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후기 청소년의 인지양식 및 진로정체감 지위와 계획된 우연기술과의 관계

        주은미 ( Eun Mi Joo ),한상철 ( Sang Chul Han ) 미래를 여는 청소년학회 2021 미래청소년학회지 Vol.18 No.2

        본 연구는 후기 청소년 대학생의 인지양식 및 진로정체감 지위와 계획된 우연기술과의 관계를 알아보는 데 목적이 있다. 구체적으로, 후기 청소년의 사려성-충동성 인지양식과 VISA 모형에 근거한 진로정체감 지위에 따른 계획된 우연기술의 차이를 검증하고, 그리고 인지양식과 진로정체감 지위 간 상호작용을 알아보고자 한다. 연구 대상은 K광역자치단체 소재 4년제 대학생 210명이며, 자료처리 대상은 193명이다. 수집된 자료에 대해 SPSS 23.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도구의 신뢰도 검증과 빈도분석, 군집분석, 이원분산분석(two-way ANOVA)을 적용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계획된 우연기술은 인지양식 간에 의미있는 차이가 있다. 즉, 계획된 우연기술은 인지양식 충동성과 효율성 집단이 사려성 집단보다 의미있게 더 높다. 둘째, 계획된 우연기술은 진로정체감 지위 간에 의미있는 차이가 있다. 즉, 성취, 탐색유예, 미분화 지위 집단은 유예, 유실, 혼미 지위 집단보다 계획된 우연기술이 의미있게 더 높다. 셋째, 계획된 우연기술은 인지양식과 진로정체감 지위 간에 상호작용 경향성이 있다. 즉, 유예 지위에서는 사려성이 충동성보다 더 높고, 성취, 탐색유예, 유실, 혼미 지위에서는 충동성이 사려성보다 더 높은 경향성을 보인다. 이러한 결과는 후기 청소년의 인지양식과 진로정체감 지위가 계획된 우연기술에 의미있는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인지양식과 진로정체감 지위의 개인차에 따라 차별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시사한다. 후기 청소년의 진로상담 및 프로그램 개발과정에서 계획된 우연기술의 중요성에 대해 주목해야 할 필요가 있으며, 이와 함께 인지양식과 정체감 지위와 같은 개인차 변인을 함께 고려할 필요가 있음을 알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among the cognitive style, vocational identity status and the planned happenstance skills of late adolescents. In particular, it aims to examine how the planned happenstance skill can be affected by different cognitive styles of reflectivity and impulsivity and 6 types of vocational identity status based on the VISA model. and also look at the interaction between the cognitive styles and vocational identity statuses. The subjects are total 210 late adolescents of the 4-year universities located in Gyeongsangbuk-do and data of 193 late adolescents are analysed. The measurement tools are the MFFT (Matching Familar Figures Test) developed by Kagan(1965), the VISA(Vocation Identity Status Assessment) developed and revised by Porfeli, et als (2011), the PHCI(Planned Happenstance Career Inventory) developed by Kim et als (2014). For data analysis, the two-way ANOVA are applied.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level of planned happenstance skills shows a meaningful difference between reflectivity and impulsivity of cognitive styles. It is shown that the planned happenstance skills are higher in impulsivity and efficiency groups than the reflectivity group. Second, the planned happenstance skills differ between vocational identity statuses. In the moratorium status, the reflectivity is higher than the impulsivity whereas in the achievement, search moratorium, foreclose, and diffuse statuses, the impulsivity is higher than the reflectivity. Third, the planned happenstance skills have a tendency of interaction between cognitive style and vocational identity status. The impulsivity is higher than reflectivity in the achievement and search moratorium statuses while the reflectivity is higher than impulsivity in the moratorium, foreclose, and diffuse status. The aforesaid results suggest that the cognitive style and vocational identity status of late adolescents have an influence on the planned happenstance skills. In addition, individual differences should be reflected actively when programs are designed, considering that each individual has a different cognitive style and vocational identity status.

