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Reliability and ratio in exponentiated complementary power function distribution

        Yeung Gil Moon,Chang Soo Lee,Se Gi Ryu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 2009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지 Vol.20 No.5

        As we shall define an exponentiated complementary power function distribution, we shall consider moments, hazard rate, and inference for parameter in the distribution. And we shall consider an inference of the reliability and distributions for the quotient and the ratio in two independent exponentiated complementary power function random variables.

      • KCI등재

        Reliability and ratio in exponentiated complementary power function distribution

        문영길,류세기,이창수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 2009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지 Vol.20 No.5

        As we shall dene an exponentiated complementary power function distribution, we shall consider moments, hazard rate, and inference for parameter in the distribution. And we shall consider an inference of the reliability and distributions for the quotient and the ratio in two independent exponentiated complementary power function random variables.

      • KCI우수등재

        Reliability and ratio in exponentiated complementary power function distribution

        Moon, Yeung-Gil,Lee, Chang-Soo,Ryu, Se-Gi The Korean Data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2009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지 Vol.20 No.5

        As we shall dene an exponentiated complementary power function distribution, we shall consider moments, hazard rate, and inference for parameter in the distribution. And we shall consider an inference of the reliability and distributions for the quotient and the ratio in two independent exponentiated complementary power function random variables.

      • KCI등재

        ‘않-’와 ‘말-’의 교체에 대하여

        양정호 ( Yang Jeong-ho ) 국어학회 2016 국어학 Vol.78 No.-

        이 논문의 목표는 ‘않-’과 ‘말-’이 어휘소 층위에서의 교체를 보이는 관계에 있음을 밝히는 데에 있다. 이러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어휘소 층위의 교체도 형태소 층위의 교체와 마찬가지로 의미의 동일성과 상보적 분포라는 두 조건을 충족시켜야 한다는 전제 아래 ‘않-’과 ‘말-’의 의미와 분포에 대해 검토하였다. 아울러 ‘않-’과 ‘말-’의 교체 유형 및 교체 조건에 대해서도 간략히 논의하였다. 논의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않-’과 ‘말-’은 ‘앞말이 나타내는 행동이나 상태의 부정’ 정도에 해당하는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2) ‘않-’과 ‘말-’은 배타적이지는 않은 상보적 분포를 보인다. ‘않-’과 ‘말-’이 일부 환경에서 배타적 분포를 보이지 못하는 것은 ‘않-’의 분포가 확대되는 통시적 변화를 반영하는 것이다. (3) ‘않-’과 ‘말-’은 의미의 동일성과 상보적 분포라는 두 가지 조건을 충족시키므로 교체 관계에 있다. (4) ‘않-’과 ‘말-’의 교체는 형태소 층위가 아니라 어휘소 층위에서의 교체이다. (5) ‘않-’과 ‘말-’의 교체는 ‘반복성’과 ‘넓은 의미의 명령’이라는 의미론적 조건에 따른 교체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rify the alternation of ‘anh-’ and ‘mal-’ in the tiers of lexeme. In order to achieve this purpose, the identity of meaning and the complementary distribution will be examined, assuming that these two criteria, which constitute key criteria that confirms the alternation in the tiers of morpheme, can be applicable in the discussion of alternation in the tiers of lexeme. In addition, this study includes a discussion on the types and the conditions of alternation of ‘anh-’ and ‘mal-’. The discussion lead us to the following conclusions: (1) ‘anh-’ and ‘mal-’ have the same meaning, negation of an action or state expressed by the preceding verb. (2) ‘anh-’ and ‘mal-’ are in complementary, not exclusive, distribution. ‘anh-’ and ‘mal-’ are not in the exclusive distribution in some cases because of a historic change, the expansion of the distribution of ‘anh-’. (3) Identity of meaning and complementary distribution of ‘anh-’ and ‘mal-’ confirm that they are in the alternation. (4) The alternation of ‘anh-’ and ‘mal-’ occurs at the level of morpheme, not of lexeme. (5) The alternation of ‘anh-’ and ‘mal-’ is resulted from the semantic condition of ‘repeatability’ and ‘a broad meaning of imperative’.

