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공동체주의의 인간학적, 윤리학적 근거 논쟁

        김남준 ( Nam Joon Kim ) 한국윤리교육학회 2007 윤리교육연구 Vol.0 No.12

        본 논문의 목적은 찰스 테일러의 공동체주의를 중심으로 자유주의에 비교대응되는 공동체주 의의 인간학적, 윤리학적 근거를 밝히는 것이다. 공동체주의는 자유주의의 무연고적 자아, 원자화된 인간상 등을 비판하면서, 사회적으로 구성된 자아개념을 제안한다. 즉, 인간은 자기 해석하는 존재로서 강한 의미의 가치평가와 역사문화적 공동체에서 타인과의 관계를 통해 자아정체성을 형성한다. 테일러는 개인의 권리가 도덕적 선(좋음)에 앞선다는 자유주의의 윤리개념을 비판하면서, 도덕규범은 사회적으로 공유된 도덕적 선과 가치, 역사문화적으로 각인된 도덕적 맥락을 요청한다고 주장한다. 그러나 공동체주의와 자유주의의 최근의 이론적 접근이 보여주듯이, 공동체주의는 단순히 자유주의에 대한 비판이론으로서 자리매김 될 것이 아니라, 자유주의의 수정·보완이론으로 생각될 수 있다. 요컨대, 자유주의가 추구하는 가치들, 특히 정의는 사회의 도덕적 질서와 좋은 삶을 구성하는 중요한 부분으로 생각된다. 자유주의윤리학 또는 도덕적 보편주의는 도덕규범의 형성에 있어서 도덕적 선과 가치의 배제, 역사문화적 공동체의 도덕적 중성화에 따른 도덕적 동기화의 난해함이라는 윤리학적 측면의 문제점과 강한 의미의 가치평가 과정의 결여와 그에 따른 자아정체성 형성의 난해함이라는 인간학적 측면의 문제점을 내포한다. 도덕적 특수주의로서 공동체주의는 자유주의윤리학 또는 도덕적 보편주의의 문제점 또는 결여된 부분을 수정·보완한다.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anthropological and moral grounds of the communitarism in Charles Taylor, which is compared to the liberalism. The communitarism criticizes the liberal concept of a person as unencumbered self or the atomism, and it proposes the social concept of a person. That is to say: A person as self-interpreting animals makes his identity by help of strong evaluation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s in the community with others. Taylor criticizes the liberal concept of the priority of ``right`` to ``good``, and he maintains that moral norms need certainly the socially shared understanding of good, moral values and moral spaces in the community with others. However, the communitarism is not designated as a radical alternative of the liberalism, but rather as a complementary counterpart or as a modification of the liberalism. In a word: The liberal values, above all justice can be a constitutive part of the moral order in the community with others and our good life. One of basic problems of the liberalism or the moral universalism is lack of moral motivation, because it doesn`t take the role of the concept of good and moral values for moral norms into consideration, and because it neutralizes moral spaces in the community with others. And because of lack of strong evaluation it is very difficult that a person makes his identity in the liberal society. The communitarism as moral particularism contributes to the correction of such problems of the liberalism.

      • KCI등재

        다원주의의 성공과 실패 : 자유주의적 공동체

        이상형(Lee, Sang-Hyung) 사회와철학연구회 2013 사회와 철학 Vol.0 No.26

        2011년 다원주의에 대한 실패 규정 후 다원주의를 가능하게 하는 근거들에 대한 논쟁이 다시금 불붙고 있다. 지금까지 다원주의를 가능하게 했던 이론적 근거들인 자유주의적 원칙이 사회통합을 약화시켰다는 반성에 기인한다. 개인의 자유와 권리에 근거한 자유주의적 원칙과 그로부터 발생한 다원주의는 자유주의의 보편적 원칙과 관용의 가치에 의해 유지될 수 있었다. 그러나 다양한 인종과 문화의 차이를 고려하지 못한 자유주의는 오늘날 공동체주의에 의해 비판받고 있다. 세계화 속에서 분열과 갈등이 첨예해지는 오늘날 자유주의적 원칙과 관용은 사회통합과 안정의 위기를 불러올 뿐이다. 이런 문제의식에 기반해 자유주의적 원칙의 비판을 통해 새로운 사회구성 원리를 모색하는 공동체주의는 하나의 반성점이 될 수 있다. 그들에 따르면 공동체 구성원들이 수행하는 상이한 가치관들의 상호인정투쟁이 공동체의 문화를 형성하며 자신의 자아실현을 가능하게 한다는 것이다. 이는 오늘날 우리가 거부할 수 없는 다원주의 사회를 건강하게 하기 위한 하나의 이론적 모형이 될 수 있다. 따라서 논자는 다원주의를 가능하게 하기 위해 공동체주의자들이 주장하는 차이에 대한 인정과 성공적 인정투쟁을 위한 규범을 모색한다. 관용뿐만 아니라 ‘우정’을 통해 이루어지는 인정의 정치학은 다원주의와 다문화주의를 가능하게 하는 규범적 근거로 작용할 수 있다. 이 공동체주의적 윤리학을 통해 현재 진행 중인 사회통합의 과정을 하나의 문화의 우위에 기반한 소수의 억압으로서의 통합이 아니라 소수와 다수의 정당한 인정투쟁에 기반한 사회통합의 과정으로 모색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paper is concerned with issues of ‘pluralism’ and ‘multiculturalism. The purpose of paper is also to explore the resources available to communitarism to meet challenge of pluralism. Liberalism has traditionally offered itself as the best solution to the challenge of pluralism. Communitarians criticize idea of Liberalism, the liberal ideal of the person as free and equal, the liberal culture of choice based on individual autonomy, liberal individualism, the priority of the right over the good, and liberal neutrality, because of the crisis of multiculturalism. Taylor has elaborated ’politics of recognition’ in terms of the cultural-linguistic and liberal-communitarian frameworks. As a result, it is the argument of this paper that a politics of recognition might be a more realistic alternative as a political strategy for pluralism.