      • KCI등재

        인지발달 관련 음악활동이 발달지체유아의 인지발달에 미치는 영향

        장혜원 국립특수교육원 2016 특수교육연구 Vol.23 No.1

        The main aim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e music activities related to facilitating cognitive skills to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elay and to find how individual variables can affect to it. Thirty four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elay attending a inclusive child-care center participated in 20 sessions which consist of 30 minutes of intervention. The studying period is from September to February. Intervention was music activities related to facilitate cognitive skills. Study design is pretest-posttest control group design. As results of this study, music activities which facilitate cognitive skills improved children's concept development, reasoning ability and academic skills, memory skills in the inclusion settings. The study shows that music activities improved cognitive skills according to sex, degree of disability and ages. In conclusion, music activities which facilitate cognitive skills can be effective in intervention program to improve children's cognitive skills in inclusion settings. 본 연구는 인지발달 관련 음악활동이 발달지체유아의 인지발달에 미치는 영향을 밝히고, 발달지체유아의 개인변인에 따라 음악활동이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았다. 연구대상은 2곳의 통합보육기관을 이용하는 34명의 발달지체유아를 편의 표집 하여 선정하였고 연구기간은 9월부터 2월까지 6개월이었으며 발달지체유아가 생활하는 학급에서 20회기 간 중재가 실시되었다. 중재 프로그램은 인지발달 관련 음악활동으로 구성하였으며 연구 설계는 사전-사후 비교집단 실험설계이었다. 연구결과 인지발달 관련 음악활동이 발달지체유아의 인지발달인 개념발달, 추리 및 학문기술, 기억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인지발달 관련 음악활동은 성별과 장애등급, 나이에 따라 발달지체유아의 개념발달, 추리 및 학문기술, 기억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본 연구결과에 비추어 인지발달 관련 음악활동은 통합보육기관의 발달지체유아의 인지발달을 촉진하는 프로그램으로 시행가능성을 열어주었다.

      • KCI등재

        고등학생들의 통합 탐구 기능 향상을 위한 인지적 스캐폴딩 도구 개발 및 적용

        이기영,허준혁,박재용 한국과학교육학회 2019 한국과학교육학회지 Vol.39 No.4

        이 연구의 목적은 고등학생들의 통합 탐구 기능 향상을 위한 인지적 스캐폴딩 도구를 개발하고, 그 적용 효과를 탐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문헌 연구 및 선행 연구 결과를 토대로 통합 탐구 기능 교육을 위한 수업용 자료 1종과 학생들이 자신의 탐구 능력 수준에 맞추어 선택적으로 학습할 수 있는 개별 학습용 자료 2종을 포함한 인지적 스캐폴딩 도구를 개발하였다. 또한, 통합 탐구 기능에 대한 학생들의 수준을 조사하기 위한 도구로 가설-연역적 탐구 형식으로 구성된 사전, 사후 검사용 탐구 과제를 1개씩 개발하였다. 인지적 스캐폴딩 도구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실험군과 대조군의 사전, 사후 검사에 대해 추리 통계를 실시하였다. 또한, 인지적 스캐폴딩 도구의 적용 여부에 따른 고등학생들의 통합 탐구 능력을 Rasch 모형에 따른 Wrightmap을 산출하여 비교하였고, 통합 탐구 기능의 각 요소에 대한 학생들의 수준 변화 양상을 확인하였다. 연구 결과, 인지적 스캐폴딩 도구를 사용했던 실험군은 대조군에 비해 탐구 설계, 자료 수집 및변환, 자료 해석, 결론 도출 등 모든 평가 요소에서 유의미하게 높은 점수를 보였다. 또한, 인지적 스캐폴딩 도구를 활용했던 학생들은 전반적으로 통합 탐구 능력이 향상되었고, 통합 탐구 기능의 각 요소에서 높은 수준으로 뚜렷하게 변화되는 양상을 보여주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학생들이 과학 탐구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직면하는 기능적 장벽을 완화 또는 제거하기 위해 인지적 스캐폴딩 도구를 적극적으로 활용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cognitive scaffolding tools and to explore their effects on integrated science process skills of high school students. For this purpose, we developed cognitive scaffolding tools including one kind of classroom instruction for training integrated process skills and two kinds of individual learning materials that students can selectively study according to their level of inquiry ability. In addition, we developed hypothetico-deductive inquiry tasks as a tool to investigate the level of students on the integrated process skills for pre-test and post-test respectively. In order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e cognitive scaffolding tools, we conducted inferential statistics on the pre-and post-tests of the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to examine statistical significance of students’ inquiry level change depending on the usage of the cognitive scaffolding tools. We also produced Wrightmaps based on Rasch model to compare the change of inquiry ability depending on usage of the cognitive scaffolding tools. As a result, the experimental group using the cognitive scaffolding tools showed a significantly higher scores in all the components of integrated process skills namely, designing inquiry, collecting data, analyzing data, and forming conclusion than the control group. In addition, students who used cognitive scaffolding tools improved their inquiry ability and showed a distinct transition to higher level in each component of the integrated process skills.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high school students need cognitive scaffolding to alleviate or eliminate the functional barriers they face in conducting scientific inquiries.