      • KCI등재

        현대 국어의 사이시옷은 과연 형태소인가

        최형용 형태론 2009 형태론 Vol.11 No.1

        주지하는 바와 같이 사이시옷은 관형격을 나타내는 문법형태소로서의 자격을 가지고 있었다. 그러나 현대 국어에서의 사이시옷은 거의 합성 명사 내부에서만 나타날 뿐이고 문장에서는 그 문법적 지위를 잃었다. 단어 내부에서 문법적 기능을 갖는다는 것 자체가 무리일 뿐만 아니라 그동안의 논의에서 그 분포를 설명하기 위해 베풀어진 의미론적 환경 제시도 예측력을 상실하였다. 즉 현대 국어의 사이시옷은 독자적 의미를 가지고 있지 못하며 애초에 가지고 있었던 상보적 분포도 보여 주지 못한다. 따라서 이를 형태소로 간주하는 것은 사이시옷의 과거에 집착한 결과라 할 수 있다. 또한 선행 요소나 후행 요소의 일부분으로 간주되는 사이시옷이 적지 않고 출현에서 임의성을 보여 주는 예들의 존재는 사이시옷을 공형태소로 간주하는 것도 쉽지 않다는 사실을 말해 준다. 유형론적으로도 현대 국어의 사이시옷과 비슷한 지위를 가지는 것이 보고된 바 있는데 이들도 형태소로서의 자격을 가지지는 못하는 것으로 보인다. As has been well-known, ‘Sai-sios’, in the past, had a status as a grammatical morpheme for genitive case. But in modern Korean ‘Sai-sios’ only occurs in a compound and has lost such a grammatical status in a sentence. It is implausible to state that ‘Sai-sios’ functions in a word if it were a syntactic unit. Moreover, the previous literature which mainly relies on semantic meanings to explain the distributions of ‘Sai-sios’ does not make consistent predictions and hence cannot be sustained. ‘Sai-sios’ in modern Korean does not have its independent meaning nor does it exhibit complementary distributions. Therefore, we cannot maintain the analysis of ‘Sai-sios’ as a grammatical morpheme unlike in the past. Since the distributions of ‘Sai-sios’ cannot be explained straightforwardly, ‘Sai-sios’ cannot be considered as a null morpheme. The claim that ‘Sai-sios’ is not a morpheme gets another support from typological evidence involving the equivalents of ‘Sai-sios’ in many languages.

      • KCI등재

        따밀어 문자 및 음운 체계에 관한 소고

        고태진(Koh, Tae-Jin) 한국외국어대학교 인도연구소 2014 남아시아연구 Vol.20 No.2

        따밀어(Tamil)는 인도 남부에서 쓰이는 드라비다(Dravidian)어족 계통의 언어로 그 사용자 수는 약 7 천만 명에 이른다. 오늘날의 따밀어는 산스끄리뜨어와 브라흐미(Brahmi) 문자의 영향을 받으면서 문자 및 발음의 변화 그리고 문학적 특성에 의해 구별된 세 시기에 걸쳐 발전되었다. 따밀어의 문자는 다른 인도 문자들에서는 찾아볼 수 없는 단독 자음의 표기법인 점(Pulli, ?)의 사용과 원순문자(Vatteluttu, 圓脣文字)라는 독특한 모습을 띠고 있다. 그리고 깐나다어(Kannada), 뗄루구어(Telugu), 말라얄람어(Malayalam) 등의 드라비다 언어들과 달리 상보적 분포에 따른 이음들을 보여주는 특성을 나타내고 있다. 다시 말해서 따밀어의 파열음과 파찰음은 원칙적으로 무성무기음만 존재하며 각각의 유성무기음과 무성유기음, 즉 파열음과 파찰음 그리고 일부 유음과 활음은 하나 이상의 변이음을 갖는 상보적 분포를 보여주고 있다. 이러한 상보적 분포는 음운 환경에 따라 규칙적으로 나타나고 있으나 때로는 서로 혼용되어 쓰여지기도 한다. 또한 구어체와 문어체로 구별되는 따밀어의 역사적 발전은 발음의 편의성이 음운 규칙에 영향을 끼치는 결과를 낳기도 하였다. 그간 따밀어 문법학자들은 주로 『똘까삐얌』(T(l((((iyam) 중심의 전통 따밀어에 대하여 연구를 한 반면 구어체 중심의 현대 따밀어에 대해서는 등한시 하였던 것이 사실이다. 그리고 따밀어에 대한 국내 연구가 전무한 상황에서 본고는 힌디어 전공자들의 효율적인 따밀어 학습을 위한 연구의 기초 작업으로서 문자의 형성 과정 및 발음의 특징과 상보적 분포에 따른 변이음들을 중심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이는 『똘까삐얌』 중심의 문어체 음운체계에서 벗어나 발음의 편의성에 따른 음운환경을 고려한 구어체 중심으로 대변되는 현대 따밀어 음운체계를 새롭게 정리하는 목적이기도 하다. Tamil is one of the Dravidian languages and is spoken mainly in the southern part of India, parts of Sri Lanka, Malaysia and Singapore. The Tamil grammatical tradition is traceable to the pre-Christian era. To be more specific, the earliest grammatical work, Tolk?ppiyam belongs to the fifth century B.C. The present work is divided into three sections starting with the historical development of Tamil and ending with complementary distribution. Between the two sections, the script is discussed. In order to describe the sound system of languages, linguists use the notion of the phoneme. A phoneme is a contrastive unit in the sound system of a particular language. Each phoneme has a series of realizations. Realizations of the same phoneme are called ‘allophones’. In Tamil, it is particularly required to conduct a study on allophones and the environment in which they occur since Tamil shows a complex sound system. This paper investigates the phonological rule of stops as well as some features of the script in Tamil. By doing this, this work is to present a description of the above structure as clearly as possible and makes a humble attempt to provide the basic learning material for Tamil’s sound system and script.

