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대수능 한문 영역의 도입 배경과 언어‧문화 교육적 기능

        정재철 한국한문교육학회 2011 한문교육논집 Vol.36 No.-

        The Revised Plan about the College Scholastic Aptitude Test for the school year 2014, which was stated by MEST(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on January 26th, 2011 shows that the second language and Chinese literature sphere would maintain the current system until the special evaluation method is ready. It is obvious that Chinese literature education in the high school classrooms will meet a serious crisis if this revised plan take effect, considering the importance of the college scholastic aptitude Test to the high school education. Since the problems related to the Chinese literature in the Korean literature test sector were neglected at the scholastic Aptitude Test, which have been taken since 1994, the position of the Chinese literature curriculum was remarkably dropped and at last the question of the curriculum maintenance have been raised. Although Ministry of Education and Human Resources Development added the Chinese literature sphere in the second language sector which has a strong optional tendency from 2005 college scholastic aptitude test, it caused the result that the importance of the Chinese literature realm in the college scholastic aptitude test was strikingly weakened comparing with the previous college admission scholastic ability test. To separate the Chinese literature from the second language sector and make it a compulsory test subject at the exam which will be newly started in the school year 2014, the theoretical study about the linguistic, cultural and educational function which is difficult to evaluate in the linguistic and social study sectors will be needed. Many of the questions until now of the Chinese literature field in the college scholastic aptitude test are sharing the same contents with the linguistic and social study realm. But the questions of the Chinese literature sphere are focused on decipherment of the first material, the original Chinese text, and the formation of the Chinese literature sphere questions are different from the linguistic and social study questions which are reorganized by the peculiar point of view using the second material of the text, Korean version. With the importance of the language realm, the current questions on the Chinese literature sphere are requesting the students the knowledge about the essence of literature through the formality and characteristic of the literary works, not merely asking to intensify and expand the questions related with Chinese vocabulary or understand the contents through the poems and proses of the Korean version. And the questions of the Chinese literature sphere make the students, especially those who want to go into the scholastic field where the interpretation ability is essentially needed to understand documents written by Chinese letters, raise the reading ability to understand the original Chinese classics, and it does not seem to be obtained in the social study area. The area of the Chinese literature in the college scholastic aptitude test conducts the linguistic, cultural and educational role which the other area is never able to achieve, at the college scholastic aptitude test which will be taken from the school year 2014, and the Chinese literature subject should be restored to the compulsory test. 교육과학기술부에서 2011년 1월 26일에 발표한 「2014학년도 수능시험 개편 방안」을 보면, 제2외국어/한문 영역은 ‘별도의 평가방법 등이 준비되는 시점’까지 현행을 유지하는 것으로 되어 있다. 대수능이 고등학교 교육에서 차지하는 비중으로 보아 이와 같은 대수능 개편 방안이 시행된다면 고등학교 현장에서의 한문 교육이 심각한 위기에 직면할 것으로 판단된다. 1994학년도부터 시행된 대수능에서 한문과 관련된 문제들이 도외시되면서 고등학교 한문 교과의 위상이 급격히 저하되고 급기야는 교과의 존립 문제가 제기되었다. 결국 교육인적자원부에서는 2005학년도 대수능부터 임의 선택의 성격이 강한 제2외국어 영역에 한문 영역을 추가하였으나, 대수능에서 한문 영역이 차지하는 비중은 대학입학학력고사에 비해 현저히 약화되는 결과를 초래하였다. 2014학년도부터 시행되는 대수능에서 모든 수험생이 반드시 치르도록 하려면, 대수능 언어 영역과 사회탐구 영역에서는 평가하기 어려운 한문 영역 고유의 언어‧문화 교육적 기능에 대한 이론적 모색이 필요하다. 지금까지 대수능 한문 영역에서 출제된 문항의 상당수가 언어 영역과 사회탐구 영역의 문항들과 내용을 공유하고 있다. 그러나 한문 영역의 문항은 기본적으로 1차 자료인 한문 원문을 해석하고 그 내용을 파악하는 것에 초점이 놓여 있다는 점에서, 한문 영역의 문항 구성은 언어 역역이나 사회탐구 영역에서 2차 자료인 번역문의 내용을 파악하여 고유의 학문적 관점으로 재구성하는 것과는 차이가 있다. 한문 영역의 문항들은 현재 언어 영역에서 그 중요성에 비추어 상대적으로 매우 빈약한 한자어 관련 문제를 심화‧확대하거나, 한시나 한문 산문의 번역문을 통하여 내용을 이해하는 한계를 뛰어넘어 작품의 형식과 특징을 통해 문학의 본질을 파악하도록 하고 있다. 또한 한문 영역의 문항들은 한자로 기록된 자료를 연구하는 학문 분야에 진출하는 학생들이 사회탐구 영역에서는 충족시키기 어려운 한문 원전의 해독 능력을 기르도록 하고 있다. 이와 같이 대수능 한문 영역은 다른 영역에서는 구현하기 어려운 언어‧문화 교육적 기능을 담보하고 있으므로, 2014학년도 이후에 시행되는 대수능에 반드시 포함되어야 한다.

