제외한, ‘환경 친화,’ ‘종업원 복지,’ ‘사회 공헌’의 세 개의 가치들이 사회적 기업과 소비자간 가치 일치성에 긍정적 영향을 미쳤다. 사회적 가치 일치성은 사회적 기업에 대해 긍정적인 태도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고 구매의도에 영향을 미침을 확인하였다. 또한, 대안모델들을 개발하여 본 연구모형과 비교한 결과, 사회적 가치 일치성이 매개변수로 사회적 기업에 대한 긍정적인 태도에 영향을 미쳐서 간접적으로 구매의도에도 영향을 미침을 확증하였다. 본 연구는 연구결과에 대한 논의와 함께 사회적 기업을 위한 실무적 시사점 및 향후연구에 대한 제언을 제공하였다.

      • KCI등재

        중국소비자의 문화정체성과 세계주의가 자아일치성을 매개하여 외국화장품 브랜드태도에 미치는 영향

        조연혜,박효현,정강옥 경남대학교 산업경영연구소 2018 지역산업연구 Vol.41 No.1

        As China’s economy has grown, per capita income of Chinese consumer has increased. The market size of cosmetics in China has also exhibited extraordinary growth in recent years. At the same time, fierce competitions have sprung up among global cosmetic companies and marketing utilizing cultural identity of Chinese consumer has also emerged. The share of cosmopolitan consumers in China is increasing and the number of Chinese consumers concerned about cosmetic as a tool of self expressiveness is growing. In this study, we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among cultural identity, cosmopolitanism, and brand attitude considering mediating effects of self congruence in China. Specifically, whether cultural identity and cosmopolitanism has positive impact on brand attitude or not by considering actual self and ideal self as mediating variables. SPSS 22.0 and LISREL 7.0 program were used to test frequency, reliability, validity, factor analysi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cultural identity has positive impacts on not only actual self congruence and ideal self congruence. Second, consumer cosmopolitanism has positive influences on actual self congruence as well as ideal self congruence. Third, both actual self congruence and ideal self congruence have positive impacts on brand attitude. These findings in this study indicate that marketing utilizing cultural identity and cosmopolitanism are needed to increase self congruence, then, create positive brand attitude. Finally, the implications, limitations and future study directions based on the study results are discussed. 중국에서는 경제가 성장하고 1인당국민소득이 증가함에 따라 화장품 시장이 급성장하고 있 다. 그리고 근래 중국 시장에서는 글로벌 화장품 기업들의 경쟁이 격화되고 있으며 중국 소비 자의 문화정체성을 반영한 마케팅이 활성화되고 있다. 다음으로 중국 소비자 중에 세계주의 소비자가 증가하고 있으며 화장품을 자아표현 수단으로 여기는 정도도 높아지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중국에서 화장품 소비자를 대상으로 하여 문화정체성과 세계주의가 자아일치 성을 매개하여 브랜드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구체적으로는 문화정체성과 세계주 의가 자아일치성의 차원 변수인 실제적 브랜드 자아 일치성과 이상적 브랜드 자아일치성을 매 개하여 브랜드태도에까지 미치는 영향을 구조방정식으로 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문화정체성은 실제적 브랜드 자아일치성과 이상적 브랜드 자아일치성 각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세계주의는 실제적 브랜 드 자이일치성과 이상적 브랜드 자아일치성 각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실제적 브랜드 자아일치성과 이상적 브랜드 자아일치성 모두는 브랜드태도에 긍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연구결과를 통해 중국 소비자의 문화정체성과 세계주 의를 고양하는 마케팅을 통해 자아일치성을 높여 소비자의 긍정적인 브랜드태도를 이끌어내 는 것이 필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후반부에 본 연구의 결과가 갖는 시사점과 한계에 대 해 논의하였다.