      • KCI등재

        자토석독구결의 선어말어미 ‘-거-’의 통합 양상에 대한 일고찰

        이상금 ( Lee Sang-keum ) 구결학회 2020 구결연구 Vol.45 No.-

        본고는 자토석독구결 자료에 나타난 선어말어미 ‘-□-’, ‘-□-’의 통합 양상을 기술하고 그 특성을 해석해 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와 ‘-□-’가 어떤 어미에 통합되었는지, 어간의 타동성 여부에 따라 통합되었는지를 검토하였다. 어미와의 통합 양상은 선어말어미와 어말어미로 나누어 정리하였다. 어간과의 통합에서는 ‘-□-’가 비타동사에, ‘-□-’가 타동사에 통합되어 있는 예뿐만 아니라 ‘-□-’가 타동사에, ‘-□-’가 자동사에 통합되어 있는 예를 조명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 ‘-□-’의 통합 특성에 대해 다음과 같이 주장하였다. 첫째, ‘-□-’, ‘-□-’는 모든 환경에서 어간의 타동성 여부에 따른 상보적 분포를 보이는 것이 아님을 확인하고 ‘-□-’는 비타동사에, ‘-□-’는 타동사에 통합된다는 것을 모든 환경에서 엄격하게 또는 필수적으로 적용되는 교체 조건이라고 하기 어렵다는 주장을 하였다. 둘째, ‘-□-’, ‘-□-’가 모든 환경에서 어간의 타동성 여부에 따른 상보적 분포를 보이지는 것은 아니지만 의미 기능은 동일하였다고 주장하였다. This article aims to describe the syntagmatic phenomenon of the prefinal ending ‘-geo-’ and ‘-eo-’ in Jatoseokdok-kugyol, and interpret its properties. For this, I examined which endings ‘-geo-’ and ‘-eo-’ combine with, and whether the alternation follows from the transitivity. According to the data, ‘-geo-’ and ‘-eo-’ do not show a complementary distribution. So I argued that the alternation due to the transitivity was a tendency rather than a rule. I also argued that the semantic functions of ‘-geo-’ and ‘-eo-’ are the same even though they do not show a complementary distribution.