      • KCI등재

        투고논문 : 대수능 한문 영역의 도입 배경과 언어,문화 교육적 기능

        정재철 ( Jae Chul Jung ) 한국한문교육학회 2011 한문교육논집 Vol.36 No.-

        교육과학기술부에서 2011년 1월 26일에 발표한 「2014학년도 수능시험 개편 방안」을 보면, 제2외국어/한문 영역은 ``별도의 평가방법 등이 준비되는 시점``까지 현행을 유지하는 것으로 되어 있다. 대수능이 고등학교 교육에서 차지하는 비중으로 보아 이와 같은 대수능 개편 방안이 시행된다면 고등학교 현장에서의 한문 교육이 심각한 위기에 직면할 것으로 판단된다. 1994학년도부터 시행된 대수능에서 한문과 관련된 문제들이 도외시되면서 고등학교 한문 교과의 위상이 급격히 저하되고 급기야는 교과의 존립 문제가 제기되었다. 결국 교육인적자원부에서는 2005학년도 대수능부터 임의 선택의 성격이 강한 제2외국어 영역에 한문 영역을 추가하였으나, 대수능에서 한문 영역이 차지하는 비중은 대학입학학력고사에 비해 현저히 약화되는 결과를 초래하였다. 2014학년도부터 시행되는 대수능에서 모든 수험생이 반드시 치르도록 하려면, 대수능 언어 영역과 사회탐구 영역에서는 평가하기 어려운 한문 영역 고유의 언어·문화 교육적 기능에 대한 이론적 모색이 필요하다. 지금까지 대수능 한문 영역에서 출제된 문항의 상당수가 언어 영역과 사회탐구 영역의 문항들과 내용을 공유하고 있다. 그러나 한문 영역의 문항은 기본적으로 1차 자료인 한문 원문을 해석하고 그 내용을 파악하는 것에 초점이 놓여 있다는 점에서, 한문 영역의 문항 구성은 언어 역역이나 사회탐구 영역에서 2차 자료인 번역문의 내용을 파악하여 고유의 학문적 관점으로 재구성하는 것과는 차이가 있다. 한문 영역의 문항들은 현재 언어 영역에서 그 중요성에 비추어 상대적으로 매우 빈약한 한자어 관련 문제를 심화·확대하거나, 한시나 한문 산문의 번역문을 통하여 내용을 이해하는 한계를 뛰어넘어 작품의 형식과 특징을 통해 문학의 본질을 파악하도록 하고 있다. 또한 한문 영역의 문항들은 한자로 기록된 자료를 연구하는 학문 분야에 진출하는 학생들이 사회탐구 영역에서는 충족시키기 어려운 한문 원전의 해독 능력을 기르도록 하고 있다. 이와 같이 대수능 한문 영역은 다른 영역에서는 구현하기 어려운 언어·문화 교육적 기능을 담보하고 있으므로, 2014학년도 이후에 시행되는 대수능에 반드시 포함되어야 한다. The Revised Plan about the College Scholastic Aptitude Test for the school year 2014, which was stated by MEST(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on January 26th, 2011 shows that the second language and Chinese literature sphere would maintain the current system until the special evaluation method is ready. It is obvious that Chinese literature education in the high school classrooms will meet a serious crisis if this revised plan take effect, considering the importance of the college scholastic aptitude Test to the high school education. Since the problems related to the Chinese literature in the Korean literature test sector were neglected at the scholastic Aptitude Test, which have been taken since 1994, the position of the Chinese literature curriculum was remarkably dropped and at last the question of the curriculum maintenance have been raised. Although Ministry of Education and Human Resources Development added the Chinese literature sphere in the second language sector which has a strong optional tendency from 2005 college scholastic aptitude test, it caused the result that the importance of the Chinese literature realm in the college scholastic aptitude test was strikingly weakened comparing with the previous college admission scholastic ability test. To separate the Chinese literature from the second language sector and make it a compulsory test subject at the exam which will be newly started in the school year 2014, the theoretical study about the linguistic, cultural and educational function which is difficult to evaluate in the linguistic and social study sectors will be needed. Many of the questions until now of the Chinese literature field in the college scholastic aptitude test are sharing the same contents with the linguistic and social study realm. But the questions of the Chinese literature sphere are focused on decipherment of the first material, the original Chinese text, and the formation of the Chinese literature sphere questions are different from the linguistic and social study questions which are reorganized by the peculiar point of view using the second material of the text, Korean version. With the importance of the language realm, the current questions on the Chinese literature sphere are requesting the students the knowledge about the essence of literature through the formality and characteristic of the literary works, not merely asking to intensify and expand the questions related with Chinese vocabulary or understand the contents through the poems and proses of the Korean version. And the questions of the Chinese literature sphere make the students, especially those who want to go into the scholastic field where the interpretation ability is essentially needed to understand documents written by Chinese letters, raise the reading ability to understand the original Chinese classics, and it does not seem to be obtained in the social study area. The area of the Chinese literature in the college scholastic aptitude test conducts the linguistic, cultural and educational role which the other area is never able to achieve, at the college scholastic aptitude test which will be taken from the school year 2014, and the Chinese literature subject should be restored to the compulsory test.