      • 유아의 자조 기술 및 사회적 기술 향상을 위한 인지행동놀이치료 사례연구

        이윤정 ( Lee Yun Jung ) 한국인지행동치료상담학회 2021 인지행동치료상담연구 Vol.3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인지행동놀이치료(Cognitive Behavioral Play Therapy)가 유아의 자조 기술과 사회적 기술의 향상 및 이와 관련된 사고의 변화에 주는 영향을 살펴보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 인지행동놀이치료는 심리교육, 인지적 재구성, 문제해결훈련, 부모교육에 초점을 맞추어 구성되었다. 연구대상은 자조 기술과 사회적 기술이 부족한 만 4세 여아이다. 연구는 M어린이집에서 2019년 9월부터 12월까지 주 1회 유아놀이치료 40분, 부모교육 40분으로 총 10회 실시하였다. 치료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회기별 녹화된 내용을 기술하여 유아의 자조활동 수준 및 관련 셀프토크(Self-talk)의 변화, 사회적 대처 기술 및 관련 셀프토크의 변화를 살펴보았으며, 부모의 보고를 통해 가정과 어린이집에서의 유아의 변화를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치료 실시 후 유아의 자조 행동의 영역이 넓어졌으며, 자조 기술이 향상되었다. 또한 자조 기술과 관련된 유아의 사고 내용도 적응적인 변화가 나타났다. 둘째, 치료 실시 후 유아의 사회적 기술이 향상되었고, 공격 행동은 감소하였다. 또한 사회적 상황 관련 유아의 사고 내용도 적응적으로 변화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근거로, 인지행동놀이치료를 통한 유아의 자조 기술 및 사회적 기술 향상과 더불어 관련 사고의 적응적인 변화를 확인하고 시사점에 대해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Cognitive Behavioral Play Therapy(CBPT) on the improvement of self-help and social skills in young children and the changes in cognitive and behavioral aspects that cause low self-help and social skills. CBPT in this study was organized with a focus on psychological education, cognitive reconstruction, problem solving training, parents education. The subject of this study was a four-years-old girl showing low self-help and social skills. For this study, a total of 10 sessions of CBPT and PE were held at M kindergarten from September 2019 to December 2019. Each session and parents education lasted 40 minutes and was conducted once a week. In order to verify the research effect, the recorded contents of each session were described to examine changes in children’s self-help activities, changes in social coping methods, and changes in self-talk in social situations, and confirmed changes at home and kindergarten through parents educ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s the session progressed, children showed a significant improvement in self-help skills and changed their cognitive character. Second, CBPT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improvement of children’s social skills, which had the effect of changing the maladaptive thinking of children in social relationships, thereby reducing aggressive behavior. This study is meaningful that CBPT is effective in improving children’s self-help and social skills, and verify the possibility of CBPT intervention in children with low self-help and social skills.

      • KCI등재

        어떤 요인들이 생산 직무들의 지적 숙련 요건에 영향을 미치는가?