      • 경북말의 서술어미와 의문어미

        김태엽 우리말글학회 2002 우리말 글 Vol.24 No.-

        The primary purpose of this paper is to give an account of the several distinguishing trait on final-ending in Gyeongbuk dialect. The declarative final-ending and interrogative final-ending in Gyeongbuk dialect have features quite it's own of a complementary distribution according to the existence of interrogative pronoun and the feature of predicate. The '-indeo', '-euideo', '-sideo' of declarative final-ending and the '-ka', -ko', '-na', '-no' of interrogative final-ending have distinguishing trait of a complementary distribution according to the feature of predicate. The '-nideo' of declarative final-ending is choiced after the stem of verb, the '-euideo' of declarative final-ending is choiced after the stem of adjective, the '-sideo' of declarative final-ending is choiced after copula. And the '-ka', '-na' and '-ko', '-no' of interrogative final-ending have distinguishing trait of a complementary distribution according to the existence of interrogative pronoun. The former is choiced with the interrogative pronoun, the latter is not choiced with the interrogative pronoun. The '-ta' and '-teo' of declarative function have distinguishing trait of complementary distribution according to the existence of an honorific morpheme '-i-' in the construction of declarative final-ending.(Daegu University)

      • KCI등재

        Export and GDP Elasticities of Outward Foreign Direct Investment of Korea: 1981-2018

        박구웅 한국무역연구원 2019 무역연구 Vol.15 No.3

        Purpose - Korea has increased its outward foreign direct investment (OFDI) remarkably in the 1990s and the 2000s. We aim to identify the specific features of Korean OFDI with the sample of 67 countries for the period of 1981-2018. Design/methodology/approach - We draw first scatter diagrams for the distribution of correlations between OFDI and export and also between OFDI and host country GDP. As an analytic approach, we run panel regressions with fixed effects in log-transformed values. Findings - Korean OFDI moves positively with Korean exports to host countries, except in CIS and North America, supporting the complementary theory of OFDI with exports. Furthermore, OFDI moves positively even more strongly with host country GDP in most regions except Oceania. Current account balances of host countries generally have negative effects on Korean OFDI. Research implications or Originality - The study results imply that OFDI does not necessarily crowd out exports. Secondly, the positive effects of host country GDP on Korean OFDI provide an indirect support for the application of gravitational theory to OFDI. This research also indicates that Korean firms carried out strategic asset-seeking OFDI in the developed countries of Europe and North America while market- or low cost-seeking OFDI in the less developed regions.

      • KCI등재

        중세국어 피동 접사 ‘-이-’, ‘-히-’, ‘-기-’, ‘-리-’의 분포적 특성과 성격

        신승용(Shin Seung-Yong) 우리말학회 2019 우리말연구 Vol.58 No.-

        중세국어 피동 접사 ‘-기-’, ‘-히-’, ‘-이-’를 ‘*gi>*γi>(hi)>ɦi>i’ 음운 변화에 의한 이형태 관계로 해석하기도 한다. 그런데 ‘-기-’, ‘-히-’, ‘-이-’의 분포 환경과 ‘*gi>*γi>(hi)>ɦi>i’ 변화의 환경을 함께 고려할 때 이러한 가정에는 문제가 있다. 첫째, 피동 접사 ‘-기-’, ‘-히-’, ‘-이-’가 중세 국어 당시에 상보적 분포를 이루지 못한다는 점에서 이를 이형태 관계로 볼 수 없다. 둘째, ‘-기-’, ‘-히-’, ‘-이-’의 시간적 선후를 확정하기 어렵다. 이러한 사실을 고려할 때 ‘-기-’, ‘-히-’, ‘-이-’를 ‘*gi>*γi>(hi)>ɦi>i’ 변화에 의해 이형태로 분화된 것으로 보는 것은 타당하지 않다. It is interpreted that passive suffix in the middle Korean ‘-ki-’, ‘-hi-’ and ‘-i-’ is a relation of allomorph that are associated with the phonological change such as ‘* gi> * γi> (hi) > ɦi> i’ . However, this assumption is problematic when considering the environment of the suffix ‘-ki-’, ‘-hi-’ and ‘-i-’ in th middle Korean and the change of ‘* gi> * γi> (hi) > ɦi> i’ . First, they did not have complementary distribution in the middle Korean, so ‘-ki-’, ‘-hi-’ and ‘-i-’ can not be regarded as relation of allomorph. Secondly, it is difficult to confirm the development oder of ‘-ki-’, ‘-hi-’ and ‘-i-’. Considering these facts, it can not be seen that ‘-ki-’, ‘-hi-’ and ‘-i-’ was developed as allomorphs chronogically by the change of ‘* gi> * γi> (hi)> ɦi> i’.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