      • KCI등재

        2022학년도 대입제도 개편안과 대학의 자율성

        이상명 한국법정책학회 2018 법과 정책연구 Vol.18 No.4

        On September 17, the Ministry of Education announced the 'college entrance system of 2022 school year', reflecting the recommendation of the National Education Conference. Of these, there are three parts that hinder the autonomy of college. First, in connection with 'high school education contribution college support project', it is evaluated whether or not a prose-based oral test is necessary to induce minimization, and the essay test is gradually phased out. Second, only the college with more than 30% of the regular admissions will be granted eligibility conditions. Third, whether to use the minimum standard of scholastic ability in college admissions at college is at autonomy. However, when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recruitment units in a comprehensive manner so as not to hinder the original purpose of the selection method and applying the excessive minimum scholastic ability standard, it is evaluated negatively in the financial support project. The problem is that it recommends these reform ideas to college or that it is autonomous to the college, but in the meantime, it is inevitable to accept them as a compulsory measure by linking with the financial support of 'high school education contribution college support project'. First, according to the Enforcement Decree of the Higher Education Act, the essay test can be carried out autonomously by the head of the college. In order to abolish the essay test, the essay test should impair the original purpose pursued by the primary and secondary education. However, the essay test is expected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the existing selective test and provide appropriate evaluation criteria for evaluating the creative and critical thinking skills that have been emphasized so far by our educational system. It is a violation of the Constitution and the Higher Education Act because it can not find any legal foundation to press the college in connection with the government support project without the educational purpose or philosophy for the ratio of the occasional and the regular admissions. In addition, it is not unreasonable to reflect the ambiguity of the minimum standard of scholastic ability test in the financial support program whether to use the minimum scholastic ability standard of the scholastic ability or not, and it infringes the right of student selection of the college. The autonomy of college is inevitable in order to train future talents. Educational policies should ensure maximum autonomy of college. College should be given autonomy so that they can select suitable students for their pursuing talent and educational goals. 지난 9월 17일 교육부는 국가교육회의 권고안을 반영하여 ‘2022학년도 대입제도 개편안’을 발표하였다. 이 중에서 대학의 자율성을 저해하는 부분을 세 가지로 지적하였다. 첫째, ‘고교교육 기여대학 지원사업’과 연계하여 전형 특성상 제시문 기반 구술고사가 필요한지 여부를 평가하여 최소화를 유도하고, 논술전형은 단계적으로 폐지를 유도하며, 둘째, 수능위주전형 비율 30% 이상 대학에만 재정지원사업 참여 자격조건을 부여하고, 셋째, 수시 모집에서 수능최저학력기준 활용 여부는 대학 자율로 하되, 선발방법의 본래 취지를 저해하지 않도록 모집단위의 특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과도한 수능최저학력기준을 적용할 경우 재정지원사업에서 부정적으로 평가하는 것 등이다. 문제는 이러한 개편안을 대학에 권고한다거나 대학의 자율로 한다고 하면서도 한편으로는 ‘고교교육 기여대학 지원사업’이라는 재정지원과 연계함으로써 대학으로서는 사실상 강제적인 조치로 받아들일 수밖에 없다는 것이다. 