        노용진,김미란 한국직업능력연구원 2022 직업능력개발연구 Vol.25 No.2

        This study conducts an empirical study on which factors affect intellectual skills requirements for manufacturing production jobs, utilizing Survey on Skills Requirements of Jobs administered by KRIVET. Improving upon the case study results of Koike(1994) and Koike(2002) and by pure reasoning, we draw the following hypotheses: Repetitive jobs will demand lower intellectual skills, and change in the types of products, involvement in problem-solving tasks, and use of computer will demand higher intellectual skills. Additionally we also explore how automation affects intellectual skills requirements. We estimate OLS whose dependent variables are basic cognitive skills (math, reading, writing) requirements and general thinking skills requirement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nvolvement in problem-solving tasks, and use of computer have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effects on math, reading, writing, and general thinking skills requirements. Second, repetitive job has statistically significant negative effects on math, writing, and general thinking skills requirements. Third, change in the types of products has, at least weakly,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effects on math and writing requirements. Fourth, automation has statistically significant negative effects on reading and general thinking skills requirements. Overall, most of our hypotheses are supported. Finally we summarize and discuss the empirical results and draw the practical implications. 본 연구는 한국직업능력개발원의 『직무수행을 위한 숙련 요건 조사』 자료를 이용해서 생산 직무의 지적 숙련 요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이 무엇인지에 관한 실증 분석을 시도하였다. 본 연구는 Koike(1994)와 Koike(2002)의 사례연구 결과들을 참조하고 순수한 논리적 추론을 통해서 다음과 같은 가설들을 도출하였다: 직무의 단순반복성은 지적 숙련요건을 낮추고, 생산 제품의 변화, 직무의 문제해결 포함, 컴퓨터 사용 증가 등은 지적 숙련요건을 높일 것이다 그 밖에 탐색과제로서 자동화기술이 지적 숙련 요건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에 관한 실증분석도 시도하였다. 본 연구의 회귀모형은 OLS였고, 종속변수로는 기초적 인지숙련 요건들과 일반적 사고능력 요건 등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 결과들은 다음과 같다. 직무의 문제해결 포함과 컴퓨터 사용 등은 수학 요건, 글 읽기 요건, 글쓰기 요건, 일반적 사고능력 요건 등 4 가지 종속변수들에 대해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의 영향을 미치고 있다. 직무의 단순반복성은 수학 요건, 글쓰기 요건, 일반적 사고능력 요건 등에 대해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음(-)의 영향을 미치고 있다. 제품 종류의 변화는 수학 요건과 글쓰기 요건 등에 대해서만 최소한 약하게나마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의 영향을 미치고 있다. 마지막으로 탐색과제로 설정된 자동화기술은 글 읽기 요건과 일반적 사고능력 요건 등에 대해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음(-)의 영향을 미치고 있다. 전체적으로 볼 때, 이상의 분석 결과들은 본 연구의 가설들을 대부분 지지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결과들을 요약·해석하고 정책적 시사점과 연구의 한계들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

        초등학생의 인지양식에 따른 자료해석 특성 분석

        임성만 ( Sung Man Lim ),손희정 ( Hee Jung Son ),양일호 ( Il Ho Yang ) 한국과학교육학회 2011 한국과학교육학회지 Vol.31 No.1

        이 연구의 목적은 자료해석에 영향을 미치는 학습자 요인으로 인지양식에 주목하고 학습자의 인지양식 에 따른 자료해석의 특성을 알아보고자 하는 것이다. 연구대상으로 통합탐구가 가능한 형식적 조작기에 접어드는 초등학교 6학년을 선택하였으며 인지양식 검사를 통해 전체적 인지양식과 분석적 인지양식으로 집단을 분류한 후 과학적 자료해석 과제를 투입하여 이들의 자료해석 활동을 촬영하고, 사후 면담을 실시 하여 프로토콜을 생성하였으며, 피험자들이 작성한 자료해석 활동지도 분석에 사용하였다. 연구에 따른 결과를 보면, 첫째, 자료해석에서 학습자들은 자료해석의 초기 상태에서 중간 상태를 거쳐 목표 상태에 이르는 동안 다양한 조작자를 활용한다. 본 연구를 통해서는 자료 확인, 변인 인식, 불확실한 자료의 처리, 수학적 조작, 표지의 사용, 사전지식의 이용, 관계 분석, 패턴 분석, 예상이 분석되었다. 인지 양식에 따라 자료해석의 초기 상태에서 자료를 확인하는 양상에 차이가 있다. 둘째, 초등학생의 인지양식에 따라 자료해석의 방향성과 선호하는 자료의 형태가 특징적으로 나타났다. 전체적 인지양식의 학습자는 일반적인 원리나 과학적 문제에 대한 답을 도출한 후 자료를 통해 세부적인 정보를 분석하는 하향식 접근과 연역적 기술의 특성을 보이며, 분석적 인지양식의 학습자들은 자료의 전체적인 양상에 집중하기보다 제시된 자료의 연속적인 세부 항목과 절차에 따라 정보를 일차적으로 분석 하여 기술해 나가는 일차적이고 연대기적 구조를 가진다. 또한 이러한 방식으로 분석해 낸 세부 정보를 바탕으로 귀납적인 방법으로 과학적 문제에 대한 답을 얻는 상향식 접근 방법을 주로 사용한다. 따라서 다양한 교수학습 상황에서 효과적인 학습을 위해서는 학습자들의 인지양식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이를 효과적으로 지원하는 교수 설계 전략을 고안하기 위해 노력해야 할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terpretation of data characteristics by cognitive style. Participants were elementary students in sixth grade who can use integrated inquiry process skills. The studen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analytic cognitive style and wholistic cognitive style according to their response to Cognitive Style Analysis. They performed scientific interpretation of data activity. To collect data for this study, participants recorded the result on scientific interpretation of data activity paper and researcher recorded the situation on videotape and interviewed with participants after the end of interpretation of data to get additional data. And the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study analyzed interpretation of data characteristics by the operator regarding different situations of interpreting data according to cognitive style. For example, in the intermediate state, analytic-cognitive style students showed high achievement in identifying variables, and wholistic-cognitive style students were active in using prior knowledge to interpret data. Second, the result of analysis on the direction of interpreting data and preference for data types in interpreting data activities according to cognitive style are as follows: Wholistic-cognitive style students showed relatively high perception of information through the top-down approach. On the other hand, analytic-cognitive style students usually used the bottom-up approach gradually expanding detailed information to the scientific question-related answer and showed a preference data of the table type. Through the result, this study aimed to help establish a data interpretation strategy for learners to solve problems based on understanding of interpretation of data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earners` cognitive style, and purposed the instruction design suggesting the data requiring various data interpretation strategies to develop learners` data interpretation ability.