      • KCI등재후보

        이미지 일치성 관점에서 본 유통업체 브랜드에 대한 태도 형성의 선행 변수들

        이동대(Dongdae Lee) 한국유통학회 2003 流通硏究 Vol.8 No.1

        유통업체 브랜드의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소비자들의 유통업체 브랜드에 대한 태도 형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에 대한 연구는 그다지 많이 진행되어 있지 않다. 본 연구에서는 유통업체 브랜드에 대한 태도 형성을 이미지 일치성 관점에서 파악하고 있다. 즉, 유통업체 브랜드와 소비자 간의 이미지 일치성, 점포와 유통업체 브랜드로 사용되는 제품군 간의 이미지 일치성, 점포와 소비자 간의 이미지 일치성 등 세 가지 종류의 이미지 일치성을 중심으로 이들이 유통업체 브랜드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이 어떠하며 상호 간의 관계는 어떠한지를 알아보고자 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연구 결과에 의하면 소비자 자신과 유통업체 브랜드 간의 이미지 일치성은 세 가지 이미지 일치성 중에서 유통업체 브랜드에 대한 태도 형성에 가장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점포와 제품군 간의 이미지 일치성도 매우 중요한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점포와 소비자 간의 이미지 일치성이 유통업체 브랜드 태도에 미치는 효과는 가설과는 반대로 나타났으며 이에 대한 해석도 제공되고 있다. Despite importance of private brands in the retail industry, not many studies have been performed on factors affecting consumers' attitude formation toward private brands. This study tries to understand attitude formation toward private brands from the perspective of image congruence. Focusing on three types of image congruence - image congruence between a private brand and a consumer's self, image congruence between a store and a product category used for a private brand, and image congruence between a store and a consumer's self - this study explores relationships and effects of these three types of image congruence on attitudes toward private brands. According to results, image congruence between a private brand and a consumer's self has the strongest effect among three types of image congruence. Image congruence between a store and a product category also has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attitudes toward private brands. Effects of image congruence between a store and a consumer's self on attitudes toward private brands were opposite to the hypothesized direction, and explanations about the unexpected result are provided.

      • KCI등재

        특성화 고교생의 진로경로(Career path)에 따라 개인 및 학교환경, 직업흥미 분화가 개인-직업환경 흥미일치도에 미치는 영향

        어윤경 ( Yun Kyung Au ) 안암교육학회 2014 한국교육학연구 Vol.20 No.2

        본 연구는 특성화 고교생들의 개인 변인, 학교환경 변인이 직업흥미 분화도와 개인-직업환경 흥미일치도에 미치는 영향과 개인변인, 학교환경 변인, 직업흥미 분화도와 개인-직업환경 흥미일치도와의 구조적인 관계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전국적으로 표집한 508명의 특성화 고교생(3학년)이 분석대상이었으며, 이들의 진로경로(Career path)를 조사하여 개인-직업환경 흥미일치도를 산출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부모와의 애착은 직업흥미분화에 유의미하게 영향을 미친 반면 학교환경은 유의미하게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둘째, 흥미유형별로 흥미분화도가 유의미하게 차이가 있었고, 개인-직업환경 흥미일치도 역시 흥미유형별로 유의미하게 차이가 있었다. 셋째, 기계금속자동차로봇 전공집단에서만 전공관련 흥미를 보유한 집단이 비보유 집단에 비해 흥미가 더 많이 분화되었고, 정보컴퓨터통신미디어게임 전공집단에서만 개인-직업환경 흥미일치도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나서 전공과 개인의 흥미가 일치되지 않는 경향을 보였다. 넷째, 부모와의 애착과 직업흥미 분화도가 개인-직업환경 흥미일치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으로 나타났고, 학교환경 변인은 유의미한 변인이 아니었다. 본 연구결과는 개인-직업환경 흥미일치도가 높을수록 미래의 직업생활의 행복을 예견한다고 볼 때, 특성화 고교생은 개인-직업환경 흥미일치도가 만족할만한 수준이 아닌 것으로 보이므로 향후 직업흥미 분화를 위한 노력이 더 필요함을 시사하고 있다. This study examines indivisual and school invironmen variables as the meaningful factors in characterised high school students`` job interest congruence and Degree of job interest specializarion. Whether indivisual and school invironment variables has an effect on the degree of characterised high school students`` job interest congruence. and whether the effect for the degree of characterised high school Students`` job interest specialization. would be affected in job interest congruence are tested. 508 characterised high school students in Korea were analyzed for this study. The results show that overall characterised high school students`` job interest specialization statistically significantly increases according to indivisual invironment variables such as attachment with parents. But didn’t increase according to school invironment variables such as structural environment and functional environment. Also, there was signifigant difference the degree of job interest specializarion and the degree of congruence according to Holland types. But there was not signifigant difference the degree of specializarion and the degree of congruence according to their major. Finally according to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attachment with parents and the degree of specializarion increased the degree of congruence significantly, but structural environment and functional environment didn’t increase the degree of congruence significantly. In conclusion, characterised high school students`` degree of congruence in career path isn’t satisfactory. This study also implies that the career counselor is necessary to foster the degree of job interest specializarion for characterised high school students.