우선 논술고사에 대해 살펴보면, 고등교육법 시행령 규정에 따라 논술고사는 대학의 장이 자율적으로 시행할 수 있으며, 이를 폐지하기 위해서는 논술고사가 초・중등교육이 추구하는 본래의 목적을 훼손하는 경우라야 한다. 그러나 논술고사는 기존의 선택형 수능시험의 한계를 극복하고 이제까지 우리 교육계가 꾸준히 강조해 온 창의적이고 비판적인 사고력을 평가하기 위한 적절한 도구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 그리고 수시와 정시의 비율을 놓고 교육적 목표나 철학 없이 국고지원사업과 연계하여 대학을 압박하는 것은 어떠한 법적 근거를 찾을 수 없어 헌법과 고등교육법을 위반하는 것이다. 또한 ‘과도한’ 수능최저학력기준의 모호함을 정리하지 않고 수능최저학력기준 활용 여부를 재정지원사업에 반영하는 것은 불합리할 뿐만 아니라 대학의 학생선발권을 침해하는 것이 된다. 미래인재를 양성하기 위해 대학의 자율성 확대는 불가피하다. 교육정책은 대학의 자율성을 최대한 보장해야 한다. 대학마다 추구하는 인재상과 교육목표에 적합한 학생을 선발할 수 있도록 대학에 자율성을 부여해야 특성화된 대학의 모습을 기대할 수 있다.

      • KCI등재후보

        대학수학능력시험 직업탐구영역 공업계열 출제 문항에 관한 고찰

        함승연 대한공업교육학회 2007 대한공업교육학회지 Vol.32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esent improvement directions of college scholastic ability test on industry department. Industry department test were classify and abstracted sampling test on contents and movement domain, analyzed example items of college scholastic ability test on industry department. Research methods used in this study were review of related literature, the item analysis and item pattern analysis between college scholastic ability test on introduction to industry and curriculum, contents of textbook. After finding a problem of developing items, trying to find a solution to the problem and developing an up-to-date method of items was to present improvement. Based on the result of the study, some recommendations for future researches were made as follows: First, a phenomenon of making same contents items over again and no making items not on made the items ever have to cut. Second, Time to read and make sense of items have to reduce because depend on the degree of difficulty related on time to understand of items. Third, the depth of textbook contents has to develop on curriculum this year. Fourth, the succeeding study on linkage between college scholastic ability test and simulation of college scholastic ability test. Fifth, verification validity on contents of new movement domain is developed new and striking test items. 이 연구는 지금까지 출제된 공업계열 과목의 수능 문항을 대상으로 하여, 내용 영역 및 행동 영역 별로 문항을 분류추출하고 각 영역 별로 고루 출제되고 있는지를 분석하여, 출제 경향 및 문제점을 파악하고 참신한 문항 개발 사례를 분석하여 공업계열 문항 개발에의 시사점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이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내용 영역 별로 문항을 분류하여 분석하고, 행동 영역 별로 예시 문항을 추출하여 분석하였으며, 참신한 문항 개발 사례를 선정하였다. 이를 통하여 얻은 주요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내용 영역별 문항 분류를 통하여 출제 경향을 분석한 결과 비교적 중영역 별로 고르게 출제되었다. 둘째, 공업 입문은 입문적 성격이 강한 이론 과목의 특성이 있고 공업의 전반적인 내용을 포괄하고 있어 다른 과목에 비하여 비교적 시사적인 내용이 많이 출제되었는데, 교육과정과 관련된 시사적인 문항을 출제하였어도 당초 의도와는 전혀 다르게 문항에 제시된 정보만으로도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문항이 많이 출제되었다. 셋째, 행동 영역의 하위 영역별로 예시 문항을 추출하여 분석한 결과 다양한 소재를 활용한 타당하고 참신한 문항이 많이 출제되었다. 이 연구를 수행하면서 나타난 문제점과 연구 결과를 토대로 앞으로 공업계열 수능 문항을 개발하는데 있어서 몇 가지 제언을 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이 연구에서는 공업계열 모든 과목을 대상으로 하지 않고 공업 입문 과목에 한정하여 분석하였기 때문에, 기초 제도, 정보 기술 기초, 프로그래밍 등의 과목에 대한 후속 분석이 필요하다. 둘째, 행동 영역 별로 하위 영역을 통합하여 새로운 하위 영역을 지속적으로 개발하고, 하위 영역 분류 및 내용에 대한 타당성 검증 연구가 수행된다면 보다 참신하고 좋은 문항을 개발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 KCI등재