      • 실험 평가를 통한 탐구과정 기능의 성취도와 인지 수준과의 관계 분석

        민혜영,백성혜,강대훈 한국교원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1999 청람과학교육연구논총 Vol.9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실험 평가를 이용하여 탐구과정 기능을 측정하고, 인지 수준과 탐구과정 기능의 성취도와의 관계를 알아보는 것이다. 연구 대상은 인지 수준과 지역을 유층으로 하여 중학교 2학년 162명을 표집하였다. 실험 평가는 SISS에서 사용한 실험 과정기능검사 문항을 수정·보완한 산·염기, 밀도, 염화코발트의 성질에 관한 3가지 과제를 이용하여 순환실험 형식으로 수행하였다. 탐구과정 기능은 D(계획), P(수행), R(추론) 등의 하위 기능을 포함한다. 실험 평가의 채점은 학생용 보고서를 이용하였으며, 5면의 평가자가 채점한 결과의 평균값으로 분석을 하였다. 연구의 결과 인지 수준이 발달함에 따라 탐구과정 기능의 전체 점수와 하위 기능인 D(계획), P(수행), R(추론)의 성취도와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인지 수준을 통제하고 탐구과정 기능의 성취도를 비교한 결과 지역간에 탐구과정 기능의 성취도 차이와 남녀간에 탐구과정 기능의성취도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실험 평가를 통한 탐구과정 기능의 성취도는 인지 수준에 크게 영향을 받으므로 탐구과정 기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학습자의 인지 수준을 고려하는 것이 매우 중요한 일임을 알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cognitive levels and achievement of science process skills. A science laboratory process skills test based on optional instrument of the SISS was administered to a sample of 162 students in the 8th grade. Practical assessment tasks consisted of the contents about acidㆍbase, density, and a property of cobalt chloride. The format of this practical test was the station type that students had to conduct a short activity. Science process skills included three sub-skills which were categorized as designing, performing, and reasoning. As cognitive levels develop from concrete operational stage to transition stage and formal operational stage, total scores of science process skills and mean scores of sub-skills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Regardless of cognitive levels, all students were more successful on performing than designing or reasoning. In case of being controlled cognitive levels, gender differences and area differences were not detected in achievement of science process skills. According to these results, there was a strong relationship between cognitive levels and achievement of science process skills by practical assessment. This study implies that considering student's cognitive levels is very important for improving science process skills.

      • KCI등재

        한국의 숙련수익률 변화 : 2000~2012년을 중심으로

        김혜원,장혜원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14 직업능력개발연구 Vol.17 No.1

        본 연구에서는 일반적으로 숙련의 대리지표로 사용하는 학력에 한정하지 않고 직업사전의 숙련 지표들을 활용하여 숙련요인을 도출하고 임금구조 기본통계자료를 이용하여 2000년부터 2012년까지의 숙련 수익률을 측정하였다. 초과교육과 초과경력을 통제한 후, 인지적 숙련의 수익률은 해당 기간 40∼45%의 높은 수준을 유지하였지만, 육체적 숙련과 감각적 숙련의 수익률은 감소하였다. 숙련을 통제하지 않았을 때 교육연수의 수익률은 평균 10%였으나 숙련요인을 통제하면 평균 6%로 줄어들어 직무와 관련된 숙련의 다차원적 특성과 깊이의 중요성이 확인되며 학교교육 이외의 직업훈련, 현장에서 경험 등 숙련 형성의 다양한 측면을 확인할 수 있었다. In human resource research, we usually analyze the return of education with the hypothesis: education is a proxy of ability. In this paper, we analyze the return to various dimensions of skill, including formal education with alternative measure based on the observed skill characteristics of the job from 2000 to 2012 in the Korean labor market. By means of common factor analysis using job information in the Korean Dictionary of Occupational Titles, we extracted 3 measures of job-based skills: cognitive skill, physical skill and sensory skill. We found that the return to cognitive skill had been consistent with 40∼45% for 13 years whereas return to sensory skill and physical skill had been decreased with controlling extra-education and extra-experience. Also after controlling skills factors, the return to schooling falls from 10% to 6%. This finding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various skills formation mechanism such as vocational training and informal learning in career path, in addition to schooling