      • KCI등재

        여성의 행복과 성찰성, 정의감각

        홍찬숙(Hong Chan-Sook) 한국여성학회 2009 한국여성학 Vol.25 No.2

        심리학적 행복연구는 행복한가를 묻는 단순한 조사방법에서 탈피하여 행복에 대한 개념정의와 측정에 이르는 정교한 방법론을 발전시켰고, 그리하여 세간의 평가와는 달리 한국여성이 한국남성에 비해 전반적으로 덜 행복하다는 사실을 밝혀내는 데 성공하였다. 그러나 동시에 그것은 한국여성의 행복과 관련해 충분한 설명을 할 수 있을 만큼 여성의 현실에 밀착된 측정도구를 발전시키지는 못한 것으로 판단된다. 여성은 젠더와 관련된 상이한 의사소통적 지식에 기초해서 남성과는 다른 행위전략과 정의감각, 남성과는 다른 언어를 구사하기 때문에, 여성의 행복을 설명할 수 있기 위해서는 그러한 젠더이해에 기초한 성인지적 행복척도가 필요하다. 남성의 생활영역과 남성의 감수성을 중심에 둔 언어로 행복측정을 했을 경우 여성은 개인주의와 대립되는 관계중심 또는 공동체중심적인 특징을 갖는 것으로 설명되지만, 여성의 생활영역과 여성의 감수성을 반영할 경우 여성들은 오히려 개인주의적 특성과 공동체주의적 특성 양자를 ‘조합하는 방식’에서 남성과 다른 특성을 보인다는 결과를 도출할 수 있다. 행복의 개별요인들 자체 보다 그것들의 구성에 중심을 두는 이러한 비판적, 성인지적 행복측정방법은 특히 ‘평등’과 ‘차이’라는 여성주의 딜레마를 반영함으로써 역설적으로 그것을 해결할 수 있는 방법론 개발을 위해 필요하다. Thanks to the theoretical definitions of happiness and the development of measuring scales, psychological researches on happiness have revealed that women are less happy than men in Korea. This result contradicts many survey results which are usually reported by mass communication. However, the psychological research methodology does not seem to be enough to explain which factors and which elements of happiness are involved in happiness and unhappiness of women. Usually, the gender stereotype that women are rather caring than individualistic in all areas of life is supported by the researches. So I suggest that it is need a critical and a gender-sensitive approach to this research area. A critical approach means that we need to see an another side of the circulating stereotype, including the gender difference of caring and individualistic personality. For in some area, for example in a competitive education, women can be more individualistic than men, and vice versa, it seems depend on the areas and contexts of social interaction. And for an critical approach, a gender-sensitive perspective can be helpful. So I suggest at first to dissolve the definitions of individualism and communitarism gender-sensitively into areas and contexts, and to find instead a gender-specific constellation of individualistic and communitarian elements. This approach can lead to a paradox of reflexivity or sense of justice, that is to say, to double possibilities of gender protest and gender conformity. And finally I suggest to develop a measuring scale of women's happiness which reflects on this paradox and uses a gender-sensitive language.

      • KCI등재

        기억의 전쟁, 기억의 화해?* -「스토라 보고서」의 경우-

        김용우 한국프랑스사학회 2023 프랑스사연구 Vol.- No.49

        In January 2021, historian Benjamin Stora submitted a report titled "Memory Issues Relating to Colonization of Algeria and the Algerian War" to French President Emmanuel Macron. The aim of this report is to overcome the memory war that is taking place among French society and between France and Algeria and to achieve reconciliation of memory through the work of history and memory.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how from recent research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various memory groups, which is supposed to be taking place inside France, is not in a state of war, and therefore the goal of reconciliation of memories misses the mark. For French society to integrate, concrete efforts to overcome racism are needed, rather than memory work, and this will lay the groundwork for reparation for the colonization of Algeri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