        대학수학능력시험 ‘중국어Ⅰ’의 평가 타당도에 관한 연구― 어휘를 중심으로

        유재원,김미순 중국어문학연구회 2014 중국어문학논집 Vol.0 No.87

        This study examines the validity of the evaluation system of the College Scholastic Ability Test 'Chinese I' by analyzing the vocabulary of the tests from six previous years between 2008 and 2013. Stated within the 『College Scholastic Ability Test Design Manual』(2003) is that only valid and reliable questions which can be easily answered by anyone who studies Chinese I in high school are presented in the test. Accordingly, with the guidelines of the course of study and the design manual as a basis, this study analyzes the adherence to such guidelines of the abovementioned College Scholastic Ability Test from the past six years. Consequently,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drawn. First, examining the adherence to the guidelines, the vocabulary generally follows the range of problems that are set in the manual, yet it is evident that terms outside the range were presented in some cases. This could reduce the validity of the evaluation. Secondly, examining the language level showed that the vocabulary volume which should be at an elementary level is greatly surpassed. Examining the contents of the vocabulary selections, the glossary in the curriculum only provides the reading sounds of the words and lacks the definition clauses. Thus, the level of inclusion of definition clauses in the case of polysemies are indistinctive. Thirdly, examining the appropriateness of the vocabulary selections. the range of selection is unclear, and of the selected vocabulary, words relevant to the same categories are not evenly distributed. Fourthly, although the validity of evaluation in the College Scholastic Ability Test is secured through the provision of notes on vocabulary outside the range, this may create the error of leading applicants to easily choose the answer keys. To sum up, the close relation between the validity of the evaluation of the College Scholastic Ability Test and question design guidelines, especially the 'glossary' of the educational curriculum, is evident, and in order to resolve the problems which are discussed in this study, a complete and intensive reexamination of the glossary is required.