      • Effectiveness of using Cognitive Virtual Tours based on Marzano Model to Develop the Achievement and Historical Research Skills for Secondary School Students

        Abdalla, Atef Mohamed Saied International Journal of Computer ScienceNetwork S 2022 International journal of computer science and netw Vol.22 No.8

        The study aimed to measure the effectiveness of using Cognitive virtual tours based on Marzano model to develop the achievement and some of historical research Skills for secondary school students. To achieve the objectives of the study, the experimental method was used and two study groups consisted of (60) studen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one is Control (30) students and the other is in experimental (30) students at Alsalam secondary in Ismailia Governorate. The study used several tools: The experimental processing tool of Cognitive Virtual tours based on Marzano model, Cognitive achievement test for the first unit of Secondary first grade history Course. Historical research skills. The finding of the study showed the effectiveness of using cognitive virtual tours based on Marzano model in developing the achievement and some of historical research skills for first grade secondary students which there are Statistically differences at level (0.01) between the average scores of the students in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in post application for Cognitive achievement test. Practical application of the study can contribute to clarify how to use Cognitive virtual tours based on Marzano model in teaching history, and Draw the attention of history developers to the development of historical research skills.

      • KCI등재

        지각-인지기술 훈련이 엘리트 청소년 축구선수의 시각탐색전략에 미치는 영향

        김건우,권상현,황병훈 한국코칭능력개발원 2024 코칭능력개발지 Vol.26 No.5

        본 연구의 목적은 지각-인지기술 훈련이 엘리트 청소년 축구선수의 시각탐색전략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고자 하는 데 그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경력이 7년 이상인 엘리트 청소년 축구선수 28명을 선정하였으며, 이들을 네 집단으로 구분하였다. 연구는 사전검사와 기술훈련, 그리고 사후 검사로 진행하였으며, 연구 과제는 모니터 스크린에 제시되는 축구의 다양한 3대3 공격 전술 상황에서 득점으로 연결할 수 있다고 생각되는 쪽에 패스를 하는 과제를 총 10회씩 수행하였다. 이 과정에서 실험 참여자의 시각탐색률과전체 영역별 시선고정 위치를 분석하여 기술훈련에 따른 시각탐색 전략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시각탐색전략에서 시선고정 빈도는 지각-인지기술 훈련을 받은 집단이 다른 세 집단에 비해 가장 적은 시선고정 빈도를 나타냈으며, 전체 수행시간 중에 시선고정 시간 비율도 지각-인지기술 훈련을 받은 집단이 가장 높게 시선을 고정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지각-인지기술 훈련을 받은 집단의 전체영역별에 따른 시선고정 위치는 다른 세 집단에 비해 공간 영역에 주로 시선을 고정하는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지각-인지기술 훈련이 시각탐색전략을 향상하는 데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기술훈련을병행하여 훈련하는 것이 보다 더 효율적임을 의미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how perceptual-cognitive skills training affected the visual search strategy of elite youth soccer players. A total of 28 elite youth soccer players with more than 7 years of experience were selected, and these were divided into four groups. The study was pre-tested, skill training, and post-test, and a total of 10 research projects were conducted to pass through aspects of soccer various 3on3 offensive tactics presented on the monitor screen that were thought to lead to scoring. In this process, the visual search of the experimental participants and the eye fixation location of the gaze by the entire area were analyzed to analyze the difference in visual search strategies according to skill train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obtained through this were as follows. First, the eye fixation frequency showed the least eye fixation frequency in the group trained in perception-cognitive skills compared to the other three groups, and the total performance time, the eye fixation time ratio was also found to be the highest in the group trained in perception-cognitive skills. Second, it was found that the perceptual-cognitive skill trained group mainly fixed their eyes in the spatial area compared to the other three groups in terms of the eye fixation location for each entire area. These results implid that perceptual-cognitive skill training not only has a positive effect on improving visual search strategies, but is was also more efficient to train skill training in paralle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