      • KCI등재

        프로야구 관중의 이미지 일치성이 스폰서 제품의 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김용만(YongManKim),김세윤(SeYunKim),문성균(SungKyunMoon) 한국체육학회 2010 한국체육학회지 Vol.49 No.5

        이 연구의 목적은 프로야구-자아이미지 일치성과 프로야구-스폰서이미지 일치성이 스폰서-자아이미지 일치성, 스폰서이미지, 지각된품질 그리고 스폰서태도를 매개로 하여 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2009 『CJ마구마구 프로야구』의 수도권 지역 4 팀인 SK 와이번스, 두산 베어스, 히어로즈 그리고 LG 트윈스의 홈 관중으로 구단별로 100명씩 총 400명을 대상으로 설문지 배부 후 총 383부를 회수하여 적절하지 않은 39부를 제외한 344부를 실제분석에 사용하였다. SPSSWIN Ver. 15.0과 Amos 7.0을 활용하여 연구의 적합도를 검증한 후 개별 가설들을 검증하였다. 연구의 결과를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프로야구-자아이미지 일치성은 스폰서-자아이미지 일치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둘째, 프로야구-스폰서이미지 일치성은 스폰서-자아이미지 일치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셋째, 스폰서-자아이미지 일치성은 스폰서이미지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넷째, 스폰서이미지는 지각된품질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다섯째, 스폰서이미지는 스폰서태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여섯째, 스폰서이미지는 이용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일곱째, 지각된품질은 이용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여덟째, 스폰서태도는 이용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a congruence in professional baseball-self image and professional baseball-sponsor image on purchase intention by the medium of congruence in sponsor-self image, sponsor image, perceived quality and attitude toward sponsor.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over 18 years old home spectators, in ‘2009 CJ MA9 MA9 pro-baseball’ league, of 4 teams in the metropolitan area. 100 spectators were sampled from each of the 4 teams. Out of 400 samples, 344 samples were used in the final analysis, excluding 39 less reliable samples from 383 recovered samples. This data was processed by using SPSSWIN Ver. 15.0 and AMOS 7.0. Individual hypothesis was verified after reviewing a model adequacy by data processing.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professional baseball-self image congruence had exerted a useful influence over sponsor-self image congruence. Second, professional baseball-sponsor image congruence had exercised a useful influence over sponsor-self image congruence. Third, sponsor-self image congruence had exerted a useful influence over sponsor image. Fourth, sponsor image had exerted a useful influence over perceived quality. Fifth, sponsor image had exerted a useful influence over attitude toward sponsor. Sixth, sponsor image had not exerted a useful influence over use intention. Seventh, perceived quality had exerted a useful influence over use intention. Eighth, attitude toward sponsor had exerted a useful influence over use inten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