      • KCI등재

        농업계 고등학교 출신 대학생의 대학수학능력과 고교 내신성적 및 대학수학능력시험성적의 관계

        김진구,김강호,이건남 한국농·산업교육학회 2009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Vol.41 No.4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effect of high school academic records and college scholastic ability test on college scholastic ability. The population for this study was 303 undergraduate students from 7 agricultural government-established universitie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College scholastic ability is related to college scholastic ability test rather than high school academic records. 2) Controling the universities' characteristic, the result shows the difficulties of completing liberal arts and majors are mainly from CSAT's mathematics score. 3) In comparison with academic high school graduates, the recognition of liberal arts and majors grade is influenced by CSAT's mathematics score. In particular, students recognize highly their liberal arts grades if CSAT's mathematics score is high, but majors grade is recognized as lower point if CSAT's mathematics score is high. Based on the result of this study, the following recommendations for future researches were proposed: 1) college scholastic ability of agricultural high school graduates should be analysed continually, 2) longitudinal analysis should be performed for the effect of high school academic records and CSAT's score on achieving process, type of job selecting, and wages. 이 연구의 목적은 농업계 고교 출신 대학생들의 대학교과 이수의 어려움 및 성취수준에 대해 고교 성적과 대학수학능력시험 결과가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구명하는데 있었다. 연구목적 달성을 위해 7개 대학에 재학중인 303명의 응답자료가 분석에 활용되었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농업계 고교 출신 대학생의 대학교과 이수의 어려움은 고교 성적보다는 대학수학능력시험 결과와 많은 관련이 있었다. 둘째, 재학중인 대학의 속성을 통제한 후의 분석결과 교양 및 전공과목 이수상의 어려움은 주로 대학수학능력시험의 수리영역 점수에 기인하고 있었다. 셋째, 일반계 고교 출신자와 비교할 때 자신의 교양 및 전공과목 성적 수준에 대한 인식 역시 대학수학능력시험의 수리영역 성적에 기인하고 있었으나, 교양과목의 경우 수리영역 성적이 낮을수록 자신의 성적이 일반계 고교 출신자와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낮게 인식하는 반면 전공교과의 경우는 수리영역 성적이 높을수록 자신의 성적이 일반계 고교 출신 학생에 비해 낮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이상의 결과에 기초하여 농고를 졸업하고 대학에 진학한 학생들의 대학에서의 학업성취도에 관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하며 고교성적, 수학능력시험 등이 학생들의 대학성취과정 그리고 취업형태, 임금 등에 어떤 영향을 주는가에 대한 종단적 분석이 시도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2015 개정 교육과정 적용에 따른 수능 직업탐구영역 시험과목의 학교 교육과정 편성과 교사의 인식

        함승연 한국직업교육학회 2018 職業 敎育 硏究 Vol.37 No.4

        The study tried to investigate the school curriculum organization and teacher’s perceptions about test subjects in vocational education division of the college scholastic ability test based in the 2015 revised national curriculum. This study asked vocational teachers to fill in basic questionnaire that consists of 9 relevant and subjective items for the school curriculum organization and test subjects in vocational education division of the college scholastic ability test based in the 2015 revised national curriculum. For this, the survey was conducted 58 schools of 92 schools in technical specialized high schools, meister high schools and vocational high schools about test subjects of 2015 revised national curriculum. As a result, the ‘Successful career life’ subject was 53.5%, the most organized in the first grade. ‘test course 1’ was 55.2% and ‘test course 2’ was 72.4% the most organized in the first grade. The Opinions on the test courses were the highest in the two subjects in the same series as the present. The teacher’s perceptions showed that the current test subjects in vocational education division of the college scholastic ability test are valid. The most important factor affecting difficulty was ’The Ministry Education’s policy’ in vocational education division of the college scholastic ability test. 이 연구는 2015 개정 교육과정이 고등학교 1학년에 적용됨에 따라 대학수학능력시험 직업탐구영역의 시험과목에대한 학교 교육과정 편성과 시험과목에 대한 교사의 인식을 살펴보고 향후 수능 직업탐구영역의 발전 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전국 특성과고, 마이스터고, 직업계열 일반고를 17개 시・도 지역별, 계열별로 1∼2학교 선정하여 해당 고등학교에서 수능 직업탐구영역 관련 교사 한명이 답변하도록 설계하였다. 총 92개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농생명 산업 계열 4개교, 공업 계열 15개교, 상업 정보 계열 22개교, 수산・해운 계열 3개교, 가사・실업계열 14개교 등 총 58개교가 설문에 응답하여 63%의 학교가 설문에 참여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2015개정 교육과정에서 전문공통과목으로 처음 도입된 ‘성공적인 직업생활’은 1학년에 31개교, 53.5%로 가장 많이 편성하였고, 다음은 3학년으로 나타났다. 2009개정 교육과정 필수과목이면서 수능 직업탐구영역의 계열별 과목인 ‘선택과목 1’과 ‘선택과목 2’는 모두 1학년에 각각 32개교 55.2%와 42개교, 72.4%로 가장 많이 편성되었고, 다음은 2학년으로 나타나 전문공통과목의 편성과 차이가 있었다. 둘째, 수능 직업탐구영역 선택과목에 대한 의견으로는, 계열별 2과목인 현행 유지가 36개교로 가장 높았으며, 다음은 ‘성공적인 직업생활’ 1과목이 12개교, ‘성공적인 직업생활’과 계열별 1과목을 포함하여 총 2과목이 8개교로 나타나, 교사들은 현재의 수능 직업탐구영역의 계열별 두 과목이타당하다고 인식하였다. 셋째, 직업탐구영역의 응시자 수 변화에 대한 의견으로는 ‘현행 유지’가 31개교로 가장 높았고 다음은 ‘약간 감소’가 17개교로 나타났다. 계열별 난이도 요구 결과는 ‘현행 유지’가 38개교로 가장 높았으며, 난이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의 영향 정도는 ‘교육부 수능 정책의 변화’가 가장 높았으며 다음은 ‘직업탐구영역의 응시자 수 변화’가 높게 나타났다.

      • KCI등재

        수능 일본어Ⅰ의 문법 항목 및 난이도 분석

        오현정 ( Oh Hyun-jung ) 한국일어교육학회 2017 일본어교육연구 Vol.0 No.41

        본고는 ‘수능 일본어Ⅰ’을 준비하는 학습자 및 지도 교사들에게 학습 범위를 명확히 제시하고, 수능 일본어의 난이도를 파악하기 위해 2015학년도부터 2017학년도까지 3년간 ‘수능 일본어Ⅰ’에 사용된 문법 항목을 조사한 기초자료이다. 조사 결과는 다음과 같다. ①조사류를 분석한 결과, ‘격조사>とりたて조사>접속조사>종조사>병렬조사’ 순으로 사용 빈도가 높고, 의사소통 기본 표현에 포함되지 않은 조사도 사용되고 있다. ②술어의 활용형을 분석한 결과, ‘비과거 긍정형’, ‘연체수식형’, ‘과거 긍정형’, ‘비과거 부정형’ 등의 순으로 사용 빈도가 높고, 동사의 가능형, 수동형, 권유형 등은 활용형을 직접 묻거나 다양한 의미를 묻는 문항으로 사용되고 있다. ③보조 동사를 분석한 결과, ‘ている’, ‘てくれる’ ‘てくる’ ‘てもらう’ 등의 순으로 사용 빈도가 높고, ‘ておく’ ‘てしまう’ ‘てみる’ ‘ていく’ 등은 매우 소극적으로, 자주 사용되는 보조 동사가 비교적 명확하다. ④표현 문형을 분석한 결과, ‘のだ’, ‘たい’ ‘という’ ‘てください’ 등의 순으로 사용 빈도가 높으며, 매년 다른 형태가 사용되고 있어 학습 부담이 큰 영역이다. 이상, 본고의 결과는 ‘수능일본어Ⅰ’에 사용되는 문법 항목 및 사용 빈도를 명확히 파악할 수 있어 우선적으로 학습해야 할 범위를 설정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금후 본고의 결과를 바탕으로 ‘수능 일본어Ⅰ’의 평가 요소별 문항을 면밀히 분석하여, 고등학교에서 실시되고 있는 일본어 교육과 ‘수능 일본어Ⅰ’의 연계성에 관해 논하고자 한다. As a basic study on the grammar items used for 'Japanese Language I for the College Scholastic Ability Test' for three years from 2015 to 2017, this paper aims to clearly present the range of learning to teachers and learners preparing for 'Japanese Language I for the College Scholastic Ability Test', and also to understand the difficulty of Japanese language for the College Scholastic Ability Test. The results are as follows: ① The analysis of propositions shows that the frequency of use was high in the order of ‘case postposition>とりたて(toritate) postposition>connective postposition>ending postposition>parataxis postposition’ while there was a postposition used that was not included in the basic expression of communication. ② The analysis of the conjugated from of predicates shows that the frequency of use was high in the order of ‘present affirmative form’, ‘noun modifying form’, ‘past affirmative form’, and ‘present negative form’ while the possible form, passive form, and suggestive form of verb were used for questions to directly ask the conjugated form or diverse meanings. ③ The analysis of the auxiliary verbs shows that the frequency of use was high in the order of ‘ている(teiru)’, ‘てくれる(tekureru)’ ‘てくる(tekuru)’ ‘てもらう(temorau)’ while ‘ておく(teoku)’ ‘てしまう(teshimau)’ ‘てみる(temiru)’ ‘ていく(teiku)’ were very passive with relatively-clear auxiliary verbs frequently used. ④ The analysis of the expression sentence structure shows that the frequency of use was high in the order of ‘のだ(noda)’, ‘たい(tai)’ ‘という (toiu)’ ‘てください(tekudasai)’, which is the area with high pressure of learning as different forms are used every year. The results of this study would be helpful to set up the range of preferential learning, by clearly understanding the grammar items/use frequency shown in 'Japanese Language I for the College Scholastic Ability Test'. In the future,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aims to discuss the connectivity of 'Japanese Language I for the College Scholastic Ability Test' and Japanese language education of high school, by closely analyzing sentences in each evaluation element of 'Japanese Language I for the College Scholastic Ability Test'.

      • KCI등재

        2014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에서의 『생활과 윤리』평가 문항 출제의 기본 방향

        윤졍진 ( Young Jin Yoon ) 한국윤리교육학회 2013 윤리교육연구 Vol.0 No.29

        본 논문의 목적은 2014학년도 도덕과 수능 시험의 개편과 이에 따른 『생활과 윤리』 평가 문항 출제의 기본 방향을 정립하는 데 있다. 2011 개정 교육과정과 2014학년도 수능 시험의 개편에 따른 고2 예비 수험생들을 대상으로 치룬 세 차례의 전국연합학력평가에서 『생활과 윤리』 과목이 가장 높은 선택율을 보였다. 이러한 상황은 도덕과 발전에 긍정적 요인으로 발전할 가능성이 높지만, 변별력의 확보와 『윤리와 사상』과 중복된 문항 출제 그리고 『사회문화』 과목과의 차별성 문제 등은 장기적인 관점에서 도덕과 발전을 위해 반드시 해결해야 할 과제가 되었다. 이에 본 연구자는 도덕 교육의 발전을 위해서는 수능 시험에서 『생활과 윤리』의 교과 정체성을 확고히 하는 평가 문항을 출제해야 한다고 보고 대학수학능력시험에서의 『생활과 윤리』 평가 문항 출제의 기본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2014년 도덕과 수능 시험의 개편 내용과 이것이 『생활과 윤리』 과목에 주는 변화 그리고 수능 시험과 관련한 『생활과 윤리』 과목의 특징이 무엇인지 살펴보고 이를 바탕으로 『생활과 윤리』 평가 문항 출제의 기본 원리와 방향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This article aims to establish the basic directions for making Life and Ethics subject`s evaluation items according to the revision of Ethics subject in 2014 College Scholastic Ability Test. Along with the revised curriculum and the alteration in 2014 College Scholastic Ability Test, Life and Ethics subject becomes included in the part of social studies. It is positive that most of the future test-takers chose Life and Ethics; however, there are also bulging problems such as the matter of discrimination, items overlapped in Ethics and Thought, and differentiation with Society and Culture subject. Thereupon, this researcher intends to suggest the basic directions for developing evaluation items in the College Scholastic Ability Test in order to overcome the problems shown in the process of making evaluation items and solidify the identity of Life and Ethics subject. To attain the goal, first, this study examined the revision of Ethics subject in 2014 College Scholastic Ability Test, its influence on Life and Ethics subject, and the characteristics of Life and Ethics subject related with the College Scholastic Ability Test, and based on this, the last chapter proposes the basic principles and directions to develop Life and Ethics evaluation items.

      • KCI등재

        대학수학능력시험 직업탐구 영역 신설 이후 농업계 고등학교 운영실태 분석

        김진구,이종범 한국농·산업교육학회 2005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Vol.37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urrent status of agricultural high schools according to the introduction of vocational education test in the college scholastic ability test. The data were gathered from 72 agricultural high schools by the survey. The major findings in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In recent three years since the establishment of vocational education test in the college scholastic ability test, the overall entrant application rate and regular student rate of agricultural high schools were raised. The introduction of vocational education test has affirmatively influenced on the increase. (2) The establishment of vocational education test has affected some aspect of the curriculum implementation in agricultural high schools. A large number of schools operated curriculum flexibly through adjusting teaching periods and completion units of vocational education test related subject-matters, and ran additional vocational education test related subject-matters through various course programs. (3) The introduction of vocational education test in college scholastic ability has influenced the career path of agricultural high school graduates. In other words, vocational education test has contributed to the increase of university admission rate of agricultural high school graduat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